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031A - Beverage supply device - Google Patents

Beverage suppl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031A
KR20200136031A KR1020207031147A KR20207031147A KR20200136031A KR 20200136031 A KR20200136031 A KR 20200136031A KR 1020207031147 A KR1020207031147 A KR 1020207031147A KR 20207031147 A KR20207031147 A KR 20207031147A KR 20200136031 A KR20200136031 A KR 20200136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opening
beverage supply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키 니노미야
유우키 도쿠나가
류우이치 나가시마
유키히데 모치다
겐야 나가요시
요헤이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89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195362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892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196185A/en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6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0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2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공급부(22)에 배치된 용기(C)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용기(C)를 촬상부(25)에서 촬상하여 용기(C)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 수단(25, 30)을 구비하고, 촬상부(25)는 용기(C)의 상면 개구(C1)의 높이 레벨보다도 낮은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상 상태에서는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덮는 한편,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이 용기(C)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촬상면(25a)을 노출시키는 커버 기구(2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beverag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the beverage produced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11 to the container C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2, the container C is imag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5 and the container C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25 and 30 for acquiring the image information of are provided, and the imaging unit 25 is provided at a portion lower than the height level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C1 of the container C. In addition, a cover mechanism 28 is provided that covers the imaging surface 25a of the imaging unit 25 in the normal state, while exposing the imaging surface 25a when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C. It is desirable to do.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Beverage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머신 등의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supply device such as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종래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는 커피머신 등의 음료 공급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커피 원두의 그라인딩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 등의 처리를 행하여 음료를 생성하여, 용기인 컵에 대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Conventionally, a beverage supply device such as a coffee machine is installed in stor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The beverage supply device produces beverage by performing processing such as grinding and dripping extraction processing of coffee beans, and supplies beverage to a cup serving as a container.

그와 같은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배치된 컵을 촬상하는 카메라 등의 촬상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촬상부로 촬상함으로써 취득된 화상 정보와, 메모리에 기억된 용기에 관한 정보로부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In such a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it is proposed to include an image pickup unit such as a camera that photographs the arranged cups, and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container from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imaging with such an image pickup unit and information about the container stored in the memory. It is mad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7-15994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7-159941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제안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배치된 컵의 상면 개구의 높이 레벨보다도 위쪽이 되는 부위에 촬상부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컵에 대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경우에, 음료로부터 생기는 김 등에 의해 촬상부에 의한 컵의 촬상을 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By the way, i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proposed in the said patent document 1, the imaging part was provided in a part above the height level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arrange|positioned cup. Therefore, in the case of supplying a beverage to a cup, there is a fear that the cup cannot be imaged by the imaging unit due to steam generated from the beverage or the like.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제안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촬상부에서 촬상함으로써 화상 정보로부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고 있지만, 컵의 배치 부위에 따라서 취득되는 화상 정보에 있어서의 컵의 크기가 변화되어 버려, 용기 종류의 판정을 잘못해 버리는 오판정(誤判定)이 일어날 우려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prop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type of the container is determined from image information by image pickup by an image pickup unit, but the size of the cup i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p changes. In addition, there was a risk of misjudgment that would make the judgment of the type of container wrong.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에 감안하여, 촬상부에 의한 촬상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supply device capable of satisfactory imaging by an imaging unit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용기 종류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suppl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용기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용기를 촬상부에서 촬상하여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용기의 상면 개구의 높이 레벨보다도 낮은 부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beverage generated by a beverage generating unit to a container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and the container is imaged by an image capturing unit. And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and the imaging unit is provided at a portion lower than a height level of an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통상 상태(normal state)에서는 상기 촬상부의 촬상면을 덮는 한편,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이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상기 촬상면을 노출시키는 커버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ver mechanism for covering the imaging surface of the imaging unit in a normal state, and exposing the imaging surface when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에 상기 용기가 배치되었음을 검출하는 용기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기구는, 상기 용기 검출 수단이 상기 용기의 배치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촬상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container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in the beverage supply unit, and the cover mechanism includes, when the container detecting means detects the disposition of the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ing surface is expos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에 의한 상기 입구의 개폐를 검지하는 도어 개폐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기구는, 상기 도어 개폐 검지부에 의해 상기 입구가 닫혔음이 검지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촬상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ning/clos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supplying unit, and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detecting opening/closing of the entrance by the opening/closing door, and the cover mechanism comprises: the do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pickup surface is exposed on the condition that the inlet is closed by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음료 공급부에 형성된 촬상용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를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하여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상기 촬상용 개구의 상부에 차양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captures the container by the imaging unit through an imaging opening form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nshade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agon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은, 거울면에 비추어진 상기 용기를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하여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by taking an image of the container projected on a mirror surface by the imag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용기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용기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판정 수단은, 상기 화상 정보에 있어서의 상기 용기의 상면 개구의 최대 폭과 상기 용기의 높이의 비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beverage generated by a beverage generating unit to a container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and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A container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ontainer from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wherein the container determination means is a ratio of a maximum width of an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container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a height of the contain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based 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에 상기 용기가 배치되었음을 검출하는 용기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판정 수단은, 상기 용기 검출부가 상기 용기의 배치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the beverage supply device includes a container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at the container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and the container determination means includes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when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detects the arrangement of the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container is determin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에 의한 상기 입구의 개폐를 검지하는 도어 개폐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판정 수단은, 상기 도어 개폐 검지부에 의해 상기 입구가 닫혔음이 검지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ning/clos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n entrance of the beverage supply unit, and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detecting opening/closing of the entrance by the opening/closing door, and the container determining means compris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the container is determined on the condition that the entrance is closed by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이, 용기를 촬상부에서 촬상하여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고, 그 촬상부가 용기의 상면 개구의 높이 레벨보다도 낮은 부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에 공급되는 음료로부터 생기는 김 등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없어, 촬상부에 의한 촬상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by imaging the container by the imaging unit, and the imaging unit is provided at a portion lower than the height level of the top opening of the container, it is supplied to the container. There is no fear of being affected by steam generated from beverages, etc., and an effect of satisfactory imaging by the imaging unit is exhibi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 수단과, 화상 정보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용기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용기 판정 수단은, 화상 정보에 있어서의 용기의 상면 개구의 최대 폭과 용기의 높이의 비에 기초하여 판정하기 때문에, 용기의 배치 부위에 따라 화상 정보에 있어서의 용기 크기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용기 종류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a container, and a container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ontainer from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the container determination means in the image information Because the determination is made based on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of the top opening of the container to the height of the container, it is not affected by the change in the container size in the image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accuracy of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is improved. It show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l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개폐 도어가 닫힘으로 된 상태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촬상부와 용기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의 (c) 및 (d)는 각각 도 4의 (a) 및 (b)의 커버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촬상부와 광원 유닛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제어부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용기 종류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의 변형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어부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용기 종류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용기 종류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판정에서 이용하는 요소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한 제어부가 실시하는 촬상부 오염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closed.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ing unit and the container, and FIGS. 4C and 4D illustrate the cover mechanisms of FIGS. 4A and 4B, respectively.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n.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n imaging unit and a light source unit.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ing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6.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ing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0;
12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11.
FIG. 1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elements used in the determination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container type shown in FIG. 12.
14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contamination determination processing of the imaging unit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0.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형태 1> <Embodiment 1>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머신이며, 예컨대 커피 원두의 그라인딩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예컨대 컵 등의 용기(C)에 커피 등의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 1 and 2 are each showing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The beverage supply device illustrated here is, for example,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and is to supply a beverage such as coffee to, for example, a container C such as a cup by performing an extraction process of grinding and dripping coffee beans. . This beverage supply device is provided with an apparatus body 1.

