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709A -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709A
KR20200134709A KR1020190060542A KR20190060542A KR20200134709A KR 20200134709 A KR20200134709 A KR 20200134709A KR 1020190060542 A KR1020190060542 A KR 1020190060542A KR 20190060542 A KR20190060542 A KR 20190060542A KR 20200134709 A KR20200134709 A KR 20200134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jection
page
grouting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창래
Original Assignee
우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창래 filed Critical 우창래
Priority to KR102019006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709A/ko
Publication of KR2020013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우팅 장비에 의해 연약층에 주입되는 배함물의 주입 상태 및 연약층 상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상태 변화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그라우팅 장비에 의해 연약층에 주입되는 배합물의 주입 상태를 감지하여 주입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연약층 상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상태 변화를 계측하여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계측부, 상기 주입정보 및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주입정보 및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REAL TIME GROUTING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우팅 장비에 의해 연약층에 주입되는 배함물의 주입 상태 및 연약층 상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상태 변화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개량공법이 적용되며 대표적인 공법이 그라우팅이다. 그라우팅 공법이라 함은 주입펌프 등을 이용하여 토사 또는 암반의 틈새 등에 그라우트(grout)(주입재)를 주입하는 공법으로, 주입관을 지반에 설치하고, 그 주입관을 통해 그라우트를 분산시켜 그라우트재에 의해 지반이 고결되도록 하여 대상 지반의 지내력을 증가시키고, 투수 계수를 감소시켜 차수성을 향상시키며, 압축성을 줄이고 시공 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켜 저진동, 저소음의 공사를 가능케 하며,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공법은, 주로 토류벽 배면, 차수 그라우트, 터널, 댐, 방조제 차수 및 보강 그라우트, 자립식 토류벽용 그라우트 등에 적용된다.
종래의 기술(등록특허 제10-1738922호)(이하 종래 기술)은 비례제어를 이용한 그라우팅 자동 주입 관리 시스템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배출관이 구비된 그라우트 펌프에 대한 주입재의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계와 주입재의 유량값을 계측하는 유량계를 포함하고, 주입되는 주입재의 압력 및 유량이 기준 압력 및 기준 유량을 초과할 경우 그 편차값에 비례하여 펌핑 속도를 제어하는 비례제어모듈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그라우팅 주입 공정에서 공사 영향권 내에 인접건물 또는 구조물이 있는 경우, 그라우팅 시공 중 과잉 또는 부족으로 인해 발생되는 변형(침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조물의 균열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라우팅 장비에 의한 그라우팅 시공 시, 연약층에 주입되는 배합물의 주입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연약층 상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상태 변화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에서도 그라우팅 시공을 관리 감독할 수 있는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상태 및 그라우트 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그라우팅 장비에 의해 연약층에 주입되는 배합물의 주입 상태를 감지하여 주입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연약층 상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상태 변화를 계측하여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계측부, 상기 주입정보 및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주입정보 및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현장 작업자의 상태 및 상기 그라우팅 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감지부 및 계측부를 포함함으로써, 그라우팅 장비에 의한 그라우팅 시공 시, 연약층에 주입되는 배합물의 주입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연약층 상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상태 변화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주입정보 및 계측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함으로써, 원격에서도 그라우팅 시공을 관리 감독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상태 및 그라우팅 장비의 상태를 촬영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하는 촬영부를 포함함으로써, 원격 관리자가 그라우팅 시공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영상정보를 통해 그라우팅 시공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관리자 단말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단말 화면을 공사정보 페이지 및 영상정보 페이지로 분할된 상태에서 페이지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본 모니터링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모니터링 시스템(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감지부(1), 계측부(2), 클라우드 서버(3) 및 관리자 단말(4)을 포함한다.
감지부(1)는 그라우팅 장비(G)에 의해 연약층에 주입되는 배합물의 주입 상태를 감지하여 주입정보(I1)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연약층이란 오래된 구도심 인구밀집지역과 같이 동공 발생이 빈번한 곳에 생기는 지반의 연약층으로서, 지하수위 저감(지하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지하수위 저감), 증축에 의한 하중증가, 터파기에 의한 토사 유실, 지하철 또는 지하 굴착공사 등과 같이 다양한 이유로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과 같이 지반의 연약층 부근에서 시공을 하는 경우, 상기 지반의 연약층은 침하,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연약층을 보수보강하는 개량공법이 적용되어야 하며(연약층에 대한 보수보강 없이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과 같은 공사를 하는 경우 침하,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그라우팅 장비(G)를 이용한 그라우팅(GROUTING) 공법이 있다.
