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390A -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390A
KR20200138390A KR1020207031769A KR20207031769A KR20200138390A KR 20200138390 A KR20200138390 A KR 20200138390A KR 1020207031769 A KR1020207031769 A KR 1020207031769A KR 20207031769 A KR20207031769 A KR 20207031769A KR 20200138390 A KR20200138390 A KR 20200138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csi
priority
transmission resource
qc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747B1 (ko
Inventor
유 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를 제공하며,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빔 실패에 대한 구성 방법 및 단말을 제공한다. 송신단의 통신 기기에 응용되는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은: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Description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4월 4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 201810301846.7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 / LTE의 어드밴스드(LTE-Advanced, LTE-A) 등 무선 액세스 기술 표준은 모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 직교 주파수 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기술을 기초로 구축한 것이다. 그 중, MIMO 기술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이 획득할 수 있는 공간 자유도를 이용하여 높은 피크 레이트 및 시스템 스펙트럼 이용 효율을 높인다.
표준화 발전 과정에서 MIMO 기술의 차원이 끊임없이 확장하고 있다. LTE Rel-8에서 가장 많아서 4층의 MIMO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Rel-9에서 다중 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기술을 증강하여,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 TM)-8의 MU-MIMO(Multi-User MIMO) 전송에서는 가장 많아서 4개의 다운링크 데이터층을 지원할 수 있다. Rel-10에서 단일 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Single-User MIMO, SU-MIMO)의 전송 능력을 가장 많아서 8개의 데이터층으로 확장하였다.
업계에서 현재 진일보로 MIMO 기술을 3차원(Three Dimensions, 3D)화 및 대규모화의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재 제3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rtnership Project, 3GPP)는 이미 3D 채널 모델링의 연구항목을 완성하였고, eFD-MIMO 및 엔알(New Radio, NR) MIMO의 연구와 표준화 작업을 전개하고 있다. 미래의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더 큰 규모, 더 많은 안테나 포트의 MIMO 기술이 인입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대규모(massive) MIMO 기술은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시스템 스펙트럼 이용 효율을 극대적으로 향상시켜, 더 많은 수량의 액세스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연구조직에서는 massive MIMO 기술을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중에서 가장 잠재력 있는 물리층 기술 중의 하나로 간주하고 있다.
Massive MIMO 기술에서, 만약 전 디지털 어레이를 사용한다면 최대화의 공간 해상도 및 최적화의 MU-MIMO 성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조는 대량의 디지털 아날로그(DA)/아날로그 디지털(AD) 변환기와 대량의 완전한 무선 주파수 - 베이스밴드 처리 채널이 필요되기에, 기기 비용뿐만 아니라 베이스밴드 처리 복잡도 방면에서도 큰 부담을 갖게 된다.
상술된 실현 비용 및 기기 복잡도를 피면하기 위해, 디지털 아날로그 빔 형성 기술이 생성되였다. 즉 종래의 디지털 도메인 빔 형성을 기반으로, 안테나 시스템 근처의 앞단에 무선 주파수 신호 상에 1급의 빔 형성을 증가시킨다. 아날로그 형성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통해 송신 신호와 채널이 대략적인 매치를 구현할 수 있다. 아날로그 형성 후에 형성되는 등가 채널의 차원은 실제 안테나 수량보다 작기에, 그 후에 필요되는 AD/DA 변환기, 디지털 채널의 수, 및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처리의 복잡도가 많이 감소될 수 있다. 아날로그 형성 부분의 잔류 간섭은 디지털 도메인에서 다시 한번 처리될 수 있어서 MU-MIMO 전송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전 디지털 빔 형성에 비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혼합 빔 형성은 성능과 복잡도의 절충방안이며, 고 주파수 큰 대역폭 또는 안테나 수가 상당히 큰 시스템에서 높은 실용 전망을 가지고 있다.
상관 기술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서 적어도 두 개의 채널 및 신호가 송신되고, 고주파 시스템에서(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시스템) 송신단은 상관 기술에 따라 이러한 채널 및 신호의 QCL 정보를 확정하며, 예컨대 TCI 상태가 지시한 채널 또는 신호의 스페이스 타임 빈도 파라미터, 수신단은 이러한 파라미터에 따라 수신을 진행한다. 상관기술에는 동일한 심볼에서 적어도 두개의 채널 및 신호가 멀티플렉싱될 수 있는지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는 규칙과 어떻게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았기에, 기지국과 단말이 전송된 채널 또는 신호의 상관 파라미터에 대한 이해가 일치하지 않아, 채널 또는 신호가 정확하게 수신될 수 없게 된다.
본 개시는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를 제공하며, 기지국과 단말이 전송한 채널 또는 신호의 관련 파라미터에 대하여 이해가 불일치하여 채널 또는 신호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하기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송신단의 통신 기기에 응용되는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수신단의 통신 기기에 응용되는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송신단에 응용되는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기기는,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수신단에 응용되는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기기는,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에 따른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에 따른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기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상기 방안에서, 적어도 두개의 채널 및 신호가 전송 대기일 경우, 채널 및 신호의 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고, 본 개시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통해 채널 및 신호의 정확한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단의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의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단의 통신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의 통신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기기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구성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개시의 설명과 청구항에서 "제1", "제2" 등은 특정 순서의 설명 또는 순차적인 순서를 설명하는것이 아니고,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사용된 데이터는 적절한 경우 교체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내용 또는 설명한 내용 이외의 순서를 포함할 수 있게 한다. 이외,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4G 이후의 차세대 통신 시스템 연구에서, 시스템이 지원한 작업 대역을 6GHz 이상, 최고로 약 100GHz까지 향상하였다. 높은 주파수 대역은 비교적 풍부한 유휴 주파수 자원을 가지며, 데이터 전송을 위해 보다 큰 처리량을 제공할 수 있다. 현재 3GPP는 고주파 채널 모델링 작업을 완성하였고, 고주파 신호는 파장이 짧고, 저 주파에 비해, 같은 크기의 패널 상에 보다 많은 안테나 어레이들을 배열할 수 있고, 빔 형성 기술에 의해 지향성이 보다 강하고, 로브가 보다 좁은 빔을 형성한다. 따라서, 대규모 안테나와 고주파 통신을 결합하는 것은 미래의 경향들 중 하나이다.
빔 측정 및 리포팅(beam measurement and beam reporting)에 관하여, 아날로그 빔 형성은 전대역방사이고, 각 고주파 안테나 어레이 패널의 폴라리제이션 방향의 어레이 엘리먼트는 시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으로만 아날로그 빔을 전송할 수 있다. 아날로그 빔의 형성 가중치는 고주파 전단부의 페이저 등 기기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실현된다.
현재 학계와 산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폴링의 방식을 통해 아날로그 빔 벡터의 트레이닝을 진행하며, 즉 각 안테나 패널의 각 폴라리제이션 방향의 어레이 엘리먼트는 시분할 멀티플렉싱의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약정한 시간에 트레이닝 신호 (즉, 후보 형성 벡터)를 전송하고, 단말은 측정한 후 빔 리포트를 피드백하여, 네트워크 측이 다음 번에 서비스를 전송할 때 해당 트레이닝 신호를 채용하여 아날로그 빔 송신을 실현하도록 한다. 빔 리포트의 내용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최적화한 송신 빔 식별자 및 측정된 각 송신 빔에 대한 수신 전력을 포함한다.
