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481A -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 Google Patents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481A
KR20200137481A KR1020190063929A KR20190063929A KR20200137481A KR 20200137481 A KR20200137481 A KR 20200137481A KR 1020190063929 A KR1020190063929 A KR 1020190063929A KR 20190063929 A KR20190063929 A KR 20190063929A KR 20200137481 A KR20200137481 A KR 20200137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ove
connection pipe
preventing means
vacuum
rota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687B1 (ko
Inventor
고영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백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백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백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6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68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6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movable susceptor, stage or support, others than those only rotating on their own vertical axis, e.g. susceptors on a rotating carou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9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진공튜브와 연결되며, 너트들에 의해 지그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하향으로 단이진 설치단이 마련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설치단에 지지되는 내부 스프링;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내부 스프링에 탄력 지지되고. 이탈방지부재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중공형의 연결로드; 및 상기 연결로드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진공튜브에서 진공압이 발생할 때 피흡착물을 흡착하도록 흡착부가 마련된 흡착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하향으로 개방된 상부 지지홈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홈의 내부에 1-4개의 상부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된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블럭의 상면에는, 내부에 1-4개의 하부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된 하부 지지홈이 상향으로 개구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홈과 하부 지지홈 사이에는, 상기 연결로드의 하단부가 상기 흡착블럭에 체결되어 결합될 때 상기 지지부와 상기 흡착블럭 사이에 배치되어 상단부는 상기 상부 회전방지수단에 걸리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 회전방지수단에 걸려,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흡착블럭의 체결상태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이탈방지부재 사이의 유격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착블럭을 상기 연결로드에 대하여 체결되는 방향 또는 풀리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외부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VACUUM SUCTION APPARATUS HAVING HORIZONTAL ROTATION DIRECTION CLEARANCE PREVENTION STRUCTURE OF SUCTION PAD}
본 발명은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블럭이 피흡착물을 흡착하거나 흡착하여 이송할 때 진공 파이프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결합된 흡착블럭이 수평 회전방향으로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및 이송 공정 등에서 판 형상의 피가공물을 흡착 픽업하여 이송하기 위해서 흡착패드를 구비한 진공흡착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진공흡착장치는 반도체 장비나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에 인접배치되어 피가공물을 각 장비로 투입하거나 각 장비에서 성형되거나 가공된 가공물을 픽업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동작을 한다.
이를 위해 진공흡착장치는 고정판(지그)에 수직으로 설치된 진공파이프의 상단에 진공튜브가 연결되고 하단에는 흡착패드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흡착장치는, 진공파이프나 흡착패드가 고정판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됨으로써, 피이송물(또는 피흡착물)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거나, 각 피이송물의 흡착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 흡착패드가 피이송물을 원활하게 흡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표면이 평탄하지 않은 피이송물을 흡착해야 하거나, 각 피이송물의 흡착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 진공파이프의 길이를 절단 또는 연장하거나, 고정판의 높이를 변화시켜서 흡착패드의 흡착면 위치를 피송물의 표면 높이에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28922호(공개일 : 2019.03.20)에는 진공흡착장치가 개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에 의한 진공흡착장치는, 고정 플레이트(30)에 결합되는 바디(100)의 내부에 탄성체(500)가 구비되고, 이 탄성체(500)를 가압하면서 바디(100)의 내부로 왕복 샤프트(300)가 결합되며, 왕복 샤프트(300)의 하단부에 흡착패드(400)가 결합되고, 바디(100)의 상단부에는 진공튜브와 연결되는 피팅샤프트(200)가 결합된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흡착패드(400)가 결합된 왕복 샤프트(300)가 탄성체(500)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바디(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음으로써 왕복 샤프트(300)의 상하 왕복 이동시 피팅 샤프트(200)의 고정상태가 유지되고 이에 따라 진공튜브의 변형이 없으며, 흡착패드(400)의 흡착위치(높이)가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된 왕복 샤프트(300)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흡착위치(높이)가 서로 다른 피이송물이나 높낮이가 다른 표면을 갖는 일체형의 피이송물을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진공흡착장치는 왕복 샤프트(300)과 피팅 샤트프 사이의 유격, 또는 왕복 샤프트(300)와 바디(100) 사이의 유격에 의해 흡착패드(400)가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피이송물을 흡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왕복 샤프트(300)의 하단부에 체결된 흡착패드(40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풀림방향(수평 회전방향)으로 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흡착패드(400)나 왕복 샤프트(300) 등의 결합부위나 작동부위에서 유격이 발생할 경우에 피이송물의 정확한 흡착영역을 흡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28922호(공개일 : 2019.03.20)