장치 본체(1)는 본체 캐비닛(10) 및 앞면 도어(2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닛(10)은 앞면이 개구된 대략 직방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커피)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11)가 마련되어 있다. The device body 1 has a body cabinet 10 and a front door 20. The main body cabinet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A beverage generating unit 11 for generating beverage (eg, coffee) is provided inside the main cabinet 10.

앞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앞면 개구를 폐색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앞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방 측의 한쪽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는 축부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캐비닛(10)의 앞면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ront door 20 is a door body having a size sufficient to close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cabinet 10. This front door 20 is installed at one edg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cabinet 10 so as to be able to swing around a central axis of an unillustrated shaft portion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ain body cabinet 10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of the.

이러한 앞면 도어(20)는 앞면이 접객면(接客面)을 구성하고 있으며, 표시부(21), 음료 공급부(22), 개폐 도어(23)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1)는, 예컨대 액정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정보를 표시함과 더불어,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21a)를 갖고 있다. The front door 20 has a front surface constituting a customer service surfac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21, a beverage supply unit 22, and an opening/closing door 23. The display unit 21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touch panel, and has an input unit 21a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capable of input operation such as a touch operation.

음료 공급부(22)는, 표시부(21)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으며, 노즐(22a)과 스테이지(22b)를 갖고 있다. 노즐(22a)은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음료를 아래쪽으로 향해서 토출하는 것이다. 스테이지(22b)는 노즐(22a)의 아래쪽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이 스테이지(22b)는 용기(C)를 배치하게 하는 것이며, 원호형의 스토퍼(22c)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22c)는, 노즐(22a)로부터 토출된 음료를 양호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하는 촬상부(25)가 양호하게 화상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는 소정의 정보 취득 가능 영역(S)을 구성하는 것이다. The beverage supply unit 22 is provided below the display unit 21 and has a nozzle 22a and a stage 22b. The nozzle 22a discharges the beverage generated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11 downward. The stage 22b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nozzle 22a. This stage 22b arranges the container C, and an arc-shaped stopper 22c is provided. The stopper 22c has a predetermined information acquisition possible area S in which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2a can be satisfactorily accommodated, and the imaging unit 25 to be described later can satisfactorily read image information. To construct.

개폐 도어(23)는, 예컨대 수지 등의 재료에 빛의 투과를 저감시키는 가공이 실시되어 구성되어 있고,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덮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여기서 빛의 투과성을 저감시키는 가공으로서는, 수지 등으로 형성된 것에 착색을 하거나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는 개폐 도어(23)의 외측에서 내측으로는 들여다 보이지만, 내측에서 외측으로는 반사하여 보이지 않는, 소위 매직 미러와 같은 가공이 실시된 것이라도 좋다.The opening/closing door 23 is configured by processing to reduce the transmission of light to a material such as resin, for example, and has a size sufficient to cover the entrance 2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Here, as a process for reducing the transmittance of light, coloring or embossing the material formed of a resin or the like may be mentioned. Alternatively, the opening/closing door 23 may be view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but may be reflec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not be seen, and may be processed such as a so-called magic mirror.

그와 같은 개폐 도어(23)는, 좌측 단부가 앞면 도어(20)에 피봇 지지되어 있고,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23)는, 음료 공급부(22)에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며, 음료 공급부(22)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닫게 할 수 있고, 음료 공급부(22)로부터 격리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열게 할 수 있다. Such an opening/closing door 23 has its left end pivotally supported by the front door 20 and is capable of swing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opening/closing door 23 is capable of swing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manner close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beverage supply part 22, and when it swings backward in a manner close to the beverage supply part 22, the beverage supply part 22 The inlet 22d can be closed, and the inlet 22d of the beverage supply portion 22 can be opened when it swings forward in a manner that is isolated from the beverage supply portion 22.

이러한 개폐 도어(23)는 가이드 부재(23b)를 갖고 있다. 가이드 부재(23b)는, 외측으로 향해서 튀어나오는 양태로 만곡되는 도어 본체(23a)의 내면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23a)의 형상을 따르도록 돌출되는 양태로 마련되어 있다. 즉, 가이드 부재(23b)의 선단 부분은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23b)는, 스테이지(22b)에 용기(C)가 배치된 상태에서 개폐 도어(23)가 후방(닫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용기(C)의 바닥부에 맞닿아 상기 용기(C)를 정보 취득 가능 영역(S)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 부재(23b)는, 개폐 도어(23)가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닫는 경우에,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토퍼(22c)와의 사이에서 용기(C)의 바닥부를 사이에 끼우는 것이다. This opening/closing door 23 has a guide member 23b. The guide member 23b is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body 23a that is curved in a manner protruding outward, and protrudes so as to follow the shape of the door body 23a. That is, the tip portion of the guide member 23b is curved. Such a guide member 23b abuts agains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3 swings rearward (closed direction) while the container C is disposed on the stage 22b. It guides the container C to the information acquisition possible area S.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23b i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 between the stopper 22c and the stopper 22c as shown in Fig. 3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3 closes the inlet 2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It is to sandwich the call.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음료 공급 장치는 용기 검출부(24), 촬상부(25), 도어 개폐 검지부(26),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 커버 기구(28), 광원 유닛(29) 및 제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beverage supply device includes a container detection unit 24, an image pickup unit 25, a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26, a door open/close lock mechanism 27, a cover mechanism 28, and a light source unit 29. And a control unit 30.

용기 검출부(24)는, 예컨대 광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음료 공급부(22)에 있어서의 용기(C)의 배치 유무, 즉 스테이지(22b)에 용기(C)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기 검출부(24)는 용기(C) 유무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30)에 제공하는 것이다.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24 is configured by,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and detects whether the container C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2, that is, whether the container C is disposed on the stage 22b. .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24 provides a result of 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ainer C to the control unit 30.

촬상부(25)는 음료 공급부(22)에 설치되어 있고, 예컨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을 탑재하고 있다. 이 촬상부(25)는, 음료 공급부(22)의 벽부에 형성된 촬상용 개구(22e)를 통해 스테이지(22b)에 배치된 용기(C)를 촬상하여 상기 용기(C)의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촬상부(25)는 생성한 화상 정보를 제어부(30)에 제공하는 것이다. The imaging unit 25 is provid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2, and includes, for example, a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This imaging unit 25 captures the container C disposed on the stage 22b through an imaging opening 22e formed on the wall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C. will be. The image pickup unit 25 provides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0.

이러한 촬상용 개구(22e)이지만, 도 4의 (a) 및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테이지(22b)에 배치된 용기(C)의 상면 개구(C1)의 높이 레벨보다도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촬상부(25)도 스테이지(22b)에 배치된 용기(C)의 상면 개구(C1)의 높이 레벨보다도 낮은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Although such an imaging opening 22e, as shown in Fig. 4(a) and (b), it is formed below the height level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C1 of the container C disposed on the stage 22b. have. Accordingly, the imaging unit 25 is also provided at a portion lower than the height level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C1 of the container C disposed on the stage 22b.

도어 개폐 검지부(26)는,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 근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예컨대 광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도어 개폐 검지부(26)는, 개폐 도어(23)에 의한 입구(22d)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22d)가 닫힘, 즉 개폐 도어(23)가 닫힘으로 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검지부(26)는, 개폐 도어(23)가 닫힘으로 되는지 여부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30)에 제공하는 것이다.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26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2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and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26 detec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ntrance 22d by the opening/closing door 23, and more specifically, whether the entrance 22d is closed, that is,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23 is closed. Is to detect.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26 provides the control unit 30 with a detection result of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23 is closed.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는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는, 입구(22d)를 닫는 개폐 도어(23)가 닫힘으로 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상기 개폐 도어(23)가 전방으로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도어(23)가 전방으로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의 사이에서 택일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의 전환은, 제어부(30)로부터 주어지는 지령에 따라서 이루어진다.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27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inlet 2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27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door 23 closing the entrance 22d is closed, thereby restricting the swinging of the opening/closing door 23 toward the front; and It is possible to alternatively switch between the unlocked states all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3 to swing forward. Switching of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27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given from the control unit 30.

