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913A -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913A
KR20200131913A KR1020207032730A KR20207032730A KR20200131913A KR 20200131913 A KR20200131913 A KR 20200131913A KR 1020207032730 A KR1020207032730 A KR 1020207032730A KR 20207032730 A KR20207032730 A KR 20207032730A KR 20200131913 A KR20200131913 A KR 2020013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said
cough
treatment
flurbiprofen
loze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드리안 셰파드
게리 스미스
슈 에스플리
버나드 피. 스카텔
팀 세아
Original Assignee
레킷트 벤키저 헬스케어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1370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13191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레킷트 벤키저 헬스케어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킷트 벤키저 헬스케어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9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4Antitussive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부프로펜 또는 플루르비프로펜과 같은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기침의 국소 치료용으로, 특히 마른 기침의 치료용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FLURBIPROFEN}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의 새로운 의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기침(cough)의 국소 치료에 사용되는,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으로서, 즉 마른 기침을 부드럽게 하는 것과 같은 기침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부프로펜과 플루르비프로펜은 특히 이러한 용도에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해수(coughing)는 바이러스성 호흡기 병원균의 감염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급성 기침의 가장 큰 원인은 상부 호흡기의 바이러스 감염이다. 기침은 흡입된 외부 개체(body)와 호흡기로부터 과도한 분비물을 제거하는 보호성 반사 작용이다. 마른 기침(상당한 양의 가래를 생성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객담을 동반하지 않는 마른 기침(non-productive cough)을 가리킴)을 위한 치료법은 잘 알려져 있고, 덱스트로메토르판과 같은 (기침 억제를 제공하는) 기침 억제 성분을 포함하는 기침약을 포함한다.
다른, 또는 새로운 성분들을 사용하여 제품을 제형화할 수 있는 기침 치료제를 개발하는 제품 제형에 대한 요구는 항상 존재한다. 예를 들어 텍스트로페토르판과 같은 공지의 기침 억제 성분의 대체물을 포함하는 이러한 제품들을 제형화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항상 있어 왔다.
종종 기침은, 예를 들어 상부 호흡기 감염의 결과로서, 인후염과 관련되어 있다. 인후염을 NSAID로 치료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인후염 치료를 위한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하는 로젠지는 스트레펜(Strefem)TM의 상표명으로 영국에서 입수할 수 있다. WO 97/18808(The Boots Company)에서는 인후염 치료에서의 플루르비프로펜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이 문헌은 NSAID로 마른 기침과 같은 기침을 치료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시나 암시도 없다.
NSAID는 약학적 용도의 범주에 대하여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은 진통제 제제로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하지만, 출원인은 NSAID가 기침, 특히 마른 기침의 국소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것에 대한 보고는 듣지 못하였다.
NSAID는 잇몸(gums) 및 입(mouth)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제안되어 왔다. EP-A-0-137-668(Upjohn)은 치조골 재흡수를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한 이부프로펜과 플루르비프로펜의 용도를 개시한다. EP-A-0-486-561(Sepracor)은 치주 질환(periodontal disease)(치주염, 치은염 및 치근막 변성증 포함)을 치료하기 위한, 그리고 질병과 관련되는 뼈의 재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S(+)-플루르비프로펜 또는 케토프로펜의 용도를 개시한다. 상기 두 문헌은 이들 NSAID를 이용한 잇몸의 치료를 명확하게 기술하며 인후를 포함하는 구강의 임의의 다른 부위의 치료와는 관련이 없다.
기침의 치료를 위하여 NSAID를 개시하는 문헌들이 있다. 예시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캡사이신 유도 기침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부프로펜, 다투라(stramonium) 추출물 및 구아야코술폰산염 칼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하는 JP2003-081821.
·바이러스성 및/또는 박테리아성 호흡기 감염의 증상과 같은 객담을 동반하지 않는 마른 기침의 치료를 위한 NSAID를 개시하는 US 2010/022608.
·레달리(Redaelli) 등의 문헌[Redaelli et al., "Efficacy of flurbiprofen in influenza treatment for an open study", Gazette Medica Italiana Archivio per le Scienze Mediche, Vol 144, No. 11, 1985, pages 579-584]은 기침 증상에 대한 플루르비프로펜의 효과를 논하고 있다.
·데일 등의 문헌[Dale et al., "Chronic cough responsive to Ibuprofen Pharmacotherapy", Vol 12, No. 4, 1992, pages 331-333]은 이부프로펜이 특발성(idiopathic) 만성 기침의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밝힌 연구를 논하고 있다.
