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932A - Apparatus for producing for a foam out cornermemb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ducing for a foam out corner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932A
KR20200133932A KR1020190059238A KR20190059238A KR20200133932A KR 20200133932 A KR20200133932 A KR 20200133932A KR 1020190059238 A KR1020190059238 A KR 1020190059238A KR 20190059238 A KR20190059238 A KR 20190059238A KR 20200133932 A KR20200133932 A KR 20200133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member
conveyor
frame
transfer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2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0113B1 (en
Inventor
변준섭
Original Assignee
변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준섭 filed Critical 변준섭
Priority to KR102019005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113B1/en
Publication of KR2020013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9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2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 B30B11/228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using pressing means, e.g. rollers moving over a perforated die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n outer corner for a mold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n outer corner for a mold, which has one or more perforating parts, coating parts, and drying parts sequentially installed along a transfer line constituted with a plurality of conveyors so as to transfer an angle memb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automatically manufacturing the outer corner for a mold by coating and drying predetermined paint on a surface of the angle member after a plurality of pin holes are perforated into two wings of the angle member while the angle member inserted into the transfer line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so,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n outer corner for a mold can automatically discharge the completed outer corner for a mold through a discharge lin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line.

Description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FOR A FOAM OUT CORNERMEMBER}Automatic out-corner manufacturing equipment for formwork {APPARATUS FOR PRODUCING FOR A FOAM OUT CORNERMEMBER}

본 발명은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앵글부재를 투입하면 자동으로 앵글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앵글부재의 2개의 날개에 다수의 핀 홀을 천공하고, 상기 앵글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코팅한 후 건조해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인력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out-corn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formwork,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 angle member of a certain length formed integrally with two blades is inserted, the angle member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wo blades of the angle member A number of pinholes are drilled in the hole, and a predetermined paint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and then dried to automatically manufacture an outer corner for a formwork, thereby minimizing the workforce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It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n out-corner for a formwork.

거푸집용 아웃코너는 유로폼을 연결하여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가설할 때 서로 이웃한 유로폼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의 앵글부재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날개에는 장공 형태의 핀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쉽게 녹슬지 않도록 소정의 페인트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서 제조된다. The outer corners for formwork are installed at the corners of adjacent euroforms when the formwork for concrete pouring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formwork.It is made of angle members of a certain length, and long hole-shaped pinhole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wo wings. It is formed and is prepared by drying after applying a predetermined paint so as not to be easily rusted on the surface.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앵글부재의 두 개의 날개에 핀 홀을 형성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앵글부재에 두 개의 날개에 다수의 핀 홀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앵글부재를 전후로 일정 길이씩 이동시키는 동시에 폭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가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종래에는 앵글부재의 표면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페인트를 분무하기 때문에 균일한 도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유해한 페인트 성분을 장기간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is deteriorated because the operator manually forms pinholes in the two wings of the angle member. In other words, in order to drill a plurality of pinholes in two wings in the angle member, the angle member must be moved back and forth by a certain length and rotated in the width direction, but this work is cumbersome and requires a lot of worker's skill, so productivity is low . In addition, conventionally, since the operator manually sprays paint on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it is difficult to apply uniform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is exposed to harmful paint components for a long time.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거푸집용 아웃코너의 제조를 자동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8352호에는, 장척물 앵글부재(2)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라인(20)과, 상기 이송라인(20) 상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삼각돌출부(34a)가 형성되고 이 삼각돌출부(34a)의 양면에는 복수개의 천공홀(34b)이 관통 형성된 하부다이(34)와, 상기 하부다이(34)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다이(34)의 천공홀(34b)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삼각돌출부(34a)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펀치(45)가 설치되어 이 펀치(45)에 의해 앵글부재(2)의 양면에 핀홀(6)을 형성하는 펀칭기구(40)와, 상기 펀칭기구(40)의 앵글부재(2) 도입단 또는 배출단의 이송라인(20)에 설치된 컷터(54)를 가지며 상기 컷터(54)에 의해 앵글부재(2)를 규격 길이로 절단하는 컷팅기구(50)와, 상기 컷팅기구(50)의 배출단 이송라인(20)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된 앵글부재(5)에 도료를 코팅하도록 된 도료코팅부(60)와, 상기 도료코팅부(60)의 배출단 이송라인(20)에 설치되어 앵글부재(5)의 도료를 건조시키도록 된 건조라인(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manufacturing of the outer corner for formwork has been automated.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28352, a transfer line 20 for transferring a long angle member 2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a transfer line 20 installed on the transfer line 20, and a triangular projection ( 34a)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34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iangular protrusion 34a, and a lower die 34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die 34, and the lower die 34 is perforated. A punch 45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34b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iangular protrusion 34a to form a pinhole 6 on both sides of the angle member 2 by this punch 45 It has a mechanism 40 and a cutter 54 installed on the transfer line 20 at the introduction end or discharge end of the angle member 2 of the punching mechanism 40, and the angle member 2 is removed by the cutter 54. A cutting device 50 for cutting to a standard length, and a paint coating part 60 installed on the discharge end transfer line 20 of the cutting device 50 to coat the cut angle member 5 with a paint, , Automatic manufacturing of an out-corner for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ying line 70 installed on the transfer line 20 at the discharge end of the paint coating unit 60 to dry the paint of the angle member 5 The device is disclosed.

그러나 종래의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는 앵글부재에 핀 홀을 형성하는 펀칭기구 및 도료코팅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앵글부재에 핀 홀을 천공하는 과정과 앵글부재에 페인트를 도장하는 공정 및 건조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지 못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공간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utomatic out-corn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formwork has a complicated structure of a punching mechanism and a paint coating unit to form a pin hole in the angle member, and the process of drilling a pin hole in the angle member and the process of painting paint on the angle member and drying. Since the process cannot be carried out continuous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decreases and space efficiency decreas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1519호(등록일:2005.12.30)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41519 (Registration Date: 2005.12.3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8352호(등록일:2006.09.19)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28352 (Registration Date: 2006.09.19)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거푸집용 아웃코너의 제조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일정 길이의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라인을 따라서 절단부, 천공부 및 건조부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배출라인을 통해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인력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제조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fer an angle member of a certain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be able to continuously perform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uter corner for a formwork Cutting, drilling, and drying parts are continuously installed along the line, and the finished formwork outer corn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line install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line, thereby minimizing the workforce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increase space efficiency.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out-corner manufacturing device for formwork that can be utilized as a formwork and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manufacturing device.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는,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out-corn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두 개의 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를 일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송라인과; A transfer lin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veyors in a line so as to transfer the angle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two w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천공기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부재의 양쪽 날개에 다수의 핀 홀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천공부와;A perforation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perforator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to form a plurality of pin holes in both wings of the angle memb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도장챔버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핀 홀이 형성된 상기 앵글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도포하는 도장부와;A painting part comprising one or more painting chambers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to apply a predetermined paint to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in which the plurality of pin holes are formed;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건조챔버로 이루어져 상기 도장부에서 도장된 페인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와;A drying unit consisting of one or more drying chambers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to dry the painted paint in the painting unit;

상기 건조부에서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lin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nveyors so that the outer corner for the formwork completed in the drying unit can be transferr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가 "기역"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상기 앵글부재의 한쪽 날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이탈방지바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면과 상기 이탈방지바 사이의 가이드홈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상기 날개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와, 상기 다수 개의 기어를 회전시켜서 상기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제1 컨베이어와;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ation includes a frame having a certain height, a guide rail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upper end of the frame and supporting the angle member so as to maintain the shape of a "mechanism", and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Two separation prevention b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one wing of the angle member can be inserted, and the two separation prevention bar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 A first conveyor including a plurality of gear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lades, and a driving means for transferring the angle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rotating the plurality of gears;

상기 제1 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며,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 가운데에 설치된 사각 형상의 센터블록과, 상기 센터블록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터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가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센터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앵글부재의 다른 쪽 날개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터블록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상기 앵글부재의 다른 쪽 날개에 핀 홀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펀치가 구비된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천공기를 포함한다. It is installed along the first conveyor, a frame having a certain height, a square-shaped center block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each of the angle member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block and between the center block. A guide groove is formed with a certain width so that the blade can be inserted vertically, and a seating groove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so that the other wing of the angle member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lying horizontally. A lower mold and a lower mold provided with at least one punch for forming a pin hole in the other wing of the angle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mold and lying horizont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and the upper mold It includes at least one perforator composed of an elevating member installed so as to be elevated.

