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146A - 수소수기 - Google Patents

수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146A
KR20200131146A KR1020190083238A KR20190083238A KR20200131146A KR 20200131146 A KR20200131146 A KR 20200131146A KR 1020190083238 A KR1020190083238 A KR 1020190083238A KR 20190083238 A KR20190083238 A KR 20190083238A KR 20200131146 A KR20200131146 A KR 20200131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ody
container
peripheral
central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김주겸
전재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92,408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12611B2/en
Priority to EP19216953.0A priority patent/EP3738935B1/en
Priority to CN202010017066.7A priority patent/CN111924953A/zh
Publication of KR2020013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44Filling nozzles automatically clo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 B67D2210/00144Magnets, e.g. used in valves or for stir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수소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소수기는, 용기의 하단부에 제1 자성체가 구비되고, 안착유닛에 제2 자성체가 구비된다.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간 인력이 안착면에 올려놓이는 용기의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출수구 아래에 용기를 놓고 수소수를 출수시키면, 용기의 입구가 작더라도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는 수소수가 정확하게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는 수소수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소수기{HYDROGEN WATER GENERATOR}
본 발명은 수소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분자(H2)가 용존되어 있는 물을 생성하여 배출하는 수소수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의 활성산소는 생체조직을 공격하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산화력이 강한 산소이며, 인체 내에 지나치게 생성된 활성산소는, 노년층의 질병과 노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수소가 체내에 흡수되면 이러한 활성산소와 결합하여 땀이나 소변의 상태로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수소는 체내의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강력한 항산화제로 불리고 있다.
수소의 체내 흡수를 위한 것으로서, 수소수에 대한 관심과 함께, 수소수를 제조하여 수소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소수기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수소수(hydrogen water)는 수소분자(H2)가 용존되어 있는 물을 말한다.
수소수가 활성산소와 반응하여 무해한 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물에 용해되어 있는 용존수소의 농도가 높아야 하는데, 수소는 비극성 기체로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수소수기를 통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더라도 수소수로부터 수소가 쉽게 손실될 수 있다.
따라서, 수소수기와 관련하여, 효율적으로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많이 생성시키는 기술도 중요하지만, 수소의 용해도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음용 전까지 생성된 수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소수기의 구조설계도 중요하다.
또한, 수소수기를 통해 생성된 수소수를 출수(배출)하는 과정에서 수소수를 컵과 같은 용기에 용이하게 담고, 또한 수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수소수기와 관련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83864호(이하, ‘선행문헌 1’)에는수소수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의 수소수 제조장치는 출수 코크를 통해 수소수를 출수한다. 사용자는 출수 코크 아래에 있는 물받이에 용기를 올려놓고 출수 코크에서 배출된 수소수를 받아 음용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의 경우, 일반적인 정수기에서의 출수방법과 같이, 장치 내부에서 생성된 수소수가 출수 코크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용기를 코크에 접근시켜 수소수를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행문헌 1의 장치는 수소수의 배출시 통상의 정수기 수준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용기를 출수 코크 아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방법 내지는 수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출수된 수소수가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물받이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용기를 출수 코크 아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고, 특히, 주의력이 떨어지는 사용자의 경우 이에 따른 불편함이 더욱 크게 발생한다.
또한, 선행문헌 1의 장치의 경우, 입구가 작은 용기 내부로 수소수를 출수시키고자 하는 경우, 더욱 정확한 위치에 용기를 놓아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선행문헌 1의 장치와 같이, 수소수가 배출코크를 통하여 단순히 배출되는 형태의 경우, 수소수의 배출시 수소 손실 방지, 내지는 밀폐를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기 때문에, 수소수가 낙하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수소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수소수기와 관련한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42948호(이하, '선행문헌 2'라고 함)는 수소수를 제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2는, 수소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생수병과 산소/수소발생기를 결합시키고 생수병 내부의 물을 수소발생기 내부로 흡입하여 수소수가 생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 2는 생성된 수소수를 배출하는 것과는 관련성이 없다. 즉, 선행문헌 2는 수소수의 배출시 종래의 정수기와 같은 편의의 제공이 불가하다. 따라서 선행문헌 2는, 배출과정에서 용기(생수병 이외의 용기)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는 수단 내지는 방법 또한 제시하지 못한다.
