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160U -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160U
KR20210002160U KR2020200000965U KR20200000965U KR20210002160U KR 20210002160 U KR20210002160 U KR 20210002160U KR 2020200000965 U KR2020200000965 U KR 2020200000965U KR 20200000965 U KR20200000965 U KR 20200000965U KR 20210002160 U KR20210002160 U KR 202100021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adsorption
heating member
s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채열
Original Assignee
(주)리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젠아이 filed Critical (주)리젠아이
Priority to KR2020200000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160U/en
Publication of KR20210002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6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의 양면을 각각 가열하는 제1히팅부재 및 제2히팅부재로 이루어지는 히팅수단 및 흡착수단을 통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바디와 리어커버를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제1히팅부재와 제2히팅부재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부분만 가열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sorption-type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mobile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a heating means and adsorption comprising a main body, a first heating member and a second heating member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heat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respectively For repairing mobile devices designed to allow an operator to easily separate the body and the rear cover from each other through means, and in particular, the first heating member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can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only a desired part can be heated It relates to an adsorption type separator.

Description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Adsorption type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mobile devices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의 양면을 각각 가열하는 제1히팅부재 및 제2히팅부재로 이루어지는 히팅수단 및 흡착수단을 통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바디와 리어커버를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제1히팅부재와 제2히팅부재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부분만 가열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sorption-type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mobile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a heating means and adsorption comprising a main body, a first heating member and a second heating member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heat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respectively For repairing mobile devices designed to allow an operator to easily separate the body and the rear cover from each other through means, and in particular, the first heating member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can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only a desired part can be heated It relates to an adsorption type separator.

스마트폰, 태블릿피씨와 같은 모바일기기는 사용자에게 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래에는 베터리 일체형 모바일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를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가 조립되고 있다.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consist of a main body equipped with a display panel that provides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Mobile devices are being assembled using the

따라서 이러한 모바일기기의 고장이나 부품교체를 위하여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 접착제의 접착력을 약화시켜 분리시켜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the mobile device for failure or replacement of parts, the adhesive strength of this adhesive must be weakened to be separated.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537994호 『스마트폰 분해 방법』이 있는데,As such a prior art, there is registered Patent No. 10-1537994 『Smartphone disassembly method』,

상기 종래기술은 분해 대상 스마트폰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분해 대상 스마트폰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을 분해하기 위한 혼합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스마트폰에 투입하는 단계 및 스마트폰을 분리하는 단계를 거쳐, 강화유리와 LCD 기판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전면부와 중간 베젤 부분을 에나멜 희석제 및 접착제거제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decomposition target smartphone, heating the decomposition target smartphone, preparing a mixed solution for disassembling the smartphone, injecting the mixed solution into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We present a technology that can safely disassemble the front part and middle bezel part of a smartphone including tempered glass and LCD substrate by using a mixed solution of enamel thinner and adhesive remove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분해 대상 스마트폰 전체를 가열한 후 혼합용액을 투입하여 접착제를 녹이는 것으로서, 모바일기기의 전체 수리가 아닌 일부 부품의 교체 등의 수리를 하는 경우에도 모바일기기 전체를 가열함에 따라 접착제가 전체적으로 녹아 접착제를 재도포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simply heats the entire smartphone to be disassembled and then melts the adhesive by injecting the mixed solu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hesive must be completely melted and the adhesive must be reapplied, thereby increasing the working time and complicating the proces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히팅수단 및 흡착수단을 통해 가열과 함께 모바일기기의 일면 또는 양면을 흡착하여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히팅수단을 모바일기기의 양면을 개별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제1히팅부재 및 제2히팅부재로 구성하여 원하는 부분만 가열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main body and one or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are adsorbed together with heating through the heating means and the adsorption means provided in the body to be easily separated, so that the heating means can individually heat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sorption-type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mobile devices, which is composed of a first heating member and a second heating member so that only a desired part can be heated.

