KR20200138511A -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511A
KR20200138511A KR1020190063823A KR20190063823A KR20200138511A KR 20200138511 A KR20200138511 A KR 20200138511A KR 1020190063823 A KR1020190063823 A KR 1020190063823A KR 20190063823 A KR20190063823 A KR 20190063823A KR 20200138511 A KR20200138511 A KR 20200138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network connection
user
external electronic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541B1 (ko
Inventor
이원창
조형탁
주종성
손동일
이선기
황선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541B1/ko
Priority to US16/889,148 priority patent/US11166333B2/en
Priority to EP20813634.1A priority patent/EP3939342B1/en
Priority to PCT/KR2020/007076 priority patent/WO2020242273A1/en
Publication of KR20200138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6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with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interrogator and respon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4Inter-user-equipment sessions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5Inter-network session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86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5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in self-organis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7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by reducing handover delay, e.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UI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NETWORK CONNECTION BETWEEN MULTIPLE ELECTRONIC DEVICES}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전자수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의 발전으로 인하여, 영상 통화, 또는 인터넷 방송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대역폭을 요구하는 통신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블루투스에 기반하여 차량 내 스피커 및/또는 마이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은 상기 전자 장치의 헤드셋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예: 영상 통화 또는 개인 방송)을 실행 중인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차량을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이 차량에서 요구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되는 상태에서(in a state maintaining),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I를 표시하고, 상기 UI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스피커, 마이크, 카메라,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구별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제3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정보를 송신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서버와 구별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한 이후,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비스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고 상기 외부 서버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요청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및 그의 방법은,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수행하는 영상 통화와 같은 통신 서비스를 전환함으로써, 차량에 기반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들이 서로를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a 내지 6b는,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UI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내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가 차량 내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f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연결된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a 내지 12b는, 차량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UI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차량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a 내지 14b는, 차량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UI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가 서로 연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내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들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들이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전달하는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다이어그램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관련된 모바일 에지 호스트(mobile edge hos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모바일 에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5G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의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들이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들이 MEC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이 MEC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이 MEC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의 블록도이다.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들은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고,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랩톱 PC 또는 데스크톱 PC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 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차량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20)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전자 장치(210)를 기준으로 설명하되,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는 제1 전자 장치(210)와 동일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제1 전자 장치(210)와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프로세서(120-1), 메모리(130-1), 센서 모듈(176-1), 카메라 모듈(180-1), 통신 모듈(190-1), 가입자 식별 모듈(196-1) 또는 안테나 모듈(197-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30)는 프로세서(120-2), 메모리(130-2), 센서 모듈(176-2), 카메라 모듈(180-2), 통신 모듈(190-2), 가입자 식별 모듈(196-2) 또는 안테나 모듈(197-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 120-1, 또는 120-2), 메모리(130, 130-1, 또는 130-2), 센서 모듈(176, 176-1, 또는 176-2), 카메라 모듈(180, 180-1, 또는 180-2), 통신 모듈(190, 190-2, 또는 190-2), 가입자 식별 모듈(196, 196-1, 또는 196-2) 및 안테나 모듈(197, 197-1, 또는 197-2)들 각각은 도 1의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들은 통신 버스(a communication bus)(미도시)를 통해 전기적으로 및/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ay be electrically and/or operably coupled to).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 예를 들어, IC(integrated circuit), ALU(arithmetic logic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 LSI(large scale integ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1 전자 장치(210)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DRAM(dynamic RAM) 등을 포함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거나, ROM(read only memory), MRAM(magnetoresistive RAM), STT-MRAM(spin-transfer torque MRAM), PRAM(phase-change RAM), RRAM(resistive RAM), FeRAM(ferroelectric RAM) 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SSD(solid 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복수의 인스트럭션들 및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와 관련된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프로세서(120)는 운영 체제를 실행함으로써, 제1 전자 장치(210) 내에 포함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관리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제외한 나머지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으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30) 내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집합인 어플리케이션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130) 내에 설치되었다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130) 내에 연결된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형태(format)로 저장되었음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및/또는 방송(broadcasting)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13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전자 장치(210)와 구별되는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230))의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및/또는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LED(light emitting diode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1 전자 장치(210)는 표시 장치(160) 위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은 저항막(resistive film), 정전성 소자(capacitive components), 표면 초음파(surface acoustic wave) 및 적외선(infrare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60)를 터치하거나 표시 장치(160) 위에서 호버링되는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1 전자 장치(210)를 포함하는 공간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10)의 자세 또는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10)의 주변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마이크, 초음파 센서(acoustic sensor)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제1 전자 장치(210)의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보여지는 하나 이상의 렌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로 전달되는 외부 광에 기반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이미지 파일로 변환되거나, 비디오 파일 및/또는 비디오 스트리밍 내에 프레임 데이터로 포함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랩톱 PC 또는 데스크톱 PC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의 카메라 모듈(180)은 하우징의 복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차량 내에 포함되는 제2 전자 장치(220)의 경우, 카메라 모듈(180)은 차량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통해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의 카메라 모듈(180)이 차량 내에 배치되는 일 예는 도 8a 내지 8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 모듈(190)은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및 LAN(local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230)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210)를 연결할 수 있다. 통신 모듈들(190)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신 회로,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및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전화 번호, 또는 IMSI와 같은 가입자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다(may access to). 통신 모듈(190)은 안테나 모듈(197)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에서 제1 전자 장치(210)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96)은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제1 전자 장치(210)를 식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96)은 제1 전자 장치(210)에 탈착 가능(attachable to)한 형태(예를 들어, 심 카드(SIM card))를 가지거나, 제1 전자 장치(210) 내부에 내장된(embedded) 형태(예를 들어, eSIM(embedded SIM))를 가질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210)의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의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사이의 계약에 기반하는 지정된 정보(preset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전부를 소유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상기 가정에서, 제1 전자 장치(210)의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제2 전자 장치(220)의 가입자 식별 모듈(196) 전부에 저장된 정보는 제1 사용자의 계정(account)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가정에서, 제1 전자 장치(210)의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제2 전자 장치(220)의 가입자 식별 모듈(196)은 제1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계약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식별자(예를 들어, 서로 다른 전화 번호)를 가지거나, 또는 동일한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21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20)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과 같은 제1 전자 장치(210)를 휴대한 상태에서(in a state of carrying)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 내에 탑승하는 경우, 제1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21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20)를 이용하여 제3 전자 장치(230)를 가진 제2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사이의 통신은, 음성 통화(voice call) 및/또는 영상 통화(video call) 뿐만 아니라, 방송과 같이 세 명 이상의 사용자들을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에 기반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210)를 이용하여 제3 전자 장치(230)를 가진 제2 사용자와 통신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는 통신 모듈(190)에 기반하는 제1 네트워크 연결(24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220)를 이용하여 제3 전자 장치(230)를 가진 제2 사용자와 통신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는 통신 모듈(190)에 기반하는 제2 네트워크 연결(25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240)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연결(250)은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할 수 있다.
차량의 제2 전자 장치(220)는, 예를 들어, V2X(vehicle to everything), 5G C-V2X(5G cellular-V2X)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230)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제1 전자 장치(21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230)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V2X에 기반하여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에서 두 개의 전자 장치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두 개의 전자 장치들을 제외한 나머지 전자 장치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240)과 관련된 정보가 제2 전자 장치(220)로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제3 네트워크 연결(260)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제2 전자 장치(220)로 하여금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250)을 수립하게(establish)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는 미디어 스트림의 전송의 연속성 및/또는 심리스 핸드-오버(seamless hand-over)를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연결(240)이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미디어 스트림(예를 들어, 영상 통화와 같은 실시간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인 경우,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미디어 스트림이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에서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250)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210)를 이용하여 제3 전자 장치(220)의 제2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에 탑승한 경우,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영상 통화가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20) 사이의 영상 통화로 연속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많은 데이터의 송 수신을 요구하는 영상 통화가 연속적으로 전환됨에 따라, 제1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과 같은 제1 전자 장치(210)의 표시 장치(160) 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제2 전자 장치(220)의 표시 장치(160)(예를 들어, 차량 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통화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는 제2 전자 장치(220)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영상 통화를 수행함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이 개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및/또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리밍)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에 탑승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에서 상기 서비스의 전환(예를 들어, 핸드-오프(hand off))이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의 전환에 의해, 차량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예를 들어, 차량의 주변 환경을 캡쳐하는 카메라 및/또는 차량의 내부를 캡쳐하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으로 및/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1 전자 장치(210)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220)와 구별되는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3 전자 장치(230))로 송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가 영상 통화와 같은 통신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수행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의 신호 흐름도(300)이다.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는 도 2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3의 동작은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 및/또는 도 1 내지 도 2의 프로세서(120, 120-1 또는 12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동작 310에서, 제1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사용자의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은 도 2의 제1 네트워크 연결(24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210)의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2 사용자의 전화 번호(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230)에 할당된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은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세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는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동작 320에서,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서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210)는 차량 내부로 진입하는 제1 전자 장치(210)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과 같은 제1 전자 장치(210)를 휴대한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내에 탑승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UWB(ultra-wide band), 및/또는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에 기반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서로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USB와 같은 유선 연결 및/또는 WiFi와 같은 무선 연결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를 연결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유선 연결 및/또는 상기 무선 연결에 기반하여 서로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를 제어하여 MirrorLink, Android Auto 및/또는 Car Play에 기반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connected car service)를 개시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서로를 식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가 서로를 식별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에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 기반한 네트워크 연결(예를 들어, 도 2의 제3 네트워크 연결(260))이 수립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가 서로를 식별하는 다양한 방법들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동작 32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는 제3 전자 장치(230)로, 제1 전자 장치(210) 및/또는 제1 전자 장치(210)의 제1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로 진입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가 동작 320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220)를 식별한 경우, 동작 325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3 전자 장치(230)로 제1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에 탑승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제1 전자 장치(210)의 UI의 표시를 변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10)는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통신 서비스(예를 들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통신 서비스로 전환하기 위한 시각 요소(a visual element)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시각 요소는 버튼(button), 다이얼로그 윈도우(dialog window), 텍스트 박스(text box) 또는 아이콘(i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가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UI는 도 6a 내지 6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전자 장치(230)는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통신 서비스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통신 서비스로 전환하기 위한 시각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30)가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UI는 도 12a 내지 12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통신 서비스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의 식별에 응답하여, 동작 3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는 제2 전자 장치(220)로 제2 전자 장치(220)가 제3 전자 장치(230)와 연결하는데 필요한 정보(예: 자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230)의 식별자,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의 세션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세션 ID),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로부터 제3 전자 장치(230)와 연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 3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20)는 제3 전자 장치(230)와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은 도 2의 제2 네트워크 연결(250)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은 제1 네트워크 연결의 세션에 적어도 일부 기반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은, 제2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에 의해 중단되거나, 또는 유지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는 제2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가 표시하는 제2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UI는 도 10a 내지 10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전자 장치(230)가 표시하는 제2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UI는 도 14a 내지 14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은,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통신 서비스를 중단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연결은 제2 전자 장치(220)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통신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서비스가 음성 통화인 경우, 제1 네트워크 연결 및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사이의 음성 통화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다(voice call to voice call continuity). 