커버 기구(28)는 커버 본체부(28a)와 액츄에이터(28b)를 갖고 있다. 커버 본체부(28a)는, 도 4의 (c) 및 (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측방에서 본 경우에 コ자형을 이루는 박스형체이며, 상벽부(281)와 하벽부(282)로 촬상부(25)를 사이에 끼우는 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 본체부(28a)는, 도 4에서의 회전축(L)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 본체부(28a)는, 도시하지 않는 커버 스프링에 밀어붙여져 있고, 통상 상태에서는, 도 4의 (a) 및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덮고 있다. 액츄에이터(28b)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동하는 경우에, 커버 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에 대항하여 커버 본체부(28a)를 회전시켜, 도 4의 (b) 및 (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The cover mechanism 28 has a cover body portion 28a and an actuator 28b. The cover body portion 28a is a box-shaped body forming a U-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S. 4C and 4D, and is imaged by the upper wall portion 281 and the lower wall portion 282 It is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 parts 25 are sandwiched between them. Such a cover body portion 28a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shaft L in FIG. 4. Such a cover body portion 28a is pressed against a cover spring (not shown), and in a normal state, covers the imaging surface 25a of the imaging portion 25 as shown in FIGS. 4A and 4C. have. The actuator 28b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solenoid, and when being driven, the cover body portion 28a is rotated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the cover spring, as shown in FIGS. 4B and 4D. As described above, the imaging surface 25a of the imaging unit 25 is exposed.

광원 유닛(29)은 음료 공급부(22)에 마련되어 있으며, 광원 부재인 LED(29a)를 내장하고 있다. 이 광원 유닛(29)은, LED(29a)가 점등함으로써 음료 공급부(22)의 벽부에 형성된 광원용 개구(22f)를 통해 상기 음료 공급부(22)의 내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The light source unit 29 is provid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2 and incorporates an LED 29a as a light source member. The light source unit 29 illuminates the inside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through an opening 22f for a light source formed in the wall portion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when the LED 29a is lit.

여기서 광원 유닛(29)과 촬상부(25)의 위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촬상부(25)는, 광원 유닛(29)을 구성하는 LED(29a)의 조사 방향(m) 이외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Her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29 and the imaging unit 25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5, the imaging unit 25 is disposed at a site other than the irradiation direction m of the LED 29a constituting the light source unit 29.

제어부(30)는, 상술한 음료 생성부(11), 표시부(21), 용기 검출부(24), 촬상부(25), 도어 개폐 검지부(26),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 커버 기구(28) 및 광원 유닛(2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억부(31)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서 이들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제어부(30)는, 후술하는 용기 종류 판정 처리에서 용기(C) 종류의 판정을 행하는 용기 판정 처리부(용기 판정 수단)(30a)를 갖고 있다. The control unit 30 includes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11, the display unit 21,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24, the imaging unit 25,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26,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27, and a cover mechanism ( 28) and the light source unit 29,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of these units according to programs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31 that are similarly electrically connected. This control unit 30 has a container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container determination means) 30a that determines the type of the container C in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ing described later.

또한, 제어부(30)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IC(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하여도 좋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uch as an IC (Integrated Circuit) to execute a program in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is, by software. , Software and hardware may be used in combination.

또한 기억부(31)는, 촬상부(25)에서 생성된 화상 정보와 용기(C) 종류의 관계를 저장한 대응 테이블(31a)을 기억하고 있다. Further, the storage unit 31 stores a correspondence table 31a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maging unit 25 and the type of the container C is stored.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제어부(30)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음료 공급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30 shown in FIG. 2.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while explaining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ing.

이 음료 공급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용기 검출부(24)가 용기(C)가 음료 공급부(22)에 있다고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0). 즉, 용기 검출부(24)는 용기(C)가 스테이지(22b)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용기(C)가 있다고 검출된 경우(단계 S110: 예), 제어부(30)는, 도어 개폐 검지부(26)의 검지 결과를 바탕으로, 개폐 도어(23)가 닫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0). 한편, 용기(C)가 있다고 검출되지 않는 경우(단계 S110: 아니오), 제어부(30)는 단계 S110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In this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24 has detected that the container C is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2 (step S110). That is,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24 detects whether or not the container C is disposed on the stage 22b.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a container C (step S110: YES),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open/close door 23 is clos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26 (step S120). ).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ot detected that the container C exists (step S110: No), the control unit 30 repeats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S110.

제어부(30)는, 상기 단계 S120에서 개폐 도어(23)가 닫힘이 아닌 경우(단계 S120: 아니오), 단계 S120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제어부(30)는, 개폐 도어(23)가 닫힘인 경우(단계 S120: 예)에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를 이용하여 개폐 도어(23)를 닫힘 상태로 로크하고(단계 S130), 용기 종류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140). If the opening/closing door 23 is not closed in step S120 (step S120: No), the control unit 30 repeats the determination process in step S120.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3 is closed (step S120: YES), the control unit 30 lock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3 in a closed state by us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locking mechanism 27 (step S130). ,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step S140).

도 7은 도 6에서의 용기 종류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용기 종류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30)는 광원 유닛(29)을 구성하는 LED(29a)를 점등시킴과 더불어 커버 기구(28)의 액츄에이터(28b)를 구동시킨다(단계 S141, 단계 S142). 이에 따라, 음료 공급부(22)의 내부는 LED(29a)에 조사됨과 더불어, 커버 본체부(28a)가 커버 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에 대항하여 회전하여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노출시킨다. 즉, 촬상부(25)는 촬상용 개구(22e)를 통한 촬상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30)는 촬상부(25)를 통해 읽어들여져 생성된 화상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143).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6. In this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the control unit 30 turns on the LED 29a constituting the light source unit 29 and drives the actuator 28b of the cover mechanism 28 (step S141, step S142). . Accordingly, the inside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is irradiated to the LED 29a, and the cover body 28a rotates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the cover spring to expose the imaging surface 25a of the imaging unit 25. Let it. That is, the image pickup unit 25 can capture an image through the image pickup opening 22e. The control unit 30 acquires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reading through the imaging unit 25 (step S143).

그리고 제어부(30)는, 용기 판정 처리부(30a)를 통해 기억부(31)로부터 대응 테이블(31a)을 독출하고(단계 S144), 화상 정보와 대응 테이블(31a)에 의해 용기(C)의 종류를 판정한다(단계 S145).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정보로부터 수치화한 수치화 정보에 있어서의 용기(C)의 형상 등과 대응 테이블(31a)에 있어서의 수치화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한 용기(C)의 종류를 판정한다. Then, the control unit 30 reads out the correspondence table 31a from the storage unit 31 through the container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30a (step S144), and uses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ence table 31a to determine the type of container C. Is determined (step S145). More specifically, it is judged whether the shape of the container C in the digitized information digitiz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digitized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ence table 31a match, and the type of the matched container C is determined. do.