빔 인디케이션(beam indication) 메커니즘에 관하여, 관련 기술에서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에 전송 구성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CI) 상태와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의 대응 관계를 설정한다.
TCI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의 준-코-로케이션(Quasi-colocation, QCL) 지시에 사용될 때, 네트워크 측 기기는 각 CORESET에 K개의 TCI 상태(state)를 배치하고, K>1일 경우, 미디어 액세스 제어 (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가 1개의 TCI 상태를지시하고, K=1일 경우, 추가의 MAC CE 시그널링이 필요 없다. UE가 CORESET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CORESET 내의 모든 검색 공간(search space)에 대해 동일한 TCI state를 사용한다. 해당 TCI 상태의 대응하는 RS 세트(set) 중의 RS 자원(resource)(예컨대 주기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 reference signal, CSI-RS) resource, 반지속 CSI-RS resource, SS block 등)과 UE-특정(Specific) PDCCH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포트는 공간 QCL이다. UE는 해당 TCI 상태에 따라 어느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하는지를 알 수 있다.
TCI가 PDSCH의 QCL 지시에 사용되는 경우, 네트워크는 2N개의 TCI state를 활성화시킨 후,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N-bit TCI 필드(field)를 통해 TCI 상태를 통지한다. 해당 TCI 상태에 대응하는 RS set 중의 RS resource와 스케줄링할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의 DMRS 포트는 QCL이다. UE는 해당 TCI 상태에 따라 어느 수신 빔을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하는지를 알 수 있다. DCI에 TCI field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두가지 경우에 대하여, 스케줄링 오프셋 scheduling offset <=k(scheduling offset은 DCI를 수신한 것으로 부터 해당 DCI가 효력 발생하기 까지의 시간 간격)일 경우, PDSCH의 QCL은 디폴트(default) TCI state를 사용하고, 해당 default TCI state는 위치하고 있는 슬롯(slot) 중에서 가장 작은 ID를 가지고 있는 CORESET의 TCI state이다.
PDCCH와 PDSCH의 초기 TCI state에 대하여, 초기 RRC 구성 및 MAC CE가 TCI state를 활성화하는 지간에, PDCCH DMRS및 PDSCH DMRS는 초기 액세스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와 공간 QCL이다.
TCI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QCL 지시에 사용되는 경우,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PUCCH 빔 지시를 진행한다. 사용된 RRC 파라미터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공간 관계 정보(PUCCH-Spatial-relation-info)이고, 해당 RRC 구성은 per PUCCH resource이며, 배치한 PUCCH beam 정보는 SSB ID 또는 CSI-RS 자원 지시(CSI-RS Resource Indicator, CRI) 또는 SRS 자원 지시(SRS Resource Indicator, SRI) 와 연관되는 것이다. PUCCH-Spatial-relation-info에 여러개의 기록(entry)을 포함하는 경우, MAC-CE를 사용하여 PUCCH resource 및 PUCCH-Spatial-relation-info의 하나의 entry의 공간 관계 정보(spatial relation information)를 지시한다. PUCCH-Spatial-relation-info에 단 한개의 Spatial Relation info IE만을 포함할 때, UE는 해당 구성의 Spatial Relation Info를 응용하고, MAC-CE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TCI가 CSI-RS의 QCL 지시에 사용되는 경우, 소스(Source) RS와 목표 (Target) RS는: SSB → 주기 CSI-RS(Periodic CSI-RS, P-CSI-RS)/반지속 CSI-RS(Semi- Persistent CSI-RS, SP-CSI-RS), P-CSI-RS → P-CSI-RS, SSB/P-CSI-RS/SP-CSI-RS → 비 주기 CSI-RS(Aperiodic CSI-RS, AP-CSI-RS)일 수 있다. 두개의 CSI-RS 사이에는 QCL 가 아닌 것을 묵인한다. 그 중, SP-CSI-RS는 RRC가 SP-CSI-RS resource(s)를 배치하고, MAC-CE에 의해 활성화/비활성화되며, MAC-CE가 활성화를 진행할 때, SP-CSI-RS의 QCL도 지시하여야 한다. AP-CSI-RS에 대하여, RRC가 AP-CSI-RS resource의 QCL을 배치하고, DCI를 사용하여 AP-CSI-RS를 트리거한다.
TCI가 탐측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의 QCL 지시에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SRS resource 또는 다운링크(Downnlik, DL) RS를 사용하여 지시하며, DL RS는 적어도 CSI-RS 및 SSB를 포함한다. target RS가 P-SRS일 경우,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배치하고, target RS가 SP-SRS일 경우 RRC + MAC-CE를 사용하여 배치하며, target RS가 AP-SRS일 경우, RRC 또는 RRC + MAC-CE를 사용하여 배치하며 DCI를 이용하여 지시한다.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서 적어도 두 개의 채널 및 신호가 송신되고, 고주파 시스템에서(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시스템) 송신단은 상관 기술에 따라 이러한 채널 및 신호의 QCL 정보를 확정하며, 예컨대 TCI 상태가 지시한 채널 또는 신호의 스페이스 타임 빈도 파라미터, 수신단은 이러한 파라미터에 따라 수신을 진행한다. 상관기술에는 동일한 심볼에 적어도 두개의 채널 및 신호가 멀티플렉싱될 수 있는지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는 규칙과 어떻게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았기에, 기지국과 단말이 전송된 채널 또는 신호의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이해가 일치하지 않아, 채널 또는 신호가 정확하게 수신될 수 없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들에 대한 것으로서,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를 제공하여, 송신단 및 수신단의 통신 기기가 전송할 채널 및 신호의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이해가 일치하게 하여 채널 및 신호의 정확한 전송을 실현한다.
본 개시 실시예는 송신단에 응용되는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송신단에 응용되는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계 101: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101)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개의 채널 및 신호가 전송 대기일 경우, 채널 및 신호의 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고, 본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통해 송신단과 수신단의 통신 기기가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의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이해가 일치하게 하여, 예컨대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지, 및 사용한 QCL 정보를 확정함으로서, 채널 및 신호의 정확한 전송을 실현한다.
그 중, 상기 신호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포함한다.
상기 QCL 정보는 타입 A, 타입 B 및 타입 C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방법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QCL 정보는 타입 D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방법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이미 확정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동일한 심볼에서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고,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고, 배치 및 지시한 것이 동일한 공간 QCL 정보일 경우, 동일한 공간 QCL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멀티플렉싱 방식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FDM)일 수 있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 하였지만, 배치 및 지시한 것이 상이한 공간 QCL 정보일 경우,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는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고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동시에 전송하거나, 또는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만 전송하고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는 전송하지 않는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지 못할 경우, 이런 채널 및 신호는 각자의 구성 및 지시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을 진행한다. 또한, 송신단은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만 송신하고,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이미 확정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동일한 심볼에서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동일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상이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다.
방식 A: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미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B: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C: 적어도 두개의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최근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이 가장 높다.
방식 D: 상이한 셀의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세컨더리 셀(S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E: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우선급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DSCH의 우선급은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F: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우선급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UCCH의 우선급은 탐측 참고 신호(SRS)의 우선급보다 높다.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첫번째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기타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설정한다.