·JP2001-097856은 기침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기침 억제 제제와, 아황산 가스 유도 기침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진 이부프로펜과 디메모르판 인산염을 포함하는 정제를 개시한다.
·KR2008-0039695는 감마-폴리글루탐산 리코펜과 NSAID를 포함하는 기침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시한다.
·JP2002-316927은 NSAID와 슈도에페드린을 포함하는 감기 및 기침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스퍼버 등의 문헌[Sperber et al., "Effects of naproxen on experimental rhinovirus colds a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 trial", Annals & Internal Medicine, Vol 117, No. 1, 1992, pages 37-41]은 나프록센이 리노바이러스성 감기를 변화(alter)시키는지 여부에 대한 연구를 개시한다.
·맥이완 등의 문헌[McEwan at al., "The effects of Sulindac on the abnormal cough reflex associated with dry cough",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Vol 255, No. 1, 1990, pages 161-164]은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관련 기침을 앓는 환자에 있어서 기침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지만 특발성 건조, 객담 미수반 기침을 앓는 환자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다고 개시한다.
·US4,783,465는 프로피온산 NSAID 및 비진정성 항히스타민제를 포함하는, 감기 및 알레르기를 치료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문헌들은 기침의 치료에 있어서 NSAID의 국소적 효과를 개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은 본 기술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방법에 대해, 기침, 특히 마른 기침을 치료하는 대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침 치료가 인후염의 통증을 함께 감소시킬 수 있다면 특히 유익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양상에 따르면 기침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인의 인후의 점막에 대한 기침의 국소적 치료에 사용되는 NSAID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침 억제(기침 억누름) 효과가 요구되는 마른 기침의 치료제가 특히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국소적으로 처치" 및 "국소"에 대한 참조는 환자 인후의 내부 표면에, 즉, 점막에 도포하는 것을 가리킨다.
용어 "환자" 및 "사람(person)"은 본 명세서에서 서로 바꾸어 사용된다.
치료를 받는 개인의 인후에 국소적으로 도포하도록 NSAID를 제공함으로써,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상기 사람에게 국소적으로 처치하여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기침 (증상)의 치료에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시험들에서, 상부 호흡기 감염(URI)을 앓는 사람들의 기침 (증상)은 NSAID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인후의 점막에 국소적으로 치료 유효량의 NSAID를 도포하는 치료 이후에 덜 고질적이 되고 경감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NSAID를 투여하는 것에 의한 기침 (증상)의 치료에 의해 안전하고 효과적이고 간단한 방법으로 기침과 그 증상들을 개선할 수 있다. NSAID의 투여는 잘 알려져 있고 복잡한 투여 요법을 요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기침과 그 증상의 개선은 마른 기침과 같은 기침과 동시에 생길 수 있는 인후의 통증/쓰라림을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다른 이점과 함께 달성될 수 있다는 추가의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기침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인후의 내부 표면에 치료 유효량의 NSAID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침의 국소 치료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침 억제(기침 억누름) 효과가 요구되는 마른 기침의 치료제가 특히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오해를 방지하고 간결성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 'NSAID', 또는 임의의 특정 NSAID에 대한 참조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로젠지"는 모든 투여 형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품은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당-기반 형태 또는 당 알코올 기반(예, 소르비톨) 용융 매스(mass)를 냉각시켜서 형성된다.
본 명세서 사용된 용어 "정제"는 분말 또는 과립을 압축시켜서 또는 페이스트를 압축시켜서 만들어진 단위 투여량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NSAID)의 "단위 용량(unit dose)"에 대한 참조는 기침 치료가 요구되는 사람에 대한 단일 치료 이벤트로 투여되는 NSAID의 양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기침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투여되는 NSAID를 포함하는 로젠지는 NSAID의 단위 용량을 가리킨다. 2개의 로젠지가 동일한 치료 이벤트로 투여된다면, 이것은 2개의 단위 용량(예, 함께 취해진 2개의 로젠지)을 가리킨다. NSAID가 액상으로 투여된다면, 단일 치료 이벤트에 사용되는 액상의 양(예, 액상이 스프레이 형태인 경우 투여되는 분무 횟수)은 단위 용량을 나타낸다.