이와 같이 하여 용기(C)의 종류를 판정한 제어부(30)는, 액츄에이터(28b)를 구동 정지로 하게 함과 더불어 LED(29a)를 소등시킨다(단계 S146, 단계 S147). 이에 따라, 커버 본체부(28a)는 커버 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만이 작용하여 회전하여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덮고, 음료 공급부(22)의 조사가 종료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의 용기 종류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The control unit 30 that has determined the type of the container C in this way makes the actuator 28b stop driving and turns off the LED 29a (step S146, step S147). Accordingly, the cover body portion 28a rotates only by the pushing force of the cover spring to cover the imaging surface 25a of the imaging portion 25, and irradiation of the beverage supply portion 22 is terminated. Then, the control unit 30 returns the procedure after that, and ends the present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이와 같이 하여 용기 종류 판정 처리를 실시한 제어부(30)는, 표시부(21)에 대하여, 상술한 단계 S140에서 판정한 종류의 용기(C)에 대응한 음료, 즉 공급해야 할 음료의 표시와, 확인 문구가 표시된 입력부(21a)의 터치를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행한다(단계 S150).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30, which has performed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displays,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21, a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ontainer C determined in step S140, that is, a beverage to be supplied, and confirms A guide display for guiding the touch of the input unit 21a on which the phrase is displayed is performed (step S150).

그 후, 제어부(30)는 입력부(21a)가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60). 입력부(21a)가 터치되지 않는 경우(단계 S160: 아니오), 제어부(30)는 단계 S160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입력부(21a)가 터치된 경우(단계 S160: 예),제어부(30)는, 음료 생성부(11)에 대하여, 공급하는 음료의 생성 및 공급 처리를 하게 한다(단계 S170). 그 후, 제어부(30)는 음료 생성부(11)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0). 음료 공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180: 아니오)에는, 제어부(30)는 단계 S170으로 되돌아가 음료의 생성 및 공급 처리를 속행한다. 한편, 음료 공급이 종료된 경우(단계 S180: 예)에는, 제어부(30)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27)에 의한 개폐 도어(23)의 닫힘 상태의 로크를 해제하고(단계 S190), 그 후에 수순을 리턴하여 이번의 음료 공급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After that,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unit 21a is touched (step S160). When the input unit 21a is not touched (step S160: No), the control unit 30 repeats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S160.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unit 21a is touched (step S160: Yes), the control unit 30 causes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11 to generate and supply a beverage to be supplied (step S170). After that,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everage supply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11 has ended (step S180). If the beverage supply is not finished (step S180: No), the control unit 30 returns to step S170 to continue the beverage generation and supply process. On the other hand, when the beverage supply is terminated (step S180: YES), the control unit 30 releases the lock in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3 by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27 (step S190), and Subsequently, the procedure is returned to end the current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촬상부(25) 및 제어부(30)가 용기(C)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imaging unit 25 and the control unit 30 constitut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C.

그리고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촬상부(25)가 스테이지(22b)에 배치된 용기(C)의 상면 개구(C1)의 높이 레벨보다도 낮은 부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22a)로부터 용기(C)에 토출되는 음료에서 생기는 김 등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없어, 촬상부(25)에 의한 촬상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And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since the imaging unit 25 is provided at a portion lower than the height level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C1 of the container C disposed on the stage 22b, the container C from the nozzle 22a There is no fear of being affected by steam generated from the beverage discharged to ), and image pickup by the imaging unit 25 can be performed satisfactorily.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커버 기구(28)가, 통상 상태에서는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덮는 한편, 촬상부(25)가 촬상하는 경우에 상기 촬상면(25a)을 노출시키기 때문에, 촬상면(25a)이 음료 등에 의해 더러워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도 촬상부(25)에 의한 촬상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since the cover mechanism 28 covers the image pickup surface 25a of the image pickup unit 25 in a normal state, and exposes the image pickup surface 25a when the image pickup unit 25 captures an image. ,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mage pickup surface 25a from becoming dirty due to beverages, etc., and thereby, the image pickup by the image pickup unit 25 can also be performed satisfactorily.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음료 공급부의 입구(22d)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23)가 빛의 투과를 저감시키는 가공이 실시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부(25)에서 촬상하여 용기(C)의 화상 정보를 취득할 때에, 점포의 조명 등의 외부 광원의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하여 오판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용기(C) 종류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2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transmission of light, the container C is imag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5. When acquiring the image information of,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fluence of external light sources such as lighting of the stor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rroneous determination, a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the container (C).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개폐 도어(23)가 닫힘으로 되어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가 닫힌 상태에서 LED(29a)가 점등하여 음료 공급부(22)의 내부를 조사하기 때문에, 촬상부(25)에 의해 양호한 화상 정보의 취득이 가능하게 되어, 오판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기(C) 종류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3 is closed and the inlet 2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is closed, the LED 29a lights up to irradiate the interior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erroneous determina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obtain good image information by the unit 25,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the container C.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촬상부(25)가 광원 유닛(29)을 구성하는 LED(29a)의 조사 방향(m) 이외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C)가 투명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용기(C)에 의해 그림자가 되는 부분을 촬상할 수 있는 한편, 용기(C)가 투명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용기(C)에 의해 그림자가 되는 부분을 촬상할 수 없다. 즉, 촬상하는 범위에 있어서의 그림자의 유무로 용기(C)의 종류를 판정할 수 있게 되어,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since the imaging unit 25 is disposed at a portion other than the irradiation direction m of the LED 29a constituting the light source unit 29, the container C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When the container (C)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while the container (C)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part to be shadowed by the container (C) can be imaged. Can't. That is, the type of the container C can be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hadow in the range to be imaged, and 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can be improved.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개폐 도어(23)의 가이드 부재(23b)가, 개폐 도어(23)가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용기(C)의 바닥부에 맞닿아 상기 용기(C)를 정보 취득 가능 영역(S)으로 안내하고, 또한 개폐 도어(23)가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닫을 때에 스토퍼(22c)와의 사이에서 용기(C)의 바닥부를 끼워 정보 취득 가능 영역(S)에 배치하게 하기 때문에, 양호한 화상 정보의 취득이 가능하게 되어, 오판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기(C) 종류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guide member 23b of the opening/closing door 23 contact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23 swings rearward, and information about the container C. When guiding to the obtainable area S, 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3 closes the inlet 2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 is sandwiched between the stopper 22c and the information obtainable area ( Since it is arranged in S), good imag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by preventing erroneous determination from occurr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the container C.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음료 생성부(11)에 의한 음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은 개폐 도어(23)를 로크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화상을 당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3 is locked while the beverage is being supplied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1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getting burned.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 1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용기(C)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여 용기(C) 종류의 판정을 행하고 있었지만, 필요에 따라서,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용기의 높이 정보나 온도 정보, 색 정보 등의 정보를 취득하여 용기 종류의 판정을 행하여도 좋다.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C was acquired and the type of the container C was determined. However, if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height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etc. of the container through various sensors, etc. You may obtain and judge the type of container.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촬상부(25)가 촬상용 개구(22e)를 통해 용기(C)를 촬상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촬상용 개구(22e)의 상부에 차양(35)을 두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용기(C)에 음료를 공급할 때에 음료가 비산됨으로써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이 더러워져 버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는 촬상부(25)의 촬상면(25a)을 정기적으로 닦아내는 와이퍼와 같은 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image pickup unit 25 captured the container C through the image pickup opening 22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a shade above the image pickup opening 22e You may put (35). According to this, when the beverage is supplied to the container C, it can be avoided that the image pickup surface 25a of the image pickup unit 25 becomes dirty due to scattering of the beverage. Alternatively, a member such as a wiper may be provided for periodically wiping the imaging surface 25a of the imaging unit 25.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촬상부(25)로 용기(C)를 촬상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거울면에 비추어진 용기를 촬상부에서 촬상함으로써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여도 좋다.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C is imag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5,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may be obtained by capturing the container illuminated on the mirror surface by the image capturing unit.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가이드 부재(23b)가, 개폐 도어(23)가 음료 공급부(22)의 입구(22d)를 닫는 경우에, 스토퍼(22c)와의 사이에서 용기(C)의 바닥부를 끼워 정보 취득 가능 영역(S)에 배치하게 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부재가 스토퍼와 용기를 사이에 끼울 필요는 없고, 개폐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용기의 바닥부에 맞닿아 상기 용기를 정보 취득 가능 영역으로 안내하는 것만으로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3 closes the inlet 2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2, the guide member 23b fit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 between the stopper 22c. Although it was arranged i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area 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for the guide member to sandwich the stopper and the container, 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swings in the closed direction, it abuts agains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t is good to just guide the container to the information acquisition area.