그리고 선행문헌 2는 생성된 수소수의 배출과정에서 밀폐를 위한 수단 또는 방법을 개시하지는 않기 때문에, 선행문헌 2에 의할 경우, 수소수의 배출시의 수소 손실의 문제가 해결될 수는 없다.
선행문헌 2의 장치에서, 사용자가 수소수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생수병을 산소/수소발생기에 결합하고, 수소수를 생성하고, 이후 분리하여야 한다. 그런데, 선행문헌 2는, 휴대용 생수병과 생수병캡의 나사결합구조와, 실리콘재질의 노즐캡 및 노즐캡밀착구 간 탄성 밀착구조에 의해 휴대용 생수병과 산소/수소발생기가 결합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수소수 음용에 앞서, 생수병의 결합 및 분리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나아가, 선행문헌 2에 의할 경우, 생수병 내부의 수소수를 음용하기 위하여 컵에 수소수를 따르는 경우에도 밀폐를 위한 위한 별도의 수단 내지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소의 손실을 방지하기는 곤란한다.
한편, 또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95735호(이하, '선행문헌 3'이라고 함)에는 수소발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3에 따른 장치는, 수소발생모듈, 저장부, 전원공급부,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선행문헌 3에 따른 장치의 사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스트로우를 컵 내부에 채워져 있는 음용수에 삽입한다. 그리고 수소발생장치의 상단에 마련된 어댑터 캡의 연결구 부분에 튜브의 일측을 연결하고 튜브의 타측을 스트로우에 연결한다. 그 다음에 수소발생장치를 작동시켜 튜브를 통해 컵 내부로 유입된 수소가 함유된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다.
선행문헌 3 또한 선행문헌 2와 같이, 생성된 수소수를 배출하는 것과는 관련성이 없다. 즉, 선행문헌 3은 수소수의 배출시 종래의 정수기와 같은 편의의 제공이 불가하고, 수소수의 배출과정에서 용기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는 수단 내지는 방법 또한 제시하지 못한다.
그리고 선행문헌 1 내지 3은, 생성된 수소수의 출수과정에서 밀폐를 위한 수단 또는 방법을 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출수시 밀폐를 위한 수단과의 관계에서 용기의 위치 안내 등에 대하여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83864호 (등록일: 2018.07.2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42948호 (등록일: 2017.05.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95735호 (등록일: 2017.11.02)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수소수의 출수시 일반 정수기 수준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장치 내부의 수소수를 컵과 같은 용기로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출수구와의 관계에서 특정 위치(정확한 위치)에 용기가 즉시 놓일 수 있는 수소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수소수의 출수시 밀폐를 위한 수단과의 관계에서 특정 위치(정확한 위치)에 용기가 즉시 놓일 수 있는 수소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사용자가 부적절한 위치에 용기를 놓더라도, 적절한 위치로 용기가 즉시 이동할 수 있는 수소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사용자가 놓은 용기를 출수구와의 관계에서 특정 위치(정확한 위치)로 즉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수소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수소수의 출수시 및 출수 이후에도, 수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소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는, 사용자가 용기를 안착면에 올려놓을 때,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간 인력이 상기 안착면에 올려놓이는 상기 용기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출수유닛은 수소수가 배출되는 출수구를 형성한다.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출수구 아래에 배치된다. 안착유닛은 상면에 상기 안착면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면은 상기 용기의 밑면이 미끄러지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단에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안착면에 올려놓인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에서 출수되는 수소수를 수용한다.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용기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자성체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자성체의 2개의 자극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안착유닛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자성체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의 2개의 자극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용기를 상기 안착면에 올려놓을 때,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서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 인력은 상기 안착면에 올려놓이는 상기 용기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최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가 최대 인력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안착면에 올려놓일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용기를 상기 안착면에 올려놓고 조작버튼을 누르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수구에서 수소수가 출수된다.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가 최대 인력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에서 출수되는 수소수는 상기 개구의 둘레에서 이격된 채로 상기 용기의 내부로 낙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는, 사용자가 용기를 안착면에 올려놓으면,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간 인력이 상기 용기를 상기 안착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출수유닛은 수소수가 배출되는 출수구를 형성한다.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출수구 아래에 배치된다. 안착유닛은 상면에 상기 안착면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면은 상기 용기의 밑면이 미끄러지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단에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안착면에 올려놓인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에서 출수되는 수소수를 수용한다.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용기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자성체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자성체의 2개의 자극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안착유닛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자성체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의 2개의 자극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용기를 상기 안착면에 올려놓고 조작버튼을 누르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자성체에 전류가 공급된 후 출수구에서 수소수가 출수된다. 