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084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084A
KR20200133084A KR1020190057403A KR20190057403A KR20200133084A KR 20200133084 A KR20200133084 A KR 20200133084A KR 1020190057403 A KR1020190057403 A KR 1020190057403A KR 20190057403 A KR20190057403 A KR 20190057403A KR 20200133084 A KR20200133084 A KR 20200133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ttom portion
circuit board
side wall
mai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용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3084A/ko
Priority to PCT/KR2020/005101 priority patent/WO2020231026A1/ko
Priority to US17/437,945 priority patent/US11764527B2/en
Priority to CN202080036548.5A priority patent/CN114008867A/zh
Publication of KR2020013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제1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바닥부와 마주하는 제2 바닥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접촉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는 제1 폭을 갖는 제1 부분 측벽부 및 상기 제1 폭과 상이한 제2 폭을 갖는 제2 부분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결합 안정성이 향상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표시패널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게이트라인들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된다. 표시패널의 동작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는 커넥터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개발 및 제조과정에서 상기 표시패널의 동작 특성을 검증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표시패널을 검증하는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 안정성이 향상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제1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바닥부와 마주하는 제2 바닥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접촉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는 제1 폭을 갖는 제1 부분 측벽부 및 상기 제1 폭과 상이한 제2 폭을 갖는 제2 부분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제2 바닥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1 바닥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부는 상기 제1 부분 측벽부와 인접하고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제2 부분 측벽부와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바닥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1 부분 측벽부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 측벽부 및 상기 제2 부분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부분 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 측벽부는 제3 폭을 가지고 상기 제3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 측벽부, 상기 제2 부분 측벽부, 및 상기 제3 부분 측벽부는 계단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3 부분 측벽부 사이의 거리는 0.6mm일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부분 측벽부 사이의 거리는 0.8mm일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바닥부 사이의 거리는 1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제1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바닥부와 마주하는 제2 바닥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접촉단자,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측벽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제2 바닥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1 바닥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부는 탄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바닥부의 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부의 제1 단부는 상기 제2 바닥부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 조절부의 제2 단부는 상기 제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를 회전시키는 다이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는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3 거리를 가지는 계단식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거나, 제1 바닥부 및 제2 바닥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는 메인회로기판의 두께에 상관 없이 메인 회로 기판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회로기판과 커넥터의 접촉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모듈에 연결된 표시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회로기판 및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투과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커넥터에 결합된 메인회로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투과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커넥터에 결합된 메인회로기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표시장치를 비롯하여, 휴대폰,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표시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스마트폰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표시장치(DD)는 전면에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면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에 평행하게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면은 투과영역(TA) 및 투과영역(TA)과 인접한 베젤영역(BZ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투과영역(TA)에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은 정적 영상과 동적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서 영상(IM)의 일 예로 시계창 및 아이콘들이 도시되었다.
투과영역(TA)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투과영역(T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베젤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에 인접할 수 있다.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도시한 것으로,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면의 법선 방향은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DR3, 이하, 제3 방향)과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면과 상기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할 수 있다.
한편,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을 평면이라 정의하고, "평면 상에서 보았다"는 것은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입력(TC)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는 표시장치(DD)에 접촉하는 입력은 물론, 근접하거나 인접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윈도우(100), 표시모듈(200), 및 외부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100)와 외부케이스(300)는 결합되어 표시장치(DD)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표시모듈(200) 위에 배치되어 표시모듈(200)의 전면(IS)을 커버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00)은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다층 또는 단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00)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가지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윈도우(100)는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F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전면(FS)은 실질적으로 윈도우의 전면(FS)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표시모듈(200)은 영상(IM)을 표시하고, 외부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모듈(200)은 표시영역(AA) 및 비표시영역(NAA)를 포함하는 전면(I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영역(A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동시에 외부입력(TC)이 감지되는 영역일 수 있다. 투과영역(TA)은 표시영역(AA)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영역(TA)은 표시영역(AA)의 전면 또는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과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하거나, 외부입력(TC)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표시영역(AA) 내에서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과 외부입력(TC)이 감지되는 영역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비표시영역(NAA)은 베젤영역(BZA)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NAA)은 표시영역(AA)에 인접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NAA)은 표시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비표시영역(NAA)에는 표시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나 구동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모듈(200)은 표시영역(AA) 및 비표시영역(NAA)이 윈도우(100)를 향하는 평탄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표시모듈(200) 중 비표시영역(NAA)의 일부는 휘어질 수 있다. 이 때, 비표시영역(NAA) 중 일부는 표시장치(DD)의 배면을 향하게 되어, 표시장치(DD)의 일부도 휘어진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200)에 있어서 비표시영역(NAA)은 생략될 수 있다.