또한 상기 흡착수단 또한 제1흡착부재 및 제2흡착부재로 구성하되, 이 흡착부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sorption means also consists of a first adsorption member and a second adsorption member, but at least one of the adsorption members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sorption type separation device for

나아가 상기 본체에는 본체의 개폐동작 시 모바일기기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Further, it is another object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n adsorption-type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mobile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topper to prevent the mobile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impact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dsorption-type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mobile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의 양면을 각각 가열하는 제1히팅부재 및 제2히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히팅수단;a heating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mprising a first heating member and a second heating member for heating both surfaces of the mobile device, respectively;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의 일면 또는 양면을 흡착시켜 분리하는 흡착수단;adsorption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adsorb one or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to separate them;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is made, including

상기 제1히팅부재와 제2히팅부재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모바일기기의 일면 또는 양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heating member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may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o heat one or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는As described above, the adsorption-type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mobile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상기 모바일기기의 양면을 각각 가열하는 제1히팅부재 및 제2히팅부재가 서로 독립적이고 개별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모바일기기 수리 시, 필요 작업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하여 그 부분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 및 신속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접착제 재도포와 같은 공정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heating member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for heating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respectively,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and individually, so that when repairing the mobile device, the operator can select and separate only the part according to the required work.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speed of work, and eliminating unnecessary processes such as re-applying adhesives.

또한 상기 흡착수단 또한 모바일기기의 양면을 각각 흡착할 수 있는 제1흡착부재와 제2흡착부재로 구성하되, 이들을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에 따라 기종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모바일기기의 외면을 고정하여 흡착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dsorption means also consists of a first adsorption member and a second adsorption member capable of adsorbing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respectively, and by configuring them to be slidably movable in one direction, it is stable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model. It has the effect of adsorption and separation by fix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나아가 스토퍼를 통하여 모바일기기의 외면이 본체의 개폐동작에 따른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more, through the stopp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the impact caused by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의 측면사진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의 정면사진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의 정면개방사진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의 변형례
1 is a side view of an adsorption-type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hotograph of an adsorption type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open photograph of an adsorption-type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modified example of an adsorption-type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態樣, aspec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particularly the tens digit and the one digit, or the tens digit, the one digit, and the same alphabetic reference numeral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sign may be understoo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each drawing,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size or thickness of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ly large (or thick) small (or thin) or simplified,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is.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pect, aspect,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 분리장치(D)는 본체(10)와, 제1히팅부재(21)와 제2히팅부재(22)로 이루어지는 히팅수단(20) 및 제1흡착부재(31)와 제2흡착부재(32)로 이루어지는 흡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전기적 장치, 즉 PCB, 제어판, 스위치, 모터 등의 구성요소는 생략된 것을 도시하였고,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adsorption separation device (D) for repairing mobile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heating means 20 and a first adsorption member 31 comprising a first heating member 21 and a second heating member 22. ) and the adsorption means 30 made of the second adsorption member 32, and various electrical device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hat is, components such as a PCB, a control panel, a switch, and a motor are omitted. , and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먼저 상기 본체(10)는 하부본체(11) 및 상부본체(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하부본체(11)와 상부본체(12)는 후방에 힌지결합부(14)를 통하여 힌지결합되어, 상부본체(12)를 힌지결합부(14)를 기준으로 선회 운동 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 하부본체(11)와 상부본체(12) 사이에 모바일기기를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First, the main body 10 is composed of a lower body 11 and an upper body 12, the lower body 11 and the upper body 12 are hinged through a hinge coupling portion 14 at the rear, the upper It is provided so that the main body 12 can be pivotally moved based on the hinge coupling part 14 , and the mobile device can be seated between the lower body 11 and the upper body 12 .

이 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상부본체(12)는 상기 하부본체(11)에 수평을 유지한 채 상하 승하강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pper body 12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level on the lower body 11, and thi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rights.

상기 하부본체(11)는 내부에 회로기판, 히팅모터 및 석션용 모터 등의 구성요소가 내장되는 함체로서, 외면에 복수의 방열공이 형성되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전면부에는 제어부(113)가 구비되어 상기 히팅수단(20) 및 흡착수단(30)의 동작, 석션압력, 가열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lower body 11 is a housing in which components such as a circuit board, a heating motor and a suction motor are built in, and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prevent overheating, and a control unit 113 is provided on the front part. )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suction pressure, heating temperature, etc. of the heating means 20 and the adsorption means 30 .

특히, 상기 제어부(113)는 후술하는 제1히팅부재(21)와 제2히팅부재(22), 제1흡착부재(31)와 제2흡착부재(32)를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13 is configured to individually operate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the first adsorption member 31 and the second adsorption member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상기 하부본체(11)의 상면과 상기 상부본체(12)의 하면에는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제1히팅부재(21) 및 제2히팅부재(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1히팅부재(21)와 제2히팅부재(22) 사이에 모바일기기가 안착되어 안착된 모바일기기의 양면을 각각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A first heating member 21 and a second heating member 22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2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heating member 21 )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the mobile device is seated so that both sides of the seated mobile device can be heated, respectively.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팅수단(20)을 구성하는 상기 제1히팅부재(21) 상기 제1히팅부재(21)는 사각의 판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제1히팅부재(21) 상부에 모바일기기를 놓아 모바일기기의 일면을 가열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irst heating member 21 constituting the heating means 20. The first heating member 21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mobile device is placed on the first heating member 21. It can be placed to heat one side of the mobile device.

