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927A -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927A
KR20220104927A KR1020210007355A KR20210007355A KR20220104927A KR 20220104927 A KR20220104927 A KR 20220104927A KR 1020210007355 A KR1020210007355 A KR 1020210007355A KR 20210007355 A KR20210007355 A KR 20210007355A KR 20220104927 A KR20220104927 A KR 20220104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upper plate
charging device
folding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재
Original Assignee
임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재 filed Critical 임승재
Priority to KR102021000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4927A/ko
Priority to PCT/KR2021/010660 priority patent/WO2022158668A1/ko
Publication of KR2022010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4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single continuous metallic lay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metal foil, film, plating coating, electro-deposition, vapour-de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평상시에는 편평한 패드형태로 펼쳐서 마우스패드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고 충전시에는 패드형태나 스탠드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도 충전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무선충전장치(10A)가 개시된다. 무선충전장치(10A)의 상판(20)은 종이재질이나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일정깊이로 다수의 접힘홈들이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 형성되며, 상판(20)의 배면상에는 무선충전모듈(30)이 부착 배치되고,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이 부착된 상판(20)의 배면에는 강도 보강을 목적으로 시이트 형상의 절연보강재(40)가 부착되며, 절연보강재(40)의 배면에는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보강재(50)가 부착되고, 방열보강재(50)의 배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일정한 표면거칠기를 갖는 시이트 형상의 하판(60)이 배치된다. 상기 상판(20)의 배면과 상기 절연보강재(40) 사이에는 마그네트(38)가 추가로 설치된다.

Description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can be used in both style as the pad type and the stand type}
본 발명은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편평한 패드형태로 펼쳐서 마우스패드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고 충전시에는 패드형태나 스탠드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도 충전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전적 의미로서 무선 충전(Inductive charging)이란 기존의 전선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기기를 충전하는 방식 대신에 전력을 대기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여 기기를 충전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무선충전 방식은 크게 3가지로 전자기유도 방식, 자기공명 방식, 전자기파 방식이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무선충전 방식이 자기유도 방식이다. 자기유도 방식은 전자기유도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자기선속의 변화가 기전력을 발생시킨다는 패러데이 전자기 유도 법칙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구현한 것이다. 자기유도 방식은 현재 최대 4cm로 전송 거리가 짧지만, 대전력 전송에 유리하고 충전효율이 뛰어나며 전자파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기기 때문에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무선충전 방식으로는 자기유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관련업계에서는 스마트폰의 편리한 무선충전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무선충전기를 연구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02377호(등록일자: 2017년 01월 26일)에는 마우스 패드 겸용 무선충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무선충전장치는 컴퓨터의 마우스를 받치는 패드부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를 일체로 만들었다. 즉, 편평한 패드부의 일측에 충전부를 배치하되 패드부보다 높게 형성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마우스 패드 겸용 무선충전장치는 패드부와 충전부를 수평면상에 일렬로 펼쳐놓은 상태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정공간을 필수적으로 점유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고 휴대폰의 화면이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74487호(등록일자: 2018년 06월 28일)에는 무선 충전기능이 적용된 장패드 충전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충전시스템은 지면에 접촉하는 후면에 미끄럼 방지 돌기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쿠션층이 형성되는 패드 본체와, 자기유도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며 상기 패드 본체와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층 사이에 배치되는 무선전력 송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충전시스템은 앞서 언급한 상기 마우스 패드 겸용 무선충전장치와 마찬가지로 패드 본체를 수평면상에 일렬로 펼쳐놓은 상태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정공간을 필수적으로 점유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고 휴대폰의 화면이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6604호(등록일자: 2020년 12월 08일)에는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펴서 사용할 수 있는 마우스패드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마우스패드는 제1 패드와, 상기 제1 패드에 대해 접힐 수 있는 제2 및 제3 패드를 구비하며, 완전히 펼쳐진 마우스패드 위에는 키보드, 마우스 및 충전을 위한 외부기기가 올려질 수 있다. 