(i) NSAID 형태
본 발명에 따른 NSAID의 적절한 형태는 다음의 범주에서 선택될 수 있다:
(1) 프로피온산 유도체
(2) 아세트산 유도체
(3) 페남산 유도체
(4) 비페닐카복실산 유도체 및
(5) 옥시캄.
본 명세서에서 사용상 적절한 프로피온산 유도체는,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베녹사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페노프로펜, 펜부펜, 케토프로펜, 인도프로펜, 피르프로펜, 카르프로펜, 옥사프로진, 프라포프로펜, 미로프로펜, 티옥사프로펜, 수프로펜, 알미노프로펜, 티아프로펜산, 플루프로펜 및 부클로실산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피온산 군의 바람직한 일원(member)은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플루르비프로펜, 디클로페낙, 페노프로펜, 케토프로펜 및 펜부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상 적절한 아세트산 유도체는, 인도메타신, 술린닥, 톨메틴, 조메피락, 디클로페낙, 페클로페낙, 알클로페낙, 이부페낙, 이속세팍, 푸로페낙, 티오피낙, 지도메타신, 아세메타신, 펜티아작, 글리다낙 및 옥시피낙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세트산 군의 바람직한 일원은 톨메틴 나트륨, 조메피낙 나트륨, 술린닥 및 인도메타신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상 적절한 페남삼 유도체는, 메페남산, 메클로페남산, 플루페남산, 니플룸산 및 톨페남산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페남산 군의 바람직한 일원은 메페남산 및 메클로페남산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상 적절한 비페닐카르복실산은, 디플루니살 및 플루페니살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상 적절한 옥시캄은, 피록시캄, 수독시칸, 이속시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군의 바람직한 일원은 피록시캄이다.
그것의 염화수소산염을 포함하는 벤즈다민은, 또한 바람직한 NSAID이고 메타미졸(디피론)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하게, 본 발명에서 사용 용도를 위한 NSAID는 전형적으로 이성질체를 나타낸다. 적절하게, NSAID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거울상체, 및 라세미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것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프로피온산 유도체에서 바람직하게 선택되고,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디클로페낙, 나프록센, 페노프로펜 및 펜부펜에서 가장 특별하게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이부프로펜 및 플루르비프로펜에서 선택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NSAID는 플루르비프로펜이다.
플루르비프로펜 [2-(2-플루오로-4-비페닐)프로피온]산은 공지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NSAID)이고, 이것은 또한 진통제 및 해열제 활성을 갖는다. 플루르비프로펜 분자는 2개의 거울상체 형태로 존재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플루르비프로펜은 개별적인 거울상체들과, 본 명세서에서 라세미체 플루르비프로펜으로 지칭된 1:1 혼합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비율에서 그것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플루르비프로펜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 또는 에스테르와 같은 유도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염 또는 에스테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플루르비프로펜" 에 포함된다.
NSAID의 임의의 적절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NSAID, 예를 들어 플루르비프로펜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되는 염의 양은 바람직한 양의 NSAID를 제공할 정도이어야 한다. 적절한 염은 알칼리 금속염, 예를 들어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마그네슘염 또는 칼슘염, 금속염, 예를 들어 알루미늄염, 또는 라이신염, 아르기닌염 또는 아민염과 같은 아미노산 염, 예를 들어 메글루민염을 포함한다.
가장 선호되는 NSAID 염의 부류(class)는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염이다. 바람직한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염, 특히 2-아릴 프로피온산 염은 이부프로펜 염, 케토프로펜 염, 플루르비프로펜 염, 디클로페낙 염, 나프록센 염, 페노프로펜 염 및 펜부펜 염, 특히 그것의 라세미체 혼합물 및 S(+)-거울상체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2-아릴 프로피온산 염은 플루르비프로펜의 염, 이부프로펜의 염, 특히 그것의 라세미체 혼합물, S(+)-거울상체를 포함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2-아릴 프로피온산 염은 라세미체 플루르비프로펜 염 및 라세미체 이부프로펜 염을 포함한다. NSAID 염은 무수 또는 수화된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SAID 염은 수화된 형태이다.
(ii) NSAID의 투여량
NSAID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기침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서 기침의 국소 치료에 치료 유효량을 사용한다. 이러한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URI를 앓는다.
