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767A - 공기압축기 - Google Patents

공기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767A
KR20200132767A KR1020200058509A KR20200058509A KR20200132767A KR 20200132767 A KR20200132767 A KR 20200132767A KR 1020200058509 A KR1020200058509 A KR 1020200058509A KR 20200058509 A KR20200058509 A KR 20200058509A KR 20200132767 A KR20200132767 A KR 20200132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vanes
disposed
van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2215B1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호
Publication of KR2020013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10Fluid working
    • F04C2210/1005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2Fluid gaseous, i.e. compressible
    • F04C2210/221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압축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흡입구 및 배출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을 갖는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메인 커버; 상기 압축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압축기 본체의 원통 형상의 중심축과 편심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메인 커버에 설치되는 로터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터축에서 외측으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로터홈이 형성된 로터; 상기 로터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베인; 및 상기 로터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베인이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서 이동할 때, 상기 로터와 베인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로터에 설치된 복수 개의 로터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본 발명은 공기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인 타입의 공기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베인 모터와 공기압축기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주된 용도에 구분할 수 있다. 공기압축기는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의 팽창력으로 회전력을 얻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압축기는 내부에 베인(vane)이 배치되는 경우, 베인이 회전할 때 베인과 본체 내면에서 마찰이 발생할 수 있고, 공기압축기가 대형화될수록 베인과 로터 사이의 마찰이 커질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마찰에 의해 공기압축기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90939호 (2002.12.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베인과 로터 및 베인과 본체의 내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줄여 높은 효율을 갖는 공기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압축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흡입구 및 배출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을 갖는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메인 커버; 상기 압축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압축기 본체의 원통 형상의 중심축과 편심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메인 커버에 설치되는 로터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터축에서 외측으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로터홈이 형성된 로터; 상기 로터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베인; 및 상기 로터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베인이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서 이동할 때, 상기 로터와 베인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로터에 설치된 복수 개의 로터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압축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흡입구 및 배출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을 갖는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메인 커버; 상기 압축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압축기 본체의 원통 형상의 중심축과 편심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메인 커버에 설치되는 로터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터축에서 외측으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로터홈이 형성된 로터; 상기 로터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베인; 및 상기 베인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베인이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서 이동할 때, 상기 로터와 베인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로터에 설치된 복수 개의 로터 베어링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로터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은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베인 중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 베인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 베인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베인 연결바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베인 각각은 상기 압축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베인 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메인 커버의 내면 각각에 상기 베인 베어링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베어링 홈이 형성일 수 있다.
상기 로터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로터는 서로 나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에 형성된 다수의 로터홈 내에 베인이 베인 연결바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바 홈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베인이 자유롭게 로터홈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부시나 베어링이 배치됨에 따라 베인과 로터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공기 압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로터에 다수의 로터 베어링을 설치함에 따라 베인이 과도한 하중을 받는 상황인, 고압의 증기 힘으로 회전하는 증기 모터에 사용될 때에도 베인이 로터에 밀착되지 않아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베인이 연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영역 A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영역 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로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로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메인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메인 커버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베인이 연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베인이 연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영역 A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영역 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로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로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메인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메인 커버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100)는,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를 압축한다. 이때, 공기압축기(100)는 에어 모터, 펌프에 사용되는 베인 타입의 에어모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압축기(100)는, 압축기 본체(110), 지지대(120), 메인 커버(130), 로터(140), 베인(150) 및 베인 연결바(160)를 포함한다.