상기 천공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디스크와, 상기 이송디스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디스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폭보다 좁고 그 지름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길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앵글부재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perforation portion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veyor,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wo suppor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a plurality of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two supports It includes a transfer disk and a driving means installed to rotate the transfer disk, wherein the width of the transfer disk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s of the angle member and the diameter thereof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length of the blades of the angle member. The angle member may be rotated in the width direction by further including a second conveyo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도장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롤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양 날개의 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3 컨베이어와;The painting unit includes a fram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veyor,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wo suppor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A third conveyor comprising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transfer roller, wherein a width of the transfer roller is greater than a width between both wings of the angle member;

상기 제3 컨베이어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3 컨베이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앵글부재의 상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상부분사기와 상기 앵글부재의 하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하부분사기로 이루어진 도료분사기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소정의 페인트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내의 페인트를 상기 도료분사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공급호스와 상기 공급호스 상에 설치된 펌프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도장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도장챔버의 바닥에는 상기 도료분사기에서 분사되어 떨어지거나 상기 앵글부재의 표면에서 떨어지는 페인트를 받아서 상기 저장탱크로 회수하는 회수판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It is installed so as to wrap the third conveyor, and has an upper sprayer for spraying pai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gle member, which is transported longitudinally along the third conveyor, and a lower part sprayer for spraying pai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ngle member. One consisting of a paint sprayer, a storage tank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rd conveyor and storing a predetermined paint, a supply hose connected to supply the paint in the storage tank to the paint sprayer, and a pump installed on the supply hose Including the above coating chamber, the bottom of the coating chamber is installed inclined to receive the paint sprayed off the paint sprayer or the paint dripping off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and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상기 건조부는, 상기 제3 컨베이어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송풍기와 히터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건조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챔버의 바닥에는 상기 앵글부재에서 떨어지는 페인트를 회수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판이 경사지게 설치된다.The drying unit is installed to wrap the third conveyor, and includes at least one drying chamber having a plurality of blowers and heaters therein, and at the bottom of the drying chamber, the paint dripping from the angle member can be recovered. The swash plate is installed inclined at a certain angle.

상기 배출라인은, 상기 이송라인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4 컨베이어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상면에 놓여 있는 상기 앵글부재를 들어서 상기 앵글부재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5 컨베이어와, 상기 제5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를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6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The discharge line includes a fourth conveyor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transfer line to transfer the angle member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ngle member installed inside the fourth conveyor an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conveyor. For example, a fifth conveyor for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ngle member, and a sixth convey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fth conveyor and transferring the angle member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상기 제4 컨베이어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라인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이송롤러와, 상기 두 개의 이송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The fourth conveyor includes a frame having a certain height, two support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and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line, and two supports rotatably instal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wo supports. It includes two conveying rollers and a driving means installed to rotate the two conveying rollers.

상기 제5 컨베이어는, 상기 제4 컨베이어의 두 개의 지지대 사이의 내측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좌우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지지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체인과, 상기 두 개의 체인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일측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한 쪽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실린더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일측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컨베이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앵글부재의 선단과 접촉하여 상기 구동모터와 승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단에는 하부로 로드가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로드의 하단에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일측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The fifth conveyor includes a rotating frame installed to be rotatable up and down inside between two supports of the fourth conveyor, a sprocket rotatably installed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otating frame, and between the sprockets. Two chains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wo supports, a drive motor installed to rotate the two chains, and one side of the rotating frame fixed to one support of the fourth conveyor Contact to operate the driving motor and the lifting cylinder by contacting the front end of the lifting cylinder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the angle member installed on one side support of the fourth conveyor and transfer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ourth conveyor Including a sensor, the ro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cylinder, and a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so as to contact one side of the rotating frame.

상기 제6 컨베이어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체인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The sixth conveyor includes a frame having a certain height, two rotation shafts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rame, sprockets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line by being connected between the sprockets It includes two chains installed as and a drive motor installed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상기 천공부의 전방에는 소정의 앵글부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를 더 포함하되, Further comprising a cutting portion for cutting a predetermined angle member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front of the perforated portion,

상기 절단부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롤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양 날개의 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3 컨베이어와;The cutting unit includes a frame having a certain height, two suppor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and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transfer roller Including, wherein the width of the transfer roller is a third conveyor that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wings of the angle member;

상기 제3 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가 삼각형상의 단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삼각형상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삼각형상의 칼날이 형성된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A lower mold installed along the third conveyor,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lower mold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having a triangular guide rail so that the angle member maintains a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an upper mold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mold and having a triangular blad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and an elevating membe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upper mold.

상기 절단부와 상기 천공부 사이에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디스크와, 상기 이송디스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디스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폭보다 좁고 그 지름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길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앵글부재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컨베이어를 더 포함한다. Between the cutting portion and the perforated portion, a frame having a certain height, two suppor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 plurality of transfer disk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two supports, and the It includes a driving means installed to rotate the transfer disk, the width of the transfer disk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wings of the angle member and the diameter is formed higher than the length of the wings of the angle member, so that the angle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veyor that can be rotated.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용 아웃코너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 인력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productivity by minimizing work manpower by automa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uter corner for a formwork.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컨베이어를 일렬로 설치하여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시에 각 장치의 형태에 맞도록 앵글부재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거푸집용 아웃코너의 제조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ngle member to be rotated in the width direction to fit the shape of each device while at the same time transporting the angle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onveyors of different shapes in a row.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또한, 본 발명은 앵글부재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는 표준규격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제조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angle member to be rotat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device used in each process allows the use of a standard standard device,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entire manufacturing device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have.

또한, 본 발명은 이송라인을 따라 제조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utilizing a narrow space by discharging the outer corner for a formwork manufactured along the transfer lin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챔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챔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라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컨베이어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erf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rst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cond conveyor and its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ating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hird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ying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ischarg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n out-corner for a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ut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n out-corner for a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는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생략한다.Firs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구성도이다. 1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n out-corner for a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1)는, 크게 두 개의 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11)를 일렬로 배열하여 이루어진 이송라인(10)과,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천공기(31)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부재(2)의 양쪽 날개에 다수의 핀 홀(4)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천공부(30)와,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도장챔버(53)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핀 홀(4)이 형성된 앵글부재(2)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도포하는 도장부(50)와,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건조챔버(63)로 이루어져 상기 도장부(50)에서 도장된 페인트를 건조하는 건조부(60)와, 상기 건조부(60)에서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3)를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11)로 이루어진 배출라인(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utomatic out-corner manufacturing apparatus 1 for a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yors 11 in a line so that the angle member 2 in which two wings are integrally formed can be transfer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sisting of a transfer line 10 formed by arrangement and one or more perforators 31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10, a plurality of pinholes 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wings of the angle member 2 A predetermined pain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on which the plurality of pin holes 4 are formed, consisting of a perforation 30 and one or more painting chambers 53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10 A drying unit 60 consisting of a painting unit 50 and one or more drying chambers 63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10 to dry the paint painted in the painting unit 50, and the drying unit It includes a discharge line 70 made of a plurality of conveyors 11 so that the outer corner 3 for the formwork completed in 60 can be transferr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10.