적어도 두가지의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여야할 경우, 상기 여러개의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하여 우선급을 판단할 수 있다. 여러개의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할 경우, 선택한 우선급 판단 방식의 사용 순서를 임의로 배열하여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을 확정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하는지 여부 및 사용한 QCL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급 판단 방식A 및 우선급 판단 방식B를 사용할 경우, 먼저 우선급 판단 방식A를 사용하여 전송할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의 우선급을 판단하고, 우선급 판단 방식A에 따라 우선급을 판단할 수 없는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에 대하여, 우선급 판단 방식B에 따라 확정한다. 만약 모든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한 후, 여전히 우선급이 동일한 여러개의 채널 또는 신호가 존재할 경우, 모든 채널 및 신호의 우선급이 확정될 때 까지 그들의 우선급을 임의로 확정한다.
상기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동기화 신호 블록(SSB), 주기 CSI-RS, 반 지속 CSI-RS, 주기 SRS, 반 지속 SRS, PDCCH, PUC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DS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비주기 CSI-RS, 비주기 SRS, 동태 스케줄링한 PDSCH, 동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두개의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할 경우, 상기 송신단의 통신 기기는 한 시각에 하나의 빔만 송신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다운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SSB 및 PDSCH;
CSI-RS 및 PDSCH;
PDCCH 및 PDSCH;
CSI-RS 및 PDCCH;
CSI-RS 및 SSB;
PDCCH 및 PDCCH;
CSI-RS 및 CSI-RS:
PDSCH 및 PDSCH;
무선 자원 관리(RRM)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RS) 및 기타 채널 또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업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PUCCH 및 PUCCH;
PUSCH 및 PUSCH;
SRS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다운링크에 응용될 경우, 송신단은 네트워크 측 기기이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업링크에 응용될 경우, 송신단은 사용자 기기이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수신단의 통신 기기에 응용되는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을 더 제공하며, 도 2에 도신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계 201: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201)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개의 채널 및 신호가 전송 대기일 경우, 채널 및 신호의 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고, 본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통해 송신단과 수신단의 통신 기기가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의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이해가 일치하게 하여, 예컨대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지, 및 사용한 QCL 정보를 확정함으로서, 채널 및 신호의 정확한 전송을 실현한다.
상기 신호는 RS를 포함한다.
상기 QCL 정보는 타입 A, 타입 B 및 타입 C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방법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QCL 정보는 타입 D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방법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이미 확정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동일한 심볼에서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고,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고, 배치 및 지시한 것이 동일한 공간 QCL 정보일 경우, 동일한 공간 QCL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멀티플렉싱 방식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일 수 있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였지만, 배치 및 지시한 것이 상이한 공간 QCL 정보일 경우,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는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고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동시에 전송하거나, 또는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만 전송하고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는 전송하지 않는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지 못할 경우, 이런 채널 및 신호는 각자의 구성 및 지시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을 진행한다. 또한, 수신단은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만 수신하고,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이미 확정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동일한 심볼에서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동일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상이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다.
방식 A: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미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B: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C: 적어도 두개의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최근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이 가장 높다.
방식 D: 상이한 셀의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세컨더리 셀(S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E: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우선급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DSCH의 우선급은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F: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우선급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UCCH의 우선급은 탐측 참고 신호(SRS)의 우선급보다 높다.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첫번째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기타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설정한다.
적어도 두가지의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여야할 경우, 상기 여러개의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하여 우선급을 판단할 수 있다. 여러개의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할 경우, 선택한 우선급 판단 방식의 사용 순서를 임의로 배열하여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을 확정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하는지 여부 및 사용한 QCL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급 판단 방식A 및 우선급 판단 방식B를 사용할 경우, 먼저 우선급 판단 방식A를 사용하여 전송할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의 우선급을 판단하고, 우선급 판단 방식A에 따라 우선급을 판단할 수 없는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에 대하여, 우선급 판단 방식B에 따라 확정한다. 만약 모든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한 후, 여전히 우선급이 동일한 여러개의 채널 또는 신호가 존재할 경우, 모든 채널 및 신호의 우선급이 확정될 때 까지 그들의 우선급을 임의로 확정한다.
상기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동기화 신호 블록(SSB), 주기 CSI-RS, 반 지속 CSI-RS, 주기 SRS, 반 지속 SRS, PDCCH, PUC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DS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비주기 CSI-RS, 비주기 SRS, 동태 스케줄링한 PDSCH, 동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두개의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할 경우, 상기 송신단의 통신 기기는 한 시각에 하나의 빔만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다운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SSB 및 PDSCH;
CSI-RS 및 PDSCH;
PDCCH 및 PDSCH;
CSI-RS 및 PDCCH;
CSI-RS 및 SSB;
PDCCH 및 PDCCH;
CSI-RS 및 CSI-RS:
PDSCH 및 PDSCH;
무선 자원 관리(RRM)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RS) 및 기타 채널 또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업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PUCCH 및 PUCCH;
PUSCH 및 PUSCH;
SRS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다운링크에 응용될 경우, 수신단은 사용자 기기이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업링크에 응용될 경우, 수신단은 네트워크 측 기기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본 개시의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소개한다.
본 실시방식은 다운링크 중에서, 동일한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또는 동일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상의 상이한 채널 및 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는지 및 사용한 QCL 정보를 규정한다.
동일한OFDM 심볼 중의 채널 또는 신호 동일한 CC 또는 동일한 BWP
SSB + PDSCH (1)QCL type A、QCL type B、QCL type C의QCL정보에 대하여
a) 스케줄링 오프셋 (scheduling offset,즉DCI를 수신한 것과 해당 DCI가 스케줄링한 PDSCH를 수신하는 것 간의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해당 도어 임계치는 프로토콜에서 약속하거나 네트워크 측 기기에서 설정할 수 있음)보다 작을 경우,
i.PDSCH는 디폴트 TCI상태가 지시한 QCL 정보를 사용한다. (즉 미리 설정한 ID의 CORESET상의 PDCCH의 QCL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TCI 상태가 지시하는 대응되는 유형의 QCL 정보. 상기 미리 설정한 ID의 CORESET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CORESET상에 상기 단말을 위하여 설정한 검색 공간의 슬롯 중 가장 작은 ID를 가진 CORESET이다).
b)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i.PDSCH는 해당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대응되는 유형의 QCL 정보를 사용한다.
(2)QCL type D의 QCL 정보에 대하여 (공간 수신 파라미터)
a) 네트워크 측 기기는 SSB 및 PDSCH를 동일한 심볼에 배치 및 지시할 수 있으며, 공간적으로 QCL이다.
b) SSB와 PDSCH가 공간적으로 QCL가 아닐 경우,
i. 만약 해당 SSB는 CORESET 0와 관련되거나, 또는 기타 임의의 CORESET와 관련되거나, 또는 초기 액세스 과정 중 UE가 측정한 최적화의 SSB, 또는 MAC CE가 활성화한 TCI 상태가 지시한 SSB, 또는 CSI-RS 자원과 관련된 SSB이라면,
1.UE는 SSB를 수신하고, PDSCH를 수신하지 않는다;
2.또는, UE는PDSCH를 수신하고, SSB를 수신하지 않는다;
3.또는, PDSCH는SSB와 동일한 공간 QCL정보를 사용한다.
ii.만약 i에서 서술한 SSB가 아니라면,
1.UE는 PDSCH를 수신하고,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PDSCH는 디폴트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고,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PDSCH는 해당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대응되는 유형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CSI-RS + PDSCH (1)QCL type A、QCL type B、QCL type C의QCL정보에 대하여,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PDSCH는 디폴트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고,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PDSCH는 해당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대응되는 유형의 QCL 정보를 사용한다.
