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678A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678A
KR20200131678A KR1020190056572A KR20190056572A KR20200131678A KR 20200131678 A KR20200131678 A KR 20200131678A KR 1020190056572 A KR1020190056572 A KR 1020190056572A KR 20190056572 A KR20190056572 A KR 20190056572A KR 20200131678 A KR20200131678 A KR 20200131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channel
water
compressor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835B1 (ko
Inventor
윤식
이경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8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한 발효 모듈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 발효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 압축기를 베이스에 체결시키며 금속 재질을 갖는 압축기 브라켓; 그라운드와 압축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파워코드 접지라인; 및 급수 히터와 압축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히터 접지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제조기{BAVERAGE MAKER}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발효 촉진제,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발효 촉진제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지를 통해 사용자의 감전을 방지하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접지라인의 연결작업이 용이한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압축기 브라켓을 파워코드 접지라인에 의해 그라운드와 연결시키고, 급수 히터를 히터 접지라인에 의해 압축기 브라켓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감전 상해를 방지할 수 있고 접지 라인의 연결 작업이 원활해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한 발효 모듈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 상기 발효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상기 베이스에 체결시키며 금속 재질을 갖는 압축기 브라켓; 그라운드와 상기 압축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파워코드 접지라인; 및 상기 급수 히터와 상기 압축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히터 접지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고 상기 파워코드 접지라인을 고정시키며 금속 재질을 갖는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압축기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파워코드 접지 라인은, 상기 그라운드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제1접지 라인; 및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압축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제2접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 라인의 길이는 상기 제1접지 라인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브라켓에는, 상기 파워코드 접지라인이 연결되는 제1터미널; 및 상기 히터 접지라인이 연결되고 제2터미널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 히터와 상기 제2터미널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급수 히터와 상기 제1터미널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브라켓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은 한 쌍의 체결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급수 히터는 상기 발효 모듈과 상기 압축기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급수 히터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코드 접지라인 및 히터 접지라인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사이를 우회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파워코드 접지라인이 통과하는 통과홈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홈은 상기 응축기를 기준으로 상기 급수히터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가 수행되므로 사용자의 감전으로 인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브라켓이 그라운드로 작용하므로 압축기에 연결되는 접지 라인이 불필요하며, 히터 접지 라인의 연결 작업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 브라켓이 파워코드 접지라인을 고정하므로, 파워코드 접지라인이 음료 제조기 내에서 깔끔하게 선정리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브라켓은 압축기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파워코드 접지라인이 압축기보다 내측에 위치한 다수의 채널들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워코드 접지 라인은 서로 분리된 제1접지 라인과 제2접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파워코드 접지 라인의 연결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급수 히터와 제2터미널 사이의 거리는, 급수 히터와 제1터미널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이로써 급수 히터와 제2터미널을 연결하는 히터 접지 라인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압축기 브라켓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압축기 브라켓이 베이스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고, 압축기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은 한 쌍의 체결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 사이의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파워코드 접지라인 및 히터 접지라인은 응축기와 압축기의 사이를 우회할 수 있다. 이로써, 응축기의 열에 의해 접지 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워코드 접지라인이 통과하는 통과홈은 응축기를 기준으로 급수히터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급수 히터의 열이 파워코드 접지라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에서 각 커버, 잔수 트레이 및 재료 공급기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에서 수조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에서 메인 프레임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코드 접지라인 및 히터 접지라인의 연결 관계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브라켓 및 그 주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서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모듈(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모듈(5)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 모듈(5)과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메인 채널(4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모듈(1)에서 취출된 음료가 제2메인 채널(42)의 일부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어, 음료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모듈(5)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는 에어 주입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에어 조절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서브 채널(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과 음료 취출기(6)를 연결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 모듈(5)의 급수 펌프(52)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제거 모듈(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발효 모듈(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발효 모듈(1)은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111)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 케이스(160)에 수용되고 내부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조(112) 사이에는 단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리드(107)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바디(1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 및 발효조(112)는 각각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는 발효조 모듈(111)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모듈(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메인 채널, 좀 더 상세하게는 제2메인 채널(42)와 연결되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발효조(112)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 재료 및 완성된 음료가 발효조(112)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112) 내부에서 음료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발효조(1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발효조(112)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압력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효 컨테이너(12)가 페트(pet)의 재질을 갖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되고 음료가 제조되는 음료 제조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2)의 내부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 리드(107)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 컨테이너(12)가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와 발효 리드(107)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발효조(112)의 내면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로 에어가 공급되면,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2)의 내압에 의해 압축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 담겨있던 음료가 취출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발효 케이스(1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발효조(112)의 외둘레 및 저면은 발효 케이스(16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조(112)의 외둘레는 발효 케이스(160)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측 저면은 발효 케이스(160)의 내측 저면과 이격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조(112) 사이에는 단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는 발효 케이스(160) 내부에 위치하고 발효조(112)를 둘러쌀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2)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는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센서(16)는 발효조(112)의 둘레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온도 센서(16)는 발효조(112)에 감긴 증발기(13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온도 조절기(1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온도 조절기(11)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발효조(112)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냉각 사이클 장치(13)와 히터(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조절기는 열전소자(TEM)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냉각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냉각 사이클 장치(13)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기는 증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와 단열부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단열부에 의해 단열된 발효조(112)를 냉각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발효조(112)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저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플레이트 히터(Plat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증발기(134) 및 히터(14)에 의해 발효조(112)의 내부에서 유체의 자연 대류가 발생할 수 있고 발효조(112) 및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이하, 메인 채널(41)(42) 및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채널(41)(42)은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기(3)를 연결하는 제1메인 채널(41)과, 재료 공급기(3)와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제2메인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메인 채널(41)은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을 재료 공급기(3)로 안내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은 재료 공급기(3)에서 추출된 재료와 물의 혼합물을 발효 모듈(1)로 안내할 수 있다.