표시모듈(200)은 표시패널(DP) 및 구동회로(2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수광형 표시패널 또는 발광형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광형 표시패널은 예를 들어 액정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발광형 표시패널은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패널(DP)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패널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표시패널(DP)은 표시유닛(210) 및 감지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유닛(210)은 실질적으로 영상(IM)을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유닛(210)이 생성하는 영상(IM)은 투과영역(TA)을 통해 전면(IS)에 표시되어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감지유닛(22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구동회로(230)는 표시유닛(210) 및 감지유닛(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회로(230)는 제1 회로기판(CF1), 제2 회로기판(CF2), 및 메인회로기판(M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CF1)은 표시유닛(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CF1)은 표시유닛(210)과 메인회로기판(MB)을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로기판(CF1)은 연성 회로 필름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회로기판(CF1)은 리지드한 기판일 수 있다.
제1 회로기판(CF1)은 비표시영역(NAA)에 배치될 표시유닛(210)의 패드들(표시패드들)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CF1)은 표시유닛(210)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표시유닛(210)에 제공할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제1 회로기판(CF1)에서 생성되거나 메인회로기판(MB)에서 생성될 수 있다.
제2 회로기판(CF2)은 감지유닛(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로기판(CF2)은 감지유닛(220)과 메인회로기판(MB)을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회로기판(CF2)은 연성 회로 필름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2 회로기판(CF2)은 메인회로기판(MB)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제2 회로기판(CF2)은 리지드한 기판일 수 있다.
제2 회로기판(CF2)은 비표시영역(NAA)에 배치될 감지유닛(220)의 패드들(감지패드들)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회로기판(CF2)은 감지유닛(220)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감지유닛(220)에 제공할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제2 회로기판(CF2)에서 생성되거나 메인회로기판(MB)에서 생성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은 표시모듈(200)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회로나 전원 공급을 위한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CF1) 및 제2 회로기판(CF2)은 각각 메인회로기판(MB)에 접속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200)에 있어서, 표시유닛(210)과 감지유닛(220)은 서로 다른 메인회로기판(MB)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회로기판(CF2)은 메인회로기판(MB)에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케이스(300)는 표시모듈(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300)는 윈도우(100)와 함께 표시장치(DD)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300)는 표시모듈(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진 외부케이스(300)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외부케이스(300)는 서로 조립되는 복수 개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케이스(300)는 글라스, 플라스틱, 메탈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300)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모듈(200)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모듈에 연결된 표시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모듈(200)은 신호케이블(SC)을 통해 검사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케이블(SC)은 표시모듈(200)에 검사구동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신호케이블(SC)은 커넥터(CN), 케이블(CB), 및 검사커넥터(CNT)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CN)는 메인회로기판(MB)과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CB)은 커넥터(CN) 및 검사커넥터(CNT)를 연결할 수 있다. 검사커넥터(CNT)는 검사모듈(400)과 연결될 수 있다.
