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734A -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734A
KR20200134734A KR1020190060623A KR20190060623A KR20200134734A KR 20200134734 A KR20200134734 A KR 20200134734A KR 1020190060623 A KR1020190060623 A KR 1020190060623A KR 20190060623 A KR20190060623 A KR 20190060623A KR 20200134734 A KR20200134734 A KR 20200134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vehicle
time
communication controll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해윤
권영훈
강현길
박준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734A/ko
Priority to US16/659,860 priority patent/US10993184B2/en
Publication of KR2020013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9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switching to a backup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은 차량의 시동 ON/OFF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 내 무선 통신 제어기가 슬립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에 따른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전력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Backup power management method for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and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내에 다수의 제어기가 추가됨에 따라, 한정된 배터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편의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접근하기 전에 요구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도 동작하기 때문에 배터리 사용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 이에 스마트키 시스템은 제어기에서 적절한 검색 주기를 임의로 설정하여 시동이 꺼진 이후의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 하고 있다.
하지만, LTE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 제어기는 국제 규격에 의해 무선 출력에 대한 접속사양이 정의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임의로 수정할 수 없다.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양한 분야에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사용자의 습관/패턴을 고려하여 최적의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 내 제어기에 대한 제어에 해당 사례가 적용된 경우는 드물다. 또한, 자율주행차 기술이 대두함에 따라 차량 안전 제어기의 페일 세이프티(fail-safety)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기존 텔레매틱스 제어기를 이용한 무선 통신제어기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도 원격 서비스를 위해 장시간동안 대기해야 한다. 하지만, 국제 규격에 의해 무선망에 대한 접속을 임의로 해제할 수 없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해당 제어기의 대기 시간에 소모되는 암전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제어기에 백업 전원 체계를 구성하고 이를 차량의 정보를 분석하여 이용하여, 무선통신 제어기의 대기시간에 소모되는 암전류량을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차량 배터리의 사용 기간을 극대화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은 차량의 시동 ON/OFF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 내 무선 통신 제어기가 슬립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가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에 따른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전력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시스템은 메인 전력 소스인 배터리; 및 서브 전력 소스인 백업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차량의 시동 ON/OFF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 슬립 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 따른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전력 스위칭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첫째, 차량의 시동을 끈 후 재접속하는 빈도와 재접속시간대를 예측하여 기반으로 운전자의 사용 패턴에 맞게 예측된 시간동안은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고 그 후, 장시간 대기 동안은 제어기의 내부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차량을 운행하면서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여 사고가 날 경우, 즉 Fail-safety를 고려하여 운행 중에도 배터리의 이상 발생시 일시적으로 백업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주행 안정성이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의 전력 관리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의 백업 전원 관리 로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의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100), 무선 통신 제어기(200), 차량 제어기(300) 및 안테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00)는 무선 통신 제어기(200)의 메인 전력 소스일 수 있다. 배터리(100)는 무선 통신 제어기(200) 내의 배치되는 유선 통신 모듈(220) 및 무선 통신 모듈(240)의 제어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메인 전력 모듈(210), 유선 통신 모듈(220), 서브 전력 모듈(230), 무선 통신 모듈(240), 비교기(250) 및 백업 캐패시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력 모듈(210)은 배터리(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유선 통신 모듈(220)로 제공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220)은 차량 제어기(300)와 차량 내부 통신(IVN: In-Vehicle Network)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부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전력 모듈(230)은 배터리(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서브 전력 모듈(230)은 비교기(250) 및 무선 통신 모듈(2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서브 전력 모듈(230)은 백업 캐패시터(260)를 지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백업 캐패시터(260)는 서브 전력 모듈(230) 및 무선 통신 모듈(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백업 캐패시터(260)는 무선 통신 제어기(200)의 서브 전력 소스로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40)은 운전자가 차량을 이용할 때, 반복적인 형태의 차량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모듈(240)은 사용자별 무선망 재접속 빈도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망 재접속 빈도에 대한 정보는 안테나(400)로부터 수신한 무선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집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40)은 수집된 정보를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재접속 가능성이 높은 기간을 예측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모듈(240)은 차량의 시동이 OFF 된 이후 재접속하는 빈도와 재접속시간대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모듈(240)은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 기반으로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connect) 예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의 변동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이 변동하는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상기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하, 도 6에서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차량의 시동 ON/OFF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 슬립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슬립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대기 모드로 전환할 될 수 있다. 