상기 통신 서비스가 영상 통화인 경우, 제1 네트워크 연결 및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사이의 영상 통화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다(video call to video call continuity).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10)를 이용하여 제3 전자 장치(230)의 제2 사용자와 통화(예를 들어, 영상 통화)하는 제1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제1 사용자는 제2 전자 장치(220)에 기반하여 상기 통화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상기 통화의 전환은 차량의 탑승 여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거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사이에서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가 제1 네트워크 연결에서 제2 네트워크 연결로 전환되는 경우, 통신 서비스의 타입이 제2 전자 장치(220)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에 기반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상기 음성 통화는 상기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차량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영상 통화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는 제1 네트워크 연결 및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음성 통화 및 상기 영상 통화 사이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voice call to video call continuity).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가 통신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400)이다. 도 4의 제1 전자 장치는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및/또는 도 2의 제1 전자 장치(21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3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동작 4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may establish). 상기 제3 전자 장치는 도 2 내지 도 3의 제3 전자 장치(230)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은 제1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 및 제3 전자 장치의 제2 사용자 사이의 영상 통화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은 도 2의 제1 네트워크 연결(240)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연결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1 전자 장치에서 획득된 제1 사용자의 음성 및 영상 및 제3 전자 장치에서 획득된 제2 사용자의 음성 및 영상이 공유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동작 4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 및/또는 제1 전자 장치가 차량 내부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하는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410의 제1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1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제1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2의 제3 네트워크 연결(26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와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서로 연결(예를 들어, 페어링)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도 2 내지 도 3의 제2 전자 장치(220)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가 차량에 탑승한 제1 사용자를 식별하는 동작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3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사용자 및 제3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UI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차량 내에서 제1 전자 장치로 영상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차량 및/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에 기반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영상 통화를 수신하는 제3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차량 및/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에 기반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동작 420-예), 동작 4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는 차량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 및 상기 제3 전자 장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제1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음(또는, 제1 전자 장치가 차량 내부로 진입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UI의 표시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경우(동작 420-아니오), 동작 46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제2 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UI 및 상기 제2 UI는 서로 다른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UI는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UI일 수 있고, 제1 UI는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영상 통화를 수행하면서,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UI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차량 내부로 진입함에 따라 표시하는 상기 제1 UI는 도 6a 내지 6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UI를 표시한 상태에서, 동작 4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제1 UI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 및 상기 제3 전자 장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UI가 제3 전자 장치를 통해 제2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3 전자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UI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동작 440-아니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1 UI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를 연결하지 않음을 확인(예를 들어, 지정된 시간 동안 동작 440의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지 않음)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동작 460에 기반하여 작동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동작 440-예), 동작 4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연결에 할당된 식별자(예를 들어, 세션 ID), 제3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예를 들어, IP 주소, MAC 주소 및/또는 전화 번호와 같이 제3 전자 장치에 할당된 식별자,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보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 사이에 수립된 제3 네트워크 연결(예를 들어, 도 2의 제3 네트워크 연결(260))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송신 이후,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410의 제1 네트워크 연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예를 들어, 도 2의 제2 네트워크 연결(250))이 상기 제2 전자 장치 및 상기 제3 전자 장치 사이에서 수립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은,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영상 통화를,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영상 통화로 전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들이 서로를 식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의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의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들의 동작은 도 3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3의 동작 310) 내지 도 4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4의 동작 420)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과 같은 제1 전자 장치(210)를 휴대한 제1 사용자(미도시)가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510)에 접근하는 상황이 도시된다. 제1 사용자가 차량(510)에 접근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210), 제2 전자 장치(220) 및 차량(51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비컨(beacon)에 기반하여 서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10)는 비컨에 기반하는 무선 신호를, 지정된 주기마다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UWB(ultra-wide band) 및/또는 BLE에 기반하는 무선 신호일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차량(510)에 접근함에 따라,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 미만이 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220)는 제1 전자 장치(21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제1 전자 장치(21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신호는 제2 전자 장치(220)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220)는 차량(510)의 외부로 비컨에 기반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가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차량(510)과 인접한 공간(520) 내에 진입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는 상기 제2 전자 장치(220)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제2 전자 장치(22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전자 장치(210) 또는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의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차량(510)으로의 접근 여부 및/또는 제1 사용자의 차량(510) 내 탑승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신호 및/또는 응답 신호의 대역폭, 강도, 방향 또는 AoA(angle of arrival)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20)는 서로의 위치 관계를 보다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의 차량(510) 내 탑승 여부는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주기적인 통신 및/또는 차량(510)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주기적인 통신은 V2P(vehicle to pedestrian) 및/또는 V2X(vehicle to everything)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제2 전자 장치(220)로, V2X의 personal safety message(PSM)에 기반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PSM에 기반하는 무선 신호는 표 1에 예시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Personal Safety Message 설명 비고
basicType 사용자 단말의 사용목적 지정 보행자(Pedestrian)
자전거(Pedal_Cyclist)
공공근로자(Public Safety Worker)
동물(Animal)
secMark Dsecond(초)
msgCnt 메시지 순서 번호
Id 임시 ID Random
Position Latitude 위도, 경도, 고도
Longitude
Elevation
Accuracy 정확도
Speed 속도
heading 방향
표 1을 참고하면, 제1 전자 장치(210)는 제1 사용자의 타입, 위치, 방향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제1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제1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속도 및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는 표 1의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거나, 기 설정된 조건에 기반하여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210)로 응답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상기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의 상태(예를 들어, 차량(510)으로 접근하는 상태 및/또는 차량(510)내로 진입하는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블루투스에 기반하여 페어링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페어링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의 차량(510) 탑승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차량(510)에 탑승하여 시동을 거는 경우(또는 제1 사용자가 차량(510)의 도어를 오픈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자동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차량(510)에 탑승한 제1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20)는 차량(510) 내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에 기반하여, 차량(510) 내에 탑승한 제1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20)는 차량(510)의 좌석에 배치된 중량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좌석에 탑승한 제1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20)는 방향성을 가지는 통신 방식(예를 들어, 5G 및/또는 WiGig)에 기반하여, 차량(510) 내에 탑승한 제1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차량(510) 내에 탑승하는 것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210)는 제2 전자 장치(220)로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2의 제3 전자 장치(230)) 및 제1 전자 장치(210)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통신 서비스를 전환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UI는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사용자 인증에 기반하여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510) 내에 탑승하는 제1 사용자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제1 사용자를 인증한 결과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및 제1 전자 장치(210)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상기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b는, 제1 전자 장치(210)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가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UI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6b의 제1 전자 장치(210)는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b에서 설명하는 제1 전자 장치(210)의 동작은, 예를 들어, 도 3의 동작들 및/또는 도 4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4의 동작 430 및/또는 동작 440)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도 6a를 참고하면, 제1 전자 장치(210)의 제1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예를 들어, 도 5의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510))에 탑승한 상태에서, 제1 전자 장치(210)의 디스플레이 내에 표시되는 UI의 일 예가 도시된다. 상기 UI는 제2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3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의 제3 전자 장치(230)) 및 제1 전자 장치(210)가 영상 통화와 관련된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UI내에, 영상 통화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제2 사용자의 명칭(611) 및/또는 전화 번호(612))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UI 내에, 영상 통화와 관련된 복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10)의 카메라, 마이크 및/또는 스피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들(613, 615 및/또는 616)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가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는 UI 내에, 상기 전면 카메라 및 상기 후면 카메라의 스위칭을 위한 아이콘(614)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UI 내에, 영상 통화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10)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사용자의 영상(617) 및 제3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사용자의 영상(618))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는 차량에 기반하는 영상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제1 전자 장치(210)의 디스플레이 내에 표시되는 UI 내에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차량 내에서 상기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는 디스플레이 내에 차량에 기반하는 영상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for initiating) 시각 요소(61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시각 요소(610)는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버튼의 선택에 의해 차량에 기반하는 영상 통화가 시작됨을 나타내는 텍스트(예를 들어, 차량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연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가 차량 밖으로 이동하거나, 제1 사용자가 차량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 제1 전자 장치(210)는 시각 요소(610)의 표시를 제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의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상기 시각 요소(610)를 표시하는 제1 전자 장치(210) 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와 관련된 제2 사용자의 제3 전자 장치도 상기 차량에 기반하는 영상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시각 요소 및/또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시각 요소 및/또는 UI는 도 12a 내지 12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사용자가 상기 시각 요소(610)를 선택하는 경우, 도 6b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는 차량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에 기반하는 영상 통화의 생성을 확인하기 위한(to confirm) 윈도우(62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윈도우(620) 내의 취소 버튼(640)을 터치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는 도 6a의 UI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가 취소 버튼(640)을 터치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는 도 6a의 UI 중에서, 차량에 기반한 영상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시각 요소(610)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may cease). 제1 사용자가 윈도우(620) 내의 확인 버튼(630)을 터치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는, 예를 들어, 도 4의 동작 450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예를 들어, 도 2의 제2 네트워크 연결(250))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디스플레이 내에, 차량 내 제1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제1 전자 장치(210)의 제1 사용자가 차량 내에 어느 위치에 탑승하였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디스플레이 내에, 차량의 타입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이 제1 사용자가 소유하는 차량인지 또는 제1 사용자가 소유하지 않은 차량(예를 들어, 택시)인지에 따라, 제1 전자 장치(210)는 디스플레이 내에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택시와 같이 제1 사용자가 소유하지 않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제1 전자 장치(210)는 제1 사용자에 의한 시각 요소(610)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을 통한 영상 통화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보안 문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사용자가 도 6b의 확인 버튼(630)을 선택한 이후, 차량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가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서비스(예를 들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700)이다. 도 7의 제2 전자 장치는 도 2, 도 3 및 도 5의 제2 전자 장치(2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도 3 및 도 5의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220)의 프로세서(12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3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동작 7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좌석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탐지하기 위하여 좌석에 배치되거나, 차량의 내부 공간의 움직임을 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차량 내 이미지를 캡쳐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를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가 차량 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동작은 도 8a 내지 8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는 탑승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동작 710 이후의 동작은,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한 결과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가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은, 제1 전자 장치, 제2 전자 장치 및/또는 차량에 포함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지문, 홍채 또는 얼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동작 7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의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도 6b의 확인 버튼(63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720은 인증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식별자,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연결에 할당된 세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의 식별자는, 제3 전자 장치의 IP 주소, MAC 주소 및/또는 전화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는, 영상 통화, 음성 통화, 또는 방송과 같은 상기 서비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가 수신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에서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에 수립될 네트워크 연결로 전환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동작 7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동작 720에서 수신한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정보에 포함된 식별자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상기 제3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요청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동작 7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제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상태에서 수행하는 동작은 도 9 및 도 10a 내지 10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내지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510) 내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 내지 8b의 차량(510)은 도 5의 차량(510)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도 2, 도 3 및 도 5의 제2 전자 장치(2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b에 도시된 복수의 센서들은 도 2의 제2 전자 장치(220)의 센서 모듈(176-1)과 관련되거나, 또는 센서 모듈(176-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면, 차량(510)의 외부를 향하는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또는 810-4)이 도시된다.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또는 810-4) 각각은 차량(510)의 전방, 측방 및 후방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또는 810-4) 각각은 가시광선,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으로부터, 전방, 측방 및 후방 각각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510)은 전방, 측방 및 후방에 대한 정보를 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조도 및/또는 온도를 탐지하거나, 장애물을 탐지할 수 있다.
