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845A -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845A
KR20200134845A KR1020190060949A KR20190060949A KR20200134845A KR 20200134845 A KR20200134845 A KR 20200134845A KR 1020190060949 A KR1020190060949 A KR 1020190060949A KR 20190060949 A KR20190060949 A KR 20190060949A KR 20200134845 A KR20200134845 A KR 20200134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unit
washing
transfe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845A/ko
Publication of KR20200134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66Movable chambers, e.g. collapsible, demou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수세부와, 수세부의 외부에 형성되고, 슬러지가 집적되는 건조부와,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에 의해 수세부의 내부에 생성된 슬러지를 건조부로 이송하는 슬러지이송부와, 슬러지이송부를 수세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SLUDGE DISPOSAL APPARATUS OF WASHER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 시 생성된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조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연속식 하역기에 구비된 버켓을 통해 선박에서 부두로 수송되며, 버켓에 고착된 연원료는 수세부 내측에서 물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10501호(2013.10.10 공개, 발명의 명칭: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 과정에서 생성된 슬러지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는,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수세부; 상기 수세부의 외부에 형성되고, 슬러지가 집적되는 건조부; 상기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에 의해 상기 수세부의 내부에 생성된 슬러지를 상기 건조부로 이송하는 슬러지이송부; 및 상기 슬러지이송부를 상기 수세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이송부는, 일측부가 상기 수세부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타측부가 상기 건조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는 이송지지부; 상기 이송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세부에서 상기 건조부까지 연통되게 형성되는 슬러지이송통로부; 상기 이송지지부의 일측부에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로 투입되는 통로를 이루는 슬러지투입부; 상기 이송지지부의 타측부에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 내부의 슬러지가 상기 건조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이루는 슬러지배출부; 및 상기 수세부 내부의 슬러지를 수거하여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에 인입시키는 슬러지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수거부는, 상기 이송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세부의 내부에서 상기 슬러지투입부를 향하는 상향 이동 동선을 가지는 견인회전장치; 및 슬러지를 담을 수 있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견인회전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견인회전장치에 연동하여 상향 이동되며 상기 수세부 내부의 슬러지를 수거하여 상기 슬러지투입부에 낙하시키는 슬러지수거바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회전장치는, 상기 이송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투입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상부회전체; 상기 제1상부회전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하부회전체; 띠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상부회전체와 상기 제1하부회전체에 양단부가 결속되며, 상기 슬러지수거바켓의 일측부가 결합되는 제1동력전달부재; 상기 이송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투입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상부회전체; 상기 제2상부회전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하부회전체; 띠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상부회전체와 상기 제2하부회전체에 양단부가 결속되며, 상기 슬러지수거바켓의 타측부가 결합되는 제2동력전달부재; 상기 제1하부회전체와 상기 제2하부회전체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회전력전달바; 상기 이송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력전달바를 정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연장대; 및 상기 제1상부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수거바켓은, 러지를 담을 수 있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견인회전장치에 결합되는 바켓본체부; 및 상기 바켓본체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세척수가 통과되는 배수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이송부는, 나선형의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에 설치되고, 정위치에서 회전되며 상기 수세부측의 슬러지를 상기 건조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세부와 상기 건조부에 형성되는 주행레일; 및 상기 슬러지이송부와 연결되고,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장치는, 상기 슬러지이송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제1이동지지대; 상기 제1이동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이동지지대와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이동지지대; 