상기 제2 자성체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상기 안착면 상에서 미끄러지며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최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에서 출수되는 수소수는 상기 개구의 둘레에서 최대한 이격된 채로 상기 용기의 내부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는, 제1 중심자성체 및 하나 이상의 제1 주변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는, 제2 중심자성체 및 복수의 제2 주변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자성체는 상기 제2 중심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중심자성체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최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중심자성체가 최대 인력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에서 출수되는 수소수는 상기 개구의 둘레에서 이격된 채로 상기 용기의 내부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변자성체는 상기 제2 주변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주변자성체는 상기 제1 중심자성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주변자성체는 상기 제2 중심자성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주변자성체와 상기 제2 주변자성체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최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1 주변자성체 간 거리는 상기 제2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주변자성체 간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자성체에 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주변자성체들에만 전류를 공급한 후 상기 제2 중심자성체에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주변자성체와 상기 제2 주변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상기 안착면 상에서 1차 이동한 후 제1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중심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상기 안착면 상에서 2차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는, 사용자가 용기를 구름판에 올려놓으면,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간 인력이 상기 용기 및 상기 구름판을 상기 안착패널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출수유닛은 수소수가 배출되는 출수구를 형성한다.
상기 구름판은 안착패널에 올려진다. 상기 안착패널은 상기 출수구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안착패널의 상면은 상기 구름판이 미끄러지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름판과 상기 안착패널 사이에는 복수의 볼 또는 휠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볼 또는 휠은 상기 구름판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볼 또는 휠은 상기 구름판의 이동시 상기 구름판과 상기 안착패널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단에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구름판에 올려놓인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에서 출수되는 수소수를 수용한다.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용기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자성체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자성체의 2개의 자극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안착패널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자성체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의 2개의 자극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용기를 상기 구름판에 올려놓고 조작버튼을 누르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자성체에 전류가 공급된 후 출수구에서 수소수가 출수된다. 상기 제2 자성체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용기가 올려진 상기 구름판은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상기 안착패널 상에서 미끄러지며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최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에서 출수되는 수소수는 상기 개구의 둘레에서 최대한 이격된 채로 상기 용기의 내부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구름판에는 제3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자성체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자성체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3 자성체의 2개의 자극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가 상기 구름판에 올려놓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 간 인력이 상기 구름판을 상기 안착패널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3 자성체는 각각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3 자성체는 세로방향으로 서로 척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제2 자성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종속하여 상기 제1 자성체 또는 상기 제3 자성체와 선택적으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가 상기 구름판에 올려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자성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용기가 올려진 상기 구름판은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상기 안착패널 상에서 미끄러지며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가 상기 구름판에 올려놓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자성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구름판은 상기 제3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상기 안착패널 상에서 미끄러지며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최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는, 제1 중심자성체 및 하나 이상의 제1 주변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는, 제2 중심자성체 및 복수의 제2 주변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자성체는 상기 제2 중심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중심자성체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최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중심자성체가 최대 인력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에서 출수되는 수소수는 상기 개구의 둘레에서 이격된 채로 상기 용기의 내부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변자성체는 상기 제2 주변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주변자성체는 상기 제1 중심자성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주변자성체는 상기 제2 중심자성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주변자성체와 상기 제2 주변자성체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최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1 주변자성체 간 거리는 상기 제2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주변자성체 간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자성체에 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주변자성체들에만 전류를 공급한 후 상기 제2 중심자성체에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용기가 올려진 상기 구름판은 상기 제1 주변자성체와 상기 제2 주변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상기 안착패널 상에서 1차 이동한 후 제1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중심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상기 