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407A -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 Google Patents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407A
KR20200131407A KR1020190055979A KR20190055979A KR20200131407A KR 20200131407 A KR20200131407 A KR 20200131407A KR 1020190055979 A KR1020190055979 A KR 1020190055979A KR 20190055979 A KR20190055979 A KR 20190055979A KR 20200131407 A KR20200131407 A KR 2020013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plate
locking
male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857B1 (ko
Inventor
백지숙
백란희
백지혜
손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Priority to KR102019005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857B1/ko
Priority to EP20174267.3A priority patent/EP3738460B1/en
Priority to CN202010398012.XA priority patent/CN111938279B/zh
Priority to US16/874,027 priority patent/US11324295B2/en
Publication of KR2020013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44B11/258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combined with one buckle element rotat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버클의 체결고정 시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체결해제 시에 두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한 손 또는 한 손가락만으로도 용이하게 체결해제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유사 시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해체시킬 수 있는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 및 체결해제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를 포함하는 버클에 있어서, 중앙부에 제1 자석이 매립되거나 수용되게 구비된 수 버클 부재;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 및 체결해제되며, 중앙부에 제2 자석이 매립되거나 수용되게 구비된 암 버클 부재;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에 구성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 간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으로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록킹-언록킹 수단; 및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에 구성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 간을 체결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수단이 언록킹되도록 구성되는 체결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BUCKLE HAVING STRONG COUPLING FUNCTION AND IMPROVED RELEASE FUNCTION, AND PRODUCT COMPRISING THE BUCKLE}
본 발명은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해제를 의도하지 않는 상황에서 버클이 쉽게 체결해제되지 않고 버클의 체결 고정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체결해제 시에 두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한 손 또는 한 손가락만으로도 용이하게 체결해제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유사 시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해체시킬 수 있는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이라 함은 상술한 것처럼 등산용 배낭이나 가방 등의 벨트 혹은 스트랩(strap) 등의 각종 단부에 한 쌍의 암, 수 부재가 장착되어 상호 연결시켜 주는 체결수단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버클은 플라스틱 재질을 일체로 형성시켜 탄성적인 결합을 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개방형 버클의 분리 사시도로서, 종래의 버클들 중에는 등산용 배낭이나 가방 및 의류 등의 물품에 대하여 사용 용도에 따라서 혹은, 필요에 의해서 도 1과 같이 수 부재(310)의 양측 결합 레그(312)가 암 부재(320)의 챔버(322)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암 부재(320)의 양측으로 개방된 슬롯(324)에 체결된 후, 해체될 때에는 상기 슬롯(324)에 체결된 결합 레그(312)를 가압하여 암, 수 부재가 해체되는 버클 즉, 암 부재(320)에 슬롯(324)이 형성된 개방형 버클(300)이 있는 반면, 수 부재의 선단부에 있는 체결부가 암 부재의 몸체 내측으로 삽입되어 암 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된 후, 해체될 때에는 상기 암 부재의 외형부에 형성된 가압수단을 가압하여 해체되는 버클 즉, 암 부재에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비 개방형 버클(200)의 것이 있다.
즉, 개방형 버클은 암 부재의 슬롯(324)에 의하여 개방된 슬롯에 체결된 수 부재의 결합 레그(312)를 가압하여 해체되는 한편, 비 개방형 버클(200)은 암 부재가 슬롯이 없고 개방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체될 때에는 암 부재의 어느 외형부의 일정부분을 가압하여 해체하게 되는 형태라 할 수 있겠다.
상기와 같이 대별되는 이들 버클은 상기에서와 같이, 사용용도와 필요에 따라서 각각 그 기능을 달리하고 있으나, 이중 비 개방형 버클(200)의 가장 일반화되어 있는 형태의 종래 기술을 하기 도면에 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 개방형 버클(200)의 분리 사사도 이고, 도 3a는 도 2의 A-A'선 결합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2의 B-B'선 결합 단면도이다. 이들 부재는 상기에서와 같이 암 부재(220)와 수 부재(250)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부재(220)는 선단부로부터 개방된 챔버(221)를 가지면서 상측의 상판(222)에는 가압부(2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223)는 3면이 상판(222)과 분리되어 있으며, 다른 한 면은 상판(222)과 일체형으로서 홈(224)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가압부(223)의 하측으로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결합레그의 안내면(2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레그의 안내면(225)의 선단부에는 수 부재(250)의 걸림부(253)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암 부재(220)의 걸림턱(2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 부재(250)는 몸체의 양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돌출된 결합 레그(251)가 형성되고 그 선단부는 내측으로 "ㄱ" 자형(252)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ㄱ"자형(252)의 하단부는 수 부재(250)의 걸림부(25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부(253)는 상기 암 부재(220)의 걸림턱(226)과 맞물리며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 부재(250)와 결합 레그(251)의 중앙부에는 해체 탄성편(254)이 형성되어 버클의 결합시 결합 레그의 안내면(225)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 비 개방형 버클의 결합시에는 수 부재(250)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결합 레그(251)를 상기 암 부재(220)의 선단 입구의 챔버(221)를 통해 삽입하게 되면, 상기 결합 레그(251)의 선단면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부(253)가 암 부재(220)의 결합 레그의 안내면(225)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암 부재(220)의 안내면(225)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26)에 탄성적으로 안착하여 상호 결합하게 된다.