제2 및 제3 패드 모두를 접으면 단패드 형태로 그 위에 마우스를 올려 두고 사용할 수 있고, 제3 패드만 접으면 키보드와 함께 마우스를 올려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마우스패드는 마우스패드가 올려지는 부분은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휴대폰은 상기 제3 패드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충전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화면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02377호(등록일자: 2017년 01월 26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74487호(등록일자: 2018년 06월 2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6604호(등록일자: 2020년 12월 08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평상시에는 편평한 패드형태로 펼쳐서 마우스패드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고 충전시에는 휴대폰을 가리도록 접혀진 패드형태나 스탠드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도 충전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장식효과 및 흥미유발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로서,
종이재질이나 가죽으로 이루어진 상판 - 상기 상판의 표면에는 일정깊이로 다수의 접힘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접힘홈들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됨 -;
상기 상판(20)의 배면상에 부착하여 배치되는 무선충전모듈;
종이재질이나 가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충전모듈이 부착된 상기 상판의 배면에 강도 보강을 목적으로 부착되는 시이트 형상의 절연보강재;
상기 절연보강재의 배면에 부착되고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보강재; 및
종이재질이나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미끄럼 방지를 위해 일정한 표면거칠기를 가지며, 상기 방열보강재의 배면에 부착되는 시이트 형상의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상판의 배면과 상기 절연보강재 사이에 추가로 설치된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접힘홈들은,
상기 상판의 중앙위치에서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중앙 접힘홈;
상기 중앙 접힘홈의 양끝단에서 상기 상판의 일측 모서리까지 각각 연장된 한쌍의 제1 접힘홈 - 상기 제1 접힘홈은 상기 중앙 접힘홈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상판의 일측 모서리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됨 -;
상기 중앙 접힘홈의 양끝단에서 상기 상판의 일측 장방향 테두리까지 각각 경사지게 연장된 한쌍의 제2 접힘홈; 및
상기 중앙 접힘홈의 양끝단에서 상기 상판의 타측 장방향 테두리까지 각각 일직선으로 연장된 한쌍의 제3 접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에서 상기 중앙 접힘홈과 상기 한쌍의 제2 접힘홈에 의해서 충전영역이 구획되고, 상기 제1 접힘홈과 상기 제3 접힘홈 그리고 상기 제1 접힘홈과 상기 제3 접힘홈에 의해서 상기 상판의 양측에 스탠드형 접힘영역이 각각 구획되며, 상기 중앙 접힘홈 및 상기 한쌍의 제3 접힘홈에 의해서 제 3영역이 구획되고, 상기 제3 영역에는 충전할 휴대폰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상판의 배면상에서 상기 충전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착제나 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송신기와 수신기가 설치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상의 송신기 및 수신기와 전선에 의해서 연결된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상에서 일측 위치에는 USB단자 형태의 전원소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패드형태나 스탠드형태로 접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무선충전장치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볼륨이 작아서 충전시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또한, 휴대가 간편하여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무선충전장치의 상부면과 하부면 및 무선충전모듈을 함께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를 평면 패드형태로 전개하여 휴대폰을 충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를 스탠드형태로 세워서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스탠드형 무선충전장치 위에 휴대폰을 올려놓고 충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무선충전장치가 지갑형태처럼 접혀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A)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충전장치(10A)는 종이재질이나 가죽으로 이루어진 상판(20)과 하판(60), 상기 상판(20)과 하판(60) 사이에 배치된 무선충전모듈(30), 절연 보강재(40), 방열 보강재(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20)은 국산 양면 색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판(20)의 상부표면상에는 미감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될 수 있고 다양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20)의 표면에는 일정깊이로 다수의 접힘홈들이 형성된다. 접힘홈들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판(20)의 중앙위치에는 상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중앙 접힘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 접힘홈(24)의 양끝단에서 상기 상판(20)의 일측 모서리까지 한쌍의 제1 접힘홈(21a,21b)이 각각 연장된다. 이때, 제1 접힘홈(21a,21b)은 중앙 접힘홈(24)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상판의 일측 모서리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앙 접힘홈(24)의 양끝단에서 상기 상판(20)의 일측 장방향 테두리까지 한쌍의 제2 접힘홈(22a,22b)이 각각 경사지게 연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앙 접힘홈(24)의 양끝단에서 상기 상판(20)의 타측 장방향 테두리까지 한쌍의 제3 접힘홈(23a,23b)이 각각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중앙 접힘홈(24)과, 제1 내지 제3 접힘홈들(21a~23b)에 의해서 상판(20)의 표면상에는 다수의 영역들이 한정되는데, 상기 중앙 접힘홈(24)과 한쌍의 제2 접힘홈(22a,22b)에 의해서 구획되어지는 영역이 충전영역(G1)(도 3 및 도 4 참조)이 되고, 상기 제1 접힘홈(21a)과 상기 제3 접힘홈(23a) 그리고 상기 제1 접힘홈(21b)과 상기 제3 접힘홈(23b)에 의해서 상기 상판(20)의 양측에 각각 구획되어지는 영역이 스탠드형 접힘영역(G2)(도 4 참조)이 된다.