상기 제2히팅부재(22)는 상기 상부본체(12)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본체(12)를 하부본체(11)방향으로 덮으면, 상기 제2히팅부재(22)가 제1히팅부재(21)가 마주볼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히팅부재(21)에 모바일기기가 놓여지게 됨에 따라 상기 제2히팅부재(22)는 모바일기기의 다른면을 가열할 수 있다.The second heating member 22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2, and when the upper body 12 is cover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body 11,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is first heated. The members 21 are made to face each other, and as the mobile device is placed on the first heating member 21 ,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can heat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device.

또한 상기 제1히팅부재(21) 및 제2히팅부재(22)는 상기 하부본체(11) 및 상부본체(12)에 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후술하는 탈착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손쉽게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be firmly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body 11 and the upper body 12 using bolts, but by a detachable means to be described later.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detachably and to be easily replac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다시 본 고안은 상기 제1히팅부재(21)와 제2히팅부재(22)는 서로 마주보는 경우, 모바일기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15)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게 이루어져 있으며, 과도한 개폐동작에 의해 모바일기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토퍼(17)를 더 구비하고 있다.Aga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face each other, they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eating space 15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seated, and excessiv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 separate stopper 17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mobile device from being damaged.

상기 스토퍼(17)는 상기 하부본체(11)에 구비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핑돌기(171)와, 상기 상부본체(12)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핑돌기(171)에 접하는 스토핑판(17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핑돌기(171) 또는 스토핑판(173) 또는 이들 모두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모바일기기의 두께에 따라 상기 상부본체(12)의 힌지운동 반경을 제한하여 모바일기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stopper 17 includes a stopping protrusion 171 provided on the lower body 11 and protruding upwardly, and a stopping plate provided on the upper body 12 and in contact with the stopping protrusion 171 ( 173),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topping protrusion 171 or the stopping plate 173 or both, so that the hinge movement radius of the upper body 12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obile device. limit to prevent damage to mobile devices.

본 고안은 제1히팅부재(21) 및 제2히팅부재(22)를 통하여 모바일기기에 사용된 접착제를 녹여 모바일기기의 바디와 리어커버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접착제가 녹았을 때, 상기 상부본체(12)를 들어올리면 자연스럽게 바디와 리어커버가 분리될 수 있도록 흡착수단(30)을 더 도입함으로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easily separate the body and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device by melting the adhesive used in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When the adhesive is melted, When the upper body 12 is lifted, the adsorption means 30 is further introduced so that the body and the rear cover can be separated naturally, thereby improving work convenience.

상기 흡착수단(3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흡착부재(31)와 제2흡착부재(32)로 이루어져 모바일기기의 양면을 각각 흡착하여 들어올리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상기 제1흡착부재(31)는 제1히팅부재(21)에 구비되고, 제2흡착부재(32)는 제2히팅부재(22)에 구비되어 열을 가함과 동시에 모바일기기의 외면을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mentioned above, the adsorption means 30 consists of a first adsorption member 31 and a second adsorption member 32 and is designed to adsorb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to lift or fix the mobile device, respectively. The adsorption member 31 is provided on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nd the second adsorption member 32 is provided on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to apply heat and at the same time adsorb and fix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is configured to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흡착부재(31)는 제1히팅부재(21)에 구비되는데,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제1히팅부재(21) 중앙에는 제1흡착부재(31)가 구비되며, 이 제1흡착부재(31)는 제1흡착면(311)과 제1석션공(313) 및 제1흡착패킹(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adsorption member 31 is provided on the first heating member 21. More precisely, the first adsorption member 3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nd now The first adsorption member 31 includes a first adsorption surface 311 , a first suction hole 313 , and a first adsorption packing 314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흡착부재(31)는 상기 제1히팅부재(21)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히팅부재(21)와 제1흡착부재(31)는 일체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후술하는 제2흡착부재(32)와 같이 서로 다른 부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adsorption member 3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nd the first adsorption member 31 are integrally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be made of a plate material, but it is also possible to be composed of different members, such as the second suction member 3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상기 제1흡착부재(31)에는 모바일기기와 밀착되는 제1흡착면(311)이 형성되고, 제1히팅부재(21) 사이에는 상기 제1안착홈(3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안착홈(315)에 상기 제1흡착패킹(314)이 구비되게 된다.A first adsorption surface 311 in close contact with the mobile device is formed on the first adsorption member 31 , and the first seating groove 31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eating member 21 . The first suction packing 314 is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315 .