도 8b를 참고하면, 차량(510)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810-5) 및 복수의 센서들(820-1, 820-2, 820-3, 또는 820-4)이 도시된다. 상기 카메라(810-5)는 차량(510)의 실내에 배치되어, 차량(510) 내에 탑승한 사용자(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를 캡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는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및/또는 이미지 인식(image recognition)에 기반하여 카메라(810-5)에서 캡쳐되는 이미지를 처리함으로써, 이미지 내에 포함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카메라(810-5)에서 캡쳐되는 이미지 내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결정 및/또는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820-1, 820-2, 820-3, 또는 820-4) 각각은 차량(510)의 복수의 좌석들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는 복수의 센서들(820-1, 820-2, 820-3, 또는 820-4)을 이용하여 좌석의 중량의 변화 및/또는 좌석에 인접한 공간 내에 형성된 전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좌석들 중 어느 좌석에 탑승하는지를 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차량(510) 내에 포함된 거치대(cradle)를 이용하여, 차량(510) 내에 탑승하는 사용자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거치대에 제1 전자 장치를 거치하는 경우(hung the first electronic device up on the cradle), 제2 전자 장치는 거치대 및 제1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예를 들어, NFC 및/또는 무선 충전과 관련된 연결)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 및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도 8b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의 안테나 모듈(197-1)이 차량(510)의 실내를 향하여 전자기장을 방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안테나 모듈(197-1)에 기반하여, 방향성을 가지는 전자기장(예를 들어, 5G 표준에 기반하는 전자기장 및/또는 WiGig 표준에 기반하는 전자기장)을 방사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장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는 차량(510)의 실내로 진입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510) 내에 포함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810-4, 또는 810-5), 복수의 센서들(820-1, 820-2, 820-3, 또는 820-4), 안테나 모듈(197-1) 및 제2 전자 장치(미도시))은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에 기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510)의 생산자(manufacturer)에 의해 차량(510)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차량(510)의 사용자에 의해 차량(5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과 관련된 속성들(attributes)을, 예를 들어, 메타 정보(meta information)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속성들은,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능력(capability), 타입, 차량(510) 내 위치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대응하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한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810-4, 또는 810-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차량(510)의 실내로 진입한 사용자의 식별에 응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메타 정보에 표시된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또는 810-4) 각각의 방향들에 기반하여, 차량(510) 내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810-4, 또는 810-5)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may enable).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는 복수의 센서들(820-1, 820-2, 820-3, 또는 820-4)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510) 내 좌석을 식별하고, 식별된 좌석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은, 상기 사용자와 구별되는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도 3의 제3 전자 장치(230)의 제2 사용자)에게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510) 내에 배치된 제2 전자 장치는 차량(510)의 외부로 향하는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또는 810-4), 차량(510)의 내부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810-5) 및/또는 복수의 센서들(820-1, 820-2, 820-3, 또는 820-4)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획득된 데이터를, 예를 들어, 도 7의 동작 740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510)에 존재하는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810-4, 또는 810-5) 및/또는 복수의 센서들(820-1, 820-2, 820-3, 또는 820-4)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는,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통신 서비스(예를 들어, 영상 통화 서비스 및/또는 방송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510)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가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810-4, 또는 810-5)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 서비스에 이용하는 동작을 도 9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가 차량 내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900)이다. 도 9의 제2 전자 장치는 도 2, 도 3 및 도 5의 제2 전자 장치(2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도 3 및 도 5의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22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3의 동작들 및/또는 도 7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7의 동작 740)에 기반하거나,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동작 9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차량 내 복수의 카메라들을 식별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차량 내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도 8a 내지 8b의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810-4 및/또는 810-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들의 식별자, 위치 및/또는 시야(field-of-view, FOV)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동작 9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로써, 제1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를 휴대한 제1 사용자이거나, 또는 제2 전자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제3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의 제3 전자 장치(230))의 제2 사용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차량 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내에, 식별된 복수의 카메라들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차량에 탑승한 제1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상기 차량에 배치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가 차량 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식별하는 동작은 도 10a 내지 10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식별된 복수의 카메라들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의 제2 사용자는 제3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사용자가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3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는 제2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가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을 식별하는 동작은 도 12a 내지 12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없이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 및/또는 차량의 상태가 지정된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상태 및/또는 차량의 상태에 기반하여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상태는, 사용자 및/또는 차량과 관련된 사고(accident) 및/또는 충돌(collision)의 발생, 사용자의 승차 및/또는 사용자의 하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동작 9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차량 내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에 의해 캡쳐되고 있는 복수의 영상들 중에서, 동작 920에 기반하여 식별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을,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에 의해 캡쳐되고 있는 복수의 영상들을 병합하여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하면서, 제3 전자 장치로 식별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을 추출하거나 크롭(crop)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전자 장치를 병합된 영상에 상기 정보에 기반하는 크롭을 수행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는 차량 내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에 대하여 도 9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는 복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제1 사용자 및/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데이터를,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f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000)를 통해 표시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f의 제2 전자 장치는 도 2, 도 3 및 도 5의 제2 전자 장치(2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f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도 3 및 도 5의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22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f의 UI는 도 3의 동작들, 도 7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7의 동작 740) 및/또는 도 9의 동작들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10a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가 도시된다.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카메라(810-5)는 후면 거울(rear-view mirror) 및/또는 오버헤드 콘솔(overhead console)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대시보드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0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가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100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도 8a 내지 8b의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810-4, 또는 810-5) 및 복수의 센서들(820-1, 820-2, 820-3, 또는 820-4)과 같이 차량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또는 센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도 10b를 참고하면, 차량 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000)가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1000)의 UI 내에, 제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2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제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의 제2 사용자를 캡쳐한 영상)(101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1000)의 UI 내에, 제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3 전자 장치로 현재 송신하고 있는 영상(102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1020)은, 예를 들어, 도 8a의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810-1)로부터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영상(1020)을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1000)의 UI 내에 송신하고 있는 영상(1020)이 차량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 중 어느 카메라(예를 들어, 도 8a의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810-1))로부터 획득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시각 요소(예를 들어, 텍스트 메시지(103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1000)의 UI 내에,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할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각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 요소는 차량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 중에서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할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1040, 1042, 1044, 1046, 또는 104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버튼들(1040, 1042, 또는 1044) 각각은 차량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 중에서, 현재 제3 전자 장치로 송신되고 있는 카메라(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를 제외한 나머지 카메라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00)를 터치하거나 또는 대시보드의 버튼 및/또는 다이얼에 기반하여 차량의 좌측을 향하는 카메라와 관련된 버튼(1040)을 선택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에서 캡쳐되고 있는 영상을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고, 제3 전자 장치로 차량의 좌측을 향하는 카메라(예를 들어, 도 8a의 카메라(810-2))에서 캡쳐되고 있는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1000)의 UI 내에, 차량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의 영상을 합성한 영상을 송신하기 위한 버튼들(1046, 또는 1048)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1046)을 선택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차량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에서 캡쳐되고 있는 복수의 영상들 전체를 병합하여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1048)을 선택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복수의 카메라들(예를 들어, 도 8a의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또는 810-4))의 영상을 스티칭하여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0c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가 사고(accident)와 같은 지정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000) 내에 표시하는 UI의 일 예가 도시된다. 제2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1000) 내에 제3 전자 장치로 현재 송신하고 있는 영상(1020)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 및/또는 상기 차량 주변의 다른 차량의 사고를 탐지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가 사고를 탐지하는 것은 이미지 인식(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b의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810-4, 또는 810-5)에서 수신한 이미지에 기반한 이미지 인식) 또는 제2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또는 중력 센서)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식은,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의 기계 학습 엔진, MCE(multi-cell coordination entity)의 제어 모듈, 또는 MEC(mobile edge computing) 장치의 제어 모듈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 및/또는 상기 차량 주변의 다른 차량의 사고의 탐지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1000) 내에 탐지된 사고와 관련된 영상(105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1050)은 차량의 복수의 카메라들 중에서 사고가 발생한 방향에 대응하는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연결된 제3 전자 장치로 사고와 관련된 영상(1050)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영상(1020) 및 영상(1050)을 결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도 10d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1000) 내에 표시하고, 차량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UI의 일 예가 도시된다. 제2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현재 송신하고 있는 영상(1020)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000) 내에 차량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차량의 현재 위치)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0d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1000)의 적어도 일부분(1060) 내에 지도의 적어도 일부분 내에 차량의 현재 위치를 도형 및/또는 아이콘(1065)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영상(1020)을 송신함과 동시에, 제3 전자 장치로 차량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차량의 현재 위치)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가 제3 전자 장치로 차량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사고와 같은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고의 탐지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사고가 발생한 방향에 대응하는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예를 들어, 도 10c의 영상(1050))과 함께 차량 및/또는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0e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1000) 내에 표시하는 UI의 일 예가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는 차량 내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예를 들어, 도 8a의 차량의 외부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810-1, 810-2, 810-3, 또는 810-4))의 영상들을 합성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합성된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합성된 영상은,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주변을 캡쳐한 파노라마 영상 및/또는 360° 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들의 처리는, 제2 전자 장치가 아닌 제2 전자 장치와 연결된 기지국과 연결된 MEC(mobile edge computing) 장치(또는 MEC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들(810-1 내지 810-4)을 이용하여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MEC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MEC 장치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MEC 장치로부터 외부 서버(예: 클라우드 서버 또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 받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예: 제3 전자 장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과 연결된 다른 기지국을 통해 상기 MEC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MEC 장치는, 상기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다른 기지국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에게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은, 상기 수신된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MEC 장치와 구별되는 상기 외부 서버에게 상기 다른 기지국을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수신된 입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것을 상기 MEC 장치에게 요청하고, 상기 MEC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에게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일부를 합성한 통합 이미지(integrated image)(예: 차량 또는 차량 주변의 환경과 관련된 360도 이미지, 파노라마 이미지 등)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MEC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일부를 합성하거나 스티칭함(stitch)으로써 상기 통합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통합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기지국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에게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정보가 상기 MEC 장치 및 상기 MEC 장치와 구별되는 상기 외부 서버 모두 내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MEC 장치 및 상기 외부 서버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에게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이 상기 MEC 장치에게 접근하기 위해 이용하는 통신 자원의 양 및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이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접근하기 위해 이용하는 통신 자원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MEC 장치에게 접근하기 위해 이용하는 통신 자원의 양이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접근하기 위해 이용하는 통신 자원의 양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MEC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MEC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제4 전자 장치가 상기 MEC 장치에게 접근하기 위해 이용하는 통신 자원의 양이 상기 제4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접근하기 위해 이용하는 통신 자원의 양보다 큰 경우, 상기 제4 전자 장치는, 상기 MEC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 대신, 상기 외부 서버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10e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1000) 내에 상기 합성된 영상을 스크롤하기 위한 버튼들(1070)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는 버튼들(1070)에 기반하여 합성된 영상을 탐색할 수 있다. 