본 발명의 목적은, 흡착블럭이 흡착물을 흡착하거나 흡착하여 이송할 때 연결로드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결합된 흡착블럭이 수평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 움직이는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진공튜브와 연결되며, 너트들에 의해 지그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하향으로 단이진 설치단이 마련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설치단에 지지되는 내부 스프링;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내부 스프링에 탄력 지지되고, 이탈방지부재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중공형의 연결로드; 및 상기 연결로드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진공튜브에서 진공압이 발생할 때 피흡착물을 흡착하도록 흡착부가 마련된 흡착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하향으로 개방된 상부 지지홈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홈의 내부에 1-4개의 상부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된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흡착블럭의 상면에는, 하부 지지홈이 상향으로 개구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홈의 내부에 1-4개의 하부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상부 지지홈과 하부 지지홈 사이에는, 상기 연결로드의 하단부가 상기 흡착블럭에 체결되어 결합될 때 상기 지지부와 상기 흡착블럭 사이에 배치되어 상단부는 상기 상부 회전방지수단에 걸리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 회전방지수단에 걸려,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흡착블럭의 체결상태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이탈방지부재 사이의 유격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와 결합된 상기 흡착블럭을 상기 연결 파이프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외부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부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지지홈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하부 지지홈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회전방지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상부 지지홈 내부로 끼워지는 상부 걸림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회전방지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하부 지지홈 내부로 끼워지는 하부 걸림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지지홈에 형성되는 상부 끼움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하부 지지홈에 형성되는 하부 끼움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스프링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절곡된 상부 끼움단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절곡된 하부 끼움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 파이프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연결 파이프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파이프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블럭과 연결 파이프의 지지부 사이에 외부 스프링이 설치되되, 상단부는 상부 회전방지수단에 걸리고, 하단부는 하부 회전방지수단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흡착블럭이 연결 파이프에 대하여 조임방향으로 탄력 지지됨으로써 흡착블럭이 피흡착물을 흡착하거나 흡착하여 이송할 때 연결로드와 흡착블럭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특히 외부 스프링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흡착블럭과 체결되어 일체화된 연결로드가 흡착블럭과 함께 일방향(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므로, 연결로드와 연결 파이프 사이의 작동 유격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착블럭의 풀림 및 유격이 방지됨으로써 흡착블럭은 피흡착물의 정확한 위치를 흡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흡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공흡착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진공흡착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진공흡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회전방지수단과 하부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회전방지수단과 하부 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공흡착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진공흡착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진공흡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10)는, 진공튜브(30)와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40)의 외주면에는, 하향으로 개방된 상부 지지홈(42A)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지지홈(42A)의 내부에 1-4개의 상부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된 지지부(42)가 구비되고, 흡착블럭(60)의 상면에는, 내부에 1-4개의 하부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된 하부 지지홈(62)이 상향으로 개구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부 지지홈(42A)과 하부 지지홈(62) 사이에는, 연결로드(50)의 하단부(52)가 흡착블럭(60)에 체결되어 결합될 때 지지부(42)와 흡착블럭(60) 사이에 배치되어 상단부(72)는 상부 회전방지수단에 걸리고 하단부(74)는 하부 회전방지수단에 걸려, 연결로드(50)와 흡착블럭(60)의 풀림을 방지하고, 연결로드(50)와 이탈방지부재(90) 사이의 유격발생을 방지하도록 흡착블럭(60)을 연결로드(50)에 대하여 체결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외부 스프링(7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그(20)에 설치되고 진공튜브(30)와 연결되는 중공형의 연결 파이프(40)와, 연결 파이프(4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로드(50)와, 연결로드(50)의 하단에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흡착블럭(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 파이프(4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진공튜브(30)와 연결되며, 너트들에 의해 지그(20)에 결합된다. 