또한 상기 제1흡착부재(31)의 중앙에는 제1석션공(313)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본체(11)에 내장되는 석션모터와 연결됨으로서, 석션모터가 동작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first suction hole 313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uction member 31, and is connected to a suction motor built in the lower body 11, so that the suction motor operates to suck air. .

아울러 상기 제1흡착면(311)을 가로지르는 제1진공형성홈(312)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1진공형성홈(312)은 상기 제1석션공(313)과 연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흡착 원리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a first vacuum forming groove 312 crossing the first suction surface 311 is further provided, and the first vacuum forming groove 312 is mad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uction hole 313 . In this regard, the adsorption principle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모바일기기를 상기 제1히팅부재(21)에 올려놓으면, 상기 제1흡착면(311)과 제1히팅부재(21)의 상면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함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일면 중앙부는 상기 제1흡착면(311)에 밀착되게 되고, 상기 제1흡착면(311) 테두리에 구비되는 제1흡착패킹(314) 또한 모바일기기의 일면에 밀착되게 된다.When the mobile device is placed on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s the first adsorption surface 311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r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e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is the second The first adsorption surface 311 is in close contact, and the first adsorption packing 314 provided on the edge of the first adsorption surface 311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이 때 상기 석션모터를 동작하여 제1석션공(313)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면, 상기 모바일기기의 일면과 밀착되지 않았던 제1진공형성홈(312) 내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어 상기 제1진공형성홈(312) 부분이 진공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진공형성홈(312)이 제1흡착면(311)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됨에 모바일기기의 일면을 흡착하여 고정하게 되며, 상기 제1흡착패킹(314)에 의해 제1진공형성홈(312)이 완벽하게 밀폐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air is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hole 313 by operating the suction motor, air in the first vacuum forming groove 312 that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is sucked to form the first vacuum. A vacuum is made in the groove 312 part, and since the first vacuum forming groove 312 is provided to cross the first suction surface 311, one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is adsorbed and fixed, and the first suction packing By 314, the first vacuum forming groove 312 is completely sealed to maintain a vacuum state.

즉, 이러한 제1진공형성홈(312)의 진공상태에 의해 상기 모바일기기는 제1흡착면(311)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 및 부착될 수 있다.That is, by the vacuum state of the first vacuum forming groove 312 , the mobile device can be stably fixed and attach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uction surface 311 .

또한 후술하는 제2흡착부재(32)에도 상기 제1흡착부재(31)와 동일하게 제2흡착면(321), 제2진공형성홈(322), 제2석션공(323), 제2안착홈(325) 및 제2흡착패킹(324)이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제2석션공(323)의 위치는 상기 제2진공형성홈(322)과 연통되는 조건 하에서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제1진공형성홈(312) 또한 마찬가지다.Also, in the second suction member 32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uction member 31 , the second suction surface 321 , the second vacuum forming groove 322 , the second suction hole 323 , and the second seating Although the groove 325 and the second suction packing 324 are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uction hole 323 can be changed to various positions under the condition that i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vacuum forming groove 322, This is also the same for the first vacuum forming groove 312 .

아울러,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모바일기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제1흡착부재(31) 또는 제2흡착부재(32) 또는 이들 모두가 수평방향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데,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suction member 31 or the second suction member 32 or both of them are slidab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or left and r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order to correspond to mobile devices of various sizes,

본 명세서에서의 도면은 제2흡착부재(32)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도시한 것이며, 제1흡착부재(31)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상기 제1히팅부재(21)와 제1흡착부재(31)는 제2히팅부재(22) 및 제2흡착부재(32)와 같이 서로 다른 부재로 이루어져야 하며, 제2히팅부재(22)의 형상과 제1히팅부재(21)의 형상이 동일한 경우에 가능할 수 있다.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show that only the second suction member 32 is movable, and in order for the first suction member 31 to move, as mentioned above,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nd the first suction member The member 31 should be made of different members like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and the second adsorption member 32 , and the shape of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and the shape of the first heating member 21 are the same. may be possible in some cases.