(2)QCL type D의 QCL 정보에 대하여 (공간 수신 파라미터)
a) 빔 관리에 사용되는 CSI-RS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N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CSI-RS와 PDSCH는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지 않고 전송한다.
i.만약 CSI-RS가 주기 또는 반 지속 CSI-RS라면,
1.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UE는 CSI-RS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CSI-RS를 수신한다.
2. 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UE는 DCI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PDSCH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하고, CSI-RS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때, PDSCH는 레이트 매칭을 진행할 수 있다.
ii. 만약 CSI-RS가 비 주기 CSI-RS이고, 비 주기 CSI-RS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시 CSI-RS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다면,
1.양자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비 주기 CSI-RS는 PDSCH의 디폴트 TCI 상태가 지시하는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2. 양자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UE는 DCI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PDSCH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하고, 비 주기 CSI-RS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때, PDSCH는 레이트 매칭을 진행하거나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3. 양자 중, 하나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고, 다른 하나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은 채널 또는 신호는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채널 또는 신호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iii. 만약 CSI-RS가 비 주기 CSI-RS이고, 비 주기 CSI-RS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시 CSI-RS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면,
1. 양자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PDSCH의 전송만 있고, UE는 PDSCH의 디폴트 TCI 상태가 지시하는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2. 양자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UE는 DCI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PDSCH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하고, 비 주기 CSI-RS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때, PDSCH는 레이트 매칭을 진행하거나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3.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고,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PDSCH 전송만 있다. UE는 DCI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4.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고,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PDSCH는 비 주기 CSI-RS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b) 빔 관리에 사용되는 CSI-RS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FF로 설정하였을 경우,
i. 만약 CSI-RS가 주기 또는 반 지속 CSI-RS라면,
1. 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PDSCH 및 CSI-RS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UE는 CSI-RS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PDSCH 및 CSI-RS를 수신한다.
2. 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a) 만약 CSI-RS와 PDSCH가 공간 QCL이라면, PDSCH 및 CSI-RS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UE는 양자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수신한다.
b) 만약 CSI-RS 및 PDSCH가 공간 QCL이 아니라면, UE는 DCI 중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하고, CSI-RS를 수신하지 않는다.
ii. 만약 CSI-RS가 비 주기 CSI-RS이고, 비 주기 CSI-RS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시 CSI-RS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다면,
1. 양자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비 주기 CSI-RS는 PDSCH의 디폴트 TCI 상태가 지시하는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2. 양자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으며 동일한 공간 QCL 정보를 가진다. 만약 양자의 공간 QCL 정보가 상이하다면, UE는 DCI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PDSCH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하고, 비 주기 CSI-RS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때, PDSCH는 레이트 매칭을 진행하거나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3. 양자 중, 하나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고, 다른 하나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은 채널 또는 신호는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채널 또는 신호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iii. 만약 CSI-RS가 비 주기 CSI-RS이고, 비 주기 CSI-RS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시 CSI-RS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면,
1. 양자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PDSCH 전송만 있고, UE는 PDSCH의 디폴트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2. 양자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으며 동일한 공간 QCL 정보를 가진다. 만약 양자의 공간 QCL 정보가 상이하다면, UE는 DCI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PDSCH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하고, 비 주기 CSI-RS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때, PDSCH는 레이트 매칭을 진행하거나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3.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고,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PDSCH 전송만 있다. UE는 DCI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4.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고,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PDSCH는 비 주기 CSI-RS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c) 채널 측정 및 간섭 측정에 사용되는 CSI-RS(예를 들어, NZP-CSI-RS、CSI-IM)에 대하여,(2)b와 같다.
d) 트래킹에 사용되는CSI-RS(CSI-RS for tracking, TRS)에 대하여,
i.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양자는 공간 QCL이며, PDSCH는 TRS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ii.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1.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양자는 공간 QCL이다.
2.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고, 양자가 공간 QCL이 아니라면, UE는 PDSCH를 수신하고 TRS를 수신하지 않는다.
PDCCH/CORESET + PDSCH (1)QCL type A、QCL type B、QCL type C의QCL정보에 대하여,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PDSCH는 디폴트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고,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PDSCH는 해당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 중의 TCI 상태가 지시한 대응되는 유형의 QCL 정보를 사용한다.
(2)QCL type D의 QCL 정보에 대하여 (공간 수신 파라미터)
a)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양자는 공간 QCL이며, PDSCH는 PDCCH/CORESET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b)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i. DCI를 통과하지 않고 PDSCH를 PDCCH/CORESET과 동일한 심볼에 스케줄링한다.
ii. 또는,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양자는 공간 QCL이며, PDSCH는 PDCCH/CORESET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iii. 또는,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양자는 공간 QCL이 아니며, UE는 PDCCH/CORESET를 수신하고 PDSCH를 수신하지 않는다.
CSI-RS + PDCCH/CORESET (1)QCL type D의 QCL 정보에 대하여 (공간 수신 파라미터)
a) 빔 관리에 사용되는 CSI-RS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N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i. 만약 CSI-RS가 주기 또는 반 지속 CSI-RS라면,
1. CSI-RS와 PDCCH/CORESET는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지 않고 전송한다.
ii. 만약 CSI-RS가 비 주기 CSI-RS이고, 비 주기 CSI-RS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시 CSI-RS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다면,
1.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CSI-RS와 PDCCH/CORESET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지 않고 전송한다.
2.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만약 양자가 공간 QCL이라면, UE는 PDCCH/CORESET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양자를 수신하고; 만약 양자가 QCL이 아니라면, UE는 비 주기 CSI-RS를 수신하고, PDCCH/CORESET을 수신하지 않는다.
iii. 만약 CSI-RS가 비 주기 CSI-RS이고, 비 주기 CSI-RS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시 CSI-RS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면,
1.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PDCCH/CORESET만 있다.
2.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만약 양자가 공간 QCL이라면, UE는 PDCCH/CORESET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양자를 수신하고; 만약 양자가 QCL이 아니라면, UE는 비 주기 CSI-RS를 수신하고, PDCCH/CORESET을 수신하지 않는다.
b) 빔 관리에 사용되는 CSI-RS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FF로 설정하였을 경우,
i. 만약 CSI-RS가 주기 또는 반 지속 CSI-RS라면,
1.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UE는PDCCH/CORESET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양자를 수신한다.
ii. 만약 CSI-RS가 비 주기 CSI-RS이고, 비 주기 CSI-RS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시 CSI-RS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한다면,
1.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UE는PDCCH/CORESET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양자를 수신한다.
2.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a)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UE는PDCCH/CORESET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양자를 수신한다.
b) 만약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 하였지만, 공간 QCL이 아니라면, UE는 비 주기 CSI-RS를 수신하고, PDCCH/CORESET를 수신하지 않는다.
iii. 만약 CSI-RS가 비 주기 CSI-RS이고, 비 주기 CSI-RS에 대한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시 CSI-RS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면,
1.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PDCCH/CORESET만 있다.
2.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UE는 PDCCH/CORESET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양자를 수신하고; 만약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 하였지만 QCL이 아니라면, UE는 비 주기 CSI-RS를 수신하고, PDCCH/CORESET을 수신하지 않는다.
c) 채널 측정 및 간섭 측정에 사용되는 CSI-RS(예를 들어, NZP-CSI-RS、CSI-IM)에 대하여,(1)b와 같다.
d) 트래킹에 사용되는CSI-RS(CSI-RS for tracking, TRS)에 대하여,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UE는 PDCCH/CORESET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양자를 수신한다.