따라서 일정 길이의 앵글부재(2)를 이송라인(10)의 일측에 투입하면, 투입된 앵글부재(2)는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천공부(30)에서는 상기 앵글부재(2)의 양쪽 날개에 다수의 핀 홀(4)을 일정 간격으로 천공한다. 그리고 상기 도장부(50)에서는 상기 핀 홀(4)이 형성된 앵글부재(2)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60)에서는 상기 앵글부재(3)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를 건조한다. 그리고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3)는 상기 이송라인(10)의 후단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출라인(70)을 따라서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되게 된다.Therefore, when an angle member 2 of a certain length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transfer line 10, the input angle member 2 is transfer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line 10, and the perforation 30 A plurality of pin holes 4 are drilled at regular intervals in both wings of the angle member 2. In addition, in the painting part 50, a predetermined pain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in which the pin hole 4 is formed. In addition, in the drying unit 60, the pain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3 is dried. And the completed formwork outer corner 3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10 along a discharge line 70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line 1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날개(2a)(2b)가 형성된 앵글부재(2)가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천공부(30), 도장부(50) 및 건조부(60)를 차례로 거치면서 거푸집용 아웃코너(3)를 자동으로 제조한다. 따라서 거푸집용 아웃코너(3)의 제조공정에 요구되는 인력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라인(10)과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3)를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배출라인(70)이 별도로 구비되어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gle member 2 having two blades 2a and 2b formed thereon while transpor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conveying line 10, while the perforation 30, the painting part 50, and the drying part It automatically manufactures the outer corner (3) for the formwork while passing through (60) one by o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productivity by minimizing the manpower required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uter corner 3 for formwork.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fer line (10) for transferring the angle member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scharge line (70) for transferring the finished form-out corner (3)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10). ) Is provided separately, so it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utilizing a narrow spa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n out-corner for a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상기 천공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의 천공기(31)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부재(2)의 양쪽 날개에 다수의 핀 홀(4)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금형(34)과, 상기 하부금형(34)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금형(36) 및 상기 상부금형(36)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35)를 포함한다. First, the perforation part 30, as shown in FIG. 2, consists of one perforator 31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10, and a plurality of pin holes in both wings of the angle member 2 As for forming (4), a frame 32 having a large constant height, a lower mold 34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2, and an upper mold installed on the lower mold 34 ( 36) and a lifting member 35 for lifting the upper mold 36 up and down.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금형(34)의 가운데에는 사각 형상의 센터블록(33)이 설치되고 이 센터블록(33)의 좌우 양측에는 두 개의 사이드블록(37a)(37b)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센터블록(33)과 사이드블록(37a)(37b) 사이에는 앵글부재(2)의 날개(2a)(2b)가 수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 홈(34a)(3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는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안착홈(34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36)에는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앵글부재(2)의 날개에 핀 홀(4)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펀치(36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는 상기 펀치(36a)에 대응하도록 펀치홀(33a)이 형성된다.Preferably, a square-shaped center block 33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mold 34, and two side blocks 37a and 37b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block 33, respectively. At this time, between the center block 33 and the side block (37a) (37b), the blades (2a) (2b) of the angle member (2) are vertically inserted and guide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4a) (34b) are formed. In addition, a seating groove 34c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33 so as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other wing of the angle member 2 is laid horizontally. In addition, the upper mold 36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punches 36a forming pin holes 4 in the wings of the angle member 2 lying horizont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33. Further, a punch hole 33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33 to correspond to the punch 36a.

따라서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이동하는 앵글부재(2)가 상기 천공기(31)에 투입되면,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2a)는 하부금형(34)의 센터블록(33)과 사이드블록(37a) 사이의 가이드홈(34a)에 삽입되고, 다른 쪽 날개는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34c)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승강부재(35)를 작동시켜서 상기 상부금형(36)에 있는 펀치(36a)가 하강하면,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2b)에 핀 홀(4)이 천공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씩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금형(36)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상기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2b)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핀 홀(4)이 형성된다.Therefore, when the angle member 2 moving along the transfer line 10 is put into the perforator 31, as shown in FIG. 2A, one wing 2a of the angle member 2 is a lower mold 34 )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4a between the center block 33 and the side block 37a, and the other wing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34c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33. And after moving the angle member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fting member (35) is operated so that the punch (36a) in the upper mold (36) is lowered, horizontal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33). A pin hole 4 is drilled in the other wing 2b of the angle member 2 lying down. In addition, when the upper mold 36 is moved up and down while moving the angle member 2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pinhol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other wing 2b of the angle member 2 (4) is formed.

그리고 천공부(30)에는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11a)와 제2 컨베이어(11b)를 일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송라인(1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컨베이어(11a)는 "기역"자 형상을 유지하는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2a)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컨베이어(11b)는 기역자 형상을 유지하는 상기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2b)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그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앵글부재(2)는 두 개의 날개(2a)(2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천공기(31)는 기역자 형상으로 공급된 앵글부재(2)의 두 개의 날개(2a)(2b) 중 상기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날개에만 핀 홀(4)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앵글부재(2)의 두 개의 날개(2a)(2b)에 각각 핀 홀(4)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앵글부재(2)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재2 컨베이어(11b)가 구비되어야 한다. In addition, a transfer line 10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conveyor 11a and the second conveyor 11b in a line so as to transfer the angle member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in the perforation part 30. That is, the first conveyor 11a is intended to be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one wing 2a of the angle member 2 maintaining the shape of a “base station” is vertically erected, and the second conveyor ( 11b) is for rotating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other wing 2b of the angle member 2, which maintains the shape of the angle member, is vertically erected and transfer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angle member 2 has two blades 2a and 2b integrally formed, and the perforator 31 is one of the two blades 2a and 2b of the angle member 2 supplied in the shape of Since the pin hole 4 is formed only on the wing lying horizont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33, the pin hole 4 is formed in the two wings 2a and 2b of the angle member 2, respectively. For this, a second conveyor 11b capable of rotating the angle member 2 in the width direction must be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컨베이어(11a)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11a)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2)가 기역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3)과, 상기 가이드레일(13)의 양측에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이탈방지바(14a)(14b)와, 상기 프레임(12)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의 측면과 이탈방지바(14) 사이의 가이드홈(13a)(13b)에 수직으로 삽입된 날개(2a)(2b)와 밀착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15)와, 상기 다수 개의 기어(15)를 회전시켜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6)은 다수의 기어(15)의 중심에서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회전축(16a)과, 상기 회전축(16a)의 단부에 설치되는 풀리(16b)와, 상기 풀리(16b)와 연결되는 벨트(16c) 그리고 상기 벨트(16c)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모터(16d)를 포함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rst conveyor 1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first conveyor 11a is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op of the frame 12 and the frame 12 having a constant height, and is supported so that the angle member 2 can maintain the shape A guide rail 13 and two separation prevention bars 14a and 14b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one wing of the angle member 2 can be insert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13,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2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lades (2a) (2b)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13a) (13b)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rail (13)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 (14) It includes a plurality of gears 15 to be installed, and a driving means 16 installed so as to rotate the plurality of gears 15 to transfer the angle member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 the driving means 16 includes a rotation shaft 16a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gears 15 to a lower portion, a pulley 16b installed at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16a, and the pulley 16b. ) And a driving motor 16d installed to rotate the belt 16c and the belt 16c.

따라서 상기 제1 컨베이어(11a)의 일측에 앵글부재(2)를 투입하면,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2a)는 가이드레일(13)과 이탈방지바(14) 사이의 가이드 홈(13a)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다른 쪽 날개(2b)는 가이드레인(1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16)을 작동시키면, 다수의 기어(15)가 회전하여 상기 앵글부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레일(13)를 따라 앵글부재(2)가 천공기(31) 쪽으로 공급되어 상기 하부금형(34)의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35)를 작동시키면, 상기 상부금형(36)이 하부로 이동하여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다른 쪽 날개(2b)에 다수의 핀 홀(4)을 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기(31)에서 배출되는 앵글부재(2)는 제1 컨베이어(11a)를 따라 일정 길이 이동한 후 그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컨베이어(11b)로 넘어간다.Therefore, when the angle member (2) is put into one side of the first conveyor (11a), one wing (2a) of the angle member (2) is a guide groove between the guide rail (13)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 (14) ( It is inserted vertically in 13a) and the other wing 2b is laid horizont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lane 13. And when the driving means 16 is operated in this state, a plurality of gears 15 rotate to transfer the angle member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n, the angle member 2 is supplied to the perforator 31 along the guide rail 13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33 of the lower mold 34. And when the elevating member 35 is operated in this state, the upper mold 36 moves downward, and a plurality of pin holes 4 in the other wing 2b lying horizont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33 ) Is perforated. Then, the angle member 2 discharged from the perforator 31 moves a certain length along the first conveyor 11a and then passes to the second conveyor 11b installed at the rear end thereof.

