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792A - 조립형 마운팅-너트 - Google Patents

조립형 마운팅-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792A
KR20200132792A KR1020200147526A KR20200147526A KR20200132792A KR 20200132792 A KR20200132792 A KR 20200132792A KR 1020200147526 A KR1020200147526 A KR 1020200147526A KR 20200147526 A KR20200147526 A KR 20200147526A KR 20200132792 A KR20200132792 A KR 20200132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nut
washer member
counterpar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송남
Original Assignee
조송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송남 filed Critical 조송남
Priority to KR1020200147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2792A/ko
Publication of KR2020013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one on top of the other and distanced from each other, e.g. by using protrusions to keep contact and d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2Releasable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2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llowing for adjustment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heets or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마운팅-너트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상대물에 천공된 마운팅-홀에 가조립상태로 끼워 넣고 여기에 마운팅볼트를 조이면 장착물과 함께 상대물 내측에 견실하게 고정되어 조립 작업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에 의하면; 마운팅홀(110) 주변의 상대물(100) 외면에 걸리며 중심부에는 마운팅홀(110)과 연통되게 원형홀(411)이 천공된 금속재질의 원판형 와셔부재(410)와; 와셔부재(410)의 하부에 원형홀(411)과 동축상으로 위치하면서 내벽에 나사선이 가공되어 마운팅볼트(200)가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탭핑부(421)와, 탭핑부(421)의 상단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분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부에는 바깥측으로 90도 절곡되어 와셔부재(410)의 밑면에 부착되는 플랜지-부착부(424)가 마련된 복수개의 연결브릿지(423)를 포함하는 금속재질의 너트바디(420)를 구비하여; 와셔부재(410)를 상대물(100) 외면에 밀착시키면서 마운팅홀(110)에 너트바디(420)를 끼워 가조립한 후 마운팅볼트(200)를 장착물(300)과 상대물(100)의 마운팅홀(110)을 관통하여 너트바디(420)의 탭핑부(421)에 조임에 따라; 탭핑부(421)가 마운팅볼트(200)의 나선축(210)을 따라 상대물(100) 외측방향으로 점차 끌어올려지면서 연결브릿지(423)들의 중앙부위가 반경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접혀져 상기 마운팅홀(1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마운팅-너트{MOUNTING-NUT}
본 발명은 조립형 마운팅-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물에 천공된 마운팅홀에 끼워 넣고 마운팅볼트를 조이면 장착물과 함께 견실하게 고정되는 『조립형 마운팅-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에서 범퍼, 사이드스텝 및 내장 트림류와 커버류 등을 견실하게 장착하기 위해서는 볼트와 마운팅-너트를 이용한다.
통상 육각으로 이루어진 마운팅-너트(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암나사홀이 가공되어 있으며, 상대물(2;예를 들면 자동차의 바디 등)에 천공된 마운팅홀(3)에 용접(4)을 통해 고정된다. 그리고 볼트(5)는 장착물(6;예를 들면, 자동차의 바디에 장착하고자 하는 트림류와 같은 액세서리 등)의 홀(7)을 관통하여 마운팅-너트(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대물(2)의 마운팅홀(3)과 장착물(6)의 홀(7)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5)를 조이면, 장착물(6)은 볼트(5)와 마운팅-너트(1)와의 조임 결합력에 의해 상대물(2) 외측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 볼트(5)와 마운팅-너트(1)를 이용한 조립구조에서는 마운팅-너트(1)를 마운팅홀(3)이 천공된 상대물(2) 내측에 용접(4) 작업 등을 통해 견실하게 고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자동차 등의 조립 라인에서는 마운팅홀(3)이 천공된 플레이트 형태의 바디(상대물;2) 내측에 마운팅-너트(1)를 우선적으로 고정시켜야만 트림류(장착물;6)와 같은 액세서리를 외부에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운팅홀(3)이 천공된 상대물(2)의 바디 내측에 마운팅-너트(1)를 일일이 용접(4) 고정해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이러한 것이 제조비용의 상승원인이 된다. 