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901A - 신규한 사포닌 아쥬반트 및 그의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사포닌 아쥬반트 및 그의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901A
KR20200136901A KR1020207026435A KR20207026435A KR20200136901A KR 20200136901 A KR20200136901 A KR 20200136901A KR 1020207026435 A KR1020207026435 A KR 1020207026435A KR 20207026435 A KR20207026435 A KR 20207026435A KR 20200136901 A KR20200136901 A KR 20200136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olumn
obi
liquid chromatography
mobile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청-더 토니 유
이-헝 흐시에
웨이 한 리
유 첸 린
난 흐수안 왕
Original Assignee
오비아이 파머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비아이 파머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비아이 파머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4Condensed 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ings
    • C07H15/256Polyterpen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63/00Steroids in whic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has been modified by expansion of only one ring by one or two atoms
    • C07J63/008Expansion of ring D by one atom, e.g. D homo stero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01N30/14Preparation by elimination of some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0Construction of the colum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4Optical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01N30/8624Detection of slopes or peaks; baseline correction
    • G01N30/8631Pea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01N30/8675Evaluation, i.e. decoding of the signal into analytical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77Saponins; Quil A; QS21; ISCO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2030/022Column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eparation mechanism
    • G01N2030/027Liquid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13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 G01N2030/8836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involving sacchar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86Analysis of industrial production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된 OBI-821 아쥬반트의 6개 이성질체 구조물들(OBI-821-1990-V1A, OBI-821-1990-V1B, OBI-821-1990-V2A, OBI-821-1990-V2B, OBI-821-1858-A, 및 OBI-821-1858-B), 및 그들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및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탠덤으로 사용하고, 연속적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OBI-821 아쥬반트의 이성질체들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나아가 OBI-821 아쥬반트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사포닌 아쥬반트 및 그의 평가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을 "신규한 사포닌 아쥬반트"로 하여, 2018년 3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번호 제62/649,09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미국 가출원은 모든 목적을 위하여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퀄라야 사포나리아(Quillaja saponaria) 몰리나 나무(Molina tree)의 수피(bark)로부터 유래된 사포닌(saponin) 기반의 아쥬반트를 제공한다. 이는 다른 아쥬반트인 QS-21에 대해 발견된 상세 사항들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정제된 사포닌 아쥬반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사포닌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사포닌은 퀄라야 사포나리아 몰리나의 수피로부터 추출된 일종의 화합물이다. 이전의 연구는 QS-7, QS-17, QS-18 및 QS-21로 지칭된 몇몇의 사포닌류가 항체 수준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아쥬반트로서의 그들의 약학적 적용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고하였다(Charlotte R. Kensil et al., The Journal of Immunology, Vol. 146, No. 02, page 431-437, 1991). 특히, QS-21은 백신류에서 아쥬반트로서 실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왔다.
상기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포닌계 아쥬반트의 6개 이성질체(isomer)들 및 이들의 순도 및/또는 품질을 더 평가할 수 있도록 상기 이성질체들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학적 용도를 평가 및 달성할 수 있도록, 사포닌계 아쥬반트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분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I)
여기서, R1은 β-D-아피오스(Apiose), β-D-자일로스 또는 수소로부터 선택되고;
R2 및 R3은 수소 또는
Figure pct00002
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된 화합물은 하기 표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R1은 아피오스, 자일로스, 또는 H이고;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지방산 아실(fatty acyl)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상기 분리된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carrier)를 포함하는 사포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사포닌 조성물의 이성질체 조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a) 상기 사포닌 조성물을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ydrophilic interaction liquid chromatography; HILI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을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용출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용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을 얻는 단계; 여기서, 상기 이동상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 및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하고; 30분에 걸쳐 상기 이동상에서 상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의 양은 0%(v/v)에서 20%(v/v)로 변하고, 상기 이동상에서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양은 80%(v/v)에서 100%(v/v)로 변하며; 상기 %(v/v)는 상기 이동상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출은 0.1 내지 10 mL/min의 유속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출은 2 내지 11의 pH 범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친수헝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은 아미드 칼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로마토그램은 자외선 검출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사포닌 조성물의 순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a) 상기 사포닌 조성물을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을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용출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용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을 얻는 단계; 여기서, 상기 이동상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아세토니트릴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아세토니트릴 용액은 상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아세토니트릴 용액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20%(v/v) 내지 80%(v/v)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상에서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양은 35분에 걸쳐 20%(v/v)에서 80%(v/v)로 변하며; 상기 %(v/v)는 상기 이동상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출은 0.1 내지 10 mL/min의 유속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출은 2 내지 7.5의 pH 범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은 소수성 칼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수성 칼럼은 C4 칼럼, C8 칼럼, 또는 C18 칼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로마토그램은 자외선 검출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사포닌 조성물의 품질(quality)을 평가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a) 상기 사포닌 조성물을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을 제1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제1 용출물을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제1 용출물의 분획을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d)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을 제2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제2 용출물을 수집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용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을 얻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 이동상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 및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상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아세토니트릴 용액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30분에 걸쳐 상기 제1 이동상에서 상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의 양은 0%(v/v)에서 20%(v/v)로 변하고, 상기 제1 이동상에서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양은 80%(v/v)에서 100%(v/v)로 변하며; 상기 %(v/v)는 상기 제1 이동상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35분에 걸쳐 상기 제2 이동상에서 상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의 양은 20%(v/v)에서 80%(v/v)로 변하고, 상기 제2 이동상에서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양은 20%(v/v)에서 80%(v/v)로 변하며; 상기 %(v/v)는 상기 제2 이동상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용출은 0.1 내지 10 mL/min의 유속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용출은 2 내지 11의 pH 범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용출은 0.1 내지 10 mL/min의 유속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용출은 2 내지 7.5의 pH 범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은 아미드 칼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은 소수성 칼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수성 칼럼은 C4 칼럼, C8 칼럼, 또는 C18 칼럼이다.