검사모듈(400)은 표시모듈(200)에 대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검사모듈(400)은 검사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제어회로로부터 상기 검사구동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검사구동신호는 표시모듈(2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검사구동신호를 수신 받은 표시모듈(200)은 구동되어 표시영역(AA)에 테스트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사제어회로로부터 발생한 상기 검사구동신호를 기초로 표시모듈(20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회로기판 및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CN)는 메인회로기판(MB)과 결합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은 복수의 패드부들(PD)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패드부들(PD)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7개의 패드부들(PD)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패드부들(PD)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넥터(CN)는 하우징(HS) 및 복수의 접촉단자들(CT)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S)은 커넥터(CN)의 외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접촉단자들(CT)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7개의 접촉단자들(CT)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접촉단자들(CT)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패드부들(PD)은 복수의 접촉단자들(CT)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패드부들(PD, 이하 패드부로 설명)은 복수의 접촉단자들(CT, 이하 접촉단자로 설명)과 일대응 대응되어 접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투과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CN)는 하우징(HS) 및 접촉단자(CT)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S)은 측벽부(SW), 측벽부(SW)로부터 돌출된 제1 바닥부(BP1), 및 측벽부(SW)로부터 돌출되며 제1 바닥부(BP1)와 마주하는 제2 바닥부(BP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SW)는 제1 부분 측벽부(SWa), 제2 부분 측벽부(SWb), 및 제3 부분 측벽부(SW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 측벽부(SWa)는 제1 폭(WD1)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 측벽부(SWb)는 제2 폭(WD2)을 가질 수 있다. 제3 부분 측벽부(SWc)는 제1 부분 측벽부(SWa) 및 제2 부분 측벽부(SW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분 측벽부(SWc)는 제3 폭(WD3)을 가질 수 있다.
제1 폭(WD1)은 제2 폭(WD2)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폭(WD3)은 제1 폭(WD1)보다 크고 제2 폭(WD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부분 측벽부(SWa), 제2 부분 측벽부(SWb), 및 제3 부분 측벽부(SWc)는 계단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닥부(BP1)는 제1 부분 측벽부(SWa)와 인접할 수 있다. 제2 바닥부(BP2)는 제2 부분 측벽부(SWb)와 인접할 수 있다. 제1 바닥부(BP1) 및 제2 바닥부(BP2) 사이의 제1 거리(DS1)는 제1 바닥부(BP1) 및 제2 부분 측벽부(SWb) 사이의 제2 거리(DS2)보다 클 수 있다. 제1 바닥부(BP1) 및 제2 부분 측벽부(SWb) 사이의 제2 거리(DS2)는 제1 바닥부(BP1) 및 제3 부분 측벽부(SWc) 사이의 제3 거리(DS3)보다 클 수 있다.
측벽부(SW), 제1 바닥부(BP1), 및 제2 바닥부(BP2)에 의해 내부 공간(SP)이 정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측벽부(SW)가 서로 다른 폭들을 갖는 제1 내지 제3 부분 측벽부들(SWa, SWb, SWc)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측벽부(SW)는 서로 다른 폭들을 갖는 2 개의 부분 측벽부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폭들을 갖는 4 개 이상의 부분 측벽부들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접촉단자(CT)는 내부 공간(SP)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단자(CT)는 제2 바닥부(BP2)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단자(CT)의 단부는 패드부(PD, 도 5 참조)와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제2 바닥부(BP2)로부터 제1 바닥부(BP1)를 향해 제3 방향(DR3)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HS)의 내부에 홈(HM)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HS)의 제2 바닥부(BP)에 홈(HM)이 정의될 수 있다. 하우징(HS)에 메인회로기판(MB, 도 5 참조)이 삽입될 때, 접촉단자(CT)는 홈(HM)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바닥부(BP2)의 두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닥부(BP2)의 홈(HM)이 정의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DK1)는 홈(HM)이 정의된 부분의 제2 바닥부(BP2)의 두께(DK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회로기판(MB, 도 5 참조)이 삽입되어 패드부(PD, 도 5 참조)와 접촉할 때, 접촉단자(CT)는 제3 방향(DR3)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접촉단자(CT)는 움직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접촉단자(CT)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 패드부(PD, 도 5 참조)와 접촉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단자(CT)는 패드부(PD, 도 5 참조)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커넥터에 결합된 메인회로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메인회로기판(MB-1)은 커넥터(CN)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분 측벽부(SWb)의 측면(SWb-S)은 메인회로기판(MB-1)의 측면(MB-1S)과 마주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1)은 패드부(PD-1)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PD-1)는 접촉단자(CT)와 접촉할 수 있다. 