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482A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482A
KR20200134482A KR1020190059992A KR20190059992A KR20200134482A KR 20200134482 A KR20200134482 A KR 20200134482A KR 1020190059992 A KR1020190059992 A KR 1020190059992A KR 20190059992 A KR20190059992 A KR 20190059992A KR 20200134482 A KR20200134482 A KR 20200134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gas
vent hole
airbag device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482A/ko
Publication of KR2020013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 인플레이터에서 분출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되고, 벤트홀부를 구비하는 쿠션부; 및 쿠션부와 연통되고, 쿠션부의 팽창에 따라 팽창되면서 벤트홀부를 폐쇄하는 가스터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 BA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작동으로 쿠션부 팽창시 개방된 벤트홀을 폐쇄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충돌 사고 발생시 에어백 쿠션을 전개시켜 충격을 완화하고, 승객이 차체 밖으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에어백 장치는, 정면 충돌시 앞좌석 승객을 보호하는 운전석 에어백(DAB, Driver Air Bag)과 동승석 에어백(PAB, Passenger Air Bag), 측면 충돌시 승객의 옆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SAB, Side Air Bag)과 커튼 에어백(CAB, Curtain Air Bag)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에어백 장치는 통상시는 접혀 있고 긴급시에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과,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를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가진다. 에어백에는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벤트홀이 형성되고 벤트홀의 개폐를 제어하여 에어백의 내압을 조정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벤트홀의 개폐는 액티브 벤트, LRD(Low Risk Deployment) 벤트, 일반 벤트, TRU(Tether Release Unit) 등의 조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래의 LRD 벤트에서 초기에 개방된 벨트홀은 에어백 쿠션이 전개됨에 따라 코드가 신치 튜브(Cinch Tube)를 당겨 설정 기준으로 에어백 쿠션이 팽창된 후 튜브가 닫히게 된다. 종래에는 LRD 벤트홀과 별도로 가로 테더가 존재하고, 사이드 패널에 부착된 가로 테더가 쿠션의 폭 및 볼륨을 조절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LRD 벤트홀 구조는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하므로 많은 봉재가 요구되어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별도의 가로 테더의 부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품의 강건성 확보를 위한 많은 봉재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작동으로 쿠션부 팽창시 개방된 벤트홀을 폐쇄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분출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되고, 벤트홀부를 구비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와 연통되고, 상기 쿠션부의 팽창에 따라 팽창되면서 상기 벤트홀부를 폐쇄하는 가스터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스터널부는, 상기 쿠션부의 일면에 연통되어 상기 벤트홀부를 관통하고, 상기 쿠션부의 타면에 연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스터널부는 유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벤트홀부는 상기 쿠션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스터널부는 각각의 상기 벤트홀부를 관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벤트홀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분출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배출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의하면, 가스터널부가 팽창되면서 벤트홀부를 폐쇄하여 벤트홀부의 수를 감소하고, 쿠션부의 폭과 볼륨을 조절하는 별도의 가로 테더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과 봉재수가 감소되어 공정의 단순화 및 제품의 경량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과 봉재수가 감소되어 원가 절감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초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초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전개 중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전개 중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의 전개 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의 전개 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의 전개 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초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초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전개 중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가 전개 중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의 전개 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의 전개 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의 전개 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인플레이터(100), 쿠션부(200), 가스터널부(300)를 포함한다.
인플레이터(100)는 쿠션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가스를 분출한다. 인플레이터(100)는 차량의 사고 발생시 센서(미도시) 등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제어부(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쿠션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가스를 분출한다.
쿠션부(200)는 일측(도 1 기준 좌측)이 인플레이터(100)와 연결되고, 인플레이터(100)에서 분출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한다. 쿠션부(200)는 양측면에 각각 벤트홀부(210)를 구비한다. 차량의 사고 등이 발생되는 않는 평상시에 벤트홀부(210)는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다.
쿠션부(200)의 양측면에 형성된 벤트홀부(210)로 가스터널부(300)가 관통한다. 가스터널부(300)는 평상시 팽창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벤트홀부(210)를 통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쿠션부(200)는 가스배출부(220)를 더 구비한다. 가스배출부(220)는 벤트홀부(210)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인플레이터(100)에서 분출되어 쿠션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쿠션부(200)가 설정 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한다.
쿠션부(200)의 내부압이 설정 이상이 되면 차량의 탑승자에게 충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쿠션부(200)는 내부 공간이 공기가 배출되어 차량의 탑승자와의 접촉시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가스배출부(220)의 크기는 가스의 배출 속도와, 쿠션부(200)의 내부 충전 시간 등으로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가스터널부(300)는 쿠션부(200)와 연통되고, 쿠션부(200)의 팽창에 따라 팽창되면서 벤트홀부(210)를 폐쇄한다. 차량 사고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가스터널부(300)는 팽창되지 않고, 벤트홀부(210)를 개방한다.
차량 사고시 가스터널부(300)는 인플레이터(100)에 의해 팽창되는 쿠션부(200)에 따라 팽창되면서 벤트홀부(210)를 폐쇄한다. 폐쇄된 벤트홀부(210)를 통해 인플레이터(100)에서 분출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쿠션부(200)의 내부를 충전하여 쿠션부(200)가 팽창되게 한다. 이때 일부 가스는 가스배출부(220)로 배출되면서 쿠션부(200)가 설정압 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스터널부(300)는 쿠션부(200)의 일면(도 4 기준 하측면)에 연통되고 벤트홀부(210)를 관통한다. 이 가스터널부(300)는 계속 연장되어 쿠션부(200)의 타면(도 4 기준 상측면)에 연통된다. 가스터널부(300)는 쿠션부(200)에 연통되어, 쿠션부(200)의 유입된 인플레이터(100)의 분출 가스에 의해 팽창된다. 가스터널부(300)는 팽창되면서 벤트홀부(210)를 폐쇄하게 된다.
가스터널부(300)는 유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스터널부(300)는 유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팽창되면서 벤트홀부(210)의 테두리와 접촉시 탄성 변형되면서 벤트홀부(210)를 폐쇄한다. 가스터널부(300)는 유연성 재질로서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사고 발생시 인플레이터(100)에서 가스가 분출된다. 인플레이터(100)의 가스는 쿠션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쿠션부(200)가 아직 설정 기준 이상으로 팽창되지 않아, 벤트홀부(210)와 가스배출부(220)를 통해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차량 사고시 쿠션부(200)의 전개 중인 상태를 설명한다. 인플레이터(100)에서 분출된 가스는 쿠션부(200)를 팽창시키고, 또한 쿠션부(200)와 연통된 가스터널부(300)도 팽창시킨다.
가스터널부(300)는 유입된 가스에 의해 팽창되면서 벤트홀부(210)를 폐쇄한다. 벤트홀부(210)의 폐쇄로 쿠션부(200)의 팽창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가스배출부(220)를 통해 가스가 일부 배출되면서 쿠션부(200)가 설정압 이상으로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스터널부(300)가 팽창되면서, 가스터널부(300)에 의해 둘러싸인 쿠션부(200)는 도 4 기준으로 상하로 퍼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쿠션부(200)이 폭 및 볼륨 조절이 쿠션부(200)를 감싸는 가스터널부(300)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의하면, 가스터널부가 팽창되면서 벤트홀부를 폐쇄하여 벤트홀부의 수를 감소하고, 쿠션부의 폭과 볼륨을 조절하는 별도의 가로 테더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과 봉재수가 감소되어 공정의 단순화 및 제품의 경량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과 봉재수가 감소되어 원가 절감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인플레이터 200: 쿠션부
210: 벤트홀부 220: 가스배출부
300: 가스터널부