제1메인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모듈(5)과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 좀 더 상세하게는 후술할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41)에는, 제1메인 채널(41)을 개폐하는 재료 공급 밸브(310)가 설치될 수 있다. 재료 공급 밸브(310)는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에 수용된 첨가물의 투입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의 클리닝 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의 일 단은 발효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 좀 더 상세하게는 후술할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출구(33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에는, 제2메인채널(4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메인채널(42)에는 유체를 재료 공급기(3)에서 발효 모듈(1)로 유동시키는 메인 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메인 체크밸브(314)는 유체가 재료 공급기(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체크밸브(314)는, 제2메인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로 물을 급수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40)는 발효조(112)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클로즈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첨가제를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를 개방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메인 채널(41)(42)은 하나의 연속된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음료 제조기는, 물이나 공기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된 바이패스 채널(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제1메인 채널(41)과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 밸브(31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에는, 바이패스 채널(43)을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이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가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바이패스 채널(43)의 클리닝 시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채널(43)에는, 유체를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2메인채널(42)로 유동시키는 바이패스 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유체는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2메인 채널(42)로만 유동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유동될 수 없다.
바이패스 체크밸브(324)는,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바이패스 밸브(35)와 제2메인채널(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재료 공급기(3)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발효 촉진제(예를 들어,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의 경우, 상기 주 재료는 맥아, 발효 촉진제,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발효 촉진제,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고, 발효 컨테이너(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취출기(6)로 유동되어 취출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발효 촉진제,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공급기(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31)(32)(33)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31A)(32A)(33A)와,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31B)(32B)(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재료 수용부의 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재료 수용부의 재료와 혼합되어 출구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이 수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캡슐(capsule)이나 포드(po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재료가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수용될 경우, 재료 공급기(3)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재료 컨테이너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재료 공급기(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발효 촉진제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재료 컨테이너(C1)이 수용되는 제1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재료 컨테이너(C2)이 수용되는 제2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재료 컨테이너(C3)이 수용되는 제3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재료가 수압에 의해 추출되는 경우, 급수 모듈(5)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맥주의 제조 시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발효 촉진제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3)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 중 어느 하나의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311)(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최초 재료 수용부(31)와, 최종 재료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중간 재료 수용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출구(33B)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유체의 유동에 대해 제1재료 수용부(31)와 상기 제2재료 수용부(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입구(32A)와 출구(32B) 각각에 서로 다른 연결 채널(311)(312)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공급기(3)에 재료 수용부가 3개 형성된 경우,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출구(31B)는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와 제1연결 채널(311)로 연결될 수 있고,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출구(32B)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와 제2연결채널(312)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메인채널(41)를 통해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로 유입된 물은, 최초 재료 수용부(31)에 수용된 제1첨가제와 함께 출구(31B)를 통해 제1연결채널(311)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연결채널(311)를 통해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로 유입된 유체(물과 제1첨가제의 혼합물)는, 중간 재료 수용부(32)에 수용된 제2첨가제와 함께 출구(32B)를 통해 제2연결채널(3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연결채널(312)를 통해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로 유입된 유체(물, 제1첨가제 및 제2첨가제의 혼합물)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에 수용된 제3첨가제와 함께 출구(33B)를 통해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을 통해 유출된 유체(물, 제1첨가제, 제2첨가제 및 제3첨가제의 혼합물)는 발효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로 안내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재료 공급기(3)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중간 재료 수용부가 없을 경우, 재료 공급기(3)에는 2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 재료 수용부는 최초 재료 수용부이고,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는 최종 재료 수용부일 수 있다. 최초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최종 재료 수용부의 입구는 연결채널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중간 재료 수용부가 복수개일 경우, 재료 공급기(3)에는 4개 이상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 재료 수용부는 최초 재료 수용부이고,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는 최종 재료 수용부이며, 나머지 재료 수용부는 중간 재료 수용부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재료 수용부간의 직렬 연결 관계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재료 공급기(3)의 채널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첨가제가 한 번에 추출되므로 소요 시간이 짧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재료 공급기(3)의 누수 포인트가 최소화되어 신뢰성이 항상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가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에 수용되는 경우, 최초 재료 수용부(31)는 최초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고,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중간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잇으며, 최종 재료 수용부(33)는 최종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급수 모듈(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급수 모듈(5)은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와 급수 펌프(52)는 수조 출수채널(55A)로 연결될 수 있고, 수조(51)에 담긴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 펌프(52)로 흡입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와 제1메인 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채널(55B)로 연결될 수 있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56A)와,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B)가 설치될 수 있다.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머플러(56A)는 플로우 미터(56B)의 이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54)가 설치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54)는 스텝인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4A)가 설치될 수 있다. 써미스터(54A)는 유량조절밸브(54)에 내장될 수 있다.
급수 채널(55B)에는 급수펌프(52)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급수 체크밸브(59)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 히터(53)는 급수 채널(55B)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는 급수 히터의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써모 스탯(58)(thermostat)이 설치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안전 밸브(53A)(safety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밸브(53A)는 급수 히터(53)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안전 밸브(53A)는 급수 히터(53)의 최대 내압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밸브(53A)는 급수 히터(53)의 최대 내압을 3.0bar로 제한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급수히터(53)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급수 온도센서(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온도센서(57)는 급수 히터(53)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펌프(52)로 흡입되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되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 음료 취출기(6)에 대해 설명한다.
음료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취출기(6)는 음료가 취출되는 디스펜서(62)와, 디스펜서(62)와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하는 음료 취출채널(6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은 제2메인 채널(42)과 디스펜서(62)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취출채널(61)의 일 단(61A)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체크밸브(314)와 메인 밸브(4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디스펜서(6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을 개폐하는 음료 취출밸브(64)가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음료가 취출될 때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잔수 제거 시에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음료 취출기(6)의 클리닝 시에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을 통과한 음료의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감압 부품(60)이 설치될 수 있다. 감압 부품(60)는 음료의 취출 방향에 대해 음료 취출밸브(64)의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감압 부품(60)은 음료 취출밸브(64)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감압 부품(60)를 통과하는 음료의 압력은 서서히 낮아질 수 있다. 이로써, 감압 부품(60)를 통과한 음료는 디스펜서(62)에서 취출되며 과다한 거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음료의 취출 시 음료 취출밸브(64)는 오픈될 수 있고, 음료가 취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음료 취출밸브(64)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디스펜서(62)는 레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620)를 조작하면 음료 취출밸브(64)가 오픈될 수 있고, 레버(620)가 원복되면 음료 취출밸브(64)가 클로즈될 수 있다.
