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210A -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210A
KR20200136210A KR1020190061993A KR20190061993A KR20200136210A KR 20200136210 A KR20200136210 A KR 20200136210A KR 1020190061993 A KR1020190061993 A KR 1020190061993A KR 20190061993 A KR20190061993 A KR 20190061993A KR 20200136210 A KR20200136210 A KR 2020013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cloud server
management
target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완
고영훈
백선혜
Original Assignee
고재완
백선혜
고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완, 백선혜, 고영훈 filed Critical 고재완
Priority to KR102019006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6210A/ko
Publication of KR2020013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관리대상의 개별 고유정보를 입수하는 게이트; 특정한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관리대상을 탐지하여 그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RFID 센서; 상기 개별 고유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정보가 출력되는 키오스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Integrated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linked with clouding system}
본 발명은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 대상에 관한 정보를 1차적으로 중계장치에 저장하고, 이를 다양한 출력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특정 다수가 다양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지하주차장이나 매장 내부에서는, 미아 발생이나 기타 그밖의 긴급상황을 대비하여 고객의 동선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CCTV 카메라를 다수 배치하여, 작업자가 직접 관리대상이 되는 고객을 탐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더라도 사각지대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탐색 영역을 항상 밝게 유지하여야 하는 바, 항상 조명을 일정한 밝기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었고, 작업자의 피로감으로 인해 인력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관리대상이 되는 고객의 동선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없어 긴급상황에서 목적달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019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리대상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중계장치에 저장 및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관리대상의 동선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대상의 개별 고유정보를 입수하는 게이트; 특정한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관리대상을 탐지하여 그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RFID 센서; 상기 개별 고유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정보가 출력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는, 관리대상에 구비된 RFID 태그로 태그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태그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송신된 상기 개별 고유정보에 관한 태그대응신호를 수신하는 제1안테나; 및 상기 태그대응신호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제1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한 고유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FID 센서는,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에 구비된 RFID 태그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송신된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에 대한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위치정보 신호를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제2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전송된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을 확정하고, 상기 RFID 센서에 상기 확정된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대한 탐색명령을 부여하며, 상기 RFID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관리대상의 위치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ID 센서는, 복수개의 등기구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등기구에 조도 제어 명령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 안내방송의 송출명령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오스크는, 휴대폰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할 때,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신 관리 방법은, 게이트가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는 RFID 태그에 태그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된 태그대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가 상기 태그대응신호에 포함된 상기 RFID 태그의 개별 고유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게이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개별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키오스크가 표적 관리대상의 고유정보를 특정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표적 관리대상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중앙처리부가 상기 요청에 따라 RFID 센서로 상기 위치정보에 대한 탐색명령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RFID 센서가 상기 탐색명령에 따라 상기 표적 관리대상을 탐지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RFID 센서가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위치정보의 전송명령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전송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표적 관리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의 등기구의 조도를 제어하되, 상기 표적 관리대상과 상기 등기구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조도를 높이고, 상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조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표적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표적관리 대상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스피커에서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표적 관리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의 등기구의 조도 또는 파장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표적 관리대상에게 일정한 방향지시 또는 경고표시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에 따르면
관리대상의 신원에 관한 정보와 위치정보가 실시간으로 저장되고, 다양한 출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되어, 위치정보에 따라 반응하는 등기구에 따르면,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동선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은, 게이트(100), RFID 센서(200), 클라우드 서버(300), 중앙처리부(400) 및 키오스크(50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100)는, 관리대상이 되는 객체의 고유정보를 입수한다. 개개의 관리대상에 RFID 태그가 구비될 때, 이 태그는 관리대상의 신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리대상이 게이트(100)를 통과하여 매장 또는 주차장으로 진입할 때, 게이트(100)는 태그와의 신호교환을 통하여 관리대상에 관한 고유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RFID 태그는 착용 대상이 사람인 경우, 모자, 팔찌, 신발 또는 벨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100)와 RFID 태그의 신호교환은 원격으로 일어남이 바람직하나, 관리대상이 직접 태그를 게이트(100)에 접촉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신호교환이 원격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상정할 때, 게이트(100)는 제1안테나와 제1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테나는 게이트(100)를 지나는 관리대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RFID 태그에 태그감지신호를 전송한다. 태그는 태그감지신호에 대응하여, 관리대상의 개별 고유정보에 관한 태그대응신호를 송신한다. 제1안테나는 태그대응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1송신부로 전달한다.