효능, 안전성 및 비용의 특별히 양호한 균형은 NSAID의 단위 용량당 1 내지 30 mg, 예를 들어 2 내지 30 mg 또는 2.5 내지 30 mg의 범위의 NSAID 양을 사용하여 기침의 국소 치료에 대해 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위 용량당 3.5 내지 20 mg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위 용량당 5 내지 15 mg, 예를 들어 NSAID의 단위 용량당 7 내지 12 또는 13 mg, 예컨대 8 내지 10 mg이다. 이것은 특별히 NSAID가 플루르비프로펜인 경우에 그러하다.
일반적으로 기침을 하는 (그래서 기침 억제 효과를 요구하는) 사람에 대한 NSAID를 사용한 국소 치료는 3 내지 6 시간 마다 한번 이루어질 것이다. 정확한 치료 시점은 국소 치료를 위해 투여되는 NSAID의 양, 기침의 심한 정도 및 치료에 대한 사람의 반응에 따를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소 치료는 3일까지 계속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국소 치료 요법은 3~6 시간 마다 3일 까지 치료당 2 또는 2.5 내지 30 mg의 NSAID, 보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당 (단위 용량으로서) 2.5 또는 3.5 내지 2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mg, 예를 들어 7 내지 12 mg, 예컨대 8 내지 10 mg의 NSAID를 사용하여 사람이 치료되는 것일 것이다.
(iii) NSAID 함유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기침 치료에 사용되는 NSAID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SAID는 조성물 중 일부로서 기침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투여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씹을 수 있거나 또는 빨아 먹을 수 있는 고형 투여 형태 또는 액상이다. 씹을 수 있거나 또는 빨아 먹을 수 있는 고형 투여 형태는 환자가 빨아먹을 있도록 로젠지일 수 있고, 또는 정제, 캡슐, 캔디(pastille) 또는 껌, 예를 들어 츄잉 껌일 수 있다. 로젠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기침 치료용 NSAID를 투여하기에 매우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로젠지는 일반적으로 환자가 빨아 먹어서 NSAID를 방출시키고 그리하여 기침 치료를 위하여 환자의 인후의 내부 표면에 NSAID를 국소적으로 투여할 것이다.
고형 투여 형태는 또한 과립 제품일 수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고형 로젠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당, 액상 글루코오스, NSAID, 및 기타 부형제를 포함하는 가열된 로젠지 베이스를 냉각하여 제조된 로젠지이다. 당이 없거나, 또는 당이 적은 로젠지가 요구되는 경우, 한정되지 않지만 당 알코올, 예를 들어 자일리톨, 말티톨, 소르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및 이소말트와 같은 감미료를 사용할 수 있다.
고형 투여 형태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다른 종래의 성분들, 예를 들어 산 조절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완충제, 향미제, 감미료, 착색제 및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젠지는 로젠지 베이스(예를 들어, 당과 액상 글루코오스 및/또는 상기의 감미료의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가열하여 과량의 수분을 제거하고 이어서 잔여 성분들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개별 로젠지가 형성되는 연속 원통형 매스(mass)안으로 최종 혼합물을 인출한다. 이어서 로젠지를 냉각하고 외관을 체크하고 적절한 포장재로 포장한다.
씹을 수 있는 고형 투여 제제는 씹을 수 있는 캔디 제품, 정제, 츄잉 검 또는 과립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종래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씹을 수 있는 고형 투여 형태는 당과 글루코오스 시럽의 압출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혼합물에 기포제, 습윤제, 윤활제, 향, 및/또는 착색제를 선택적으로 추가하고 NSAID를 추가하였다(Pharmaceutical Dosage Forms: Tablets, Volume 1, Second Edition edited by H A Lieberman, L Lachman and J B Schwartz published in 1989, 참조).