제2흡착부재(32) 및 제2히팅부재(22)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second adsorption member 32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먼저 상기 제2히팅부재(22)는 사각의 판형 부재가 아니라 중앙에 이동공(221)이 형성된 사각틀의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이동공(221)에 상기 제2흡착부재(32)가 내장되어 이동공(22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First,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is not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but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in which a moving hole 221 is formed in the center. It is built-in and made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moving hole 221 .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히팅부재(22)가 상기 이동공(22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상부본체(12)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상부본체(12)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장홀(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홀(121)에 상기 제2히팅부재(22)가 고정볼트(123)를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상부본체(12) 상부에 돌출된 고정볼트(123)를 풀거나 조임으로서 상기 제2히팅부재(22)를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order for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to slide within the moving hole 221 and be fixed to the upper body 12, one or more long holes 121 are provided in the upper body 12. is formed,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is coupled to the long hole 121 through a fixing bolt 123, and by loosening or tightening the fixing bolt 123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12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may be moved and fixed.

이하, 도4는 앞서 언급한 탈착수단(5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탈착수단(50)을 통하여 상기 제1히팅부재(21)를 하부본체(11)의 상면에 탈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되게 되며, 이는 제2히팅부재(22)와 상부본체(12)의 결합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Hereinafter, FIG. 4 relates to the above-mentioned detachment means 50, and through the detachment means 50, the first heating member 21 can be easily and firm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 It is coupled so that it is possible, which is applicable even when the second heating member 22 and the upper body 12 are coupled.

다시 상기 탈착수단(5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11)에 구비되는 제1블록(51)과 제1히팅부재(21)에 구비되는 제2블록(5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은 상호간에 슬라이딩 결합을 하기 위하여, 제1블록(51)에는 도브테일돌기(519)가 구비되고, 제2블록(52)에는 도브테일홈(523)이 형성되어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이 상호간에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gain, as shown in FIG. 4 , the detachment means 50 includes a first block 51 provided in the lower body 11 and a second block 52 provided in the first heating member 21 . The first block 51 and the second block 52 are provided with a dovetail projection 519 in the first block 51 and a dovetail groove in the second block 52 in order to b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523 is formed so that the first block 51 and the second block 52 can slide between each other.

상기 제1블록(51)에는 중홈(5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홈(513) 하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인출공(515) 및 안착홈(5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블록(52)에는 상기 제1블록(51)이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공(515)에 대응되는 고정홈(521)이 형성된다.A middle groove 513 is formed in the first block 51, and a draw-out hole 515 and a seating groove 517 are formed on both si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groove 513, respectively, and the second block 52 A fixing groove 521 corresponding to the withdrawal hole 515 is formed in the first block 51 based on the coupled state.

상기 중홈(513)에는 결속부재(53)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결속부재(53)는 상기 인출공(515)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에 자석(532)이 형성된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에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홈(513)을 통해 상기 제1블록(51) 상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바(5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iddle groove 513 is further provided with a binding member 53, the binding member 53 is provided to be withdrawn through the pull-out hole 515 and a body 531 having a magnet 532 at the other end thereof; , I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531 and is made to include a handle bar 533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ck 51 through the middle groove (513).

또한 상기 안착홈(517)에는 인입방지부재(54)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인입방지부재(54)는 지지블록(541)과 상기 지지블록(541)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성 승하강블록(543) 및 상기 승하강블록(54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상승유도스프링(54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블록(541) 또한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517 is further provided with a pull-in preventing member 54, the pull-in preventing member 54 is a support block 541 and a metallic elevating and lowering that is coupled so as to be able to elevate from the support block (541). It is made of a block 543 and a lifting induction spring 545 that gives an elastic force to the elevating block 543, and the support block 541 is also made of a metallic material.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블록(51)에 형성되는 중홈(513)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홈(513)은 상기 제1블록(51)의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홈으로, 상기 중홈(513)의 저면의 일측(제1블록(51)과 결합되는 방향을 일측이라 한다.)에는 인출공(515)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몸체(531)의 인출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중홈(513)의 저면 타측에는 인입방지부재(54)가 구비되는 안착홈(517)이 형성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middle groove 513 formed in the first block 51 preferably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middle groove 513 has an open top of the first block 51 . of the groove 513, a draw-out hole 51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groove 513 (the direction coupled to the first block 51 is referred to as one side), so that the body 5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drawn out and inserted. A seating groove 517 provided with a pull-in preventing member 5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groove 513 .

상기 결속부재(53)는 상기 중홈(513)에 구비되는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에 구비되는 손잡이바(5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531)는 상기 중홈(513)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인출공(515)을 통하여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재이고, 상기 손잡이바(533)는 상기 몸체(53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직선형의 바 형상의 부재이다.The binding member 53 includes a body 531 provided in the middle groove 513 and a handle bar 533 provided in the body 531 , and the body 531 is a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groove 513 . It is a memb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nd is formed to be withdrawn to one side through the pull-out hole 515 , and the handle bar 533 is a straight bar-shaped member that can protrude upward from the body 531 .