제1송신부는 제1안테나로부터 태그대응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태그대응신호에는 개별 고유정보가 존재하고, 개별 고유정보는 관리대상에 대한 신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에는 제1송신부를 통해 제공받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RFID 센서(2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구비하고 있는 관리대상을 탐지하고, 그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RFID 센서(200)는 매장 또는 지하주차장 내부의 상부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 공간에 걸쳐 배치된다. 따라서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관리대상의 동선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FID 센서(200)는 제2안테나와 제2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안테나는,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에 구비된 RFID 태그로 신호를 전송하고, 이 신호에 대응하여 태그로부터 송신된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에 대한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한다.
제2송신부는, 제2안테나가 수신한 위치정보 신호를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한다.
RFID 센서(200)에 의해 감지된 특정한 관리대상에 관한 위치정보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된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이 위치정보들을 저장한다. 즉, 클라우드 서버(300)에는, RFID 태그에 관한 개별 고유정보 및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RFID 태그의 실시간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RFID 태그의 위치정보를 통해서 RFID 태그를 장착한 관리대상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키오스크(500)는, 게이트(100)에서 입수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키오스크(50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작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위치정보의 탐색이 필요한 고유정보를 특정하고,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오스크(500)를 통하여, 원하는 관리대상을 특정하여 그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가령, 매장내에서 미아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그 미아가 장착하고 있는 RFID 태그의 개별 고유정보를 키오스크(500)에 입력하고, 키오스크(500)는 입력된 고유정보에 따라 실시간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된 고유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300)는 이를 RFID 센서(200)로부터 입력된 고유정보를 갖는 RFID 태그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키오스크(5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위치정보 중 요청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별도로 마련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탐색을 원하는 대상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키오스크(500) 대신 또는 키오스크(500)에 부가하여,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가능 하도록 별도로 마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탐색을 원하는 대상에 대한 위치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 때,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키오스크(500)에서 이용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서 키오스크(500)는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으로 대체가능하다. 따라서, 매장 또는 주차장에서 미아가 발생한 경우, 보호자는 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미아의 고유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미아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위 시스템에는 중앙처리부(400)를 더 포함한다.
중앙처리부(4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모든 정보들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어 키오스크(500)를 통해 전송된 특정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을 확정할 수 있다. 일단 관리대상이 확정되면, 중앙처리부(400)는 RFID 센서(200)로 확정된 관리대상의 위치정보를 탐색하도록 탐색명령을 부여할 수 있다. RFID 센서(200)는 위 탐색명령에 따라 관리대상의 위치를 탐색하고, 그 위치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송신한다.
이 때, 중앙처리부(400)는 RFID 센서(200)로부터 전송받은 관리대상의 위치정보를 키오스크(500)로 전달할 수 있다. 키오스크(500)는 이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 등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것이다.
RFID 센서(200)는 매장 또는 주차장에 마련된 복수개의 등기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등기구는 중앙처리부(400) 및 클라우드 서버(300)와 연결된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제공된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와 연동되어 그 조도가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미아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미아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등기구가 점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아가 이동할 경우, 미아와 멀어지는 등기구는 조도가 낮아지고 일정거리를 벗어나면 소등되고, 미아와 가까워지는 등기구는 가장 가까운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조도가 점차 높아질 수 있다.
중앙처리부(400)는 클라우드 서버(300)의 위치정보를 통해 등기구의 조도를 제어한다.
또한, 중앙처리부(400)와 클라우드 서버(300)는 매장 또는 주차장 내부에 마련된 스피커와 연동되어,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제공된 위치정보에 따라 미아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스피커에서 안내방송이 송출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는 중앙처리부(400)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경우 미아의 동선확보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주차장에서 차량의 주차안내 또는 회사 내에서 직원들의 근태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등기구에는 개별 스피커를 모두 포함하여, 관리대상의 이동에 따라 적절한 메시지를 송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동선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합 동선 관리 방법은, 게이트가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는 RFID 태그에 태그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0) 상기 게이트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된 태그대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 상기 게이트가 상기 태그대응신호에 포함된 상기 RFID 태그의 개별 고유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30)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게이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개별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0) 키오스크가 표적 관리대상의 고유정보를 특정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표적 관리대상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50) 중앙처리부가 상기 요청에 따라 RFID 센서로 상기 위치정보에 대한 탐색명령을 부여하는 단계;(S60) 상기 RFID 센서가 상기 탐색명령에 따라 상기 표적 관리대상을 탐지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70) 상기 RFID 센서가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80)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위치정보의 전송명령을 부여하는 단계;(S90)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전송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표적 관리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의 등기구의 조도를 제어하되, 상기 표적 관리대상과 상기 등기구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조도를 높이고, 상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조도를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등기구에서 조사되는 빛은 다양한 파장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등기구가 일정한 패턴으로 점등됨으로써 방향을 표시하거나 길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등기구 조도의 변화가 불연속적으로 일어남으로써 탐지 대상 단말의 착용자에게 경고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등기구는, 공지의 조명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LED 등이 적절할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표적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표적관리 대상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스피커에서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구성들을 개시한 것이다.