이때, 대기 모드는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무선 통신 외 기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대기 모드에 따른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전력 스위칭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대기 모드에 따른 대기 시간이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connect)을 초과하는 판단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대기 시간이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배터리(100)를 전력 소스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대기 시간이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서브 전력 모듈(230)을 통해 전력 스위칭 제어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서브 전력 모듈(230)을 통해 무선 통신 모듈(240)의 전력 소스를 배터리(100)에서 백업 캐패시터(260)로 전환하도록 전력 스위칭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connect)의 예측 시간에 기초하여 대기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내부 전력을 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대기 시간이 장시간(Twait)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파워 오프(POWER-OFF)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워 오프 모드는 무신 통신 제어기에 전력 공급이 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배터리(100) 또는 백업 캐패시터(260)의 동작 이상을 감지하는 비교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전원 모니터링 이용하여 배터리(100)의 이상 유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배터리(100)의 이상 또는 백업 캐패시터(260) 동작 이상 감지 등의 위급한 상황인 경우, 사용하는 전력 소스를 이상이 없는 소스로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백업 캐패시터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백업 캐패시터(260)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백업 캐패시터(260)에서 배터리(100)로 전력 소스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ON 상태인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배터리(10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10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100)에서 백업 캐패시터(260)로 전력 소스를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제어기간 연결관계 및 각 제어기의 기능/구분은 예시적인 것으로 그 명칭에도 제한되지 아니함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ON 상태인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가 배터리(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메인 전력 모듈(210) 및 서브 전력 모듈(23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전력 모듈(210)은 유선 통신 모듈(220)에 전력을 공급하고, 유선 통신 모듈(220)은 차량 제어기(300)와 차량 내부 통신(IVN)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전력 모듈(230)은 무선 통신 모듈(240)에 전력을 공급하고, 무선 통신 모듈(240)은 안테나(4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무선 통신 모듈(240)로부터 수신한 무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재접속 시도가 많은 시간(Tre -connect)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이고, 대기 시간이 기반으로 네트워크 재접속 시도가 많은 시간(Tre -connect) 이내인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가 배터리(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전류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해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이고, 대기 시간이 기반으로 네트워크 재접속 시도가 많은 시간(Tre -connect) 초과인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전력 스위칭 제어에 따라 전력 소스를 배터리(100)에서 백업 캐패시터(260)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전력 모듈(230)은 OFF 되고, 백업 캐패시터(260)에 저장된 전력은 비교기(250) 및 무선 통신 모듈(24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따라서,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안테나(4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교기(250)는 백업 캐패시터(260) 이상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의 전력 관리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이 변동을 판단할 수 있다(S410).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이 변동한 경우(S410의 YES),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주행 중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예측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connect)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420). 이후,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430).
한편,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이 변동하지 않은 경우(S410의 NO),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430).
상기 S430 단계 이후,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S430의 YES),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슬립(Sleep)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S440).
한편,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가 아닌 경우(S430의 NO),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배터리(100) 전력을 무선 통신 모듈(240)의 전력으로 이용하고, 백업 캐패시터(260)를 지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S440 단계 이후, 슬립 모드인지 판단된 경우(S440의 YES),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무선 통신만을 위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무선 통신 외 기능을 최소화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S450). 한편, 슬립 모드인지 판단되지 않은 경우(S440의 NO),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차량의 시동이 OFF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450 단계 이후,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대기 시간(t)이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connect)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460).
대기 시간(t)이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을 초과하지 못한 경우(S460의 NO),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 동안은 전력 소스는 배터리(100)로 유지할 수 있다(S465).
한편, 대기 시간(t)이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을 초과한 경우(S460의 YES),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전력 소스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제어기(200)의 무선 통신 모듈(240)전력 소스가 배터리(100)에서 백업 캐패시터(260)로 변경될 수 있다(S470).
상기 S470 단계 이후, 대기 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Twait)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대기 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Twait)을 초과하는 경우(S470의 YES), 무선 통신 제어기(200)를 파워 오프(power-OFF)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의 백업 전원 관리 로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510).
시동 OFF 상태가 아닌 경우(S510의 NO),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비교기(250) 및 전원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배터리(10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 이후, 배터리(100)가 이상인 경우(S520의 YES),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무선 통신 모듈(240) 전력 소스를 배터리(100)에서 백업 캐패시터(260)로 변경할 수 있다(S530).
한편, 상기 S510 단계 이후,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S510의 NO),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비교기(250)를 이용하여 백업 캐패시터(260)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40). 이후, 백업 캐패시터(260)가 이상인 경우(S540의 YES),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무선 통신 모듈(240) 전력 소스를 백업 캐패시터(260)에서 배터리(100)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무선 통신 제어기(200)에 백업 전원 체계를 구성하고 이를 차량의 정보를 분석하여 이용하여, 무선통신 제어기의 대기시간에 소모되는 암전류량을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차량 배터리(100)의 사용 기간을 극대화하여 차량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의 변동을 확인하고,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이 재접속 예측 변동 범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이 재접속 예측 변동 하한(A)보다 크거나,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이 재접속 예측 변동 상한(B)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이 재접속 예측 변동 범위 이내인 경우,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connect)을 예측할 수 있다.
이후,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에 기초하여 예측된 네트워크 재접속시간 값(620)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된 예측된 네트워크 재접속시간 값(620)은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과 예측 이전의 네트워크 재접속시간 값(610)과의 차이에 기설정된 업데이트 상수(T')를 곱한 값 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사용자별 네트워크 재접속 시도가 많은 시간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 맞게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 값을 예측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에 재접속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즉,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은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에 근접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변동된 네트워크 재접속시간 값(710)은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과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된다.