이후, 상기 버클을 해체할 경우에는 상기 암 부재(220)의 상단에 형성된 가압부(223)를 가압하게 되면, 수 부재(250)의 해체 탄성편(254)이 상호 결합 되어 있는 암 부재(220)의 걸림턱(226)과 수 부재(250)의 걸림부(253)를 이탈시키면서 상기 각 부재들은 서로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 개방형 버클(200)은 결합 레그(251)가 암 부재(220)의 챔버(221) 내부로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각각의 부재에 형성된 체결수단 즉, 암 부재(220)의 걸림턱(226)과 수 부재(250)의 걸림부(253)가 암 부재(220)의 내부 먼곳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그 체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체결 강도가 약하여 안전사고에 위험이 있으며, 또한 암 부재(220)의 상판(222)에 형성된 가압부(223)가 상판(222)과 3면이 분리 절제되어 있는 한편, 수 부재(250)도 결합 레그(251)와 해체 탄성편(254)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버클의 전체 강도가 매우 약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는 버클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비 개방형 버클(200)은 암 부재(220)의 가압부(223)를 가압하여 그 하단부에 있는 수 부재(250)의 해체 탄성편(254)을 2차적으로 가압하여 각각의 부재를 해체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여 결과적으로 결합과 해체하기가 어렵고 제조단가 또한 증대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1501호에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체결해제가 용이한 버클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러한 버클또한 버클의 암 부재와 수 부재를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즉 암 부재와 수 부재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한손으로 중앙부를 가압하여 손쉽게 체결해제가 가능한 버클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버클은 버클이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부딪히게 될 경우 쉽게 분리되어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신급한 상황에서 손쉽게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01498(2005.07.2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32100(2012.04.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11501(2017.12.20.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체결해제를 의도하지 않는 상황에서 버클이 쉽게 체결해제되지 않고 버클의 체결 고정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체결해제 시에 두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한 손 또는 한 손가락만으로도 용이하게 체결해제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유사 시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해체시킬 수 있는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체결 및 체결해제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를 포함하는 버클에 있어서, 중앙부에 제1 자석이 매립되거나 수용되게 구비된 수 버클 부재;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 및 체결해제되며, 중앙부에 제2 자석이 매립되거나 수용되게 구비된 암 버클 부재;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에 구성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 간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으로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록킹-언록킹 수단; 및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에 구성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 간을 체결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수단이 언록킹되도록 구성되는 체결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수 버클 부재는 상기 제1 자석이 매립되거나 수용 고정되는 제1 자석 장착부가 구비되는 수 버클 판형부, 및 상기 수 버클 판형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벨트나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버클 부재는 일측이 소정 형태의 관통 형성된 관통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제2 자석이 매립되거나 수용 고정되는 제2 자석 장착부가 형성되는 암 버클 판형부, 및 상기 암 버클 판형부의 양측 일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언록킹 수단은, 상기 수 버클 판형부의 하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록킹-언록킹 결합부, 및 상기 암 버클 판형부의 하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와의 상대적인 전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끼움 결합과 끼움 결합해제로 록킹-언록킹되게 결합되는 록킹-언록킹 피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는 상기 수 버클 판형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로 형성되되, 배면에서 바라볼 때 빗면이 외측을 향하는 직각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 록킹 돌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언록킹 피결합부는 상기 암 버클 판형부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멍, 및 상기 관통구멍의 내측에서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의 록킹 돌기의 경사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상단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걸림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체결해제 수단은 상기 수 버클 판형부의 타단부 양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 결합편; 일단부가 상기 힌지 결합편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해제 회동조작판;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 부재; 상기 힌지 결합편 사이의 상기 수 버클 판형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을 회동 반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암 버클 부재와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의 회동으로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 간을 체결 해제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와 상기 록킹-언록킹 피결합부 간이 록킹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록킹해제 연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은 조작판 판형부와, 상기 조작판 판형부의 일측 하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판상 돌출부, 및 상기 판상 돌출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 결합편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 연동 수단은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의 상기 판상 돌출부 하단부 일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구동 캠홈; 및 상기 암 버클 부재에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 구동홈과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구동 캠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구동 캠홈은 상기 판상 돌출부의 하단을 밑변으로 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가 서로 체결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면이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구동 캠돌기는 상기 슬라이딩구동 캠홈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에 형성되는 연결구멍에 연결되는 끈이나 단부에 파지구가 구비되는 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에 형성되는 연결구멍에 연결되며 단부에 고리가 구비되는 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한 일 관점에 따른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의하면, 체결해제를 의도하지 않는 상황에서 버클이 쉽게 체결해제되지 않고 버클의 체결 고정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클의 체결해제 시에 두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한 손 또는 한 손가락만으로도 용이하게 체결해제할 수 있으며, 특히 비상 상황 시에 보다 신속하게 결합해체할 수 있어 사용성과 