패드부(PD-1)는 접촉단자(C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검사구동신호는 접촉단자(CT)를 통해 패드부(PD-1)로 전달될 수 있다. 패드부(PD-1)로 전달된 상기 검사구동신호는 메인회로기판(MB-1)을 통해 표시모듈(200, 도 3 참조)로 전달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1)의 두께(MD1)는 1mm일 수 있다. 제1 거리(DS1)는 1mm일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1)의 두께(MD1) 및 제1 거리(DS1)는 동일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1)은 하우징(HS)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b를 참조하면, 메인회로기판(MB-2)은 커넥터(CN)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3 부분 측벽부(SWc)의 측면(SWc-S)은 메인회로기판(MB-2)의 측면(MB-2S)과 마주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2)은 패드부(PD-2)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PD-2)는 접촉단자(CT)와 접촉할 수 있다. 패드부(PD-2)는 접촉단자(C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검사구동신호는 접촉단자(CT)를 통해 패드부(PD-2)로 전달될 수 있다. 패드부(PD-2)로 전달된 상기 검사구동신호는 메인회로기판(MB-2)을 통해 표시모듈(200, 도 3 참조)로 전달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2)의 두께(MD2)는 0.8mm일 수 있다. 제2 거리(DS2)는 0.8mm일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2)의 두께(MD2) 및 제2 거리(DS2)는 동일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2)은 하우징(HS)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c를 참조하면, 메인회로기판(MB-3)은 커넥터(CN)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분 측벽부(SWa)의 측면(SWa-S)은 메인회로기판(MB-3)의 측면(MB-3S)과 마주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3)은 패드부(PD-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PD-3)는 접촉단자(CT)와 접촉할 수 있다. 패드부(PD-3)는 접촉단자(C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검사구동신호는 접촉단자(CT)를 통해 패드부(PD-3)로 전달될 수 있다. 패드부(PD-3)로 전달된 상기 검사구동신호는 메인회로기판(MB-3)을 통해 표시모듈(200, 도 3 참조)로 전달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3)의 두께(MD3)는 0.6mm일 수 있다. 제3 거리(DS3)는 0.6mm일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3)의 두께(MD3) 및 제3 거리(DS3)는 동일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3)은 하우징(HS)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커넥터(CN)에 연결 가능한 메인회로기판(MB, 도 4 참조)의 두께는 특정 두께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 내부의 공간이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메인회로기판(MB, 도 4 참조)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 이하인 경우, 메인회로기판(MB, 도 4 참조)은 상기 커넥터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메인회로기판(MB, 도 4 참조)과 상기 커넥터 사이의 고정력이 감소하여 접촉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또한, 메인회로기판(MB, 도 4 참조)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 이상인 경우, 메인회로기판(MB, 도 4 참조)이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CN)의 하우징(HS)의 측벽은 계단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메인회로기판들(MB-1, MB-2, MB-3)이 커넥터(CN)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CN)는 메인회로기판들(MB-1, MB-2, MB-3) 각각과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커넥터(CN)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투과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넥터(CN-1)는 하우징(HS-1), 접촉단자(CT-1), 제어부(CR), 및 간격 조절부(TS)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S-1)은 측벽부(SW-1), 측벽부(SW-1)로부터 돌출된 제1 바닥부(BP1-1), 및 측벽부(SW-1)로부터 돌출되며 제1 바닥부(BP1-1)와 마주하는 제2 바닥부(BP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닥부(BP2-1)는 측벽부(SW-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3 방향(DR3)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측벽부(SW-1), 제1 바닥부(BP1-1), 및 제2 바닥부(BP2-1)에 의해 내부 공간(SP-1)이 정의될 수 있다.