안착패널 상에서 2차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자성체는, 제3 중심자성체 및 하나 이상의 제3 주변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중심자성체는 상기 제2 중심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중심자성체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최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주변자성체는 상기 제2 주변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주변자성체는 상기 제3 중심자성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주변자성체와 상기 제2 주변자성체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때 최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름판은 중심구름판 및 주변구름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중심자성체는 상기 중심구름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주변자성체는 상기 주변구름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변구름판은 상기 중심구름판을 에워쌀 수 있다. 상기 주변구름판은 상기 중심구름판의 상기 안착패널 상 이동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가 상기 구름판에 올려놓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주변자성체들에만 전류를 공급한 후 상기 제2 중심자성체에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주변구름판이 상기 제3 주변자성체와 상기 제2 주변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이동한 후, 상기 중심구름판이 상기 제3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중심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변자성체와 상기 제3 주변자성체 간 인력이 상기 주변구름판을 상기 안착패널 상에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주변구름판은 상기 중심구름판을 상기 제2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3 중심자성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는, 사용자가 상기 출수구 아래에 상기 용기를 놓고 수소수를 출수시키면, 상기 용기 내부가 외기로부터 자동으로 밀폐되고, 출수 후에는 상기 용기의 밀폐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출수유닛은 상하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유닛은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이동하여 상기 용기의 개구를 덮고 열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에 제1 자성체가 구비되고, 안착유닛에는 제2 자성체가 구비된다.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는, 사용자가 용기를 안착면에 놓을 때 서로 인력을 형성한다. 용기는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가 최대인력을 형성하는 위치로 안내된다. 따라서, 용기의 입구가 작더라도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는 수소수가 정확하게 용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자성체가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용기를 안착면에 놓고나서 버튼을 누르면,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가 서로 인력을 형성한다. 용기는 안착면 상에서 미끄러지며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가 최대인력을 형성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의 개구가 출수구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중심자성체와 제1 주변자성체 간 간격을 제2 중심자성체와 제2 주변자성체 간 간격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면 상에서 용기의 단계적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는 구름판에 올려놓이고, 용기와 구름판은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안착패널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구름판과 안착패널 사이에는 복수의 볼 또는 휠이 개재된다. 따라서,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간 인력에 의한 용기의 이동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름판에는 제3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구름판은 제2 자성체와 제3 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안착패널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2 자성체는 전극이 역전하여 제1 자성체 또는 제3 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가 구름판에 올려 놓인 상태에서 제2 자성체와 제3 자성체 간 인력 형성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변구름판이 제2 주변자성체와 제3 주변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안착패널 상에서 이동할 때, 중심구름판은 주변구름판에 의해 제2 중심자성체와 제3 중심자성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따라서, 구름판의 단계적 이동거리가 연장되며, 결과적으로 용기의 이동거리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출수 전후에 출수유닛이 구동부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를 안착면에 놓고 버튼을 누르면, 용기의 입구가 출수구 바로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출수유닛이 용기의 개구를 정확하게 덮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출수유닛은 용기의 개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의 개구가 출수유닛에 의해 덮이면, 용기의 내부가 외기로부터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소수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수소수기의 용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도 7의 수소수기의 용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수소수기의 구름판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2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2의 수소수기의 용기 및 구름판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2의 수소수기의 구름판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수소수기의 구름판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8은 도 21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9a, 도 29b 및 도 29c는 도 21의 수소수기의 용기 및 구름판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30a, 도 30b 및 도 30c는 도 21의 수소수기의 구름판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10)는, 수소분자(H2)가 용존되어 있는 수소수를 생성하여 출수구(121)를 통해 출수하는 장치로서, 물통(1), 급수구(2), 전극모듈(3), 워터펌프(4), 제어부(5), 배터리(6), 바디(7), 상판(8), 출수유닛(100), 구동부(200), 안착유닛(300) 및 용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10)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은, 출수유닛(100), 구동부(200), 안착유닛(300) 및 용기(400)에 있다. 따라서, 물통(1), 급수구(2), 전극모듈(3), 워터펌프(4), 제어부(5), 배터리(6), 바디(7) 및 상판(8)은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통(1)은 수소수를 생성 및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급수구(2)를 통해 물이 공급된다. 급수구(2)는 상판(8)에 의해 개폐된다. 상판(8)은 액추에이터(AC)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급수구(2)를 개폐하게 된다.