액상 제제는 농후화된 또는 농후화되지 않은 액체 또는 겔의 형태일 수 있다. 액체는 입(mouth)에 투여되는 스프레이 형태로, 또는 액체로서, 예를 들어 구강 청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액상 제제는 임의의 종래의 방법, 예를 들어 안정화제, 완충제, 향미제 , 감미료, 착색제 및 보존제와 같은 기타 성분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액상 배지에 NSAID를 용해 또는 현탁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이는 물 중에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키고 공용매(예, 알코올) 중에 비수성 성분을 용해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2개의 상을 혼합하고 최종 혼합물을 여과하여 분배 용기(dispensing container)에 넣는다. 분배 용기는 정량의, 수동으로 작동되는 분무 메카니즘을 구비할 수 있고, 또는 디스펜서는 가압된 압축가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적절한 분배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씹을 수 있거나 빨아먹을 수 있는 고형 투여 형태는 빨아먹거나 씹어 먹을 수 있고, 또는 액상 조성물은 NSAID를 천천히 방출하도록 기침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입에 투여될 수 있고, 그리하여 그 사람의 인후에 상기 국소 치료를 제공한다. 이론에 제한되지 않고, NSAID는 이어서 인후의 점막을 통과하고, 일부는 국소적으로 그곳에서 흡수된다고 여겨진다. 이어서 흡수되지 않은 NSAID는 소화되고 혈액으로 흡수되어, 인후 점막에 대한 NSAID의 국소 도포에서 오는 경감에 더하여 전신적으로 작용하여 기침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식으로만 제공되는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개요
상부 호흡기 감염(URTI)은 많은 증상과 징후를 포함하고, 기침과 인후염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예, 가래 또는 자극에 대한 반응인) 비자발적인 해수는, 특히 그것이 관찰될 때(예, 사회적 상황에서), 조절될 수 있다. 사회학적 연구 또는 임상 연구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또한 알려져 있는데, 상기 연구에서는 관찰되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그들의 행동을 변화시킨다(호손 효과(Hawthorne effect)). 그러므로, 기침에 대한 연구에서 이러한 당혹스러운 특징을 피하기 위하여, 우리는, 인후염의 경감에 초점을 맞춘 연구의 거의 은밀하고 2차적인 부분으로서, 간접적인 방식으로 해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탈-호손 모델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인후염과 마른 기침을 앓는 환자들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플루르비프로펜 8.75 mg 로젠지 또는 플라세보(placebo) 로젠지를 투여하고 2 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여기에서 우리는 이 새로운 기침 모델의 첫번째 용도의 설계 및 결과를 보고한다.
2. 방법
2a. 연구 집단 - 미국의 대학 건강 센터에서 다른 '감기' 증상을 나타내는 남성 또는 여성 성인(18세 이상). 환자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해수를 포함하는 URTI 설문지(URTIQ) 1, 2의 URTI 증상
·최근 인후염 발병(≤ 4일)
·범주에 속하는 인후 통증 스케일(Throat Pain Scale, TPS)의 경증 내지 중증 인후통
·인두염(pharyngitis)과 관련된 인후 증상: 인후 통증, 삼키기 어려움 및 부어오른 인후 느낌(sensation)
·톤실로-인두염 평가(Tonsillo-Pharyngitis assessment, TPA)2상의 인두 염증 발견
·신체 검사에서 하부 호흡기 질병의 증거 없음
2b. 연구 약물
·8.75 mg의 로젠지의 투여량에서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하는 하나의 당 베이스 향 로젠지.
·하나의 당 베이스 향 비히클 함유 로젠지(플라세보).
2c. 연구 장비
URTIQ 1, 2에서 현재 존재하는 모든 증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질문하였다. 이들 증상은 다음과 같았다;
- 콧물
- 코 막힘
- 이통
- 인후 간지럼
- 이(耳)충만감(Ear fullness)
- 통증(Achiness)
- 졸림
- 속 쓰림
- 귀 주변 압력
- 이야기를 잘 알아들을 수 없음(Garbled speech)
- 재채기
- 인후염
- 구(口)호흡
- 귀에서 탁탁 소리남(Crackling ears)
- 후비루(Post-nasal drip)
- 에너지 부족
- 눈이 눈물로 젖음
- 소화불량(Upset stomach)
- 현기증(Dizzy)
- 목 분비선이 부드러워짐(Tender neck glands)
- 두통
- 헛기침(Throat clearing)
- 천명(Wheezing)
- 귀 막힘(Clogged ears)
- 귀 간지럼(Burning ears)
- 식욕부진
- 부비강 압력(Sinus pressure)
- 산성 소화불량(Acid indigestion)
- 발열(Feverish)
- 목 분비선이 부어오름(Swollen neck glands)
- 두부 압박감(Head fullness)
- 해수(coughing)
- 흉통(Chest tightness)
- 가래
- 발한
- 불면(Inability to sleep)
- 부비강 통증
- 메스꺼움
- 오한
인두(Pharyngeal) 증상은 100 mm 시각 상사(visual anlaogue) 인후염 통증 강도 스케일(Sore Throat Pain Intensity Scale, STIPS), 삼키기 어려움 스케일(Difficulty Swallowing Scale, DSS), 및 부어 오른 인후 스케일(Swollen Throat Scale, SwoTS)으로 측정되었다.