Claims (5)

  1.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분출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되고, 벤트홀부를 구비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와 연통되고, 상기 쿠션부의 팽창에 따라 팽창되면서 상기 벤트홀부를 폐쇄하는 가스터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널부는, 상기 쿠션부의 일면에 연통되어 상기 벤트홀부를 관통하고, 상기 쿠션부의 타면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널부는 유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부는 상기 쿠션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스터널부는 각각의 상기 벤트홀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벤트홀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분출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배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190059992A 2019-05-22 2019-05-22 에어백 장치 KR20200134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92A KR20200134482A (ko) 2019-05-22 2019-05-22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92A KR20200134482A (ko) 2019-05-22 2019-05-22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482A true KR20200134482A (ko) 2020-12-02

Family

ID=7379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992A KR20200134482A (ko) 2019-05-22 2019-05-22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4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475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CN110520333B (zh) 安全气囊装置
US8684403B2 (en) Active airbag venting system
JP4569310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20160035344A (ko) 차량의 에어백
KR102310283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장치
JP710016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2037008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542851B1 (ko) 차량의 에어백
US7618059B2 (en) Tether venting system for airbag module
KR102195363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JP4165239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20110129723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60009967A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20200134482A (ko) 에어백 장치
JP2000153747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2321586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20170136675A (ko) 상해 저감형 에어백장치
KR20220010181A (ko) 루프 마운팅 에어백
KR101405381B1 (ko) 승객의 상해를 저감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51957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60002102A (ko) 차량의 에어백
JP4078632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展開方法
US11814008B2 (en) Airbag devic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85949A (ko) 차량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