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787A - 다양한 크기의 탱크를 하나의 장치로 용접 - Google Patents

다양한 크기의 탱크를 하나의 장치로 용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787A
KR20200136787A KR1020190062833A KR20190062833A KR20200136787A KR 20200136787 A KR20200136787 A KR 20200136787A KR 1020190062833 A KR1020190062833 A KR 1020190062833A KR 20190062833 A KR20190062833 A KR 20190062833A KR 20200136787 A KR20200136787 A KR 20200136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oving
moving unit
installation frame
weld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대근
Original Assignee
안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대근 filed Critical 안대근
Priority to KR102019006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6787A/ko
Publication of KR2020013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용접대상물의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키는 이동유닛의 수 평 및 수직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어 다양한 압축가스와 같은 내용물이 충전될 다양한 규격의 압력탱크를 하 나의 장치로서 용이하게 용접 처리할 수 있는 압력탱크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좌 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회전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모터 측에는 용접대상물의 일단 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수평이동유닛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모터 측에 그 일단이 고정된 용접대상물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수평이동유닛 과,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동유닛의 내측 전방에 전후방향 수평이동 및 상하방향 수직이동 가능 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동 유닛 사이로 용접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동유닛의 내측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동유닛 사이에 그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용접대상물을 용접 처리하는 용접머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양한 크기의 탱크를 하나의 장치로 용접{Welding various sizes of tanks in one unit}
본 발명은 탱크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용접대상물 의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키는 이동유닛의 수평 및 수직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어 다양한 압축가스와 같은 내용물이 충전될 다양한 규격의 압력탱크를 하나의 장치로서 용이하게 용접 처리할 수 있는 탱크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압축가스 등과 같은 유체가 밀실하게 충전되는 압력탱크는 원통형 소재를 서로 용접 결합함으로써 제조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원통형 소재를 조금씩 회전시키면서 수작업으로 용접을 진행하였는데 이 경우 다수의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해 생산비용이 높고 생산성과 품질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작 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용접상태가 달라 고른 품질의 압력탱크를 얻어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압력탱크의 용접부위를 가용접 한 뒤 그 양단을 파지한 상태로 서서히 회전시키고 그 일측에서 용접머신을 이용해 용접부위가 용접되도록 하는 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의 경우 동일 한 크기 및 용량의 압력탱크만을 용접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크기나 용량마다 각각 별도의 용접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접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용접대상물의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키는 이동유닛의 수평 및 수직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어 다양한 압축가스와 같은 내용물이 충전될 다양한 규격의 압력탱 크를 하나의 장치로서 용이하게 용접 처리할 수 있는 탱크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 치되고 상부에는 회전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모터 측에는 용접대상물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수평이동유닛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모터 측에 그 일단이 고정된 용접대상물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수평이동유닛과,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동유닛의 내측 전방에 전후방향 수평이동 및 상하방향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용 접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동유닛 사이로 용접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동유닛의 내측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수평 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동유닛 사이에 그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용접대상물을 용접처리하는 용접머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탱크 용접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에 따르면 용접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용접대상물의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키는 이동유닛의 수평 및 수직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어 다양한 압축가스와 같은 내용물이 충전될 다양한 규격의 압력탱크를 하나의 장치로서 용이하게 용접 처리 할 수 있어 생산효율 및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동일한 품질의 압력탱크를 생산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제 1 이동프레임에 대한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제 2 이동프레임에 대한 작동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이송유닛에 대한 작동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안착수단에 대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제 1 이동프레임에 대한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 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제 2 이동프레임에 대한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이송유닛에 대한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안착수단에 대한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5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0)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회전모터(15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모터(150) 측에는 용접대상물(60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수평이동유닛(10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 트(500)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모터(150) 측에 그 일단이 고정된 용접대상 물(600)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수평이동유닛(200)과,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100) 및 제 2 수 평이동유닛(200)의 내측 전방에 전후방향 수평이동 및 상하방향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용접대상 물(600)이 안착되는 안착수단(360)이 마련되어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100) 및 제 2 수평이동유닛(200) 사이로 용접대상물(600)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300)과,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100) 및 제 2 수평이동유닛(200)의 내 측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100) 및 제 2 수평이동유닛(200) 사이에 그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용접대상물(600)을 용접 처리하는 용접머신(400)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50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그 상부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50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지지다리를 갖는 테이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500) 일측에는 제 1 수평이동유닛(100)이 설치되는데 이 제 1 수평이동유닛 (100)은 용접대상물(600)의 크기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일단이 고정된 용접대상물(6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수평이동유닛(100)은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회전모터(15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모터(150) 측에는 용접대상물(60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수평이동유닛(100)은, 제 1 설치프레임(110)과, 제 1 설치프레임(110)의 상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20)과, 제 1 가이드레일(120) 상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는 제 1 이동프레임(130)과, 제 1 설치프레임(11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며 작동여부에 따라 제1 이동프레임(130)을 제 1가이드레일(120)상에서 수평이동시키는 제 1 실린더기구(140)와, 제 1 이동프레임(130) 상에 설치되고 그 선단에는 용접대상물(60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작동여부에 따라 용접대상 물(6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150)가 포함된다.