안전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개방형 버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 개방형 버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A'선 결합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B-B'선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의 결합된 상태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의 결합된 상태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버클을 구성하는 결합해제 조작부재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의 결합된 상태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의 결합된 상태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버클을 구성하는 암 버클부재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분리된 상태(체결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버클을 구성하는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의 회동조작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분리된 상태(체결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버클을 구성하는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의 회동조작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구성하는 수 버클부재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구성하는 암 버클부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구성하는 암 버클부재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구성하는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을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의 결합해제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가방에 적용된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벨트에 적용된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의 결합된 상태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의 결합된 상태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버클을 구성하는 결합해제 조작부재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의 결합된 상태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의 결합된 상태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버클을 구성하는 암 버클부재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분리된 상태(체결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도 11은 버클을 구성하는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의 회동조작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는 버클을 구성하는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의 회동조작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구성하는 수 버클부재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구성하는 암 버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4는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5는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구성하는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을 하부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의 결합해제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은, 체결 및 체결해제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를 포함하는 버클에 있어서, 도 4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제1 자석(101)이 매립되거나 수용되게 구비된 수 버클 부재(100); 상기 수 버클 부재(100)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 및 체결해제되며, 중앙부에 제2 자석(201)이 매립되거나 수용되게 구비된 암 버클 부재(200); 상기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 간에 구비되어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 간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으로 록킹 및 언록킹되게 구성되는 록킹-언록킹 수단; 및 상기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에 구비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 간을 체결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수단이 언록킹(록킹해제)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 간이 체결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체결해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는 각각 전체적으로 공지의 버클 형태로 형성되되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록킹-언록킹 수단과 체결해제 수단이 구성되는 점에서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 버클 부재(100)는 중앙부에 제1 자석(101)이 매립되거나 수용 고정되어 구비되는 수 버클 판형부(110), 및 상기 수 버클 판형부(11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벨트나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111은 제1 자석(101)이 매립되거나 수용 고정되는 제1 자석 장착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수 버클 부재(100)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 상기 록킹-언록킹 수단의 구성요소들과 상기 체결해제 수단의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트랩 연결부(120)는 스트랩의 자유단부를 걸어서 연결하는 크로스 바(121)가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스트랩 연결부(120)는 크로스 바(121)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지의 형태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상기 암 버클 부재(200)는 일측은 소정 형태의 관통 형성된 관통부(211)가 형성되며, 타측은 중앙부에 제1 자석(201)이 매립되거나 수용 고정되어 구비되는 암 버클 판형부(210), 및 상기 암 버클 판형부(210)의 양측 일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220)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212는 제2 자석(201)이 매립되거나 수용 고정되는 제2 자석 장착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암 버클 부재(200)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 상기 록킹-언록킹 수단의 구성요소들과 상기 체결해제 수단의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 간에 구비되어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 간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으로 록킹 및 언록킹되게 구성되는 록킹-언록킹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록킹-언록킹 수단은, 상기 수 버클 부재(100)의 수 버클 판형부(110) 하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록킹-언록킹 결합부(310), 및 상기 암 버클 부재(200)의 암 버클 판형부(120)의 하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310)가 전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끼움 결합과 끼움 결합해제로 록킹-언록킹(록킹 해제)되게 결합되는 록킹-언록킹 피결합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310)는 수 버클 판형부(110)에 구성되는 제1 자석(101)을 중심으로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로 형성되되, 그 돌기부는 배면에서 바라볼 때 삼각형(직각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 록킹 돌기(31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삼각형 형태의 돌기부(311)는 그 직각 삼각형의 빗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록킹-언록킹 피결합부(320)는 암 버클 판형부(210)에 구성되는 제2 자석(201)을 중심으로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멍(321), 및 상기 관통구멍(321)의 내측에서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310)의 돌기부(311)의 경사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상단 가장자리(322a)를 갖고 그 록킹-언록킹 결합부(310)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걸림판(322)으로 형성된다(도 14 및 도 15 참조).