합성된 영상은 제3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고, 제3 전자 장치의 제2 사용자는, 예를 들어, VR(virtual reality)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제3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합성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0f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가 제3 전자 장치로 송신될 영상 내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는 시각 요소를 추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000) 내에 표시하는 UI의 일 예가 도시된다. 도 10f의 UI에 기반하여, 사용자는 영상 내에 자막(caption), 태그, 코멘트(comment)와 같은 정보를 더 결합하여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00) 내에 표시된 버튼(1080)을 터치하여 영상의 적어도 일부분 내에 텍스트(예를 들어, "Look here")를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은, 디스플레이(1000), 차량 내 포함된 키패드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발언(speech)을 포함하는 음성 입력(예를 들어, STT(speech-to-text)에 기반하는 음성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UI에 기반하여 영상 내에 결합할 수 있는 정보는, 상기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모티콘, 아이콘, 애니메이션(예를 들어, GIF 애니메이션), 음성 메시지, 또는 비디오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내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는 정보를 결합하는 것은, 제2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MEC)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도 10a 내지 10f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차량에 기반한 영상 통화 서비스 및/또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에 기반한 영상 통화 서비스 및/또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때와 구별되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영상 통화 서비스 및/또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예를 들어, 영상 통화의 발신자 및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는 차량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 및/또는 복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제2 전자 장치에서 제3 전자 장치로 직접 송신되거나,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MEC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00)와 관련된 사용자의 선택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는 차량의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카메라 정보 및/또는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영상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제3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오디오 빔포밍 및/또는 홀로그램에 기반하여 버추얼 프레젠스(virtual presenc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대시보드의 디스플레이(1000)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면 유리 및/또는 차량의 실내의 매질을 이용하여 차량 내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상기 버추얼 프레젠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a 내지 10f와 같이 차량 내에 탑승한 제1 사용자가 차량의 제2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에 연결된 제3 전자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연결된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100)이다. 도 11의 제3 전자 장치는 도 2 및/또는 도 3의 제3 전자 장치(23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1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및/또는 도 3의 제3 전자 장치(23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23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3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3의 동작 330 및/또는 동작 340), 도 7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7의 동작 740) 및/또는 도 9의 동작들과 적어도 일부 관련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동작 11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연결은 도 2의 제1 네트워크 연결(24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은 제1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 및 제3 전자 장치의 제2 사용자에게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일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동작 11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전자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1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는 도 4의 동작 420에 기반하여, 차량에 탑승한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차량에 탑승한 제1 사용자의 상태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제1 사용자의 차량의 탑승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는 차량에 탑승한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경우(동작 1120-아니오), 동작 117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1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전자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한 제1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동작 1120-예), 동작 11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차량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제1 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UI는 동작 1170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가 제1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상태에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UI는 제3 전자 장치의 제2 사용자에게,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UI는 차량의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새로운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통신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UI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제3 전자 장치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또는 상기 차량의 제2 전자 장치 또한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동작 11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동작 1130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제1 UI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의 제2 사용자는 상기 제1 UI를 통하여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를 연결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제1 UI는 도 12a 내지 12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제1 전자 장치 및/또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가 도 6a 내지 6b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제1 전자 장치로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를 연결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탑승한 제1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로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를 연결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동작 1140-아니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동작 1130에 기반하는 제1 UI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1 UI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를 연결하지 않음을 확인(예를 들어, 지정된 시간 동안 동작 1140의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지 않음)하는 경우, 제3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동작 1170에 기반하여 작동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동작 1140-예), 동작 11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동작 330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제2 전자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3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은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연결 및 제1 네트워크 연결에 할당된 세션 ID들 및/또는 통신 서비스들의 타입은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연결의 세선 ID는 제1 네트워크 연결의 세션 ID 및/또는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동작 116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한 제2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에 응답하여, 제3 전자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제2 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UI는 차량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UI 내에 제2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상태(예를 들어, 차량의 위급 상황에 대한 정보, 차량의 위치 정보 및/또는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센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UI 내에 제2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예를 들어, 차량의 주변 경관)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가 제2 UI에 기반하여 수행하는 동작은 도 13 및 도 14a 내지 14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1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 및 제3 전자 장치의 제2 사용자가 영상 통화 및/또는 개인 방송에 기반하는 서비스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예를 들어,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차량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 뿐만 아니라, 제3 전자 장치도 제2 사용자에게, 제1 사용자의 차량의 탑승에 기반하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예를 들어, 상기 제1 UI 및/또는 상기 제2 UI의 표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차량에 포함된 카메라 중에서 영상을 제공받고자 하는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b는, 차량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230)가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UI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12b의 제3 전자 장치(230)는 도 2 및/또는 도 3의 제3 전자 장치(23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b에 도시된 UI는 도 3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3의 동작 320), 도 4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4의 동작 440), 도 11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11의 동작 1130)과 적어도 일부 관련될 수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제3 전자 장치(230)가 제1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3 전자 장치(230)의 디스플레이 내에 표시하는 UI의 일 예가 도시된다.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230)는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는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 및 제3 전자 장치(230)의 제2 사용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전자 장치(230)가 표시하는 UI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와 적어도 일부 관련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30)가 표시하는 UI는 도 6a 내지 6b에 도시된 UI와 적어도 일부 유사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230)가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230)는 제1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230)는 도 11의 동작 1120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차량에 탑승한 상기 제1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음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3 전자 장치(230)는 디스플레이 내에 차량에 기반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위한 시각 요소(121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시각 요소(1210)는 버튼 및/또는 아이콘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음을 나타내는 텍스트(예를 들어, 상대방이 차량에 탑승하였습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30)가 도 12a에 기반하는 UI를 표시하는 동안, 제3 전자 장치(230)와 연결된 제1 전자 장치 또한, 예를 들어, 도 6a의 UI와 같이 차량에 기반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위한 시각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30)의 제2 사용자가 시각 요소(1210)를 선택하는 경우, 도 12b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전자 장치(230)는 차량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로의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윈도우(1220)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사용자가 윈도우(1220) 내의 취소 버튼(1240)을 터치하는 경우, 제3 전자 장치(230)는 도 12a의 UI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가 취소 버튼(1240)을 터치하는 경우, 제3 전자 장치(230)는 도 12a의 UI 중에서, 제2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시각 요소(1210)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may cease). 제2 사용자가 윈도우(1220) 내의 확인 버튼(1230)을 터치하는 경우, 제3 전자 장치(230)는, 예를 들어, 도 11의 동작 1140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230) 및 제2 전자 장치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는 도 2 내지 도 3의 제2 전자 장치(220)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에 응답하여, 제3 전자 장치(230)는 도 12a 내지 12b의 UI와 구별되는 다른 UI(예를 들어, 도 11의 제2 UI 및/또는 도 14a 내지 14b의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전자 장치(230)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에 응답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도 1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차량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300)이다. 도 13의 제3 전자 장치는 도 2 및/또는 도 3의 제3 전자 장치(23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및/또는 도 3의 제3 전자 장치(23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23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3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3의 동작 340), 도 9의 동작들 및/또는 도 11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11의 동작 1160)과 적어도 일부 관련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동작 13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내 복수의 카메라들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는 도 2 내지 도 3의 제2 전자 장치(220)에 대응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와 통신하여(예를 들어, 도 2의 제2 네트워크 연결(250)에 기반하여) 차량 내 복수의 카메라들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는 도 9의 동작 910에 기반하여 차량 내 복수의 카메라들을 식별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차량 내 복수의 카메라들을 식별한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결과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내 복수의 카메라들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동작 13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내에 복수의 카메라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의 차량 내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 중 어떤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할지를 사용자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동작 13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제3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에 표시된 UI로부터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의 제2 사용자는 UI에 기반하여, 차량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동작 13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을 제2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1330에 기반하여 식별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는 차량 내 복수의 카메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캡쳐되고 있는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요청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을 송신할지 여부를, 제2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선택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요청에 동의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요청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제2 전자 장치는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영상을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는 차량 내 디스플레이 내에 표시되는 UI 및/또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요청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동작 13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영상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3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는 차량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내에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a 내지 14b를 참고하여 제3 전자 장치가 도 13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안 표시하는 UI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a 내지 14b는, 차량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전자 장치(230)가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UI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14b의 제3 전자 장치(230)는 도 2 및/또는 도 3의 제3 전자 장치(23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14b에 도시된 UI는 도 3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3의 동작 340), 도 11의 동작들(예를 들어, 도 11의 동작 1160) 및/또는 도 13의 동작들과 적어도 일부 관련될 수 있다.