도 1은 OBI-821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자외선(UV)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는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자외선(UV)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수집된 피크 1 분획(1858 화합물, 상단), 피크 2 분획(1990-V1 화합물, 중간) 및 피크 3 분획(1990-V2 화합물, 하단)을 나타내는 OBI-821 음성 ESI MS 스펙트럼들이다.
도 3은 (a) 1858 화합물(왼쪽)과 1990 화합물(오른쪽)의 구조, 및 OBI-821로부터의 그들의 탠덤(tandem) MS 단편화 이온, 및 (b) 1990 화합물(상단)과 1858 화합물(하단)의 MS/MS 스펙트럼들이다.
도 4는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자외선(UV)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수집된 피크 2 분획(1990-V1 화합물, 상단), 피크 3 분획(1990-V2 화합물, 중간) 및 피크 1 분획(1858 화합물, 하단)에 대한 펄스식 전기화학 검출과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HPAEC-PAD) 단당류 분석을 나타낸다.
도 5는 OBI-821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사포닌 조성물의 일종인 OBI-821 아쥬반트 물질(AS)은 퀄라야 사포나리아(Quillaja saponaria)로부터의 식물 유래 복합 사포닌이고, 하기의 화학식 (I)을 공유하는 6개의 이성질체들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4
(I)
여기서, R1은 아피오스, 자일로스, 또는 H이고;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지방산 아실이다.
상기 6개의 이성질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참고명(reference name)으로서 하기 표 1에 열거되어 있다. 6개의 이성질체들 중, 말단 아피오스를 갖는 OBI-821-1990-V1, 말단 자일로스를 갖는 OBI-821-1990-V2, 및 OBI-821-1990 이성질체들에서의 삼당(trisaccharide) 부분(moiety) 대신에 푸코실 잔기에 부착된 이당(disaccharide) 부분(D-자일로실-(1→4)-O-β-D-L-람노오실-(1→4))을 갖는 OBI-821-1858이 3개의 주요 성분들이다.
번호 "1990"은 OBI-821-1990-V1A, OBI-821-1990-V1B, OBI-821-1990-V2A, 및 OBI-821-1990-V2B의 이론적으로 평가된 분자량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번호 "1858"은 OBI-821-1858-A 및 OBI-821-1858-B의 이론적으로 평가된 분자량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5
OBI-821 아쥬반트 물질(adjuvant substance; AS)에서 총 6개의 이성질체들이 발견되었다. 이들 6개의 이성질체들은, OBI-821-1990-V1, OBI-821-1990-V2 및 OBI-821-1858의 3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각 그룹은 그룹 A 및 그룹 B로 나뉠 수 있는 두 개의 구조이성질체(regioisomer)를 포함한다. OBI-821 아쥬반트의 명명법 및 물리화학적 성질들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Figure pct00006
OBI-821 AS의 제조 공정은 3 단계의 정제 단계들(단계 Ⅰ, Ⅱ, 및 Ⅲ)을 포함한다. 중요 원료 물질인 Quil-A에서 발견되는 OBI-821의 초기 함량은 전형적으로 3% 이하이다. 단계 Ⅰ의 정제 공정은 OBI-821 함량을 약 15%로 증가시키고, 여기서 얻어진 중간체들은 정제된 Quil-A(PQA)로 분류된다. 단계 Ⅱ의 공정에서, OBI-821 함량은 염(salt)을 갖는 건조된 형태로 약 0.2g/g으로 증가되고, 여기서 얻어진 중간체들은 조(crude) OBI-821(Crd-821)로 분류된다. 단계 Ⅲ의 정제 공정 후에, OBI-821 함량은 98% 이상으로 풍부해질 수 있고, 이는 OBI-821 AS로 분류된다.
