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104A -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 Google Patents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104A
KR20200135104A KR1020190081854A KR20190081854A KR20200135104A KR 20200135104 A KR20200135104 A KR 20200135104A KR 1020190081854 A KR1020190081854 A KR 1020190081854A KR 20190081854 A KR20190081854 A KR 20190081854A KR 20200135104 A KR20200135104 A KR 20200135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adsorption
front panel
back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2762B1 (en
Inventor
권오성
안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테크
Priority to CN201910747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975701A/en
Publication of KR20200135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1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7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disclosed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including: a device frame member; a smartphone mounting movable member; a suction member; a heating member; and a suction lifting member. By simply placing the smartphone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able member,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can be automatically separated and withdrawn from a smartphone frame, and accordingly, sepa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can be complet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compared to manual work, so that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damage such as bending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back cover can be prevented regardless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Description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본 발명은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스마트폰(smartphone)은 휴대 전화에 여러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앱)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Smartphone (smartphone) refers to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a number of computer support functions to a mobile phone, and is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install applications (apps) desired by the user.

이러한 스마트폰은 일반적으로 그 프레임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위한 전면 패널이 장착되고, 그 프레임의 후면에 백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사이 부분에 배터리, 회로 기판 등이 내장된다.In general, such a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 front panel for a display on the front of the frame, a back cover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frame, and a battery, a circuit board, and the like are embedd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이러한 스마트폰의 액정 수리, 배터리 교체 등 상기 스마트폰의 내부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을 덮는 상기 백커버 및/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을 덮는 상기 전면 패널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주어야 한다.When access to the inside of the smartphone is required, such as liquid crystal repair or battery replacement of the smartphone, the back cover covering the rear of the smartphone and/or the front panel covering the front of the smartphone are separated from the frame. Should be done.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할 마땅한 장치가 없어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가 떨어지는 경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휘는 등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no device suitable for separating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from the frame of the smartphone, so that an operator manually separates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from the frame In the present situation, it takes a lot of time to separate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resulting in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as well as damage such as bending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when the operator's skill level is low.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arise.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원의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특허등록받은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처럼, 스마트폰 자동 분리 장치가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스마트폰 자동 분리 장치에 의하더라도, 작업자의 수작업이 많이 개입되어야 하였고, 그에 따라 위와 같은 문제의 개선이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 smart phon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has been proposed, as in the patent document presented below, which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lready applied for and registered for a patent, but even with such a smart phon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a lot of manual labor of the operator is involved. It had to be done, and accordingly, improvement of the above problem is still needed.

등록특허 제 10-1791525호, 등록일자: 2017.10.24., 발명의 명칭: 스마트폰 자동 분리 장치Registration Patent No. 10-1791525, Registration Date: October 24, 2017, Title of Invention: Automatic Smartphone Separation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프레임으로부터 전면 패널과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분리시켜줄 수 있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separating at least one of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from a frame of a smartphon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는 스마트폰 프레임,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전면에 접착되어 있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후면에 접착되어 있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이 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An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frame, a front panel bonded to the front of the smartphone frame, and a back cover bonded to the rear of the smartphone frame. A smart phone is mounted to separate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from the smart phone frame,

장치 프레임 부재;Device frame member;

상기 스마트폰의 거치나 회수를 위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공정 수행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is mounted to perform a process for removing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from the device frame member for mounting or retrieval of the smartphone A smart phone mounting movable memb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device frame member;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 부재;The device frame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evice frame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device frame member, and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panel of the smartphone inserted into the device frame member while being mounted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An adsorption member capable of adsorbing at least one of the back covers;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접착시킨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을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을 가열해줄 수 있는 가열 부재; 및Mounting the smartphon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can b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and the adhesive bonded to the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and the smartphone frame melts to a certain level. A heating member capable of heating the smartphone inserted into the device frame member while being mounted on the moving member; And

상기 가열 부재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접착시킨 상기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흡착된 상태의 상기 흡착 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흡착 승강 부재;를 포함한다.It is heated by the heating member,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can b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and the adhesive bonded to the smartphone frame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s fixed. An adsorption lifting member for lifting the adsorption member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s adsorbed in a state of melting at a level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s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Includ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가 장치 프레임 부재와,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와, 흡착 부재와, 가열 부재와, 흡착 승강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올려놓기만 하면,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전면 패널과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으로 분리되어 인출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가 수작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완료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휘는 등 손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includes a device frame member, a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an adsorption member, and As the heating member and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are included, by simply placing the smartphone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able member,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can be automatically separated and withdrawn from the smartphone frame, Accordingly, sepa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can be complet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compared to manual work, so that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regardless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There is an effect that at least one of them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such as be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를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전면의 아래에서 비스듬히 올려다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에서 흡착 덮개가 제거된 상태로 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C에 대한 확대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C의 단면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에서 흡착 덮개가 제거된 상태로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흡착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eparating device for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abov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above.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ure 2;
4 is an enlarged view of B shown in FIG. 2.
5 is a side view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obliquely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sid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the top of the rear side with the suction cover removed.
8 is an enlarged view of C shown in FIG. 7;
9 is an enlarged view of a cross section of C shown in FIG. 7.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the top of the front side with the adsorption cover removed.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sorption member constituting an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를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전면의 아래에서 비스듬히 올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에서 흡착 덮개가 제거된 상태로 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C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C의 단면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에서 흡착 덮개가 제거된 상태로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eparating device for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above, and FIG. 2 is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of the front, viewed obliquely from above,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B shown in Figure 2, Figure 5 A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front panel and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automatic separation of the front panel and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at an angle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and FIG. 7 is a rear view with the adsorption cover removed in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the front panel and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een obliquely from above,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C shown in FIG. 7,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cross section of C shown in FIG. 7, and FIG. 10 is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viewed obliquely from the top of the front with the suction cover removed from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는 스마트폰 프레임(12),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전면에 접착되어 있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후면에 접착되어 있는 백커버(11)를 포함하는 스마트폰(10)이 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 프레임 부재(110)와,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와, 흡착 부재(150)와, 가열 부재(160)와, 흡착 승강 부재(170)를 포함한다.1 to 10 together, th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100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martphone frame 12, which is adhered to the front of the smartphone frame 12. A smartphone 10 including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11 adhered to the rear of the smartphone frame 12 is mounted, and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 For separating at least one of, and includes a device frame member 110, a smartphone mounting movable member 120, an adsorption member 150, a heating member 160, and an adsorption lifting member 170 do.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는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그 내부가 빈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그 상단이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The device frame member 110 forms the skeleton of th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100 for the front panel of the smartphone and the back cover,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mpty hexahedron as a whole, and has an open top.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는 상기 스마트폰(10)의 거치나 회수를 위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공정 수행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10)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120 is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for mounting or retrieval of the smartphone 10, or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In order to perform a process for separating at least one of (11), the smartphone 10 may be inserted into the device frame member 110 in a mounted state.