2d. 연구 설계
- 무작위, 이중 블라인드, 플라세보-조절, 단일 중심, 평행 그룹 연구.
- (URTIQ에서) URTI 증상과 (TPS에서) 인후염 통증의 기준선 평가.
- (STIPS에서) 인후염의 강도, (DSS에서) 삼키기 어려움, 및 (SwoTS에서) 부어오른 인후의 기준선 평가.
- 환자를 무작위로 1:1로 나누고, 8.75 mg의 로젠지 투여량에서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하는 하나의 당 베이스 향 로젠지, 또는 하나의 당 베이스 향 비히클 함유 로젠지(플라세보) 중 하나를 빨아먹게 하였다.
- STIPS, DSS 및 SwoTS에 대한 후기 치료 평가.
- 2 시간 후에, 환자들은 다시 STIPS, DSS, SwoTS 및 URTIQ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였다.
2e. 통계학적 분석
효능 종점은 다음을 포함하였다;
- 2 시간 후에 치료 그룹들 사이에서 URTIQ 상의 해수가 해결된 환자의 비율을 카이 자승 검정(chi-square test)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 투여 후 2 시간.
- 투여 후 2 시간에서 STIPS, DSS 및 SwoTS를 이용하여 평가된 것처럼 최소 자승(LS) 평균은 인후 증상의 강도의 기준선으로부터 변화한다. 치료 그룹 차이는 LS 평균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치료는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OVA)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2 가지 측면의 통계학적 테스트는 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측정되면서 수행되었다.
모든 분석은 SAS Verson 9.2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3. 결론
3a. 환자 집단
53명의 환자들이 기준선에서 URTI 증상으로서, 인후염과 해수를 보고하였다. 이들 중 무작위로 28명의 환자들이 선정되어 플루르비프로펜 8.75 mg 로젠지를 투여받았고 무작위로 25명이 선정되어 플라세보 로젠지를 투여받았다. 2 개의 치료 그룹은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가능한 인구통계적 및 임상적 특징을 가졌다.
표 1; 인후염 및 기침을 앓는 환자들의 기준선 인구통계 및 특징들
플루르비프로펜
8.75 mg
(n=28)
플라세보
(n=25)
전체
(n=53)
연령, 연수 (평균 (SD)) 20.3 (1.98) 19.6 (1.47) 20.0 (1.78)
남성/여성 (%) 50.0/50.0 40.0/60.0 45.3/54.7
인후염 지속기간, n (%)
1 일
2 일
3 일
4 일

4 (14.3)
12 (42.9)
10 (35.7)
2 (7.1)

2 (8.0)
10 (40.0)
9 (36.0)
4 (16.0)

6 (11.3)
22 (41.5)
19 (35.8)
6 (11.3)
TPA 점수 (평균 (SD)) 8.6 (1.62) 9.4 (2.50) 9.0 (2.09)
TPS상의 통증 (환자% ) 경증
중증

57.1
42.9

64.0
36.0

60.4
39.6
STPIS, mm (평균 (SD)) 80.4 (8.34) 80.5 (7.39) 80.4 (7.83)
DSS, mm (평균 (SD)) 77.6 (14.70) 75.3 (11.00) 76.5 (13.01)
SwoTS, mm (평균 (SD)) 79.3 (12.05) 77.7 (13.75) 78.5 (12.78)
DSS = 삼키기 어려움 스케일STIP = 인후염 통증 강도 스케일
SwoTS = 부어오른 인후 스케일
TPA = 톤실로-인두염 평가
TPS = 인후 통증 스케일
3b. 기침 완화
플루르비프로펜 8.75 mg 로젠지를 투여받은 인후염과 기침을 앓는 환자 28명 중, 14명(50%)이 2 시간 후에 해수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플라세보 로젠지를 투여받은 인후염과 기침을 앓는 환자 25명 중 1명(4%)이 2 시간 후 해수가 없다고 보고하였다(p<0.001, 플루르비프로펜 8.75 mg 로젠지와 비교)
3c. 인두염 증상 완화
투여 2 시간 후에, 플루르비프로펜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은 플라세보를 투여받은 환자와 비교하여 인후염 통증이 유의적으로 더 크게 감소하였고, 삼키기 어려움이 훨씬 개선되었고, 인후 부어오름이 훨씬 감소하였다(모두 p≤0.01).