그라우팅 장비(G)는 예시적으로 시멘트, 마사토, 석분 등을 배합하여 배합물(주입재)을 제조하는 배합시스템과, 상기 배합물을 지반 연약층에 주입(충전)하는 주입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감지부(1)가 상기 주입펌프에 의해 연약층에 주입되는 배합물의 주입 상태를 감지하게 되는데, 배합물의 주입량(I11), 주입압력(I12), 주입시간(I13)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감지부(1)는 유량 측정용 계측기일 수 있다. 유량 측정용 계측기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하였듯이, 감지부(1)는 주입 상태를 감지하여 주입정보(I1)를 생성한다고 하였는데, 주입정보(I1)는 배합물의 주입량(I11), 주입압력(I12), 주입시간(I13)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계측부(2)는 상기 연약층 상부에 위치한 구조물(S)의 상태 변화를 계측하여 계측정보(I2)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연약층 상부란 연약층의 직상부(바로 위 상부) 뿐만 아니라, 연약층 부근(연약층 인접건물, 공사영향권 내 건물)의 상부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물(S)은 빌딩, 지하매설관, 도로 등을 의미한다.
계측부(2)는 구조물(S) 또는 구조물(S)의 인근에 구비되어 구조물(S)의 변형률(I21)을 계측하는 변형률계와 구조물(S)의 경사도(I22)를 계측하는 경사도 계측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계측부(2)는 구조물(S)의 변형률(I21) 및 경사도(I22)를 계측하여 구조물(S)의 변형률(I21) 및 경사도(I22)를 포함하는 계측정보(I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관리자 단말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3)는 주입정보(I1) 및 계측정보(I2)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4)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3)로부터 주입정보(I1) 및 계측정보(I2)를 수신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관리자 단말(4)은 원격 관리자 단말(41) 및 현장 관리자 단말(42)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관리자 단말(41)은 상술하였듯이 클라우드 서버(3)로부터 주입정보(I1) 및 계측정보(I2)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즉, 본 모니터링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3)를 통해 후술할 관리자 단말(4)이 원격에서도 주입정보(I1) 및 계측정보(I2)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므로, 현장뿐만 아니라 원격에서도 그라우팅 시공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현장 관리자 단말(42)은 상술하였듯이 클라우드 서버(3)로부터 주입정보(I1) 및 계측정보(I2)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현장 관리자 단말(42)은 감지부(1) 및 계측부(2)와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함으로써, 현장 관리자 단말(42)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통신모듈을 통해 감지부(1) 및 계측부(2) 각각과 통신가 능하도록 연결되고, 현장 관리자 단말(42)은 감지부(1) 및 계측부(2)각각으로부터 주입정보(I1) 및 계측정보(I2) 각각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현장 관리자 단말(42)은 감지부(1) 및 계측부(2)로부터 직접 주입정보(I1) 및 계측정보(I2)를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간의 매개체를 통하여 주입정보(I1) 및 계측정보(I2)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모니터링 시스템은 감지부(1) 및 계측부(2)를 포함함으로써, 그라우팅 장비(G)에 의한 그라우팅 시공 시, 관리자 단말(4)을 사용하는 관리자(작업자)가 배합물의 주입량(I11), 주입압력(I12), 주입시간(I13) 뿐만 아니라, 구조물(S)의 변형률(I21) 및 경사도(I22) 등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주입정보(I1)만 확인하는 경우, 그라우팅 시공 장소의 인근 구조물(S)에 대한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조물(S)의 균열, 침하 및 파손발생 등(연약층이 침하 또는 과잉 그라우팅 시공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을 확인한 후 조치를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모니터링 시스템은 계측부(2)를 더 포함하여 그라우팅 시공에 따른 구조물(S)의 실시간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구조물(S)의 상태 변화에 따라 그라우팅 장비(G)를 신속히 제어 가능하여, 그라우팅 시공에 다른 구조물(S)의 균열, 침하 및 파손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본 모니터링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3)를 포함하므로, 현장 관리자 단말(42)뿐만 아니라 원격 관리자 단말(41)이 주입정보(I1) 및 계측정보(I2)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관리자 단말(41)을 사용하는 관리자(예시적으로 감독관)가 그라우팅 시공 현장에 직접 가지 않아도 그라우팅 