이하, 가스 배출기(7)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고,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가스 배출채널(71)과, 가스 배출채널(71)에 설치된 가스 압력센서(72)와, 가스 배출채널(71)에 연결된 가스 배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가스 배출방향으로 가스 압력센서(72) 이후에 위치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는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가스 배출채널(71)이 연결되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가스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로 유동될 수 있다. 가스 압력센서(72)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로 유출된 가스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에어 주입기(8)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가 주입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상부에서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배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발효공정 도중의 발효도 감지를 위해 적어도 1회 이상 오픈 및 클로즈 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가스 배출채널(71)에 연결된 안전 밸브(75)(safety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밸브(75)는 가스 유동 방향에 대해 가스 압력센서(72)의 이후에 위치할 수 있다.
안전 밸브(75)는 발효 컨테이너(12) 및 가스 배출채널(71)의 최대 내압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밸브(75)는 발효 컨테이너(12) 및 가스 배출채널(71)의 최대 내압을 3.0bar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가스 배출기(7)는 압력 해제 밸브(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가스 배출 채널(71)에 연결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와 가스 배출 밸브(73)는 택일적으로 오픈/클로즈 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가스 유동 방향에 대해 가스 압력센서(72)의 이후에 위치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에는 소음 저감장치(77)가 장착될 수 있으며, 소음 저감장치(77)는 오리피스 구조나 머플러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저감장치(77)에 의해, 압력 해제 밸브(76)는 오픈되더라도 가스 배출 밸브(73)와 비교하여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서서히 낮아질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어 가스 발생으로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상승한 상태에서 압력을 해제시키기 위해 오픈될 수 있다. 소음저감장치(77)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내압이 상대적으로 높은 발효단계에서 오픈/클로즈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에어 주입기(8)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히터(53)를 기준으로, 후술할 서브 채널(91)의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 히터(53) 내부의 잔수와 함께 서브 채널(91)로 유동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 히터(53)내의 잔수가 제거되어 급수 히터(53)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바이패스 채널(43)과 제2메인 채널(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주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교반이나 에어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재료 공급기(3)로 안내되어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 또는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는 에어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음료 취출기(6)로 빠져나갈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 및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에어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된 에어 주입채널(81)과, 에어 주입채널(81)에 연결된 에어 주입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채널(81)에는 급수 채널(55B)의 물이 에어 주입채널(81)를 통해 에어 주입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에어주입 체크밸브(83)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공기를 펌핑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토출부는 에어 주입채널(8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흡입부에는 에어 필터(150)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제조기는 에어 필터(150) 및 에어 필터(150)에 연결된 에어 흡입채널(152)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흡입 채널(152)에는 에어 흡입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150A)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흡입 채널(152)은 제1흡입 채널(84)과 제2흡입 채널(153)로 분지될 수 있다. 제1흡입 채널(84)은 에어 주입펌프(82)의 흡입부에 연결될 수 있고, 제2흡입 채널(153)은 후술할 에어 공급펌프(151)의 흡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 주입펌프(82)의 흡입부와 에어 공급펌프(151)의 흡입부에 서로 다른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에어 조절기(1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은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에어 공급펌프(151)와, 에어 공급펌프(151)와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에어 공급채널(154)와, 에어 공급채널(154)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채널(157)과, 배기 채널(157)에 연결된 배기 밸브(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펌프(151)는 에어 공급채널(154)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 공급 펌프(151)의 토출부는 에어 공급채널(154)에 연결될 수 있고, 흡입부는 앞서 설명한 제2흡입 채널(153)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은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는 에어 공급채널(154)이 연결되는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가 마련될 수 있고,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에어 공급펌프(151)에서 에어 공급채널(154)로 주입된 공기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발효조(112)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에서 발효 컨테이너(12)을 가압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에어에 의해 수축된 발효 컨테이너(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와 음료 취출밸브(64)가 개방되면,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에어 공급펌프(151)는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 소정 압력이 형성되게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 취출이 용이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공급펌프(151)는 음료 취출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음료 취출이 끝나면, 다음 번 음료 취출을 위해 구동되었다가 정지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발효 컨테이너(12)를 발효 모듈(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 모듈(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음료를 음료 취출기(6)로 취출할 수 있다.
한편,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부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와 발효조(112)의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에어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배기 채널(157)는 발효 모듈(1)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 중 발효조(112)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은 에어 공급펌프(151)부터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7A)까지의 제1채널과,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7A)부터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까지의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채널은 에어 공급펌프(151)에서 펌핑된 에어를 상기 제2채널로 안내하는 급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채널은 상기 급기채널을 통과한 에어를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에서 유출된 에어를 배기채널(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채널일 수 있다.
배기 밸브(156)는 배기 채널(157)을 통해 에어를 배기시킬 수 있다.
음료 제조의 도중에 발효 컨테이너(12)이 팽창될 때,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배기밸브(156)는 오픈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급수 채널모듈(5)에 의한 급수시 오픈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에어 주입기(8)에 의한 에어 주입시 오픈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 취출이 완료되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를 빼내기 위해 배기밸브(156)는 오픈될 수 있다. 음료 취출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발효 컨테이너(12)을 발효조(112)의 외부로 꺼낼때 발효조(112) 내부가 고압을 유지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기밸브(156)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취출 완료 시 오픈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에어 공급펌프(151)에서 펌핑되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에어 단속 밸브(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단속 밸브(159)는 체크 밸브일 수 있다.