따라서 사용자가 돌출된 손잡이바(533)를 잡고 움직이면 상기 몸체(531)의 일단이 상기 인출공(515)을 통하여 제2블록(52)의 고정홈(521)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user grabs the protruding handle bar 533 and moves, one end of the body 531 can be seated in the fixing groove 521 of the second block 52 through the pull-out hole 515 .

또한 상기 몸체(531)의 타측에는 자석(53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하기 인입방지부재(54)를 끌어당기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a magnet 53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531, which is provided to attract the following anti-retraction member 54,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개략적인 작동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은 도브테일 결합에 의해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블록(51) 상부에 노출된 손잡이바(533)를 조작하여 몸체(531)의 일단을 상기 고정홈(521)으로 이동시켜 제1블록(51)이 제2블록(52)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 때 상기 몸체(531)의 타단에 구비된 자석(532)이 상기 안착홈(517)에 수용된 인입방지부재(54)를 자력에 의해 끌어당기게 되며, 끌어당겨진 인입방지부재(54)의 승하강블록(543)이 상기 중홈(513) 내부에서 상승하여 중홈(513)의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몸체(531)의 원위치 이동을 제한하여 임의로 결속부재(53)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describing the schematic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first block 51 and the second block 52 are sliding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dovetail coupling, and in order to prevent arbitrarily separating in the coupled state. The user manipulates the handle bar 533 ex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ck 51 to move one end of the body 531 into the fixing groove 521 so that the first block 51 becomes the second block 52 . to prevent sepa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this time, the magnet 532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531 attracts the retraction prevention member 54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517 by magnetic force. As the elevating block 543 of the pulled-in preventing member 54 rises inside the middle groove 513 and support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iddle groove 513, the original position movement of the body 531 is restricted to arbitrarily bind member ( 53) is prevented from moving.

또한 상기 승하강블록(543)이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지기 위해, 상기 승하강블록(543)은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져야 한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elevating block 543 to be attracted by magnetic force, the elevating block 543 must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상기 인입방지부재(54)는 상기 안착홈(517)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지지블록(541)과 상기 지지블록(541)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블록(5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블록(543)과 지지블록(541) 사이에는 별도의 상승유도스프링(545)이 더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블록(543)이 지지블록(541)으로부터 상승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받게 된다.The pull-in preventing member 54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517 and includes a support block 541 and an elevating block 543 that is slidably provided from the support block 541, and the elevating and lowering A separate lifting induction spring 545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lock 543 and the support block 541 , so that the elevating block 543 is given an elastic force to rise from the support block 541 .

이 때 상기 상승유도스프링(545)은 양단부가 상기 지지블록(541) 및 승하강블록(543)에 형성된 홈부(546) 내벽면에 고정되는 일반형스프링,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At this time, the upward induction spring 545 has both end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roove 546 formed in the support block 541 and the elevating block 543. It may be made of a general type spring, a coil spring, a leaf spring, etc., Thi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rights.

그 결과, 상기 인입방지부재(54)가 안착홈(517)에 수용될 때에는 상기 안착홈(517)의 상부면에 의해 승하강블록(543)의 상승을 불허하지만, 상기 인입방지부재(54)가 결속부재(53)에 의해 중홈(513)으로 끌려 나오게 되면, 상기 승하강블록(543)의 상면을 지지하는 구성이 없어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블록(543)이 상승하여, 상기 승하강블록(543)의 타측이 중홈(513) 내벽면에 지지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pull-in prevention member 54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517, the elevation of the elevating block 543 is not allow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517, but the pull-in prevention member 54 When pulled out into the middle groove 513 by the binding member 53, there is no configuration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block 543, and the elevating block 543 rises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elevating block 543 ( The other side of the 543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iddle groove 513 .

아울러 상기 지지블록(541)과 승하강블록(543)은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운동을 하기 위하여 도브테일, 가이드레일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block 541 and the elevating block 543 may be coupled using a dovetail, a guide rail, etc. to mutually elevate and lower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i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rights.

상기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홈(521)에 인입된 결속부재(53)의 몸체(531)를 원위치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중홈(513) 내에서 상승된 승하강블록(543)을 강제로 해정하기 위한 부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블록(51)의 중홈(513)에는 푸쉬부재(5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eparate the first block 51 and the second block 52, the body 531 of the binding member 53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521 must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 member for forcibly unlocking the elevating block 543 raised in the is required, and for this purpose, a push member 55 is further provided in the middle groove 513 of the first block 51 .