PDCCH/CORESET + PDCCH/CORESET (1)QCL type D의 QCL 정보에 대하여 (공간 수신 파라미터)
a) 여러개의 PDCCH/CORESET을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지 않는다.
b) 또는, 여러개의 PDCCH/CORESET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지만 공간 QCL이여야 한다.
CSI-RS + SSB (1)QCL type D의 QCL 정보에 대하여 (공간 수신 파라미터)
a) CSI-RS + PDCCH / CORESET를 참고하고, PDCCH/CORESET를 SSB로 교체하면 된다.
CSI-RS + CSI-RS (1)QCL type D의 QCL 정보에 대하여 (공간 수신 파라미터)
a) 두개의 CSI-RS가 모두 빔 관리에 사용되는 CSI-RS이고, 네트워크가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N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i. 두개의 CSI-RS가 주기 또는 반 지속 CSI-RS + 주기 또는 반 지속 CSI-RS, 또는 비 주기 CSI-RS + 비 주기 CSI-RS이라면,
1.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네트워크가 두개의 CSI-RS에 동일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ii. 두개의 CSI-RS가 주기 또는 반 지속 CSI-RS + 비 주기 CSI-RS이라면,
1. 네트워크가 두개의 CSI-RS에 동일한 공간 QCL 정보를 설정한다.
2. 또는,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
b) 단 하나의 CSI-RS만 빔 관리에 사용되는 CSI-RS이고, 네트워크가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N으로 설정하였으며,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을 경우,
i. 다른 하나의 CSI-RS가 주기 CSI-RS또는 반 지속 CSI-RS일 경우, (빔 관리에 사용되는 CSI-RS이고, 네트워크가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FF로 설정, 또는 채널 측정 및 간섭 측정에 사용되는CSI-RS, 또는 트래킹에 사용되는 CSI-RS)
1. b)중의 CSI-RS + SSB를 참고한다. SSB를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로 교체하면 된다.
ii. 다른 하나의 CSI-RS가 비 주기 CSI-RS일 경우,
1. b) 중의CSI-RS + PDSCH를 참고한다. PDSCH를 비 주기 CSI-RS로 교체하면 된다.
c) 단 하나의 CSI-RS만 빔 관리에 사용되는 CSI-RS이고, 네트워크가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N으로 설정하였으며, 비 주기 CSI-RS일 경우,
i. 다른 하나의 CSI-RS가 주기 CSI-RS또는 반 지속 CSI-RS일 경우,
1. c)중의 CSI-RS + SSB를 참고한다. SSB를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로 교체하면 된다.
ii. 다른 하나의 CSI-RS가 비 주기 CSI-RS일 경우,
1. c) 중의CSI-RS + PDSCH를 참고한다. PDSCH를 비 주기 CSI-RS로 교체하면 된다.
d) 빔 관리에 사용되는 CSI-RS인 CSI-RS가 없고, 네트워크가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N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i.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 +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라면,
1. 주기 CSI-RS또는 반 지속 CSI-RS + SSB를 참고한다. SSB를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로 교체한다.
ii.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 + 비 주기 CSI-RS라면,
1.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 + PDSCH를 참고한다. PDSCH를 비 주기 CSI-RS로 교체한다.
iii. 비 주기 CSI-RS + 비 주기 CSI-RS라면,
1. 비 주기 CSI-RS + PDSCH를 참고한다. PDSCH를 비 주기 CSI-RS로 교체한다.
2. 예외로, 두개의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양자를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으며, 최근 효력 발생한 스케줄링 시그널링이 지시한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주: 상기의 가 "참고" 중에서, 만약 두개의 CSI-RS의 우선급이 동일한 상황이 나타날 경우,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며 배치 및 지시상 공간QCL이거나, 또는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며 그 중 하나의 CSI-RS는 다른 하나의 CSI-RS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거나(배치 및 지시는 상이한 공간 QCL 정보시), 또는 그 중 하나의 CSI-RS만 전송하고 다른 하나를 버린다.

또한, 또 다른 CSI-RS + CSI-RS의 멀티플렉싱과 QCL정보의 확정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있으며, 아래와 같다.
●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 +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
■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 + SSB와 유사하다.
■ 두개의 CSI-RS에 모두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N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네트워크는 두개의 CSI-RS에 동일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 + 비 주기CSI-RS
■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FF로 설정한 비 주기 CSI-RS에 대하여, 주기 CSI-RS 또는 반 지속 CSI-RS + + PDSCH와 유사하다.
■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N으로 설정한 비 주기 CSI-RS에 대하여, 네트워크는 두개의 CSI-RS에 동일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또는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지 않는다.
● 비 주기CSI-RS + 비 주기CSI-RS
■ 하나의 비 주기CSI-RS 만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FF로 설정되였을 경우,비 주기CSI-RS + PDSCH와 유사하다. 하지만, 두개의 비 주기 CSI-RS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최근 효력 발생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두개의 비 주기 CSI-RS를 전송한다.
■ 두개의 비 주기CSI-RS 가 CSI-RS resource set의 CSI-RS-ResourceRep 파라미터를 OFF로 설정되였을 경우, 네트워크는 두개의 CSI-RS에 동일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PDSCH + PDSCH with different RNTIs (1)QCL type D의 QCL 정보에 대하여 (공간 수신 파라미터)
a) 두개의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i. 두개의 PDSCH는 동일한 디폴트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b) 두개의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i. 두개의 PDSCH는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DCI가 양자를 스켈줄링할 때의 TCI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정보는 동일하다.
c) 하나의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고, 다른 하나의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i. 두개의 PDSCH는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으며,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은 PDSCH는 스케줄링 오프셋이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PDSCH의 QCL 정보를 사용한다.
SSB + SSB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지 않는다.
PDSCH + PDSCH (C-RNTI + C-RNTI) (1)QCL type D의 QCL 정보에 대하여 (공간 수신 파라미터)
a) 두개의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i. 두개의 PDSCH는 동일한 디폴트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한다.
b) 두개의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모두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i. 두개의 PDSCH는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고, DCI가 양자를 스켈줄링할 때의 TCI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정보는 동일하다.
c) 하나의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고, 다른 하나의 PDSCH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i. 두개의 PDSCH는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으며,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작은 PDSCH는 스케줄링 오프셋이 각자의 미리 설정한 도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PDSCH의 QCL 정보를 사용한다.
d) a/b/c와 다르게, 두개의 PDSCH는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DCI가 스케줄링한 단일 슬롯 PDSCH와 DCI가 스케줄링한 다수 슬롯 PDSCH의 QCL 정보가 상이할 때.
RRM에 사용되는 RS(예컨대 SSB for RRM또는 CSI-RS for RRM) + 기타 채널 또는 신호 상기 각 테이블 중의 SSB+기타 채널 또는 신호의상황을 참고한다. SSB를 SSB/CSI-RS for RRM로 교체하면 된다.
그 중, 상기 PDSCH는, 스케줄링한 단일 슬롯 PDSCH, 스케줄링한 다수 슬롯 PDSCH(예를 들어 PDSCH slot aggregation), 스케줄링한 mini-slot PDSCH 등을 포함한다.다운링크에 대하여, 상이한 CC상의 채널 및 신호에 대하여서도 상기 단계 중의 규칙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 만약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 또는 지시한 공간 QCL 정보가 동일하다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 만약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 또는 지시한 공간 QCL 정보가 상이하다면:
■ 주기 채널 또는 신호 + 주기 채널 또는 신호에 대하여, PCell상의 주기 채널 또는 신호가 높은 우선급을 가진다.