이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컨베이어(11b)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컨베이어(11b)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17)와, 두 개의 지지대(17)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디스크(18)와, 상기 이송디스크(18)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19)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9)은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중심에서 좌우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대(17)를 관통하는 회전축(19a)과, 상기 회전축(19a)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로킷(19b)과, 상기 스프로킷(19b)에 결합하는 체인(19c) 및 상기 체인(19c)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19d)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송디스크(18)는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이루어지고 그 지름은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에 올려져 있는 앵글부재(2)는 상기 이송디스크(18)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Nex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cond conveyor 11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econd conveyor 11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2 having a constant height, two supports 17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2, and two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transfer disks 18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s 17, and a driving means 19 installed to rotate the transfer disk 18. Here, the driving means 19 includes a rotation shaft 19a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transfer disk 18 to the left and right and passing through the support 17, a sprocket 19b installed at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19a, and , It consists of a chain (19c) coupled to the sprocket (19b) and a drive motor (19d) that is installed to rotate the chain (19c). And the transfer disk 18 is made of a wid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one wing of the angle member 2, the diameter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one wing of the angle member (2). Accordingly, the angle member 2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disk 18 can rotate left and right around the transfer disk 18.

또한, 상기 이송디스크(18)의 한 부분에는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에 올려져 있는 앵글부재(2)를 하부로 가압하여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41)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재(41)는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를 하부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가압롤러(42)와, 상기 가압롤러(42)와 연결되고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가압로드(43)와, 상기 가압로드(43)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로드(43)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가압실린더(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42)의 후단에는 상기 가압롤러(42)가 상기 이송디스크(18)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별도의 구동모터(45)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rotating member 41 for rotating in the width direction by pressing the angle member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disk 18 downward is further installed at one portion of the transfer disk 18. Preferably, the rotating member 41 includes a plurality of pressure rollers 42 installed to press the angle member 2 transferr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disk 18 to the lower side, and the pressure roller 42 And a pressure rod 43 connected to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and a pressure cylinder 44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pressure rod 43 and installed to move the pressure rod 43 up and down. In addition, a separate drive motor 45 may be further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ressure roller 42 so that the pressure roller 42 can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nsfer disk 18.

따라서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11a)에서 제2 컨베이어(11b)로 넘어온 상기 앵글부재(2)는 다수의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기역자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정 길이 이송된다. 그리고 다수의 가압실린더(46)가 작동하여 상기 가압롤러(41)가 하방으로 일정 길이 이동하면, 상기 가압롤러(41)가 상기 앵글부재(2)의 일측 날개(2b)의 끝 부분을 아래로 가압하여 상기 앵글부재(2)가 이송디스크(45)를 중심으로 한 부분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에 놓여 있는 앵글부재(2)는 45도 정도 회전되어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게 된다. 이어, 상기 다수의 가압실린더(46)를 더욱 신축시켜서 상기 가압롤러(41)가 하방으로 더 이동하면 상기 앵글부재(2)의 일측 날개(2b)는 다시 45도 정도 더 회전하여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2b)는 상기 제1 컨베이어(11a)의 가이드레일(13)과 이탈방지바(14b) 사이의 가이드 홈(13b)에 수직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2 컨베이어(11b)의 구동수단(19)을 반대 반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앵글부재(2)는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후진하여 천공기(31)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천공기(31)의 센터블록(33)과 사이드블록(37b) 사이에 상기 앵글부재(2)의 다른 쪽 날개(2b)가 수직으로 삽입되고 한쪽 날개(2a)는 센터블록(33)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기(31)의 상부금형(36)을 상하로 작동시키면 상기 펀치(36a)가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2a)에 일정한 간격으로 핀 홀(4)이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기(31)에서 배출되는 앵글부재(2)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11a)(11b)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어 후단의 도장부(50)로 공급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a, the angle member 2 that has passed from the first conveyor 11a to the second conveyor 11b is transferred to a certain length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a character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disks 18. do. And when a plurality of pressure cylinders 46 operate and the pressure roller 41 moves downward for a certain length, the pressure roller 41 moves the end of one wing 2b of the angle member 2 downward. Pressurized so that the angle member 2 rotates around the transfer disk 45 in one par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B, the angle member 2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disk 18 is rotated about 45 degrees to have a triangular cross section. Subsequently, when the plurality of pressure cylinders 46 are further stretched and the pressure roller 41 moves further downward, one wing 2b of the angle member 2 rotates again by about 45 degrees, as shown in FIG. 4C. As shown, the other wing (2b) of the angle member (2)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3b) between the guide rail (13) and the departure prevention bar (14b) of the first conveyor (11a). In this state, when the driving means 19 of the second conveyor 11b is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angle member 2 moves backwar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disk 18 and is supplied to the perforator 31. Then, the other wing (2b) of the angle member (2) is vertically inserted between the center block (33) and the side block (37b) of the perforator (31), and one wing (2a) of the center block (33) It is laid horizontally on the top surface. And when the upper mold 36 of the perforator 31 is operated vertically, the punch 36a forms a pin hole 4 at regular intervals in one wing 2a of the angle member 2. In addition, the angle member 2 discharged from the perforator 31 is transported longitudinally along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s 11a and 11b and supplied to the painting part 50 at the rear end.

이어서, 상기 도장부(50)는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하는 하나 이상의 도장챔버(53)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앵글부재(2)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는 것으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라인(11)을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된 도장챔버(53)와, 상기 도장챔버(53)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앵글부재(2)의 상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상부분사기(55a)와 상기 앵글부재(2)의 하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하부분사기(55b)로 이루어진 도료분사기(55)와, 상기 도료분사기(55)에 페인트를 공급하는 도료공급부(5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료공급부(56)는 이송라인(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소정의 페인트를 저장하는 저장탱크(58)와 상기 저장탱크(58) 내의 페인트를 상기 도료분사기(55)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공급호스(59)와 상기 공급호스(59) 상에 설치된 펌프(5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장챔버(53)의 바닥에는 상기 도료분사기(55)에서 분사되어 떨어지거나 상기 앵글부재(2)의 표면에서 떨어지는 페인트를 받아서 상기 저장탱크(58)로 회수할 수 있도록 회수판(53b)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Subsequently, the painting part 50 is made up of one or more painting chambers 53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10, an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line 10. As shown in FIG. 5, a painting chamber 53 installed to wrap the angle member 2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line 11 and the painting chamber 53 An upper sprayer 55a that sprays pai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transfer line 10 and is transfer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line 10, and the lower part sprays pai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It includes a paint sprayer 55 made of a sprayer 55b, and a paint supply unit 56 that supplies paint to the paint sprayer 55. Here, the paint supply unit 56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line 10 and is connected to supply a storage tank 58 for storing a predetermined paint and the paint in the storage tank 58 to the paint sprayer 55 It includes a hose 59 and a pump 57 installed on the supply hose 59. 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 chamber 53, a recovery plate 53b is provided to receive the paint sprayed from the paint sprayer 55 or dripping from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and recover it to the storage tank 58. ) Is installed inclined.