에어 단속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단속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 중 에어 공급펌프(151)와 배기 채널(157)의 연결부(157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서브 채널(9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과 음료 취출기(6)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채널(91)의 일 단(91A)은 급수 채널(55B)에 연결되고 타 단(91B)은 음료 취출채널(61)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채널(55B)에 대해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은 음료 취출채널(61)에 대해, 제2메인 채널(42)과의 연결부(61A)와 음료 취출밸브(64)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된 물이나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서브 채널(91)을 통해 음료 취출채널(61)로 안내될 수 있고, 디스펜서(62)로 취출되며 음료 취출기(6) 내부에 남아있는 잔수나 음료를 제거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에는 서브 채널(91)을 개폐하는 서브 밸브(92)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밸브(92)는 음료 취출 시 또는 내부 클리닝 시에 오픈되어 서브 채널(91)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의 음료가 급수 모듈(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서브 체크밸브(93)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체크밸브(93)는 서브 채널(91)에 대해 서브 밸브(92)와 음료 취출채널(6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의 잔수 제거 채널로 기능할 수 있다. 일례로, 바이패스 밸브(35) 및 재료공급밸브(310)가 클로즈되고 서브 밸브(92)가 오픈된 상태에서 에어 주입펌프(82)가 온 되면,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에어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하여 서브 채널(91)로 유동될 수 있고,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후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에어는 급수 모듈(5), 좀 더 상세히는 급수 히터(53) 및 급수 채널(55B)에 남아있던 잔수와 함께 디스펜서(62)로 취출됨으로써 잔수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은 클리닝 채널로 기능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디스펜서(62)에서 음료가 일부 취출되고, 다음 취출까지 오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다음 취출을 실시하기 이전에 물을 서브 채널(91)로 유동시켜 디스펜서(62)를 클리닝 할 수 있다.
이하, 공기제거 모듈(5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급수 펌프(52)는 기어 펌프(gear pu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펌프는 사용할수록 내부의 회전자 표면 및 펌프의 내벽에 도포된 윤활유(구리스)가 조금씩 소진되어, 일정 횟수 이상 사용하면 기어 펌프에 의해 발생하는 급수 펌프(52)의 인렛과 아웃렛 간의 압력차가 점점 작아질 수 있다. 급수 펌프(52)의 인렛은 수조 출수채널(55A)에 연결될 수 있고, 아웃렛은 급수 채널(55B)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제거 모듈(50)은 급수 펌프(52)에 작용하는 유로 저항을 일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기제거 모듈(50)에 의해 급수 펌프(52) 내의 공기가 제거되고, 대신 수조(51)의 물이 수두압에 의해 급수 펌프(5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 펌프(52)는 급수 채널(55B)을 통해 원활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기제거 모듈(50)는 공기제거 채널(50A)과, 공기제거 채널(50A)에 연결된 공기제거 밸브(50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제거 채널(50A)은 급수 채널(55B)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공기제거 채널(50A)은 급수 채널(55B)에서 분지될 수 있다.
공기제거 채널(50A)은 급수 채널(55B) 중에서 급수 펌프(52)와 인접한 지점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공기제거 채널(50A)은 급수 채널(55B) 중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제거 채널(50A)과 급수 채널(55B)의 연결부는 급수 히터(52)보다 급수 펌프(52)에 더 가까울 수 있다.
공기제거 밸브(50B)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제거 밸브(50B)의 오픈 시 공기제거 채널(50A)은 개방될 수 있고, 공기제거 채널(50A)의 공기가 공기제거 밸브(50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 펌프(52) 내의 공기가 공기제거 채널(50A)로 유동될 수 있고, 수조(51)의 물이 수두압에 의해 급수 펌프(5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 펌프(52)의 작동시에는 공기제거 밸브(50B)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하여 급수 채널(55B)로 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급수 펌프(52)가 작동 정지된 상태에서 공기제거 밸브(50B)를 오픈 시킬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수조(51)에 물이 비었다가 다시 채워진 경우에, 공기제거 밸브(50B)를 기설정 시간동안 오픈시키고 공기제거 밸브(50A)를 클로즈 시킨 후 급수 펌프(52)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에서 각 커버, 잔수 트레이 및 재료 공급기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에서 수조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에서 메인 프레임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음료 제조기의 저면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그 상측에 위치하는 발효 모듈(1), 수조(51), 급수 히터(53), 압축기(131), 응축기 케이스(130)를 지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100)가 지지하는 구성은 추가되거나 제거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62)에서 낙하된 음료를 받아 보관할 수 있는 잔수 트레이(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01)는 베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잔수 트레이(101)은 베이스(1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베이스(100)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베이스(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 모듈(1)은 베이스(100)의 발효 모듈 지지부(109)에 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효 모듈(1)은 발효조 모듈(111)과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12)(도 1 참조)가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의 내부에는 발효조(112, 도 1 참조)가 수용될 수 있다. 단열부는 발효조(112)와 발효 케이스(16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발효조(112)를 단열시킬 수 있다. 이 때 증발기(134, 도 1 참조) 및 히터(14, 도 1 참조)는 단열부와 발효조(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단열부는 증발기(134) 및/또는 히터(14)를 발효조(112)와 함께 둘러쌀 수 있고, 이로써 발효조(112)의 온도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발효조 모듈(111)을 상측에서 개폐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9)는 발효 케이스(1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발효 리드(107)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는 베이스(100)의 발효 모듈 지지부(109)에 올려질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힌지 연결부(107A)가 구비될 수 있고, 제1힌지 연결부(107A)는 리드 안착바디(179)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냉각사이클 장치(13)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증발기(134,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응축기(132)를 냉각시키는 송풍팬(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사이클 장치(13)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사이클 장치(13)는 냉매채널 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채널 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냉매채널 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채널 및 토출채널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채널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매채널 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냉매채널 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냉각 사이클 장치(13)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냉각 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131)는 베이스(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발효 모듈(1)에는 냉매 파이프(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파이프는 냉각 사이클 장치(13, 도 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기 냉매 파이프는 응축기(132)와 증발기(134, 도 1 참조)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냉매 파이프에는 팽창기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파이프는 후술할 메인 프레임(230)의 제1체결바디(231)와 베이스(100)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수조(51)(도 1 참조)가 수용되는 수조 케이스(149)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수조 케이스(149)는 상면에 개방된 원형 중공통일 수 있다. 사용자는 수조(51)를 수조 케이스(149)에 삽입하거나 수조(51)를 수조 케이스(149)로부터 꺼낼 수 있다.