또한, 상대물(2)의 마운팅홀(3) 주변에서 마운팅-너트(1)가 정확하게 위치고정되지 않으면 장착물(6)이 어긋나게 고정되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67331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물에 천공된 마운팅-홀에 가조립상태로 끼워 넣고 여기에 마운팅볼트를 조이면 장착물과 함께 상대물 내측에 견실하게 고정되어 조립 작업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형 마운팅-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운팅-너트를 상대물의 바깥측에서 내측으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이의 조립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형 마운팅-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대물에 천공된 원형의 마운팅홀에 조립되며 마운팅볼트를 이용하여 장착물을 고정하기 위한 조립형 마운팅-너트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마운팅-너트가 상기 마운팅홀 주변의 상대물 외면에 걸리며 중심부에는 상기 마운팅홀과 연통되게 원형홀이 천공된 금속재질의 원판형 와셔부재와; 상기 와셔부재의 하부에 상기 원형홀과 동축상으로 위치하면서 내벽에 나사선이 가공되어 상기 마운팅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탭핑부와, 상기 탭핑부의 상단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분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부에는 바깥측으로 90도 절곡되어 상기 와셔부재의 밑면에 부착되는 플랜지-부착부가 마련된 복수개의 연결브릿지를 포함하는 금속재질의 너트바디를 구비하여; 상기 와셔부재를 상대물 외면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마운팅홀에 너트바디를 끼워 가조립한 후 상기 마운팅볼트를 장착물과 상대물의 마운팅홀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바디의 탭핑부에 조임에 따라; 상기 탭핑부가 상기 마운팅볼트의 나선축을 따라 상대물 외측방향으로 점차 끌어올려지면서 상기 연결브릿지들의 중앙부위가 반경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접혀져 상기 마운팅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운팅볼트의 하단이 용이하게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탭핑부의 상단부에 내경이 점차 확장된 테이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셔부재의 밑면에 상기 연결브릿지의 플랜지-부착부가 안착되면서 압착되어 상기 플랜지-부착부가 상기 와셔부재의 밑면과 동일면을 유지하도록 복수개의 단차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분기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브릿지들이 상기 탭핑부가 상기 마운팅볼트의 나선축을 따라 점차 끌어올려지는 과정에서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벌어지면서 접히도록 중앙부위가 바깥측으로 돌출되게 만곡된 형상이며 상,하측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셔부재의 하면에 상대물 외면에 박힐 수 있도록 아래로 돌출된 제1돌기형-침이 마련되고; 상기 와셔부재의 상면에 장착물 내면에 박힐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2돌기형-침이 마련되어; 상기 마운팅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상기 와셔부재가 상대물과 장착물 사이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에 의하면; 상대물에 천공된 마운팅홀에 끼워 넣고 여기에 마운팅볼트를 조이면 너트바디의 연결브릿지들이 소성 변형되어 장착물과 함께 견실하게 고정됨으로써, 조립 작업성과 사용 편리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특히, 마운팅-너트가 상대물의 바깥측에서 내측으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이의 조립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가조립된 상태에서 마운팅홀에서 그대로 유지디어 장착물을 정위치에 바르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에 의하면; 탭핑부에 상단에 테이퍼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마운팅볼트의 하단이 용이하게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에 의하면; 연결브릿지들의 플랜지-부착부가 와셔부재의 단차홈에 안착되면서 압착됨으로써, 와셔부재의 밑면에 플랜지-부착부가 동일면이 유지되게 일체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에 의하면; 연결브릿지들의 중앙부위가 바깥측으로 돌출되게 만곡된 형상이며 상,하측에 비해 폭이 좁게 이루어져 있어서 탭핑부가 마운팅볼트의 나선축을 따라 점차 끌어올려지는 과정에서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벌어지면서 접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에 의하면; 와셔부재의 상하면에 마련된 제1,제2돌기형-침에 의해 초기 마운팅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와셔부재가 상대물과 장착물 사이에서 헛돌지 않아 이의 조임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볼트와 마운팅-너트를 이용한 장착물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의 