액추에이터(AC)는 모터(AC1), 피니언(AC2) 및 래크(AC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터(AC1)는 브래킷을 통해 지지패널(7A)에 결합된다. 모터(AC1)에 의해 피니언(AC2)이 회전하면, 래크(AC3)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래크(AC3)와 결합된 상판(8)이 급수구(2)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의 하부에는 전극모듈(3)이 구비된다. 전극모듈(3)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추출하는 장치로서 공지기술의 이용이 가능하다.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추출하는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83864호, 제174294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워터펌프(4)는 물통(1)에 저장된 수소수를 출수구(121) 쪽으로 가압하는 구성이다. 워터펌프(4)에 의해 가압된 수소수는 튜브(T)를 통해 출수구(12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121)를 통해 출수된 수소수는 안착유닛(300)에 올려놓인 용기(400)의 상단 개구를 통해 용기(400) 내부에 수용된다.
바디(7)는 수소수기(10)의 뼈대 및 외관을 형성한다. 바디(7)에는 조작버튼(N)이 설치된다. 제어부(5)는 수소수기(1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배터리(6)는 전극모듈(3), 워터펌프(4), 제어부(5), 출수유닛(100), 구동부(200), 안착유닛(300) 및 액추에이터(AC)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유닛(100)은 수소수 출수시 용기(400)의 개구를 덮는 구성으로서, 몸체(110), 노즐(120), 연결구(130) 및 탄성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출수유닛(100)의 뼈대 및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원통 형태를 형성한다. 몸체(110)는 구동부(200) 작동에 의해 상승하여 바디(7) 내부로 삽입(도 3a 참조)되거나 하강하여 바디(7) 외부로 노출(도 3b 참조)된다. 몸체(110)의 외면은 바디(7)와 비교적 작은 간극을 형성한다. 몸체(110) 외면과 바디(7) 사이에는 기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오링이 개재될 수 있다.
노즐(120)은 출수구(121)를 형성한다. 수소수는 출수구(121)를 통해 중력방향으로 출수된다. 노즐(120)은 몸체(110) 안쪽에서 연결관(122)에 연결된다. 튜브(T)의 단부는 연결관(122)에 삽입된다. 출수유닛(100)의 상하이동 과정에서 튜브(T)의 단부는 연결관(1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튜브(T)와 연결관(122) 사이에는 오링이 개재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몸체(110) 하강시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실리콘 및 고무와 같이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탄성부재(140)는 가장자리를 통해 몸체(1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노즐(120)은 연결구(130)를 통해 탄성부재(140)의 가운데에 연결된다. 탄성부재(140)는 출수구(121)를 중심으로 대칭형태를 형성한다. 탄성부재(140)는 아래로 볼록한 원반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는 출수유닛(100)을 상하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모터(210), 피니언(220) 및 래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210)는 장착패널(7B)에 결합되고, 장착패널(7B)은 지지패널(7A)에 결합된다. 지지패널(7A)은 바디(7)의 일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피니언(220)은 모터(210)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래크(230)는 결합부(111)를 통해 몸체(110)에 결합된다. 래크(230)는 세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모터(210)가 회전하면, 래크(230)는 출수유닛(100)과 함께 상승(도 3a 참조)하거나 하강(도 3b 참조)하게 된다. 모터(210)의 회전축에는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래크(23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탄성부재(140)는 래크(230)의 하단부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되어 자중에 의한 늘어짐이 억제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유닛(100)의 하강시 탄성부재(140)는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밀착된다. 탄성부재(140)가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밀착되면, 출수구(121)를 제외하고 용기(400) 내부가 밀폐된다.
따라서, 용기(400)에 수용된 수소수에서 수소가 증발하더라도, 기체상태의 수소는 출수구(121)를 통해서만 용기(40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튜브(T)의 일측에는 용기(400) 내부의 과도한 압력상승시 기체를 배출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수소수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수소수기의 용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유닛(300)은 용기(400)가 올려놓이는 구성으로서, 출수구(121) 아래에 배치된다. 용기(400)에는 제1 자성체(M1)가 구비된다. 용기(400)는 상단에 개구를 형성하여 출수구(121)에서 낙하하는 수소수를 수용한다. 제1 자성체(M1)는 용기(400)의 하단부 중앙에 장착된다. 안착유닛(300)에는 제1 자성체(M1)와 인력을 형성하는 제2 자성체(M2)가 구비된다.