■ 주기 채널 또는 신호 + 비 주기 채널 또는 신호에 대하여, 비 주기 채널 또는 신호가 높은 우선급을 가진다.
■ 비 주기 채널 또는 신호 + 비 주기 채널 또는 신호에 대하여,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최근 효력 발생한 채널 또는 신호가 높은 우선급을 가진다.
업링크에 대하여, 동일한 CC 또는 동일한 BWP상의 채널 및 신호에 대하여서도 상기 단계 중의 규칙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OFDM 심볼 중의채널 또는 신호 동일한 CC 또는 동일한BWP
PUCCH + PUCCH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 하지 않는다
PUSCH + PUSCH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 하지 않는다
SRS + SRS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 하지 않는다
업링크에 대하여, 상이한 CC상의 채널 및 신호에 대하여서도 상기 단계 중의 규칙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OFDM 심볼 중의채널 또는 신호 상이한 CC
PUSCH + PUSCH 만약 네트워크가 배치 또는 지시한 공간 QCL 정보가 동일하다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만약 네트워크가 배치 또는똔지시한 공간 QCL 정보가 상이하다면,
주기 채널 또는 신호 + 주기채널 또는 신호에 대하여, PCell 상의 주기 채널 또는 신호는 높은 우선급을 가진다.
주기 채널 또는 신호 + 비 주기 채널 또는 신호에 대하여, 비 주기 채널 또는 신호는 높은 우선급을 가진다.
비 주기 채널 또는 신호 + 비 주기 채널 또는 신호에 대하여, 네트워크가 배치 또는 지시한 QCL 정보가 최근 효력 발생한 채널 또는 신호가 높은 우선급을 가진다.
SRS + SRS
PUCCH + PUCCH 만약 네트워크가 배치 또는 지시한 공간 QCL 정보가 동일하다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만약 네트워크가 배치 또는 지시한 공간 QCL 정보가 상이하다면, 하나의 PUCCH만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각종의 채널 및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고, 본 개시 실시예에서 언급한 방법 및 규칙에 결합하여 송신단 및 수신단이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동시에 전송을 진행할 수 있는지, 및 사용한 QCL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및 신호의 정확한 전송을 실현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는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였을 때의 QCL 확정 방법, 및 멀티플렉싱하지 못하였을 때의 우선급에 따라 버리는 방법을 제공하였다.본 실시예의 기술방안에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에 대하여, 상이한 유형의 채널 및 신호를 송신할 경우,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설정한 규칙에 따라 상이한 유형의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였을 때의 QCL 확정 방법, 및 멀티플렉싱하지 못하였을 때의 우선급에 따라 버리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수신단과 송신단이 전송할 채널 및 신호의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이해가 일치하여, 예컨대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지, 및 사용한 QCL 정보를 확정하여, 채널 및 신호의 정확한 전송을 실현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송신단에 응용되는 통신 기기를 더 제공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모듈(31)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신호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포함한다.
상기 QCL 정보는 타입 A, 타입 B 및 타입 C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QCL 정보는 타입 D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이미 확정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동일한 심볼에서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 및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고, 그 중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고, 배치 및 지시한 것이 동일한 공간 QCL 정보일 경우, 동일한 공간 QCL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멀티플렉싱 방식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FDM)일 수 있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였지만, 배치 및 지시한 것이 상이한 공간 QCL 정보일 경우,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는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고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동시에 전송하거나, 또는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만 전송하고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는 전송하지 않는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지 못할 경우, 이런 채널 및 신호는 각자의 구성 및 지시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을 진행한다. 또한, 송신단은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만 송신하고,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상기 송신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동일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상이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 또는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만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송신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이하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방식 A: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미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B: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C: 적어도 두개의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최근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이 가장 높다.
방식 D: 상이한 셀의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세컨더리 셀(S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E: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우선급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DSCH의 우선급은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F: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우선급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UCCH의 우선급은 탐측 참고 신호(SRS)의 우선급보다 높다.
상기 송신 모듈(31)은,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데 더 사용된다.
상기 송신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첫번째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기타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송신 모듈(31)은 구체적으로,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적어도 두가지의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여야할 경우, 상기 여러개의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하여 우선급을 판단할 수 있다. 여러개의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할 경우, 선택한 우선급 판단 방식의 사용 순서를 임의로 배열하여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을 확정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하는지 여부 및 사용한 QCL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급 판단 방식A 및 우선급 판단 방식B를 사용할 경우, 먼저 우선급 판단 방식A를 사용하여 전송할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의 우선급을 판단하고, 우선급 판단 방식A에 따라 우선급을 판단할 수 없는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에 대하여, 우선급 판단 방식B에 따라 확정한다. 만약 모든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한 후, 여전히 우선급이 동일한 여러개의 채널 또는 신호가 존재할 경우, 모든 채널 및 신호의 우선급이 확정될 때 까지 그들의 우선급을 임의로 확정한다.
상기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동기화 신호 블록(SSB), 주기 CSI-RS, 반 지속 CSI-RS, 주기 SRS, 반 지속 SRS, PDCCH, PUC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DS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비주기 CSI-RS, 비주기 SRS, 동태 스케줄링한 PDSCH, 동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두개의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할 경우, 상기 송신 모듈(31)은 한 시각에 하나의 빔만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다운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SSB 및 PDSCH;
CSI-RS 및 PDSCH;
PDCCH 및 PDSCH;
CSI-RS 및 PDCCH;
CSI-RS 및 SSB;
PDCCH 및 PDCCH;
CSI-RS 및 CSI-RS:
PDSCH 및 PDSCH;
무선 자원 관리(RRM)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RS) 및 기타 채널 또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업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PUCCH 및 PUCCH;
PUSCH 및 PUSCH;
SRS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다운링크에 응용될 경우, 송신단의 통신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이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업링크에 응용될 경우, 송신단의 통신 기기는 사용자 기기이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수신단에 응용되는 통신 기기를 더 제공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수신 모듈(41)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신호는 RS를 포함한다.
상기 QCL 정보는 타입 A, 타입 B 및 타입 C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4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QCL 정보는 타입 D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4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이미 확정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동일한 심볼에서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 및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고, 그 중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고, 배치 및 지시한 것이 동일한 공간 QCL 정보일 경우, 동일한 공간 QCL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멀티플렉싱 방식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일 수 있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였지만, 배치 및 지시한 것이 상이한 공간 QCL 정보일 경우,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는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고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동시에 전송하거나, 또는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만 전송하고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는 전송하지 않는다.
전송 대기인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지 못할 경우, 이런 채널 및 신호는 각자의 구성 및 지시의 공간 QCL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을 진행한다. 또한, 송신단은 우선급이 높은 채널 또는 신호만 송신하고, 우선급이 낮은 채널 또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상기 수신 모듈(4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동일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상이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 또는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만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수신 모듈(41)은 구체적으로, 이하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방식 A: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미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B: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C: 적어도 두개의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최근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이 가장 높다.
방식 D: 상이한 셀의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세컨더리 셀(S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E: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우선급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DSCH의 우선급은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의 우선급보다 높다.
방식 F: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우선급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UCCH의 우선급은 탐측 참고 신호(SRS)의 우선급보다 높다.
상기 수신 모듈(41)은,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데 더 사용된다.