또한, 내부에는 하향으로 단이진 설치단(46)이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 파이프(40)는 진공튜브(30)와 흡착블럭(60)을 연결하고 흡착블럭(60)이 지그(20)에 대하여 안정되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진공튜브(30)로부터의 진공압(또는 부압)이 흡착블럭(60)에 작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 파이프(40)의 중간부 외주면에는, 원판형의 지지부(4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즉, 지지부(42)는 연결 파이프(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42)에는 도 2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하향으로 개방된 상부 지지홈(42A)이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 상부 지지홈(42A)은 외부 스프링(70)의 상부영역이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부 지지홈(42A)의 내부에는 1-4개의 상부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회전방지수단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상부 지지홈(42A) 내부로 끼워지는 상부 걸림핀(80A)으로 이루어진다.
이 상부 걸림핀(80A)은 외부 스프링(70)의 상단부(72)가 걸려 회전이 방지되면서 비틀림 탄성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연결로드(50)에 대하여 흡착블럭(60)이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하여, 조임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경우에는 흡착블럭(60)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 어느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경우에 연결로드(50)의 다각형 외부면(58)과 이탈방지부재(90)의 내부면(92)이 밀착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서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 회전방지수단은 하부 회전방지수단과 함께 외부 스프링(70)의 상단부(72)와 하단부(74)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체적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부(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파이프(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부(42)가 별도로 제작되어 연결 파이프(40)에 끼움 결합된 후 볼트, 체결구조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 파이프(40)와 일체화될 수 있다.
내부 스프링(48)은, 연결 파이프(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단(46)에 지지되는 것으로 연결로드(50)를 탄력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로드(50)는, 내부 스프링(48)에 탄력 지지되도록 연결 파이프(40)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즉, 연결 파이프(40)의 내부에서 연결 파이프(4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연결로드(5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부터 삽입되어 내부 스프링(48)에 탄력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슬라이딩)을 하게 된다. 이때, 연결로드(50)의 상단에는 기밀유지용 패킹이 설치되어 연결 파이프(4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진공압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내부 스프링(48)에 탄력 지지되도록 연결 파이프(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로드(50)는 진공튜브(30)로부터의 진공압을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상태에서도 흡착블럭(6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흡착블럭(60)이 피흡착물에 안착되어 흡착할 때 피흡착물과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고, 지그(20)에 고정된 연결 파이프(40)와 피흡착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그(20)가 피흡착물의 상부로 하강하여 흡착블럭(60)이 피흡착물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더 하강(대략 1 - 15mm)하여 흡착블럭(60)과 피흡착물의 접촉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때, 연결로드(50)가 내부 스프링(48)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상승하면서 흡착블럭(60)을 하향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이 작동에 의해 흡착블럭(60)과 피흡착물 사이의 간격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흡착블럭(60)은 탄력적으로 피흡착물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결로드(50)의 하단부(52)에는 연결부재(56)가 구비된다. 이 연결부재(56)에 의해 하단부는 흡착블럭(60)에 결합된다. 즉, 연결부재(56)의 하단에는 숫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흡착블럭(60)의 상면 중앙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서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물론 체결부위에는 기밀유지용 패킹이 설치됨은 당연하다.
한편, 연결로드(50)가 연결 파이프(40)에 상,하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로드(50)가 연결 파이프(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 파이프(40)의 하단 입구에는 이탈방지부재(90)가 설치된다. 즉, 환형의 이탈방지부재(90)의 내부로 연결로드(50)의 상단부가 관통한 상태에서 이탈방지부재(90)를 연결 파이프(40)의 하단 입구에 억지끼움 또는 체결하여 결합한다. 이러한 구조로 연결로드(50)는 연결 파이프(40)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로드(50)의 외주면(58)은 다각형(본 실시예에서는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이탈방지부재(90)의 내주면(92)도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로드(50)는 회전하지 못하고 상,하부로 왕복운동만 할 수 있다.