조립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의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를 이용한 장착물 장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를 이용한 장착물 장착과정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의 구성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는 상대물의 마운팅홀에 끼워져 가조립되며, 장착물을 관통한 마운팅볼트가 조여짐에 따라 마운팅홀에 견실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400)는 마운팅홀(110) 주변의 상대물(100) 외면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원판형 와셔부재(410)와, 이 와셔부재(410)의 밑면에 부착되며 마운팅볼트(200)를 조임에 따라 소성 변형되어 상대물(100) 내측에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너트바디(420)를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금속재질의 원판형 와셔부재(410)는 마운팅홀(110) 주변의 상대물(100) 외면에 걸리는 것으로, 이의 중심부에는 마운팅홀(110)과 연통되게 원형홀(411)이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와셔부재(410)의 밑면에는 후술하는 너트바디(420)의 플랜지-부착부(424)들이 안착되면서 압착되어 플랜지-부착부(424)들이 와셔부재(410)의 밑면과 동일면을 유지하도록 복수개의 단차홈(412)이 일정한 간격(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20도 간격)으로 분기되게 성형되어 있다.
또한, 와셔부재(410)의 하면에는 상대물(100) 외면에 박힐 수 있도록 아래로 돌출된 제1돌기형-침(413)이 마련되고, 와셔부재(410)의 상면에는 장착물(300) 내면에 박힐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2돌기형-침(414)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제2돌기형-침(413)(414)은 와셔부재(410)의 상하면에 소성가공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지며, 마운팅볼트(200)를 조이는 과정에서 와셔부재(410)가 상대물(100)과 장착물(300) 사이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금속재질의 너트바디(420)는 와셔부재(410)의 하부에 원형홀(411)과 동축상으로 위치하면서 내벽에 나사선이 가공되어 마운팅볼트(200)가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탭핑부(421)와, 이 탭핑부(421)의 상단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분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부에는 바깥측으로 90도 절곡되어 와셔부재(410)의 밑면에 부착되는 플랜지-부착부(424)가 마련된 복수개의 연결브릿지(423)로 정의된다. 탭핑부(421)의 상단부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확장된 테이퍼부(42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마운팅볼트(200)의 하단이 용이하게 진입하여 탭핑부(4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결브릿지(423)들의 플랜지-부착부(424)는 와셔부재(410)의 밑면에 형성된 단차홈(412)들에 각각 안착되어 고정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플랜지-부착부(424)들을 단차홈(412)들에 각각 안착시킨 후 와셔부재(410)의 상면에서 엠보싱돌기(415)를 형성하면서 압착함으로써 이들을 견실하게 고정하였다. 따라서 연결브릿지(423)들의 플랜지-부착부(424)들은 와셔부재(410)의 밑면과 동일면을 유지하면서 견실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와셔부재(410)를 상대물(100) 외면에 밀착시키면서 마운팅홀(110)에 너트바디(420)를 끼워 가조립한 후 마운팅볼트(200)를 장착물(300)과 상대물(100)의 마운팅홀(110)을 관통하여 너트바디(420)의 탭핑부(421)에 조이게 되면; 탭핑부(421)가 마운팅볼트(200)의 나선축(210)을 따라 상대물(300) 외측방향으로 점차 끌어올려지면서 연결브릿지(423)들의 중앙부위가 반경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접혀져 마운팅홀(110)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연결브릿지(423)들은 탭핑부(421)가 마운팅볼트(200)의 나선축(210)을 따라 점차 끌어올려지는 과정에서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벌어지면서 접히도록 중앙부위가 바깥측으로 돌출된 만곡된 형상이면서 상,하측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를 이용한 장착물 장착과정 설명>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를 이용한 장착물 장착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2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400)를 상대물(100)의 마운팅홀(110)에 끼워 가조립한다. 즉, 너트바디(420)를 마운팅홀(110)에 끼우면, 와셔부재(410)의 원형홀(411)이 마운팅홀(110)과 동축으로 위치된다. 이때, 너트바디(420)의 연결브릿지(423)들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물(100)의 바깥측에서 내측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주변 간섭없이 용이하게 끼워져 가조립되며, 와셔부재(410)의 밑면이 마운팅홀(110) 주변의 상대물(100) 외면에 면접촉하면서 걸린다.