접촉단자(CT-1)는 내부 공간(SP-1)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단자(CT-1)는 제2 바닥부(BP2-1)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단자(CT-1)의 단부는 패드부(PD, 도 5 참조)와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제2 바닥부(BP2-1)로부터 제1 바닥부(BP1-1)를 향해 제3 방향(DR3)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어부(CR)는 간격 조절부(TS)에 결합되어 제1 바닥부(BP1-1) 및 제2 바닥부(BP2-1)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CR)는 간격 조절부(TS)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간격 조절부(TS)는 하우징(HS-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조절부(TS)는 탄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조절부(TS)는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절부(TS)는 제1 단부(TS-1) 및 제2 단부(T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TS-1)는 제2 바닥부(BP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단부(TS-2)는 제어부(CR)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부(CR)는 측벽부(SW-1)의 일면에 배치된 다이얼(DR)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R)는 상기 다이얼(DR)을 회전하여 간격 조절부(TS)에 가해지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이얼(DR)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제어부(CR)는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단부(TS-2)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단부(TS-2)에 전달된 상기 힘에 의해 간격 조절부(TS)는 압축될 수 있다. 간격 조절부(TS)가 압축되어 제2 바닥부(BP2-1)는 제1 바닥부(BP1-1)와 가까워지는 제3 방향(DR3)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제2 바닥부(BP2-1)는 제1 바닥부(BP1-1)와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1 바닥부(BP1-1) 및 제2 바닥부(BP2-1) 사이의 거리는 가까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이얼(DR)을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제어부(CR)는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힘을 제2 단부(TS-2)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단부(TS-2)에 전달된 상기 힘에 의해 간격 조절부(TS)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될 수 있다. 간격 조절부(TS)가 복구되어 제2 바닥부(BP2-1)는 제1 바닥부(BP1-1)와 멀어지는 제3 방향(DR3)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제2 바닥부(BP2-1)는 제1 바닥부(BP1-1)와 멀어지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1 바닥부(BP1-1) 및 제2 바닥부(BP2-1) 사이의 거리는 멀어질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커넥터에 결합된 메인회로기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8 및 도 9a를 참조하면, 메인회로기판(MB-1)은 커넥터(CN-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1)은 패드부(PD-1)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PD-1)는 접촉단자(CT)와 접촉할 수 있다. 패드부(PD-1)는 접촉단자(C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검사구동신호는 접촉단자(CT)를 통해 패드부(PD-1)로 전달될 수 있다. 패드부(PD-1)로 전달된 상기 검사구동신호는 메인회로기판(MB-1)을 통해 표시모듈(200, 도 3 참조)로 전달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1)의 두께(MD1)는 1mm일 수 있다. 제어부(CR)는 다이얼(DR)을 통해 간격 조절부(TS)의 형상을 제어하여 제1 바닥부(BP1-1) 및 제2 바닥부(BP2-1) 사이의 제1 거리(DS1-1)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거리(DS1-1)는 1mm일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1)의 두께(MD1) 및 제1 거리(DS1-1)는 동일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1)은 제1 바닥부(BP1-1) 및 제2 바닥부(BP2-1)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b를 참조하면, 메인회로기판(MB-2)은 커넥터(CN-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2)은 패드부(PD-2)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PD-2)는 접촉단자(CT)와 접촉할 수 있다. 패드부(PD-2)는 접촉단자(C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검사구동신호는 접촉단자(CT)를 통해 패드부(PD-2)로 전달될 수 있다. 패드부(PD-2)로 전달된 상기 검사구동신호는 메인회로기판(MB-2)을 통해 표시모듈(200, 도 3 참조)로 전달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2)의 두께(MD2)는 0.8mm일 수 있다. 