수조 케이스(149)의 저면은 베이스(100)의 상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100)에는 수조 케이스(149)를 지지하는 지지 바디(102)가 형성될 수 있고, 수조 케이스(149)에는 지지 바디(102)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바디(102)는 베이스(1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지지부(511)는 수조 케이스(149)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바디(102)와 제1지지부(511)는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므로, 수조 케이스(149)의 저면은 베이스(100)와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에는 급수 히터(53)(도 1 참조)가 수용된 히터 케이스(113)가 설치될 수 있고, 수조 케이스(149)에는 히터 케이스(113)에 의해 지지되는 제2지지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히터 케이스(113)는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수조 케이스(149)의 저면은 베이스(100)와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수조(51)의 일측은 베이스(100)에 형성된 지지 바디(10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타측은 히터 케이스(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수조 케이스(149)와 베이스(100) 사이에는 기계실(148)이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148)은 수조 케이스(149)와 베이스(1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기계실(148)에는 급수펌프(52), 에어 주입펌프(82) 및 압축기(131) 등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수조 케이스(149)는 발효 모듈(1)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조 케이스(149)와 발효 모듈(1)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수조(51)(도 1 참조)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수조 리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는 상면이 개방된 중공통 형상일 수 있고, 수조 리드(110)는 수조(5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수조 리드(110)은 수조(5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수조(51)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수조 리드(110)는 발효 리드(107)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가 디자인적으로 통일감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100)부터 발효 리드(107)까지의 높이는, 베이스(100)부터 수조 리드(110)까지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100)와 발효 리드(107)의 상면 사이의 높이는, 베이스(100)와 수조 리드(110) 상면 사이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201)(202)(210)(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01)(202)(210)(220)는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커버(201)(202)(210)(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작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다수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커버(201)(202)(210)(220)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케이스 커버(202)와, 프론트 커버(210)와, 리어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케이스 커버(202)는 대략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케이스 커버(202)의 둘레면 중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둘레면 중 개방된 부분은 음료 제조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음료 제조기가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케이스 커버(202)는 각각 발효모듈(1)과 수조 케이스(149)의 외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51)는 각각 발효모듈(1)과 수조 케이스(149)를 고정시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케이스 커버(202)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케이스 커버(202)의 높이 및/또는 직경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의 외관이 대칭 구조 및 통일성에 의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고, 발효 리드(109)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수조 케이스 커버(202)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고, 수조 리드(110)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발효 리드(107)와 수조 리드(110)를 용이하게 개폐 조작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커버(210)는 음료 제조기의 전방측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케이스 커버(202)의 사이를 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케이스 커버(2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의 양 측단은 각각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케이스 커버(202)에 접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수직하게 배치된 평판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의 높이는 발효모듈 커버(201) 및 수조 케이스 커버(202)의 높이와 각각 동일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에는 디스펜서(62)가 장착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는 프론트 커버(210)의 하단보다 상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는 잔수 트레이(10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펜서(62)의 레버(620)를 조작하여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커버(210)에는 디스펜서(62)가 장착되는 디스펜서 장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장착부(214)는 프론트 커버(210)의 하단보다 상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프론트 커버(2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프론트 커버(210) 중 디스펜서(62)에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펜서(62)와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엘시디(LCD), 엘이디(LED), 오엘이디(OLED)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는 프론트 커버(21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후술할 컨트롤러(28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의 제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키는 방식의 로터리 놉 및 사용자가 누르는 방식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입력부는 로터리 놉(283)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놉(283)은 프론트 커버(210)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놉(283)은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놉(283)은 사용자가 누르는 방식의 버튼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로터리 놉(283)을 잡고 돌리거나, 로터리 놉(283)의 전면을 눌러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가 터치스크린으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부는 후술할 컨트롤러(28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무선 통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무선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과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은 프론트 커버(2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은 후술할 컨트롤러(28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음료 제조기는 별개의 이동 단말기 등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하거나, 제조 정보를 조회하거나, 제조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리어 커버(220)는 음료 제조기의 후방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커버(220)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케이스 커버(202)의 사이를 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는 발효 모듈(1)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재료 공급기(3)는 발효 모듈(1)와 수조 케이스(14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가 발효 모듈(1) 및 수조 케이스(149)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의 각 양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곡면은 각각 발효 모듈 커버(201)의 외둘레와 수조 케이스 커버(202)의 외둘레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베이스(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기(3)는 메인 프레임(2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전후 방향으로 프론트 커버(210)와 리어 커버(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의 전면은 프론트 커버(2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배면은 리어 커버(2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음료 제조기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재료 공급기(3)를 개방하여 재료 컨테이너(C1)(C2)(C3)을 용이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메인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도 1에 도시된 복수개의 밸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메인 프레임(230)에는 밸브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밸브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밸브는 유량 조절밸브(54), 재료 공급밸브(310), 메인 밸브(40), 바이패스 밸브(35), 배기 밸브(156), 음료 취출밸브(64), 서브 밸브(92), 가스 배출밸브(73) 및 압력 해제 밸브(7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발효 모듈(1) 및 수조 케이스(149)와 각각 체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베이스(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수조 케이스(149) 및 발효 모듈(1)의 후방에서 체결될 수 있고, 복수개의 밸브 장착부는 메인 프레임(23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에서 리어 커버(220)만을 분리하면 사용자는 곧바로 복수개의 밸브들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밸브들의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적어도 일부는 발효 모듈(1)과 수조(5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적어도 