중앙 접힘홈(24) 및 한쌍의 제3 접힘홈(23a,23b)에 의해서 구획되어지는 제3영역(G3)에는 제1 절개홈(26a)이 형성되는데, 이 제1 절개홈(26a)은 상기 충전영역(G1)에 휴대폰(H)(도 3 및 도 5 참조)을 위치시키고 충전을 할 때 휴대폰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판(20)의 이면, 즉 배면상에는 위에서 언급한 무선충전모듈(30)이 배치되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은 상판(20)의 배면상에서 상기 충전영역(G1)에 설치된다. 즉,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은 상기 충전영역(G1)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접착제나 테이프에 의해 상판(20)의 배면상에 부착된다.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은 송신기와 수신기가 설치된 베이스 기판(32), 상기 베이스 기판(32)상의 송신기 및 수신기와 전선(33)에 의해서 연결된 코일부(3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32)상에서 일측 위치에는 USB단자 형태의 전원소켓(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의 코일부(34)는 상기 충전영역(G1)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접착제나 테이프에 의해 상판(20)의 배면상에 부착된다.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의 베이스 기판(32)은 상기 제1 접힘홈(21a)과 상기 제2 접힘홈(22a) 또는 상기 제1 접힘홈(21b)과 상기 제2 접힘홈(22b)에 의해서 각각 구획되어지는 기판영역(G3)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접착제나 테이프에 의해 상판(20)의 배면상에 부착된다.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의 코일부(34)에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1차 코일이 내장되어 있으며, 충전하게될 스마트폰은 수신부로서 그 내부에 유도전류를 수신하기 위한 2차 코일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32)의 일측 위치에 설치된 전원소켓(31)을 통해서 전원에 연결하면, 상기 코일부(34)에 전류가 흘러들어가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 자기장이 스마트폰의 코일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스마트폰의 코일에 발생한 전류로 스마트폰을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무선충전모듈(30)이 부착된 상판(20)의 배면에는 강도 보강을 목적으로 하는 시이트 형상의 절연보강재(40)가 부착된다. 절연보강재(40)는 종이재질이나 가죽으로 이루어지며,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판(20)의 배면과 절연보강재(40) 사이에는 충전할 휴대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마그네트(38)가 추가로 설치된다. 절연보강재(40)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의 접힘홈들(21a~24)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상판(20)의 접힘홈들(21a~24)과 마찬가지로 접힘홈들이 형성되어 있다(도면에서는 편의상 도시되지 않음). 따라서, 상기 절연보강재(40)는 상기 접힘홈들(21a~24)의 위치에 따라서 쉽게 접혀질 수 있다. 또한, 절연보강재(40)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의 제1 절개홈(26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절개홈(26b)이 형성되는데, 제2 절개홈(26b)은 상기 제1 절개홈(26a)과 동일한 치수와 모양으로 절개 형성된다.
상기 절연보강재(40)의 배면에는 시이트 형상의 방열보강재(50)가 부착된다. 상기 방열보강재(50)는 무선충전시 휴대폰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열보강재(50)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의 접힘홈들(21a~24)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상판(20)의 접힘홈들(21a~24)과 마찬가지로 접힘홈들이 형성되어 있다(도면에서는 편의상 도시되지 않음). 따라서, 상기 방열보강재(50)는 상기 접힘홈들(21a~24)의 위치에 따라서 쉽게 접혀질 수 있다. 상기 방열보강재(50)에 있어서 상기 절연보강재(40)의 제2 절개홈(26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3 절개홈(26c)이 형성되는데, 제3 절개홈(26c)은 상기 제2 절개홈(26b)과 동일한 치수와 모양으로 절개 형성된다.