<실시형태 2> <Embodiment 2>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9는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머신이며, 예컨대 커피 원두의 그라인딩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예컨대 컵 등의 용기(D)에 커피 등의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9 and 10 each show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and FIG.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The beverage supply device illustrated here is, for example,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and for example, grinding and dripping coffee beans is performed to supply beverages such as coffee to a container D such as a cup. . This beverage supply device has an apparatus body 2.

장치 본체(2)는 본체 캐비닛(40) 및 앞면 도어(5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닛(40)은 앞면이 개구된 대략 직방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40)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커피)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41)가 마련되어 있다. The device body 2 has a body cabinet 40 and a front door 50. The main body cabinet 4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cabinet 40, a beverage generating unit 41 for generating beverage (eg, coffee) is provided.

앞면 도어(50)는, 본체 캐비닛(40)의 앞면 개구를 폐색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앞면 도어(50)는, 본체 캐비닛(40)의 전방 측의 한쪽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는 축부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캐비닛(40)의 앞면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ront door 50 is a door body having a size sufficient to close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cabinet 40. This front door 50 is installed at one edge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cabinet 40 so as to be able to swing around a central axis of a shaft portion not show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of ).

이러한 앞면 도어(50)는, 앞면이 접객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표시부(51), 음료 공급부(52), 개폐 도어(53)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51)는, 예컨대 액정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정보를 표시함과 더불어,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음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51a)를 갖고 있다. 이러한 선택부(51a)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In such a front door 50, the front surface constitutes a reception surface, and a display portion 51, a beverage supply portion 52, and an opening/closing door 53 are provided. The display unit 51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touch panel, and has a selection unit 51a capable of selecting a beverage by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performing input operations such as a touch operation. This selection unit 51a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음료 공급부(52)는 표시부(51)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으며, 노즐(52a)과 스테이지(52b)를 갖고 있다. 노즐(52a)은 음료 생성부(41)에서 생성된 음료를 아래쪽으로 향해서 토출하는 것이다. 스테이지(52b)는 노즐(52a)의 아래쪽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이 스테이지(52b)는 용기(D)를 배치시키는 것으로, 원호형의 스토퍼(52c)가 형성되어 있다. The beverage supply unit 52 is provided below the display unit 51 and has a nozzle 52a and a stage 52b. The nozzle 52a discharges the beverage generated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41 downward. The stage 52b is provided in a region below the nozzle 52a. This stage 52b arranges the container D, and an arc-shaped stopper 52c is formed.

개폐 도어(53)는, 예컨대 투명한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음료 공급부(52)의 입구(52d)를 덮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 개폐 도어(53)는, 좌측 단부가 앞면 도어(50)에 피봇 지지되어 있고,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53)는, 음료 공급부(52)에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며, 음료 공급부(52)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52)의 입구(52d)를 닫게 할 수 있고, 음료 공급부(52)로부터 격리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52)의 입구(52d)를 열게 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door 53 is made of, for example,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 transparent resin, and has a size sufficient to cover the inlet 5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52. This opening/closing door 53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front door 50 at its left end, and is capable of swing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opening/closing door 53 is capable of swing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manner close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beverage supply unit 52, and when it swings backward in a manner close to the beverage supply unit 52, the beverage supply unit 52 The inlet 52d can be closed, and the inlet 5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52 can be opened when it swings forward in a manner that is isolated from the beverage supply unit 52.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음료 공급 장치는 용기 검출부(54), 촬상부(55), 도어 개폐 검지부(56), 도어 개폐 로크 기구(57) 및 제어부(60)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beverage supply device includes a container detection unit 54, an imaging unit 55,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56, a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57, and a control unit 60.

용기 검출부(54)는, 예컨대 광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음료 공급부(52)에 있어서의 용기(D)의 배치 유무, 즉 스테이지(52b)에 용기(D)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기 검출부(54)는 용기(D) 유무 검출 결과를 제어부(60)에 제공하는 것이다.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4 is configured by,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and detects whether the container D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52, that is, whether the container D is disposed on the stage 52b. .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4 provides a result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ainer D to the control unit 60.

촬상부(55)는 음료 공급부(52)에 설치되어 있고, 예컨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을 탑재하고 있다. 이 촬상부(55)는, 스테이지(52b)에 배치된 용기(D)를 촬상하여 상기 용기(D)의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촬상부(55)는 생성한 화상 정보를 제어부(60)에 제공하는 것이다.The imaging unit 55 is provid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52 and, for example, is equipped with a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or the like. This image pickup unit 55 captures an image of the container D disposed on the stage 52b and generates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D. The image pickup unit 55 provides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60.

도어 개폐 검지부(56)는 음료 공급부(52)의 입구(52d) 근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예컨대 광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도어 개폐 검지부(56)는 개폐 도어(53)에 의한 입구(52d)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52d)가 닫힘, 즉 개폐 도어(53)가 닫힘으로 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검지부(56)는, 개폐 도어(53)가 닫힘으로 되는지 여부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60)에 제공하는 것이다.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56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5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52, and is composed of,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56 detec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ntrance 52d by the opening/closing door 53, and more specifically, whether the entrance 52d is closed, that is,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53 is closed. It is to detect.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56 provides the control unit 60 with a detection result of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53 is closed.

도어 개폐 로크 기구(57)는 음료 공급부(52)의 입구(52d)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로크 기구(57)는, 입구(52d)를 닫는 개폐 도어(53)가 닫힘으로 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상기 개폐 도어(53)가 전방으로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도어(53)가 전방으로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의 사이에서 택일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로크 기구(57)의 전환은 제어부(60)로부터 주어지는 지령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57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5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52.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57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door 53 closing the entrance 52d is closed, thereby restricting the swinging of the opening/closing door 53 toward the front; and It is possible to alternately switch between the unlocked states all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53 to swing forward. Switching of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57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given from the control unit 60.

제어부(60)는, 상술한 음료 생성부(41), 표시부(51), 용기 검출부(54), 촬상부(55), 도어 개폐 검지부(56), 도어 개폐 로크 기구(5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억부(58)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서 이들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제어부(60)는, 후술하는 용기 종류 판정 처리에서 용기(D) 종류의 판정을 행하는 용기 판정 처리부(용기 판정 수단)(60a)를 갖고 있다.The control unit 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41, the display unit 51,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4, the imaging unit 55,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56, and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57 described above. In the same way, the operation of each of these units is collec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programs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58 electrically connected. This control unit 60 has a container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container determination means) 60a that determines the type of the container D in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ing described later.

또한, 제어부(60)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IC(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하여도 좋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executing a program in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is, by software, or by hardware such as an IC (Integrated Circuit). , Software and hardware may be used in combination.

또한, 기억부(58)는 대응 테이블(58a)과 기준 정보(58b)를 기억하고 있다. 대응 테이블(58a)은, 용기 종류 판정 처리에서 이용되는 정보이며 촬상부(55)에서 생성된 화상 정보와 용기(D) 종류의 관계를 저장하고 있다. 기준 정보(58b)는, 후술하는 촬상부 오염 판정 처리에서 이용되는 정보이며, 초기의 음료 공급부(52)를 촬상한 화상 정보를 수치화한 것으로, 음료 공급부(52)에 형성된 선이나 모양 등의 표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Further, the storage unit 58 stores the correspondence table 58a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58b. The correspondence table 58a is information used in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and st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maging unit 55 and the container D type. The reference information 58b is information used in the image pickup unit contamination determination processing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a numerical image of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initial beverage supply unit 52, and displays a line or shape formed on the beverage supply unit 52. It includes.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어부(60)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음료 공급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ents of a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60 shown in FIG. 10.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while explaining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ing.

