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604A -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604A
KR20200136604A KR1020190062344A KR20190062344A KR20200136604A KR 20200136604 A KR20200136604 A KR 20200136604A KR 1020190062344 A KR1020190062344 A KR 1020190062344A KR 20190062344 A KR20190062344 A KR 20190062344A KR 20200136604 A KR20200136604 A KR 20200136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mouse
pads
mouse pad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섭
박도은
신협진
Original Assignee
모던라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던라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던라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6604A/ko
Publication of KR20200136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펴서 사용할 수 있는 마우스패드가 소개된다. 마우스패드는 제1 패드와, 제1 패드에 대해 접힐 수 있는 제2 및 제3 패드를 구비한다. 전부 펼쳐진 마우스패드 위에는 키보드, 마우스 및 충전을 위한 외부기기가 올려질 수 있다. 제2 및 제3 패드 모두를 접으면 단패드 형태로 그 위에 마우스를 올려 두고 사용할 수 있고, 제3 패드만 접으면 키보드와 함께 마우스를 올려 두고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Foldable Mouse Pad Hav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본 발명은 마우스패드, 특히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펴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마우스패드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패드는 마우스를 부드럽고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마우스패드 없이 마우스를 오래 사용하는 경우 마우스 바닥면이 벗겨지고 이물이 묻어 움직임이 부드럽지 못하게 되고, 커서 제어가 부정확진다. 또한 광마우스가 일반화되고 책상에 테이블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컴퓨터 작업 시 마우스패드는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패드는 부드러운 마우스의 움직임을 보장하고 사용 중 마우스패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부는 천으로 그리고 바닥은 고무로 제작되거나, 촉감이 좋은 실리콘이나 합성고무, 나아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상기 마우스패드는 그 크기에 따라 마우스만을 올려 두고 사용하기 위한 단패드, 키보드 등을 함께 올려 두고 사용하기 위한 장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장패드는 넓게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접지력이 좋아 놓여진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아 편리하다.
종래 마우스패드, 특히 장패드는 갖는 유연성을 갖는 천이나 고무로 제작된다. 넓은 공간에서 장패드를 쓰다가도, 책상 위가 번잡한 경우 단촐하게 작은 크기로 사용하고 싶은데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
또한 최근에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기기의 보급이 많아지고 있다. 책상 위에 케이블이 번잡하게 배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무선충전기를 사용하는데, 별도의 무선충전기를 구매하고 이 무전충전기를 책상 위에 두고 사용해야 한다면 소비자로서는 선뜻 구매하기가 꺼려지기 쉽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펴서 사용할 수 있는 마우스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드시 위에 언급된 사항에 국한되지 않으며, 미처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이하 기재되는 사항에 의해서도 이해될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패드는 제1 패드; 제1 패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패드와의 경계에 해당하는 제1 라인을 따라 접혀져 제1 패드에 포개어질 수 있는 제2 패드; 및 제1 패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패드와의 경계에 해당하는 제2 라인을 따라 접혀져 제1 패드에 포개어질 수 있는 제3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 패드 및 제3 패드의 길이 합은 제1 패드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접혀진 상태에서 제2 및 제3 패드가 서로 이격(예를 들면 1㎝ 이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조과정의 공차나 사용 시 편리성을 고려한 마진 등으로 인한 차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범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패드 내지 제3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원 및 USB 단자를 갖는 무선충전부가 마련될 수 있다. 무선충전부는 제1 패드 또는 제3 패드에 마련될 수 있다. 무선충전부는 상기 단자들이 연결된 PCB 기판과, 기판과 연결된 충전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마우스패드가 전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패드 위에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올려질 수 있고, 제3 패드에 무선충전을 위한 기기가 놓여질 수 있다. 제2 및 제3 패드 모두를 접으면 단패드 형태로 그 위에 마우스를 올려 두고 사용할 수 있고, 제3 패드만 접으면 키보드와 함께 마우스를 올려 두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패드는 연성의 상부 스킨과 하부 스킨을 구비하며, 상부 스킨과 하부 스킨 사이에는 종이 또는 수지 재질의 하드한 플레이트가 개재될 수 있다. 하드한 플레이트는 패드들에 면방향 강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마우스패드를 펼쳐서 넓게 사용하거나 일부분을 접어 좁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무선충전기를 구매해서 책상 위에 올려 두고 사용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Ⅱ-Ⅱ 선을 따라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우스패드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접는 예를 보인 모식도,
도 6 내지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접힌 예를 보인 모식도,
도 8 및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사용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특징적인 측면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들 또는 부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될 수 있고, 도면들은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그리고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별도 한정이 없는 한, 제2 요소가 제1 요소 '상'에 배치되거나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된다고 하는 것은, 두 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는 것은 물론 제1 및 제2 요소의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된 것을 허용하는 의미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전후, 좌우 또는 상하 등의 방향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라는 점도 이해될 필요가 있다.