끝으로, 상기 방열보강재(50)의 배면에는 시이트 형상의 하판(60)이 부착된다. 상기 하판(60)은 종이재질이나 가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판(60)의 하부표면상에는 미감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될 수 있고 다양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하판(60)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일정한 표면거칠기를 갖는다. 상기 하판(60)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의 접힘홈들(21a~24)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상판(20)의 접힘홈들(21a~24)과 마찬가지로 접힘홈들이 형성되어 있다(도면에서는 편의상 도시되지 않음). 따라서, 상기 하판(60)은 상기 접힘홈들(21a~24)의 위치에 따라서 쉽게 접혀질 수 있다. 상기 하판(60)에 있어서 상기 방열보강재(50)의 제3 절개홈(26c)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4 절개홈(26d)이 형성되는데, 제4 절개홈(26d)은 상기 제3 절개홈(26c)과 동일한 치수와 모양으로 절개 형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A)의 사용방식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A)는 패드형태로 펼쳐서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다. 도 3에는 무선충전장치(10A)를 평면 패드형태로 전개하여 휴대폰을 충전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충전장치(10A)를 평면 패드형태로 그대로 펼친상태에서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H)의 중심부가 상기 상판(20)의 상기 충전영역(G1) 위에 위치하도록 올려놓고, 무선충전장치(10A)의 상기 전원소켓(31)을 통해서 전원에 연결하면 상기 스마트폰(H)이 충전되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A)는 스탠드형태로 접어서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무선충전장치(10A)를 스탠드 형태로 접어서 휴대폰을 충전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로 결합된 무선충전장치(10A)의 상판(20), 절연보강재(40), 방열보강재(50) 및 하판(60)을 무선충전장치(10A)의 상판(20)에 형성되어 있는 접힘홈들(21a~24)중 제1 접힘홈(21a)과 제3 접힘홈(23a) 그리고 제1 접힘홈(21b)과 제3 접힘홈(23b)을 따라서 접는다. 그러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탠드 형태가 된다.
다음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충전장치(10A)를 스탠드 형태로 만든 상태에서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H)의 중심부가 상기 상판(20)의 상기 충전영역(G1) 위에 위치하도록 올려놓는다. 즉, 무선충전장치(10A)를 스탠드 형태로 만들면 무선충전장치(10A)의 상판(20)은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데, 이렇게 기울어진 상판(20)의 충전영역(G1) 위에 휴대폰(H)을 올려놓으면 휴대폰(H) 또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휴대폰(H)의 장방향 일측 중간부위가 상기 절개홈(26a)에 걸리게 되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무선충전장치(10A)의 상기 전원소켓(31)을 통해서 전원에 연결하면 상기 스마트폰(H)이 충전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B)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B)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무선충전장치(10B)는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A)의 구성요소와 거의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즉, 상판(20), 무선충전모듈(30)과 마그네트(38), 절연보강재(40), 방열보강재(50) 및 하판(60)의 적층구조는 동일하다. 다만, 지갑의 형태로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판, 절연보강재, 방열보강재 및 하판의 형태를 다르게 하고 접힘홈들(210a~210c)을 다르게 형성하며 상판의 일측에 하기에서 설명할 격벽부재(700)를 추가한 점이 다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충전장치(10B)의 상판(20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종이재질이나 가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국산 양면 색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판(200)의 표면에는 일정깊이로 다수의 접힘홈들(210a~210c)이 형성된다. 이때, 접힘홈들(210a~210c)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상판(200)을 4개의 영역들(G11~G14)로 구획하도록 상판(200)의 상대적으로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힘홈(210a), 제2 접힘홈(210b), 제3 접힘홈(210c)이 상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직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판(200)에 형성되는 접힘홈들은 도 6을 참조로한 실시 예에 의해서 제한받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을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접힘홈(210a)과 제2 접힘홈(210b)에 의해서 구획되어지는 제1 영역(G1)과 제2 영역(G12)에 걸쳐서 상기 격벽부재(700)가 배치된다. 상기 격벽부재(700)는 상기 제2 영역(G12)의 단방향 양측 테두리에 밑면이 고정된 상태로 일정높이만큼 직립한 제1 격벽(710), 및 상기 제1 격벽(710)과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제1 영역(G11)에서 일부분이 상기 상판(200)의 상부표면에 부착된 제2 격벽(720)을 포함한다. 