Quil-A는 상업적으로 Brenntag Biosector A/S (Brenntag; Frederikssund, Denmark)로부터 구입할 수 있고, 이는 덴마크 규제 기관에 의해 식품 첨가제로서의 용도에 대해 승인받았다(승인 번호 32119).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은 사포닌계 아쥬반트 유래의 분리된 사포닌 화합물들에 관한 것이다. 용어 "분리된(isolated)"은 해당 사포닌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 구체예에 있어서, 분리된 사포닌 화합물은 불순물 및 그의 다른 이성질체가 없다. 예를 들어, 일 구체예에 있어서, 분리된 사포닌 화합물은 화합물 1990-V1A이고, 이는 화합물 1990-V2A, 화합물 1990-V1B, 화합물 1990-V2B, 화합물 1858-A, 및 화합물 1858-B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두번째 측면은 상기한 분리된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사포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포닌 조성물은 2 이상의 상기 분리된 화합물들을 아쥬반트 효과를 발휘하기에 적합한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담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사포닌 조성물은, 사포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화합물 1990의 혼합물 75 내지 90중량% 및 화합물 1858의 혼합물 10 내지 25중량%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화합물 1990의 혼합물은 화합물 1990-V1A, 화합물 1990-V1B, 화합물 1990-V2A, 화합물 1990-V2B,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 1858의 혼합물은 화합물 1858-A, 화합물 1858-B,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사포닌 조성물은, 사포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화합물 1990의 혼합물 80 내지 88중량% 및 화합물 1858의 혼합물 12 내지 23중량%를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사포닌 조성물은, 사포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화합물 1990-V1A를 약 45 내지 65중량% 포함한다. 특정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사포닌 조성물은, 사포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화합물 1990-V1A 약 45 내지 65중량%; 화합물 1990-V2A 약 19.31 내지 27.99중량%; 화합물 1990-V1B 약 0.29 내지 7.71중량%; 및 화합물 1990-V2B 약 0.11 내지 3.11중량%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의 구체예에서, 상기 사포닌 조성물은, 사포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화합물 1990-V1A 약 49.26 내지 63.42중량%; 화합물 1990-V2A 약 19.31 내지 27.99중량%; 화합물 1990-V1B 약 0.29 내지 7.71중량%; 및 화합물 1990-V2B 약 0.11 내지 3.11중량%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OBI-821의 이성질체 조성을 평가"라는 기재는 OBI-821의 상기 3개의 주요 성분들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하여 OBI-821을 분리하고,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상이 되는 OBI-821가 상기한 3개의 주요 성분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필수적인데, 이는 항체 또는 세포-매개 면역반응을 향상시킴에 있어서의 OBI-821의 기능을 위한 요소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OBI-821의 순도를 평가"라는 기재는 대상이 되는 OBI-821 내에 존재하는 불순물의 함량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대상이 되는 OBI-821 내의 불순물의 함량은 10중량% 미만이고; 즉, 상기 OBI-821의 순도는 90% 이상이다. 이하에서, "OBI-821의 품질을 평가"라는 기재는 대상이 되는 OBI-821 내의 상기 3개의 주요 성분들의 존재 및 OBI-821의 순도 모두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세번째 측면에서는,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에 의해 사포닌 조성물의 이성질체 조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상기 사포닌 조성물을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을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용출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용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을 얻는 단계.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이동상은, 30분에 걸쳐 상기 이동상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의 양은 0%(v/v)에서 20%(v/v)로 변하고, 상기 이동상에서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양은 80%(v/v)에서 100%(v/v)로 변하는 구배(gradient)로 적용되며; 상기 %(v/v)는 상기 이동상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상기 용출은 작업 조건들에 따라 적절한 유속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용출은 0.1 내지 10 mL/min의 유속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칼럼은 분석이 수행되기 전에 버퍼로 컨디셔닝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칼럼은 분석이 완료된 후 세정 버퍼로 세정될 수 있다. 상기 컨디셔닝을 위해 사용되는 버퍼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 아세토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세정 버퍼는 아세토니트릴,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 버퍼는 적절한 구배의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크로마토그램은 상기한 6개의 이성질체들 중 상기 3개의 주요 성분들을 각각 나타내는 3개의 피크들을 포함할 것이다. 실제로, 대상이 되는 OBI-821의 순도를 예비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상기 3개의 피크들의 피크 면적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번째 측면에서,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에 의해 사포닌 조성물의 순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상기 사포닌 조성물을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을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용출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용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을 얻는 단계.