이때, 상기 이송라인(10)은 상기 앵글부재(2)의 양쪽 날개(2a)(2b)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삼각형의 단면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11c)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제3 컨베이어(11c)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14)와, 상기 이송롤러(1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5)은 상기 이송롤러(14)의 일단에 설치된 스프로킷(15a)과 상기 스프로킷(15a)과 연결되는 체인(15b) 및 상기 체인(15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15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앵글부재(2)가 제3 컨베이어(11c)에 투입되면, 상기 앵글부재(2)는 양쪽 날개(2a)(2b)의 하단이 상기 이송롤러(14)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송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transfer line 10 consists of a third conveyor 11c that transfers while maintaining a triangular cross-section by making both wings 2a and 2b of the angle member 2 face downward. Preferably, the third conveyor 11c includes a frame 12 having a certain height, a support 13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2, and the support 13 as shown in FIG. 6.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14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through and through, and a driving means 15 for rotating the conveying roller 14. Here, the driving means 15 includes a sprocket 15a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roller 14, a chain 15b connected to the sprocket 15a, and a driving motor installed to rotate the chain 15b. It consists of (15c). Therefore, when the angle member (2)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is put into the third conveyor (11c), the angle member (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roller (14) with the lower ends of both wings (2a) (2b). It is transferred in one state.

그리고 상기 앵글부재(2)가 도장챔버(53)의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펌프(57)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도장챔버(5)의 입구 쪽에 설치된 도료분사기(55)에서 소정의 페인트가 분사된다. 즉, 상부분사기(55a)는 앵글부재(2)의 상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고, 하부분사기(55b)는 앵글부재(2)의 하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한다. 그러면, 상기 앵글부재(2)의 상면으로 분사된 페인트는 양쪽 날개(2a)(2b)의 상면을 따라 하부로 흐르면서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고, 상기 앵글부재(2)의 하면으로 분사된 페인트는 양쪽 날개(2a)(2b)의 하면을 따라 하부로 흐르면서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다. 이때, 상기 상부분사기(55a)와 하부분사기(55b)에는 납작한 형태의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앵글부재(2)의 상면과 하면에 넓고 얇게 페인트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료분사기(55)에서 분사된 후 떨어지거나 상기 앵글부재(2)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페인트는 도장챔버(53)의 바닥에 설치된 회수판(53b)을 통해 저장탱크(58)로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장부(50)를 통과하는 앵글부재(2)는 제3 컨베이어(11c)를 따라 후단의 건조부(60)로 이송된다.And when the angle member 2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painting chamber 53, a predetermined paint is sprayed from the paint sprayer 55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painting chamber 5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mp 57. . That is, the upper sprayer 55a sprays pai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and the lower part sprayer 55b sprays pai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Then, the paint spray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flows downward along the upper surface of both wings 2a and 2b and is applied to a certain thickness, and the paint spray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is applied to both sides. It is applied to a certain thickness while flowing downwards al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wings 2a and 2b. At this time, the upper sprayer 55a and the lower partial sprayer 55b are provided with a flat spray nozzle so that paint can be sprayed broadly and thinly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ngle member 2. On the other hand, the paint that falls after being sprayed from the paint sprayer 55 or that flows off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is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58 through the recovery plate 53b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 chamber 53 Can be. And the angle member 2 passing through the painting part 50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part 60 at the rear end along the third conveyor 11c.

이어서, 상기 건조부(60)는 상기 앵글부재(2)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를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라인(10)을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건조챔버(63)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챔버(63)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24)를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의 주변을 감쌀 수 있도록 상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건조챔버(63)의 내부에는 다수의 송풍기(66)와 히터(67)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앵글부재(2)가 제3 컨베이어(11c)의 이송롤러(24)를 따라 상기 건조챔버(63)의 내부로 유입되면 다수의 송풍기(66)와 히터(67)에서 분사되는 온풍에 의해서 앵글부재(2)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가 건조된다. 이때, 상기 건조챔버(63)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습도계와 온도계가 더 구비되어 설정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상기 송풍기(66)와 히터(67)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건조챔버(63)의 바닥에도 상기 앵글부재(3)에서 떨어지는 페인트를 회수할 수 있도록 회수판(63b)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60)에서 건조된 앵글부재(2)는 후단의 배출라인(70)을 통해서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된다. Subsequently, the drying unit 60 is for drying the pain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and at least one installed to wrap the angle member 2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line 10 It includes a drying chamber (63). As shown in FIG. 7, the drying chamber 63 is formed in a box shape so as to wrap around the angle member 2 that is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roller 24. In addition, a plurality of blowers 66 and heaters 67 are installed inside the drying chamber 63. Therefore, when the angle member 2 flows into the drying chamber 63 along the transfer roller 24 of the third conveyor 11c, the warm air injected from the plurality of blowers 66 and the heater 67 The pain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is dried. At this time, a hygrometer and a thermometer (not shown) ar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drying chamber 63 to control the blower 66 and the heater 67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ddition, a recovery plate 63b is installed inclined at the bottom of the drying chamber 63 so as to recover paint dripping from the angle member 3. And the angle member 2 dried by the drying unit 60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10 through the discharge line 70 at the rear end.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70)은,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앵글부재(2)를 이송라인(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컨베이어(11c)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2)를 이송라인(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4 컨베이어(11d)와,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상면에 놓여 있는 상기 앵글부재(2)를 들어서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5 컨베이어(11e)와, 상기 제5 컨베이어(11e)를 따라 수평 이송된 앵글부재(2)를 받아서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동시키면서 상기 앵글부재(2)의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를 자연 건조하는 제6 컨베이어(11f)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line 70 is instal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10 to discharge the angle member 2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11, as shown in FIGS. 8 and 9 As shown, a fourth conveyor 11d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third conveyor 11c and transferring the angle member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line 10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ourth conveyor 11d A fifth conveyor (11e)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fourth conveyor (11d) to lift the angle member (2)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conveyor (11d) and horizontally move i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line (10), and the fifth A sixth conveyor for naturally drying the pain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2 while receiving the angle member 2 horizontally transferred along the conveyor 11e and moving a certain leng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line 10 (11f) is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컨베이어(11d)는 제3 컨베이어(11c)의 후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72)과, 상기 프레임(72)의 상단에 상기 이송라인(1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73)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7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이송롤러(74)와, 상기 두 개의 이송롤러(7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수단(7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수단(75)은 상기 이송롤러(74)의 가운데에서 양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두 개의 지지대(73)를 관통하는 두 개의 중심축(76)과 상기 두 개의 중심축(7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구동모터(77)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7)를 작동시키면 두 개의 이송롤러(74)가 회전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11c)에서 넘어온 앵글부재(2)는 상기 이송롤러(74)의 상면을 따라 상기 이송라인(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된다.Specifically, the fourth conveyor 11d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third conveyor 11c. As shown in FIGS. 8 and 9, a frame 72 having a constant height and the frame 72 ) Two supports 73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line 10, and two transfer rollers 74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two supports 73, the It consists of a driving means 75 installed to rotate the two transfer rollers 74. Here, the driving means 75 rotates the two central shafts 76 and the two central shafts 76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transfer roller 74 to both sides and passing through the two supports 73 It includes a drive motor 77 connected to be able to. Therefore, when the driving motor 77 is operated, the two transfer rollers 74 rotate, and the angle member 2 that has passed from the second conveyor 11c is the transfer line 10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roller 74. It is conveyed a certain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