제2 격벽(720)의 일부분이 상기 상판(200)의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격벽(720)은 상판(200)의 제1 영역(G11)과 함께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이때, 제1 격벽(710)과 제2 격벽(720)의 경계부위가 상판(200)의 안쪽, 즉 내부로 접혀지면서 상판(200)의 제1 영역(G11)과 제2 격벽(720)의 안쪽으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제1 격벽(710)과 제2 격벽(72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2 영역(G1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충전모듈이 배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무선충전모듈의 근처위치에 배치되는 마그네트(38)와, 상판의 순서대로 적층되는 절연보강재, 방열보강재 및 하판의 구조에 대해도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하판(600)은 도면에서 외부로 들어나므로 참조부호를 붙여서 구분하였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B)의 사용방식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B)는 평상시에는 도 6에서 "A"로 나타낸 상태와 같이 지갑처럼 접어서 휴대할 수 있으며, 휴대폰을 충전하고자 할때는 이를 펼쳐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A"의 접혀진 상태에서 이를 펼치게 되면, "B" 단계를 거쳐서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C"처럼 펼친상태에서 제2 영역(G12)위에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H)의 중심부가 위치하도록 올려놓고, 무선충전장치(10B)의 장방향 일측에 설치된 USB 접속단자 타입의 전원소켓(310)을 통해서 전원에 연결하면 상기 스마트폰(H)이 충전되는 것이다.
도 6의 "C"와 같은 상태에서 제2 영역(G12) 위에 휴대폰(H)을 올려놓고 충전할 수도 있고, 아니면 제2 영역(G12) 위에 휴대폰(H)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제2 접힘홈(210b)과 제3 접힘홈(210c)을 따라서 순서대로 접어서 도 6의 "D"와 같은 상태로 하여 휴대폰(H)을 충전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A,10B : 무선충전장치 20, 200 : 상판
21a~23b,24, 210a~210c : 접힘홈 30 : 무선충전모듈
31,310 : 전원소켓 32 : 베이스 기판
33 : 전선 34 : 코일부
40 : 절연보강재 50 : 방열보강재
60,600 : 하판 700 : 격벽부재
710,720 : 격벽 G1 : 충전영역
G2 : 접힘영역 G3 : 제3 영역

Claims (5)

  1.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10A)로서,
    종이재질이나 가죽으로 이루어진 상판(20) - 상기 상판(20)의 표면에는 일정깊이로 다수의 접힘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접힘홈들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됨 -;
    상기 상판(20)의 배면상에 부착하여 배치되는 무선충전모듈(30);
    종이재질이나 가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이 부착된 상기 상판(20)의 배면에 강도 보강을 목적으로 부착되는 시이트 형상의 절연보강재(40);
    상기 절연보강재(40)의 배면에 부착되고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보강재(50); 및
    종이재질이나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미끄럼 방지를 위해 일정한 표면거칠기를 가지며, 상기 방열보강재(50)의 배면에 부착되는 시이트 형상의 하판(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장치(10A)는, 상기 상판(20)의 배면과 상기 절연보강재(40) 사이에 추가로 설치된 마그네트(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힘홈들은,
    상기 상판(20)의 중앙위치에서 상기 상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중앙 접힘홈(24);
    상기 중앙 접힘홈(24)의 양끝단에서 상기 상판(20)의 일측 모서리까지 각각 연장된 한쌍의 제1 접힘홈(21a,21b) - 상기 제1 접힘홈(21a,21b)은 상기 중앙 접힘홈(24)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상판(20)의 일측 모서리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됨 -;
    상기 중앙 접힘홈(24)의 양끝단에서 상기 상판(20)의 일측 장방향 테두리까지 각각 경사지게 연장된 한쌍의 제2 접힘홈(22a,22b); 및
    상기 중앙 접힘홈(24)의 양끝단에서 상기 상판(20)의 타측 장방향 테두리까지 각각 일직선으로 연장된 한쌍의 제3 접힘홈(23a,23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에서 상기 중앙 접힘홈(24)과 상기 한쌍의 제2 접힘홈(22a,22b)에 의해서 충전영역(G1)이 구획되고, 상기 제1 접힘홈(21a)과 상기 제3 접힘홈(23a) 그리고 상기 제1 접힘홈(21b)과 상기 제3 접힘홈(23b)에 의해서 상기 상판(20)의 양측에 스탠드형 접힘영역(G2)이 각각 구획되며, 상기 중앙 접힘홈(24) 및 상기 한쌍의 제3 접힘홈(23a,23b)에 의해서 제 3영역(G3)이 구획되고, 상기 제3 영역(G3)에는 충전할 휴대폰(H)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절개홈(2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은 상기 상판(20)의 배면상에서 상기 충전영역(G1)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착제나 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무선충전모듈(30)은 송신기와 수신기가 설치된 베이스 기판(32), 상기 베이스 기판(32)상의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전선(33)에 의해서 연결된 코일부(34)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32)상에서 일측 위치에는 USB단자 형태의 전원소켓(3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장치.