상기 제1이동지지대와 상기 제2이동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바퀴; 및 상기 주행바퀴를 회전시키는 주행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는,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 과정에서 수세부의 내부에 생성된 슬러지를 슬러지이송부를 이용해 수세부 외부의 건조부로 이송시킴으로써, 슬러지로 인한 세척수의 혼탁 및 세척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 상태 저하 시 원료가 혼적됨으로 인한 제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이송부를 이용해 별도의 인력 투입 없이 자동으로 수세부 내부의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부를 이용해 수세부의 전 영역에 걸쳐 슬러지 제거를 수행할 수 있어,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해 수세부 내부의 슬러지를 건져내는 것과 비교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슬러지 제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부에 슬러지를 집적시킨 상태에서 슬러지와 혼재된 세척수가 자연히 슬러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배출유로 등을 통해 일괄적으로 배출시키면서 정화처리할 수 있고, 건조부 상에서 슬러지를 외부 환경에 노출시켜 햇빛, 바람 등에 의해 건조시킨 후 차량 등을 이용해 용이하게 건조부 외부의 지정장소로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로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로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로 수세부 내부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의 슬러지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의 슬러지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의 슬러지수거부의 작동에 따른 슬러지 이송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의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로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로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로 수세부 내부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속식 하역기(3)는 선박에 적재된 연원료를 부두측으로 하역하는 장치로, 연원료를 이송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켓(4)이 구비된다.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버켓(4)에는 연원료가 부착되며, 다른 종류의 연원료를 하역하는 경우에는 버켓(4)의 세척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버켓(4)의 세척작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1)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1)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수세부(10)가 구비되고, 연속식 하역기(3)는 수세부(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세부(10)의 내부에 그 하부가 인입된 상태에서, 세척수와 세척솔 등을 이용해 버켓(4)을 세척하게 된다. 이러한 세척 과정에서 버켓(4)으로부터 이탈된 슬러지(S)는 수세부(10)의 내부에 세척수와 함께 혼재되어 세척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속식 하역기(3) 세척하는 동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1)의 슬러지처리장치(2)는, 세척솔 등을 포함한 세척장치나 연속식 하역기(3)와 간섭되지 않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부(10)의 가장자리부에 대기하고 있다가, 연속식 하역기(3)의 세척이 완료되고, 수세부(10)의 외부로 연속식 하역기(3)가 제거, 이동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수세부(10) 내부의 슬러지를 건져내 건조부(20)로 이송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1)의 슬러지처리장치(2)는 수세부(10), 건조부(20), 슬러지이송부(30), 이동부(40)를 포함한다.
수세부(10)는 연속식 하역기(3)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장치부로, 세척수를 저장가능한 수조의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세부(1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의 형상을 가진다. 연속식 하역기(3)의 하부는 일측으로(도 1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수세부(10)는 이에 대응되는 직사각형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건조부(20)는 슬러지이송부(30)에 의해 수세부(10)로부터 건져내어진 슬러지(S)가 집적되는 장치부로, 수세부(10)의 외부에 형성된다. 슬러지이송부(30)는 이동부(40)에 의해 수세부(10)와 건조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수세부(10)와 건조부(20)는 이러한 슬러지이송부(30)의 이동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부(20)는 슬러지집적부(21), 투입개방부(22), 배출개방부(23)를 포함한다.
슬러지집적부(21)는 슬러지(S)가 집적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장치부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박스의 형상을 가지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세부(10)의 연장길이에 대응되는 연장길이를 가지고, 수세부(10)의 폭방향(연장방향과 직각되는 방향) 일측부와 접하게 배치되거나, 수세부(1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투입개방부(22)는 슬러지이송부(30)에서 낙하된 슬러지(S)가 슬러지집적부(21)로 투입되는 통로를 이루는 장치부로, 슬러지집적부(21)의 상부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배출개방부(23)는 슬러지집적부(21)에 집적된 슬러지(S)가 슬러지집적부(21)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이루는 장치부로, 슬러지집적부(21)의 측부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배출개방부(23)로는 차량이 출입할 수 있어, 차량을 이용해 슬러지집적부(21)에 쌓인 슬러지(S)를 용이하게 슬러지집적부(21)의 외부로 이송할 수 있다.
