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293A - 인서트 사출 장치 - Google Patents

인서트 사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293A
KR20200136293A KR1020190079263A KR20190079263A KR20200136293A KR 20200136293 A KR20200136293 A KR 20200136293A KR 1020190079263 A KR1020190079263 A KR 1020190079263A KR 20190079263 A KR20190079263 A KR 20190079263A KR 20200136293 A KR20200136293 A KR 20200136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head
insert member
insert injection
injec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권주현
이승열
정용우
김민준
조언연
김현경
차동은
윤진영
윤병규
정휘성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US16/881,41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04890B2/en
Priority to CN202010449753.6A priority patent/CN111993641A/zh
Priority to DE102020206543.8A priority patent/DE102020206543A1/de
Publication of KR2020013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bre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03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 B29C45/1704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the fluid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jected material which is still in a molten state, e.g. for 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C45/1711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the fluid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jected material which is still in a molten state, e.g. for producing hollow articles and removing excess material from the mould cavity by the introduced fluid, e.g. to an overflow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hort length, e.g. in the form of a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관통 공을 포함하는 인서트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하부 금형;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인서트 부재를 수용하도록 하부 금형에 장착되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에 마련되고, 인서트 부재가 안착 시, 인서트 부재의 관통 공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제1 헤드부 및 제1 헤드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는 관통 공 내부에서 제1 헤드부의 삽입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이동되는 인서트 사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서트 사출 장치{device for insert injection}
본 출원은 인서트 사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루프 패널(Roof panel)에 장착되는 루프랙(Roof-lack)은 루프 패널의 상부 양측에 대칭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차체의 상부에 물건을 적재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루프랙에 대해서 종래 공개특허 10-2011-0019680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등이 선 출원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루프랙(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주 몸체를 이루는 레일(11)이 차량 루프(1)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이러한 기존의 루프랙(10)은 레일(11)과, 레일(11)의 양 종단부에 마련된 지지부(Stanchion)(12), 커버(13) 및 패드(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루프랙(10)은 균일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11)이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되고,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대(12)는 3차원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의 특성상 사출 성형된다.
최근에는, 루프랙의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대신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를 사출 성형하여 루프랙을 제조하는 기술이 주목 받고 있고, 특히, 플라스틱 소재의 루프랙의 강도 향상을 위해 보강재를 인서트 사출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한편, 이러한 루프랙을 인서트 사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출물의 유동 또는 공정 과정에서 예기치 않은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보강재의 성형 위치가 달라져 인서트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인서트 사출 성형 시, 인서트 부재를 효과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인서트 불량률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인서트 사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통 공을 포함하는 인서트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하부 금형;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인서트 부재를 수용하도록 하부 금형에 장착되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에 마련되고, 인서트 부재가 안착 시, 인서트 부재의 관통 공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제1 헤드부 및 제1 헤드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는 관통 공 내부에서 헤드부의 삽입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승강되는 인서트 사출 장치가 제공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인서트 사출 장치는 인서트 사출 성형 시, 인서트 부재를 효과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인서트 불량률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자동차 루프 패널에 장착되는 루프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루프랙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인서트 사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장치에서, 제1 고정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고정부에서, 제1 구동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장치에서, 하부 금형에 마련된 제1 고정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장치에서, 상부 금형에 마련된 제2 고정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인서트 부재 안착 시, 인서트 부재에 삽입되는 제1 헤드부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인서트 부재 안착 시, 인서트 부재 및 상기 인서트 부재에 삽입된 제1 헤드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헤드부가 하강 시, 제1 헤드부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헤드부가 하강 시, 인서트 부재 및 제1 헤드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장치로부터 제조되는 루프랙의 구성도이다.