도 14a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2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3 전자 장치(230)의 디스플레이 내에 표시되는 UI의 일 예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는 도 2 내지 도 3의 제2 전자 장치(220)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UI는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230)가 영상 통화와 관련된 네트워크 연결(예를 들어, 도 2의 제2 네트워크 연결(25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전자 장치(230)는 UI 내에, 영상 통화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1 사용자의 명칭(1411) 및/또는 전화 번호(1412))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전자 장치(230)는 UI 내에, 영상 통화와 관련된 복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230)의 카메라, 마이크 및/또는 스피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들(1413, 1415, 또는 1416)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전자 장치(230)가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제3 전자 장치(230)는 UI 내에, 상기 전면 카메라 및 상기 후면 카메라의 스위칭을 위한 아이콘(1414)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전자 장치(230)는 UI 내에, 영상 통화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a를 참고하면, 제3 전자 장치(230)는 UI의 부분(1410) 내에, 제3 전자 장치(230)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사용자가 캡쳐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사용자가 캡쳐된 영상은 제2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30)는 UI의 부분(1420) 내에,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가 포함된 차량 내에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30)는 UI 내에,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영상이 차량의 복수의 카메라들 중 어느 카메라(예를 들어, 차량의 전면을 촬영하는 전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되었는지를 텍스트 및/또는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전자 장치(230)의 제2 사용자는 상기 UI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를 통해 수신할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가 UI에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이 표시되는 부분(1420)을 터치하는 경우, 제3 전자 장치(230)는 도 14b와 같이 제2 전자 장치를 통해 수신할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b를 참고하면, 제3 전자 장치(230)는 UI의 부분(1430) 내에, 제3 전자 장치(230)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사용자가 캡쳐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30)는 UI의 부분(1440) 내에,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30)는 UI의 부분(1450) 내에, 제2 전자 장치가 포함된 차량 내에서의 복수의 카메라들 각각에 대응하는 버튼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버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차량 내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의 선택의 식별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도 13의 동작 1340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230)는 제2 전자 장치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도 13의 동작 1350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230)는 수신한 영상을 UI의 부분(144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1 및/또는 210-2),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1 및/또는 230-2)가 서로 연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5의 제1 전자 장치(210-1 및 210-2) 내지 제3 전자 장치(230-1 및 230-2) 각각은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1 및/또는 210-2) 내지 제3 전자 장치(230-1 및/또는 230-2)들은, 예를 들어, 도 3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도 15의 5G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5G 네트워크 환경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530), MEC(1540) 및/또는 코어(1550)에 기반하여 인터넷(1560)에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환경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1570)가 인터넷(1560)을 통해 5G 네트워크 환경에 기반한 통신 서비스(예를 들어, 영상 통화 서비스, 방송 서비스)를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1 사용자(1510)는 5G 네트워크 환경에 연결된 제1 전자 장치(210-1 및/또는 210-2)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음성 통화 및/또는 방송(예를 들어, 개인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1)는 모바일 단말의 형태를 가지거나, 스마트 워치(210-2)와 같이 제1 사용자(1510)에게 착용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사용자(1520)는 5G 네트워크 환경에 연결된 제3 전자 장치(230-1 및/또는 230-2)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통화, 음성 통화 및/또는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30-1)는 모바일 단말의 형태를 가지거나, 스마트 워치(230-2)와 같이 제2 사용자(1520)에게 착용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사용자(1510)가 차량(510)에 탑승하는 경우, 제1 사용자(1510)는 차량(510)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220)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음성 통화 및/또는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570)는 영상 통화, 음성 통화 및/또는 방송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예를 들어, 제1 사용자(1510) 및 제2 사용자(152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연결은 1:N 연결(N은 1 이상의 자연수) 및/또는 P2P(Peer-to-Peer) 연결일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내에 설치된 프로그램(14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및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6의 프로그램(140)은 도 1의 메모리(130)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140)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2의 제1 전자 장치(210)) 및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2의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음성 통화 및/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16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개인 방송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16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610)은, 예를 들어, VoIP에 기반하는 VoIP 소프트웨어(162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미들웨어(1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어, 구성 매니지먼트(1632), 세션 매니지먼트(1634), 네트워크 스택(1636), 패킷 전송(1638)과 관련된 미들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은, 예를 들어,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140)은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및/또는 개인 방송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코덱(예를 들어, 비디오 코덱 및/또는 오디오 코덱)(16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들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1 클라이언트(1710) 및 제2 클라이언트(17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클라이언트(1710) 및 제2 클라인언트(1720) 각각은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1710) 및 제2 클라이언트(1720)가 음성 통화 및/또는 비디오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는 경우(예를 들어, 콜 설정(call setup의 수행), 제1 클라이언트(1710) 및 제2 클라이언트(1720)는 네트워크 내에서 신호 서버(signaling server)(1730), TURN(traversal using relay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서버(1740) 및/또는 STUN(simple traversal of UDP(user datagram protocol) through NAT) 서버(175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서버(173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기반한 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URN 서버(1740) 및/또는 STUN 서버(1750)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1710) 및 제2 클라이언트(1720)를 연결할 수 있다. 서로 연결된 제1 클라이언트(1710) 및 제2 클라이언트(1720)는 P2P(peer-to-peer) 방식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직접적으로(directly)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도 18은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들이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전달하는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다이어그램(1800)이다.
도 18의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각각은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는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제1 전자 장치(2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프록시 서버(18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230)는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제3 전자 장치(2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프록시 서버(182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의 제1 사용자가 제3 전자 장치(230)와 관련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에 제3 전자 장치(230)를 초대(invite)하기 위한 메시지(1830)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1830)는 제1 전자 장치(210)에서 제1 프록시 서버(1810)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1830)를 수신한 제1 프록시 서버(1810)는 제3 전자 장치(230)에 대응하는 제2 프록시 서버(1820)로, 상기 메시지(1830)에 기반하는 메시지(1832)를 송신할 수 있다. 메시지(1832)의 송신에 응답하여, 제1 프록시 서버(1810)는 제1 전자 장치(210)로 메시지(1832)의 송신을 알리는 메시지(1836)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프록시 서버(181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1832)를 수신한 제2 프록시 서버(1820)는 제3 전자 장치(230)로, 상기 메시지(1832)에 기반하는 메시지(1834)를 송신할 수 있다. 메시지(1834)의 송신에 응답하여, 제2 프록시 서버(1820)는 제1 프록시 서버(1810)로 메시지(1834)의 송신을 알리는 메시지들(1838)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메시지들(1836 및/또는 1838) 각각은 제3 전자 장치(230)의 초대(invite)와 관련된 메시지들(1832 및/또는 1834) 각각의 송신 및 상기 초대를 시도(try)함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메시지(1840)는 상기 초대에 대응하는 제3 전자 장치(230)로 메시지(1834)를 송신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1840)를 수신한 제1 프록시 서버(1810)는 제1 전자 장치(210)로 상기 메시지(1838)에 기반하는 메시지(1842)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1834)를 수신한 제3 전자 장치(230)는 제2 프록시 서버(1820)로, 제1 전자 장치(210)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의 연결을 수락하는 메시지(1844)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1844)를 수신한 제2 프록시 서버(1820)는 제1 전자 장치(210)에 대응하는 제1 프록시 서버(1810)로, 상기 메시지(1844)와 관련된 메시지(1846)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1846)를 수신한 제1 프록시 서버(1810)는 제1 전자 장치(210)로 상기 메시지(1846)에 대응하는 메시지(1848)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는 상기 메시지(1848)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230)의 연결의 수락을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1850)를, 제3 전자 장치(230)로 직접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1850)의 송신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에 미디어 세션(1852)이 수립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세션(1852)은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세션(1852)은 도 2의 제1 네트워크 연결(240)에 대응할 수 있다.
미디어 세션(1852)의 수립 이후, 제1 전자 장치(210)의 제1 사용자 또는 제3 전자 장치(230)의 제2 사용자는 상기 음성 통화 또는 상기 영상 통화에 기반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미디어 세션(1852)의 수립 이후, 상기 제1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세션(1852)은 차량 내에 포함된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2의 제2 전자 장치(220))에 기반하여 전환되거나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세션(1852)의 전환 또는 변경은 도 3 내지 도 4, 도 7 또는 도 11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미디어 세션(1852)의 수립 이후,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가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의 종료를 위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통화를 중단하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3 전자 장치(230)는 제1 전자 장치(210)로 미디어 세션(1852)의 중단을 위한 메시지(1854)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1854)를 수신한 제1 전자 장치(210)는 제3 전자 장치(230)로 상기 메시지(1854)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인 메시지(1856)를 송신할 수 있다. 메시지들(1854 및/또는 1856)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디어 세션(1852)이 중단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관련된 모바일 에지 호스트(mobile edge hos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모바일 에지 호스트(mobile edge host)(1910)는 모바일 에지 어플리케이션(ME app)을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가상화 인프라스트럭쳐(virtualization infrastructure)(1915) 및 모바일 에지 플랫폼(mobile edge platform)(1920)을 포함하는 엔티티(entity)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엔티티는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의 서버 및/또는 전자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가상화 인프라스트럭쳐(1915) 및 모바일 에지 플랫폼(1920)은 컴퓨팅,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화 인프라스트럭쳐(1915)는 모바일 에지 플랫폼(1920)에서 수신한 트래픽 규칙을 실행할 수 있다. 가상화 인프라스트럭쳐(1915)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DNS(domain name system) 서버/프록시, 3GPP 네트워크, 로컬 네트워크 또는 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데이터 플레인(data plane)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에지 플랫폼(1920)은, 가상화 인프라스트럭쳐(1915)가 모바일 에지 어플리케이션(ME app)을 실행하거나, 모바일 에지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모바일 에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에지 플랫폼(1920)은, 다른 플랫폼(예를 들어, 다른 모바일 에지 호스트(1925)의 다른 모바일 에지 플랫폼(1930))에 대응하는 모바일 에지 서비스를 포함하여 모바일 에지 서비스를 검색, 광고, 소비 및/또는 제공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에지 플랫폼(1920)은 모바일 에지 플랫폼 관리자(1935), 응용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에서 트래픽 규칙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트래픽 규칙에 기반하여, 모바일 에지 플랫폼(1920)은 데이터 플레인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에지 플랫폼(1920)은 모바일 에지 플랫폼 관리자(1935)로부터 DNS 레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DNS 레코드에 기반하여, 모바일 에지 플랫폼(1920)은 DNS 프록시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에지 플랫폼(1920)은 모바일 에지 서비스를 호스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에지 플랫폼(1920)은 영구 저장 장치 및 시간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모바일 에지 어플리케이션(ME app)은 모바일 에지 관리(mobile edge management)에 의해 검증된 구성 또는 요청에 기반하여, 모바일 에지 호스트(1910)의 가상화 인프라스트럭쳐(1915)에서 인스턴스화될 수 있다(may instantiation).