KR1020210007355A 2021-01-19 2021-01-19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KR20220104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355A KR20220104927A (ko) 2021-01-19 2021-01-19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PCT/KR2021/010660 WO2022158668A1 (ko) 2021-01-19 2021-08-11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355A KR20220104927A (ko) 2021-01-19 2021-01-19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927A true KR20220104927A (ko) 2022-07-26

Family

ID=8254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355A KR20220104927A (ko) 2021-01-19 2021-01-19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04927A (ko)
WO (1) WO20221586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863U (ko) 2022-11-14 2024-05-21 구민경 발로 누르는 압력으로 제어 가능한 무선 충전형 멀티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377B1 (ko) 2015-10-01 2017-02-0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패드 겸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874487B1 (ko) 2017-01-13 2018-07-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충전 기능이 적용된 장패드 충전 시스템
KR20200136604A (ko) 2019-05-28 2020-12-08 모던라인 주식회사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425B1 (ko) * 2011-10-25 2013-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멀티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395696B2 (en) * 2013-02-20 2016-07-19 Blackberry Limited Multi-purpose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201600B1 (ko) * 2015-10-02 2021-01-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무선충전용 방열시트
KR102381434B1 (ko) * 2017-03-02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스탠드 및 그것과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69738B1 (ko) * 2019-07-02 2021-06-25 홍순천 무선충전이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KR200491591Y1 (ko) * 2019-10-31 2020-05-04 주식회사 두현기업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377B1 (ko) 2015-10-01 2017-02-0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패드 겸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874487B1 (ko) 2017-01-13 2018-07-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충전 기능이 적용된 장패드 충전 시스템
KR20200136604A (ko) 2019-05-28 2020-12-08 모던라인 주식회사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접이식 마우스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863U (ko) 2022-11-14 2024-05-21 구민경 발로 누르는 압력으로 제어 가능한 무선 충전형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8668A1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6395B2 (en) Mobile terminal and chargeable communication module
US8245843B1 (en) Cover for electronic device
US10957480B2 (en) Large area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11062841B2 (en) Electromagnetic shield device, wireless charging transmitting terminal, wireless charging receiving terminal and system
US20170310149A1 (en) Mobile terminal
JP5878244B2 (ja) 無線充電システム用受信機を備えるスマートフォン
US8744529B2 (en) Enhanced mobile device having multiple housing configurations
US8666459B2 (en) Cellular phone
CN109462291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无线充电接收器系统
WO2013084480A1 (ja) 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CN103748765A (zh) 通信装置
KR102579078B1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150326055A1 (en) Mobile terminal
KR20220104927A (ko) 패드 타입 및 스탠드 타입으로 변형이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US20200178662A1 (en) Electronics stand
CN103094994A (zh) 磁耦合单元和磁耦合系统
US10790574B2 (en)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508172B1 (ko) 무선충전을 겸한 nfc(근거리 이동통신)용 안테나의 회로기판
CN109216903A (zh) 天线模块及包括该天线模块的电子装置
CN108879852A (zh) 一种无线充电器和充电垫
KR200472787Y1 (ko)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JP5871640B2 (ja) 什器
CN108879976A (zh) 一种具有通信能力的电子设备
KR20180077739A (ko) 무선전력네트워크 시스템
KR101293844B1 (ko) 다기능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