본 출원은 인서트 사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인서트 사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장치에서, 제1 고정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고정부에서, 제1 구동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장치에서, 하부 금형에 마련된 제1 고정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장치에서, 상부 금형에 마련된 제2 고정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출원에 따른 인서트 사출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인서트 사출 장치는 하부 금형(100), 상부 금형(200) 및 제1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금형(100)은 관통 공(S1)을 포함하는 인서트 부재(S)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 부재(S)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공(S1)은 후술하는 제1 헤드부(31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 공(S1)이 2개 이상일 경우, 각각의 관통 공(S1)은 서로 인서트 부재(S)의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금형(200)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인서트 부재(S)를 수용하도록 하부 금형(100)에 장착된다. 상부 금형(200) 및 하부 금형(100)은 사출물이 주입되는 주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금형(200)과 하부 금형(100)이 합형된 상태에서, 사출물은 주입부를 통해 인서트 부재(S)가 안착된 수용 공간 측으로 주입될 수 있다. 주입된 사출물은 인서트 부재(S)를 둘러싸고, 소정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상기 제1 고정부(300)는 하부 금형(100)에 마련되고, 인서트 부재(S)가 안착 시, 인서트 부재(S)의 관통 공(S1)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제1 헤드부(310) 및 제1 헤드부(3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헤드부(310)는 안착부에서 상부 금형(200)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부(310)는 안착된 인서트 부재(S)의 관통 공(S1)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인서트 부재(S)의 위치를 정렬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320)는 관통 공(S1) 내부에서 제1 헤드부(310)의 삽입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이동된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320)는 인서트 부재(S)의 안착 여부에 따라 제1 헤드부(3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320)는 인서트 부재(S)가 안착되면 제1 헤드부(310)를 하부 금형(100) 측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헤드부(310)가 하강하면, 상기 삽입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상기에서 상대적으로 짧아진다는 것은, 제1 헤드부(310)의 이동 전 삽입 길이에 비해 이동 후 삽입 길이가 짧아진 것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제1 구동부(320)에 의해 제1 헤드부(310)가 하강하는 경우, 제1 헤드부(310)는 관통 공(S1)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제1 헤드부(310)가 관통 공(S1)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인서트 부재(S)를 하부 금형(100) 측으로 가압하게 되어 인서트 부재(S)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구동부(320)는, 구동 기어(321); 구동 기어(321)와 치합되고, 제1 면(322a) 및 제1 면(322a)의 반대방향의 제2 면(322b)을 가지며, 제1 면(322a)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제2 면(322b) 측으로 함몰 형성된 단차 영역을 갖는 종동 기어(322); 종동 기어(322)의 제2 면(322b)에 장착되고, 제1 헤드부(310)와 연결된 회전축(323); 및 종동 기어(322)의 제1 면(322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24)를 포함하며, 종동 기어(322)의 회전에 따라, 지지부재(324)와 제1 면(322a)의 접촉 지점이 변동되고, 상기 접촉 지점에 기초하여, 제1 헤드부(31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지점은 종동 기어(322)의 회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 지점이 제1 면(322a)의 비단차 영역인 경우, 제1 헤드부(310)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고, 단차 영역인 경우, 제1 헤드부(310)는 이동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이동은 수직 방향을 의미하고, 본 출원에서 상승은 상부 금형(2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하강은 하부 금형(1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비 단차 영역은 제1 면(322a)에서 함몰된 부분을 제외한 평평한 영역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접촉 지점이 단차 영역인 경우, 제1 헤드부(310)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하강 간격은 함몰 깊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제1 헤드부(310)는 함몰 깊이와 동일한 간격만큼 하강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구동 기어(321)는 직선 운동하는 랙 기어일 수 있고, 상기 종동 기어(322)는 회전 운동하는 피니언 기어일 수 있다. 상기 랙 기어는 직선 운동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랙 기어가 전진 운동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랙 기어가 후진 운동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4)는, 종동 기어(322)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324)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돌출 형성되어 종동 기어(322)의 제1 면(322a)에 접촉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4)에서, 접촉 부재의 위치는 고정된다. 상기 접촉 부재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제1 면(322a)과 접촉 부재의 접촉 지점은 종동 기어(322)의 회전에 의존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헤드부(310)가 하강하면, 제1 헤드부(310)는 인서트 부재(S)를 하부 금형(10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부(310)가 하강하면, 제1 헤드부(3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관통 공(S1)의 주변부와 접촉된다. 상기 주변부는 인서트 부재(S)의 내측면(S2)을 의미한다 (도 9 및 11 참조). 상기 제1 헤드부(310)는 인서트 부재(S)의 내측면(S2)에 접촉되어 인서트 부재(S)를 하부 금형(10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이동 과정에서, 제1 헤드부(310)는 회전축(323)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부(310)는 종동 기어(32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 반경은 0 내지 90°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부(310)의 회전 시, 접촉 부재는 종동 기어(322)의 비함몰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접촉 지점이 비함몰 영역인 경우, 제1 헤드부(310)는 회전할 수 있고, 접촉 지점이 함몰 영역인 경우, 제1 헤드부(310)는 하강할 수 있다.
