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040A -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 Google Patents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040A
KR20200135040A KR1020190061414A KR20190061414A KR20200135040A KR 20200135040 A KR20200135040 A KR 20200135040A KR 1020190061414 A KR1020190061414 A KR 1020190061414A KR 20190061414 A KR20190061414 A KR 20190061414A KR 20200135040 A KR20200135040 A KR 20200135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ignal
sound
white
cross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주
Original Assignee
김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주 filed Critical 김윤주
Priority to KR102019006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5040A/ko
Publication of KR20200135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에 관한 것으로서 흰 지팡이 상단부에 의하여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하고, 흰 지팡이 하단부에 의하여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점자블록 내부에 의하여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자동음향신호기에 의하여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하고, 센서부에 의하여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직접 음향신호기 버튼을 눌러 동작시켜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시각장애인이 직접 음향신호기 버튼을 눌러 동작시켜야하는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음향신호기에 있어서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흰 지팡이 상단부,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흰 지팡이 하단부,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 근접센서로 구성한 점자블록 내부,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정육면체 모양으로 형성, 근접스위치로 구성한 자동음향신호기, 신호를 입력받아 전원입력부로 출력 할 수 있게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교통신호제어기, 교통신호제어기로 전달받은 신호로 어떤 신호를 출력할지에 대해 전원을 가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전원입력부, 전원입력부를 통해 받은 신호를 적신호, 청신호를 구분하여 센서부가 보행자에게 알맞은 방법으로 전달 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에 따라 각 센서부로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신호출력부,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근접센서 및 스위치로 구성한 센서부, 센서부에서 전송받은 명령을 통해 자동으로 신호등이 청신호일 시 음향을 출력 할 수 있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형성한 음성안내부, 릴레이구동부를 포함하여 다시 교통신호제어기의 입력으로 돌아갈 수 있게 회로로 구성한 구동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흰 지팡이 상단부에 의하여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하고, 흰 지팡이 하단부에 의하여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점자블록 내부에 의하여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자동음향신호기에 의하여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하고, 센서부에 의하여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직접 음향신호기 버튼을 눌러 동작시켜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시각장애인이 직접 음향신호기 버튼을 눌러 동작시켜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Pedestrian automatic sound signaling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white stick and braille blocks with sensor}
본 발명은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신호기에 있어서,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흰 지팡이 상단부,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흰 지팡이 하단부,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 근접센서로 구성한 점자블록 내부,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정육면체 모양으로 형성, 근접스위치로 구성한 자동음향신호기, 신호를 입력받아 전원입력부로 출력 할 수 있게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교통신호제어기, 교통신호제어기로 전달받은 신호로 어떤 신호를 출력할지에 대해 전원을 가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전원입력부, 전원입력부를 통해 받은 신호를 적신호, 청신호를 구분하여 센서부가 보행자에게 알맞은 방법으로 전달 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에 따라 각 센서부로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신호출력부,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근접센서 및 스위치로 구성한 센서부, 센서부에서 전송받은 명령을 통해 자동으로 신호등이 청신호일 시 음향을 출력 할 수 있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형성한 음성안내부, 릴레이구동부를 포함하여 다시 교통신호제어기의 입력으로 돌아갈 수 있게 회로로 구성한 구동부로 구성 하여서,
흰 지팡이 상단부에 의하여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하고, 흰 지팡이 하단부에 의하여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점자블록 내부에 의하여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자동음향신호기에 의하여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하고, 센서부에 의하여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직접 음향신호기 버튼을 눌러 동작시켜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신호기는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보행 가능 시 신호를 알리게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음향신호기는 교통신호제어기, 제어부, 전력구동부, 전압검출부, 입력검출부 및 릴레이 구동부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음향신호기는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구동부의 출력을 제어, 점멸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전력구동부의 출력을 온시키고, 점멸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보행자신호가 적색등신호일 경우에 그 출력을 온시키는 제어부. 