인후염 및 기침을 앓는 환자에서 투여 2 시간 후 (STIPS 상에서) 인후염 통증의 차이;
- 플루르비프로펜 로젠지는 -28.6이었다.
- 플라세보 로젠지는 -14.3이었다.
인후염 및 기침을 앓는 환자에서 투여 2 시간 후 (DSS 상에서) 삼키기 어려움의 차이;
- 플루르비프로펜 로젠지는 -25.4이었다.
- 플라세보 로젠지는 -10.4이었다.
인후염 및 기침을 앓는 환자에서 투여 2 시간 후 (SwoTS 상에서) 부어오른 혀 느낌의 차이;
- 플루르비프로펜 로젠지는 -27.9이었다.
- 플라세보 로젠지는 -9.6이었다.
4. 논의 및 결론
이 기침 모델은 URTI를 앓는 환자(즉, 하부 호흡기 감염 없음)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그들 중 다수의 URTI 환자들은 인후염 및 마른 기침을 호소하였다.
플라세보와 비교하여, 플루르비프로펜 8.75 mg 로젠지는 인후염 통증, 삼키기 어려움 및 인후 부어오름의 경감을 제공하였다(모두 p~0.01).
플루르비프로펜 8.75 mg 로젠지는, 당 베이스 비히클 (플라세보) 로젠지를 투여받은 환자 중 4% 만이 기침이 경감된 것과 비교하여, 50%의 환자에서 기침의 완화, 해수의 제거를 또한 제공하였다(p>0.001).
해수는 로젠지의 당 베이스 비히클의 완화 작용의 지속기간을 초과하여 2 시간에 평가되었고, 플루르비프로펜 8.75 mg 로젠지와 관련된 기침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1. Schachtel B.P., et 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2007; 47:860-870
2. Schachtel B.P., et 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2010; 50:1428-1437
3. Schachtel B.P., et al.Sore Throat Pain. In Max M.B., Porthoy R.K. and Laska E.M., eds. The Design of Analgesic Clinical Trials (advances in Pain Research and Therapy: vol 18). New York. Raven Press 1991:393-406.
4. Schachtel B.P., et 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 ther 1984; 35:273
5. Schachtel B.P., et 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 ther 1998; 63:173

Claims (7)

  1. 기침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인후 점막 상에서 기침의 국소적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상기 NSAID는 플루르비프로펜인,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은 마른 기침의 치료를 위한 것인,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SAID는 NSAID의 단위 투여량당 2 내지 30 mg의 양으로 사용되는,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SAID는 NSAID의 단위 투여량당 2.5 내지 30 mg의 양으로 사용되는,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SAID는 NSAID의 단위 투여량당 5 내지 15 mg의 양으로 사용되는,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SAID는 씹거나 빨아 먹을 수 있는 고형 투여 형태 또는 액상의 형태의 조성물로서 기침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투여되는 것인,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투여 형태는 로젠지 또는 과립인 것인, NSAID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KR1020207032730A 2012-09-07 2013-09-09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2001319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97901P 2012-09-07 2012-09-07
GBGB1215988.5A GB201215988D0 (en) 2012-09-07 2012-09-07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flurbiprofen
GB1215988.5 2012-09-07
US61/697,901 2012-09-07
PCT/US2013/058685 WO2014039939A1 (en) 2012-09-07 2013-09-09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flurbiprof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886A Division KR20150048890A (ko) 2012-09-07 2013-09-09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913A true KR20200131913A (ko) 2020-11-24

Family

ID=471370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886A KR20150048890A (ko) 2012-09-07 2013-09-09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207032730A KR20200131913A (ko) 2012-09-07 2013-09-09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886A KR20150048890A (ko) 2012-09-07 2013-09-09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5) US20150231063A1 (ko)
EP (1) EP2892528B1 (ko)
KR (2) KR20150048890A (ko)
AU (1) AU2013312259B2 (ko)
BR (1) BR112015004115A2 (ko)
ES (1) ES2742034T3 (ko)
GB (1) GB201215988D0 (ko)
MX (1) MX363558B (ko)
PL (1) PL2892528T3 (ko)
RU (2) RU2019102890A (ko)
WO (1) WO2014039939A1 (ko)
ZA (1) ZA2015015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1627B2 (en) 2014-12-31 2020-02-18 Eric Morrison Ibuprofen nanoparticle carriers encapsulated with hermetic surfactant films
US11007161B1 (en) 2014-12-31 2021-05-18 Eric Morrison Ibuprofen nanoparticle carriers encapsulated with hermatic surfactant films