도 8은 인서트 부재 안착 시, 인서트 부재에 삽입되는 제1 헤드부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인서트 부재 안착 시, 인서트 부재 및 상기 인서트 부재에 삽입된 제1 헤드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와 비교하여, 도 10은 제1 헤드부가 하강 시, 제1 헤드부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1 헤드부가 하강 시, 인서트 부재 및 제1 헤드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11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헤드부(310)는 삽입 시 제1 헤드부(3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하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제1 헤드부(310)는 삽입 시 제1 헤드부(3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일 때, 인서트 부재(S)의 내측면(S2)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헤드부(310)가 인서트 부재(S)의 내측면(S2)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되면, 인서트 부재(S)는 하부 금형 측으로 가압받게 된다.
또한, 제1 고정부(300)는 제1 헤드부(310)를 회전축(323)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31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311)는 예를 들어 고정 볼트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인서트 부재(S)의 안착면과 평행한 가상의 면에 인서트 부재(S)를 정사영 투영했을 때, 제1 헤드부(3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회전에 따라 관통 공(S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 공(S1)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제1 헤드부(310)가 하강하면 인서트 부재(S)의 내측면(S2)에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상술한 대로 인서트 부재(S)를 정사영 투영했을 때, 제1 헤드부(310)는 관통 공(S1)에 최초 삽입 시 관통 공(S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인서트 사출 장치는 상부 금형(200)에 장착되고, 인서트 부재(S)가 안착 시, 인서트 부재(S)를 고정하기 위한 제2 헤드부(420) 및 상기 제2 헤드부(4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410)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400)는 인서트 부재(S)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인서트 부재(S)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2 구동부(410)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구동부(410)는 타이머 기능을 가진 제어부, 또는 컨트롤러를 통해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2 고정부(400)는 사출물의 유입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헤드부(4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출물 유입 시, 제2 헤드부(420)는 상승하여 인서트 부재(S)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반대로, 사출물 유입이 없을 경우, 제2 헤드부(420)는 하강하여 인서트 부재(S)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 부재(S)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 따른 인서트 사출 장치는 차량 부품을 인서트 사출하는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차량 부품은 루프 랙일 수 있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장치로부터 제조되는 루프랙의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루프 랙은 본체(1000), 중공 프로파일(2000) 및 캡(30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주 몸체를 이루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의 양 종단부에 각각 마련된 지지부재(32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324)는 전술한 인서트 사출 성형 장치를 통해 각각 레일의 길이 방향의 양 종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0)은 전술한 인서트 부재(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0)는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레일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자동차의 루프 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공이 형성된다. 상기 자동차의 루프 패널과 마주하는 면은 전술한 안착면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0)은 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부를 갖고, 중공부를 형성하는 레일의 내주면은 중공 프로파일(2000)의 외주면 전 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0)의 외주면 전 영역이 레일의 내주면에 접촉됨에 따라, 본체(100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내부 공간)를 갖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0)의 길이는 레일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본체(100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중공 프로파일(2000)와 동시에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루프랙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본체(1000)와 중공 프로파일(2000)가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공정수(조립/생산)가 간소화되며, 이로 인해, 공정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사출로 제조되는 루프랙은 디자인 자유도가 높고, 고급스러운 외관이 연출될 수 있다.