시공 현장을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전문적인 관리 감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4)은 도 2를 참조하면, 주입정보(I1) 및 계측정보(I2)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그라우팅 장비(G)를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부(B)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B)는 주입펌프를 제어하여 배합물의 주입 여부, 주입량, 주입압력, 주입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B)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제어 구성 또는 컴퓨팅 장치(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세서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 또는 전자 모듈)가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B)는 그에 포함된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된 신호나 명령을 그라우팅 장피(G)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B)는 관리자 단말(4) 포함(설치)되는 내재적 구성이거나, 관리자 단말(4)과 이웃하는 위치에 관리자 단말(4)과는 별도로 구비되어 그라우팅 장비(G)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독립적 구성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모니터링 시스템은 현장 작업자의 상태 및 그라우팅 장비(G)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영상정보(VI)를 생성하는 촬영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현장 작업자는 상술한 현장 관리자 단말(42)을 사용하는 관리자(작업자)일 수 있으며, 그라우팅 장비(G) 등을 이용하여 그라우팅 시공을 하는 작업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현장 작업자의 상태는 그라우팅 시공을 하는 작업자의 위치, 행동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그라우팅 장비(G)의 상태는 그라우팅 장비(G)의 위치, 동작 유무, 그라우팅 장비(G)의 외부 상태, 그라우팅 장비(G)의 주변 환경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촬영부(5)는 카메라(예시적으로 CCTV)로서, 현장 작업자 및 그라우팅 장비(G)를 촬영하여 이미지 및 비디오의 형태로 현장 작업자의 상태와 그라우팅 장비(G)의 상태가 포함된 영상정보(VI)를 생성하고, 클라우드 서버(3)는 상기 영상정보(VI)를 수신 및 저장함으로써, 상술한 관리자 단말(4)은 클라우드 서버(3)에 저장된 영상정보(VI)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모니터링 시스템은 감지부(1) 및 계측부(2)에 의해 주입되는 배합물의 주입 상태(주입정보(I1)), 구조물(S)의 상태 변화(계측정보(I2))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부(5)를 포함함으로써, 현장 작업자의 상태 및 그라우팅 장비(G)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그라우팅 시공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라우팅 시공을 용이하게 관리 감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촬영부(5)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정보(VI)가 클라우드 서버(3)에 저장됨으로써, 원격 관리자 단말(41)이 이를 수신하여 출력하므로, 원격 관리자 단말(41)을 사용하는 관리자(예시적으로 감독관)가 그라우팅 시공 현장에 직접 가지 않아도 그라우팅 시공을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전문적인 관리 감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모니터링 시스템 감지부(1), 계측부(2), 촬영부(5)를 통해 생성된 주입정보(I1), 계측정보(I2), 영상정보(VI)를 수신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분석부(미도시)는 계측정보(I2)를 수신하여 구조물(S)의 변형 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구조물(S)의 변형 상태가 상기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관리자 단말(4)로 경보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주입펌프를 제어하여 연약층에 배합물을 주입하는 것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3은 관리자 단말 화면을 공사정보 페이지 및 영상정보 페이지로 분할된 상태에서 페이지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4)은 주입정보(I1)와 계측정보(I2)를 포함하는 공사정보(CI)를 도식화하여 출력하는 공사정보 페이지 및 상기 영상정보(VI)를 출력하는 영상정보 페이지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공사정보 페이지 및 영상정보 페이지는 다른 기능을 즉각적으로 이용하는 등의 요구가 충족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영상정보 페이지의 다른 기능은 예시적으로 카메라 전환 및 줌 조절(줌 인 및 줌 아웃)일 수 있고, 공사정보 페이지의 다른 기능은 예시적으로 상술한 제어부(B)에 의한 배합물의 주입 여부, 주입량, 주입압력, 주입시간 등을 제어일 수 있다.
