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009A -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009A
KR20200134009A KR1020190059433A KR20190059433A KR20200134009A KR 20200134009 A KR20200134009 A KR 20200134009A KR 1020190059433 A KR1020190059433 A KR 1020190059433A KR 20190059433 A KR20190059433 A KR 20190059433A KR 20200134009 A KR20200134009 A KR 20200134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vehicle
temperature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빈
류창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009A/ko
Publication of KR2020013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은 차량 시동 시, 데이터서버에서 기후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배터리 온도 및 상기 기후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이상 결과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충전 방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for vehicle}
본 발명은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차량은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 모터를 구동하여 주행한다. 이러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는 전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지속할수록 점차 줄어들어 재충전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차량은 내부에 배치된 발전기를 통해 전원을 발전하여, 그 전력(전압과 전류의 곱의 총칭)을 전기부하와 배터리의 충전에 사용한다. 전기부하가 커서 발전기의 발전 전력만으로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배터리로부터 방전하여 전력을 전기부하에 공급한다.
종래의 차량의 발전기의 발전 제어는 배터리, 발전기, 전류 센서, 각종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차량의 배터리 온도를 계측하고 그 온도에 맞는 발전 제어만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배터리 온도에 따라 발전기의 발전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차량의 외기온에 영향을 받는 단점을 가지게 되고, 이는 배터리 충전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제안한다.
더욱 상세하게, 배터리 내부온도와 외기온의 차이에 따라 충전량 차이가 발생함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터리 성능을 개선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은 차량 시동 시, 데이터서버에서 기후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배터리 온도 및 상기 기후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이상 결과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충전 방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는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터리상태 계측부; 차량 시동 시, 데이터서버에서 기후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 온도 및 상기 기후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이상을 판단하고, 상기 충방전 이상 결과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충전 방법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차량의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가 큰 차량에 대해선 시동 초기 우선적으로 충전제어를 해줌으로써 배터리 충전 성능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방전 상태에 대응하는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절별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별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100)은 외부의 데이터서버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차량(100)이 주행 데이터를 데이터서버로 전송하고, 데이터서버는 주행 데이터에 기반하여 외부의 기후 데이터를 차량(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후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서버가 외부의 기후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일 수 있다. 기후 데이터 수집장치(300)는 실시간 각 지역의 기상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서버는 기후 데이터 수집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기후 데이터를 차량(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후 데이터는 각 지역의 실시간 기상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100)은 배터리상태 계측부(110), 제어부(120) 및 발전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상태 계측부(110)는 차량(100) 내부에 장착되어 배터리의 온도, 전압, 전류, 내부저항, 배터리 충전율 등을 포함하는 배터리상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상태 계측부(110)는 배터리상태 데이터를 제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100)이 시동 상태인 경우, 데이터서버(200)로 주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행 데이터는 차량(100)의 GPS 데이터 등의 위치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데이터서버(200)로 기후 데이터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하는 기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후 데이터는 차량(100)의 현재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외기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상태 데이터 및 기후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상기 차량(100)의 배터리 온도 및 상기 기후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시작시점의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에 기초하여 배터리 충방전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시작시점의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은 충방전 전류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이며, 배터리 충방전 이상 주행은 시작시점의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에 영향을 받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상기 배터리 온도와 상기 외기온의 격차가 제1 임계값 초과인 경우, 이상 방전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상기 배터리 온도와 상기 외기온의 격차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이상 충전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가 클수록 배터리 충전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초기 시동 후 배터리 보호를 위해 우선적으로 충전하도록 발전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차량(100)의 시작시점 SOC(State Of Charge), 주행 계절 및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에 기초하여 충방전 전류량을 제어하도록 발전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차량(100)이 현재 위치하는 지역에 기초하여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차량(100)이 현재 위치하는 지역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의 충전 제어에 따른 배터리 충전량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배터리 충방전 제어를 우선 충전 제어에서 정상 제어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정상 제어는 차량(100)의 배터리의 충전량이 정상상태인 경우의 제어방법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일반 차량(100) 주행데이터를 학습한 신경망 모델에 적용하여 내구 유형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발전기(130)를 내구 유형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발전기(130)는 차량(100) 내의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발전기(130)는 배터리에 충방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발전 작동 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발전기(130)는 모터 구동 제어에 따라 다수의 모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발전기(130)의 제어에 따라 차량(100)의 배터리 충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방전 상태에 대응하는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동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세로축은 주행에 따른 배터리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이때,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는 정상 상태, 이상방전 상태 및 이상 충전 상태를 각각 나타내며,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는 0 미만, 0~4, 4~9,9~13, 13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배터리가 이상방전 상태인 경우, 시동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가 13도 이상인 경우, 배터리의 방전이 다수 발생하게 된다.