그리고 상기 제5 컨베이어(11e)는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내측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두 개의 지지대(73)의 안쪽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 틀 형상의 회동프레임(82)과, 상기 회동프레임(82)의 좌우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83)과, 상기 스프로킷(83)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체인(84)과, 상기 체인(8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9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96)는 후술하는 제6 컨베이어(11f)의 체인(95)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96)를 구동시켜서 상기 두 개의 체인(84)을 회전시키면 그 상면에 놓인 상기 앵글부재(2)는 두 개의 체인(84)을 따라 폭 방향으로 이송된다.And the fifth conveyor (11e)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up and down inside the fourth conveyor (11d), as shown, from the inside of the two supports (73) of the fourth conveyor (11d) A rectangular frame-shaped rotating frame 82 installed to be rotated vertically, a sprocket 83 rotatably installed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otating frame 82, and connected between the sprocket 83 It includes two chains 84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line 10 and a drive motor 96 installed to rotate the chain 84. In this case, the driving motor 96 may simultaneously drive the chain 95 of the sixth conveyor 11f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when the two chains 84 are rotated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96, the angle member 2 plac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transferred along the two chains 84 in the width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5 컨베이어(11e)에는 상기 체인(84)의 상면에 놓여 있는 앵글부재(2)를 이송라인(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동프레임(82)을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회전시키는 회동부재(85)가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부재(85)는,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지지대(73)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프레임(82)의 한 쪽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실린더(85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85a)의 하단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로드(85b)가 설치되고, 상기 로드(85b)의 하단에는 상기 회동프레임(82)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돌출부(85c)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실린더(85a)를 수축시키면, 상기 로드(85b)가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로드(85b)가 상부로 이동하면, 그 하단에 있는 돌출부(85c)가 회동프레임(82)의 일측을 끌어서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회동프레임(82)을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96)를 작동시키면, 두 개의 체인(84)이 회전하여 상기 두 개의 체인(84)의 상면에 있는 상기 앵글부재(2)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4 컨베이어(11d)의 지지대(73)에는 상기 제4 컨베이어(11d)를 따라 이동하는 앵글부재(2)의 선단과 접촉하도록 접촉센서(76)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접촉센서(76)는 앵글부재(2)의 선단과 접촉될 때, 상기 승강실린더(85a)를 수축시켜서 상기 회동프레임(82)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상부로 회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77)를 작동시켜서 상기 앵글부재(2)가 체인(84)을 따라 제6 컨베이어(11f) 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And the fifth conveyor (11e), the rotation frame (82) to b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so that the angle member (2)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in (84) can be transferr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10). A rotating member 85 for rotating is further provided. Preferably, the rotation member 85 includes a lifting cylinder 85a fixed to the support 73 of the fourth conveyor 11d and installed to lift one side of the rotation frame 82 up and down. do. In addition, a rod 85b extending a certain length downward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cylinder 85a, and a protrusion 85c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85b so as to contact the rotating frame 82.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lifting cylinder 85a is contracted, the rod 85b moves upward, and when the rod 85b moves upward, the protrusion 85c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frame 82 By dragging and moving upward, the rotating frame 82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When the drive motor 96 is operated in this state, the two chains 84 rotate to move the angle member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wo chains 84 downward. Further, a contact sensor 76 is further installed on the support 73 of the fourth conveyor 11d to contact the tip of the angle member 2 moving along the fourth conveyor 11d. When the contact sensor 76 is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angle member 2, the lifting cylinder 85a is contracted to rotate the rotation frame 82 upward so that it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motor By operating (77), the angle member (2) moves along the chain (84) toward the sixth conveyor (11f).

그리고 상기 제6 컨베이어(11f)는, 상기 이송라인(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3)를 상기 이송라인(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면서 자연 건조하는 동시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92)과 상기 프레임(92)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93)과, 상기 회전축(9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94)과, 상기 스프로킷(94)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95) 및 상기 회전축(9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모터(9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96)의 작동에 따라 두 개의 체인(95)이 외 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4 컨베이어(11e)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95)의 후단부에 쌓여 있는 거푸집용 아웃코너(3)는 작업자에 의해서 배출될 수 있다.And the sixth conveyor (11f), while moving along the transfer line (11), while transporting the completed outer corner (3) for a certain leng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11), while naturally drying and temporarily 8 and 9, the frame 92 of a constant height and two rotation shafts 93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rame 92, and the rotation shaft 94 It consists of a sprocket 94 installed at both ends, a chain 95 connected between the sprocket 94, and a drive motor 96 installed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93. Therefore, when the two chains 95 move outward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96, they are transferred by the fourth conveyor 11e. In addition, the outer corner 3 for formwork stacked on the rear end of the chain 95 may be discharged by an operato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1)는, 앵글부재(2)의 양쪽 날개에 다수 개의 핀 홀(4)을 형성한 다음 소정의 페인트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자동으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생산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utomatic out-corner manufacturing apparatus 1 for a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pinholes 4 on both wings of the angle member 2, and then applies a predetermined paint and dries the formwork automatically. You can produce a dragon out corner.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천공부(30)의 전방에 소정의 앵글부재(2)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20)를 더 설치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utomatic out-corn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utting portion 20 for cutting a predetermined angle member 2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front of the perforated portion 30 I installed more.

바람직하게, 상기 절단부(20)는 이송라인(10)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절단기(3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절단기(31)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3)가 삼각형상의 단면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삼각형상의 가이드레일(23a)이 형성된 하부금형(23)과 상기 하부금형(23)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금형(23)의 삼각형상의 가이드레일(23a)에 대응하도록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커팅날(24a)이 구비된 상부금형(24)과, 상기 상부금형(24)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25)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cutting portion 20 is made of one or more cutters 31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10, the cutter 31, as shown in Figure 11, the frame 12 and the constant height , A lower mold 2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having a triangular guide rail 23a for supporting the angle member 3 to maintain a triangular cross-sectio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mold 23 An upper mold 24 provided with a triangular cutting blade 24a to correspond to the triangular guide rail 23a of the lower mold 23, and an elevating member 25 for lifting the upper mold 24 up and down. ).

그리고 상기 이송라인(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14)와, 상기 이송롤러(1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5)을 포함하는 제3 컨베이어(11c)이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4)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2)의 양 날개의 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이송롤러(2)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는 삼각형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컨베이어(11c)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앵글부재(2)는 상기 절단기(21)의 하부금형(23)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3a)의 상면에 놓이게 되고, 상기 승강부재(25)를 이용하여 상부금형(24)을 하강시키면 상기 상부금형(24)의 하면에 구비된 커팅날(24a)이 앵글부재(2)를 절단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6, the transfer line 10 includes a frame 12 having a constant height, two supports 13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2, and the support bar 13 ) And a third conveyor 11c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14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through and a driving means 15 for rotating the transfer roller 14.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transfer roller 14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wings of the angle member 2, so that the angle member 2 transferr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roller 2 maintains a triangular shape. Is done. Therefore, the angle member 2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third conveyor 11c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23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23 of the cutter 21, and the elevating member When the upper mold 24 is lowered using (25), the cutting blade 24a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old 24 cuts the angle member 2.

그리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앵글부재(2)는 상기 제3 컨베이어(11c)를 따라 일정 길이 이송된 후 그 후단에 설치되는 제2 컨베이어(11b)로 이동한다. 상기 제2 컨베이어(11b)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17)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17)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디스크(18)와, 상기 이송디스크(18)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19)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디스크(18)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2)의 날개의 폭보다 좁고 그 지름은 상기 앵글부재(2)의 날개의 길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일측에는 이송디스크(18)의 상면에 올려있는 앵글부재(2)를 하부로 가압하여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41)가 더 설치된다. Then, the angle member 2 cut to a certain length is transferred to a certain length along the third conveyor 11c and then moves to a second conveyor 11b installed at the rear end thereof. As shown in FIG. 12, the second conveyor 11b includes a frame 12 having a constant height, two supports 17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2, and the two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fer disks 18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s 17 and a driving means 19 installed to rotate the transfer disk 18, the width of the transfer disk 18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wings of the angle member 2 and the diameter is formed higher than the length of the wings of the angle member 2. Further, at one side of the transfer disk 18, a rotating member 41 for rotating in the width direction by pressing the angle member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disk 18 downward is further installed.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재(41)는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앵글부재(2)를 하부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가압롤러(42)와, 상기 가압롤러(42)와 연결되고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가압로드(43)와, 상기 가압로드(43)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로드(43)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가압실린더(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42)의 후단에는 상기 가압롤러(42)가 상기 이송디스크(18)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별도의 구동모터(45)가 더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otating member 41 includes a plurality of pressure rollers 42 installed to press the angle member 2 transferr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disk 18 to the lower side, and the pressure roller 42 And a pressure rod 43 connected to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and a pressure cylinder 44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pressure rod 43 and installed to move the pressure rod 43 up and down. In addition, a separate drive motor 45 may be further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ressure roller 42 so that the pressure roller 42 can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nsfer disk 18.