입력데이터 신호와 비교하여 올바른 신호가 출력되는지를 체크하는 전압검출부, 입력된 교류전압을 직류로 변환하여 릴레이 구동부로 전달하는 입력검출부, 상기 입력검출부에서 나오는 신호를 각 채널 접점을 통해 상기 교통신호제어기의 입력(PED CALL)으로 연결하는 릴레이 구동부로 작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음향신호기는 시각장애인이 직접 음향신호기 버튼을 눌러 동작시켜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제 1020160005268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음향신호기가 시각장애인이 직접 음향신호기 버튼을 눌러 동작시켜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흰 지팡이 상단부,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흰 지팡이 하단부,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 근접센서로 구성한 점자블록 내부,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정육면체 모양으로 형성, 근접스위치로 구성한 자동음향신호기, 신호를 입력받아 전원입력부로 출력 할 수 있게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교통신호제어기, 교통신호제어기로 전달받은 신호로 어떤 신호를 출력할지에 대해 전원을 가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전원입력부, 전원입력부를 통해 받은 신호를 적신호, 청신호를 구분하여 센서부가 보행자에게 알맞은 방법으로 전달 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에 따라 각 센서부로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신호출력부,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근접센서 및 스위치로 구성한 센서부, 센서부에서 전송받은 명령을 통해 자동으로 신호등이 청신호일 시 음향을 출력 할 수 있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형성한 음성안내부, 릴레이구동부를 포함하여 다시 교통신호제어기의 입력으로 돌아갈 수 있게 회로로 구성한 구동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흰 지팡이 상단부,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흰 지팡이 하단부,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 근접센서로 구성한 점자블록 내부,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정육면체 모양으로 형성, 근접스위치로 구성한 자동음향신호기, 신호를 입력받아 전원입력부로 출력 할 수 있게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교통신호제어기, 교통신호제어기로 전달받은 신호로 어떤 신호를 출력할지에 대해 전원을 가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전원입력부, 전원입력부를 통해 받은 신호를 적신호, 청신호를 구분하여 센서부가 보행자에게 알맞은 방법으로 전달 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에 따라 각 센서부로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신호출력부,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근접센서 및 스위치로 구성한 센서부, 센서부에서 전송받은 명령을 통해 자동으로 신호등이 청신호일 시 음향을 출력 할 수 있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형성한 음성안내부, 릴레이구동부를 포함하여 다시 교통신호제어기의 입력으로 돌아갈 수 있게 회로로 구성한 구동부로 구성 함으로써, 흰 지팡이 상단부에 의하여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하고, 흰 지팡이 하단부에 의하여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점자블록 내부에 의하여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자동음향신호기에 의하여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하고, 센서부에 의하여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직접 음향신호기 버튼을 눌러 동작시켜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접근 센서를 부착한 시각장애인 전용 흰지팡이와 점자블록
도 2: 자동음향신호기 도면
도 3: 자동음향신호기 내부 도면
도 4: 센서부 내부 도면
즉, 본 발명은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101)흰 지팡이 상단부,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102)흰 지팡이 하단부,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 근접센서로 구성한 (201)점자블록 내부,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정육면체 모양으로 형성, 근접스위치로 구성한 (300)자동음향신호기, 신호를 입력받아 전원입력부로 출력 할 수 있게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301)교통신호제어기, 교통신호제어기로 전달받은 신호로 어떤 신호를 출력할지에 대해 전원을 가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302)전원입력부, 전원입력부를 통해 받은 신호를 적신호, 청신호를 구분하여 센서부가 보행자에게 알맞은 방법으로 전달 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에 따라 각 센서부로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303)신호출력부,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근접센서 및 스위치로 구성한 (304)센서부, 센서부에서 전송받은 명령을 통해 자동으로 신호등이 청신호일 시 음향을 출력 할 수 있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형성한 (305)음성안내부, 릴레이구동부를 포함하여 다시 교통신호제어기의 입력으로 돌아갈 수 있게 회로로 구성한 (306)구동부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101)흰 지팡이 상단부는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102)흰 지팡이 하단부는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201)점자블록 내부는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 근접센서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300)자동음향신호기는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정육면체 모양으로 형성, 근접스위치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304)센서부는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근접센서 및 스위치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신호기에 있어서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101)흰 지팡이 상단부,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102)흰 지팡이 하단부,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 근접센서로 구성한 (201)점자블록 내부,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정육면체 모양으로 형성, 근접스위치로 구성한 (300)자동음향신호기, 신호를 입력받아 전원입력부로 출력 할 수 있게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301)교통신호제어기, 교통신호제어기로 전달받은 신호로 어떤 신호를 출력할지에 대해 전원을 가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302)전원입력부, 전원입력부를 통해 받은 신호를 적신호, 청신호를 구분하여 센서부가 보행자에게 알맞은 방법으로 전달 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에 따라 각 센서부로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303)신호출력부,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근접센서 및 스위치로 구성한 (304)센서부, 센서부에서 전송받은 명령을 통해 자동으로 신호등이 청신호일 시 음향을 출력 할 수 있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형성한 (305)음성안내부, 릴레이구동부를 포함하여 다시 교통신호제어기의 입력으로 돌아갈 수 있게 회로로 구성한 (306)구동부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시각장애인이 직접 음향신호기 버튼을 눌러 동작시켜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101)흰 지팡이 상단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102)흰 지팡이 하단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 근접센서로 구성한 (201)점자블록 내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정육면체 모양으로 형성, 근접스위치로 구성한 (300)자동음향신호기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근접센서 및 스위치로 구성한 (304)센서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될 것이다.