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이동상은, 35분에 걸쳐 상기 이동상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의 양은 20%(v/v)에서 80%(v/v)로 변하고, 상기 이동상에서 상기 아세토니트릴의 양은 20%(v/v)에서 80%(v/v)로 변하는 구배로 적용되며; 상기 %(v/v)는 상기 이동상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상기 용출은 작업 조건들에 따라 적절한 유속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용출은 0.1 내지 10 mL/min의 유속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크로마토그램은 "A 형태" 구조이성질체 및 "B 형태" 구조이성질체를 각각 나타내는 2개의 피크들을 포함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A 형태" 구조이성질체를 나타내는 피크는 OBI-821-1990-V1A, OBI-821-1990-V2A, 및 OBI-821-1858-A의 조합일 것이고; "B 형태" 구조이성질체를 나타내는 피크는 OBI-821-1990-V1B, OBI-821-1990-V2B, 및 OBI-821-1858-B의 조합일 것이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2개의 피크들의 피크 면적은 대상이 되는 OBI-821의 순도를 결정하기 위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측면에서, 사포닌 조성물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HILIC와 RP-HPLC를 탠덤으로 사용하여 수행된다. 기본적으로, 사포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기 세번째 측면에 따른 사포닌 조성물의 이성질체 조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적용된 후, 얻어진 분획은 본 발명의 상기 네번째 측면에 따른 OBI-821의 순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a) 상기 사포닌 조성물을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을 제1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제1 용출물을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제1 용출물의 분획을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d)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을 제2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제2 용출물을 수집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용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을 얻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상기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및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의 칼럼, 이동상, 유속 등을 포함하는 조건들은 상기한 단락들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6개의 이성질체들 중 상기한 3개의 주요 성분들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용출물의 분획이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에 적용되어, 분획 중의 "A 형태" 구조이성질체와 "B 형태" 구조이성질체가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6개의 이성질체들 중 상기한 3개의 주요 성분들에 각각 해당하는 3개의 분획들이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에 적용되어, 상기 3개의 주요 성분들 각각의 "A 형태" 구조이성질체와 "B 형태" 구조이성질체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3개의 크로마토그램이 얻어질 수 있고, 그들의 각각은 "A 형태" 구조이성질체를 나타내는 하나의 피크 및 "B 형태" 구조이성질체를 나타내는 하나의 피크를 갖는다. 얻어진 상기 3개의 크로마토그램의 상기 두 피크들의 피크 면적은 대상이 되는 OBI-821의 6개 이성질체들의 각각의 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HILIC에 의한 OBI-821 아쥬반트의 분리
본 실험은 6개의 이성질체들이 관찰될 수 있도록 OBI-821 아쥬반트를 분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 방법 및 조건들은 하기 표 3 및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1.0 내지 2.0mg의 시료를 블랭크 버퍼(탈이온수 중의 80%(v/v)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켜, OBI-821 용액(500㎍/mL)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OBI-821 용액을 WATERS XBridge 아미드 칼럼(Waters Corporation, Part No. 186004896)에 주입하였다. HILIC의 이동상은 용리액 A와 용리액 B의 혼합물이었다. 용리액 A는 탈이온수(DI water)에 용해된 0.1%(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었고, 용리액 B는 아세토니트릴이었다. 이동상의 구배는 하기 표 4에 나타낸 용출 프로그램에 따라 설정되었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데이터 처리:
1. 214nm에서 크로마토그램 처리. 모든 피크들을 통합하고, 모든 피크들의 체류시간, 피크 면적(커브 아래 면적), 및 면적%를 기록. (주: 블랭크(Blank)에 기인한 용매 피크들은 통합하지 말 것). 면적%는 중량%(wt/wt)로 이해될 수 있다.
2. 상대 체류 시간(relative retention time: RRT) 계산
RRT는 피크 1990-V1의 체류 시간에 대한 해당 피크의 체류 시간의 비율이다. 1990-V1의 체류 시간은 OBI-821 용액에서 주 피크의 평균 체류 시간으로 규정된다.
RRT= RT피크/ RT1990-Api
3. 피크 확인
3개의 OBI-821 성분들(1858, 1990-V1 및 1990-V2)은 하기 표 5에 나타낸 상대 체류 시간(RRT)에 의해 식별된다.
Figure pct00009
데이터 분석:
1. 시스템 적합성 테스트(SST)
SST의 결과는 OBI-821 용액의 주입으로부터 얻어진다. RT의 상대 표준 편차(RSD%) 및 1990-Api의 피크 면적이 계산된다. RT 및 피크 면적의 허용 기준치는 2% 미만이어야 한다.
2. 당 이성질체 분포
당 이성질체 분포는 피크의 피크 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1858(%) = 1858의 피크 면적 / 3개 피크(1858, 1990-V1 및 1990-V2)의 피크 면적의 합계 × 100%
1990-V1(%) = 1990-V1의 피크 면적/ 3개 피크(1858, 1990-V1 및 1990-V2)의 피크 면적의 합계 × 100%
1990-V2(%) = 1990-V2의 피크 면적 / 3개 피크(1858, 1990-V1 및 1990-V2)의 피크 면적의 합계 × 100%
상기 결과치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대 표준 편차(%RSD)를 계산한다. 최종 결과값을 평균 물 함량±표준 편차로 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OBI-821의 크로마토그램은 9.661분(이하, 피크 1; OBI-821-1858), 10.113분(이하, 피크 2; OBI-821-1990-V1) 및 10.560분(이하, 피크 3; OBI-821-1990-V2)의 체류 시간에서 각각 3개의 주 피크들을 나타내었다. 또한, 6.300분의 체류 시간에서 다른 피크가 나타났는데, 이는 HILIC의 용매 피크일 것이다.
상기한 3개의 주 피크들의 용출물들을 더 확인하기 위하여, OBI-821의 상기 3개 피크들의 분획들을 수집하고, 음성 ESI MS에 의해 조사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BI-821-1990-V1(피크 2) 및 OBI-821-1990-V2(피크 3)에 대해 m/z 1989가 관찰되었고; OBI-821-1858(피크 1)에 대해 m/z 1857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m/z 결과들은 각각 이론적 분자량 1990.13192(C92H148O46) 및 1858.0173(C87H140O42)과 일치하였다.