즉, 전술한 제 1 이동프레임(130)은 제 1 실린더기구(140)의 작동 여부에 따라서 제 1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되며, 따라?서? 용접대상물(600)의 크기에 따라 그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 1 실린더기구(140)와 추후에 설명될 제 2 내지 제 4 실린더기구(240,330,350)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린더기구와 동일한 것으로 작동원리 및 제어방법 등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 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회전모터(150)는 용접대상물(600)의 외주연에 대한 용접작업이 가능 하도록 용접대상물(60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그 선단에는 용접대상물(600)의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회전모터(150)의 선단에는 용접대상물(600)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어댑더부재(151)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 1 이동프레임(130)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 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경우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추후 에 설명될 제 2 이동프레임(230) 또한 동일하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500) 일측에는
전술한 회전모터(150)와 추후에 설명될 용접머신(400)의 전원을 공급하고 그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수단(도시 되지 않음)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제 1 수평이동유닛(100)이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타측에는 제 2 수평이동유닛(200)이 설 치되는데 이 제 2 수평이동유닛(200)은 용접대상물(600)의 크기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일단이 제 1 수평이동유닛(100)에 고정된 용접대상물(600)의 타측을 회전가능하게 고정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 수평이동유닛(200)은, 제 2 설치프레임(210)과, 제 2 설치프레임(210)의 상부의 일측에 길이방향 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220)과, 제 2 가이드레일(220) 상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는 제 2 이동프레임(230)과, 제 2 설치프레임(21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며 작동여부에 따라 제 2 이동프레임(230)을 제 2 가이드레일(220) 상에서 수평이동시키는 제 2 실린더기구(240)와, 제 2 이동프레임(230) 상에 설치되고 그 선단에는 용접대상물(600)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형 고정부재(250)가 포함된다.
즉, 전술한 제 2 이동프레임(230)은 제 2 실린더기구(240)의 작동 여부에 따라서 제 2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되며, 따라서 용접대상물(600)의 크기에 따라 그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2 이동프레임(230)의 수평이동은 전술한 제 1 이동프레임(130)의 수평이동방향과 동일선 상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제 1 수평이동유닛(100) 및 제 2 수평이동유닛(200)의 내측 전방에는 이송유닛(300)이 전후방향 수 평이동 및 상하방향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이송유닛(300)은 용접대상물(600)을 제 1 수평이동유닛 (100)과 제 2 수평이동유닛(200) 사이로 장착 가능하게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용접대상물 (600)이 안착되는 안착수단(360)이 마련되어 제 1 수평이동유닛(100) 및 제 2 수평이동유닛(200) 사이로 용접대 상물(600)을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이송유닛(300)은, 베이스 플레이트(500)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 3 가이드레일(310)과, 가이드레일 상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는 제 3 설치프레임(320)과, 베이스 플레이트(500) 상에 설치 되되 제 2 설치프레임(210) 후방에 구비되어 작동여부에 따라 제 3 이동프레임을 제 3 가이드레일(310) 상에서 수평이동시키는 제 3 실린더기구(330)와, 제 3 설치프레임(320) 상에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4설치프레임(340)과, 제 3 설치프레임(320) 및 제 4설치프레임(340) 사이에 설치되며 작동여부에 따라 제 4설치프레임(340)을 제 3 설치프레임(320)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키는 제 4실린더기구(350)와,제 4설치프레임(340)상에 설치되며 용접대상을(600)이송가능하게 안착
위치되는 안착수단(360)이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안착수단(360)은, 제 4 설치프레임(34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5 설치프레임(361)과, 제
5 설치프레임(361)의 양단에 위치되며 제 1 회전손잡이(363)에 의해 상호 폭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프레 임(362)과, 각각의 안착프레임(362) 상부에 한 쌍씩 돌출 구비되며 제 2 회전손잡이(365)에 의해 상호 폭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돌기(364)가 포함된다.