101: 흰 지팡이 상단부, 102: 흰 지팡이 하단부, 201: 점자블록 내부, 300: 자동음향신호기, 301: 교통신호제어기, 302: 전원입력부, 303: 신호출력부, 304: 센서부, 305: 음성안내부, 306: 구동부

Claims (6)

  1. 음향신호기에 있어서,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101)흰 지팡이 상단부,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한 (102)흰 지팡이 하단부,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 근접센서로 구성한 (201)점자블록 내부,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정육면체 모양으로 형성, 근접스위치로 구성한 (300)자동음향신호기, 신호를 입력받아 전원입력부로 출력 할 수 있게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301)교통신호제어기, 교통신호제어기로 전달받은 신호로 어떤 신호를 출력할지에 대해 전원을 가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302)전원입력부, 전원입력부를 통해 받은 신호를 적신호, 청신호를 구분하여 센서부가 보행자에게 알맞은 방법으로 전달 할 수 있게 지정한 신호에 따라 각 센서부로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 구성한 (303)신호출력부,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근접센서 및 스위치로 구성한 (304)센서부, 센서부에서 전송받은 명령을 통해 자동으로 신호등이 청신호일 시 음향을 출력 할 수 있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형성한 (305)음성안내부, 릴레이구동부를 포함하여 다시 교통신호제어기의 입력으로 돌아갈 수 있게 회로로 구성한 (306)구동부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2. 제 1항에 있어서,
    (101)흰 지팡이 상단부를 통하여 횡단보도 앞에 도착시 진동으로 빨간불임을 알릴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3. 제 1항에 있어서,
    (102)흰 지팡이 하단부를 통하여 신호등의 횡단가능여부를 상단부로 전송하고 근접센서를 통하여 횡단보도 내 점자블록과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막대형으로 형성, 진동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4. 제 1항에 있어서,
    (201)점자블록 내부를 통하여 흰 지팡이와의 근접여부를 확인 할 수 있게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 근접센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5. 제 1항에 있어서,
    (300)자동음향신호기를 통하여 소리로 횡단보도의 횡단가능여부를 알 수 있게 정육면체 모양으로 형성, 근접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6. 제 1항에 있어서,
    (304)센서부를 통하여 청신호, 적신호에 따라 진동여부로 당사자에게 알리거나, 횡단 가능을 음향으로 알릴 수 있게 근접센서 및 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KR1020190061414A 2019-05-24 2019-05-24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KR20200135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414A KR20200135040A (ko) 2019-05-24 2019-05-24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414A KR20200135040A (ko) 2019-05-24 2019-05-24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040A true KR20200135040A (ko) 2020-12-02

Family

ID=7379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414A KR20200135040A (ko) 2019-05-24 2019-05-24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50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268A (ko) 2014-07-04 2016-01-14 도로교통공단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268A (ko) 2014-07-04 2016-01-14 도로교통공단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754B1 (ko) 시각장애인용 독립보행 안내장치
KR101039572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822084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지팡이
KR20150097043A (ko) 스마트 안경 및 지팡이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보조 시스템 및 방법
CN109166306A (zh) 一种用于信号控制交叉口的导盲装置及系统
CN204808583U (zh) 一种辅助盲人过马路装置
KR101611237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JP7403783B2 (ja) 視覚障がい者用行動支援装置
KR101587010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발광 보도블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053644A (zh) 一种交通指示灯盲人指引装置
KR20200135040A (ko) 센서가 부착된 흰지팡이와 점자블록을 통한 시각장애인 횡단보도 자동 음향신호기
KR20090109436A (ko) 안경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교통신호 안내시스템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1704B1 (ko) 보행자 감지가 가능한 월 센서를 이용한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
KR20200077769A (ko) 시각장애인용 교통신호 음향 안내 시스템
TWI352147B (ko)
KR101678396B1 (ko) 청각장애인용 호출 시스템
KR100773146B1 (ko)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의 안전대기장치
JP2009091116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誘導装置
KR20160008931A (ko) 음성안내 시스템
CN204926523U (zh) 一种交通指示灯盲人指引装置
KR20140129793A (ko) 보행등 잔여시간과 보행자 대기시간을 표시하는 교통신호등
KR20190139716A (ko) 블루투스와 스마트폰의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유도 시스템.
KR200414368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신호음 송수신시스템
KR200420993Y1 (ko)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의 안전대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