즉,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에 빈번한 재접속 발생하는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사용자에 맞게 재접속 예측 시간 변동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의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다(S810). 한편,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의 변동하지 않은 경우(S810의 NO),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은 종료될 수 있다.
상기 S810 단계 이후,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의 변동하지 하는 경우,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이 재접속 예측 변동 범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S820). 한편,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이 재접속 예측 변동 범위 이내인지 않은 경우(S820의 NO),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은 종료될 수 있다.
상기 S820 단계 이후,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K)이 재접속 예측 변동 범위 이내인 경우, 네트워크 재접속시간(Tre -connect)을 예측할 수 있다(S830).
상술한 방법을 통해, 무선 통신 제어기(200)는 재접속시간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맞게 재접속 예측 시간 변동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시스템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배터리
200: 무선 통신 제어기
300: 차량 제어기
400: 안테나

Claims (19)

  1. 차량의 시동 ON/OFF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 내 무선 통신 제어기가 슬립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가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에 따른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전력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 변동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이 재접속 예측 변동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예측 변동 범위 이내인 경우,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시간이 상기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이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 내에 배치된 전력 소스를 배터리에서 백업 캐패시터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스가 백업 캐패시터로 변경된 경우, 상기 대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를 파워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이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배터리를 전력 소스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 내부에 배치된 백업 캐패시터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 백업 캐패시터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백업 캐패시터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백업 캐패시터에서 배터리로 전력 소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이 ON 상태인 경우,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애서 백업 캐패시터로 전력 소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1. 메인 전력 소스인 배터리; 및
    서브 전력 소스인 백업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차량의 시동 ON/OFF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 슬립 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 따른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전력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 변동을 확인하고,
    상기 네트워크 재접속 요청 시점이 재접속 예측 변동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예측 변동 범위 이내인 경우,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을 업데이트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상기 대기 시간이 상기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상기 대기 시간이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에서 백업 캐패시터로 전력 소스를 변경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상기 전력 소스가 백업 캐패시터로 변경된 경우, 상기 대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대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를 파워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상기 대기 시간이 네트워크 재접속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전력 소스로 유지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백업 캐패시터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OFF 상태인 경우,
    상기 백업 캐패시터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백업 캐패시터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백업 캐패시터에서 상기 배터리로 전력 소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백업 캐패시터로 전력 소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KR1020190060623A 2019-05-23 2019-05-23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KR20200134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623A KR20200134734A (ko) 2019-05-23 2019-05-23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US16/659,860 US10993184B2 (en) 2019-05-23 2019-10-22 Method of managing backup power for wireless vehicle communication and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623A KR20200134734A (ko) 2019-05-23 2019-05-23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34A true KR20200134734A (ko) 2020-12-02

Family

ID=7345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623A KR20200134734A (ko) 2019-05-23 2019-05-23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93184B2 (ko)
KR (1) KR20200134734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9092B4 (de) * 2003-10-22 2020-06-18 Atmel Corp. Integrierte Schaltungsanordnung zum Erkennen und Ausgeben von Steuersignalen
KR101930981B1 (ko) * 2011-11-25 2018-12-19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처리 장치군 컨트롤러, 생산 처리 시스템, 처리 장치군 제어 방법, 생산 효율화 시스템, 생산 효율화 장치 및 생산 효율화 방법
KR101394036B1 (ko) * 2012-09-28 2014-05-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93184B2 (en) 2021-04-27
US20200374803A1 (en)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22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lert strategy between modules
US8473768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luster system
CN110198558B (zh) 待机优化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EP3044043B1 (en) Startup control of devices
CN109151961B (zh) 一种移动终端的运行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533094B (zh) 用于优化与电力管理相关的用户命令的执行的方法和系统
KR102007835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장치
US20140358367A1 (en) Intelligent vehicle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8271721A (ja) 電力運用システム
WO2009122631A1 (ja) 車両状態管理システム、車両、車両状態管理プログラム
JP2001526875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CN105812447B (zh) 用于车辆的多媒体终端及其数据处理方法
CN112918324A (zh) 一种新能源汽车低压蓄电池的控制方法及系统
JP6628495B2 (ja) 充電システム
KR20200134734A (ko)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백업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CN104423530B (zh) 移动设备省电控制方法、装置及移动设备、主机终端
KR20220060083A (ko)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583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execution of user commands in relation to power management
CN114327023B (zh) 一种Kubernetes集群的节能方法、系统、计算机介质和电子设备
CN115635851A (zh) 一种车载智能配电系统、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201401390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lf-power consumption
CN210309937U (zh) 车载供电控制系统和电动车
CN113687711A (zh) 一种终端的唤醒电路及唤醒方法
CN114460868A (zh) 一种终端设备分级管理方法及系统
CN112558523A (zh) 智能门管理系统、控制方法、控制装置和智能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