일부는 재료 공급기(3)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메인 프레임(230)은, 발효 모듈(1)과 체결되는 제1체결바디(231)와, 수조 케이스(149)와 체결되는 제2체결바디(232)와, 제1체결바디(231)와 제2체결바디(232)를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가 발효 모듈(1)과 수조(51)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바디(2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디(233)는 재료 공급기(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체결바디(232)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으로 제어모듈(280)과 수조 케이스(149)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체결바디(231)에 형성된 밸브 장착부의 개수는 제2체결바디(232)에 형성된 밸브 장착부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이는 수조(51)에 연결되는 채널에 비해 발효 모듈(1)에 연결되는 채널의 개수가 더 많고, 발효 모듈(1)로 유출입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밸브의 개수가 수조(51)에서 유출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밸브의 개수보다 많기 때문이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제어 모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기의 전장부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80)은 메인 프레임(230) 또는 수조 케이스(149)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수조 케이스(149)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제2체결바디(23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수조 케이스(149)의 후방에 위치한 밸브의 개수보다 발효 모듈(1)의 후방에 위치한 밸브의 개수가 더 많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제조기 내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음료 제조기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어모듈 체결부(103)가 형성될 수 있고, 제어 모듈(280)은 제어모듈 체결부(103)와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수조 케이스(149) 및/또는 메인 프레임(230)의 제2체결바디(232)와 체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는 메인 피시비와, 상기 메인 피시비가 내장된 피시비 케이스(28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피시비는 음료 제조기의 구성들의 동작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284)를 포함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281)는 메인 프레임(230) 및/또는 수조 케이스(149)에 체결될 수 있고, 내부의 메인 피시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에 포함된 컨트롤러(284)는 무선통신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84)는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4)는 음료 제조기 또는 제조되는 음료에 관한 정보를 무선 통신모듈로부터 별도의 이동단말기 등으로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4)는 입력부에서 입력된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84)는 로터리 놉(283)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4)는 음료 제조기의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282)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84)는 디스플레이(282)를 통해 음료의 취출량, 음료의 잔량이나 음료 취출 완료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4)는 급수 펌프(52), 급수히터(53), 에어 주입펌프(82), 에어 공급펌프(151) 및 온도 조절기(11)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4)는 유량 조절밸브(54), 재료 공급밸브(310), 메인 밸브(40), 바이패스 밸브(35), 배기 밸브(156), 음료 취출밸브(64), 서브 밸브(92), 가스 배출밸브(73) 및 압력 해제 밸브(76)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4)는 플로우 미터(56), 써미스터(54A), 급수 온도센서(57), 온도 센서(16), 가스 압력센서(72)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284)는 가스 압력센서(72)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을 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 의해 발효조(11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이렇게 감지된 압력이나 온도를 이용하여 음료의 발효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4)는 급수 온도센서(57)에 의해 급수모듈(5)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이렇게 감지된 물의 온도에 따라 급수 히터(5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4)는 온도 조절기(11)를 제어하여 발효조(112)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4)는 디스펜서(62)가 개방된 시간과, 에어 공급펌프(151)가 구동한 시간과, 음료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 밸브(40)가 온인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산할 수 있다. 컨트롤러(284)는 이렇게 적산된 시간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취출된 음료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4)는 이렇게 산출된 음료의 취출량으로부터, 음료의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4)는 산출된 음료의 잔량 정보로부터,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가 모두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84)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가 모두 취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음료 취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컨트롤러(284)는 음료 제조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응축기 케이스(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 케이스(130)는 베이스(100)에 배치되고, 응축기(132)를 수용할 수 있다.
응축기 케이스(130)는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31), 송풍팬(135) 및 응축기(132)는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응축기 케이스(130)는 상기 일직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35)은 압축기(131)와 응축기(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35)은 응축기 케이스(130) 내부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베이스(100)에 형성된 흡입구(251)에서 흡입된 공기는 송풍팬(135)에 의해 응축기 케이스(130) 내로 송풍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열교환 된 이후 리어 커버(220)에 형성된 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다.
송풍팬(135)은 응축기 케이스(130)에 체결될 수 있다.
응축기 케이스(130)에 의해 송풍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온전히 응축기(132)를 통과하므로 응축기(132)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 케이스(130)는 응축기(132)의 열의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135)은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135)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압축기(131)를 방열시킬 수 있다.
응축기 케이스(130)의 상면에는, 응축기 케이스(1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응축기(132)를 통과한 공기를 리어 커버(220)의 토출구(271)로 안내하는 연장부(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130A)는 에어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 케이스(130)의 상면에는 연장부(130A)의 상면까지 연장된 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에는 응축수 수용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수용부(104)는 가스 배출밸브(73)에서 가스가 배출되며 발생하는 응축수가 수용되는 공간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 장착된 가스 배출밸브(73)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찬공기와 만나며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응축수는 응축수 수용부(104)로 낙하하여 응축수 수용부(104)에 모일 수 있다.
응축수 수용부(104)는 발효모듈 지지부(109)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에는, 베이스(10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응축수가 응축수 수용부(104)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턱부(10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수용부(104)는 발효 모듈(1)과 발효 모듈 지지부(109)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100)에는 응축수 수용부(104)와 상기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응축수 수용부(104)에 수용된 응축수는 발효 모듈(1)과 발효 모듈 지지부(109) 사이의 공간으로 흐를 수 있어 더 많은 응축수가 수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응축수 수용부(104) 및 상기 보조 공간에 수용된 응축수는 자연 증발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커버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어 커버의 사시도이다.
리어 커버(220)는 발효 모듈(1)의 후방에 배치되고, 다수의 토출구(271)가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 케이스(130)(도 6 참조)는 리어 커버(220)의 토출구(27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35)에 의해 응축기 케이스(130) 내로 송풍된 공기는 응축기(132)와 열교환하고 토출구(271)로 토출될 수 있다.
리어 커버(220)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구(271)는 리어 커버(220)의 일측단보다 타측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토출구(271)은 리어 커버(220)의 좌측단보다 우측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도 7와 함께 참조하면, 다수의 토출구(271)는 응축기 케이스(130)의 길이 방향으로 송풍팬(135)과 오버랩될 수 있다. 즉, 응축기 케이스(130)는 토출구(271)를 향하도록 비스듬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개방된 토출구(271)를 통해 음료 제조기 외부로 토출된 공기가 음료 제조기 내로 재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송풍팬(135)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어 커버(220)에는 음료 제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코드(예를 들어, 전선)이 통과하는 통과홈(278)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버(220)에는 상기 파워 코드가 감길 수 있는 파워 코드 고정부(273) 및 상기 파워 코드의 단부에 연결된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홀(274)이 형성될 수 있다.