흡착블럭(60)은, 연결로드(5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피흡착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진공튜브(30)로부터의 진공압으로 피흡착물을 흡착하기 위한 것으로, 저면에는 흡착패드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진공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흡착블럭(60)의 상면에는, 하부 스프링(70)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하부 지지홈(62)이 상향으로 개방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지지홈(62)의 내부에는 1-4개의 하부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된다.
하부 지지홈(62)에 구비되는 하부 회전방지수단은, 외부로부터 하부 지지홈(62) 내부로 끼워지는 하부 걸림핀(80B)으로 이루어진다. 이 하부 걸림핀(80B)은 수평방향으로 하부 지지홈(62) 내부로 끼워져 하부 지지홈(62)에 안착되는 외부 스프링(70)의 하단부(74)가 걸리도록 하여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상부 걸림핀(80A)과 하부 걸림핀(80B)을 본 실시예에서는 1개씩만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1-4개까 설치할 수 있다.
외부 스프링(70)은, 연결 파이프(40)에 대하여 흡착블럭(60)을 탄력 지지함과 동시에, 흡착블럭(60)이 항상 일정한 회전방향(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부 스프링(70)은 상부 지지홈(42A)과 하부 지지홈(62)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로드(50)의 하단부(52)에 결합된 연결부재(56)가 흡착블럭(60)에 체결되어 결합될 때 지지부(42)의 상부 지지홈(42A)과 흡착블럭(60)의 하부 지지홈(62)에 상,하단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즉, 외부 스프링(70)이 연결로드(50)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로드(50)가 흡착블럭(60)에 체결되어 결합되면, 외부 스프링(70)의 상단은 상부 지지홈(42A)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하단은 하부 지지홈(62)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러한 외부 스프링(70)은, 상단부(72)가 상부 지지홈(42A)에 안착되면 상부 회전방지수단인 상부 걸림핀(80A)에 걸리고, 하단부(74)가 하부 지지홈(62)에 안착되면 하부 지지홈(62)에 마련된 하부 회전방지수단인 하부 걸림핀(80B)에 걸리게 되므로, 흡착블럭(60)을 어느 한쪽방향(상,하부 걸림핀이 걸린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외부 스프링(70)의 상부와 하부는 걸려 회전이 방지된 상태이므로 비틀림 탄성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작용에 의해 흡착블럭(60)은 연결 파이프(40)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방향(비틀림 탄성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로드(50) 및 연결 파이프(40)의 일부에 외부 스프링(70)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로드(50)의 연결부재(56)를 이용하여 하단부(52)를 흡착블럭(60)에 체결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연결 파이프(40)를 너트들을 이용하여 지그(20)에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진공튜브(30)를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 파이프(40)의 상단부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각 부품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스프링(6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상단부(72) 및 하단부(74)가 상,하부 걸림핀(80A,80B)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외부 스프링(60)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단부(72)는 상부 걸림핀(80A)에 걸리고, 하단부(74)는 하부 걸림핀(80B)에 걸리게 되므로 외부 스프링(60)은 비틀리면서 비틀림 탄성을 발생시켜 흡착블럭(60)을 연결 파이프(40)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이때, 흡착블럭(60)과 연결로드(50)가 체결되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연결로드(50)도 흡착블럭(60)과 함께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된다.