따라서 도 1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컨베이어(11a)에서 제2 컨베이어(11b)로 넘어온 상기 앵글부재(2)는 다수의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삼각형상을 유지하면서 일정 길이 이송된다. 그리고 다수의 가압실린더(46)가 작동하여 상기 가압롤러(41)가 하방으로 일정 길이 이동시키면, 상기 가압롤러(41)가 상기 앵글부재(2)의 일측 날개(2b)의 끝부분을 아래로 가압하여 상기 앵글부재(2)가 이송디스크(45)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 1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에 놓여 있는 앵글부재(2)는 45도 정도 회전하여 상기 앵글부재(2)의 한쪽 날개(2a)는 상기 제1 컨베이어(11a)의 가이드레일(13)과 이탈방지바(14a) 사이의 가이드 홈(13a)에 수직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2 컨베이어(11b)의 구동수단(19)을 작동시키면, 상기 앵글부재(2)는 상기 이송디스크(18)의 상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천공기(31)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기(31)의 상부금형(36)을 상하로 작동시키면 상기 펀치(36a)가 앵글부재(2)의 한 쪽 날개(2a)에 일정한 간격으로 핀 홀(4)이 형성하게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2a, the angle member 2 that has passed from the third conveyor 11a to the second conveyor 11b is transferred to a certain length while maintaining a triangular shap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disks 18 do. And when a plurality of pressure cylinders 46 operate and the pressure roller 41 moves downward for a certain length, the pressure roller 41 moves the end of one wing 2b of the angle member 2 downward. Pressurized so that the angle member 2 rotates to one side around the transfer disk 45. Then, as shown in FIG. 12B, the angle member 2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disk 18 rotates about 45 degrees, and one wing 2a of the angle member 2 is the first conveyor 11a. It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3a) between the guide rail (13)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 (14a). And when the driving means 19 of the second conveyor 11b is operated in this state, the angle member 2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disk 18 and is supplied to the perforator 31. do. And when the upper mold 36 of the perforator 31 is operated up and down, the punch 36a forms a pin hole 4 at regular intervals in one wing 2a of the angle member 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라인(10)은 앵글부재(2)가 기역자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11a)와 상기 앵글부재(2)가 삼각형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11c)를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앵글부재(2)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컨베이어(11b)는 제1 및 제3 컨베이어(11a)(11c)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앵글부재(2)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용 아웃코너의 제조과정을 완전 자동화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각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를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표준제품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ransfer lin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veyor 11a for transferring while the angle member 2 maintains the shape of the character, and the first conveyor 11a for transferring the angle member 2 while maintaining the triangular shape. 3 A second conveyor 11b that includes a conveyor 11c and is capable of rotating the angle member 2 in the width direc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conveyors 11a and 11c. 2) By allowing smooth transfer of the formwork,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uter corner for formwork is completely automated, so that work is easy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and devices used in each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easily purchased on the market without using special devices. By configuring it as a standard product, the structure of the entire device is simple and inexpensive.

1: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2: 앵글부재
3: 거푸집용 아웃코너 4: 핀 홀
10: 이송라인 11: 컨베이어
11a~11f: 제1~제6 컨베이어 13: 가이드레일
13a,13b: 가이드홈 14: 이탈방지바
15: 기어 16: 구동수단
18: 이송디스크 19: 구동수단
20: 절단부 21: 절단기
23a: 가이드레일 24: 상부금형
24a: 커팅날 25: 승강부재
30: 천공부 31: 천공기
33: 센터블록 33a: 펀치홀
34: 하부금형 34a,34b: 가이드 홈
34c: 안착홈 35: 승강부재
36: 상부금형 36a: 펀치
37: 사이드블록 41: 회전부재
42: 가압롤러 43: 가압로드
44: 가압실린더 50: 도장부
53: 도장챔버 55: 도료분사기
56: 도료공급부 53: 회수판
60: 건조부 63: 건조챔버
70: 배출라인 74: 이송롤러
82: 회동프레임 84: 체인
85: 회동부재 85a: 승강실린더
93: 회전축 95: 체인
1: Automatic out-corner manufacturing device for formwork 2: Angle member
3: Outer corner for formwork 4: Pin hole
10: transfer line 11: conveyor
11a~11f: 1st~6th conveyor 13: guide rail
13a, 13b: guide groove 14: departure prevention bar
15: gear 16: drive means
18: transfer disk 19: drive means
20: cut 21: cutter
23a: guide rail 24: upper mold
24a: cutting blade 25: lifting member
30: perforation part 31: perforator
33: center block 33a: punch hole
34: lower mold 34a, 34b: guide groove
34c: seating groove 35: elevating member
36: upper mold 36a: punch
37: side block 41: rotating member
42: pressure roller 43: pressure rod
44: pressure cylinder 50: painting part
53: painting chamber 55: paint sprayer
56: paint supply unit 53: recovery plate
60: drying unit 63: drying chamber
70: discharge line 74: transfer roller
82: rotating frame 84: chain
85: rotating member 85a: lifting cylinder
93: rotary shaft 95: chain

Claims (11)