또한, 차량(100)의 배터리가 이상충전 상태인 경우, 시동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가 0도 미만인 경우, 배터리의 충전이 다수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은 충방전 전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배터리 충방전 이상은 시작시점의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절별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동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세로축은 배터리의 전류량을 각각 나타낸다. 이때, 계절은 따른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나타내고,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는 0 미만, 0~4, 4~9,9~13, 13 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계절에 따른 충방전 전류량, 충전 전류량 및 방전 전류량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절별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에 따라 배터리 충방전의 차이를 나타낸다.
배터리 충방전은 전류의 총량과 시간당 변화량에 따라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시작시점 SOC, 주행 계절, 온도 격차에 대응하여 배터리 충방전은 차이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 충방전은 시동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가 클수록 충방전 전류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주행 계절에 따라 배터리 충방전의 차이를 나타내고, 여름 시절의 충방전 전류량이 겨울 시절의 충방전 전류량보다 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배터리상태 계측부(110)가 수신한 시작지점 배터리 온도와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한 외기온의 격차를 현재 차량(100)이 위치한 지역에 기초하여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지역별로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100)의 현재 위치의 지역을 판단하고,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가 큰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배터리 충전이 원활하지 않을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가 큰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시동 시 충전을 많이 할 수 있도록 발전기(130)를 충방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차량(100)이 시동 시 데이터 서버로 차량(100) 주행 데이터를 전송 및 기후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510,520).
상기 S520 단계 이후, 차량(100)은 데이터 서버로부터 기후 데이터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후 데이터는 차량(100)의 현 위치에 대응하는 외기온을 포함할 수 있다(S530).
상기 S530 단계 이후, 차량(100)은 배터리 온도 및 외기온의 격차가 기설정된 임계값(x)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540). 상기 S530 단계 이후, 차량(100)은 판단 결과가 기설정된 임계값(x) 이상이면 정상적인 발전제어를 실시한다(S540의 N).
한편, 상기 S530 단계 이후, 차량(100)은 판단 결과가 기설정된 임계값(x) 이하인 경우(S540의 Y), 초기 시동 후 배터리 보호를 위해 우선적으로 충전을 할 수 있다(S550).
상기 S550 단계 이후, 차량(100)은 배터리 충전량이 기설정된 값(y)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560). 상기 S550 단계 이후, 차량(100)은 배터리 충전량이 기설정된 값(y)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S550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S560의 N).
한편, 차량(100)은 배터리 충전량이 기설정된 값(y) 이상인 경우(S560의 Y), 정상 발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57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별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동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를, 세로축은 충방전 불량 관련하여 문제차량 수리(RO: Repair Order) 발생률을 각각 나타낸다. 이때,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는 RO 전 상태, RO 후 상태 및 정상 상태를 각각 나타내며,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는 0 미만, 0~4, 4~9,9~13, 13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차량 수리 전 상태는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가 큰 차량(13도 이상)의 비율이 약 51%이다. 문제차량 수리 후 상태는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가 큰 차량(13도 이상)의 비율이 약 9%이다. 정상 상태의 차량(100)은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가 큰 차량(13도 이상)의 비율이 약 28%이다.