슬러지이송부(30)는 연속식 하역기(3)의 세척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부(10)의 내부에 생성된 슬러지(S)를 건조부(20)로 이송한다. 이동부(40)는 슬러지이송부(30)를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부(40)를 이용해 슬러지이송부(30)를 수세부(10)의 연장방향 일단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수세부(10)에 연속식 하역기(3)를 인입시켜 세척을 수행할 수 있고, 연속식 하역기(3)의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는 연속식 하역기(3)를 수세부(10)의 외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이동부(40)를 이용해 슬러지이송부(30)를 수세부(10)의 전 길이에 걸쳐 연속하여 이동시키거나,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슬러지(S)를 건조부(20)측으로 수거, 이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속식 하역기(3)의 세척 과정에서 수세부(10)의 내부에 생성된 슬러지(S)를 슬러지이송부(30)를 이용해 수세부(10) 외부의 건조부(20)로 이송시킴으로써, 슬러지(S)로 인한 세척수의 혼탁 및 세척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연속식 하역기(3)의 세척 상태 저하 시 원료가 혼적됨으로 인한 제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러지이송부(30)를 이용해 별도의 인력 투입 없이 자동으로 수세부(10) 내부의 슬러지(S)를 수세부(10)의 외부로 이송, 제거할 수 있고, 이동부(40)를 이용해 수세부(10)의 전 영역에 걸쳐 슬러지(S) 제거를 수행할 수 있어,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해 수세부(10) 내부의 슬러지(S)를 건져내는 것과 비교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슬러지(S) 제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슬러지(S)가 세척수와 혼재된 상태로 건조부(20)로 이송되더라도, 슬러지(S)가 건조부(20)에 집적되어 있는 동안, 슬러지(S)에 혼재된 세척수가 자연히 흘러내려 슬러지(S)와 분리됨에 따라, 세척수를 배출유로 등을 통해 일괄적으로 배출시키면서 정화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부(20) 상에서 슬러지(S)를 외부 환경에 노출시켜 햇빛, 바람 등에 의해 건조시킬 수 있고, 목적한 정도의 건조가 이루어진 후 차량 등을 이용해 용이하게 건조부(20) 외부의 지정장소로 이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의 슬러지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의 슬러지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의 슬러지수거부의 작동에 따른 슬러지 이송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이송부(30)는 이송지지부(31), 슬러지이송통로부(32), 슬러지투입부(33), 슬러지배출부(34), 슬러지수거부(35), 이송스크류(38), 이송모터(39)를 포함한다.
이송지지부(31)는 수세부(10)와 건조부(20)의 배열방향, 즉 수세부(10)와 건조부(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이송지지부(31)의 일측부는 수세부(10)의 상부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이송지지부(31)의 타측부는 건조부(20)의 상부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이송지지부(31)의 양단부는 이동부(40)의 주행장치(42)와 연결된다.
슬러지이송통로부(32)는 이송지지부(31)의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S)를 수세부(10)에서 건조부(20)까지 연속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통로를 이루는 장치부로, 이송지지부(31)의 내부에 원주 형상으로 중공되게 형성되고, 수세부(10)에서 건조부(20)까지 연통되게 형성된다.
슬러지투입부(33)는 슬러지(S)가 슬러지이송통로부(32)로 투입되는 통로를 이루는 장치부로, 수세부(10)의 상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이송지지부(31)의 일측부에 슬러지이송통로부(32)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슬러지투입부(33)는 이송지지부(31)의 상부에 상향 개방되게 형성된다.
슬러지배출부(34)는 슬러지이송통로부(32) 내부의 슬러지가 건조부(20)로 배출되는 통로를 이루는 장치부로, 건조부(20)의 상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이송지지부(31)의 타측부에 슬러지이송통로부(32)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슬러지배출부(34)는 이송지지부(31)의 하부에 하향 개방되게 형성된다.
슬러지수거부(35)는 수세부(10) 내부의 슬러지(S)를 수거하여 슬러지이송통로부(32)에 인입시킨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수거부(35)는 견인회전장치(36)와 슬러지수거바켓(37)을 포함한다.