상기 수신 모듈(41)은 구체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첫번째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기타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수신 모듈(41)은 구체적으로,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적어도 두가지의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여야할 경우, 상기 여러개의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하여 우선급을 판단할 수 있다. 여러개의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할 경우, 선택한 우선급 판단 방식의 사용 순서를 임의로 배열하여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을 확정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하는지 여부 및 사용한 QCL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급 판단 방식A 및 우선급 판단 방식B를 사용할 경우, 먼저 우선급 판단 방식A를 사용하여 전송할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의 우선급을 판단하고, 우선급 판단 방식A에 따라 우선급을 판단할 수 없는 여러개의 채널 및 신호에 대하여, 우선급 판단 방식B에 따라 확정한다. 만약 모든 우선급 판단 방식을 사용한 후, 여전히 우선급이 동일한 여러개의 채널 또는 신호가 존재할 경우, 모든 채널 및 신호의 우선급이 확정될 때 까지 그들의 우선급을 임의로 확정한다.
상기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동기화 신호 블록(SSB), 주기 CSI-RS, 반 지속 CSI-RS, 주기 SRS, 반 지속 SRS, PDCCH, PUC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DS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비주기 CSI-RS, 비주기 SRS, 동태 스케줄링한 PDSCH, 동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두개의 채널 및 신호가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할 경우, 상기 수신 모듈(41)은 한 시각에 하나의 빔만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다운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SSB 및 PDSCH;
CSI-RS 및 PDSCH;
PDCCH 및 PDSCH;
CSI-RS 및 PDCCH;
CSI-RS 및 SSB;
PDCCH 및 PDCCH;
CSI-RS 및 CSI-RS:
PDSCH 및 PDSCH;
무선 자원 관리(RRM)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RS) 및 기타 채널 또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업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PUCCH 및 PUCCH;
PUSCH 및 PUSCH;
SRS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다운링크에 응용될 경우, 수신단의 통신 기기는 사용자 기기이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업링크에 응용될 경우, 송신단의 통신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이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통신 기기를 더 제공하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에 따른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그 중, 상기 통신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이거나 사용자 기기일 수 있다. 업링크에서 송신단의 통신 기기는 사용자 기기이고, 수신단의 통신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이며, 다운링크에서 송신단의 통신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이고, 수신단의 통신 기기는 사용자 기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 실시예에서 응용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의 구성도이고, 상술한 실시예 중의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기기(500)는 프로세서(501), 송수신기(502), 메모리(503), 사용자 인터페이스(504)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500)은 상기 메모리(503)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501)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501)에 의해 실행될 때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를 실현한다.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프로세스.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프로세스.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도 5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5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5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502)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04)는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5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503)는 프로세서(501)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중, 네트워크 측 기기는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광대역 코드 분할 다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고, LTE 중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기지국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응용하는 사용자 기기의 구성도이고, 상술한 실시예 중의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해당 사용자 기기 (600)은, 무선 주파수 유닛(601), 네트워크 모듈(602), 오디오 출력 유닛(603), 입력 유닛(604), 센서(605), 표시 유닛(606), 사용자 입력 유닛(607), 인터페이스 유닛(608), 메모리(609), 프로세서(610), 및 전원(6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6에 나타내는 단말 구조는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이동 통신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 프로세서(610)은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를 실현한다.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프로세스.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프로세스.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6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는 네트워크 모듈(6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6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또한, 사용자 기기(6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6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6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6041) 및 마이크(6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60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0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6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6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600)는,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6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6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사용자 기기(600)가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6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6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6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606)은 표시 패널(6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6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터치 패널(6071) 및 기타 입력 기기(6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6071) 상 또는 터치 패널(6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610)로 보내고, 프로세서(6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6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기타 입력 기기(6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6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6071)은 표시 패널(60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6071)은 터치 패널(60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6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6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60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7에서 터치 패널(6071)과 표시 패널(60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사용자 기기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6071)과 표시 패널(6061)을 집적하여 이동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가 사용자 기기(6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사용자 기기(60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사용자 기기(6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09)는 주로 저장 프로그램 영역 및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프로그램 영역은 작업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데이터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사용자 기기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사용자 기기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60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60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사용자 기기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6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6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작업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6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기기(60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6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6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6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기기(6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의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중간 소자,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SignalProcessing,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 (DSPDevice,DSPD),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기기 (Programmable Logic Device,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ield-ProgrammableGateArray,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개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타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개시된 상기 기능의 모듈(예하면, 과정 또는 함수 등)로 본개시의 상술한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실행는데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전부 차례로 나아가는 방식으로 설명하였고, 각 실시예는 중점적으로 기타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하였으며, 각 실시예간의 동일하거나 비슷한 부분은 서로 참고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는 방법,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디스크 메모리,CD-ROM,광학메모리등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음)상에서 실시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형태를 취할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따른 방법,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중의 각 플로우 및/또는 블록을 실현하고, 및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의 결합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기계를 생성하기 위한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임베딩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실행되는 명령이 플로우 차트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를 특정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인도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의 제조품을 생성하고, 해당 명령 장치는 플로우 차트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실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에도 적재될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기기에서 일련의 작업 단계를 실행하여 컴퓨터가 실현한 처리를 생성함으로서, 나아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기기상에서 실행한 명령이 플로우 차트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비록 본 개시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기본 창저적 개념을 안다면 이런 실시예에 대하여 별도의 변경 및 수정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이러한 개변 및 변형은 본 개시의 청구범위 및 그와 동등한 기술 범위 내에 속하며,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개변 및 변형을 청구범위 내에 귀속 시키고자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은 특정 순서의 설명 또는 순차적인 순서를 설명하는것이 아니고,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사용된 데이터는 적절한 경우 교체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내용 또는 설명한 내용 이외의 순서를 포함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은 한정된 요소이고,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 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영역의 일반 기술인원에 대하여서는 본 개시의 원리를 이탈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다수의 변형 및 윤색을 진행할 수 있고, 이들 또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내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30)

  1. 송신단의 통신 기기에 응용되는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기준 신호(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CL 정보는 타입 A, 타입 B 및 타입 C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방법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CL 정보는 타입 D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방법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이미 확정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동일한 심볼에서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고, 그 중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이미 확정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동일한 심볼에서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동일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상이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그 중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그 중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미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은 방식 A;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은 방식 B;
    적어도 두개의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최근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이 가장 높은 방식 C;