파워 코드 고정부(273)는 리어 커버(22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좌우 한쌍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플러그 홀(274)는 양 파워 코드 고정부(273)의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파워 코드는 양 파워 코드 고정부(273)에 번갈아가며 감겨 고정될 수 있으며, 파워 코드에 연결된 플러그는 플러그 홀(27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의 미사용 시 파워 코드 고정부(273) 및 플러그 홀(274)에 의해 파워 코드 및 플러그가 정리될 수 있고, 제품 이동시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리어 커버(220)의 상단에는 재료 공급기(3)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회피부(272)가 형성될 수 있다. 회피부(272)는 리어 커버(220)의 상단 중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의 후단은 회피부(272)에 배치될 수 있고, 회피부(272)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음료 제조기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한편, 리어 커버(220)에는 에어 필터(150)(도 1 참조)가 장착되는 에어 필터 장착부(276)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필터(150)는 에어 주입펌프(82) 및 에어 공급펌프(151)의 각 흡입부로 흡입되는 에어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에어 필터 장착부(276)는 리어 커버(220)에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필터 장착부(276)에는 채널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에어 흡입채널(152)은 상기 채널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필터 장착부(276)에는 필터 장착부 커버(275)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장착부 커버(275)는 리어 커버(220)의 후방에서부터 에어 필터 장착부(276)를 커버할 수 있다. 필터 장착부 커버(275)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 장착부 커버(275)를 에어 필터 장착부(276)에서 분리하여 에어 필터(1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베이스(100)는 발효 모듈 지지부(109)와, 응축수 수용부(104)와, 압축기 지지부(108)와, 응축기 케이스 지지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모듈 지지부(109)는 발효 모듈(1)을 지지할 수 있다. 발효 모듈 지지부(109)는 베이스(100)의 후단보다 전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모듈 지지부(109)에 발효 모듈(1)이 올려진 경우, 발효 모듈(1)과 발효 모듈 지지부(109)의 사이에는 공간(109A)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 모듈 지지부(109)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발효 모듈(1)의 저면과 발효 모듈 지지부(109)의 사이에는 보조 공간(109A)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축수 수용부(104)에는 발효 모듈(1)에서 배출되는 가스나 에어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가 수용될 수 있다. 응축수 수용부(104)는 발효모듈 지지부(109)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100)에는 응축수 수용부(104)와 발효모듈 지지부(109)를 연통시키는 연통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홈(105)에 의해 응축수 수용부(104)의 응축수가 발효모듈 지지부(109)에 형성된 보조 공간(109A)으로 흐를 수 있고, 더 많은 응축수가 수용될 수 있고, 응축수가 넓게 퍼지므로 응축수의 증발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100)에는, 응축수가 응축수 수용부(104)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턱부(106)가 형성될 수 있다.
턱부(106)는 베이스(10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턱부(106)는 응축수 수용부(104)와 응축기 케이스 지지부(25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턱부(106)는 응축수 수용부(104)의 응축수가 보조 공간(109A) 이외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축기 지지부(108)는 냉각 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131)를 지지할 수 있다. 압축기 지지부(108)는 압축기(131)가 수조 케이스(149)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 케이스 지지부(252)는 응축기 케이스(130)를 지지할 수 있다.
응축기 케이스 지지부(252)는 응축기 케이스(130)가 비스듬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 케이스 지지부(252)는 베이스(100)의 전단보다 후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5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51)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홀일 수 있다. 흡입구(251)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팬(135)에 의해 응축기 케이스(130) 내의 응축기(132)로 송풍될 수 있다.
흡입구(251) 중 적어도 일부는 응축기 케이스 지지부(252)와 압축기 지지부(108)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100)의 전단에는 잔수 트레이(101)(도 2 참조)가 체결되는 잔수 트레이 체결부(101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에는 수조 케이스(149)를 지지하는 지지 바디(10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바디(102)는 베이스(1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좀 더 상세히는 압축기 지지부(108)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바디(102)는 수조 케이스(149)에 형성된 제1지지부(511)에 연결되어 수조(51)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바디(102)는 수조 케이스(149)의 저면과 압축기 지지부(108)를 이격시켜 그 사이에 압축기(131), 급수 펌프(52), 에어 주입펌프(82) 및 에어 공급펌프(151)가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에는 제어 모듈(280)(도 5 참조)과 체결되는 제어 모듈 체결부(1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 체결부(103)는 베이스(1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 체결부(103)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압축기 지지부(108)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 체결부(103)의 높이는 지지 바디(102)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베이스(100)에는 음료 제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코드(예를 들어, 전선)이 통과하는 통과홈(100A)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과홈(100A)은 베이스(100)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에 형성된 통과홈(100A)은 리어 커버(220)에 형성된 통과홈(278)(도 7 참조)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100)에 형성된 통과홈(100A) 및 리어 커버(220)에 형성된 통과홈(278)은 함께 파워코드 통과홀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00)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레그(25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00에는 4개의 레그(250)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레그(250)는 베이스(100)가 수평을 유지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레그(250)에 의해 베이스(100)의 저면은 음료 제조기가 설치되는 설치면과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공기가 베이스(100)와 상기 설치면의 사이로 유동되어 흡입구(251)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에는 인서트 너트(미도시)가 인몰드 되는 너트 장착부(253)가 구비될 수 있다. 너트 장착부(253)는 압축기 지지부(108)에 형성될 수 있다. 너트 장착부(253)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코드 접지라인 및 히터 접지라인의 연결 관계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브라켓 및 그 주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압축기(131)를 베이스(100)에 체결시키는 압축기 브라켓(140)과, 그라운드(G)와 압축기 브라켓(140)을 연결하는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과, 급수 히터(53)와 압축기 브라켓(140)을 연결하는 히터 접지라인(GL3)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브라켓(140)은 베이스(100), 좀 더 상세히는 압축기 지지부(105)에 체결될 수 있다.
압축기 브라켓(140)은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 브라켓(140)은 철제일 수 있다. 즉, 압축기 브라켓(140)은 도체일 수 있다.