OBI-821의 이성질체들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ESI MS에서의 3개 피크들의 용출물들을 유도 주입 MS/MS 및 MS/MS/MS 분석을 이용한 구조 분석에 추가로 적용하였다. 탠덤 MS 구조 정보는 도 3(a)에 요약되어 있다. MS/MS 스펙트럼은 도 3(b)에 도시되어 있고, 도면에서의 할당된 질량 피크는 MS/MS/MS 분석을 위해 선택되었다. 탠덤 질량 스펙트럼으로부터, 단편 이온들(fragment ions)과 모(parent) 이온 간의 상응하는 구조 관계가 나타났다.
이어서, 상기 3개의 분획들의 특성을 더 구분하기 위하여, 펄스식 전기화학 검출과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HPAEC-PAD) 단당류 분석(Thermo Fisher Scientific, CarboPac PA1 칼럼(Part. No. 035391, 4×250mm)을 갖는 Dionex ICS-5000)을 수행하였다. HILIC로부터 OBI-1990-V1, OBI-821-1990-V2, 및 OBI-821-1858이 수집되었고, 이들은 회전증발기로 농축되었다. 농축된 OBI-1990-V1, OBI-821-1990-V2, 및 OBI-821-1858은 4시간 동안 100℃ 하에서 4M TFA에 의해 가수분해되었고, 동결건조되었다. 동결건조 후에, OBI-1990-V1, OBI-821-1990-V2, 및 OBI-821-1858은 탈이온수에 의해 복원되었고, 펄스식 전기화학 검출과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HPAEC-PAD)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동상 A로서 200mM 소듐히드록사이드가 사용되었고, 이동상 B로서 탈이온수가 사용되었다. 이동상 C로서 100mM 소듐히드록사이드와 500mM 소듐아세테이트가 사용되었다.
이동상의 초기 조성은 이동상 A 91%, 이동상 B 9%로 10분 동안 유지되었다. 그런 다음 이동상 A 90%와 이동상 C 10%로 변경되었고, 이어서 10분에 걸쳐 이동상 A 60%와 이동상 C 40%로 선형 구배로 변경되었다. 그 후, 이동상 A 100%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세정 단계가 수행되었다.
도 4 및 표 6에 나타낸 결과들에 따르면, 3개의 용출물들 모두 하나의 푸코오스, 하나의 람노오스, 하나의 갈락토오스, 하나의 글루쿠론산 및 하나의 아라비노스를 가지고 있었으나, 자일로스 및 아피오스의 수는 서로 달랐다. 피크 1 분획은 2개의 자일로스를 가졌지만 아피오스는 없었다. 피크 2 분획은 2개의 자일로스 및 하나의 아피오스를 가졌다. 피크 3 분획은 3개의 자일로스를 가졌으나 아피오스는 없었다. 따라서, 상기 3개의 분획들은 각각 OBI-821-1858 이성질체, OBI-821-1990-V1 이성질체 및 OBI-821-1990-V2 이성질체로 확인되었다. 즉, 본 실험에서 수행된 상기 HILIC 분석은 OBI-821의 6개 이성질체들 중 상기 3개의 주요 성분들을 분리할 수 있었다. 즉, OBI-821의 상기 3개의 주요 성분들은 상기한 HILIC 분석을 통해 명확하게 관찰될 수 있었다.
Figure pct00010
실시예 2: RP-HPLC에 의한 OBI-821 아쥬반트의 구조이성질체들의 확인
본 실험에서는, OBI-821의 구조이성질체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에 의해 OBI-821를 분리하였다. 당분야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OBI-821은 푸코오스의 4-히드록실 위치에 결합된 아실기를 갖는 A 형태 구조이성질체와 3-히드록실 위치에 아실기를 가진 B 형태 구조이성질체를 갖는다. RP-HPLC의 조건들은 하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요약하면, 시료를 제제화 버퍼(1.25mg/mL)에 용해시키고, YMC-Pack C4 칼럼(Part No. BU30S05-2546WT, 5㎛, 4.6×250mm) 내로 주입하고, 상기 칼럼을 15분에 걸쳐 물/아세토니트릴 구배 중의 0.1% TFA를 포함하는 이동상에 의해 용출시켰다. 그런 다음, 얻어진 용출물을 214nm의 자외선으로 검출하였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데이터 처리:
1. 214nm에서 크로마토그램 처리. 통합 파라미터들은 하기에 열거된다:
(a) 피크 폭: 30
(b) 한계값: 50.0
(c) 최소 피크 높이: 2000
(d) 통합 시간: 6~17분
2. 피크 정의
YMC-Pack C4 크로마토그래피에서, OBI-821은 주 피크(Major peak)와 부 피크(Minor peak)로 구성된다. 주 피크와 부 피크의 체류 시간을 기록한다. 주 피크에 대한 부 피크의 상대 체류 시간(RRT)은 0.95~0.97 내이어야 한다.