US10596117B1 (en) 2014-12-31 2020-03-24 Eric Morrison Lipoleosomes as carriers for aromatic amide anesthetic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5019A (en) * 1984-04-09 1991-06-18 Analgesic Associates Cough/cold mixtures comprising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US5322689A (en) * 1992-03-10 1994-06-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ical aromatic releasing compositions
US20030206942A1 (en) 1998-09-25 2003-11-06 Neema Kulkarni Fast dissolving orally consumable films containing an antitussive and a mucosa coating agent
US6846495B2 (en) * 1999-01-11 2005-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delivery of actives
US20060241175A1 (en) * 2002-09-27 2006-10-26 Joseph Schwarz Vehicle for topical delivery of anti-inflammatory compounds
GB2423710A (en) 2005-03-01 2006-09-06 Boots Healthcare Int Ltd Lozenge production process
WO2008046538A2 (de) * 2006-10-20 2008-04-24 Bayer Consumer Care Ag Nichtsteroidale antiphlogistika gegen husten
GB2453770A (en) * 2007-10-19 2009-04-22 Reckitt Benckiser Healthcare Oral composition comprising a cooling agent
RU2017144619A (ru) * 2010-09-29 2019-02-20 Пулмэтрикс, Инк. Катионы одновалентных металлов сухих порошков для ингаляций
GB201021267D0 (en) 2010-12-15 2011-01-26 Reckitt Benckiser Healthcare Int Ltd Novel pharmaceutical for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2528B1 (en) 2019-05-15
MX363558B (es) 2019-03-27
AU2013312259A1 (en) 2015-04-09
GB201215988D0 (en) 2012-10-24
US20190070101A1 (en) 2019-03-07
ES2742034T3 (es) 2020-02-12
AU2013312259B2 (en) 2018-06-07
ZA201501553B (en) 2017-08-30
US20150231063A1 (en) 2015-08-20
RU2019102890A (ru) 2019-05-07
EP2892528A4 (en) 2016-04-13
US20220008331A1 (en) 2022-01-13
WO2014039939A1 (en) 2014-03-13
KR20150048890A (ko) 2015-05-07
RU2015112586A (ru) 2016-10-27
BR112015004115A2 (pt) 2017-07-04
EP2892528A1 (en) 2015-07-15
US20200163871A1 (en) 2020-05-28
MX2015002946A (es) 2015-06-02
US20180110723A1 (en) 2018-04-26
PL2892528T3 (pl) 201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5107B2 (ja) 医薬組成物
CZ156598A3 (cs) Použití flurbiprofenu k přípravě léčiva k léčení bolesti v krku
JP4284017B2 (ja) 固形製剤
US20090263467A1 (en) Combination drug therapy using orally dissolving film or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dosage forms to treat dry mouth ailments
US20200054609A1 (en) Nasal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22000833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flurbiprofen
US20240139169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gitation
EP1444984A1 (en)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natural active constituents suitabl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ucosal inflammation processes
JP7243876B2 (ja) 固形製剤
EP3634387B1 (en) Lozenge dosage form
JP6258342B2 (ja) イブプロフェンナトリウム二水和物に基づく薬用トローチ
JP2010241834A (ja) 医薬組成物
JP2021017445A (ja) フェキソフェナジン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JP6315741B2 (ja) NSAIDsまたはヘパリン類含有口腔用組成物
KR102375872B1 (ko) 옥수수불검화 정량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iLet(innovative Low excipient tablet) 기술을 이용한 정제사이즈 축소를 통해 복용 편의성이 향상된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6342188A (ja) 口中溶解型又は咀嚼型鼻炎治療用固形内服医薬組成物
JP2013032408A (ja) 口中溶解型又は咀嚼型鼻炎治療用固形内服医薬組成物
JP2019127488A (ja) オロパタジン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Shilpa Medicated chewing gum: a novel drug delivery system for the treatmnet of cough
FR3047663A1 (fr) Comprime dispersible
JP2010150284A (ja) 口中溶解型又は咀嚼型鼻炎治療用固形内服医薬組成物
KR20070005980A (ko) 자일리톨을 함유하는 감기 치료제
JP2007039473A (ja) 医薬組成物
JP200512006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3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221

Effective date: 2022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