물론, 흡착블럭(60)을 연결로드(50)에 결합하기 전에 상단부(72)가 상부 걸림핀(80A)에 걸린 상태에서 외부 스프링(60)을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시켜 비틀림 탄성을 발생시킨 후에, 흡착블럭(60)을 연결로드(50)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하단부(74)가 하부 걸림핀(80B)에 걸리도록 하여 외부 스프링(70)이 비틀림 탄성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흡착블럭(60)과 연결로드(50)가 외부 스프링(70)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연결 파이프(40)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면, 연결로드(50)와 이탈방지부재(90) 사이의 유격발생이 방지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로드(70)의 하단부(72)가 연결부재(56)에 의해 흡착블럭(60)에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스프링(70)의 상단부(72)는 상부 지지홈(42A)에 삽입되어 상부 걸림핀(80A)에 걸리고, 하단부(74)는 하부 지지홈(62)에 삽입되어 하부 걸림핀(80B)에 걸리게 되며, 외부 스프링(70)을 연결로드(50)를 기준으로 일방향(조임방향, 풀림방향 또는 각 상,하단부가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단부(72)는 상부 걸림핀(80A)에 걸리고 하단부(74)는 하부 걸림핀(80B)에 걸리면서 비틀림 탄성(수평 회전방향으로)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된 흡착블럭(60)과 연결로드(50)는 외부 스프링(70)으로부터, 연결 파이프(40)를 기준으로 항상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복귀탄성을 받게 되어, 연결 파이프(40)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연결로드(50)의 외주면(58) 일부가 항상 이탈방지부재(90)의 다각형 내주면(9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연결로드(50)와 이탈방지부재(90) 사이에서의 유격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외부 스프링(70)이 흡착블럭(60)의 조임방향(체결방향)으로 비틀림탄성을 발생시키게 되면 흡착블럭(60)의 풀림도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회전방지수단과 하부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회전방지수단은 상부 지지홈(42A)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돌기(82A)로 이루어지고, 하부 회전방지수단은, 하부 지지홈(62)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기(82B)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상,하부 회전방지수단이 상,하부 돌기(82A,82B)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상,하부 회전방지수단을 상,하부 지지홈(42A,62)에 구비시키지 않아도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회전방지수단과 하부 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방지수단은, 상부 지지홈(42A)에 형성되는 상부 끼움홈(42B)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회전방지수단은, 하부 지지홈(62)에 형성되는 하부 끼움홈(62A)으로 이루어지며, 외부 스프링(70)의 상단에는 상부 끼움홈(42B)에 끼워지도록 절곡된 상부 끼움단(73)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 끼움홈(62A)에 끼워지도록 절곡된 하부 끼움단(75)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이와 같이, 상부 지지홈(42A)에 상부 끼움홈(42B)이 형성되고, 하부 지지홈(62)에 하부 끼움홈(62A)이 형성되고, 외부 스프링(70)의 상단에는 상부 끼움단(73)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부 끼움단(75)이 형성됨으로써, 외부 스프링(70)의 상단과 하단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진공흡착장치 20 : 지그
30 : 진공튜브 40 : 연결 파이프
42 : 지지부 42A : 상부 지지홈
50 : 연결로드 60 : 흡착블럭
62 : 하부 지지홈 70 : 외부 스프링
80A : 상부 걸림핀 80B : 하부 걸림핀
90 : 이탈방지부재

Claims (5)

  1.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진공튜브와 연결되며, 너트들에 의해 지그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하향으로 단이진 설치단이 마련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설치단에 지지되는 내부 스프링;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내부 스프링에 탄력 지지되고, 이탈방지부재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중공형의 연결로드; 및
    상기 연결로드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진공튜브에서 진공압이 발생할 때 피흡착물을 흡착하도록 흡착부가 마련된 흡착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하향으로 개방된 상부 지지홈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홈의 내부에 1-4개의 상부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된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흡착블럭의 상면에는, 하부 지지홈이 상향으로 개구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홈의 내부에 1-4개의 하부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상부 지지홈과 하부 지지홈 사이에는, 상기 연결로드의 하단부가 상기 흡착블럭에 체결되어 결합될 때 상기 지지부와 상기 흡착블럭 사이에 배치되어 상단부는 상기 상부 회전방지수단에 걸리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 회전방지수단에 걸려,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흡착블럭의 체결상태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이탈방지부재 사이의 유격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로드와 결합된 상기 흡착블럭을 상기 연결 파이프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외부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지지홈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하부 