다음으로, 상기 수 버클 부재(100)에 구비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 간을 체결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수단이 언록킹(록킹해제)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 간이 체결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체결해제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체결해제 수단은 상기 수 버클 판형부(110)의 타단부 양측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 결합편(410)과, 일단부가 상기 힌지 결합편(410)에 힌지 결합되어 수 버클 부재(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과,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 부재(430)와, 상기 힌지 결합편(410) 사이의 상기 수 버클 판형부(110)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을 회동 반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440), 및 상기 암 버클 부재(200)와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 간에 구성되어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의 회동으로 상기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 간을 체결 해제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310)가 상기 록킹-언록킹 피결합부(320)로부터 록킹해제되도록 하는 록킹해제 연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은 조작판 판형부(421)와, 상기 조작판 판형부(421)의 일측 하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판상 돌출부(422), 및 상기 판상 돌출부(422)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 버클 판형부(110)의 힌지 결합편(410)에 형성된 힌지 결합구멍(411)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423)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 부재(430)는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에 형성된 파지부재 연결구멍(431)에 연결되는 끈, 또는 단부에 파지구가 구비되는 끈(도 18 참조), 또는 단부에 고리가 구비되는 끈(도 19 참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 부재(430)는 상기와 같이 끈의 형태가 아니고,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의 타단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해제 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 부재(440)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440)는 수 버클 부재(100)의 수 버클 판형부(110)의 타단부에서 일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되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형성된다.
도면들에 나타낸 예시에서, 상기 탄성 부재(440)는 수 버클 부재(100)의 수 버클 판형부(110)의 타단부 하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프레임부(441)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상기 록킹해제 연동 수단은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의 판상 돌출부(422) 하단부 일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구동 캠홈(450), 및 상기 암 버클 부재(200)에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 구동홈(450)에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구동 캠돌기(46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구동 캠홈(450)은 판상 돌출부(422)의 하단을 밑변으로 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가 서로 체결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면이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면(451)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구동 캠돌기(460)는 상기 슬라이딩구동 캠홈(45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슬라이딩구동 캠돌기(460) 또한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가 서로 체결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면이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면(461)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록킹해제 연동 수단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 시에는 탄성 부재(440)에 의해 회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을 회동시키게 되면, 슬라이딩구동 캠홈(450)과 슬라이딩구동 캠돌기(460)의 직각면들이 간섭되고 두 경사면(451, 461)을 타고 이동하면서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이 결합된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는 어느 정도 서로 마주하는 방향(체결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록킹-언록킹 결합부(310)와 록킹-언록킹 피결합부(320) 간은 록킹해제(언록킹)되어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 간은 체결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체결해제 회동조작판(420)의 회동만으로 수 버클 부재(100)와 암 버클 부재(200)가 용이하게 체결해제될 수 있고, 특히 한 손이나 한 손가락만으로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체결해제할 수 있어 위급 상황 등 긴급히 버클을 풀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가방에 적용된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벨트에 적용된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은 가방이나 벨트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체결이 필요한 다양한 물품이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의하면, 체결해제를 의도하지 않는 상황에서 버클이 쉽게 체결해제되지 않고 버클의 체결 고정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버클의 체결해제 시에 두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한 손 또는 한 손가락만으로도 용이하게 체결해제할 수 있으며, 특히 비상 상황 시에 보다 신속하게 결합해체할 수 있어 사용성과 안전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 버클 부재
101: 제1 자석
110: 수 버클 판형부
111: 제1 자석 장착부