데이터 분석:
1. 시스템 적합성
평균 체류 시간과 피크 면적 및 상대 표준 편차(RSD)를 계산한다. RT 및 피크 면적의 RSD는 2% 미만이어야 한다. SST의 피크들은 또한 하기 기준들을 충족하여야 한다:
USP 테일링(tailing): 0.5~2.0
USP 평판 계수(plate count): ≥8000
분해능(resolution): ≥1.8
2. OBI-821의 확인:
시료의 피크 체류 시간을 기록한다. 시료의 체류 시간은 OBI-821 참조 표준의 체류 시간에 상응하여야 한다. 체류 시간과 상기 표준의 차이는 2% 이내이어야 한다.
3. OBI-821의 순도 및 불순물 결정
상기 순도 및 불순물은 다음과 같이 피크 면적%를 기록하는 피크 면적 분석에 의해 결정된다:
순도(%) = (AOBI-821/A총 피크들)
단일 불순물(%) = (A단일 불순물 피크/A총 피크들)
총 불순물(%) = (A총 불순물 피크들/A총 피크들)
AOBI-821 = 시료의 주 피크와 부 피크의 피크 면적의 합계
A단일 불순물 피크 = 용매 피크들을 제외한 단일 불순물 피크의 피크 면적
A총 불순물 피크들 = 용매 피크들을 제외한 각각의 단일 불순물 피크들의 피크 면적의 합계
A총 피크들 = 용매 피크들을 제외한 모든 피크들의 피크 면적
각 시료의 순도(%) 및 불순물(%)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결과들은 도 5에 나타내었다. 체류 시간 9.912분에 주 피크가 있었고, 체류 시간 9.526분에 부 피크가 있었다. 주 피크는 OBI-821-1858-A, OBI-821-1990-V1A, 및 OBI-821-1990-V2A를 포함하는 A 형태 구조이성질체를 나타낸다. 부 피크는 OBI-821-1858-B, OBI-821-1990-V1B, 및 OBI-821-1990-V2B를 포함하는 B 형태 구조이성질체를 나타낸다. 체류 시간 7.104분에서의 추가 피크는 불순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는 본 실험에서의 RP-HPLC가 OBI-821의 두가지 형태의 구조이성질체들을 분리할 수 있고, 그들의 존재 및 함량을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상기 불순물 피크, 주 피크 및 부 피크의 상대 체류 시간은 주 피크의 체류 시간을 표준으로 사용하여 계산되었다(표 9). 또한, 순도는 약 96.72%였다. 얻어진 결과들과 함께, 본 발명의 RP-HPLC는 대상이 되는 OBI-821의 순도를 결정하는데 유용하였다.
Figure pct00013
실시예 3: HILIC와 RP-HPLC의 탠덤 조합에 의한 OBI-821의 6개 이성질체들의 확인
실시예 1에 기재된 연구는 본 발명의 HILIC 분석이 OBI-821 이성질체들 중 3개의 주요 성분들을 분리할 수 있다는 증거들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2에서의 연구는 본 발명의 RP-HPLC 분석이 OBI-821의 구조이성질체들을 관찰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해주었다. 따라서, HILIC 분석에서 수집된 분획들을, 각 분획의 A 형태 구조이성질체와 B 형태 구조이성질체로 더 분류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HILIC 분석과 RP-HPLC 분석을 탠덤으로 조합하는 것은 적합할 것이다. 이어서, OBI-821의 6개 이성질체들은 분리될 수 있고, 그들의 함량이 계산될 수 있다.
본 실험에서, 6개의 아쥬반트 물질 시료들을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HILIC에 적용하여, 상기한 3개의 주요 성분들을 대표하는 3개의 분획들을 수집하였다. 그 후, 각 분획을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RP-HPLC에 각각 적용하여, 그들의 구조이성질체들을 분리하였다. 따라서, 분석 말기에, 6개의 이성질체들이 각각의 OBI-821 시료로부터 수득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각 시료의 6개 피크들의 피크 면적이 각 이성질체의 함량 계산을 위해 결정되었다. OBI-821 AS(아쥬반트 물질; Adjuvant Substance) 및 OBI-821 AP(아쥬반트 생성물; Adjuvant Product)의 결과들을 하기 표 10 및 표 1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 OBI-821 AP(아쥬반트 생성물)은 OBI-821 AS의 동결건조 제제이다.
보고된 퍼센트는 HILIC 및 RP-HPLC의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로부터 정규화되어 계산된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조성에 의해, 3개의 주요 이성질체들인 OBI-821-1990-V1A, OBI-821-1990-V2A, 및 OBI-821-1858-A가 OBI-821 아쥬반트의 90% 이상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들 3개의 주요 이성질체들은 푸코오스 잔기의 4-히드록실기에 부착된 지방산 아실 치환기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6개의 이성질체들 중, OBI-821-1990-V1A는 49 내지 63%로 계산되고, 이는 OBI-821 아쥬반트의 주요 이성질체이다.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기계적 용어들과 과학적 용어들 및 임의의 약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들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 방법, 키트 및 정보 전달 수단들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임의의 조성물, 방법, 키트 및 정보 전달 수단들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조성물, 방법, 키트 및 정보 전달 수단들이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들은 그 전체 내용이 적법하게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그러한 참고문헌들에 대한 논의는 단순히 해당 저자들의 의견을 요약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어느 참고문헌(또는 어느 참고문헌의 일부)이 본 발명과 관련있는 선행기술임을 인정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본 출원인은 인용된 임의의 참고문헌의 정확성 및 적합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권리를 보유한다.