상세히,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와,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과, 스마트폰 거치 동력 전달 수단(132)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smart phone mounted moving member 120 includes a smart phone mounted moving body 130, a smart phone mounted moving power providing unit 131, and a smart phone mounted power transmitting unit 132.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10)이 얹혀질 수 있는 것이다.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body 130 may be slid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device frame member 110 and the smartphone 10 may be mounted.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전면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출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10)이 그 위에 얹힐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스마트폰(10)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입될 수 있다.The smartphone mounting movable body 130 slides from the front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and is pulled out, so that the smartphone 10 can be placed thereon. , While the smartphone 10 is mounted, the device frame member 110 may be slid and moved into the device frame member 110.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브러시리스 모터(BLDC motor)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고,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고정된다.The smart phone mounting movement power supply means 131 provides power for sliding the smart phone mounting movement body 130, and a brushless motor (BLDC motor) may be presented as an example, and the device frame member It is fixed at (110).

상기 스마트폰 거치 동력 전달 수단(132)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로 전달하는 것이다.The smart phone-mounted power transmission means 132 is the smart phone-mounted mobile body 130 with power provided from the smart phone-mounted movement power providing means 131 so that the smart phone-mounted mobile body 130 can slide and move. Is to be delivered.

더욱 상세히, 상기 스마트폰 거치 동력 전달 수단(132)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의 회전축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 회전축(133)과,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회전축(133) 상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134)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의 저면을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134)와 맞물리는 랙 기어(135)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smart phone mounting power transmission means 132 includes a smart phone mounting movement rotation shaft 133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smart phone mounting movement power supply unit 131, and the smart phone mounting movement It includes a pinion gear 134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133, and a rack gear 135 tha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bottom of the smartphone mounting movable body 130 to mesh with the pinion gear 134.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의 회전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회전축(133) 및 상기 피니언 기어(134)도 같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랙 기어(135)가 전진되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rotation shaft of the smart phone mounting movement power providing means 13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smart phone mounting movement rotation shaft 133 and the pinion gear 134 are also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rack gear ( As 135 is advanced, the smart phone mounting movable body 130 can be withdrawn from the device frame member 110.

반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의 회전축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회전축(133) 및 상기 피니언 기어(134)도 같은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랙 기어(135)가 후진되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 axis of the smart phone mounting movement power providing means 131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smart phone mounting movement rotation axis 133 and the pinion gear 134 are also rotated in the same other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rack As the gear 135 is retracted, the smart phone mounting movable body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device frame member 110.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는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부(14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120 further includes a smartphone frame fixing portion 140.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부(14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집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 쌍의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와,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과,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전달 수단(143)을 포함한다.The smart phone frame fixing unit 140 is capable of picking and fixing the smart phone frame 12 of the smart phone 10 mounted on the smart phone mounting moving body 130, and a pair of smart phone frame fixing bodies (141), a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supply means 142, and a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transmission means 143.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10)의 양 방향에서 접근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서로 마주보는 두 면을 각각 집는 것이다.Each of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bodies 141 is approached from both directions of the smart phone 10 mounted on the smart phone mounting mobile body 130 to pick up the two sides of the smart phone frame 12 facing each other. .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는 각각 일정 길이로 긴 바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접하는 면에는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각 말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V자 형태 등의 홈이 형성된다.Each of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body 141 is formed in a long bar sha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V shape into which each end portion of the smart phone frame 12 can be insert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mart phone frame 12 A groove such as a shape is formed.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은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집을 수 있도록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브러시리스 모터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고,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고정된다.The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supply means 142 provides power to move so that each smart phone frame fixing body 141 can pick up the smart phone frame 12 mounted on the smart phone mounting mobile body 130 As such, a brushless motor may be presented as an example, and is fixed to the device frame member 110.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이 브러시리스 모터로 제시되면,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집는 압력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supply means 142 is presented with a brushless motor, the pressure at which each smart phone frame fixing body 141 picks up the smart phone frame 12 can be precisely controlled.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전달 수단(143)은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향해 각각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로 전달하는 것이다.The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transmission means 143 is in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supply means 142 so that each of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bodies 141 can be moved toward the smart phone frame 12, respectively. It is to transmit the provided power to each of the smartphone frame fixture 141.