상기 푸쉬부재(55)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중홈(513) 내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저면은 상기 몸체(531)의 상부에 안착되는 부재이다.The push member 55 is located on the left in the middle groove 513 based on the drawing, and the bottom surface is a member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531 .

즉 상기 승하강블록(543)이 상기 중홈(513) 내에서 상승하게 되면, 상기 푸쉬부재(55)의 하부를 밀어 푸쉬부재(55)의 상단부가 중홈(513) 밖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며, 이 노출된 부분을 사용자가 누르면 승하강블록(543)이 하강하게 되어 결속부재(53)의 좌우 슬라이딩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elevating block 543 rises within the middle groove 513,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member 55 is pushed and the upper end of the push member 55 is exposed out of the middle groove 513, and this When the user presses the exposed portion, the elevating block 543 descends, so that the left and right sliding movement of the binding member 53 is possible.

아울러 상기 푸쉬부재(55)가 중홈(513)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511)이 상기 중홈(513)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푸쉬부재(55)에는 상기 이탈방지턱(511)에 걸리는 걸림단턱(551)이 더 구비되며, 상기 푸쉬부재(55)가 중홈(513)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홈(513)의 내벽면에는 푸쉬부재(55)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5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departure preventing sill 511 for preventing the push member 55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middle groove 513 is provided in the middle groove 513, and the push member 55 has the separation preventing sill 511 hooked on the push member 55. A locking step 551 is further provided, and in order to prevent the push member 55 from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in the middle groove 513,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iddle groove 513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push member 55.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s 514 are provided.

나아가, 보다 손쉬운 동작을 위해, 본 발명에는 탄성스프링(535)을 더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탄성스프링(535)의 양단은 상기 푸쉬부재(55)와 손잡이바(533)에 밀착되도록 구비ㅗ디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바(533)가 푸쉬부재(55)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Furthermore, for easier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lastic spring 535, both ends of the elastic spring 535 are provi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ush member 55 and the handle bar 533, , so that the handle bar 533 can receiv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push member 55 .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결속부재(53)는 중홈(513) 내에서 도4[A]와 같이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결속부재(53)를 움직여 몸체(531)를 고정홈(521)에 인입시키면, 도4[C]와 같이 탄성스프링(535)이 인장되어 결속부재(53)를 원위치 시키려고 하나, 앞서 승하강블록(543)이 상승함에 따라 이를 제한하고 있으며,Therefore, normally, the binding member 53 is positioned in the middle groove 513 as shown in FIG. 4 [A], and the user moves the binding member 53 to insert the body 531 into the fixing groove 521 . As shown in FIG. 4 [C], the elastic spring 535 is tensioned to return the binding member 53 to its original position, but as the elevating block 543 rises, this is limited.

해정 시 사용자가 푸쉬부재(55)를 눌러 승하강블록(543)을 하강시키면, 상기 탄성스프링(53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속부재(53)가 원위치되어 몸체(531)의 일단이 고정홈(521)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이 동작과 함께 상기 인입방지부재(54)를 안착홈(517)으로 밀어넣어 원위치 시켜 손쉽게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lowers the elevating block 543 by pressing the push member 55 during unlocking, the binding member 5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535, and one end of the body 531 is fixed into the fixing groove ( 521), and with this operation, the pull-in prevention member 54 is pushed into the seating groove 517 to return it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first block 51 and the second block 52 can be easily separated.

아울러, 상기 안착홈(517)에 수용되는 인입방지부재(54)가 안착홈(517) 내에서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홈(517)의 내측에는 별도의 완충부재(518)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insertion prevention member 54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517 from being impacted within the seating groove 517, a separate buffer member 518 is provided inside the seating groove 517. It may be further provided,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rights.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 분리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adsorption separation device for repairing mobile devices having a specific shap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 : 분리장치
10 : 본체 11 : 하부본체
113 : 제어부
12 : 상부본체 121 : 장홀
123 : 고정볼트 14 : 힌지결합부
15 : 안착공간 17 : 스토퍼
171 : 스토핑돌기 173 : 스토핑판
20 : 히팅수단 21 : 제1히팅부재
22 : 제2히팅부재 221 : 이동공
30 : 흡착수단 31 : 제1흡착부재
311 : 제1흡착면 312 : 제1진공형성홈
313 : 제1석션공 314 : 제1흡착패킹
315 : 제1안착홈
32 : 제2흡착부재 321 : 제2흡착면
322 : 제2진공형성홈 323 : 제2석션공
325 : 제2안착홈
D: Separator
10: main body 11: lower body
113: control unit
12: upper body 121: long hole
123: fixing bolt 14: hinge coupling part
15: seating space 17: stopper
171: stopping projection 173: stopping plate
20: heating means 21: first heating member
22: second heating member 221: moving hole
30: adsorption means 31: first adsorption member
311: first adsorption surface 312: first vacuum forming groove
313: first suction hole 314: first adsorption packing
315: first seating groove
32: second adsorption member 321: second adsorption surface
322: second vacuum forming groove 323: second suction hole
325: second seating groove