그리고 여기에 장착물(300)을 일치시킨 후 마운팅볼트(200)를 조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셔부재(410)는 상대물(100)과 장착물(300) 사이에 위치되며 마운팅볼트(200) 하단이 테이퍼부(422)를 통해 안내되면서 탭핑부(421)에 용이하게 진입하여 결합된다. 이때, 와셔부재(410)의 상,하면에 날카롭게 마련된 제1,제2돌기형-침(413)(414)들이 상대물(100)과 장착물(300)에 박히게 됨으로써, 초기 마운팅볼트(200)를 돌려 조이는 과정에서 마운팅-너트(200)가 헛돌지 않게 된다.
마운팅볼트(200)를 탭핑부(421)에 진입시켜 계속적으로 조이면; 도 7과 도 8에 너트바디(420)의 탭핑부(421)는 마운팅볼트(200)의 나선축(421)을 따라 상대물(100) 외측방향으로 점차 끌어올려지면서 연결브릿지(423)들의 중앙부위가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접혀진다. 따라서 연결브릿지(423)들이 중앙부위가 반경 방향으로 절어지면서 접혀 마운팅홀(110)에 고정되며, 아울러 장착물(300) 역시 상대물(100) 외측에 완전하게 장착된다. 연결브릿지(423)들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위가 바깥측으로 돌출되게 만곡된 형상이면서 상하측에 비해 폭이 좁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탭핑부(421)가 나선축(210)을 따라 점차 올라가는 과정에서 중앙부위가 쉽게 바깥측으로 벌어지면서 변형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운팅-너트((400)는 상대물(100) 외측에서 마운팅홀(110)에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마운팅볼트(200)를 조임에 따라 장착물(300)과 함께 상대물(100)의 마운팅홀(110)에 견실하게 고정됨으로써 이의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아울러 조립형 마운팅-너트(400)는 가조립된 경우에도 마운팅홀(110)에 흔들림없이 정확하게 유지되어 장착물이 정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다.
100..상대물 110..마운팅홀 200..마운팅볼트
210..나선축 300..장착물 400..마운팅-너트
410..와셔부재 411..원형홀 412..단차홈
413..제1돌기형-침 414..제2돌기형-침 415..엠보싱돌기
420..너트바디 421..탭핑부 422..테이퍼부
423..연결브릿지 424..플랜지-부착부

Claims (5)

  1. 상대물(100)에 천공된 원형의 마운팅홀(110)에 조립되며 마운팅볼트(200)를 이용하여 장착물(300)을 고정하기 위한 조립형 마운팅-너트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마운팅-너트(400)는;
    상기 마운팅홀(110) 주변의 상대물(100) 외면에 걸리며 중심부에는 상기 마운팅홀(110)과 연통되게 원형홀(411)이 천공된 금속재질의 원판형 와셔부재(410)와;
    상기 와셔부재(410)의 하부에 상기 원형홀(411)과 동축상으로 위치하면서 내벽에 나사선이 가공되어 상기 마운팅볼트(200)가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탭핑부(421)와, 상기 탭핑부(421)의 상단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분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부에는 바깥측으로 90도 절곡되어 상기 와셔부재(410)의 밑면에 부착되는 플랜지-부착부(424)가 마련된 복수개의 연결브릿지(423)를 포함하는 금속재질의 너트바디(420)를 구비하여;
    상기 와셔부재(410)를 상대물(100) 외면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마운팅홀(110)에 너트바디(420)를 끼워 가조립한 후 상기 마운팅볼트(200)를 장착물(300)과 상대물(100)의 마운팅홀(110)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바디(420)의 탭핑부(421)에 조임에 따라; 상기 탭핑부(421)가 상기 마운팅볼트(200)의 나선축(210)을 따라 상대물(100) 외측방향으로 점차 끌어올려지면서 상기 연결브릿지(423)들의 중앙부위가 반경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접혀져 상기 마운팅홀(1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마운팅-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부(421)의 상단부에는 상기 마운팅볼트(200)의 하단이 용이하게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확장된 테이퍼부(42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마운팅-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재(410)의 