안착유닛(300)은 안착패널(310) 및 안착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패널(310)은 제2 자성체(M2)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안착판(320) 아래에 배치된다. 안착판(320)은 그 상면에 용기(400)가 올려놓이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용기(400)는 안착판(320)의 상면 어디에든 올려놓일 수 있다. 즉, 안착면은 안착판(320)의 상면 전체를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320)에는 물이 아래로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수로 물을 안착판(320) 위에 쏟더라도 물은 안착판(320)의 구멍을 통과하여 안착패널(310) 위에 모여진다. 바디(7)는 안착패널(310)의 둘레에서 안착패널(310)보다 높게 형성된 가림부(7C)를 포함한다. 안착판(320) 위에 쏟아진 물은 가림부(7C) 바깥으로 넘치지 않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M2)는 출수구(121)의 중력방향 연장선상에서 안착패널(31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도 6은 제1 자성체(M1), 제2 자성체(M2) 및 용기(400)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안착판(320)의 구멍을 도시하지 않았다. 도 6에서 용기(400)는 밑면의 외곽선만을 도시하였다.
용기(4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자성체(M1)는 용기(400)의 하단부 중앙에 장착된다. 용기(400)는, 제1 자성체(M1)가 제2 자성체(M2) 바로 위에 위치할 때 출수구(121)에서 낙하하는 물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다.
제1 자성체(M1)는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자성체(M2)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10)는, 사용자가 용기(400)를 안착면에 놓는 과정에서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가 서로 인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용기(400)는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 간 인력에 의해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안내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사용자가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구동부(200)와 워터펌프(4)를 순서대로 작동시킨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N)을 누르면, 먼저 출수유닛(100)이 하강하여 탄성부재(140)가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밀착된다. 그리고 나서 워터펌프(4)가 작동하여 용기(400) 내부에 수소수가 채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400)는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 간 인력에 의해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40)는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견고한 밀착력을 형성하며 용기(400)를 밀폐하게 된다.
또는, 사용자가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워터펌프(4)와 구동부(200)를 순서대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N)을 누르면, 먼저 워터펌프(4)가 작동하여 용기(400) 내부에 수소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나서 구동부(200)가 작동하여 출수유닛(100)이 하강하게 된다. 탄성부재(140)는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견고한 밀착력을 형성하며 용기(400)를 밀폐하게 된다.
용기(400)에 수소수가 채워진 후 사용자가 다시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구동부(200)를 작동시켜 출수유닛(100)을 상승시킨다. 사용자는 용기(400)를 들고 수소수를 즉시 음용하거나 용기(400)에 마개를 씌워 수소수를 보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M2)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용기(400)를 안착면에 안착시키고 나서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제2 자성체(M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용기(400)는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 간 인력에 의해 제1 자성체(M1)가 제2 자성체(M2)의 바로 위에 위치할 때까지 안착면에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10)는, 용기(400)의 개구가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안착면 상에서 자동으로 용기(4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 간 인력에 의한 용기(400)의 이동을 여러 방향에서 예시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제어부(5)는 구동부(200)와 워터펌프(4)를 순서대로 작동시킨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제2 자성체(M2)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나서 구동부(200)의 작동에 의해 출수유닛(100)이 하강하여 탄성부재(140)가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밀착된다. 탄성부재(140)는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견고한 밀착력을 형성하며 용기(400)를 밀폐하게 된다. 제어부(5)는 제2 자성체(M2)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한다.
이후 워터펌프(4)가 작동하여 용기(400) 내부에 수소수가 채워진다. 용기(400)에 수소수가 채워진 후 사용자가 다시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구동부(200)를 작동시켜 출수유닛(100)을 상승시킨다. 사용자는 용기(400)를 들고 수소수를 즉시 음용하거나 용기(400)에 마개를 씌워 수소수를 보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20)는, 용기(400)가 제1 주변자성체(M1B)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인력에 의해 1차 이동하고 나서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2 중심자성체(M2A) 간 인력에 의해 2차 이동하는 다단 이동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20)는, 안착유닛(300) 및 용기(400)를 제외한 구성은 일 실시예(10)와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안착유닛(300) 및 용기(400)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유닛(300)은 용기(400)가 올려놓이는 구성으로서, 출수구(121) 아래에 배치된다. 용기(400)는 상단에 개구를 형성하여 출수구(121)에서 낙하하는 수소수를 수용한다. 용기(400)에는 제1 자성체(M1)가 구비되고, 안착유닛(300)에는 제2 자성체(M2)가 구비된다.