이 음료 공급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60)는, 용기 검출부(54)가 용기(D)가 음료 공급부(52)에 있다고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0). 즉, 용기 검출부(54)는 용기(D)가 스테이지(52b)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용기(D)가 있다고 검출된 경우(단계 S210: 예), 제어부(60)는 용기 종류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220). 한편, 용기(D)가 있다고 검출되지 않는 경우(단계 S210: 아니오)에는, 제어부(60)는 단계 S210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In this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4 has detected that the container D is in the beverage supply unit 52 (step S210). That is,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4 detects whether or not the container D is disposed on the stage 52b.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a container D (step S210: YES), the control unit 60 performs a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step S220).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ot detected that the container D is present (step S210: No), the control unit 60 repeats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S210.

도 12는 도 11에서의 용기 종류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용기 종류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60)의 용기 판정 처리부(60a)는, 촬상부(55)를 통해 읽어들여져 생성된 화상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21). 12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11. In this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the container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60a of the control unit 60 acquires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reading through the imaging unit 55 (step S221).

그리고, 용기 판정 처리부(60a)는, 기억부(58)로부터 대응 테이블(58a)을 독출하여(단계 S222), 화상 정보와 대응 테이블(58a)에 의해 용기(D)의 종류를 판정한다(단계 S223).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정보로부터 수치화한 수치화 정보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D)의 상면 개구(D1)의 직경(최대 폭(a))과 높이(b)의 비가, 대응 테이블(58a)에 있어서의 수치화 정보의 각 비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한 용기(D)의 종류를 판정한다. 이 용기(D) 종류의 판정을 행한 제어부(60)는,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의 용기 종류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Then, the container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60a reads the correspondence table 58a from the storage unit 58 (step S222), and determines the type of the container 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ence table 58a (step S223). More specifically, in the digitized information converted from image information, the ratio between the diameter (maximum width (a)) and height (b)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D1 of the container D as shown in FIG. 13 corresponds to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matches each ratio of the numerical information in the table 58a, and the type of the matched container D is judged. The control unit 60 that has performed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the container D then returns the procedure to end the current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이와 같이 하여 용기 종류 판정 처리를 실시한 제어부(60)는, 도어 개폐 검지부(56)의 검지 결과를 바탕으로, 개폐 도어(53)가 닫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0). 개폐 도어(53)가 닫힘이 아닌 경우(단계 S230: 아니오)에는, 단계 S230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제어부(60)는, 개폐 도어(53)가 닫힘인 경우(단계 S230: 예)에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57)를 이용하여 개폐 도어(53)를 닫힘 상태로 로크한다(단계 S240). The control unit 60 that has performed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ing in this way determines whether the open/close door 53 is clos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56 (step S230). If the opening/closing door 53 is not closed (step S230: NO),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S230 is repe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53 is closed (step S230: YES), the controller 60 locks the opening/closing door 53 in a closed state using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57 (step S240). .

그리고 제어부(60)는, 표시부(51)의 선택부(51a)가 이용자에 의해 터치됨으로써 선택되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250). 선택부(51a)가 선택된 경우(단계 S250: 예), 제어부(60)는, 단계 S220에서 판정한 용기(D)와 연관된 음료와 선택부(51a)에서 선택된 음료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60). Then, the control unit 60 enters a standby state waiting for the selection unit 51a of the display unit 51 to be selected by being touched by the user (step S250). When the selection unit 51a is selected (step S250: Yes),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the beverage associated with the container D determined in step S220 and the beverage selected in the selection unit 51a match ( Step S260).

일치하지 않는 경우(단계 S260: 아니오), 제어부(60)는 표시부(51)에 재차 선택을 재촉하는 취지의 표시를 하고(단계 S270), 단계 S250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If they do not match (step S260: No), the control unit 60 makes a display to the display unit 51 to prompt the selection again (step S270), and returns to the processing of step S250.

한편, 일치하는 경우(단계 S260: 예), 제어부(60)는 음료 생성부(41)에 대하여, 공급하는 음료의 생성 및 공급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280). 그 후, 제어부(60)는 음료 생성부(41)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90). 음료 공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290: 아니오)에는, 제어부(60)는 단계 S280으로 되돌아가 음료의 생성 및 공급 처리를 속행한다. 한편, 음료 공급이 종료된 경우(단계 S290: 예)에는, 제어부(60)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57)에 의한 개폐 도어(53)의 닫힘 상태의 로크를 해제하고(단계 S300), 그 후에 수순을 리턴하여 이번의 음료 공급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y match (step S260: YES), the control unit 60 causes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41 to generate and supply the beverage to be supplied (step S280). After that,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the supply of the beverage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41 has ended (step S290). When the beverage supply is not finished (step S290: NO), the control unit 60 returns to step S280 to continue the beverage generation and supply process. On the other hand, when the beverage supply is terminated (step S290: YES), the control unit 60 releases the lock in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53 by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57 (step S300), and Subsequently, the procedure is returned to end the current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촬상부(55) 및 제어부(60)가 용기(D)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the imaging unit 55 and the control unit 60 constitut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D.

그와 같은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음료의 공급과는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타임 스케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촬상부 오염 판정 처리를 행한다. In such a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irrespective of supply of beverages, the following imaging unit contamination determin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schedule.

도 14는 도 10에 도시한 제어부(60)가 실시하는 촬상부 오염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14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imaging unit contamination determination processing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60 shown in FIG. 10.

이 촬상부 오염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60)는 촬상부(55)를 통해 읽어들여져 생성된 화상 정보를 취득하고(단계 S311), 기억부(58)로부터 기준 정보(58b)를 독출한다(단계 S312).In this imaging unit contamination determination process, the control unit 60 acquires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reading through the imaging unit 55 (step S311), and reads the reference information 58b from the storage unit 58 ( Step S312).

그리고 제어부(60)는, 화상 정보와 기준 정보(58b)를 비교하여, 기준 정보(58b)에 포함되는 표시(특징 부분)가 화상 정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3). Then, the control unit 60 compares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58b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display (feature part) includ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58b is in the image information (step S313).

특징 부분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313: 예), 제어부(60)는 촬상부(55)에 오염이 없다고 판정하고(단계 S314),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eature part (step S313: YES),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at the imaging unit 55 is free of contamination (step S314), and then returns the procedure to end this process.