밑면에는 상기 연결브릿지(423)의 플랜지-부착부(424)가 안착되면서 압착되어 상기 플랜지-부착부(424)가 상기 와셔부재(410)의 밑면과 동일면을 유지하도록 복수개의 단차홈(412)이 일정한 간격으로 분기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마운팅-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릿지(423)들은 상기 탭핑부(421)가 상기 마운팅볼트(200)의 나선축(210)을 따라 점차 끌어올려지는 과정에서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벌어지면서 접히도록 중앙부위가 바깥측으로 돌출되게 만곡된 형상이며 상,하측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마운팅-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재(410)의 하면에는 상대물(100) 외면에 박힐 수 있도록 아래로 돌출된 제1돌기형-침(413)이 마련되고;
    상기 와셔부재(410)의 상면에는 장착물(300) 내면에 박힐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2돌기형-침(414)이 마련되어;
    상기 마운팅볼트(200)를 조이는 과정에서 상기 와셔부재(410)가 상대물(100)과 장착물(300) 사이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마운팅-너트.
KR1020200147526A 2020-11-06 2020-11-06 조립형 마운팅-너트 KR20200132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526A KR20200132792A (ko) 2020-11-06 2020-11-06 조립형 마운팅-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526A KR20200132792A (ko) 2020-11-06 2020-11-06 조립형 마운팅-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792A true KR20200132792A (ko) 2020-11-25

Family

ID=7364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526A KR20200132792A (ko) 2020-11-06 2020-11-06 조립형 마운팅-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27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31Y1 (ko) 2011-11-02 2013-06-07 조송남 조립형 마운팅-너트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31Y1 (ko) 2011-11-02 2013-06-07 조송남 조립형 마운팅-너트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8297B2 (en) Vehicle roof antenna attachment
JP4063907B2 (ja) 押込み式ナット
JP4446794B2 (ja) 部材の結合構造
JP3111082U (ja) 連結要素
JP2005315369A (ja) クリップ
US7244085B2 (en) Fastener assembly
KR930023605A (ko) 자기부착엘레멘트 및 그 부착방법
US1196210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lug and cavity assembly and method of ultrasonically welding
KR20200132792A (ko) 조립형 마운팅-너트
JP2001110471A (ja) 端子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361239B1 (en) Bolt with expandable bushing for pivot attachment
JPS61149604A (ja) 止め具
US4854030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hose fitting
CN212509151U (zh) 紧固机构
JP2001223038A (ja) ナット付き端子およびナット付き端子の取付け方法
JPH08121451A (ja) 弛み防止ナット
US5803644A (en) Reinforced fastening connection
KR19990030546U (ko) 차량 접지단자의 고정구조
KR200275286Y1 (ko) 아치형 루프의 마감단열재 시공장치
US20010007397A1 (en) Bracket attached to vehicle body
JP2002305043A (ja) アースターミナルの取り付け構造
JP3324511B2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US20220074445A1 (en) Fastener Retainer
JPH0132627Y2 (ko)
JPH1050396A (ja) 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