120: 스트랩 연결부
121: 크로스 바
200: 암 버클 부재
201: 제2 자석
210: 암 버클 판형부
211: 관통부
212: 제2 자석 장착부
220: 측벽부
310: 록킹-언록킹 결합부
311: 록킹 돌기
320: 록킹-언록킹 피결합부
321: 관통구멍
322: 걸림판
322a: 상단 가장자리
410: 힌지 결합편
420: 체결해제 회동조작판
421: 조작판 판형부
422: 판상 돌출부
423: 힌지축
430: 파지 부재
440: 탄성 부재
441: 프레임부
450: 슬라이딩구동 캠홈
451, 461: 하향 경사면
460: 슬라이딩구동 캠돌기

Claims (10)

  1. 체결 및 체결해제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를 포함하는 버클에 있어서,
    중앙부에 제1 자석이 매립되거나 수용되게 구비된 수 버클 부재;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 및 체결해제되며, 중앙부에 제2 자석이 매립되거나 수용되게 구비된 암 버클 부재;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에 구성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 간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으로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록킹-언록킹 수단; 및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에 구성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 간을 체결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수단이 언록킹되도록 구성되는 체결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버클 부재는 상기 제1 자석이 매립되거나 수용 고정되는 제1 자석 장착부가 구비되는 수 버클 판형부, 및 상기 수 버클 판형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벨트나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버클 부재는 일측이 소정 형태의 관통 형성된 관통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제2 자석이 매립되거나 수용 고정되는 제2 자석 장착부가 형성되는 암 버클 판형부, 및 상기 암 버클 판형부의 양측 일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언록킹 수단은, 상기 수 버클 판형부의 하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록킹-언록킹 결합부, 및 상기 암 버클 판형부의 하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와의 상대적인 전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끼움 결합과 끼움 결합해제로 록킹-언록킹되게 결합되는 록킹-언록킹 피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는 상기 수 버클 판형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로 형성되되, 배면에서 바라볼 때 빗면이 외측을 향하는 직각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 록킹 돌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언록킹 피결합부는 상기 암 버클 판형부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멍, 및 상기 관통구멍의 내측에서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의 록킹 돌기의 경사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상단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걸림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해제 수단은
    상기 수 버클 판형부의 타단부 양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 결합편;
    일단부가 상기 힌지 결합편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 버클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해제 회동조작판;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 부재;
    상기 힌지 결합편 사이의 상기 수 버클 판형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을 회동 반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암 버클 부재와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의 회동으로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 간을 체결 해제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록킹-언록킹 결합부와 상기 록킹-언록킹 피결합부 간이 록킹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록킹해제 연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은 조작판 판형부와, 상기 조작판 판형부의 일측 하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판상 돌출부, 및 상기 판상 돌출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 결합편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 연동 수단은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의 상기 판상 돌출부 하단부 일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구동 캠홈; 및
    상기 암 버클 부재에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 구동홈과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구동 캠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구동 캠홈은 상기 판상 돌출부의 하단을 밑변으로 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수 버클 부재와 암 버클 부재가 서로 체결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면이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구동 캠돌기는 상기 슬라이딩구동 캠홈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에 형성되는 연결구멍에 연결되는 끈이나 단부에 파지구가 구비되는 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체결해제 회동조작판에 형성되는 연결구멍에 연결되며 단부에 고리가 구비되는 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1020190055979A 2019-05-14 2019-05-14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KR102188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979A KR102188857B1 (ko) 2019-05-14 2019-05-14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EP20174267.3A EP3738460B1 (en) 2019-05-14 2020-05-12 Buckle
CN202010398012.XA CN111938279B (zh) 2019-05-14 2020-05-12 搭扣
US16/874,027 US11324295B2 (en) 2019-05-14 2020-05-14 Buck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979A KR102188857B1 (ko) 2019-05-14 2019-05-14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407A true KR20200131407A (ko) 2020-11-24