더욱 상세히,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전달 수단(143)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의 회전축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과,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이 각각 관통하고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가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transmission means 143 includes a smart phone frame fixed rotation shaft 144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supply means 142, and the smart phone frame Each fixed rotation shaft 144 passes through and includes a pair of smart phone frame fixing engaging bodies 145 to which the respective smart phone frame fixing bodies 141 are connected, respectively.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의 외면에서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맞물리는 각 부분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의 각 관통 홀 내면에는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의 각 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이 회전될 때,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서로 근접되거나 서로 이격될 수 있게 된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rtphone frame fixing rotation shaft 144, a screw thread is formed in each portion where the respective smartphone frame fixing engaging bodies 145 are engag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each of the smartphone frame fixing engaging bodies 145 The inner surface of each through hole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capable of engaging each screw thread of the fixed rotation shaft 144 of the smartphone frame. Then, when the smartphone frame fixed rotation shaft 144 is rotated, each of the smartphone frame fixing engaging bodies 145 may b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y may be close to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이 회전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도 같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각 면을 집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supply means 14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rotation shaft 144 is also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respective smart phone frame fixing engaging bodies 145 Is able to be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so that each of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engaging bodies 145 can pick up each side of the smart phone frame 12.

반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의 회전축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도 같은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각 면을 집은 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 axis of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supply means 142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rotation axis 144 is also rotated in the same other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respective smart phone frame fixing engaging bodies ( Since the 145 can be moved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smart phone frame fixing engaging bodies 145 pick up each side of the smart phone frame 12 can be released.

상기 흡착 부재(150)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할 수 있는 것이다.The adsorption member 15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evice frame member 110 so that the device frame member 110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device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able member 120.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of the smartphone 10 inserted into the frame member 110 can be adsorbed.

상세히, 상기 흡착 부재(150)는 흡착 덮개(151)와, 흡착 회전축(152)과, 흡착 접촉체(153)와,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adsorption member 150 includes an adsorption cover 151, an adsorption rotation shaft 152, an adsorption contact body 153, and a adsorption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 154.

상기 흡착 덮개(151)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The adsorption cover 151 i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upper end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상기 흡착 덮개(151)의 전면부에는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의 후술되는 흡착 승강체(171)의 상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체 연결부(155)가 형성된다.The front part of the adsorption cover 151 is formed with a lifter connection part 155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lifter 171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adsorption lift member 170.

상기 흡착 회전축(152)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상단을 상기 흡착 덮개(151)가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상기 흡착 덮개(15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The suction rotation shaft 152 is to rotatably connect the suction cover 151 to the device frame member 110 so that the suction cover 151 can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

상기 흡착 회전축(152)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가 진출되는 전면이 아닌 후면부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흡착 덮개(151)를 연결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가 진출되는 전면을 향해 개방될 수 있게 된다.The adsorption rotation shaft 152 connects the device frame member 110 and the adsorption cover 151 at a rear portion other than the front where the smartphone mounting movement member 120 advances, and accordingly, the adsorption cover 151 It is possible to open toward the front of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120 is advanced.

상기 흡착 접촉체(153)는 상기 흡착 덮개(151)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를 향하는 면인 저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거치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흡착을 위해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dsorption cover 151 that faces the insid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and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120 to the device frame member ( 110)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of the smartphone 10 for adsorption.

상기 흡착 접촉체(153)는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 및 그 하단이 개방된 사다리꼴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흡착 접촉체(153)가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면서 눌리면, 상기 흡착 접촉체(153)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ilicon,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formed in the form of a trapezoidal hexahedron, so that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includes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When pressed while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m, the adsorption contact 153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은 상기 흡착 접촉체(153)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접촉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되도록 부압(negative pressure)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negative adsorption pressure forming nozzle 154 is formed inside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n contact with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is the adsorption contact body It is to create a negative pressure (negative pressure) so as to be adsorbed to (153).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부압 형성 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밀착된 상기 흡착 접촉체(153)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임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밀착된 상기 흡착 접촉체(153)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adsorption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 154 is connected to a negative pressure forming pump (not shown) disposed in a lower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By sucking in air inside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상기 각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에는 각각 개폐 밸브(미도시)가 부착되어, 상기 각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이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An opening/closing valve (not shown) is attached to each of the suction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s 154, so that each suction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 154 can be opened and closed individually.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착 접촉체(153)는 복수 개로 배치되되, 서로 이웃하도록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은 상기 각 흡착 접촉체(153)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흡착 접촉체(153)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흡착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흡착 접촉체(153) 중 특정의 것들이 활성화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adsorption contact bodies 153 are disposed in plural,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adsorption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s 154 are formed on each of the adsorption contacts 153 by at least one, Each adsorption contact 153 can be independently adsorbed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and a plurality of Specific ones of the adsorption contact bodies 153 are activated to adsorb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즉, 상기 스마트폰(10)의 기종에 따른 상기 백커버(11) 자체의 형태, 상기 백커버(11)에 형성된 카메라의 위치 형태 등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흡착 접촉체(153) 중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 중 평평한 면과 접하게 되는 특정의 것들 내에 형성된 상기 각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을 통해서만 부압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10)의 기종에 따른 상기 백커버(11) 자체의 형태, 상기 백커버(11)에 형성된 카메라의 위치 형태 등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흡착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cover 11 itself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smartphone 10, the position shape of the camera formed on the back cover 11, the front panel of the plurality of adsorption contacts 153 And the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only through the respective adsorption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s 154 formed in specific one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back cover 11 and the back cover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smartphone 10 (11)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are universally us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camera itself, the position of the camera formed on the back cover 11, etc., regardless of the shape of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 adsorption of at least one of them is possible.

상기 흡착 승강체(171)가 하강되면, 상기 흡착 덮개(151)도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흡착 접촉체(153)도 하강되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 상에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흡착 접촉체(153)가 탄성 변형되어 눌리면서 밀착하게 된다.When the adsorption lifting body 171 is lowered, the adsorption cover 151 is also lowered, and accordingly, the adsorption contact 153 is also lowered, and the smartphone mounted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bile 130 (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is elastically deformed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of 10) and is pressed in close contact with it.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부압 형성 펌프가 작동되어,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을 통해 부압이 걸리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흡착 접촉체(153)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흡착 접촉체(153) 사이의 공간에 부압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 고정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 승강체(171)가 상승되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ump is operated and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hrough the adsorption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 154, the air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and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As it exits to the outside,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and the adsorption contact 153,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fixed to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and when the adsorption lifter 171 is raised in this state,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Can be.