즉, 충방전 불량 관련하여 문제차량 수리가 발생하는 차량(100)의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 외기온의 격차를 살펴보면 높은 비율의 차량(100)이 13℃ 이상의 격차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에 의하여 시동 초기 우선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제어를 해줌으로써 배터리 충전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차량
110: 배터리상태 계측부
120: 제어부
130: 발전기
200: 데이터 서버
300: 기후 데이터 수집장치

Claims (19)

  1. 차량 시동 시, 데이터서버에서 기후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배터리 온도 및 상기 기후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이상 결과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충전 방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외기온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방전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온도와 상기 외기온의 격차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방전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온도와 상기 외기온의 격차가 제1 임계값 초과인 경우, 이상 방전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온도와 상기 외기온의 격차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이상 충전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은
    성가 이상 방전 상태인 경우, 상기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에 대응하여 시동 초기 우선적으로 배터리 충방전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의 시작시점 SOC(State Of Charge), 주행 계절 및 상기 온도 격차에 대응하여 충방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이 현재 위치하는 지역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격차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제어에 따른 배터리 충전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 충방전 제어를 정상제어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1.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터리상태 계측부;
    차량 시동 시, 데이터서버에서 기후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 온도 및 상기 기후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이상을 판단하고, 상기 충방전 이상 결과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충전 방법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외기온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온도와 상기 외기온의 격차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온도와 상기 외기온의 격차가 제1 임계값 초과인 경우, 이상 방전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 온도와 상기 외기온의 격차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이상 충전상태로 판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성가 이상 방전 상태인 경우, 상기 시작시점 배터리 온도와 외기온의 격차에 대응하여 시동 초기 우선적으로 배터리 충방전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작시점 SOC, 주행 계절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현재 위치하는 지역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제어에 따른 배터리 충전량을 판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 충방전 제어를 정상제어로 수행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KR1020190059433A 2019-05-21 2019-05-21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134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433A KR20200134009A (ko) 2019-05-21 2019-05-21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433A KR20200134009A (ko) 2019-05-21 2019-05-21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009A true KR20200134009A (ko) 2020-12-01

Family

ID=7379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433A KR20200134009A (ko) 2019-05-21 2019-05-21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0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5895A (zh) * 2021-12-16 2022-05-13 北京骑胜科技有限公司 共享车辆及充电故障确定方法、介质和程序产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5895A (zh) * 2021-12-16 2022-05-13 北京骑胜科技有限公司 共享车辆及充电故障确定方法、介质和程序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81122B (zh) 一种电动汽车电池测试方法和系统
US10656211B2 (en) Method of predicting time for charging battery of eco-friendly vehicle
US9753093B2 (en) Vehicle and method of diagnosing battery condition of same
US8947050B2 (en) Charging of vehicle battery based on indicators of impedance and health
WO2008065910A1 (en) Accumulator failure detecting device, accumulator failure detecting method, accumulator failure detect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accumulator failure detecting program
CN103066650B (zh) 变浆系统后备电池在线监测及电压均衡系统以及方法
CN104749533A (zh) 一种锂离子电池健康状态在线估算方法
US8143854B2 (en) Adjusting method of battery pack and adjusting method of battery pack with controller
JP2002050410A (ja) 二次電池の内部状態検知方法、検知装置、該検知装置を備えた機器、内部状態検知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収めた媒体
KR102368324B1 (ko) 충전케이블의 온도값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이상상태 모니터링 장치
WO2020156076A1 (zh) 驻车空调器、车辆电池的寿命预警方法及系统
US20220045378A1 (en) Battery cool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nvironmental vehicle
WO2024060537A1 (zh) 电池异常自放电预警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3823191A (zh) 一种计算锂离子电池组可用剩余容量的方法
JP4341652B2 (ja) 蓄電制御装置及び蓄電制御方法
CN114204626B (zh) 充电控制方法及相关设备
SE543436C2 (en)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health of a battery
CN103051005A (zh) 电池充放电管理系统及方法
CN115407206A (zh) 一种基于容量累积的soh自适应估算方法
KR20200134009A (ko)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90687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성능 보상 및 soc 초기화방법
CN103078380B (zh) 电池充电装置和电池充电方法
KR20040005133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만충전 관리 방법
JP4190766B2 (ja) 車両に搭載された蓄電池の残存容量推定方法と装置
KR20210071362A (ko) 연료전지 시스템 운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