한편, 특징 부분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313: 아니오), 제어부(60)는 촬상부(55)에 오염이 있다고 판정한다(단계 S315). 이와 같이 하여 촬상부(55)에 오염이 있다고 판정한 제어부(60)는, 표시부(51)에 촬상부(55)의 청소를 재촉하는 취지의 표시를 하고(단계 S316), 그 후에 수순을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feature part (step S313: No),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at the imaging unit 55 is contaminated (step S315).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60, which has determined that the image pickup unit 55 is contaminated,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51 to prompt cleaning of the image pickup unit 55 (step S316), and then returns the procedure. To finish this process.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60)가, 음료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51a)에서 선택된 음료와, 용기 판정 처리부(60a)를 통해 판정한 용기(D)와 연관된 음료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음료 생성부(41)에 음료를 생성하게 하여 용기(D)에의 공급을 시작하는 한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택부(51a)에서 음료를 재차 선택하게 하기 때문에, 음료의 공급 과정에서 이용자에게 의사 표시를 하게 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판정된 용기에 연관된 음료밖에 선택할 수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용자가 구하는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0 includes the beverage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51a for selecting the beverage and the container determined through the container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60a. Compare the beverages associated with (D), and if they match,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41 generates a beverage to start supplying the beverage to the container D, while when they do not match, the selection unit 51a Since the beverage is selected agai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intention to the user 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beverage, so that the beverage requested by the user can be suppli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beverages associated with the determined container as in the prior art can be selected.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60)의 용기 판정 처리부(60a)가, 화상 정보와 대응 테이블(58a)의 비교에 있어서, 용기(D)의 상면 개구(D1)의 직경(a)과 높이(b)의 비에 기초하여 용기(D)의 종류를 판정하기 때문에, 용기(D)의 배치 부위에 따라 화상 정보에 있어서의 용기(D)의 크기 변화에 영향을 받는 일이 없어, 용기(D) 종류 판정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container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60a of the control unit 60, in the comparison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ence table 58a, the diameter (a) and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D1) of the container (D). Since the type of the container D is determined based on the ratio of (b), it is not affected by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container D in the image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container D is placed. D) The type determina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또한,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60)가, 미리 정해진 타임 스케줄에 따라서 취득하게 한 음료 공급부(52)의 소정 영역의 화상 정보와 기억부(58)에 기억된 기준 정보(58b)를 비교하여 촬상부(55)의 오염을 판정하여, 촬상부(55)가 더러워져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표시부(51)에 촬상부(55)의 청소를 재촉하는 취지의 표시를 하여 통지하기 때문에, 점포의 점원 등의 관리자에게 촬상부(55)의 청소를 재촉하여, 오판정이 일어날 기회를 줄이게 하여, 용기(D) 종류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control unit 60 compares the image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area of the beverage supply unit 52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58b stored in the storage unit 58 to be acquir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schedule. Thus, the contamination of the imaging unit 55 is determin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ing unit 55 is dirty, a display indicating that the cleaning of the imaging unit 55 is urged on the display unit 51 is displayed and notified. , It is possible to urge managers such as store clerks to clean the imaging unit 55 to reduce the chance of an erroneous determination,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container D type determination.

더욱이,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용기 검출부(54)에 의해 용기(D)가 음료 공급부(52)에 있다고 판단되고 나서 용기(D)의 종류를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판정을 행하는 타이밍이 일의적으로 정해져 있어, 오판정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Moreover,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since the container D is determined by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4 to be in the beverage supply unit 52 and then the type of the container D is determined, the timing for making the determination is unique. It is fixed, and erroneous judgment can be prevented.

더구나, 개폐 도어(53)가 닫힘으로 되기 전, 즉 음료 공급부(52)의 입구(52d)가 닫히기 전에 용기(D) 종류의 판정을 실시하고 있어, 음료의 공급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before the opening door 53 is closed, that is, before the inlet 52d of the beverage supply unit 52 is closed, the type of the container D is determined,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supplying the beverage. I can.

또한,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음료 생성부(41)에 의한 음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은 개폐 도어(53)를 로크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53 is locked while the beverage is being supplied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4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getting burned.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 2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용기(D)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여 용기 종류 판정 처리를 행하고 있었지만, 필요에 따라서,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용기(D)의 높이 정보나 온도 정보, 색 정보 등의 정보를 취득하여 용기 종류 판정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D was acquired and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was performed, but information such as height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etc. of the container D through various sensors as necessary. You may acquire and perform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ing.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용기 검출부(54)에 의해 용기(D)가 음료 공급부(52)에 있다고 판단되고 나서 용기(D)의 종류를 판정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개폐 도어(53)가 닫힘이라고 판단되고 나서 용기(D)의 종류를 판정하여도 좋다.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D is determined by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4 to be in the beverage supply unit 52, and then the type of the container D is determin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close door 53 is closed. After it is judged as, the type of container D may be determined.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60)는, 용기 종류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 용기(D)와 연관된 음료와 선택부(51a)에서 선택된 음료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단계 S260: 아니오), 표시부(51)에 재차 선택을 재촉하는 취지의 표시를 하여 단계 S250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60)는, 용기 종류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 용기(D)와 연관된 음료와 선택부(51a)에서 선택된 음료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단계 S260: 아니오), 단계 S220의 처리로 되돌아가더라도 좋다. 즉, 제어부는, 선택부에서 선택된 음료와 용기 판정 수단에서 판정한 용기와 연관된 음료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 취득 수단에 용기의 정보를 새롭게 취득하게 함과 더불어 용기 판정 수단에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게 하여, 선택부에서 음료를 재차 선택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2, in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ing, when the beverage associated with the container D determined in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ing and the beverage selected in the selection unit 51a do not match ( Step S260: No), the display to the effect of prompting the selection aga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1 to return to the process of step S25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e container D in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 If the beverage associated with) and the beverage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51a do not match (step S260: No), the process may return to step S220. That is, when the beverage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and the beverage associated with the container determined by the container determining unit do not match, the control unit causes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o newly acquire information on the container and determines the type of the container to the container determination unit.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decision so that the selection unit selects a beverage again.

이에 따르면, 음료의 공급 과정에서 이용자에게 의사 표시를 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차 용기 종류의 판정을 행하고 나서 이용자에게 음료의 선택을 하게 할 수 있어, 맨 처음에 취득한 화상 정보가 불충분하여 판정이 잘못되었다고 하여도 재차 판정을 행할 수 있어, 이용자가 원래 구하는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not only can the user express the int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process, but also the user can select the beverage after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ainer type is made again,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at the beginning is insufficient and the determination is Even if there is a mistake, the determination can be made again, and the beverage originally sought by the user can be supplied.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용기(D) 종류의 판정을 행한 후에 선택부(51a)에서 선택되도록 했었지만, 용기(D) 종류의 판정을 행한 후에는, 판정한 용기(D)와 연관된 음료와 같은 가격의 다른 음료를 선택부(51a)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이에 따르면, 이용자는 같은 가격의 범위에서 음료를 다시 고를 수 있어, 이용자가 원래 구하는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2, after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the container D was made, the selection was made in the selection unit 51a, but after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the container D, the same beverage as the beverage associated with the determined container 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it possible to select different beverages of different prices in the selection unit 51a. According to this, the user can select a beverage again within the same price range, and thus, the beverage originally sought by the user can be supplied.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제어부(60)는, 용기(D) 종류의 판정을 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단계 S260의 판단을 행하지 않고서 선택부(51a)에서 선택된 음료를 생성하여 용기(D)에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Although no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2, when the type of container D could not be determined, the control unit 60 generates the beverage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51a without making the determination in step S260, and the container ( It may be supplied to D).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제어부(60)의 용기 판정 처리부(용기 판정 수단)(30a)는, 촬상부(55)를 거쳐 취득한 화상 정보에 있어서의 수치화 정보의 파라미터 범위에 관해서 음료의 공급 이력에 따라서 보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Although not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container determination means) 30a of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e parameter range of the digitization information i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imaging unit 55. Corre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upply history.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촬상부(55)는 단수가 아니라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어부(60)는, 이들 복수의 촬상부(55)에서 촬상된 화상 정보를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서 채용하고, 대응 테이블(58a)과 비교하여 용기(D) 종류의 판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Although not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imaging units 55 may be provided in plural rather than singula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0 adopts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imaging units 55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and compares it with the corresponding table 58a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container D. You may do it.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촬상부(55)에서 생성되어 취득된 화상 정보가 복수 있는 경우, 대응 테이블(58a)과의 비교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일치했을 때에 용기(D)의 종류를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Although no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2,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generated and acquired by the imaging unit 55, the type of container D is match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comparison with the correspondence table 58a May be determined.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단계 S290에 있어서, 제어부(60)가 음료 생성부(41)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지만, 이러한 판단은 촬상부(55)에서 촬상하여 취득한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여도 좋다.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step S290,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everage supply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41 has ended, but this determination is performed by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55 and acquired. You may judge using.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용기 종류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60)의 용기 판정 처리부(60a)는, 촬상부(55)를 통해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용기(D)에 부여된 서비스 제공자 고유의 식별 정보(예컨대 점포 특유의 로고마크 등)를 검출한 경우에 판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 이외의 용기(점포 밖에서 이용자가 가지고온 용기)에 대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Although no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2, in the container type determination processing, the container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60a of the control unit 60 is provided to the container D from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imaging unit 55. A judgment may be made when the service provider-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a store-specific logo mark, etc.) is detected.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avoid supplying beverages to containers other than the service provider (containers brought by users from outside the store).