KR102188857B1 KR102188857B1 (ko) 2020-12-09

Family

ID=7068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979A KR102188857B1 (ko) 2019-05-14 2019-05-14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24295B2 (ko)
EP (1) EP3738460B1 (ko)
KR (1) KR102188857B1 (ko)
CN (1) CN1119382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558B1 (ko) * 2022-03-15 2023-09-22 노경완 가방용 버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7716S1 (en) * 2019-02-19 2022-04-05 Woojin Plastic Co., Ltd. Buckle for bag
USD945313S1 (en) * 2020-02-21 2022-03-08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US11109648B1 (en) 2021-02-16 2021-09-07 Microtech Knives, Inc. Buckle
TWI769774B (zh) * 2021-04-07 2022-07-01 倍騰國際股份有限公司 撥桿式磁扣
CN114027582B (zh) * 2021-04-18 2023-09-15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磁性扣具
EP4082378A1 (en) * 2021-04-28 2022-11-02 Button International Co., Ltd. Lever-controllable magnetic buckle
USD1023828S1 (en) * 2021-06-15 2024-04-23 Fidlock Gmbh Snap buckle
USD1018371S1 (en) 2021-10-05 2024-03-19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98B1 (ko) 2003-10-07 2005-07-25 백남일 배낭용 가슴멜방의 승강장치
KR100756277B1 (ko) * 2006-01-18 2007-09-07 백남일 버클
KR20080113432A (ko) * 2006-05-01 2008-12-30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신속 풀림 버클
KR101132100B1 (ko) 2009-11-24 2012-04-04 백지숙 배낭의 가슴멜방용 버클
KR101811501B1 (ko) 2015-12-22 2017-12-20 백지숙 배낭의 가슴멜방용 버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8884A (en) * 1949-12-02 1953-08-18 Parker Pen Co Magnetic clasp
IT1297007B1 (it) * 1997-12-22 1999-08-03 Sama S P A Chiusura magnetica ad innesto reciproco per borse, zaini, capi di abbigliamento e simili
US6857169B2 (en) * 2002-12-10 2005-02-22 Taiwan Industrial Fastener Corporation Structure of magnetic buckle
US7496994B1 (en) * 2007-10-04 2009-03-03 Theresa Headley Connecting device using a magnet
DE202010010300U1 (de) * 2009-08-24 2010-10-21 Fidlock Gmbh Mechanischer Verschluss mit einer Verriegelungsvorrichtung
FR2973659B1 (fr) * 2011-04-06 2014-04-04 Zedel Boucle d'attache magnetique a aimants permanents et a verrouillage mecanique
JP6381543B2 (ja) * 2012-12-14 2018-08-29 フィドロック・ゲーエムベーハーFidlock Gmbh 2つの部品を取外し自在に接続するためのクロージャ装置
TWI584755B (zh) * 2016-11-16 2017-06-01 倍騰國際股份有限公司 磁扣
IT201700067329A1 (it) * 2017-06-16 2018-12-16 Ferplast Spa Fibbia automatica
CA3101673A1 (en) * 2017-12-07 2019-06-07 Wonderland Switzerland Ag Magnetic buckling assembly comprising a male buckling component and a female buckling compon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98B1 (ko) 2003-10-07 2005-07-25 백남일 배낭용 가슴멜방의 승강장치
KR100756277B1 (ko) * 2006-01-18 2007-09-07 백남일 버클
KR20080113432A (ko) * 2006-05-01 2008-12-30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신속 풀림 버클
KR101132100B1 (ko) 2009-11-24 2012-04-04 백지숙 배낭의 가슴멜방용 버클
KR101811501B1 (ko) 2015-12-22 2017-12-20 백지숙 배낭의 가슴멜방용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558B1 (ko) * 2022-03-15 2023-09-22 노경완 가방용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38279B (zh) 2023-02-28
KR102188857B1 (ko) 2020-12-09
US20200359761A1 (en) 2020-11-19
US11324295B2 (en) 2022-05-10
EP3738460A1 (en) 2020-11-18
EP3738460B1 (en) 2024-01-17
CN111938279A (zh)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857B1 (ko)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US8256073B2 (en) Harness fastener system for child carrier device
EP2392503B1 (en) Child harness fastener system
JP5514569B2 (ja) バックルモジュール
US20090183348A1 (en) Buckle assemblies and associated connectors for use with child seats and other restraint systems
US20170190268A1 (en) Child Safety Seat
WO2022048448A1 (en) Magnetic buckle
US11160330B1 (en) Magnetic buckle
TW201121447A (en) Side release buckle and lock member for same
CN112237315A (zh) 扣具
JP3242232U (ja) バックル機構
EP2872011B1 (en) Safety buckle device
JP2005144138A (ja) バックルにおけるショックプルーフ装置、これを備えたバックル、およびこのバックル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8938865B2 (en) Buckle for restraint belts, particularly for car safety seats for children
TW514500B (en)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a portable object
CN109938458B (zh) 儿童用品的束缚系统
EP3087861B1 (en) Convenient buckle
KR100903456B1 (ko) 유아용 카시트의 버클장치
JP3204590B2 (ja) バックル
TWI394672B (zh) 適用於嬰兒承載裝置的安全帶扣具及其操作方法
JP2024502869A (ja) 連結装置
JP2004044021A (ja) ウエスト調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