Claims (4)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의 양면을 각각 가열하는 제1히팅부재 및 제2히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히팅수단;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모바일기기의 일면 또는 양면을 흡착시켜 분리하는 흡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히팅부재와 제2히팅부재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모바일기기의 일면 또는 양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
main body;
a heating means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comprising a first heating member and a second heating member for heating both surfaces of the mobile device, respectively;
adsorption means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adsorb one or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to separate them;
is made, including
The first heating member and the second heating member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o heat one or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양면을 각각 흡착하여 고정하는 제1흡착부재와 제2흡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흡착부재 또는 제2흡착부재 또는 이들 모두는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dsorption means
Doedoe consisting of a first adsorption member and a second adsorption member for adsorb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respectively,
The first adsorption member or the second adsorption member or both are configured to be slidably movable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착부재는
상기 모바일기기 일면에 밀착되는 제1흡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흡착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모바일기기의 일면과 비접촉되는 제1진공형성홈과, 상기 제1진공형성홈과 연통되는 제1석션공 및 상기 제1흡착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1흡착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흡착부재가 모바일기기 일면에 밀착되면, 상기 제1석션공을 통하여 상기 제1진공형성홈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만들어 상기 모바일기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dsorption member is
A first suction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is formed, and a first vacuum forming groove formed to cross the first suction surface and not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nd a first vacuum form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vacuum forming groove 1 suction hole and a first suction packing provid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first suction surface,
When the first suction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repair suction, characterized in that by sucking the air in the first vacuum forming groove through the first suction hole to create a vacuum state to fix the mobile device mold separato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모바일기기가 놓여지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 놓여진 모바일기기를 덮을 수 있도록 하강하는 상부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상부본체의 하강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ody is
It consists of a lower body on which the mobile device is placed, and an upper body that descends to cover the mobile device placed on the lower body,
Adsorption-type separation device for mobile device rep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er for limiting the descending height of the upper body.
KR2020200000965U 2020-03-20 2020-03-20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2021000216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65U KR20210002160U (en) 2020-03-20 2020-03-20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65U KR20210002160U (en) 2020-03-20 2020-03-20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60U true KR20210002160U (en) 2021-09-29

Family

ID=7791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65U KR20210002160U (en) 2020-03-20 2020-03-20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160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98U (en) * 2021-12-03 2023-06-12 (주)리젠아이 Press apparatus for mob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98U (en) * 2021-12-03 2023-06-12 (주)리젠아이 Press apparatus for 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542B1 (en) Apparatus for joining plate-shaped members
KR20210002160U (en)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JP2011095695A (en) Press method and press tool
KR20120113486A (en) Holder for mobile phone
KR20220024230A (en) Automatic attaching apparatus of protect film
KR200496985Y1 (en) Separa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20120124807A (en) Panel bonding apparatus for bonding touch panel and display panel
CN206250251U (en) A kind of battery component and its electronic cigarette
KR101959250B1 (en) Display module separating device
CN220290862U (en) Wire harness isolation board assembly mechanism and battery production line
WO2015192553A1 (en) Magnetic proximity switch
CN105275935B (en) Display screen and frame heat pressure adhesive device and its template replacing method
JP2016004091A (en) Protective film bonding device
KR100853081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cb
JP2014223881A (en) Vehicle door attachment/detachment device
KR101850870B1 (en) Separation device of material
CN215220584U (en) Keycap installation pressing machine based on mechanical keyboard
CN212315429U (en) Data center computer lab movable assists upper bracket equipment
KR102222762B1 (en)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KR101402861B1 (en) A mask glass stage for exposing, expo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expos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8471676B (en) A kind of Semi-automatic lining machine of manual overturning
CN204828171U (en) Display screen and frame hot pressing adhesive device
CN219842973U (en) Vacuum adsorption dismantles climbing mechanism
CN110127573A (en) A kind of self-locking device
KR101794402B1 (en) Auxliary contactor mechanism for magnetic cont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