압축기 본체(1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양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압축기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12)가 형성되고, 압축기 본체(110) 내부 중공에서 압축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구(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압축기 본체(110) 내부에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배출구(114)는 흡입구(112)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압축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114)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20)는 압축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로터(14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공기압축기(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20)는 로터축(141)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 커버(130)는 압축기 본체(110)의 개방된 양면을 각각 덮을 수 있도록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메인 커버(130)는 서로 대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커버(130)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커버(130)의 내면에 베어링 홈(130a)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홈(130a)은 메인 커버(130)의 일면에서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커버(130)에 형성된 베어링 홈(130a)은 베인 베어링(151)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베인 베어링(151)이 지날 수 있는 너비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즉, 베어링 홈(130a)은 메인 커버(130)의 내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두 개의 격벽에 의해 하나의 경로를 형성하며, 대략 베어링 홈(130a)에 의해 형성된 경로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메인 커버(130)에는 흡입구(11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될 때, 다른 기계와 연결하기 위한 보조흡입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커버(130)에는 로터(140)와 베인(15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일을 주입하기 위한 제1 오일주입구(134) 및 제2 오일주입구(1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일주입구(134)는 베인(150)과 로터(140) 사이에 오일을 주입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 오일주입구(136)는 로터 베어링(145) 또는 베인 베어링(151)에 오일을 주입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커버(130)에는 로터축(141)이 관통할 수 있는 로터축 홀(13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20)는 로터축 홀(138)을 통해 메인 커버(130)의 외부로 돌출된 로터축(141)과 결합될 수 있다.
로터(140)는, 압축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로터축(14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로터(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로터(140) 양단에 로터커버(143)가 배치될 수 있다.
로터(140)는 대략 원반과 같이,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로터(140)는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지바(140a)가 연장되고, 복수 개의 지지바(140a)들의 끝단이 원형을 이루도록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 개의 지지바(140a)들 사이에 로터홀이 형성되거나 두 개의 지지바(140a)와 지지바(140a)를 연결하는 호 형상으로 둘러싸인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홀은 두 개의 지지바(140a)가 평행하게 배치된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로터(140)가 복수 개가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로터(140) 양끝단에 각각 로터커버(14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로터(140)와 두 개의 로터커버(143)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바(bar)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로터커버(143)는 로터(14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만, 두 개의 지지바(140a)와 호 형상으로 둘러싸인 관통홀이 폐쇄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로터커버(143)에도 두 개의 지지바(140a)가 평행하게 배치된 사이에 로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로터(140) 및 로터커버(143)에는 복수 개의 로터 베어링(145)이 배치될 수 있다. 로터 베어링(14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40a)에 배치될 수 있으며, 로터(140)의 외주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로터 베어링(145)은 로터홀 측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지지바(140a)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로터 베어링(145)은 베인(150)과 접촉될 수 있으며, 베인(15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로터 베어링(145)은 중심에 로터 베어링 축(145a)이 배치될 수 있으며, 로터 베어링 축(145a)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로터 베어링(145)은 베인(150)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베인(150)은 로터(14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베인(150)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압축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베인(150)은, 로터(140)가 회전함에 따라 로터홈(147) 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로터홈(147) 내에 배치된다. 이때, 로터홈(147)은 로터(140)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서로 대향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여섯 개의 로터홈(147)이 로터(140)에 형성된 것에 대해 설명한다.