압축기 브라켓(14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체결바디(140A)와, 상기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131)를 기준으로 상기 제1체결바디(140A)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체결바디(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방향은, 압축기(131), 송풍팬(135) 및 응축기(132)는 배치된 일직선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체1체결바디(140A)는 압축기(13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체결바디(140B)는 압축기(13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압축기 브라켓(140)에는 스크류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C)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부(140C)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체결부는 베이스에 형성된 너트 장착부(25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부재(C)는 체결부(140C)를 관통하여 너트 장착부(253)에 인몰드 된 인서트 너트(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40C)는 체1체결바디(140A) 및 제2체결바디(140B)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압축기 브라켓(140)은 압축기(131)를 안정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고, 압축기(131)의 진동이 최소화되며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압축기 브라켓(140)에는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이 연결되는 제1터미널(141)과, 히터 접지라인(GL3)이 연결되는 제2터미널(14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터미널(141) 및 제2터미널(142)은 제1체결바디(140A)와 제2체결바디(140B) 중 급수 히터(53)에 더 가까운 체결바디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터미널(141) 및 제2터미널(14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바디(14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터미널(141) 및 제2터미널(142)은 제1체결바디(140A)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급수 히터(53)와 제2터미널(142) 사이의 거리는, 급수 히터(53)와 제1터미널(141)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제1터미널(141) 및 제2터미널(142)는 한 쌍의 체결부(140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터미널(141) 및 제2터미널(142) 사이의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은 그라운드(G)와 압축기 브라켓(140), 좀 더 상세히는 제1터미널(141)을 연결할 수 있다. 그라운드(G)는 음료 제조기의 외부에 위치한 구성일 수 있다.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은 음료 제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코드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은 통과홈(100A)을 통과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파워 코드는 제어 모듈(280)에 포함된 전원 피씨비(미도시)에 연결되는 전력공급라인(양극 라인 및 음극 라인을 포함)과, 상기 전력공급라인과 분리되는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에 의해 도체인 압축기 브라켓(140)이 그라운드(G)에 연결되므로, 압축기 브라켓(140)이 그라운드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 브라켓(140)에 체결된 압축기(131)는 접지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100)에 체결되고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을 고정시키며 금속 재질을 갖는 고정 브라켓(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43)은 압축기(131) 및 압축기 지지부(108)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은 압축기(131)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압축기(131)의 내측에 다수의 채널들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고정 브라켓(143)은 압축기 지지부(108)에 대해 하측으로 단차진 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이 음료 제조기 내부에서 낮은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은 그라운드(G)와 고정 브라켓(143)을 연결하는 제1접지 라인(GL1)과, 고정 브라켓(143)과 압축기 브라켓(140)을 연결하는 제2접지 라인(G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지 라인(GL2)의 길이는 제1접지 라인(GL1)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로써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의 연결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히터 접지라인(GL3)은 급수 히터(53)와 압축기 브라켓(140), 좀 더 상세히는 제2터미널(142)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히터(53)는 접지될 수 있다.
압축기(131) 및 급수 히터(53)가 접지됨으로써 사용자가 감전으로 인해 상해를 입을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음료 제조기를 세척할 때 사용자가 디스펜서(62)로 출수되는 물을 만지면 감전의 우려가 있다.
한편, 급수 히터(53)(도 6 참조)는 압축기(131)와 발효 모듈(1)의 사이에 위치하고, 응축기(130)는 급수 히터(5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통과홈(100A)은 응축기(130)를 기준으로 급수히터(53)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통과홈(100A)은 응축기(1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파워코드 접지라인(GL1)(GL2) 및 히터 접지라인(GL3)은 응축기(130)와 압축기(131)의 사이를 우회할 수 있다. 즉, 접지라인(GL1)(GL2)(GL3)은 압축기(131)의 외측을 지나 통과홈(100A)으로 향할 수 있다.
이로써, 접지라인(GL1)(GL2)(GL3)이 응축기(130)의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접지라인(GL1)(GL2)(GL3)이 응축기(130)와 압축기의 사이에 배치된 송풍팬(135)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한 발효 모듈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
    상기 발효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상기 베이스에 체결시키며 금속 재질을 갖는 압축기 브라켓;
    그라운드와 상기 압축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파워코드 접지라인; 및
    상기 급수 히터와 상기 압축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히터 접지라인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고 상기 파워코드 접지라인을 고정시키며 금속 재질을 갖는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압축기보다 외측에 위치한 음료 제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코드 접지 라인은,
    상기 그라운드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제1접지 라인; 및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압축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제2접지 라인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지 라인의 길이는 상기 제1접지 라인의 길이보다 짧은 음료 제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브라켓에는,
    상기 파워코드 접지라인이 연결되는 제1터미널; 및
    상기 히터 접지라인이 연결되고 제2터미널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 히터와 상기 제2터미널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급수 히터와 상기 제1터미널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운 음료 제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브라켓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은 한 쌍의 체결부 사이에 위치한 음료 제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히터는 상기 발효 모듈과 상기 압축기의 사이에 위치한 음료 제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히터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코드 접지라인 및 히터 접지라인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사이를 우회하는 음료 제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파워코드 접지라인이 통과하는 통과홈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홈은 상기 응축기를 기준으로 상기 급수히터의 반대편에 위치한 음료 제조기.
KR1020190056572A 2019-05-14 2019-05-14 음료 제조기 KR10222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572A KR102223835B1 (ko) 2019-05-14 2019-05-14 음료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572A KR102223835B1 (ko) 2019-05-14 2019-05-14 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678A true KR20200131678A (ko) 2020-11-24
KR102223835B1 KR102223835B1 (ko) 2021-03-08

Family

ID=7367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572A KR102223835B1 (ko) 2019-05-14 2019-05-14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8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6464A (ja) * 1995-06-07 1996-12-24 West Bend Co:The 小機器のための改良された加熱装置
KR101284459B1 (ko) * 2009-04-04 2013-07-17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탭핑 전기자 및 탭핑 전기자의 전기자 하우징을 위한 접지선과 연결 플랜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80129105A (ko) * 2017-05-25 201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3500A (ko) * 2017-08-29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6464A (ja) * 1995-06-07 1996-12-24 West Bend Co:The 小機器のための改良された加熱装置
KR101284459B1 (ko) * 2009-04-04 2013-07-17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탭핑 전기자 및 탭핑 전기자의 전기자 하우징을 위한 접지선과 연결 플랜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80129105A (ko) * 2017-05-25 201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3500A (ko) * 2017-08-29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835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264B1 (ko)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US10883072B2 (en) Beverage maker
KR102587228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0613B1 (ko) 음료 제조기
KR102223835B1 (ko) 음료 제조기
KR102606411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KR102481824B1 (ko) 음료 제조기
KR102274550B1 (ko) 음료 제조기
KR102397732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KR102359639B1 (ko) 음료 제조기
KR20200131660A (ko)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커버 제조방법
KR20200132599A (ko) 음료 제조기
KR102578763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8765B1 (ko) 음료 제조기
KR102522000B1 (ko) 음료 제조기
KR102582520B1 (ko) 음료 제조기
KR102434281B1 (ko) 음료 제조기
KR102216741B1 (ko) 음료 제조기
KR102533780B1 (ko) 음료 제조기
KR20190013218A (ko) 음료 제조기
KR102557939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824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533779B1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