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873A -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873A
KR20200137873A KR1020190064927A KR20190064927A KR20200137873A KR 20200137873 A KR20200137873 A KR 20200137873A KR 1020190064927 A KR1020190064927 A KR 1020190064927A KR 20190064927 A KR20190064927 A KR 20190064927A KR 20200137873 A KR20200137873 A KR 20200137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kin
user
diagnosis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조
장동식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4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873A/ko
Publication of KR2020013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rmat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은, 진단 툴을 이용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선천적 피부정보 및 설문을 이용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환경적 피부정보를 수집하는 피부정보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로 사용자의 피부 타입을 진단하는 피부타입 진단단계; 상기 진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진단결과 제공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을 추천하는 제품 추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적 피부정보는, 계절, 기온, 일조량, 습도, 근무환경 및 화장품 보관환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CUSTOMIZED COSMETIC PRESCRIPTION AND SALES METHOD CONSIDERING QUESTIONNAIRE INFORMATION, SKIN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FEEBACK INFORMATION OF USED PRODUCTS}
본 발명은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화장품 시장은 포화상태로, 보다 전문적이고 특색있는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한 상황이다. 고객이 진단 툴을 통해 피부타입 및 컨디션을 진단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품을 추천하거나 결과를 알려주는 것이 흔히 사용되는 마케팅 방식이다.
본 발명은 선천적 피부정보 및 환경적 피부정보를 통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처방하고 판매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부 정보를 통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처방하고 판매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관련 정보와 상기 화장품에 관한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통하여 통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처방하고 판매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과 진단을 통한 피부과 진단 정보를 통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처방하고 판매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은, 진단 툴을 이용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선천적 피부정보 및 설문을 이용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환경적 피부정보를 수집하는 피부정보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로 사용자의 피부 타입을 진단하는 피부타입 진단단계; 상기 진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진단결과 제공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을 추천하는 제품 추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적 피부정보는, 계절, 기온, 일조량, 습도, 근무환경 및 화장품 보관환경을 포함한다.
상기 피부정보 수집단계는, 스마트폰 카메라로 피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사진을 이용한 피부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정보 수집단계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관련 정보와 상기 화장품에 관한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정보 수집단계는, 피부과 진단을 통한 피부과 진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방법은 선천적 피부정보 및 환경적 피부정보를 통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처방하고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방법은 스마트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부 정보를 통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처방하고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방법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관련 정보와 상기 화장품에 관한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통하여 통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처방하고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방법은 피부과 진단을 통한 피부과 진단 정보를 통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처방하고 판매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마케팅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선천적 및 환경적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진단 결과를 제공하고 제품을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피부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진단 결과를 제공하고 제품을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기존 사용 제품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통해 진단 결과를 제공하고 제품을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즈니스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현재 화장품 시장은 포화상태로, 보다 전문적이고 특색있는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한 상황이다.
고객이 진단 툴을 통해 피부타입 및 컨디션을 진단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품을 추천하거나 결과를 알려주는 것이 흔히 사용되는 마케팅 방식이다. 즉, 기존의 마케팅 방식은 고객이 진단 툴을 이용하여 피부 타입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에게 맞는 제품을 추천하는 방식이다. 상기 진단 툴은 바우만 피부타입 진단법을 비롯한 널리 알려진 여러 진단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선천요인보다는 사용환경과 같은 환경요인이 피부의 실제 상태에 영향을 많이 줄 수 있다. 상기 환경요인은 계절, 기온, 일조량, 직업(실내인지 실외인지, 온습도 등의 근무환경) 및 화장품 보관환경(실온, 직사광선, 화장품냉장고 보유 여부)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생활환경을 고려한 진단 결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진단툴을 사용하여 피부타입으 포함한 선천적 요인과 계절, 기온, 일조량, 습도, 근무환경 및 화장품 보관환경을 포함한 환경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통해 피부 타입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상기 종합적으로 진단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맞춤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피부를 직접 촬영하여 피부상태 또는 피부톤과 같은 정보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앱을 통해 피부를 촬영하여 피부톤, 잡티등이 나타난 사진을 추가정보로 활용함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진단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사용 제품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통해 기성제품 선호도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자사 제품에 대한 선호 또는 불호 정보를 통하여 자사 제품의 성분을 조정할 수 있고, 타사 제품의 관련 성분정보를 파악하고, 타사 제품에 대한 선호 또는 불호 정보를 통하여 자사 제품의 관련 성분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맞춤형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된 결과를 피부과 등 병원에 제공하고, 전문가의 진단 및 처방 정보와 연계함으로써 자사 제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PB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품명 by 화장품회사명'의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병원 및 의원들과의 상생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가능하다.

Claims (4)

  1. 진단 툴을 이용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선천적 피부정보 및 설문을 이용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환경적 피부정보를 수집하는 피부정보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로 사용자의 피부 타입을 진단하는 피부타입 진단단계;
    상기 진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진단결과 제공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을 추천하는 제품 추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적 피부정보는, 계절, 기온, 일조량, 습도, 근무환경 및 화장품 보관환경을 포함하는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정보 수집단계는, 스마트폰 카메라로 피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사진을 이용한 피부정보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부정보 수집단계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관련 정보와 상기 화장품에 관한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부정보 수집단계는, 피부과 진단을 통한 피부과 진단 정보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방법.
KR1020190064927A 2019-05-31 2019-05-31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 KR20200137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927A KR20200137873A (ko) 2019-05-31 2019-05-31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927A KR20200137873A (ko) 2019-05-31 2019-05-31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873A true KR20200137873A (ko) 2020-12-09

Family

ID=7378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927A KR20200137873A (ko) 2019-05-31 2019-05-31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8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352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ulating personalized skincare products
US7437344B2 (en)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roviding beauty advice
TWI556116B (zh) Skin condition analysis and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kin condition analysis and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data management server
US20030065578A1 (en) Methods and systems involving simulated application of beauty products
US20070255589A1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dynamic database to provide aesthetic improvement procedures
EP1196893B1 (en) Colour cosmetic selection system
US200902456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data
US20060282288A1 (en) Methods of providing a patient with aesthetic improvement procedures
WO2007103377A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dynamic database to provide aesthetic improvement procedures
CA2504257A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ograms to retail customers
JP6404677B2 (ja) 画像処理技術を用いた被検者の肌状態の判定システム
KR102123101B1 (ko)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WO2004042511A2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ograms to retail customers
KR102177070B1 (ko) 피부 맞춤 케어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맞춤 케어 방법
US20030065588A1 (en) Identification and presentation of analogous beauty case histories
US20230116487A1 (en) Determining Skin Complexion and Characteristics
EP33981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with recommendations indicating a fitness level of one or more topical skin products with a personal care device
JP2006285451A (ja) 化粧品カウンセリングシステム、サーバ及びカウンセリングプログラム
Wiradinata et al. Online Measuring Feature for Batik Size Prediction using Mobile Device: A Potential Application for a Novelty Technology
JP2007310652A (ja) 美顔管理システム
JP2018175909A (ja) 画像処理技術を用いた被検者の肌状態の判定システム
KR20200137873A (ko) 설문정보, 피부 촬영 정보 및 기 사용 제품의 피드백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화장품 처방 및 판매 방법
US202302771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skin contact reactions and making associated safe product recommendations
WO2023019150A1 (en) Scientific and technica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air health diagnosis, treatment, and styling recommendations
JP2018097899A (ja) 画像処理技術を用いた被検者の肌または頭皮状態の判定システムを用いたビジネス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