Claims (27)

  1. 하기 화학식 (I)의 분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pct00016
    (I)
    여기서, R1은 β-D-아피오스, β-D-자일로스 또는 H로부터 선택되고;
    R2 및 R3은 H 또는
    Figure pct00017
    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β-D-아피오스이고, R2
    Figure pct00018
    이며, R3은 H인 분리된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β-D-아피오스이고, R2는 H이며, R3
    Figure pct00019
    인 분리된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β-D-자일로스이고, R2
    Figure pct00020
    이며, R3은 H인 분리된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β-D-자일로스이고, R2는 H이며, R3
    Figure pct00021
    인 분리된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H이고, R2
    Figure pct00022
    이며, R3은 H인 분리된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H이고, R2는 H이며, R3
    Figure pct00023
    인 분리된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리된 화합물의 하나 이상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사포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포닌 조성물은, 상기 사포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화합물 1990의 혼합물 약 75 내지 90중량%; 및
    화합물 1858의 혼합물 약 10 내지 2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 1990의 혼합물은 화합물 1990-V1A, 화합물 1990-V1B, 화합물 1990-V2A, 화합물 1990-V2B,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 1858의 혼합물은 화합물 1858-A, 화합물 1858-B,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 1990-V1A, 화합물 1990-V1B, 화합물 1990-V2A, 화합물 1990-V2B, 화합물 1858-A, 화합물 1858-B는 각각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것인 사포닌 조성물:
    Figure pct00024
    (I)

    화합물 1990-V1A는 상기 식에서 R1이 β-D-아피오스이고, R2
    Figure pct00025
    이며, R3이 H이고;
    화합물 1990-V1B는 상기 식에서 R1이 β-D-아피오스이고, R2가 H이며, R3
    Figure pct00026
    이고,
    화합물 1990-V2A는 상기 식에서 R1이 β-D-자일로스이고, R2
    Figure pct00027
    이며, R3이 H이고;
    화합물 1990-V2B는 상기 식에서 R1이 β-D-자일로스이고, R2가 H이며, R3
    Figure pct00028
    이고;
    화합물 1858-A는 상기 식에서 R1이 H이고, R2
    Figure pct00029
    이며, R3이 H이고;
    화합물 1858-B는 상기 식에서 R1이 H이고, R2가 H이며, R3
    Figure pct00030
    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포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화합물 1990-V1A 약 45 내지 65중량%;
    화합물 1990-V2A 약 19.31 내지 27.99중량%;
    화합물 1990-V1B 약 0.29 내지 7.71중량%;
    화합물 1990-V2B 약 0.11 내지 3.11중량%;
    화합물 1858-A 약 11.94 내지 21.25중량%; 및
    화합물 1858-B 약 0.06 내지 2.44중량%를 포함하는 사포닌 조성물.
  11.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사포닌 조성물의 이성질체 조성을 평가하기 위한방법:
    (a) 상기 사포닌 조성물을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을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용출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용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을 얻는 단계;
    여기서, 상기 이동상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 및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한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은 0.1 내지 10 mL/min의 유속으로 수행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은 아미드 칼럼인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토그램은 자외선 검출에 의해 수득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포닌 조성물은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사포닌 조성물인 방법.
  16.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사포닌 조성물의 순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
    (a) 상기 사포닌 조성물을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을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용출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용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을 얻는 단계;
    여기서, 상기 이동상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아세토니트릴 용액을 포함한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은 0.1 내지 10 mL/min의 유속으로 수행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은 소수성 칼럼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칼럼은 C4 칼럼, C8 칼럼, 또는 C18 칼럼인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토그램은 자외선 검출에 의해 수득되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포닌 조성물은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사포닌 조성물인 방법.
  22.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사포닌 조성물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a) 상기 사포닌 조성물을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b) 상기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을 제1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제1 용출물을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제1 용출물의 분획을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에 적용하는 단계;
    (d)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을 제2 이동상으로 용출시켜 제2 용출물을 수집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용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을 얻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 이동상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 및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상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용액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아세토니트릴 용액을 포함한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용출은 0.1 내지 10 mL/min의 유속으로 수행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용출은 0.1 내지 10 mL/min의 유속으로 수행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상호작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LIC) 칼럼은 아미드 칼럼인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 칼럼은 소수성 칼럼인 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칼럼은 C4 칼럼, C8 칼럼, 또는 C18 칼럼인 방법.