1: 장치 본체, 10: 본체 캐비닛, 11: 음료 생성부, 20: 앞면 도어, 21: 표시부, 21a: 입력부, 22: 음료 공급부, 22a:노즐, 22b: 스테이지, 22c: 스토퍼, 22d: 입구, 23: 개폐 도어, 24: 용기 검출부, 25: 촬상부, 26: 도어 개폐 검지부, 27: 도어 개폐 로크 기구, 28: 커버 기구, 28a: 커버 본체부, 28b: 액츄에이터, 29: 광원 유닛, 29a: LED, 30: 제어부, 30a: 용기 판정 처리부, 31: 기억부, 31a: 대응 테이블, C: 용기, S: 정보 취득 가능 영역. 1: device main body, 10: main body cabinet, 11: beverage generating unit, 20: front door, 21: display unit, 21a: input unit, 22: beverage supply unit, 22a: nozzle, 22b: stage, 22c: stopper, 22d: entrance, 23: opening door, 24: container detection unit, 25: imaging unit, 26: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27: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28: cover mechanism, 28a: cover body portion, 28b: actuator, 29: light source unit, 29a: LED, 30: control unit, 30a: container determination processing unit, 31: storage unit, 31a: correspondence table, C: container, S: information acquisition possible area.

Claims (9)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용기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용기를 촬상부에서 촬상하여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용기의 상면 개구의 높이 레벨보다도 낮은 부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A beverag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beverage produced by a beverage generating unit to a container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by imaging the container by an imaging unit
And,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rein the imaging unit is provided at a portion lower than the height level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통상 상태에서는 상기 촬상부의 촬상면을 덮는 한편,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이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상기 촬상면을 노출시키는 커버 기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a normal state, a cover mechanism that covers the imaging surface of the imaging unit and exposes the imaging surface when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A beverage supply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에 상기 용기가 배치되었음을 검출하는 용기 검출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기구는, 상기 용기 검출 수단이 상기 용기의 배치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촬상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Container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container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And,
Wherein the cover mechanism exposes the imaging surface when the container detecting means detects the placement of the contain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에 의한 상기 입구의 개폐를 검지하는 도어 개폐 검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기구는, 상기 도어 개폐 검지부에 의해 상기 입구가 닫혔음이 검지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촬상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supply unit,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detecting opening/closing of the entrance by the opening/closing door
And,
Wherein the cover mechanism exposes the imaging surface on condition that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entrance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음료 공급부에 형성된 촬상용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를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하여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며,
상기 촬상용 개구의 상부에 차양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by imaging the container by the imaging unit through an imaging opening form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A beverag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unshade is provided above the opening for imag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은, 거울면에 비추어진 상기 용기를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하여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by imaging the container projected on a mirror surface by the image capturing unit.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용기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용기 판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판정 수단은, 상기 화상 정보에 있어서의 상기 용기의 상면 개구의 최대 폭과 상기 용기의 높이의 비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A beverag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beverage produced by a beverage generating unit to a container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Container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ontainer from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nd,
The container determining means makes a determination based on a ratio of a maximum width of an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container and a height of the container in the image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에 상기 용기가 배치되었음을 검출하는 용기 검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판정 수단은, 상기 용기 검출부가 상기 용기의 배치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Containe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at the container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And,
The container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e type of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detects the arrangement of the contain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에 의한 상기 입구의 개폐를 검지하는 도어 개폐 검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판정 수단은, 상기 도어 개폐 검지부에 의해 상기 입구가 닫혔음이 검지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n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supply unit,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detecting opening/closing of the entrance by the opening/closing door
And,
The container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e type of the container on the condition that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entrance is closed.
KR1020207031147A 2018-05-07 2019-04-10 Beverage supply device KR2020013603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89228A JP2019195362A (en) 2018-05-07 2018-05-07 Beverage supply device
JP2018089227A JP2019196185A (en) 2018-05-07 2018-05-07 Beverage supply device
JPJP-P-2018-089228 2018-05-07
JPJP-P-2018-089227 2018-05-07
PCT/JP2019/015705 WO2019216102A1 (en) 2018-05-07 2019-04-10 Beverage suppl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031A true KR20200136031A (en) 2020-12-04

Family

ID=6846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147A KR20200136031A (en) 2018-05-07 2019-04-10 Beverage supply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00136031A (en)
CN (1) CN112105579A (en)
WO (1) WO201921610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1076B1 (en) 2020-08-13 2022-03-01 Pepsico, Inc. Beverage dispense monitoring with camer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9941A (en)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28U (en) * 1991-06-28 1993-01-26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Hot water device
JP4084890B2 (en) * 1998-08-28 2008-04-30 日工株式会社 Camera device for mixer monitoring
JP2001270598A (en) * 2000-03-22 2001-10-02 Hoshizaki Electric Co Ltd Beverage-discharging device
JP2003095393A (en) * 2001-03-30 2003-04-03 Fuji Electric Co Ltd Liquid po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size of container
EP1532066B1 (en) * 2002-08-28 2008-09-03 Niro-Plan Ag Dispensing device for drinks
JP4481174B2 (en) * 2005-01-05 2010-06-16 京セラ株式会社 Imaging device
DE102011009429A1 (en) * 2011-01-26 2012-07-26 Ravinder Issar Hot beverage maker
JP6028344B2 (en) * 2012-03-12 2016-11-16 富士電機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WO2014095985A1 (en) * 2012-12-21 2014-06-26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system
EP2986552A4 (en) * 2013-04-17 2016-12-28 Nestec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apable of determining a beverage volume of receptacles and corresponding method
JP6565545B2 (en) * 2015-09-28 2019-08-28 富士電機株式会社 Beverage supply equipment
JP6549474B2 (en) * 2015-11-13 2019-07-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Imaging device
JP6628597B2 (en) * 2015-12-21 2020-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Power generation system
CN107055445A (en) * 2016-12-09 2017-08-18 刘凑华 Drink output control system and drink supply arrangement based on image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9941A (en)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05579A (en) 2020-12-18
WO2019216102A1 (en)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2379B2 (en) Beverage supply device
RU2728752C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102445614B1 (en) beverage supply
JP2007171615A (en) Image reader
KR20200136031A (en) Beverage supply device
JP6705566B2 (en) Beverage supply device
JP7087645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WO2019216103A1 (en) Beverage supply device
JP2019196185A (en) Beverage supply device
JP7192242B2 (en) beverage dispenser
JP2019195362A (en) Beverage supply device
JP2019195375A (en) Beverage supply device
JP7380295B2 (en)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JP2020152390A (en) Beverage feeder
CN109864583B (en) Beverage supply device
JP6945821B2 (en) Beverage container identification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and identification program
JP7205124B2 (en) Beverage supply device and sensor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JP7424398B2 (en)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JP7409123B2 (en)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JP7268361B2 (en) beverage dispenser
CN112638819B (en)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KR101309792B1 (en) Scan movement indica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9207606A (en) Beverage supply device
JP2021127137A (en) Beverage supply device
JPH1184549A (en) Original size detector for copy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