본 발명(본 모니터링 시스템)은 그라우팅 시공 현장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으로 공사정보 페이지 및 영상정보 페이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4)을 통해 동시에 출력하여 관리 감독 효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한 영상정보 페이지 및 공사정보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다른 기능을 즉각적으로 활용하되, 영상정보 페이지 및 공사정보 페이지 중 다른 하나의 다른 기능이 동작되지 않도록 비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 단말(4)에서 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위해 간편하고도 신뢰성 있는 페이지 전환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관리자 단말(4) 화면을 일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태스킹 바(T1)를 생성하고, 분할된 화면 중 활성화된 포그라운드(Foreground)(T2)에 공사정보 페이지를 배정하고, 분할된 화면 중 비활성화된 백그라운드(Background)(T3)에 영상정보 페이지를 배정하는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태스킹 바(T1)는 공사정보 페이지에 관한 아이콘들(T11) 및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백그라운드의 영상정보 페이지를 활성화시키고 포그라운드의 공사정보 페이지를 비활성화시키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 클릭 시 백그라운드 측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곡선의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 및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의 접점에 구비된 인증 포인트(T133)를 포함하는 드래그 경로(T13)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이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을 따라 이동되고, 인증 포인트(T133)에서 페이지 전환 버튼(T12)의 클릭 중단 이후 재클릭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페이지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단말기 화면을 일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태스킹 바(T1)를 생성하고, 분할 태스킹 바(T1)로 인해 분할된 화면 중 일 측은 포그라운드(T2)로 배정하여 활성화시키며, 분할 태스킹 바(T1)로 인해 분활된 화면 중 타 측은 백그라운드(T3)로 배정하여 비활성화시킨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태스킹 바(T1)는 활성화된 포그라운드(T2)에 배정된 페이지에 관한 아이콘들(T11)을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포그라운드(T2)와 백그라운드(T3)에 배정된 페이지의 활성화를 전환하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포그라운드(T2)와 백그라운드(T3)의 의미는 최초 상태의 활성화 여부에 따른 것으로 활성화 전환 후에는 백그라운드(T3)에 배정된 페이지가 '마치 포그라운드처럼'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 클릭 시 백그라운드 측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곡선의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 및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의 접점에 구비된 인증 포인트(T133)를 포함하는 드래그 경로(T13)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의 형상은 곡선으로 구성되며,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의도치 않은 동작에 의하여 페이지 전환 버튼이 드래그 되는 상황(예를 들면 단말기가 감압식 터치 패드이고, 주머니에 넣어 놓은 단말기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져 드래그 되는 경우)에 의하여 페이지가 의도치 않게 전환되어 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의 형상 및 배치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조작 실수 또는 의도치 않은 페이지의 전환이 발생할 가능성은 여전히 잔존하는데, 본 발명은 활성화 전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도치 않은 활성화 전환을 사전에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방안으로,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가 페이지 전환 버튼(T12)이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을 따라 이동되고, 인증 포인트(T133)에서 페이지 전환 버튼(T12)의 클릭 중단 이후 재클릭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페이지를 전환시키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도 3 [C]와 같이, 페이지 전환 버튼(T12)은 터치 또는 마우스 클릭 등에 의하여 제1구간(T131)을 따라 이동하여 인증 포인트(T133)에 도달하게 되고, 이 때 클릭(또는 터치)의 중단 이후 재클릭이 수행된 다음, 제2구간(T132)을 따라 이동하여 제2구간(T132)의 종점에 도달하게 되면 페이지의 활성화를 전환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클릭의 중단은 마우스의 클릭 버튼에서 손을 떼는 행위, 터치 패드에서 손을 떼는 행위 등을 의미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동시에 두 페이지를 출력함으로써 처리 속도 향상을 제공하고, 페이지 활성화 전환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제공하며, 나아가 실수 또는 의도치 않은 동작 등에 의한 페이지 활성화 전환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감지부: 1
계측부: 2
클라우드 서버: 3
관리자 단말: 4
원격 관리자 단말: 41
현장 관리자 단말: 42
촬영부: 5
공사정보: CI
주입정보: I1
계측정보: I2
영상정보: VI
그라우팅 장비: G
구조물: S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 T
분할 태스킹 바: T1
아이콘: T11
페이지 전환 버튼: T12
포그라운드: T2
백그라운드: T3
드래그 경로: T13
제1구간: T131
제2구간: T132
인증 포인트: T133

Claims (4)

  1. 그라우팅 장비에 의해 연약층에 주입되는 배합물의 주입 상태를 감지하여 주입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연약층 상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상태 변화를 계측하여 계측정보를 생성하는 계측부;
    상기 주입정보 및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주입정보 및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