견인회전장치(36)는 슬러지수거버켓(37)을 수세부(10)의 내부에서 이송지지부(31)의 상측으로 상향 이동시킨 후 다시 수세부(10)의 내부로 하향 이동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장치부로, 이송지지부(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회전장치(36)는 제1상부회전체(361), 제1하부회전체(362), 제1동력전달부재(363), 제2상부회전체(364), 제2하부회전체(365), 제2동력전달부재(366), 회전력전달바(367), 하부연장대(368), 회전모터(369)를 포함한다.
제1상부회전체(361)는 이송지지부(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러지투입부(33)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상부회전체(361)는 이송지지부(31)의 외경부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고, 이송지지부(31)의 둘레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상부회전체(361)는 이송지지부(31)와 동축 상에 배치되되, 이송지지부(31)를 축통으로 하고, 베어링 등을 매개로 하여 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하부회전체(362)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제1상부회전체(361)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동력전달부재(363)는 띠 형상을 가지고, 제1상부회전체(361)와 제1하부회전체(362)에 양단부가 결속된다. 제1상부회전체(361)와 제1하부회전체(362)로는 스프라켓이나 풀리 등을 적용할 수 있고, 제1동력전달부재(363)로는 이에 대응되는 체인이나 벨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제2상부회전체(364)는 제1상부회전체(361)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이송지지부(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러지투입부(33)의 타측에 위치된다. 즉, 슬러지투입부(33)의 양측에 제1상부회전체(361)와 제2상부회전체(364)가 각각 배치된다. 제2상부회전체(364)는 제1상부회전체(361)와 마찬가지로, 이송지지부(31)와 동축 상에 배치되되, 이송지지부(31)를 축통으로 하고, 베어링 등을 매개로 하여 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하부회전체(365)는 제1하부회전체(36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제2상부회전체(364)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2동력전달부재(366)는 띠 형상을 가지고, 제2상부회전체(364)와 제2하부회전체(365)에 양단부가 결속된다. 제2상부회전체(364)와 제2하부회전체(365)로는 스프라켓이나 풀리 등을 적용할 수 있고, 제2동력전달부재(366)로는 이에 대응되는 체인이나 벨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슬러지수거바켓(37)은 제1상부회전체(361)와 제2상부회전체(364)간의 이격 간격 이상의 너비를 가지고, 너비방향 일측부가 제1동력전달부제(363)에는 결합되며, 너비방향 타측부가 제2동력전달부재(366)에 결합된다.
회전력전달바(367)는 제1하부회전체(362)와 제2하부회전체(365)를 동축상에 연결한다. 회전력전달바(367)는 제1하부회전체(362)와 제2하부회전체(365)의 사이에 수평되게 배치되고, 양단부가 제1하부회전체(362)와 제2하부회전체(365)에 각각 결합된다. 회전력전달바(367)에 의해 제1하부회전체(362)의 회전력이 제2하부회전체(365)로 전달될 수 있다.