도 19를 참고하면, 모바일 에지 관리는 모바일 에지 시스템 레벨(mobile edge system level) 관리 및 모바일 에지 호스트 레벨(mobile edge host level) 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에지 시스템 레벨 관리는 모바일 에지 오케스트레이터(mobile edge orchestrator)(1945)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에지 오케스트레이터(1945)는 모바일 에지 시스템의 개요(outline)에 기반하여 모바일 에지 시스템 레벨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에지 호스트 레벨(mobile edge host level) 관리는 모바일 에지 플랫폼 관리자(1935) 및 가상화 인프라 관리자(virtualization infrastructure manager)(1940)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에지 호스트 레벨 관리는 특정한 모바일 에지 호스트(예를 들어, 도 19의 모바일 에지 호스트(1910)) 및 모바일 에지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모바일 에지의 특정 기능을 관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모바일 에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예를 들어,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하는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단말 레벨(user equipment level)(2010), 에지 레벨(2020) 및 원격 레벨(2030)로 구별될 수 있다(may be distinguished by).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는 사용자 단말 레벨(2010)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는 사용자 단말 레벨(2010)의 사용자 단말들(2012)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에서, 복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사용자 단말 레벨(2010)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들에 대응하는 원격 서버(2032)가 원격 레벨(2030)에 포함될 수 있다. 원격 서버(2032)는, 예를 들어, 집중식 컴퓨팅, 스토리지 컴퓨팅 및/또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하나 이상의 MEC 호스트(2022)가 에지 레벨(202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MEC 호스트(2022)는 에지 레벨(2020)에서 원격 서버(2032)에 의해 지원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EC 호스트(2022)는 도 19의 모바일 에지 호스트(1910)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EC 호스트(2022)는 MEC 플랫폼(202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C 플랫폼(2024)은 도 19의 모바일 에지 플랫폼(1920)에 대응할 수 있다. MEC 호스트(2022)는 사용자 단말들(2012)로, 컴퓨팅, 스토리지 및/또는 네트워크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EC 플랫폼(2024)은 MEC 어플리케이션이 RESTful API를 통해 서비스를 검색(discover), 광고(advertise), 소비(consume) 및 제공할 수 있는 안전한(secure)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1은 5G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의 사용자 단말(2110)이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2100)이다. 도 21의 사용자 단말(2110)은 도 20의 사용자 단말들(2012)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10) 내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UE app)은 지정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Mx2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프록시 서버(212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록시 서버(2120)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라이프 사이클 관리 프록시(user 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proxy)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기능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조회(user application look-up),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생성(application context create),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제거(application context delete),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업데이트(application context update) 또는 알림 이벤트 수신(receiving notification events)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1을 참고하여,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조회 기능을 설명한다. 도 21을 참고하면, 동작 2130에서, 사용자 단말(2110)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프록시 서버(2120)로, 모바일 에지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록시 서버(2120) 및 상기 프록시 서버(2120)를 포함하는 모바일 에지 시스템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110)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다. 동작 2140에서, 프록시 서버(2120)는 사용자 단말(2110) 및/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110)은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로부터 MEC 서버와 관련된 MEC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생성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생성 기능은 사용 가능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의 연결(joining with available user application) 또는 새로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화를 요청하는 프로시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모바일 에지 오케스트레이터(1945)는 모바일 에지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생성을 트리거할 수 있고, 상기 트리거에 의해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게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제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제거 기능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제거를 요청하는 것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요청을 수신한 모바일 에지 오케스트레이터(1945)는 응용 프로그램 컨텍스트의 삭제를 트리거할 수 있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업데이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을 참고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2110)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라이프 사이클 관리 프록시에 대응하는 프록시 서버(2120)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프록시 서버(2120)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컨텍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기능은, 알림 이벤트 수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을 참고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라이프 사이클 관리 프록시(예를 들어, 프록시 서버(2120))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2110)에서 실행되는 상태에서, MEC 레벨의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프록시 서버(2120)는 사용자 단말(2110)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알림 이벤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가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의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각각은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를 휴대한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으로 접근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로 접근함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는 상기 차량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과 관련된 기능(예를 들어, 카-키(car key))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동작 2210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2210은 레인징(ranging)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가 제2 전자 장치(220)로 지정된 포맷(예를 들어, ISO 24730-62에서 일반 프리앰블(normal preamble)의 포맷)을 가지는 신호(예를 들어, RANGING_INITIATION)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전파 시간(time-of-flight, ToF)에 기반하여 상기 신호가 송신되는데 걸린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제1 전자 장치(210)로 식별된 시간을 회신(예를 들어, RANGING_RESPONSE)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Two-way Ranging (TWR)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TWR 방식은, 예를 들어, Single-side TWR (SS-TWR), Double-side TWR (DS-TWR)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가 DS-TWR 방식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모두가 상기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획득된 거리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가 차량 밖에 위치하는 상태(AM(auto mobile) out range state)인지 차량 안에 위치하는 상태(AM in range state)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획득된 거리가 지정된 거리보다 긴 경우, 제1 전자 장치(210)가 차량 밖에 위치하는 상태임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획득된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 제1 전자 장치(210)가 차량 안에 위치하는 상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획득된 거리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가 차량 밖에 위치하는 상태임(AM out range state)을 식별하는 동안, 제1 전자 장치(210)와의 레인징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레인징의 상기 수행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의 상태가 차량 밖에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차량 안에 위치하는 상태(AM in range state)로 전환됨을 식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가 동작 2210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의 거리의 측정 및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의 인증을 수행한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의 문이 열렸을 때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각각이 수행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차량의 문이 열리는 것과 같은 지정된 이벤트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동작 2220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거리를 다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동작 2230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인증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레이인징의 수행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의 상태가 엔진이 켜 있는 차량 내에 위치되는 상태(AM run ENG. state) 또는 주행 중인 차량 내에 위치되는 상태(AM drive state)임을 더 식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센서,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energy, BLE), 와이파이, UWB(ultra-wide band) 또는 V2X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2를 참고하면, 동작 2210에서,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세션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가 세션 정보를 전달하거나, 동기화하거나, 또는 상기 세션 정보에 기반하여 핸드오버(예를 들어, 도 2의 제1 네트워크 연결(240) 및 제2 네트워크 연결(250) 사이의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들이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2300)이다. 도 23의 제1 전자 장치(210),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은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은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음성 통화 및/또는 영상 통화와 관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은 개인 방송과 같이 개인 사용자의 스트리밍 서비스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210)를 이용하여 개인 방송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차량에 탑승한 이후, 상기 사용자는 모뎀 및/또는 SIM을 포함하는 제2 전자 장치(220)에 기반하여 상기 개인 방송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3을 참고하면, 동작 23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는, 예를 들어, 개인 방송과 같은 서비스에 기반하는 세션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카메라 및/또는 마이크로부터 획득된 정보(예를 들어, 도 2의 카메라 모듈(180) 및/또는 센서 모듈(176)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외부 서버(2310)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2310)는 개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외부 서버(2310)는 하나 이상의 제3 전자 장치(230)로, 제1 전자 장치(2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320에 기반하여 개인 방송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제1 전자 장치(210)의 사용자는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에 접근할 수 있다. 동작 2330에서,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거리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UWB에 기반하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UWB를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가 BLE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서로를 탐지한 이후 수행될 수 있다.
동작 2340에서,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동작은 UWB 및/또는 블루투스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동작은 제1 전자 장치(210)의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220)가 포함된 차량의 사용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2330에 기반하여 측정되는 거리가 지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동작 2340에 기반하는 인증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2350에서, 제2 전자 장치(220)는 사용자가 차량 내에 탑승하는 것을 탐지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예를 들어, 도 7, 도 8a 내지 8b의 일 실시예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차량 내에 탑승하는 것을 탐지할 수 있다. 차량 내에 탑승한 사용자를 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 2360에서, 제2 전자 장치(220)는 차량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예를 들어, 프로세서, 모뎀 및/또는 카메라)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2360과 관련된 활성화는, 사용자가 차량 내에 탑승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동작 2370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제2 전자 장치(220)로, 동작 2320의 세션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계정 정보 및/또는 세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도 4의 동작 450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220)로 상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계정 정보는 제1 전자 장치(210)가 외부 서버(231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인증된 계정에 대응할 수 있다. 계정 정보는 계정의 식별자(ID) 및 비밀 번호(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10)의 사용자의 식별자 및 비밀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정보는, 예를 들어, TLS(transport layer security) 스택에 기반하는 세션 및/또는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를 이용하여 TLS로 연결된 세션을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210)와 같은 클라이언트 측의 쿠키 및/또는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서버(2310)와 같은 서버 측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로부터 세션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 2380에서, 제2 전자 장치(220)는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는, 제2 전자 장치(220)에 의해, 동작 2320의 세션을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세션에 기반하는 새로운 세션(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세션)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20)는 도 7의 동작 730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예를 들어, 도 2의 제2 네트워크 연결(250))을 수립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에 동작 2380에서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들이 MEC 장치(241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2400)이다. 도 24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들은 도 2 내지 도 3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4의 MEC 장치(2410)는 도 20의 MEC 호스트(2022)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20)는 제1 전자 장치(210) 및 하나 이상의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에서 수립된 세션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서버(2310)에 연결할 수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동작 2420에서, 제1 전자 장치(210), 외부 서버(2310) 및 제3 전자 장치(230)는 세션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세션은, 예를 들어, 개인 방송과 같은 서비스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세션을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210)에서 획득되는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가 외부 서버(231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230)로 송신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외부 서버(2310) 및 제3 전자 장치(230)가 동작 2420에 기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전자 장치(210)의 사용자는 차량을 포함하는 제2 전자 장치(220)로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220)로 접근함에 따라, 동작 2430에서,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서로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및/또는 서로를 인증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는, 예를 들어, 도 23의 동작 2330 및/또는 동작 2340)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하게 동작 2430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2 전자 장치(220) 사이의 인증 경과에 기반하여, 동작 2440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제2 전자 장치(220)로 동작 2420의 세션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계정 정보 및/또는 세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는, 예를 들어, 도 23의 동작 2370과 유사하게 동작 244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동작 2450에서, 제2 전자 장치(220)는 수신한 세션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20)는 동작 2380과 유사하게 동작 245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46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20)는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서버(2310)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동작 2420의 세션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계정 정보 및/또는 세션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220) 및 외부 서버(2310) 사이의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20)는 IMS/HTTPS 등의 플랫폼/서버에 기반하여 계정 기반 접속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이후, 제2 전자 장치(220)는 외부 서버(2310)로, 제1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전자 장치(210)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20)는 외부 서버(2310)로, 제1 전자 장치(210)에서 수행되는 방송 서비스를 소프트 핸드오버에 기반하여 전환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 핸드오버는 제1 전자 장치(210)에 기반하여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220)에 기반하는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의 송신을 개시하고, 제1 전자 장치(210)에 기반하는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의 송신을 종료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의 전환의 요청을 수신한 외부 서버(2310)는 동작 2420의 세션을 종료하지 않으면서, 제2 전자 장치(220)와 관련된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외부 서버(2310)는 MEC 장치(2410)로, 외부 서버(2310)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예를 들어, 방송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명령(예를 들어, on-board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은 MEC 장치(2410)에 외부 서버(2310)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로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송신될 수 있다. on-board 명령은, MEC 장치(2410) 내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MEC 장치(2410)로 하여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만드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MEC 장치(2410)는 on-board 명령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는 서비스의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470에서, 외부 서버(2310)는 제2 전자 장치(220)로, MEC 장치(2410)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220)는 외부 서버(231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20)와 연결된 네트워크의 사업자(예를 들어, 통신 사업자)로부터 MEC 장치(241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서버(2310)는 제2 전자 장치(220)로, MEC 프록시 서버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MEC 장치(2410)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 2480에서, 제2 전자 장치(220)는 MEC 장치(2410)로 연결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490에서, 제2 전자 장치(220) 및 MEC 장치(2410)는 세션(2420)과 관련된 계정에 기반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495에서, MEC 장치(2410)는 제2 전자 장치(220)를 인증한 결과를 외부 서버(2310)로부터 확인 받을 수 있다. 이후, 동작 2420에 기반한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세션 및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다른 세션의 연결이 동시에 수립될 수 있고, 제3 전자 장치(230)는 제1 전자 장치(210)로부터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제2 전자 장치(220)로부터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이 MEC 장치(241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2500)이다. 도 25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들은 도 2 내지 도 3 및 도 24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5의 MEC 장치(2410)는 도 24의 MEC 장치(2410)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5의 동작들은 도 24의 동작들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25의 동작들은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소프트 핸드오버와 관련될 수 있다.