도 1 내지 도 에는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마우스패드(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패드(10)는 중앙의 제1 패드(1), 제1 패드(1) 좌측에 연장된 제2 패드(2) 및 제1 패드(1) 우측에 연장된 제3 패드(3)를 구비한다. 제2 패드(2)는 제1 패드(1)와의 경계에 해당하는 제1 라인(4)을 따라 접힐 수 있고, 제3 패드(3)는 제1 패드(1)와의 경계에 해당하는 제2 라인(5)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상기 제3 패드(3)에는 무선충전부(20)가 마련된다. 무선충전은 전자기유도, 자기공명 및 전자기파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부(20)는 전가지유도 방식일 수 있으며, 전류 유도를 위한 코일(21)과 기판(22)을 구비할 수 있다. 기판(22)에는 하나 이상의 단자, 예로서 전원단자(23)와 USB 단자(24)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마우스패드(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표시된 Ⅱ-Ⅱ 선을 따라서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마우스패드(10)는 연성의 상부 스킨(11)과 하부 스킨(12),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된 하드한 플레이트(13)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스킨(11)은 마우스를 부드럽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예로서 상부 스킨(11)은 천이나 가죽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사용자의 팔이나 손이 접촉될 수 있고 컴퓨터 작업 중 커피나 물과 같은 액체가 쏟아질 수 있으므로, 상부 스킨(11)은 방수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스킨(12)은 책상 위에 올려지는 부분이므로 논슬립성이 필요하다. 하부 스킨(12)에는 고무가 사용되거나 실리콘 엠보 등의 논슬립 처리가 된 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3)는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제2 및 제3 패드(2,3)에 면방향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부재이다. 플레이트(13)로는 압축된 종이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플레이트(13)는 제1 내지 제3 패드(1,2,3)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마우스패드(10)를 무선충전부(20)의 단자(23,24)가 놓인 방향에서 바라 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마우스패드(10)는 여러 개의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단자(23)는 말 그대로 무선충전부(20)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흔히 사용되는 C타입, 마이크로 5핀, 8핀 등의 단자가 사용될 수 있다. USB 단자(24)는 무선충전부(20)용 전원단자 또는 무선충전부(20)에 유선 연결하여 외부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를 접는 예를 보인 모식도이다. 이 마우스패드는 앞서 언급되었듯이 상부 스킨(11), 하부 스킨(12),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된 하드한 플레이트(1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상하부 스킨(11,12)만 도시되고 플레이트(13)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4에서 보듯이 마우스패드는 상부 스킨(11) 측으로 접힐 수 있다. 하부 스킨(12)이 논슬립성과 더불어 마우스를 부드럽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접어서도 마우스패드로 사용 가능하다.
도 5에서 보듯이 마우스패드는 하부 스킨(12) 측으로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스킨(11)이 외면에 놓이게 되므로 단패드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에 의하면 마우스패드는 상부 스킨(11) 측 및 하부 스킨(12) 측 양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가 접혀진 예를 보인 모식도이다.
도 6에서 보듯이 실시예에 의하면 마우스패드는 제3 패드(3)를 제2 라인(5)을 따라 접어서 사용될 수 있다. 제3 패드(3)에 의해 덮히지 않은 제1 및 제2 패드(1,2) 위에는 키보드가 올려질 수 있고, 제3 패드(3) 위에는 충전을 위해 스마트폰이 올려지거나 또는 마우스가 올려질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패드는 제3 패드(3)를 접었을 때 제3 패드(3)에 의해 덮히지 않은 나머지 부위의 길이가 키보드를 올려두고 사용할 수 있는 크기가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실시예에 의하면 마우스패드는 제2 및 제3 패드(2,3)이 모두 접혀져 단패드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및 제3 패드(2,3) 위에 마우스가 올려져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는 제2 및 제3 패드(2,3)를 모두 접어 휴대할 수 있어 편리하다.
실시예에 의하면 마우스패드(10)는 제2 패드(2) 및 제3 패드(3)가 모두 접혀졌을 때 제2 패드(2)와 제3 패드(3)가 서로 멀리 이격되지 않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우스패드는 제2 패드(2) 및 제3 패드(3)의 길이 합이 제1 패드(1)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구성된다.