제어부(CR)는 다이얼(DR)을 통해 간격 조절부(TS)의 형상을 제어하여 제1 바닥부(BP1-1) 및 제2 바닥부(BP2-1) 사이의 제2 거리(DS2-1)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거리(DS2-1)는 0.8mm일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2)의 두께(MD2) 및 제2 거리(DS2-1)는 동일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2)은 제1 바닥부(BP1-1) 및 제2 바닥부(BP2-1)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c를 참조하면, 메인회로기판(MB-3)은 커넥터(CN-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3)은 패드부(PD-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PD-3)는 접촉단자(CT)와 접촉할 수 있다. 패드부(PD-3)는 접촉단자(C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검사구동신호는 접촉단자(CT)를 통해 패드부(PD-3)로 전달될 수 있다. 패드부(PD-3)로 전달된 상기 검사구동신호는 메인회로기판(MB-3)을 통해 표시모듈(200, 도 3 참조)로 전달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3)의 두께(MD3)는 0.6mm일 수 있다. 제어부(CR)는 다이얼(DR)을 통해 간격 조절부(TS)의 형상을 제어하여 제1 바닥부(BP1-1) 및 제2 바닥부(BP2-1) 사이의 제3 거리(DS3-1)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거리(DS3-1)는 0.6mm일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3)의 두께(MD3) 및 제3 거리(DS3-1)는 동일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B-3)은 제1 바닥부(BP1-1) 및 제2 바닥부(BP2-1)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커넥터(CN-1)에 연결 가능한 메인회로기판(MB, 도 4 참조)의 두께는 특정 두께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 내부의 공간이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메인회로기판(MB, 도 4 참조)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 이하인 경우, 메인회로기판(MB, 도4 참조)은 상기 커넥터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메인회로기판(MB, 도 4 참조)과 상기 커넥터 사이의 고정력이 감소하여 접촉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또한, 메인회로기판(MB, 도 4 참조)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 이상인 경우, 메인회로기판(MB, 도4 참조)은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CN-1)의 제1 바닥부(BP1-1) 및 제2 바닥부(BP2-1) 사이의 거리는 간격 조절부(TS)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메인회로기판들(MB-1, MB-2, MB-3)이 커넥터(CN-1)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CN-1)는 메인회로기판들(MB-1, MB-2, MB-3) 각각과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커넥터(CN-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HS: 하우징 SW: 측벽부
BP1: 제1 바닥부 BP2: 제2 바닥부
SP: 내부 공간 CT: 접촉단자
SWa: 제1 부분 측벽부 SWb: 제2 부분 측벽부
WD1: 제1 폭 WD2: 제2 폭
SWc: 제3 부분 측벽부 WD3: 제3 폭
TS: 간격 조절부 CR: 제어부

Claims (20)

  1. 측벽부,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제1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바닥부와 마주하는 제2 바닥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제1 폭을 갖는 제1 부분 측벽부; 및
    상기 제1 폭과 상이한 제2 폭을 갖는 제2 부분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제2 바닥부에 배치되는 커넥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1 바닥부를 향해 돌출된 커넥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부는 상기 제1 부분 측벽부와 인접하고,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제2 부분 측벽부와 인접한 커넥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커넥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바닥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1 부분 측벽부 사이의 거리보다 큰 커넥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측벽부 및 상기 제2 부분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부분 측벽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 측벽부는 제3 폭을 가지고,
    상기 제3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커넥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측벽부, 상기 제2 부분 측벽부, 및 상기 제3 부분 측벽부는 계단식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3 부분 측벽부 사이의 거리는 0.6mm인 커넥터.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부분 측벽부 사이의 거리는 0.8mm인 커넥터.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바닥부 사이의 거리는 1mm인 커넥터.