즉, 전술한 제 3 설치프레임(320)은 제 3 실린더기구(330)의 작동여부에 따라 제 1 이동프레임(130)과 제 2 이 동프레임(230)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되고, 제 4 설치프레임(340)은 제 4 실린더기구(350)의 작동여부 에 따라 제 3 실린더기구(33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된다. 또한 용접대상물(600)의 길이에 따라 제 1 회전손잡이(363)를 이용해 양측 안착프레임(362)의 거리를 조절하고 용접대상물(600)의 두께에 따라 제 2 회전 손잡이(365)를 이용해 양측 고정돌기(364)의 거리를 조절하여 용접대상물(600)이 유동되지 않도록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회전손잡이(363)와 제 2 회전손잡이(365)는 각각 양측의 안착프레임(362)과 고정돌기(364) 의 거리조절을 제어하는 것으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5 설치프레임(361)의 상부와 안착프레임(362) 내부 에는 선형기어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각각의 회전손잡이의 회전여부에 따라 양측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 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형기어와 그 작동원리 및 제어방법이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 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제 1 수평이동유닛(100) 및 제 2 수평이동유닛(200)의 내측 후방에는 용접머신(400)이 구비되는데, 이 용접머신(400)은 전술한 제 1 수평이동유닛(100) 및 제 2 수평이동유닛(200) 사이에 그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용접대상물(600)의 외주연을 용접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용접머신(400)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접머신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그 작동원리 및 제어방법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 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탱크 용접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접대상물(600)의 길이에 따라 제 1 회전손잡이(363)를 이용해 양측 안착프레임(362)의 거리를 조절한 다 음 안착프레임(362) 상에 용접대상물(600)을 올려놓고, 제 2 회전손잡이(365)를 이용해 용접대상물(600)이 유동 되지 않도록 양측 고정돌기(364)가 용접대상물?(600)을 두께방향으로 파지하도록 그 거리를 조절해 준다. 이때 용접대상물(600)의 용접부위는 스팟용접 방식으로 가용접 되어 있거나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런 다음 제 3 실린더기구(330)를 작동시켜 제 3 설치프레임(320)이 제 3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베이스 플레 이트(500)의 후방 측, 즉 제 1 이동프레임(130)과 제 2 이동프레임(230) 사이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 4 실린더기구?(350)를 작동시켜 제 4 설치프레임(340)이 제 3 설치프레임(320)으로부터 상측 방향 으로 수직이동되도록 하는데, 이때 이동되는 높이는 용접대상물(600)의 양단이 회전모터(150)와 회전형 고정부 재(250) 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 높이까지이며, 용접대상물(600)의 일단은 회전모터(150)의 어댑터부재(151) 에 그리고 타단은 회전형 고정부재(250)에 각각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제 4 실린더기구(350)를 작동시켜 제 4 설치프레임(340)을 하측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킨 뒤 제 3 실린 더기구(330)를 작동시켜 제 3 설치프레임(320)이 제 3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전방으 로 원위치 되도록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회전모터(150)를 작동시켜 용접대상물(600)을 회전시키고 용접머신(400)을 이용해 회존되는 용접대 상물(600)의 용접부위의 외주연을 용접 처리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압력탱크 용접장치 100 : 제 1 수평이동유닛
110 : 제 1 설치프레임 120 : 제 1 가이드레일
130 : 제 1 이동프레임 140 : 제 1 실린더기구
150 : 회전모터 151 : 어댑터부재
200 : 제 2 수평이동유닛 210 : 제 2 설치프레임
220 : 제 2 가이드레일 230 : 제 2 이동프레임
240 : 제 2 실린더기구 250 : 회전형 고정부재
300 : 이송유닛 310 : 제 3 가이드레일
320 : 제 3 설치프레임 330 : 제 3 실린더기구
340 : 제 4 설치프레임 350 : 제 4 실린더기구
360 : 안착수단 361 : 제 5 설치프레임
362 : 안착프레임 363 : 제 1 회전손잡이
364 : 고정돌기 365 : 제 2 회전손잡이

Claims (1)