상기 가열 부재(160)는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를 접착시킨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을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10)을 가열해줄 수 있는 것이다.The heating member 160 allows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to b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the smartphone frame 12,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 To heat the smartphone 10 inserted into the device frame member 110 while being mounted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able member 120 so that the adhesive bonded to at least one of them can melt to a certain level. It can be.

상세히, 상기 가열 부재(160)는 발열체(161)와, 열풍 형성 수단(162)과, 열풍 공급 노즐(163)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heating member 160 includes a heating element 161, a hot air forming means 162, and a hot air supply nozzle 163.

상기 발열체(161)는 열기를 발산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하는 니크롬선 등의 일반적인 발열 수단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The heating element 161 emits heat, and a general heating means such as a nichrome wire that generates heat by electric energy applied from the outside may be presented as an example.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은 상기 발열체(161)에서 발산되는 상기 열기를 이용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팬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The hot air forming means 162 forms hot air using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161, and a general fan may be presented as an example.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은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에 의해 형성된 상기 열풍을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으로 불어주는 것이다.The hot air supply nozzle 163 blows the hot air formed by the hot air forming means 162 into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후면을 관통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측을 향하는 부분이 점진적으로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열풍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측으로 확산되면서 퍼지게 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측 공간이 상대적으로 더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게 된다.The hot air supply nozzle 163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and a por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is gradually expanded. Then, the hot air supplied through the hot air supply nozzle 163 is diffused and spread to the insid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can be heated relatively more quickly. There will be.

상기 발열체(161)는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 중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외측에 해당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은 상기 발열체(161)의 외측에 배치된다.The heating element 161 is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hot air supply nozzle 163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and the hot air forming means 162 is disposed outside the heating element 161.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발열체(161)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이 작동됨으로써,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에 의해 유동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발열체(161)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풍이 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열풍이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을 통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으로 확산됨으로써,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이 전체적으로 데워지게 된다.Whe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heating element 161 generates heat, the hot air forming means 162 is operated so that the external air flowing by the hot air forming means 162 passes through the heating element 161 While the hot air becomes the hot air, the hot air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diffus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through the hot air supply nozzle 163,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is heated as a whole. do.

상기 스마트폰(10)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거치된 상태로 인입되어 있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이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열풍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열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접착시킨 상기 접착제가 녹게 된다.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which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10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120, is provided by the hot air supplied through the hot air supply nozzle 163. As the whole is heated, the adhesive bonded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and the smartphone frame 12 is melt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 부재(160)가 상기 열풍을 형성 및 공급하여, 상기 스마트폰(10)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거치된 상태로 인입되어 있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이 전체적으로 상기 열풍에 의해 가열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접착시킨 상기 접착제가 녹게 됨으로써, 열선 히터에서 발열된 열이 상기 흡착 접촉체(153)를 통한 전도 방식의 열전달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방식에 비해, 열전달 효율이 매우 우수하게 되고,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흡착 접촉체(153)의 열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어 상기 접착제가 균일하게 녹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ing member 160 forms and supplies the hot air, so that the smart phone 10 is inserted into the smart phone mounted moving member 120 In a manner in which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member 110 is heated by the hot air as a whole, the adhesive bonded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and the smartphone frame 12 is melted, so that the hot wire heater Compared to a method in which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is transferred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by a conduction type heat transfer through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heat transfer efficiency is very excellent, and silicon, etc. Thermal damage to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made of can be prevented,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uniformly heated as a whole, so that the adhesive can be uniformly melted.

한편,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는 온도 감지 부재(101)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100 for the front panel of the smartphone and the back cover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ing member 101.

상기 온도 감지 부재(101)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전면부 내측 등에 배치된다.The temperature sensing member 101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and is disposed inside the front portion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온도 감지 부재(101)에서 감지되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요구되는 온도값이 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161)와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Whe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element 161 and the hot air forming means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member 101 can be a preset required temperature value. At least one of the 162 operations can be controlled.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는 상기 가열 부재(160)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접착시킨 상기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흡착된 상태의 상기 흡착 부재(150)를 상승시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170 is heated by the heating member 16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can b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and the front panel and the The adsorption member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adsorbed while the adhesive bonded to at least one of the back cover 11 and the smartphone frame 12 is melted to a certain level ( 150) is raised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상세히,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는 흡착 승강체(171)와,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과,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174)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170 includes an adsorption lifting body 171, an adsorption lifting power supply means 173, and an adsorption lifting power transmission means 174.

상기 흡착 승강체(171)는 상기 흡착 덮개(151)에서 상기 흡착 회전축(152)이 연결된 부분과 다른 부분, 여기서는 상기 흡착 덮개(151)의 전면부에 형성된 상기 승강체 연결부(155)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흡착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덮개(151)를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것이다.The adsorption lift 171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adsorption cover 151 that is different from a portion to which the adsorption rotation shaft 152 is connected, and is connected to the lifter connection part 155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adsorption cover 151 , Pushing or pulling the adsorption cover 151 so that the adsorption cover 151 can be rotated around the adsorption rotation shaft 152.

상기 흡착 승강체(171)의 상부에는 흡착 회동체(17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흡착 회동체(172)와 상기 승강체 연결부(155)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흡착 승강체(171)의 승강 시에, 상기 흡착 승강체(171)와 상기 흡착 덮개(151)가 이루는 사잇각이 가변될 수 있게 된다.The adsorption pivot 17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lift 171, and the adsorption pivot 172 and the lift connection part 155 are connected, so that the adsorption lift 171 When lifting, the angle between the suction lifting body 171 and the suction cover 151 may be varied.