하부연장대(368)는 회전력전달바(367)를 정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부로, 이송지지부(31)에서 회전력전달바(367)까지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하부연장대(368)의 상단부는 제1상부회전체(361)와 제2상부회전체(364)의 사이에서 이송지지부(31)와 연결되고, 하부는 회전력전달바(367)가 관통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회전력전달바(367)는 베어링 등을 매개로 하여,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하부연장대(368)의 하부에 동축 결합되고, 하부연장대(368)에 의해 이송지지부(31)로부터 설정 간격을 둔 위치에서 지지된 상태로 정회전될 수 있다. 하부연장대(368)는 회전력전달바(367)의 연장방향 중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가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회전모터(369)는 제1상부회전체(361)를 회전시킨다. 회전모터(369)는 이송모터(39)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이송지지부(31)와 동축상에 결합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 기어부재나, 풀리 및 벨트 등을 매개로 하여, 이송지지부(31)와 이축 상에서 제1상부회전체(36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모터(369)의 정방향 구동 시 제1상부회전체(361)가 회전되고, 제1동력전달부재(363)가 이동되면서 제1하부회전체(362)가 연동하여 회전되며, 회전력전달바(367)를 통해 제2하부회전체(365)가 연동하여 회전되고, 제2동력전달부재(366)가 이동되면서 제2상부회전체(364)가 연동하여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견인회전장치(36)의 작동에 의해, 제1동력전달부재(363)와 제2동력전달부재(366)에 결합된 슬러지수거바켓(37)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부(10)의 내부에서 슬러지투입부(33)를 향하는 상향 이동 동선을 가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견인회전장치(36)가 슬러지수거버켓(37)을 수세부(10)의 내부에서 이송지지부(31)의 상측으로 상향 이동시킨 후 다시 수세부(10)의 내부로 하향 이동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슬러지수거바켓(37)은 견인회전장치(36)에 연동하여 이동되며 수세부(10) 내부의 슬러지(S)를 수거하여 슬러지투입부(33)에 낙하시키는 장치부로, 슬러지(S)를 담을 수 있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견인회전장치(36)와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수거바켓(37)은 바켓본체부(371)와 배수홀부(372)를 포함한다.
바켓본체부(371)는 슬러지(S)를 담을 수 있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견인회전장치(36)의 제1동력전달부재(363)와 제2동력전달부재(366)에 결합된다. 배수홀부(372)는 세척수의 통과가 가능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바켓본체부(371)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배수홀부(372)를 형성함으로써, 바켓본체부(371)가 세척수에 담긴 상태에서 이동 시 보다 원활하게 그 동선대로 진행될 수 있어, 세척수의 저항력에 의해 회전모터(369)에 걸리는 부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바켓본체부(371)가 세척수 외부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슬러지(S)와 혼재된 상태로 바켓본체부(371)에 담겨져 있던 세척수가, 바켓본체부(371)가 슬러지투입부(33)측으로 이동되는 동안 배수홀부(372)를 통해 바켓본체부(371)의 외부로 자연히 배출, 제거되므로, 세척수의 중량으로 인해 회전모터(369)에 걸리는 부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고, 슬러지(S) 수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모터(369)의 역방향 구동시키거나, 슬러지수거바켓(37)을 세척수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바켓본체부(371)에 부착되거나, 배수홀부(372)에 끼인 슬러지(S)를 슬러지수거바켓(37)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이송스크류(38)는 나선형의 회전날개를 가지고 슬러지이송통로부(32)에 설치되고, 정위치에서 회전되며 수세부(10)측의 슬러지를 건조부(20)측으로 이송시킨다. 이송모터(39)는 이송스크류(38)를 회전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송지지부(31)의 상측에서 낙하된 슬러지(S)는 슬러지투입부(33)를 통해 슬러지이송통로부(32)로 인입되고, 이송스크류(38)의 회전에 의해 슬러지이송통로부(32)를 따라 수세부(10)측에서 건조부(20)측으로 이동되면서 슬러지배출부(34)를 통해 건조부(20)측으로 낙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의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부(40)는 주행레일(41)과 주행장치(42)를 포함한다.
주행레일(41)은 수세부(10)와 건조부(20)에 형성된다. 주행레일(41)은 수세부(10)와 건조부(20)의 상단부에, 수세부(10)와 건조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2, 도 3 상에는 수세부(10)와 건조부(20)의 상단부에 각각 1열을 형성한 구조를 가지나, 슬러지이송부(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면 그 개수와 위치가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수세부(10)와 건조부(20)의 경계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1열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일례로, 수세부(10)와 건조부(20)가 분리 형성된 경우, 수세부(10)와 건조부(20)의 상단부에 각각 2열을 형성될 수도 있다.
주행장치(42)는 슬러지이송부(30)와 연결되고, 주행레일(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42)는 제1이동지지대(43), 제2이동지지대(44), 주행바퀴(45), 주행모터(46)를 포함한다.