도 8 및 도 9에는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사용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보듯이 완전히 펼쳐진 마우스패드 위에 키보드 및 마우스와 더불어 충전을 위해 스마트폰이 함께 올려질 수 있다. 마우스패드(10)의 전원단자(23)에 전원에 연결된 C타입 커넥터(31)가 연결되고, USB 단자(24)에는 충전을 위해 외부기기(33)의 USB 케이블(32)이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제2 및 제3 패드(2,3)가 모두 접힌 마우스패드 위에 마우스와 충전을 위한 스마트폰이 올려질 수 있다. 마우스는 제2 패드(2) 위에 올려져 사용되고, 제3 패드(3)에 스마트폰이 올려져 충전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패드는 필요나 주변 환경에 따라 적절히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제3 패드(3)만을 접어서 사용하거나, 제2 및 제3 패드(2,3)를 모두 접어서도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위 실시예들에서 단자들(23,24)는 제3 패드(3)에 마련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종래 사용되는 마우스패드는 단순히 단패드 또는 장패드일 뿐이어서 소비자로서는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서 구매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마우스패드는 상황에 따라 장패드는 물론 단패드로도 사용될 수 있어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패드는 USB 단자가 구비되어 있어 보조 배터리를 외부전원으로 사용하거나 반대로 휴대용 선풍기, 전자담배 등 무선충전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들의 충전에도 사용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 제1 패드 2: 제2 패드
3: 제3 패드 4: 제1 라인
5: 제2 라인 10: 마우스패드
11: 상부 스킨 12: 하부 스킨
13: 하드 플레이트 20: 무선충전부
23: 전원 단자 24: USB 단자
33: 외부기기

Claims (2)

  1. 제1 패드;
    상기 제1 패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패드와의 경계에 해당하는 제1 라인을 따라 접혀져 제1 패드에 포개어질 수 있는 제2 패드; 및
    상기 제1 패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패드와의 경계에 해당하는 제2 라인을 따라 접혀져 제1 패드에 포개어질 수 있는 제3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패드 및 제3 패드의 길이 합은 제1 패드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제1 패드 내지 제3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원 및 USB 단자를 갖는 무선충전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패드는 연성의 상부 스킨과 하부 스킨을 구비하며, 상부 스킨과 하부 스킨 사이에는 종이 또는 수지 재질의 하드한 플레이트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
KR1020190062344A 2019-05-28 2019-05-28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 KR20200136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44A KR20200136604A (ko) 2019-05-28 2019-05-28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44A KR20200136604A (ko) 2019-05-28 2019-05-28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604A true KR20200136604A (ko) 2020-12-08

Family

ID=7377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344A KR20200136604A (ko) 2019-05-28 2019-05-28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66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34B1 (ko) * 2020-12-18 2021-09-06 주식회사 강한손 시각장애인을 위한 퍼킨스 타입의 접이식 키보드
KR20220104927A (ko) 2021-01-19 2022-07-26 임승재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34B1 (ko) * 2020-12-18 2021-09-06 주식회사 강한손 시각장애인을 위한 퍼킨스 타입의 접이식 키보드
KR20220104927A (ko) 2021-01-19 2022-07-26 임승재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40553B (zh) 触控装置组件以及触控系统
KR102540757B1 (ko)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003699B (zh) 用于可移除输入模块的充电设备
TWI696202B (zh) 鍵盤裝置
CN205068322U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小型化充电式电容触控笔
KR20200136604A (ko)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
US20140118897A1 (en) Electronic device
CN104157214B (zh) 配戴式挠曲显示装置
CN104866014A (zh) 一种电子设备和扩展设备
CN206181325U (zh) 一种耳机线控
US10345863B2 (en) Cover with shape memory material
KR101702377B1 (ko) 마우스 패드 겸용 무선 충전 장치
US9780825B2 (en) Computing device sleeves
CN211349310U (zh) 可拆卸鼠标
US11086414B2 (en) Mouse device
CN105637765B (zh) 键区的双预加载偏转腹板
KR20120006596A (ko)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단말기에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
US20100259489A1 (en)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and position indicator thereof
US8797725B2 (en) Power adapter device provided with a mouse pad
CN100399250C (zh) 可移动触控板及具有可移动触控板的便携式电脑
CN208161017U (zh) 手机游戏手柄
KR20140035054A (ko) 터치패드용 터치펜
US11050864B2 (en) Sliding structure and terminal
KR102023078B1 (ko) 태블릿 스탠드 기능을 가진 키보드 장치 및 스피커 장치
CN206930989U (zh) 皮套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