상기 흡착 승강체(171)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전면부를 따라 승강되는 형태로 이동된다.The adsorption lifting body 171 is moved in a form of lifting along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은 상기 흡착 승강체(171)가 승강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압 실린더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고,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고정된다.The adsorption lifting power supply means 173 provides power for lifting the adsorption lifting body 171, and a hydraulic cylinder or the like may be presented as an example, and is fixed to the apparatus frame member 110.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174)은 상기 흡착 승강체(171)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흡착 승강체(171)에 전달하는 것이다.The adsorption lift power transmission means 174 transmits the power provided from the adsorption lift power supply means 173 to the adsorption lift 171 so that the adsorption lift 171 can be lifted.

더욱 상세히,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174)은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에 의해 승강되고, 상기 흡착 승강체(171)가 그 말단부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바아 형태로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adsorption lifting power transmission means 174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adsorption lifting power supply means 173, and the adsorption lifting body 171 is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ed to its distal end.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이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174)을 상승시키면, 상기 흡착 승강체(171)도 상승하게 되어, 상기 흡착 덮개(151)의 전면부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흡착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상단을 열게 된다.When the adsorption lifting power supply means 173 raises the adsorption lifting power transmission means 174, the adsorption lifting body 171 also rises,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adsorption cover 151 rises, and accordingly As the adsorption cover 15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round the adsorption rotation shaft 152, the adsorption cover 151 opens the upper end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반면,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이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174)을 하강시키면, 상기 흡착 승강체(171)도 하강하게 되어, 상기 흡착 덮개(151)의 전면부가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흡착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상단을 닫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dsorption lifting power supply means 173 lowers the adsorption lifting power transmission means 174, the adsorption lifting body 171 also descends, and the front part of the adsorption cover 151 descends, Accordingly, the adsorption cover 151 is rotated about the adsorption rotation shaft 152 in another direction, so that the adsorption cover 151 closes the upper end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한편,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는 걸림 부재(18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vice 100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further includes a locking member 180.

상기 걸림 부재(180)는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승되었던 상기 흡착 덮개(151)가 하강될 때,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되어 있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가 걸리는 것이다.The locking member 180 is the suction cover 151 that has been raised by the suction lifting member 170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adsorbed by the suction contact body 153 When is lowered, the front panel and the bag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adsorbed on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remains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At least one end of the cover 11 is caught.

상세히, 상기 걸림 부재(180)는 걸림 몸체(181)와, 걸림 돌기(182)와, 걸림 탄성체(183)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locking member 180 includes a locking body 181, a locking protrusion 182, and a locking elastic body 183.

상기 걸림 몸체(181)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서 전면부에서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 돌기(182)가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홀이 그 내부에 형성된다.The locking body 181 has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120, and a receiving hole through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82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상기 걸림 돌기(182)는 상기 걸림 몸체(181)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걸림 몸체(181)의 상기 수용 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The locking protrusion 182 may protrude from the locking body 181 or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of the locking body 181.

상기 걸림 몸체(181)는 T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 돌기(182)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각 걸림 돌기(182)가 그 상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e locking body 181 protrudes in a T-shape, and a plurality of the locking protrusions 182 are provided, and the locking protrusions 182 ar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At least one of (11) is stably supported at a plurality of points.

상기 걸림 탄성체(183)는 상기 걸림 몸체(181)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걸림 돌기(182)가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수용 홀의 말단부에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The locking elastic body 183 provides elasticity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182 can protrude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locking body 181, and a compression spring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receiving hole may be presented as an example. hav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 돌기(182) 중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대면되는 부분은 그 하단으로부터 그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기 걸림 몸체(181)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a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182 facing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gradually protrudes from the locking body 181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It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as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승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182)가 그 하단부터 점진적으로 눌리게 되면서, 상기 걸림 돌기(182)가 상기 걸림 몸체(181)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승 중인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걸림 돌기(182)에 걸리지 아니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걸림 탄성체(183)는 눌리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게 된다.Whe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a proces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adsorbed by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and is raised by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170, the front panel and As the locking protrusion 182 is gradually pressed from its lower end by at least one of the back cover 11, the locking protrusion 182 is drawn into the locking body 181, and the front surface is rising. At least one of the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not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182. At this time, the locking elastic body 183 accumulates a restoring force while being pressed.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한 상기 흡착 부재(150)의 상승이 지속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걸림 돌기(182)를 지나가게 되면, 상기 걸림 탄성체(18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182)가 상기 걸림 몸체(181)에서 돌출된다.When the adsorption member 150 continues to rise by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170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passes through the locking protrusion 182, the locking elastic body ( The locking protrusion 182 protrudes from the locking body 181 by the restoring force of 183.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승되었던 상기 흡착 덮개(151)가 하강될 때,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되어 있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걸림 돌기(182)의 돌출된 상단에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임의로 다시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In this state, the adsorption cover 151 that has been raised by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170 while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adsorbed by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is lowered.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adsorbed by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is caught on the protruding uppe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182, and accordingly,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As at least one of the (11) is maintained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is arbitrarily re-arranged.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martphone frame 12.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100 for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승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상단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이 작동되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외부로 인출된다.First, in a state where the suction cover 151 is raised by the suction lifting member 170 and the upper end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is opened, the smartphone mounting movement power providing means 131 is operated, and the The smartphone mounting mobile 130 is drawn out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 상에 상기 스마트폰(10)이 놓인다. 이 때, 상기 전면 패널을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이 정자세인 상태, 즉 상기 전면 패널이 위를 향하는 상태로 놓이고, 상기 백커버(11)를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이 뒤집어진 상태, 즉 상기 백커버(11)가 위를 향하는 상태로 놓인다.In this state, the smart phone 10 is placed on the smart phone mounting moving body 130. At this time, 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front panel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the smartphone 10 is placed in an upright position, that is, the front panel faces upward, and the back cover 11 When separating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the smartphone 10 is placed in an upside down state, that is, the back cover 11 facing upwards.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이 작동되어, 상기 스마트폰(10)이 놓인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된다.In this state, the smart phone mounting movement power providing means 131 is operated, and the smart phone mounting moving body 130 on which the smart phone 10 is placed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이 작동되어,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양 측을 집어 고정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supply means 142 is operated, so that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bodies 141 pick up and fix both sides of the smart phone frame 12.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기 흡착 덮개(151)가 닫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흡착 접촉체(153)가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에 밀착된다.In this state, the adsorption cover 151 is closed by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170. Then, the adsorption contact 15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facing upward among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of the smart phone 10.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을 통해 부압이 걸리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과 상기 흡착 접촉체(153) 사이에 부압이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 고정된다.In this state, when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hrough the suction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 154,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and the suction contact 153, and accordingly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facing upward is adsorbed and fixed to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161)와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이 작동되면, 상기 열풍이 형성되어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을 통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공급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이 전체적으로 가열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과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접착시켜주던 상기 접착제가 녹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heating element 161 and the hot air forming means 162 are operated, the hot air is formed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through the hot air supply nozzle 163, and accordingly As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is heated as a whole, the adhesive that bonds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to the smartphone frame 12 melts.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 부재(160)의 작동이 중지되고,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여전히 흡착 고정된 상태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은 상기 걸림 부재(180)를 지나치고 걸리지 않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mber 160 is stopped and the adsorption cover 151 is raised by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170,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is still adsorbed and fixed.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facing upward is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and raised. At this time,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facing upward passes through the locking member 180 and is not caught.