도 25를 참고하면, 동작 2510에서, 제2 전자 장치(220)는 MEC 장치(2410)로, 차량 내에 포함된 카메라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2510에 기반하는 정보의 송신은 제1 전자 장치(21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20)의 사용자의 확인(예를 들어, 도 6a의 시각 요소(610)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수신한 MEC 장치(2410)는 제2 전자 장치(220)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동작 2515에서, MEC 장치(2410)는 외부 서버(2310)로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차량의 카메라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20)로부터 수신한 차량 내 카메라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EC 장치(2410)는 도 17의 TURN 서버(1740) 및/또는 응용 서버(예를 들어, 개인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외부 서버(2310))로 동작 2510에서 수신한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MEC 장치(24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외부 서버(2310)는 제1 전자 장치(210)로, 동작 2520에서, 제2 전자 장치(220)의 카메라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동작 2525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외부 서버(2310)로 영상을 송신할 카메라를 선택하거나, 또는 제1 전자 장치(210)와 연결된 외부 서버(231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230)의 UI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2530에서, 외부 서버(2310)는, 제3 전자 장치(230)로부터의 요청 및/또는 외부 서버(2310)에 의해 야기되는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의 선택에 응답하여, MEC 장치(2410)로 선택된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전자 장치(230)로부터의 상기 요청은, 제2 전자 장치(220)와 관련된 복수의 카메라들(예: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의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해 제3 전자 장치(230)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또는 제2 전자 장치(220)를 이용하여 지원가능한 복수의 촬영 모드들 중 하나의(a) 촬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제3 전자 장치(230)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230)로부터 외부 서버(231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서버(2310)에 의해 야기되는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의 선택은, 외부 서버(2310)가 외부 서버(2310)에 의해(또는 외부 서버(2310)를 통해) 제공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해 적합한(suitable for)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를 사용자 요청 또는 기계학습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선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택된 카메라는, 제2 전자 장치(220)와 관련된 복수의 카메라들(예: 제2 전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차량의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제3 전자 장치(230)에게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 또는 외부 서버(2310)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촬영 모드는 차량의 외부 영상을 송신하는 모드, 차량의 내부 영상을 송신하는 모드 및/또는 차량의 주변 영상 전체를 파노라마 영상 및/또는 360° 영상으로 제공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535에서, MEC 장치(2410)는 제2 전자 장치(220)로 외부 서버(2310)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540에서, 선택된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를 수신한 제2 전자 장치(220)는 MEC 장치(2410)로, 선택된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에 기반하는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545에서, MEC 장치(2410)는 외부 서버(2310)로, 동작 2540에 기반하여 수신한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550에서, 외부 서버(2310)는 제3 전자 장치(230)로, 동작 2545에 기반하여 수신한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555에서, 상기 비디오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정보와 함께, 외부 서버(2310)는 제3 전자 장치(230)로 제2 전자 장치(220)의 차량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선택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영상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 영상, 전방 영상, 후방 영상 뿐만 아니라, 차량 주변의 파노라마 영상 및/또는 360° 영상)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의 선택을 위한 UI(예를 들어, 도 14b의 UI의 부분(1450)과 같이, 차량 내에 포함된 카메라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라는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21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22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제3 전자 장치(230)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2560에서, 복수의 제3 전자 장치(230) 각각은 외부 서버(2310)로, 제2 전자 장치(220)로부터 서로 다른 촬영 모드 및/또는 카메라의 영상을 송신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2565에서,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서버(2310)는 MEC 장치(2410)로 상기 요청을 전달(relay)할 수 있다. 동작 2570에서, 상기 요청을 수신한 MEC 장치(2410)는 외부 서버(2310)로, 제2 전자 장치(220)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요청과 관련된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2310)로 영상을 송신하기 위하여, MEC 장치(2410)는 동작 2535 및/또는 동작 2540과 같이 제2 전자 장치(220)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EC 장치(2410)가 제2 전자 장치(220)의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처리하여, 복수의 제3 전자 장치(230)들 각각에 대응하는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2575에서, 외부 서버(2310)는 복수의 제3 전자 장치(230) 각각으로, 대응하는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580에서, 외부 서버(2310)는 제1 전자 장치(210)로 제1 전자 장치(210)와 관련된 세션(예를 들어, 도 24의 동작 2420의 세션) 연결을 중단할 것을 알릴 수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이 MEC 장치(241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2600)이다. 도 26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들은 도 2 내지 도 3 및 도 24 내지 도 25의 제1 전자 장치(210) 내지 제3 전자 장치(230)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6의 MEC 장치(2410)는 도 24 내지 도 25의 MEC 장치(2410)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6의 동작들은 도 24의 동작들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6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5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6의 동작들은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소프트 핸드오버와 관련될 수 있다.
도 26을 참고하면, 외부 서버(2310)와 같은 응용 서버 대신에 MEC 장치(2410)가 제3 전자 장치(230)로 제2 전자 장치(220)의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MEC 장치(2410) 및 제3 전자 장치(230)를 직접 연결하기 위하여, 외부 서버(2310)는 제3 전자 장치(230)로 MEC 장치(2410)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6을 참고하면, 동작 2610에서, 외부 서버(2310)는 MEC 장치(2410)로,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세션(예를 들어, 도 24의 동작 2420의 세션)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MEC 장치(2410)가 상기 세션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220) 및 제3 전자 장치(230)를 연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동작 2615에서, 제2 전자 장치(220)는 MEC 장치(2410)로, 차량 내에 포함된 카메라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도 25의 동작 2510과 유사하게 동작 2615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620에서, MEC 장치(2410)는 제1 전자 장치(210)로, 제2 전자 장치(220)의 카메라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MEC 장치(2410)는 도 25의 동작 2520과 유사하게 동작 262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동작 2625에서, 제1 전자 장치(210)는 MEC 장치(2410)로 영상을 송신할 카메라(또는 촬영 모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제1 전자 장치(210)와 연결된 제3 전자 장치(230)의 UI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210)는 도 25의 동작 2525와 유사하게 동작 2625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630에서, 상기 요청을 수신한 MEC 장치(2410)는 외부 서버(2310)로 제1 전자 장치(210)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632에서, 상기 요청을 수신한 MEC 장치(2410)는 제2 전자 장치(220)에게 제1 전자 장치(210)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MEC 장치(2410)가 제2 전자 장치(220)로부터 상기 선택된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에 기반된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함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를 MEC 장치(24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634에서, 제2 전자 장치(220)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 및/또는 촬영 모드에 기반하여,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차량 내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MEC 장치(24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동작 2635에서, 외부 서버(2310)는 제3 전자 장치(230)로 MEC 장치(2410)로 연결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은, MEC 장치(241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MEC 장치(2410)의 IP 주소 및/또는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동작 2640에서, 제3 전자 장치(230)는 MEC 장치(2410)로 제2 전자 장치(220)의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동작 2645에서, MEC 장치(2410)는 제3 전자 장치(230)로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EC 장치(2410)는 제3 전자 장치(230)로 UI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UI의 전환은,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와 관련된 UI를 표시하라는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차량에 기반하여 획득된 영상이 제3 전자 장치(230)로 송신된 이후부터, 제1 전자 장치(210) 및 제3 전자 장치(230) 사이의 세션은 동작 2650 및/또는 동작 2655)에 기반하여 중단되거나 또는 종료될 수 있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700)이다. 도 27의 전자 장치는 도 2, 도 3 및 도 5의 제2 전자 장치(2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7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도 3 및 도 5의 제2 전자 장치(220) 및/또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220)의 프로세서(12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7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3, 도 7 및/또는 도 9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7을 참고하면, 동작 27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의 제1 전자 장치(210)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7의 동작 710과 유사하게 동작 271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예를 들어, 도 2의 통신 모듈(190-1))을 통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에 포함된 통신 모듈은,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UWB(ultra wide band)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BLE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지정된 거리 이상의 지정된 제2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제2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페어링(pairing)과 같이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may initiates).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27을 참고하면, 동작 27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은, 예를 들어, 도 2의 제3 네트워크 연결(260)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식별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은 BT 및/또는 UWB에 기반하는 네트워크 연결일 수 있다.
도 27을 참고하면, 동작 27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생체 정보 및/또는 계정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와 일치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2710 이전에 전자 장치에 등록된 생체 정보 및/또는 계정 정보 및 동작 2720의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한 생체 정보 및/또는 계정 정보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하거나, 또는 판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동작 2730-아니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와 일치하는 경우(동작 2730-예), 동작 27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 마이크, 카메라 또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may enable).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스피커, 마이크,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 상기 카메라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가 포함된 차량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는 도 10a의 디스플레이(1000)에 대응할 수 있다. 활성화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및/또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켜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을 참고하면, 동작 27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 및 외부 서버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연결은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도 2의 제1 네트워크 연결(240)에 관한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7의 동작 720과 유사하게 동작 275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는 도 15의 서버(1570), 도 23 내지 도 26의 외부 서버(23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는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는 방송 송출 서버 및 5G 이동통신 네트워크 MEC(mobile edge computing)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MEC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5의 MEC(1540), 도 20의 MEC 호스트(2022) 및/또는 도 24 내지 도 26의 MEC 장치(24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7을 참고하면, 동작 276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서버와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제3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은, 예를 들어, 도 2의 제2 네트워크 연결(250)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작 2750에 따라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제3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의 식별자(예를 들어, 세션 ID)와 관련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서버가 방송 송출 서버인 경우, 전자 장치는 방송 송출 서버로, 동작 2740에서 활성화된 카메라의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에 사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상기 외부 서버와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방송 송출 서버와 연결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방송 송출 서버로부터 MEC 서버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MEC 서버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는 MEC 서버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MEC 서버와,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방송 송출 서버의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획득 및 인증, 사용자로부터 ID 및/또는 비밀 번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을 참고하면, 동작 277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서버로, 전자 장치의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이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 또는 통신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상기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 또는 통신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자 장치 및/또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서 획득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 및/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0a 내지 도 10f의 디스플레이(1000) 내에 표시되는 UI와 같이, 전자 장치 및/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도 9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하게 동작 277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MEC 서버로, 전자 장치의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800)이다. 도 28의 전자 장치는 도 2, 도 3 및 도 5의 제1 전자 장치(2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8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도 3 및 도 5의 제1 전자 장치(210) 및/또는 도 2의 제1 전자 장치(21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8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3 내지 도 4 및/또는 도 27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8을 참고하면, 동작 28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서버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는 도 15의 서버(1570), 도 23 내지 도 26의 외부 서버(23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는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는 방송 송출 서버 및 5G 이동통신 네트워크 MEC(mobile edge computing)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MEC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5의 MEC(1540), 도 20의 MEC 호스트(2022) 및/또는 도 24 내지 도 26의 MEC 장치(24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외부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 및/또는 개인 방송 서비스와 같이 대용량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 또는 통신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할 수 있다.
도 28을 참고하면, 동작 28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작 2810의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외부 서버와 구별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의 제2 전자 장치(220)에 대응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동작 2820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는 것은, 예를 들어, 도 27의 동작 2710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및/또는 UWB(ultra wide band)에 기반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상기 BLE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지정된 거리 이상의 지정된 제2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제2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페어링과 같이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28을 참고하면, 동작 28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식별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은, 예를 들어, 도 2의 제3 네트워크 연결(260)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카메라 정보를,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에(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할 수 있다.