상기 루프랙은 중공 프로파일(2000)의 양 종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종단부에 장착되며, 본체(1000) 내부에 배치되는 캡(30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캡(3000)은 중공 프로파일(2000)의 내부 공간이 밀봉되도록 중공 프로파일(2000)의 양 종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프로파일(2000)는 양 종단부에 캡(3000)이 장착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캡(3000)은 중공 프로파일(2000)의 양 종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됨에 따라, 본체(10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루프랙의 외관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캡(3000)은 중공 프로파일(2000)의 내부 공간을 밀봉함으로써, 인서트 사출 시 레일의 사출물이 중공 프로파일(20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캡(3000)의 크기는 중공 프로파일(2000)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캡(3000)의 크기는 가장 긴 차원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캡(3000)의 크기가 중공 프로파일(20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본체(1000)와 중공 프로파일(200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외부 충격 시 본체(100)로부터 중공 프로파일(200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3000)은 인서트 사출 시 전술한 사출 장치에서 중공 프로파일(2000)의 안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출원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100: 하부 금형
200: 상부 금형
300: 제1 고정부
310: 제1 헤드부
311: 고정 부재
320: 제1 고정부
321: 구동기어
322: 종동기어
323: 회전축
324: 지지부재
400: 제2 고정부
410: 제2 고정부
420: 제2 헤드부
1000: 본체
2000: 중공 프로파일
3000: 캡

Claims (12)

  1. 관통 공을 포함하는 인서트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하부 금형;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인서트 부재를 수용하도록 하부 금형에 장착되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에 마련되고, 인서트 부재가 안착 시, 인서트 부재의 관통 공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제1 헤드부 및 제1 헤드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는 관통 공 내부에서 제1 헤드부의 삽입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이동되는 인서트 사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구동부는, 구동 기어;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가지며, 제1 면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제2 면 측으로 함몰 형성된 단차 영역을 갖는 종동 기어;
    종동 기어의 제2 면에 장착되고, 제1 헤드부와 연결된 회전축; 및
    종동 기어의 제1 면에 접촉되어, 종동 기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종동 기어의 회전에 따라, 지지부와 제1 면의 접촉 지점이 변동되고,
    상기 접촉 지점에 기초하여, 제1 헤드부가 이동되는 인서트 사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지점이 단차 영역인 경우, 제1 헤드부는 하강하는 인서트 사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구동 기어는 랙 기어이고, 종동 기어는 피니언 기어인 인서트 사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종동 기어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돌출 형성되어 종동 기어의 제1 면에 접촉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인서트 사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부가 하강하면, 제1 헤드부는 인서트 부재를 하부 금형 측으로 가압하는 인서트 사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과정에서, 제1 헤드부는 회전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인서트 사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인서트 부재의 안착면과 평행한 가상의 면에 인서트 부재를 정사영 투영했을 때, 제1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회전에 따라 관통 공의 외측에 위치하는 인서트 사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금형에 장착되고, 인서트 부재가 안착 시, 인서트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제2 헤드부 및 상기 제2 헤드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인서트 사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2 구동부는 유압 실린더인 인서트 사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2 고정부는 사출물의 유입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헤드부를 이동시키는 인서트 사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사출물 유입시, 제2 헤드부는 상승하여 인서트 부재와 소정 간격 이격되는 인서트 사출 장치.
KR1020190079263A 2019-05-27 2019-07-02 인서트 사출 장치 KR20200136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81,414 US11504890B2 (en) 2019-05-27 2020-05-22 Insert molding apparatus
CN202010449753.6A CN111993641A (zh) 2019-05-27 2020-05-25 插入成型设备
DE102020206543.8A DE102020206543A1 (de) 2019-05-27 2020-05-26 Einsatzspritzgieß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00 2019-05-27
KR20190062000 2019-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93A true KR20200136293A (ko) 2020-12-07

Family

ID=7379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263A KR20200136293A (ko) 2019-05-27 2019-07-02 인서트 사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62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4890B2 (en) Insert molding apparatus
US524066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oor weather strip
WO2001092064A1 (en) Motor vehicle bumper
US8932038B2 (en) Sealing apparatus for foam injection mold
JP5380955B2 (ja) 衝撃吸収材の成形方法及び成形用金型
KR20200136293A (ko) 인서트 사출 장치
CN103025500A (zh) 注塑模制的部件
KR101305707B1 (ko) 차량용 크래시패드 성형장치
KR101990460B1 (ko) 경량화된 도어용 하이브리드 이너패널
KR20010042289A (ko) 관형 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
JP2949684B2 (ja) 防振ゴムの製造方法
JP2007001017A (ja) 樹脂成形体
KR20070063765A (ko)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 및 제작 방법
KR101972025B1 (ko) 경량화된 도어용 하이브리드 이너패널
KR102327268B1 (ko) 차량용 플로어 카펫 성형장치
CN217414724U (zh) 一种窄边框结构件用塑胶模架
JP2007506576A (ja) 自動車内のエアバック用のカバー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1000788A (ja) 発泡樹脂成形品並びにその成形方法
KR101919352B1 (ko) 자동차 실내바닥패널 제조용 발포 금형
KR100536499B1 (ko) 복합 성형품 제조용 금형
JP3496755B2 (ja) 樹脂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金型装置
KR20040100733A (ko) 차량의 내장 판넬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장 판넬의제조방법
JP2009196166A (ja) 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金型
KR100809279B1 (ko) 다중구조의 사이드 임팩트 패드 제조방법
CN216708137U (zh) 一种注塑机移动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