  13. 측벽부,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제1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바닥부와 마주하는 제2 바닥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접촉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커넥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닥부는 상기 측벽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커넥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제2 바닥부에 배치되는 커넥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1 바닥부를 향해 돌출된 커넥터.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탄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커넥터.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바닥부의 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의 제1 단부는 상기 제2 바닥부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 조절부의 제2 단부는 상기 제어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를 회전시키는 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190057403A 2019-05-16 2019-05-16 커넥터 KR20200133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403A KR20200133084A (ko) 2019-05-16 2019-05-16 커넥터
PCT/KR2020/005101 WO2020231026A1 (ko) 2019-05-16 2020-04-16 커넥터
US17/437,945 US11764527B2 (en) 2019-05-16 2020-04-16 Connector
CN202080036548.5A CN114008867A (zh) 2019-05-16 2020-04-16 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403A KR20200133084A (ko) 2019-05-16 2019-05-16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084A true KR20200133084A (ko) 2020-11-26

Family

ID=7328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403A KR20200133084A (ko) 2019-05-16 2019-05-16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64527B2 (ko)
KR (1) KR20200133084A (ko)
CN (1) CN114008867A (ko)
WO (1) WO20202310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1493Y2 (ja) * 1993-05-21 1999-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1250994A (ja) * 1998-03-03 1999-09-17 Harness Syst Tech Res Ltd シールド電線の分岐接続用コネクタ
US7021971B2 (en) * 2003-09-11 2006-04-04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Dual-personality extended-USB plug and receptacle with PCI-Express or Serial-At-Attachment extensions
US7440287B1 (en) * 2000-01-06 2008-10-21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Extended USB PCBA and device with dual personality
JP4297633B2 (ja) * 2001-07-12 2009-07-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6738259B2 (en) * 2001-11-19 2004-05-18 Imation Corp. Apparatus supporting multiple memory card formats
JP2003282181A (ja) * 2002-03-26 2003-10-03 Funa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06114317A (ja) 2004-10-14 2006-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電子装置および回路基板
JP4455406B2 (ja) 2005-05-30 2010-04-21 京セラケミカル株式会社 コネクタケーブル
JP4906666B2 (ja) * 2006-11-10 2012-03-28 株式会社ヨコオ 中継コネクター
JP4845031B2 (ja) 2006-11-10 2011-12-28 株式会社ヨコオ 中継コネクター
US7656179B2 (en) * 2006-11-10 2010-02-02 Yokowo Co., Ltd. Relay connector having a pin block and a floating guide with guide hole
US8087227B2 (en) 2010-04-30 2012-01-03 Schmiedestuck-Vertrieb Feuerstein Gmbh Connector
JP2014175271A (ja) 2013-03-13 2014-09-22 Ricoh Co Ltd 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5897065B2 (ja) 2014-05-28 2016-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ユニット
JP6282565B2 (ja) 2014-09-22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866492B1 (ko) * 2015-12-31 2018-06-12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US9985371B1 (en) 2017-04-11 2018-05-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6899583B2 (ja) 2017-08-07 2021-07-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941073B1 (ko) 2017-12-04 2019-0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1026A1 (ko) 2020-11-19
US11764527B2 (en) 2023-09-19
US20220173554A1 (en) 2022-06-02
CN114008867A (zh)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2752B2 (en) Display panel
US9928762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circuit light shields
JP5252431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197125A (ja) 液晶表示装置
WO2018135362A1 (ja) 表示装置
US20150077624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iasing Structure
KR20160072371A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65889A1 (zh) Lcd显示器件及电子设备
CN111064829B (zh) 一种显示装置及终端设备
CN105164578A (zh) 漏光减少的液晶显示器
JP7064264B2 (ja) 表示装置
US868128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769099B (zh) 电子设备
JP2016197174A (ja) 医療用モニター、電子機器、及び映像表示ユニット
KR20160084746A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00133084A (ko) 커넥터
US20170005116A1 (en) Displays Having Substrate Ledge Support
KR20180003370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백 라이트 유닛 및 가요성 인쇄회로
JP200710256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の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JP2008209792A (ja) 液晶表示装置
KR2011001679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220225509A1 (en) Supporter for electronic component
KR20210010713A (ko) 표시 장치
KR20220058784A (ko)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106869A (ko) 표시 모듈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