도 28을 참고하면, 동작 28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작 2830의 제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동작 2830 및/또는 동작 2840을 수행하는 것은, 외부 전자 장치가 도 27의 동작 2720 및/또는 동작 2730을 수행하는 것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동작 2840-아니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서비스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와 일치하는 경우(동작 2840-예), 동작 28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한 이후, 제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연결은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구별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연결은, 예를 들어, 도 2의 제1 네트워크 연결(240)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는, 도 27의 동작 2750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도 28을 참고하면, 동작 286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비스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비스를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6a의 시각 요소(610)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서비스를 전환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시각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은 시각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스쳐(예를 들어, 클릭, 더블-클릭, 탭, 더블-탭) 또는 음성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동작 2860-아니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동작 2860-예), 동작 287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고 외부 서버 및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작 2860의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고 외부 서버 및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은, 외부 전자 장치 및 외부 서버 사이에서 수립될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로 전자 장치 및 외부 서버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서비스를 전환하라는 요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이 수립된 이후, 전자 장치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종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요청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 및 외부 서버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던 서비스가, 외부 전자 장치 및 외부 서버 사이의 제3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계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의 제1 전자 장치(210))는 통신 회로(예, 도 1 내지 도 2의 통신 모듈(190)), 디스플레이(예, 도 1 내지 도 2의 의 표시 장치(160)), 메모리(예, 도 1 내지 도 2의 메모리(130)) 및 상기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 내지 도 2의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3 전자 장치(230)) 및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예, 도 1의 제1 네트워크 연결(240))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되는 상태에서(in a state maintaining),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20))를 식별하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I를 표시하고, 상기 UI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예, 제2 네트워크 연결(250))을 수립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예, 도 2의 카메라 모듈(18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이용하는 비디오 통화와 관련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쳐되고 있는(being captured) 제1 영상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영상을 송신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수신된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 상기 제1 영상의 시간 정보, 또는 상기 제2 영상의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지정된 거리 미만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방사되는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으로 진입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entering into the vehicle)를 식별하고, 상기 차량으로 진입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고 UWB(ultra-wide band) 또는 BLE(bluetooth low-energy)에 기반하는 상기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으로 진입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과 관련된 UI의 표시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중단하라는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may terminates).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의 제2 전자 장치(22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예, 도 2의 통신 모듈(190-1)), 스피커, 마이크, 카메라(예, 도 2의 카메라 모듈(180-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표시 장치(160-1)),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1))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1))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1 전자 장치(210))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연결(예, 도 2의 제3 네트워크 연결(260))을 수립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구별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예, 도 2의 제1 네트워크 연결(24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예, 도 2의 제3 전자 장치(230), 도 23 내지 도 26의 외부 서버(2310))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제3 네트워크 연결(예, 도 제2의 제2 네트워크 연결(250))을 수립하고,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정보를 송신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UWB(ultra wide band)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BLE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상의 지정된 제2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 또는 통신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는 방송 송출 서버 및 MEC(mobile edge computing)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방송 송출 서버로, 상기 카메라 정보의 송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방송 송출 서버로부터 상기 MEC 서버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MEC 서버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MEC 서버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MEC 서버와,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의 제1 전자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예, 도 1 내지 도 2의 통신 모듈(190)),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1 내지 도 2의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도 1 내지 도 2의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예, 도 2의 제3 전자 장치(230), 도 23 내지 도 26의 외부 서버(2310))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제1 네트워크 연결(예, 제1 네트워크 연결(240))을 수립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서버와 구별되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20))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연결(예, 도 2의 제3 네트워크 연결(260))을 수립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한 이후,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비스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고 상기 외부 서버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제3 네트워크 연결(예, 제2 네트워크 연결(250))의 수립을 요청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및/또는 UWB(ultra wide band)에 기반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BLE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상의 지정된 제2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 또는 통신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카메라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종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에 있어서,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되는 상태에서(in a state maintaining),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구별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I를 표시하고,
    상기 UI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이용하는 비디오 통화와 관련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쳐되고 있는(being captured) 제1 영상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영상을 송신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수신된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자, 상기 제1 영상의 시간 정보, 또는 상기 제2 영상의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지정된 거리 미만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방사되는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으로 진입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entering into the vehicle)를 식별하고,
    상기 차량으로 진입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UI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고 UWB(ultra-wide band) 또는 BLE(bluetooth low-energy)에 기반하는 상기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으로 진입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과 관련된 UI의 표시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중단하라는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하는(terminating)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스피커;
    마이크;
    카메라;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구별되는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는 제3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UWB(ultra wide band)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BLE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상의 지정된 제2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 또는 통신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게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는 방송 송출 서버 및 MEC(mobile edge computing)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방송 송출 서버로,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된 정보의 송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요청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방송 송출 서버로부터 상기 MEC 서버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MEC 서버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MEC 서버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MEC 서버와,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서버와 구별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한 이후,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비스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기반하고 상기 외부 서버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요청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및/또는 UWB(ultra wide band)에 기반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BLE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상의 지정된 제2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BT 또는 상기 UWB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임을 식별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 또는 통신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네트워크 연결의 수립을 요청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카메라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종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KR1020190063823A 2019-05-30 2019-05-30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3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823A KR102631541B1 (ko) 2019-05-30 2019-05-30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6/889,148 US11166333B2 (en) 2019-05-30 2020-06-0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network connection between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EP20813634.1A EP3939342B1 (en) 2019-05-30 2020-06-01 Electronic device for switching network connection between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PCT/KR2020/007076 WO2020242273A1 (en) 2019-05-30 2020-06-0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network connection between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823A KR102631541B1 (ko) 2019-05-30 2019-05-30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511A true KR20200138511A (ko) 2020-12-10
KR102631541B1 KR102631541B1 (ko) 2024-02-01

Family

ID=7355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823A KR102631541B1 (ko) 2019-05-30 2019-05-30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66333B2 (ko)
EP (1) EP3939342B1 (ko)
KR (1) KR102631541B1 (ko)
WO (1) WO20202422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488A1 (ko) * 2021-10-18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Uwb 통신 채널을 통한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휴대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8797B2 (ja) 2014-05-30 2018-05-23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1つのデバイスの使用から別のデバイスの使用への移行
DK201670622A1 (en) 2016-06-12 2018-02-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nsactions
DK180130B1 (da) 2018-05-07 2020-06-02 Apple Inc. Multi-participant liv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KR20240049648A (ko) 2019-05-31 2024-04-16 애플 인크. 오디오 미디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1026279B1 (en) * 2019-11-20 2021-06-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nabled peer-to-peer communication using multi-access edge computing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US20220201434A1 (en) * 2020-12-18 2022-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age extension for device localization through collaborative ranging
US11462096B1 (en) * 2021-04-28 2022-10-04 Qualcomm Incorporated High capability switch movement for automotive modems
US11893214B2 (en) 2021-05-15 2024-02-06 Apple Inc. Real-tim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US11449188B1 (en) 2021-05-15 2022-09-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907605B2 (en) 2021-05-15 2024-02-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847378B2 (en) 2021-06-06 2023-12-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routing
KR20240038080A (ko) * 2021-07-28 2024-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광대역 시스템들에서 향상된 구성 및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11812135B2 (en) 2021-09-24 2023-11-07 Apple Inc. Wide angle video conference
DE102021128351A1 (de) 2021-10-29 2023-05-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uern eines Diensts an Bord eines Fahrzeugs
US20230155968A1 (en) * 2021-11-15 2023-05-18 Micron Technology, Inc. Sharing externally captured content in communications
CN114356272B (zh) * 2022-03-17 2022-08-23 北京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系统
WO2023196231A1 (en) * 2022-04-04 2023-10-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mera shari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4840A1 (en) * 2000-09-12 2003-12-04 Bernard Frank Communications device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setting up a call diversion
US20110164106A1 (en) * 2010-01-05 2011-07-07 Kim Minhyoung Method for connecting video communication to other devic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50146091A (ko) * 2014-06-20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70237986A1 (en) * 2016-02-11 2017-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US20170303326A1 (en) * 2014-09-02 2017-10-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evice by using bluetooth low energy (le) technology
EP2798779B1 (en) * 2012-02-20 2018-04-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ferring of communication event
US20180183855A1 (en) * 2016-12-28 2018-06-28 Intel Corporation Application computation offloading for mobile edge comput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7284B2 (en) * 2001-10-04 2015-03-10 Traxcell Technologies, LLC Machine for providing a dynamic data base of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WO2011056046A2 (en) 2009-11-09 2011-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to support single radio video call continuity during handover
US9571955B1 (en) * 2015-07-23 2017-02-14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to transfer operations between mobile and portable devices
KR20170061489A (ko) * 2015-11-26 2017-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이의 운송 기기 제어 방법
KR102269320B1 (ko) * 2017-04-28 2021-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근접 디스커버리 방법
KR102324964B1 (ko) * 2017-06-01 2021-1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입력 장치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7135385B2 (ja) * 2018-03-30 2022-09-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と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4840A1 (en) * 2000-09-12 2003-12-04 Bernard Frank Communications device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setting up a call diversion
US20110164106A1 (en) * 2010-01-05 2011-07-07 Kim Minhyoung Method for connecting video communication to other devic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10080375A (ko) * 2010-01-05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화 연결 방법, 그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EP2798779B1 (en) * 2012-02-20 2018-04-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ferring of communication event
KR20150146091A (ko) * 2014-06-20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70303326A1 (en) * 2014-09-02 2017-10-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evice by using bluetooth low energy (le) technology
US20170237986A1 (en) * 2016-02-11 2017-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US20180183855A1 (en) * 2016-12-28 2018-06-28 Intel Corporation Application computation offloading for mobile edge compu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488A1 (ko) * 2021-10-18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Uwb 통신 채널을 통한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휴대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83157A1 (en) 2020-12-03
WO2020242273A1 (en) 2020-12-03
EP3939342B1 (en) 2024-04-17
EP3939342A4 (en) 2022-04-27
KR102631541B1 (ko) 2024-02-01
EP3939342A1 (en) 2022-01-19
US11166333B2 (en)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541B1 (ko)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U2018421189B2 (en) Method for quickly opening application or application function, and terminal
CN108888959B (zh) 虚拟场景中的组队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60162259A1 (en) External visual interactions for speech-based devices
US20210204127A1 (en) Image Sharing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113502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evice connection
US20220308724A1 (en) Image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9445577B (zh) 虚拟房间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597455B (zh) 社交关系的建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866140B (zh) 融合管理设备、管理系统、服务调用方法及介质
CN111400610B (zh) 车载社交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CN110102063B (zh) 标识绑定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10704324B (zh) 应用调试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206781B (zh) 客户端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1078215A1 (zh) 一种云游戏跨终端切换的方法和相关装置
CN111510482B (zh) 失败网络请求的确定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8837509B (zh) 配置虚拟场景的设置参数的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181915B (zh) 执行业务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1130985B (zh) 关联关系建立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KR20160011419A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그리고, 제어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CN114270898A (zh) 电子装置和通过电子装置提供服务的方法
CN111314205B (zh) 即时通信匹配的方法、装置、系统、设备以及存储介质
CN115708372A (zh) 车辆位置分享方法、系统、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546188B (zh) 基于互动界面的互动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21083313A1 (zh) 一种解锁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