상기와 같이,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한 상기 흡착 덮개(151)의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되고, 상기 걸림 부재(180)는 돌출된 상태가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fting of the adsorption cover 151 by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170 is completed, the one facing upward among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In this state, the locking member 180 is in a protruding stat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기 흡착 덮개(151)가 하강되는데, 이러한 하강 과정에서, 상기 흡착 부재(150)에 흡착 고정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걸림 부재(180)에 걸리게 된다.In this state, the adsorption cover 151 is lowered by the adsorption elevating member 170. In this lowering process, the top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adsorbed and fixed to the adsorption member 150 The thing facing toward is caught by the locking member 180.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 부재(150)에 걸려있던 부압이 해제되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흡착 접촉체(153)와 분리되지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걸림 부재(180)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In this state, when the negative pressure applied to the adsorption member 150 is released, the upper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contact body 153, but the front panel and the Since one of the back cover 11 facing upward is hung on the locking member 180, the one facing upward among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represents a stat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Keep.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이 작동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태의 상기 스마트폰(10)이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태의 상기 스마트폰(10)을 꺼낼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smartphone mounting movement power providing means 131 is operated, and the one facing upward among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is the smartphone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The smartphone frame (12) that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body (130) on which the (10) is mounted is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frame member (110) and faces upward among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 It is possible to take out the smartphone 10 in a separated state.

상기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와, 상기 흡착 부재(150)와, 상기 가열 부재(160)와,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0)을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올려놓기만 하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으로 분리되어 인출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가 수작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완료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휘는 등 손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separating device 100 of the front panel of the smartphone and the back cover includes the device frame member 110, the smartphone mounting movable member 120, the suction member 150, and the heating As the member 160 and the adsorption elevating member 170 are included, simply by placing the smartphone 10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120, the front surface from the smartphone frame 12 At least one of the panel and the back cover 11 can be automatically separated and withdrawn, so that the sepa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can be complet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compared to manual work. As a result, work efficiency may be improved, and damage such as bending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11 may be prevented regardless of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carrying out this description, descriptions that are already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replaced therewith, and will be omitted herein.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흡착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sorption member constituting an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흡착 부재(250)가 흡착 덮개(251), 흡착 접촉체(253) 및 흡착 부압 형성 노즐(254)과 함께, 범용 적용 접촉체(256), 범용 적용 부압 형성 노즐(257) 및 범용 적용 부압 형성 유로(25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in this embodiment, the adsorption member 250, together with the adsorption cover 251, the adsorption contact body 253, and the adsorption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 254, a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a universal application A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 257 and a general-purpose negative pressure forming flow path 258 are included.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는 상기 흡착 덮개(251)에서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를 향하는 면인 저면 상에 형성되되, 상기 흡착 접촉체(253)와 나란히 배치되고,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스마트폰의 전면 패널과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흡착을 위해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which is a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device frame member in the suction cover 251, is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suction contact body 253, and is mounted on a moving member for mounting a smartphone. The device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inserted into the frame member for adsorption.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는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면서 눌리면,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 and when 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is pressed while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는 상기 흡착 접촉체(253)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흡착 접촉체(253)가 상기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경우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단수 개의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커버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is formed in a relatively large area compared to the adsorption contact body 253, and the area when the plurality of adsorption contacts 253 contact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cover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ingle number of 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상기 흡착 덮개(251)에는 단수 개의 상기 흡착 접촉체(253)와 단수 개의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적용될 수 있다.A singular number of the adsorption contacts 253 and the singular number of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s 256 may be applied to the adsorption cover 251.