두 개의 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를 일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천공기로 이루어져 상기 앵글부재의 양쪽 날개에 다수의 핀 홀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천공부와;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도장챔버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핀 홀이 형성된 상기 앵글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페인트를 도포하는 도장부와;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건조챔버로 이루어져 상기 도장부에서 도장된 페인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완성된 거푸집용 아웃코너를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A transfer lin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veyors in a line so as to transfer the angle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two w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erforation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perforator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to form a plurality of pin holes in both wings of the angle memb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ainting part comprising one or more painting chambers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to apply a predetermined paint to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in which the plurality of pin holes are formed;
A drying unit consisting of one or more drying chambers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line to dry the painted paint in the painting unit;
And a discharge l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veyors to transport the outer corner for the formwork completed in the drying uni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port li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가 기역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상기 앵글부재의 한쪽 날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이탈방지바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면과 상기 이탈방지바 사이의 가이드홈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상기 날개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와, 상기 다수 개의 기어를 회전시켜서 상기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1 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며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 가운데에 설치된 사각 형상의 센터블록과, 상기 센터블록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터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가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센터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앵글부재의 다른 쪽 날개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터블록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상기 앵글부재의 다른 쪽 날개에 핀 홀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펀치가 설치된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천공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forated portion includes a frame having a certain height, a guide rail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upper end of the frame and supporting the angle member so as to maintain the shape, and one wing of the angle member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A plurality of separation prevention b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possible, and a plurality of blade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 A first conveyor comprising a gear and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plurality of gears to transfer the angle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rame installed along the first conveyor and having a constant height, a square-shaped center block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wings of the angle member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block and between the center block A guide groove is formed with a certain width so that the can be inserted vertically, and a seating groove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so that the other wing of the angle member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lying horizont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A mold, a lower mold installed above the lower mold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punch forming a pin hole in the other wing of the angle member, which is horizontally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lock, and the upper mold is raised and lowered. Formwork out-corner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perforator consisting of a lifting member installed to be able to.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디스크와, 상기 이송디스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디스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폭보다 좁고 그 지름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길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앵글부재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foration portion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veyor,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wo suppor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a plurality of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two supports It includes a transfer disk and a driving means installed to rotate the transfer disk, wherein the width of the transfer disk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s of the angle member and the diameter thereof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length of the blades of the angle member. An automatic out-corn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formwork,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vey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pable of rotating the angle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롤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양 날개의 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3 컨베이어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3 컨베이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앵글부재의 상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상부분사기와 상기 앵글부재의 하면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하부분사기로 이루어진 도료분사기와,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소정의 페인트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내의 페인트를 상기 도료분사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공급호스와 상기 공급호스 상에 설치된 펌프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도장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도장챔버의 바닥에는 상기 도료분사기에서 분사되어 떨어지거나 상기 앵글부재의 표면에서 떨어지는 페인트를 받아서 상기 저장탱크로 회수하는 회수판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ainting unit includes a fram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veyor,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wo suppor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A third conveyor comprising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transfer roller, wherein a width of the transfer roller is greater than a width between both wings of the angle member;
It is installed so as to wrap the third conveyor, and has an upper sprayer for spraying pai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gle member, which is transported longitudinally along the third conveyor, and a lower part sprayer for spraying pai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ngle member. One consisting of a paint sprayer, a storage tank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rd conveyor and storing a predetermined paint, a supply hose connected to supply the paint in the storage tank to the paint sprayer, and a pump installed on the supply hose The outer corner for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a recovery plate for receiving the paint sprayed from the paint sprayer or falling off the surface of the angle member and recovering it to the storage tank is installed at an angle on the bottom of the painting chamber. Automatic manufacturing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제3 컨베이어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송풍기와 히터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건조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챔버의 바닥에는 상기 앵글부재에서 떨어지는 페인트를 회수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판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drying unit is installed to wrap the third conveyor, and includes at least one drying chamber having a plurality of blowers and heaters therein, and at the bottom of the drying chamber, the paint dripping from the angle member can be recovered. Out-corner automatic manufacturing device for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swash plate is installed inclined at a certain angle.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라인은, 상기 이송라인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앵글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4 컨베이어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상면에 놓여 있는 상기 앵글부재를 들어서 상기 앵글부재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5 컨베이어와, 상기 제5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를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송하는 제6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discharge line includes a fourth conveyor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transfer line to transfer the angle member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ngle member installed inside the fourth conveyor an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conveyor. For example, it includes a fifth conveyor for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ngle member, and a sixth convey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fth conveyor and transferring the angle member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fer line. An automatic out-corner manufacturing device for formwork, characterized by.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컨베이어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라인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이송롤러와, 상기 두 개의 이송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ourth conveyor includes a frame having a certain height, two support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and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line, and two supports rotatably instal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wo supports. And a driving means installed to rotate the two conveying rollers and the two conveying roller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컨베이어는, 상기 제4 컨베이어의 두 개의 지지대 사이의 내측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좌우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지지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체인과, 상기 두 개의 체인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일측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한 쪽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실린더와, 상기 제4 컨베이어의 일측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컨베이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앵글부재의 선단과 접촉하여 상기 구동모터와 승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단에는 하부로 로드가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로드의 하단에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일측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fifth conveyor includes a rotating frame installed to be rotatable up and down inside between two supports of the fourth conveyor, a sprocket rotatably installed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otating frame, and between the sprockets. Two chains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wo supports, a drive motor installed to rotate the two chains, and one side of the rotating frame fixed to one support of the fourth conveyor Contact to operate the driving motor and the lifting cylinder by contacting the front end of the lifting cylinder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the angle member installed on one side support of the fourth conveyor and transfer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ourth conveyor Including a sensor, wherein the rod extends a certain length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cylinder, and a protrusion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so as to contact one side of the rotating frame. Manufacturing equipmen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컨베이어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체인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ixth conveyor includes a frame having a certain height, two rotation shafts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rame, sprockets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line by being connected between the sprockets Out-corner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chains installed as and a drive motor installed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소정의 앵글부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단부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롤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양 날개의 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3 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앵글부재가 삼각형상의 단면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삼각형상의 하부금형에 대응하도록 커팅날이 형성된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절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utting portion installed in front of the perforated portion to cut a predetermined angle member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cutting unit includes a frame having a certain height, two suppor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and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transfer roller Including, wherein the width of the transfer roller is a third conveyor that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wings of the angle member;
A frame installed along the third conveyor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lower mold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supporting the angle member to maintain a triangular cross section; Out for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mold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mold and having a cutting blade formed thereon to correspond to the triangular lower mold, and at least one cutter including an elevating member for lifting the upper mold up and down. Corner automatic manufacturing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와 상기 천공부 사이에는, 일정한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대와, 상기 두 개의 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디스크와, 상기 이송디스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디스크의 폭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폭보다 좁고 그 지름은 상기 앵글부재의 날개의 길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앵글부재를 폭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아웃코너 자동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Between the cutting portion and the perforated portion, a frame having a certain height, two support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 plurality of transfer disk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two supports, and the It includes a driving means installed to rotate the transfer disk, the width of the transfer disk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blade of the angle member, the diameter of the secon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higher than the length of the blade of the angle member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ducing an out-corner for a formwork, further comprising a conveyor, wherein the angle member is rotated in a width direction and transferr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190059238A 2019-05-21 2019-05-21 Apparatus for producing for a foam out cornermember KR102250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38A KR102250113B1 (en) 2019-05-21 2019-05-21 Apparatus for producing for a foam out corner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38A KR102250113B1 (en) 2019-05-21 2019-05-21 Apparatus for producing for a foam out corner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932A true KR20200133932A (en) 2020-12-01
KR102250113B1 KR102250113B1 (en) 2021-05-07

Family

ID=7379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238A KR102250113B1 (en) 2019-05-21 2019-05-21 Apparatus for producing for a foam out cornermem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11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519B1 (en) 2004-05-11 2006-01-11 김성기 Apparatus for producing a out corner for a building
KR100628352B1 (en) 2005-05-31 2006-09-27 정덕순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foam out corner member
KR100977029B1 (en) * 2010-01-15 2010-08-19 본 춘 구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mould in-corner
KR101308670B1 (en) * 2013-01-25 2013-09-13 (주) 선우 Section shape steel processing apparatus
KR20150114165A (en) * 2014-04-01 2015-10-12 (주)엔하이코리아 Composite processing equipment
KR101806087B1 (en) * 2017-09-19 2017-12-08 이재천 Inside corner form powder coa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519B1 (en) 2004-05-11 2006-01-11 김성기 Apparatus for producing a out corner for a building
KR100628352B1 (en) 2005-05-31 2006-09-27 정덕순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foam out corner member
KR100977029B1 (en) * 2010-01-15 2010-08-19 본 춘 구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mould in-corner
KR101308670B1 (en) * 2013-01-25 2013-09-13 (주) 선우 Section shape steel processing apparatus
KR20150114165A (en) * 2014-04-01 2015-10-12 (주)엔하이코리아 Composite processing equipment
KR101806087B1 (en) * 2017-09-19 2017-12-08 이재천 Inside corner form powder coa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113B1 (en)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539879A1 (en) DEVICE FOR SLIP-FREE CONVEYING TWO TABLETS, ESPECIALLY GLASS TABLETS
DE2902092A1 (en) SPRAYING DEVICE FOR APPLYING INGREDIENTS ON FOOD
KR102250113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for a foam out cornermember
US20090095172A1 (en) Pallet paint and stencil apparatus and method
US201501970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Boards Using Low Friction Surfaces
KR20170049835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ainting adhesive type flud on band
WO2018073776A1 (en) Station for applying fluid substances to stone materials
KR101475488B1 (en) Laminating equipment of panel surface
EP0230142B1 (en) Apparatus for applying adhesive to buffed tyre for retreading
CN204823432U (en) Automatic tectorial membrane device of SCR denitration catalyst
KR100628352B1 (en)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foam out corner member
DE3730923A1 (en) Apparatus for the cutting to size and joining together of strip material
DE197048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insulating glass panes
CN210795014U (en) Brick stacking machine sprays maintenance mechanism
CN203426025U (en) Equipment for coating powder on single side of plate product and drying plate product
KR200396160Y1 (en)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foam out corner member
DE197048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insulating glass panes
CN205547291U (en) Two leg scissors devices on mushroom
KR102609453B1 (en) Equipment for manufacturing shing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hingle using the same
CN212682429U (en) Sintering furnace powder laying device for production of bimetallic bearing
KR102350132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od material
JP2003175349A (en) Apparatus for marking steel product
KR200401288Y1 (en) Feeder of solid wooden patterns board for parquet manufacturing
JP5603086B2 (en) Shari-ball forming method and shari-ball forming apparatus
AT504037A1 (en) APPENDIX FOR PRODUCING WAFFLE CU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