    를 포함하는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현장 작업자의 상태 및 상기 그라우팅 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정보는 상기 배합물의 주입량, 주입압력 및 주입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계측정보는 상기 구조물의 변형률 및 경사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주입정보와 상기 계측정보를 포함하는 공사정보를 도식화하여 출력하는 공사정보 페이지 및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영상정보 페이지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단말 화면을 일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태스킹 바를 생성하고, 분할된 화면 중 활성화된 포그라운드(Foreground)에 상기 공사정보 페이지를 배정하고, 분할된 화면 중 비활성화된 백그라운드(Background)에 상기 영상정보 페이지를 배정하는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 태스킹 바는 상기 공사정보 페이지에 관한 아이콘들 및,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백그라운드의 상기 영상정보 페이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포그라운드의 상기 공사정보 페이지를 비활성화시키는 페이지 전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는 상기 페이지 전환 버튼 클릭 시 상기 백그라운드 측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곡선의 제1구간과 제2구간 및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의 접점에 구비된 인증 포인트를 포함하는 드래그 경로를 출력하고,
    상기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는 상기 페이지 전환 버튼이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인증 포인트에서 상기 페이지 전환 버튼의 클릭 중단 이후 재클릭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페이지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060542A 2019-05-23 2019-05-23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34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42A KR20200134709A (ko) 2019-05-23 2019-05-23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42A KR20200134709A (ko) 2019-05-23 2019-05-23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09A true KR20200134709A (ko) 2020-12-02

Family

ID=7379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542A KR20200134709A (ko) 2019-05-23 2019-05-23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7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9957A (zh) * 2021-09-27 2022-02-11 北京大云物移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灌浆监测数据智能采集与共享系统及方法
CN116575713A (zh) * 2022-12-13 2023-08-11 上海华建工程建设咨询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建筑施工的半自动灌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9957A (zh) * 2021-09-27 2022-02-11 北京大云物移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灌浆监测数据智能采集与共享系统及方法
CN116575713A (zh) * 2022-12-13 2023-08-11 上海华建工程建设咨询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建筑施工的半自动灌浆装置
CN116575713B (zh) * 2022-12-13 2024-05-28 上海华建工程建设咨询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建筑施工的半自动灌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331B1 (ko)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00134709A (ko)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JP7040304B2 (ja) 施工管理システム
US7825908B2 (en) Method for resetting configuration on a touchscreen interface
US9783952B2 (en) Working machine and method of measuring work amount of working machine
KR101738922B1 (ko) 비례제어를 이용한 그라우팅 자동 주입 관리 시스템
CN108385691A (zh) 集成北斗高精度定位系统的基坑监测、预警和施工管理d-bim平台
Wang et al. 3D stability of unsaturated soil slopes with tension cracks under steady infiltrations
KR101096817B1 (ko) Ags와 gin을 이용한 지식기반 주입공사 시공 관리 방법
CN110344467B (zh) 挖掘机测量和控制逻辑电路
KR102075295B1 (ko) 실시간 그라우팅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N117308847B (zh) 基于有限元的渡槽裂缝监控方法
JP7083597B2 (ja) 建設機械及びその管理装置
JP2015184851A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ラント監視制御サーバー
CN108843972A (zh) 燃油输送系统、排气装置、燃油输送方法及控制器
KR102222503B1 (ko) 스마트 보강토 블록 기반 사면 관리 시스템
US201103209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CN112392709B (zh) 路基注浆抬升控制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20009185A (ko) 다방향 지반 변위 계측 방법
KR102271237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흙막이 공사의 안전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89109B1 (ko) 차량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20200085052A (ko) 흙막이 공사의 안전성 평가 방법
Shehwaro et al. An agent-based approach for modeling the effect of learning curve on labor productivity
KR102377739B1 (ko)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CN110849427A (zh) 混凝土泵车流量监控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