상기와 같이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형태, 예를 들어 카메라의 돌출 형태 등에 무관하게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상기 스마트폰에 접촉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흡착 부재(250)가 상기 스마트폰에 범용적으로 적용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흡착할 수 있게 된다.By forming 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as described above, 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can be in contact with the smartphone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smartphone, for example, the protruding shape of the camera, The adsorption member 250 is universally applied to the smart phone so that the smart phone can be adsorbed.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노즐(257)은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에 접촉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에 흡착되도록 부압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universal application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 257 is formed inside 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n contact with 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is in contact with 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It is to form a negative pressure so as to be adsorbed on the sieve (256).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노즐(257)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부압 형성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밀착된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임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밀착된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universally applied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 257 is connected to a negative pressure forming pump disposed in a lower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By sucking in air,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universal application contact body 256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유로(258)는 상기 흡착 덮개(251) 중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의 내부에 해당되는 바닥 부분에 그루브(groove)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노즐(257)과 연통되는 것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유로(258)는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universally applied negative pressure forming flow path 258 is formed in a groove in a bottom portion of the adsorption cover 251 corresponding to the interior of the universally applied contact body 256,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and the universally applied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 ( 257). For example, the general-purpose negative pressure forming passage 258 may be formed in a lattice shape.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부압 형성 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노즐(257) 및 그 주변 부분에 상기 스마트폰의 일부가 흡착되더라도,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유로(258)를 통해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 전체적으로 부압이 걸릴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흡착 부재(250)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Whe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ump, even if a part of the smartphone is adsorbed to the universally applied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 257 and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the universally applied negative pressure forming flow path 258 A negative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general-purpose contact body 256 as a whole, and accordingly, the smartphon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dsorption member 250.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However, it is intended to clearly reveal that all of thes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프레임으로부터 전면 패널과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분리시켜줄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According to the device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eparate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from the frame of the smartphone, so that industrial applicability is high. .

100 :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110 : 장치 프레임 부재
120 :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
150 : 흡착 부재
160 : 가열 부재
170 : 흡착 승강 부재
180 : 걸림 부재
100: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the front panel and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110: device frame member
120: Smartphone mounting movement member
150: adsorption member
160: heating member
170: adsorption lifting member
180: locking member

Claims (8)

스마트폰 프레임,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전면에 접착되어 있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후면에 접착되어 있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이 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 프레임 부재;
상기 스마트폰의 거치나 회수를 위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공정 수행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 부재;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접착시킨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을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을 가열해줄 수 있는 가열 부재; 및
상기 가열 부재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접착시킨 상기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흡착된 상태의 상기 흡착 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흡착 승강 부재;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A smart phone including a smartphone frame, a front panel bonded to the front of the smartphone frame, and a back cover bonded to the rear of the smartphone frame is mounted, and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from the smartphone frame As for separating at least one of,
Device fram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is mounted to perform a process for removing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from the device frame member for mounting or retrieval of the smartphone A smart phone mounting movable memb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device frame member;
The device frame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evice frame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device frame member, and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panel of the smartphone inserted into the device frame member while being mounted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An adsorption member capable of adsorbing at least one of the back covers;
Mounting the smartphon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can b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and the adhesive bonded to the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and the smartphone frame melts to a certain level. A heating member capable of heating the smartphone inserted into the device frame member while being mounted on the moving member; And
It is heated by the heating member,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can b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and the adhesive bonded to the smartphone frame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s fixed. An adsorption lifting member for lifting the adsorption member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s adsorbed in a state of melting at a level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s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of the front panel and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이 얹혀질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가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과,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로 전달하는 스마트폰 거치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A smartphone mounting movable body capable of sliding with respect to the device frame member and on which the smartphone can be mounted,
A smart phone mounted movement power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power for sliding the smart phone mounted mobile body;
A front panel of a smartphone comprising a smartphone-mounted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provided from the smartphone-mounted movement power supply means to the smartphone-mounted mobile body so that the smartphone-mounted mobile body can slide and move. And automatic separation device of the back co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집어 고정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의 양 방향에서 접근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두 면을 각각 집는 한 쌍의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와,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집을 수 있도록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과,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향해 각각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공정 동력 제공 수단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로 전달하는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A smartphone frame fixing unit capable of picking and fixing the smartphone frame of the smartphone mounted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bile body,
The smartphone frame fixing part
A pair of smart phone frame fixtures that are approached from both directions of the smart phone mounted on the smart phone mounting movable body to pick up the two sides facing each other of the smart phone frame,
A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power to move each of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bodies to pick up the smart phone frames mounted on the smart phone mounting mobile body,
A smart phone frame fixing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wer provided from the smart phone frame process power supply means to each of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bodies so that each of the smart phone frame fixing bodies can be respectively moved toward the smart phone fram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of the front panel and back cover of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상단을 개폐시킬 수 있는 흡착 덮개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상단을 상기 흡착 덮개가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에 상기 흡착 덮개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흡착 회전축과,
상기 흡착 덮개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를 향하는 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흡착을 위해 접촉될 수 있는 흡착 접촉체와,
상기 흡착 접촉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착 접촉체에 접촉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되도록 부압(negative pressure)을 형성시키기 위한 흡착 부압 형성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접촉체는 복수 개로 배치되되, 서로 이웃하도록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은 상기 각 흡착 접촉체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흡착 접촉체 중 특정의 것들이 활성화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dsorption member
An adsorption cov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end of the device frame member,
An adsorption rotation shaft rotatably connecting the adsorption cover to the device frame membe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device frame member can be opened and closed,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device frame member in the adsorption cover, mounted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ing member, and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device frame member An adsorption contactor tha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for adsorption with,
A nozzle for forming negative pressur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n contact with the adsorption contact body is adsorbed to the adsorption contact body and is formed inside the adsorption contact body. and,
The adsorption contact bodies are disposed in plural,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adsorption negative pressure forming nozzles are formed at least one on each adsorption contact body, so that a plurality of adsorption contacts are formed according to at least one shap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A device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a front panel and a back cover of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certain ones of the adsorbing contacts are activated to adsorb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는
열기를 발산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상기 열기를 이용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열풍 형성 수단과,
상기 열풍 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열풍을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불어주는 열풍 공급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인입되어 있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 공간이 상기 열풍 공급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열풍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열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접착시킨 접착제가 녹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member
A heating element that radiates heat,
Hot air forming means for forming hot air by using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ing element,
And a hot air supply nozzle for blowing the hot air formed by the hot air forming mean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While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which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mounting movable member, is entirely heated by the hot air supplied through the hot air supply nozzle, among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Automatic separation device of the front panel and back cover of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obtained by bonding at least one of the smartphone frames to each other is mel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 부재에서 감지되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요구되는 온도값이 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와 상기 열풍 형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of the front panel and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Including; a temperature sensing membe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Front of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hot air forming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frame member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member becomes a preset required temperature value Automatic separation of panels and back cove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승강 부재는
상기 흡착 덮개에서 상기 흡착 회전축이 연결된 부분과 다른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 덮개가 상기 흡착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덮개를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흡착 승강체와,
상기 흡착 승강체가 승강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과,
상기 흡착 승강체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흡착 승강체에 전달하는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uction lifting member
An adsorption lifting body that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adsorption cover different from the part to which the adsorption rotation shaft is connected, and pushes or pulls the adsorption cover so that the adsorption cover can be rotated around the adsorption rotation axis,
Adsorption lifting power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power for lifting the adsorption lifting body,
Automatic separation device of the front panel and back cover of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dsorption lift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wer provided from the adsorption lift power supply means to the adsorption lift so that the adsorption lift can be lifted.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는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에 의해 상승되었던 상기 흡착 덮개가 하강될 때,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되어 있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가 걸리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서 돌출되는 걸림 몸체와,
상기 걸림 몸체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걸림 몸체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걸림 돌기가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걸림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기는 그 하단으로부터 그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기 걸림 몸체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에 의해 상승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가 눌리면서,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몸체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흡착 승강 부재에 의한 상기 흡착 부재의 상승이 지속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걸림 돌기를 지나가게 되면, 상기 걸림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몸체에서 돌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에 의해 상승되었던 상기 흡착 덮개가 하강될 때,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되어 있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of the front panel and back cover of the smartphone
When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s adsorbed by the adsorption contact body and the adsorption cover that has been raised by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is lowered, the front panel and the bag adsorbed to the adsorption contact body Including; a locking member for at least one end portion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s caught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overs to mainta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frame,
The locking member
A locking body protruding from the smartphone mounting movable member,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cking body or retractable into the locking body,
And a locking elastic body providing elasticity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can protrud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locking body,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to gradually protrude relatively further from the locking body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thereof,
In a proces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s raised by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while being adsorbed by the adsorption contact body, while the locking protrusion is pressed by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the A locking protrusion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locking body,
When the adsorption member continues to rise due to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passes through the locking protrusion,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locking body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ocking elastic body. Accordingly, when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s adsorbed to the adsorption contact body and the adsorption cover that has been raised by the adsorption lifting member is lowered, the front surface adsorbed to the adsorption contact body At least one of the panel and the back cover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ck cover is kept separate from the smartphone frame. Automatic separation device.
KR1020190081854A 2019-05-23 2019-07-08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KR1022227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47900.5A CN111975701A (en) 2019-05-23 2019-08-14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front panel and rear cover of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0701 2019-05-23
KR1020190060701 2019-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04A true KR20200135104A (en) 2020-12-02
KR102222762B1 KR102222762B1 (en) 2021-03-04