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대상의 개별 고유정보를 입수하는 게이트; 특정한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관리대상을 탐지하여 그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RFID 센서; 상기 개별 고유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정보가 출력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는, 관리대상에 구비된 RFID 태그로 태그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태그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송신된 상기 개별 고유정보에 관한 태그대응신호를 수신하는 제1안테나; 및 상기 태그대응신호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제1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한 고유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FID 센서는,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에 구비된 RFID 태그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송신된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에 대한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위치정보 신호를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제2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전송된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을 확정하고, 상기 RFID 센서에 상기 확정된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대한 탐색명령을 부여하며, 상기 RFID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관리대상의 위치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ID 센서는, 복수개의 등기구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등기구에 조도 제어 명령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 안내방송의 송출명령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오스크는, 휴대폰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표적 관리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의 등기구의 조도 또는 파장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표적 관리대상에게 일정한 방향지시 또는 경고표시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게이트 100
RFID 센서 200
클라우드 서버 300
중앙처리부 400
키오스크 500

Claims (8)

  1.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대상의 개별 고유정보를 입수하는 게이트;
    특정한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관리대상을 탐지하여 그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RFID 센서;
    상기 개별 고유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정보가 출력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는,
    관리대상에 구비된 RFID 태그로 태그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태그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송신된 상기 개별 고유정보에 관한 태그대응신호를 수신하는 제1안테나; 및
    상기 태그대응신호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제1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한 고유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FID 센서는,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에 구비된 RFID 태그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송신된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에 대한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위치정보 신호를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제2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전송된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을 확정하고, 상기 RFID 센서에 상기 확정된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대한 탐색명령을 부여하며, 상기 RFID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관리대상의 위치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센서는,
    복수개의 등기구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등기구에 조도 제어 명령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특정한 고유정보를 갖는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 안내방송의 송출명령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딩 시스템과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휴대폰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5. 게이트가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는 RFID 태그에 태그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된 태그대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가 상기 태그대응신호에 포함된 상기 RFID 태그의 개별 고유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게이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개별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키오스크가 표적 관리대상의 고유정보를 특정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표적 관리대상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중앙처리부가 상기 요청에 따라 RFID 센서로 상기 위치정보에 대한 탐색명령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RFID 센서가 상기 탐색명령에 따라 상기 표적 관리대상을 탐지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RFID 센서가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위치정보의 전송명령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전송명령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신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표적 관리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의 등기구의 조도를 제어하되, 상기 표적 관리대상과 상기 등기구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조도를 높이고, 상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조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표적 관리대상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표적관리 대상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스피커에서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표적 관리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의 등기구의 조도 또는 파장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표적 관리대상에게 일정한 방향지시 또는 경고표시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방법.
KR1020190061993A 2019-05-27 2019-05-27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200136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993A KR20200136210A (ko) 2019-05-27 2019-05-27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993A KR20200136210A (ko) 2019-05-27 2019-05-27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10A true KR20200136210A (ko) 2020-12-07

Family

ID=7379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993A KR20200136210A (ko) 2019-05-27 2019-05-27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62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190A (ko) 2009-06-26 2011-01-03 김종현 지하주차장 구역별 부분 점등 관리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190A (ko) 2009-06-26 2011-01-03 김종현 지하주차장 구역별 부분 점등 관리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7950B2 (en) Adaptive outdoor lighting control system based on user behavior
US10534370B2 (en) System and methods to support autonomous vehicles via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sensor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US9755743B2 (en) LED light global positioning and routing communication system
US99732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ghting and building occupant tracking
US10427597B2 (en) Safety arrangement
KR101668979B1 (ko) 가로등 및 이를 위한 관제 시스템
CN104272877A (zh) 用于调试网络的节点的方法和设备
KR102045837B1 (ko) 차량 진행 방향 인지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
KR101587010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발광 보도블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32420B1 (ko) Led 교통신호등의 이상 유무 자동감지 시스템
KR20140044155A (ko) 선박용 승선 인원 관리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90125758A (ko) Gps 신호를 이용한 가로등 점등 시스템
US20180139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lighting control
KR20200136210A (ko) 클라우딩 시스템과 연동하는 통합 동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034351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74470B1 (ko) 가로등용 옥외 비상 호출부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WO2016147043A2 (en) Intelligent multi-functional street lighting network
KR102016536B1 (ko) 도로 및 터널에서 lcs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47923B1 (ko) 무선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3799B1 (ko) 지하주차장 다중 조명 시스템
EP30738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KR20150137147A (ko) 사물통신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20170115928A (ko) 가로등 및 이를 위한 관제 시스템
JP2012053823A (ja) 車両監視システム、車両監視装置および車両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