따라서 베인(150)은 여섯 개가 구비되며, 여섯 개의 베인(150)은 서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여섯 개의 베인(150)이 로터축(141)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를 이룬 상태)로 로터홈(147)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인(150)은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 다른 베인(150)과 메인 연결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베인(1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인(150)은 두 개의 베인 커버(150a, 150b)를 포함하고, 두 개의 베인 커버(150a, 150b)에는 각각 너비 방향으로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베인 커버(150a, 150b)에 형성된 홈 내에 메인부시(155) 및 보조부시(157)가 하나 씩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메인부시(155) 및 보조부시(157)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원통 형상의 중공에 베인 연결바(160)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베인(150)에 다섯 개의 홈이 형성되어 다섯 개의 베인 연결바(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인 연결바(160)는,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베인(150)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 연결바(160)에 연결바 부시(162)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바 부시(16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인 연결바(160)가 연결바 부시(162)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인 연결바(160)는 연결바 부시(162), 메인부시(155) 및 보조부시(157)에서 베인 연결바(160)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베인 연결바(160)는 베인(150)의 움직임과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양방향 이동될 수 있으며, 베인(150)에서 최대한 외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베인(150)과 로터(140)가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인 연결바(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홈(147) 내에 형성된 연결바 홈(164)을 관통하여 두 개의 베인(150)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서, 베인 연결바(160)가 외부에서 가해진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베인 연결바(160)가 휘어진다 하더라도 로터 베어링(145)에 의해 베인(150)이 로터(140)의 지지바(140a)와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베인 연결바(160)에 가해지는 외력은 베인 연결바(160)가 베인(150)에서 최대한 외측으로 이동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베인(150)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베인 베어링(151)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베인 베어링(151)은 메인 커버(130)의 베어링 홈(130a)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베인(150)의 길이 방향 양단의 일 측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인 베어링(151)이 메인 커버(130)의 베어링 홈(130a)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베인(150)의 타 측 끝단에 형성된 베인 보조부(153)가 압축기 본체(110)의 본체 내면(116)과 접촉하지 않고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베인이 연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100)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형상을 일부 다를 수 있지만, 거의 동일하게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100)를 설명하면서,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압축기(100)의 압축기 본체(110)에 형성된 흡입구(112)는 복수 개의 관통공의 형상이 아닌, 복수 개의 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로터커버(143)의 외면에 로터(140)가 베인(150)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터보강링(149)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보강링(149)이 배치됨에 따라 베인 베어링(151)은 로터보강링(149)의 내측에서 회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로터 베어링(145)은 로터(140)가 아닌 베인(150)에 설치된다. 로터 베어링(145)은 베인(150)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설치되며, 베인 베어링(15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 베어링(151)은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메인 커버(130)의 베어링 홈(130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로터 베어링(145)은 베인(150)에 배치되며, 로터(140)의 로터홈(147)에서 베인(150)의 너비 방향으로 베인(150)이 이동할 때, 베인(150)과 로토(140)의 사이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복수 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복수 개의 실시예는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 개의 실시예에서 각각 설명되었으나, 설명되지 않은 실시예에 이용되더라도 다른 구성들과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100: 공기압축기
110: 압축기 본체
112: 흡입구
114: 배출구
116: 본체 내면
120: 지지대
130: 메인 커버
130a: 베어링 홈
132: 보조흡입구
134: 제1 오일주입구
136: 제2 오일주입구
138: 로터축 홀
140: 로터
140a: 지지바
141: 로터축
143: 로터커버
145: 로터 베어링
145a: 로터 베어링 축
147: 로터홈
149: 로터보강링
150: 베인
150a, 150b: 베인 커버
151: 베인 베어링
153: 베인 보조부
155: 메인부시
157: 보조부시
160: 베인 연결바
162: 연결바 부시
164: 연결바 홈

Claims (5)

  1.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압축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흡입구 및 배출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을 갖는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메인 커버;
    상기 압축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압축기 본체의 원통 형상의 중심축과 편심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메인 커버에 설치되는 로터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터축에서 외측으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로터홈이 형성된 로터;
    상기 로터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베인; 및
    상기 로터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베인이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서 이동할 때, 상기 로터와 베인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로터에 설치된 복수 개의 로터 베어링을 포함하는, 공기압축기.
  2.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압축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흡입구 및 배출구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을 갖는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메인 커버;
    상기 압축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압축기 본체의 원통 형상의 중심축과 편심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메인 커버에 설치되는 로터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터축에서 외측으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로터홈이 형성된 로터;
    상기 로터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베인; 및
    상기 베인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베인이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에서 이동할 때, 상기 로터와 베인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로터에 설치된 복수 개의 로터 베어링을 포함하는, 공기압축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터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로터홈은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베인 중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 베인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 베인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베인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공기압축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베인 각각은 상기 압축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베인 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메인 커버의 내면 각각에 상기 베인 베어링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베어링 홈이 형성된, 공기압축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로터는 서로 나란하게 결합되는, 공기압축기.