Family

ID=7379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854A KR102222762B1 (en) 2019-05-23 2019-07-08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7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030A1 (en)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housing having fire suppression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899A (en) *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한테크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for smartphone
KR200484620Y1 (en) * 2017-03-03 2017-09-29 임채열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899A (en) *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한테크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for smartphone
KR101791525B1 (en) 2016-02-04 2017-11-20 주식회사 한테크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for smartphone
KR200484620Y1 (en) * 2017-03-03 2017-09-29 임채열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030A1 (en)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housing having fire suppress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762B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762B1 (en)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JP2015223791A (en) Thermoforming apparatus using fixation cassette for thermoforming of plastic sheet
KR101791525B1 (en)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for smartphone
KR101314217B1 (en) Panel bonding apparatus for bonding touch panel and display panel
JP3761495B2 (en) Lead welding equipment
CN205723231U (en) The automatic assembling of switch panel
CN205553185U (en) Heating device for vamp vacuum plastic former
CN111975701A (en)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front panel and rear cover of smart phone
EP1801177A1 (en) Portable bonding device and bonding method
KR101959250B1 (en) Display module separating device
CN108433570B (en) Novel two unification toasts device
KR102279644B1 (en) vinyl removing apparatus the method of removing vinyl
KR20160091126A (en) Decal apparatus of pattern
KR102222763B1 (en) Manual type smartphone reassembling-pressing jig apparatus and wide use pad for smartphone reassembling-pressing applied in the manual type smartphone reassembling-pressing jig apparatus
CN210651920U (en) Automatic hot riveting tooling machine of material loading
KR20030048833A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air filter for air conditioner
CN204899661U (en) Automatic combination formula window body structure is put to card that promotes from top to bottom
CN107901435A (en) One kind automation hot melt riveted bonding machine
CN114348430A (en) New energy battery transportation anti-overheating transportation device
KR102234234B1 (en)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WO2018214514A1 (en) Metal mask strip fixing device and metal mask preparation device
CN109334023A (en) Automobile spoiler pressing device
CN207417338U (en) A kind of label bender
KR20210002160U (en)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TWM526829U (en) Heater of vamp vacuum form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