  1.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회전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회 전모터 측에는 용접대상물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수평이동유닛;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모터 측에 그 일단이 고정된 용접대상물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수평이동유닛;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동유닛의 내측? 전방에 전후방향 수평이동 및 상하방향 수직이동 가능하 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동유 닛 사이로 용접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동유닛의 내측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 및 제 2 수평이 동유닛 사이에 그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용접대상물을 용접 처리하는 용접머신;이 포함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 3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는 제 3 설치프레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 2 설치프레임 후방에 구비되어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제 3 이동프 레임을 상기 제 3 가이드레일 상에서 수평이동시키는 제 3 실린더기구;
    상기 제 3 설치프레임 상에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4 설치프레임;
    상기 제 3 설치프레임 및 제 4 설치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제 4 설치프레임을 상기 제 3 설치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키는 제 4 실린더기구; 및
    상기 제 4 설치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용접대상물이 이송가능하게 안착 위치되는 안착수단이 포함되는 압력탱크 용접장치.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이동유닛은, 제 1 설치프레임;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의 상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상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는 제 1 이동프레임;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며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을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상에서 수평이동시키는 제 1 실린더기구;
    상기 제 1 이동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그 선단에는 용접대상물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작동여부에 따라 용접대상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탱크 용접장치.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평이동유닛은, 제 2 설치프레임;
    상기 제 2 설치프레임의 상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
KR1020190062833A 2019-05-28 2019-05-28 다양한 크기의 탱크를 하나의 장치로 용접 KR20200136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833A KR20200136787A (ko) 2019-05-28 2019-05-28 다양한 크기의 탱크를 하나의 장치로 용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833A KR20200136787A (ko) 2019-05-28 2019-05-28 다양한 크기의 탱크를 하나의 장치로 용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87A true KR20200136787A (ko) 2020-12-08

Family

ID=7377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833A KR20200136787A (ko) 2019-05-28 2019-05-28 다양한 크기의 탱크를 하나의 장치로 용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67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135B1 (ko) 2022-07-29 2023-01-20 주식회사 팀스 고소작업해소 안전확보 및 대형 구조물 편의제작의 용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135B1 (ko) 2022-07-29 2023-01-20 주식회사 팀스 고소작업해소 안전확보 및 대형 구조물 편의제작의 용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68847A (zh) 焊接设备
KR101041280B1 (ko) 콘베이어 롤러 자동 용접기
KR101886407B1 (ko) 용접용 지그
KR101000444B1 (ko) 용접비드면 사상작업을 위한 사상로봇
KR20110102601A (ko) 기계용접용 용접 포지셔너 장치
KR20150144513A (ko) 파이프 맞대기 용접 및 플랜지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 장치
KR20070034150A (ko) 용접 대상물 지지장치
KR101275251B1 (ko) 압력탱크 용접장치
CN201841391U (zh) 法兰自动焊接机
WO2024045958A1 (zh) 一种全自动钢管焊接装置及其焊接方法
CN103212769A (zh) 用于焊接压力容器立式环缝的焊接装置
KR20200136787A (ko) 다양한 크기의 탱크를 하나의 장치로 용접
KR101883837B1 (ko) 복합 자동 용접 장치
JPH11285894A (ja) ロボット、ワーク等の駆動位置決め装置
KR20200114675A (ko) 용이한 압력탱크 용접장치
CN204487041U (zh) 一种焊接设备
KR200456283Y1 (ko)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CN102717209A (zh) 一种应用于侧架支撑座自动焊机的焊接退让小车
CN219520862U (zh) 一种自动定位入料的金属板材激光切割机
CN216504010U (zh) 一种焊管焊缝打磨清理装置
KR20090016319A (ko) 포터블 타입 티그(tig) 자동용접장비를 포함한 강관연결시공방법
JP3186748U (ja) ドリルビット挟持の自動補償装置
CN202411623U (zh) 一种侧架支撑座自动焊机
CN102489828B (zh) 一种侧架支撑座自动焊机
JP2000153502A (ja) 木造建築用のほぞ加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