KR1020207026435A 2018-03-28 2019-03-27 신규한 사포닌 아쥬반트 및 그의 평가 방법 KR20200136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49091P 2018-03-28 2018-03-28
US62/649,091 2018-03-28
PCT/US2019/024414 WO2019191317A1 (en) 2018-03-28 2019-03-27 Novel saponin adjuvant and evalu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901A true KR20200136901A (ko) 2020-12-08

Family

ID=6805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435A KR20200136901A (ko) 2018-03-28 2019-03-27 신규한 사포닌 아쥬반트 및 그의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024569A1 (ko)
EP (1) EP3755367A4 (ko)
JP (1) JP7364587B2 (ko)
KR (1) KR20200136901A (ko)
CN (1) CN112118862A (ko)
CA (1) CA3095340A1 (ko)
TW (1) TWI820099B (ko)
WO (1) WO20191913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9993B (zh) * 2019-11-21 2022-07-05 华侨大学 一种油茶籽油皂苷类化合物结构推测方法
US20230287038A1 (en) * 2020-08-07 2023-09-14 Access To Advanced Health Institute Purified saponins and chromatographic process for purification of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077795A (en) 1993-09-30 1995-04-18 Seed Capital Investments (Sci) B.V. Compounds with adjuvant activity
KR0184779B1 (ko) * 1995-04-13 1999-04-01 성재갑 퀼라야 사포나리아 몰리나로부터 분리정제된 사포닌 변이체, 이의 분리정제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백신 제형
US6231859B1 (en) * 1996-12-02 2001-05-15 Aquila Biopharmaceuticals, Inc. Saponin adjuvant compositions
TWI457133B (zh) * 2005-12-13 2014-10-21 Glaxosmithkline Biolog Sa 新穎組合物
EP3490592A4 (en) 2016-07-27 2020-03-25 OBI Pharma, Inc. IMMUNOGENIC / THERAPEUTIC GLYCAN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A3038245A1 (en) 2016-09-26 2018-03-29 Natural Response, S.A. Production of biomass in ultra high density plan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0099B (zh) 2023-11-01
WO2019191317A1 (en) 2019-10-03
TW201941788A (zh) 2019-11-01
CA3095340A1 (en) 2019-10-03
EP3755367A1 (en) 2020-12-30
CN112118862A (zh) 2020-12-22
JP2021519329A (ja) 2021-08-10
JP7364587B2 (ja) 2023-10-18
US20210024569A1 (en) 2021-01-28
EP3755367A4 (en)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pert et al. Hydrophilic-interaction chromatography of complex carbohydrates
Harvey et al. Composition of N-linked carbohydrates from ovalbumin and co-purified glycoproteins
Baert et al. Isolation, characteris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main oligomeric macrocyclic ellagitannins in Epilobium angustifolium by ultra-high performance chromatogra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Reuter et al. Identification of new sialic acids derived from glycoprotein of bovine submandibular gland
Xing et al. Comprehensive HILIC× RPLC with mass spectrometry detection for the analysis of saponins in Panax notoginseng
KR20200136901A (ko) 신규한 사포닌 아쥬반트 및 그의 평가 방법
AU2020202064A1 (en) Novel compound contained in manuka honey and use of same
Elbandy et al. Analysis of saponins as bioactive zoochemicals from the marine functional food sea cucumber Bohadschia cousteaui
Svennerholm Isolation of gangliosides
Pereira et al. Comparison of propolis from Apis mellifera and Tetragonisca angustula
Pandey et al. POLYENE ANTIBIOTICS. V. CHARACTERIZATION OF COMPONENTS OF THE FILIPIN COMPLEX BY MASS SPECTROMETRY1
Fouada et al. In vitro and in vivo antilithiasic effect of saponin rich fraction isolated from herniaria hirsuta
Jin et al. Rapid qua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yasaponi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mass spectrometry
Di Benedetta et al. Compositional patterns of sialofucohexosaminoglycans derived from rat brain glycoproteins
DE102008012336A1 (de) Trennung von geladenen soluten durch elektrostatische Abstossungs-/hydrophile Interaktionschromatographie
Deineka et al. Hydrophil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as an alternative to reversed-phase HPLC in determining anthocyanins and betacyanins
JP6659592B2 (ja) L−α−グリセロホスホリルコリンを精製するための方法
Minzer et al. Synthesis of mucin O‐Glycans associated with attenuation of pathogen virulence
RU2806331C1 (ru) Применение 1-(3,5-дигидрокси-4-метоксифенил)-2-(3-гидроксифенил)-этана в качестве средства, обладающего антиагрегацион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Ahn et al. Lignans and Macrolides from the Leaves of Houttuynia cordata wit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NO Production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l et al. Purification of the lipopolysaccharide fraction from Klebsiella pneumoniae O1 K2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20160158265A1 (en) Isolation of novel bioactive compound obtained from oil palm base materials
Balabanova et al. Preliminary study on bioactive fractions from sudanese plant Solanum schimperianum Hochst
CN114938646A (zh) 分析地加瑞克及其相关产物的方法
García Durán et al. Dereplication of Bioactive Spirostane Saponins from Agave macroacanth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