    상이한 셀의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세컨더리 셀(S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은 방식 D;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우선급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DSCH의 우선급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우선급보다 높은 방식 E;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우선급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UCCH의 우선급은 탐측 기준 신호(SRS)의 우선급보다 높은 방식 F;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첫번째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기타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동기화 신호 블록(SSB), 주기 CSI-RS, 반 지속 CSI-RS, 주기 SRS, 반 지속 SRS, PDCCH, PUC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DS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비주기 CSI-RS, 비주기 SRS, 동태 스케줄링한 PDSCH, 동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멀티플렉싱 방식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의 통신 기기는 한 시각에 하나의 빔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다운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SSB 및 PDSCH;
    CSI-RS 및 PDSCH;
    PDCCH 및 PDSCH;
    CSI-RS 및 PDCCH;
    CSI-RS 및 SSB;
    PDCCH 및 PDCCH;
    CSI-RS 및 CSI-RS:
    PDSCH 및 PDSCH;
    무선 자원 관리(RRM)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RS) 및 기타 채널 또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업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PUCCH 및 PUCCH;
    PUSCH 및 PUSCH;
    SRS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수신단의 통신 기기에 응용되는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기준 신호(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QCL 정보는 타입 A, 타입 B 및 타입 C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방법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QCL 정보는 타입 D의 QC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방법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이미 확정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동일한 심볼에서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각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고, 그 중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멀티플렉싱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확정하고, 이미 확정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동일한 심볼에서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동일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동일한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상이한 QCL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그 중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의 QCL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그 중 우선급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효력 미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은 방식 A;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은 방식 B;
    적어도 두개의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배치하거나 지시한 QCL 정보가 최근 효력 발생한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이 가장 높은 방식 C;
    상이한 셀의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은 세컨더리 셀(SCell)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보다 높은 방식 D;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우선급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DSCH의 우선급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우선급보다 높은 방식 E;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 중에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우선급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우선급보다 높고, PUCCH의 우선급은 탐측 기준 신호(SRS)의 우선급보다 높은 방식 F;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따라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첫번째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방식 중의 기타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방식A 내지 방식F 중의 적어도 두개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확정한 후,
    우선급이 동일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의 우선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동기화 신호 블록(SSB), 주기 CSI-RS, 반 지속 CSI-RS, 주기 SRS, 반 지속 SRS, PDCCH, PUC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DSCH, 반 정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기 전송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비주기 CSI-RS, 비주기 SRS, 동태 스케줄링한 PDSCH, 동태 스케줄링한 PUS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멀티플렉싱 방식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의 통신 기기는 한 시각에 하나의 빔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다운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은,
    SSB 및 PDSCH;
    CSI-RS 및 PDSCH;
    PDCCH 및 PDSCH;
    CSI-RS 및 PDCCH;
    CSI-RS 및 SSB;
    PDCCH 및 PDCCH;
    CSI-RS 및 CSI-RS:
    PDSCH 및 PDSCH;
    무선 자원 관리(RRM)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RS) 및 기타 채널 또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이 업링크에 응용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PUCCH 및 PUCCH;
    PUSCH 및 PUSCH;
    SRS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송신단에 응용되는 통신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28. 수신단에 응용되는 통신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전송 자원을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의 준-코-로케이션(QCL) 정보 및 프리셋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자원은 신호 및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29. 통신 기기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1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3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1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31769A 2018-04-04 2019-03-28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 KR102598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301846.7 2018-04-04
CN201810301846.7A CN110351052B (zh) 2018-04-04 2018-04-04 信道和信号的传输方法及通信设备
PCT/CN2019/080099 WO2019192385A1 (zh) 2018-04-04 2019-03-28 信道和信号的传输方法及通信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390A true KR20200138390A (ko) 2020-12-09
KR102598747B1 KR102598747B1 (ko) 2023-11-03

Family

ID=6810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769A KR102598747B1 (ko) 2018-04-04 2019-03-28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497032B2 (ko)
EP (1) EP3780463A4 (ko)
JP (1) JP7240412B2 (ko)
KR (1) KR102598747B1 (ko)
CN (1) CN110351052B (ko)
WO (1) WO2019192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427383A1 (en) * 2018-06-12 2021-01-0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and terminal device
CN112930656B (zh) * 2018-10-26 2023-07-11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终端接收下行链路信号的方法及其终端
DE112019005612T5 (de) * 2018-11-08 2021-08-12 Apple Inc. Verfahren zum bestimmen der räumlichen quasi-colokalisierungsannahme (qcl-annahme) für kanalzustandsinformationsreferenzsignale (csi-rs) in new radio (nr)
US11172457B2 (en) * 2018-11-14 2021-11-09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state ordering for an initial control resource set
WO2020113533A1 (zh) 2018-12-06 2020-06-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A3072491A1 (en) * 2019-02-14 2020-08-1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Transmission/reception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US11240836B2 (en) * 2019-08-08 2022-02-01 Qualcomm Incorproated Multi-state reference signaling and single-state data techniques
US11910416B2 (en) * 2019-10-11 2024-02-20 Qualcomm Incorporated Default quasi-colocation for singl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based multiple transmission reception points
CN112825595B (zh) * 2019-11-21 2023-06-0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信道的传输、接收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1315021B (zh) * 2020-02-14 2023-02-17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的设计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EP4117363A4 (en) * 2020-03-10 2023-05-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OF DETERMINING AN UPLINK TRANSMISSION PARAMETER AND TERMINAL DEVICE
CN113395768B (zh) * 2020-03-13 2023-05-26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空间信息的确定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16A1 (en) * 2013-02-21 2014-08-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qcl between antenna ports for massive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042028A1 (en) * 2016-08-04 2018-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multi-point transmission in advanced wireless systems
US20180083680A1 (en) * 2016-09-21 2018-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7521B2 (en) * 2012-11-01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scheme and quasi co-location assumption of antenna ports for PDSCH of transmission mode 10 for LTE advanced
US9521664B2 (en) * 2012-11-02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EPDCCH resource and quasi-co-location management in LTE
CN105471559B (zh) * 2014-09-05 2020-01-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准共位置的配置、确定方法及装置
US10103857B2 (en) * 2015-09-16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advanced MIMO communication systems
CN107342852B (zh) 2016-04-29 2022-1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令发送、接收方法及装置、网络侧设备、终端
US10856323B2 (en) * 2016-05-10 2020-1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7396394B (zh) * 2016-05-12 2020-04-07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短传输时间间隔的上行链路传输的方法
EP3282632A1 (en) * 2016-08-12 2018-02-14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umerology bandwidth for measur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83705A1 (en) * 2017-02-17 2019-12-25 Intel IP Corporatio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transmission and reception
CN108633061B9 (zh) * 2017-03-25 2023-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传输参数确定方法及装置
US10484066B2 (en) * 2017-04-04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Beam management using synchronization signals through channel feedback framework
US10419196B2 (en) * 2017-05-05 2019-09-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Virtual carrier aggregation for wideband ope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425208B2 (en) * 2017-09-08 2019-09-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Unified indexing framework for reference signals
CN108199819A (zh) 2018-02-26 2018-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令的发送、接收以及信息的确定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16A1 (en) * 2013-02-21 2014-08-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qcl between antenna ports for massive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042028A1 (en) * 2016-08-04 2018-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multi-point transmission in advanced wireless systems
US20180083680A1 (en) * 2016-09-21 2018-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1054* *
3GPP R1-180239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51052B (zh) 2020-08-28
JP7240412B2 (ja) 2023-03-15
US20230044453A1 (en) 2023-02-09
US20210022152A1 (en) 2021-01-21
US11968705B2 (en) 2024-04-23
KR102598747B1 (ko) 2023-11-03
EP3780463A4 (en) 2021-06-09
WO2019192385A1 (zh) 2019-10-10
JP2021520128A (ja) 2021-08-12
US11497032B2 (en) 2022-11-08
CN110351052A (zh) 2019-10-18
EP3780463A1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747B1 (ko) 채널 및 신호의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
US1193725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scheduling parameter, method for configuring scheduling parameter,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CN109587793B (zh) Tci状态更新方法、基站及终端
CN111278120B (zh) 上行信道的配置方法、传输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CN110719632B (zh) 一种准共址确定方法、调度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11510234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ceiving PDSCH
US202200296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eam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device
CN109474400A (zh) 一种通信方法、网络设备及终端设备
KR20220005041A (ko) 단말 안테나 패널 정보의 지시 방법, 네트워크 측 장비 및 단말
WO2021147763A1 (zh) 确定波束信息的方法、终端及网络设备
JP202254390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ー装置、電子装置、方法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