KR1020200058509A 2019-05-17 2020-05-15 공기압축기 KR102422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963 2019-05-17
KR20190057963 2019-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767A true KR20200132767A (ko) 2020-11-25
KR102422215B1 KR102422215B1 (ko) 2022-07-18

Family

ID=7345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509A KR102422215B1 (ko) 2019-05-17 2020-05-15 공기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22215B1 (ko)
CN (1) CN114174682B (ko)
WO (1) WO2020235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10595A (zh) * 2022-03-28 2022-07-29 威海海洋职业学院 一种用于空气压缩机或叶片发动机的动力转换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958A (ja) * 1995-08-14 1997-02-25 Nippon Kikai Kogyo Kk 消防ポンプ呼水用の真空ポンプ
KR19990014251U (ko) * 1998-12-23 1999-04-26 최용수 가동날개 압축기의 구조
KR20020090939A (ko) 2002-09-13 2002-12-05 김교윤 공기압축펌프
KR20120135383A (ko) * 2009-04-14 2012-12-13 에엔3 게엠베하 베인 장치의 베인을 제어하는 방법
CN206874477U (zh) * 2017-06-21 2018-01-12 邓远明 带滚轴结构的叶片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07668B1 (no) * 1998-02-25 2000-05-08 Vading Motor As Rotasjonsmaskin
AU2001282623B2 (en) * 2000-09-04 2004-04-2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otary fluid machinery
DE60227715D1 (de) * 2002-12-12 2008-08-28 Corneliu Holt Hydraulische oder pneumatische maschine mit schwenkflügeln
JP2006226117A (ja) * 2005-02-15 2006-08-31 Calsonic Compressor Inc 気体圧縮機
US8206140B2 (en) * 2006-07-07 2012-06-26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Revolving vane compressor
WO2013105131A1 (ja) * 2012-01-11 2013-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ベーン型圧縮機
JP6115228B2 (ja) * 2013-03-25 2017-04-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ベーン型圧縮機
CN105257538A (zh) * 2014-07-14 2016-01-20 天津市盛鑫隆粉末涂料有限公司 一种静止叶片式空气压缩机
KR20180126301A (ko) * 2017-05-17 2018-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958A (ja) * 1995-08-14 1997-02-25 Nippon Kikai Kogyo Kk 消防ポンプ呼水用の真空ポンプ
KR19990014251U (ko) * 1998-12-23 1999-04-26 최용수 가동날개 압축기의 구조
KR20020090939A (ko) 2002-09-13 2002-12-05 김교윤 공기압축펌프
KR20120135383A (ko) * 2009-04-14 2012-12-13 에엔3 게엠베하 베인 장치의 베인을 제어하는 방법
CN206874477U (zh) * 2017-06-21 2018-01-12 邓远明 带滚轴结构的叶片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74682A (zh) 2022-03-11
CN114174682B (zh) 2023-07-18
KR102422215B1 (ko) 2022-07-18
WO2020235891A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979B1 (ko) 회전 압축기
EP1081383A2 (en) Rotary compressor
US9291164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bush bearing provided on a boss of orbiting scroll
KR20200132767A (ko) 공기압축기
CN111836967B (zh) 压缩机
US4872820A (en) Axial flow fluid compressor with angled blade
US10962010B2 (en) Compressor
KR100414294B1 (ko) 압축기의 베인 구조
JP2016211572A (ja) スクリュー型機械
US20060099099A1 (en) Vane pump including rotor having eccentric gravity center
US11493044B2 (en) Rotary compressor with a vane discharge-sided groove and a vane suction-sided groove
KR102387189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2451435B1 (ko) 펌프 밀봉
US20180135630A1 (en) Rotary compressor
KR20000009656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마찰손실 저감구조
KR102442469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438960B1 (ko) 압축기의 마찰손실 저감구조
KR100826533B1 (ko) 압축기의 베인 구조
KR102413928B1 (ko) 토출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압축기
US10612548B2 (en) Refrigerant path holes in a rotary compressor
KR101990142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210003650A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KR100317373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베인 지지구조
KR100746426B1 (ko)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
KR100360864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