제1이동지지대(43)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슬러지이송부(30)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제2이동지지대(44)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수평연장대(미도시)에 의해 제1이동지지대(43)와 연결되고, 제1이동지지대(43)와 병렬되게 배치된다.
제1이동지지대(43)와 제2이동지지대(44)로 슬러지이송부(30)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함으로써, 슬러지이송부(30)가 틀어지거나 기울어지는 일 없이 안정되게 수세부(10)와 건조부(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수세부(10)와 건조부(20)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주행바퀴(45)는 제1이동지지대(43)와 제2이동지지대(44)의 하부에 결합되고, 주행레일(41)을 따라 이동된다. 주행바퀴(45)는 슬러지이송부(3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이동지지대(43)와 제2이동지지대(44), 슬러지이송부(3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1이동지지대(43)와 제2이동지지대(44)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다.
주행모터(46)는 주행바퀴(45)를 회전시킨다. 주행모터(46)는 주행바퀴(45) 중 하나에 직동되게 결합될 수 있다. 주행모터(46)의 정방향 구동 시 주행바퀴(45)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슬러지이송부(30)가 주행레일(41)의 연장방향 일단부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주행모터(46)의 역방향 구동 시 주행바퀴(45)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슬러지이송부(30)가 주행레일(41)의 연장방향 타단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1)의 슬러지처리장치(2)에 의하면, 연속식 하역기(3)의 세척 과정에서 수세부(10)의 내부에 생성된 슬러지(S)를 슬러지이송부(30)를 이용해 수세부(10) 외부의 건조부(20)로 이송시킴으로써, 슬러지(S)로 인한 세척수의 혼탁 및 세척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연속식 하역기(3)의 세척 상태 저하 시 원료가 혼적됨으로 인한 제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러지이송부(30)를 이용해 별도의 인력 투입 없이 자동으로 수세부(10) 내부의 슬러지(S)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부(40)를 이용해 수세부(10)의 전 영역에 걸쳐 슬러지(S) 제거를 수행할 수 있어,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해 수세부(10) 내부의 슬러지(S)를 건져내는 것과 비교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슬러지(S) 제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부(20)에 슬러지(S)를 집적시킨 상태에서 슬러지(S)와 혼재된 세척수가 자연히 슬러지(S)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배출유로 등을 통해 일괄적으로 배출시키면서 정화처리할 수 있고, 건조부(20) 상에서 슬러지를 외부 환경에 노출시켜 햇빛, 바람 등에 의해 건조시킨 후 차량 등을 이용해 용이하게 건조부(20) 외부의 지정장소로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 2 : 슬러지처리장치
3 : 연속식 하역기 4 : 버켓
10 : 수세부 20 : 건조부
21 : 슬러지집적부 22 : 투입개방부
23 : 배출개방부 30 : 슬러지이송부
31 : 이송지지부 32 : 슬러지이송통로부
33 : 슬러지투입부 34 : 슬러지배출부
35 : 슬러지수거부 36 : 견인회전장치
37 : 슬러지수거바켓 38 : 이송스크류
39 : 이송모터 40 : 이동부
41 : 주행레일 42 : 주행장치
43 : 제1이동지지대 44 : 제2이동지지대
45 : 주행바퀴 46 : 주행모터
361 : 제1상부회전체 362 : 제1하부회전체
363 : 제1동력전달부재 364 : 제2상부회전체
365 : 제2하부회전체 366 : 제2동력전달부재
367 : 회전력전달바 368 : 하부연장대
369 : 회전모터 371 : 바켓본체부
372 : 배수홀부

Claims (8)

  1.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수세부;
    상기 수세부의 외부에 형성되고, 슬러지가 집적되는 건조부;
    상기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에 의해 상기 수세부의 내부에 생성된 슬러지를 상기 건조부로 이송하는 슬러지이송부; 및
    상기 슬러지이송부를 상기 수세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이송부는,
    일측부가 상기 수세부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타측부가 상기 건조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는 이송지지부;
    상기 이송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세부에서 상기 건조부까지 연통되게 형성되는 슬러지이송통로부;
    상기 이송지지부의 일측부에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로 투입되는 통로를 이루는 슬러지투입부;
    상기 이송지지부의 타측부에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 내부의 슬러지가 상기 건조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이루는 슬러지배출부; 및
    상기 수세부 내부의 슬러지를 수거하여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에 인입시키는 슬러지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수거부는,
    상기 이송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세부의 내부에서 상기 슬러지투입부를 향하는 상향 이동 동선을 가지는 견인회전장치; 및