지지홈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방지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상부 지지홈 내부로 끼워지는 상부 걸림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회전방지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하부 지지홈 내부로 끼워지는 하부 걸림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지지홈에 형성되는 상부 끼움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하부 지지홈에 형성되는 하부 끼움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스프링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절곡된 상부 끼움단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절곡된 하부 끼움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 파이프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연결 파이프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파이프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KR1020190063929A 2019-05-30 2019-05-30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KR10224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29A KR102243687B1 (ko) 2019-05-30 2019-05-30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29A KR102243687B1 (ko) 2019-05-30 2019-05-30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81A true KR20200137481A (ko) 2020-12-09
KR102243687B1 KR102243687B1 (ko) 2021-04-26

Family

ID=7378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929A KR102243687B1 (ko) 2019-05-30 2019-05-30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093B1 (ko) * 2022-10-12 2023-07-25 주식회사 팸텍 흡착 패드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120A (ja) * 1997-02-07 1998-08-18 Kubota Corp 果菜類の移載装置
KR100855324B1 (ko) * 2007-12-14 2008-09-04 송인직 진공 흡착기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패널 흡착장치
KR20120042135A (ko) * 2010-10-22 2012-05-03 이우승 진공 흡착장치
JP3217336U (ja) * 2017-08-31 2018-08-02 コア ボル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緩み止め部材を備えたダブルナット
KR20190028922A (ko) 2017-09-11 2019-03-20 피스코코리아뉴매틱주식회사 진공흡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7336B2 (ja) 1999-11-18 2001-10-09 株式会社 沖マイクロデザイン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120A (ja) * 1997-02-07 1998-08-18 Kubota Corp 果菜類の移載装置
KR100855324B1 (ko) * 2007-12-14 2008-09-04 송인직 진공 흡착기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패널 흡착장치
KR20120042135A (ko) * 2010-10-22 2012-05-03 이우승 진공 흡착장치
JP3217336U (ja) * 2017-08-31 2018-08-02 コア ボル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緩み止め部材を備えたダブルナット
KR20190028922A (ko) 2017-09-11 2019-03-20 피스코코리아뉴매틱주식회사 진공흡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093B1 (ko) * 2022-10-12 2023-07-25 주식회사 팸텍 흡착 패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687B1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131B1 (ko) 진공 흡착장치
CN100445049C (zh) 真空吸头、使用该真空吸头的真空吸附装置和工作台
KR20190028922A (ko) 진공흡착장치
KR102243687B1 (ko) 흡착블럭의 수평 회전방향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흡착장치
JP5890929B1 (ja) ゲートバルブ
US9636786B2 (en) Locator bushing mechanism for modular welding tables
US20060175595A1 (en) Post-to-base attachment
CN102691803B (zh) 用于压力调节器的振动抑制弹簧夹
KR101743746B1 (ko)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US10054250B2 (en) Fixing device for lower stage members and fluid control device equipped with fixing device
KR101912025B1 (ko) 하단 부재의 고정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유체 제어 장치
US11199216B2 (en) Ergonomic box nut retainer
US20090232618A1 (en) Fastener assembly
US20070243039A1 (en) Cage nut assembly
US8499781B2 (en) Flush control valve core assembly
US10443695B2 (en) Linear actuator
KR200405366Y1 (ko) 프로파일용 너트
US20080016606A1 (en) Self adjusting toilet bolt assembly for connecting a toilet bowl to a closet flange
JP7401870B2 (ja) ブレース連結金具
WO2020195047A1 (ja) 圧縮機および圧縮機用支持部材
KR101806573B1 (ko)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KR20160008600A (ko) 하단 부재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체 제어 장치
US20230405840A1 (en) Vacuum pad swing prevention mechanism
JP2019207006A (ja) 気体ばね式防振装置
US11603938B2 (en) Floating yoke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