    슬러지를 담을 수 있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견인회전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견인회전장치에 연동하여 상향 이동되며 상기 수세부 내부의 슬러지를 수거하여 상기 슬러지투입부에 낙하시키는 슬러지수거바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회전장치는,
    상기 이송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투입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상부회전체;
    상기 제1상부회전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하부회전체;
    띠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상부회전체와 상기 제1하부회전체에 양단부가 결속되며, 상기 슬러지수거바켓의 일측부가 결합되는 제1동력전달부재;
    상기 이송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투입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상부회전체;
    상기 제2상부회전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하부회전체;
    띠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상부회전체와 상기 제2하부회전체에 양단부가 결속되며, 상기 슬러지수거바켓의 타측부가 결합되는 제2동력전달부재;
    상기 제1하부회전체와 상기 제2하부회전체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회전력전달바;
    상기 이송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력전달바를 정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연장대; 및
    상기 제1상부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수거바켓은,
    슬러지를 담을 수 있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견인회전장치에 결합되는 바켓본체부; 및
    상기 바켓본체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세척수가 통과되는 배수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이송부는,
    나선형의 회전날개를 가지고 상기 슬러지이송통로부에 설치되고, 정위치에서 회전되며 상기 수세부측의 슬러지를 상기 건조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세부와 상기 건조부에 형성되는 주행레일; 및
    상기 슬러지이송부와 연결되고,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는,
    상기 슬러지이송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제1이동지지대;
    상기 제1이동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이동지지대와 병렬되게 배치되는 제2이동지지대;
    상기 제1이동지지대와 상기 제2이동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바퀴; 및
    상기 주행바퀴를 회전시키는 주행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KR1020190060949A 2019-05-24 2019-05-24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KR20200134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49A KR20200134845A (ko) 2019-05-24 2019-05-24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49A KR20200134845A (ko) 2019-05-24 2019-05-24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845A true KR20200134845A (ko) 2020-12-02

Family

ID=7379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949A KR20200134845A (ko) 2019-05-24 2019-05-24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8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581B1 (ko) 칩 반출 콘베어장치
KR20090027495A (ko) 하수 박스 준설 장치
CN207403630U (zh) 一种数控机床的废料清运车
CN211945132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污水处理用皮带输送装置
KR101377492B1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US10207209B1 (en) Mobile wet waste separator
KR20200134845A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기의 슬러지처리장치
EP1754803B1 (en) Rotating module and work transporting apparatus
CN210506023U (zh) 一种提高淤泥土壤化程度的脱水结构
CN216234722U (zh) 一种工件处理系统
CN201473428U (zh) 污泥净化处理装置
KR101733775B1 (ko) 연속식 미생물 고정화장치
KR101582653B1 (ko) 슬러지 수집장치
CN114042856A (zh) 一种紧固件生产用在线除油机
KR101298757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US4971693A (en) Muddy water processing apparatus
JPH0670732A (ja) 作物洗浄装置
CN217677428U (zh) 一种发酵系统
CN114162576B (zh) 一种双隧道共线出渣系统
CN220448921U (zh) 一种污泥输送装置
JP2755540B2 (ja) 搬送容器反転設備
CN214513122U (zh) 建筑废水渣处理装置
JP3543171B2 (ja) リサイクル用びん類処理設備
CN113200296A (zh) 一种多功能农作物提升机
CN219817270U (zh) 一种矿物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