제1 자성체(M1)는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1 주변자성체(M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중심자성체(M1A)는 용기(400)의 하단부 중앙에 장착된다. 제1 주변자성체(M1B)는 제1 중심자성체(M1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1 중심자성체(M1A) 및 제1 주변자성체(M1B)는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링 형태로 제작된 제1 주변자성체(M1B)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주변자성체(M1B)는 제1 중심자성체(M1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제1 주변자성체(M1B)는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주변자성체(M1B)는 제1 중심자성체(M1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안착유닛(300)은 안착패널(310) 및 안착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패널(310)은 제2 자성체(M2)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안착판(320) 아래에 배치된다. 제2 자성체(M2)는 제2 중심자성체(M2A)와 제2 주변자성체(M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판(320)은 그 상면에 용기(400)가 올려놓이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용기(400)는 안착판(320)의 상면 어디에든 올려놓일 수 있다. 즉, 안착면은 안착판(320)의 상면 전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320)에는 물이 아래로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수로 물을 안착판(320) 위에 쏟더라도 물은 안착판(320)의 구멍을 통과하여 안착패널(310) 위에 모여진다. 바디(7)는 안착패널(310)의 둘레에서 안착패널(310)보다 높게 형성된 가림부(7C)를 포함한다. 따라서, 안착판(320) 위에 쏟아진 물은 가림부(7C) 바깥으로 넘치지 않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심자성체(M2A) 및 제2 주변자성체(M2B)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심자성체(M2A)는 출수구(121)의 중력방향 연장선상에서 안착패널(31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제2 주변자성체(M2B)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2 중심자성체(M2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안착패널(31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도 10a는 제2 주변자성체(M2B)가 8개 구비되어 제1 중심자성체(M1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용기(4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중심자성체(M1A)는 용기(400)의 하단부 중앙에 장착된다. 용기(400)는, 제1 중심자성체(M1A)가 제2 중심자성체(M2A) 바로 위에 위치할 때 출수구(121)에서 낙하하는 물을 안정적으로 받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기(400)를 안착면에 안착시키고 나서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먼저 복수의 제2 주변자성체(M2B)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2 주변자성체(M2B)의 전원공급을 중단한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심자성체(M2A)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가 먼저 복수의 제2 주변자성체(M2B)에 전원을 공급하면, 용기(400)는 제1 주변자성체(M1B)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인력에 의해 안착면에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도 7의 수소수기의 용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제1 자성체(M1), 제2 자성체(M2) 및 용기(400)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안착판(320)의 구멍을 도시하지 않았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서 용기(400)는 밑면의 외곽선만을 도시하였다.
도 10a는 사용자가 안착면의 가장자리에 용기(400)를 안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b는 제1 주변자성체(M1B)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인력에 의해 용기(400)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2 주변자성체(M2B)는 복수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 10b 상태에서 제2 주변자성체(M2B) 중 일부만 제1 주변자성체(M1B)의 바로 밑에 위치하게 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1 주변자성체(M1B) 간 거리는 제2 중심자성체(M2A)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거리보다 작아야 한다.
만일,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1 주변자성체(M1B) 간 거리와 제2 중심자성체(M2A)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거리가 동일하면, 도 10b 상태에서 제1 중심자성체(M1A)가 제2 중심자성체(M2A) 바로 위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400)의 다단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그리고 만일,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1 주변자성체(M1B) 간 거리가 제2 중심자성체(M2A)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거리보다 크면, 도 10b 상태에서 제1 중심자성체(M1A)가 제2 중심자성체(M2A)에 더 가까워진다. 따라서, 용기(400)의 다단 이동거리가 감소하게 된다.
도 10b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어부(5)가 제2 주변자성체(M2B)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제2 중심자성체(M2A)에 전원을 공급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400)는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2 중심자성체(M2A) 간 인력에 의해 안착면에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도 10c는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2 중심자성체(M2A) 간 인력에 의해 용기(400)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2 중심자성체(M2A)는 각각 하나만 구비되므로, 도 10c 상태에서 제1 중심자성체(M1A)는 제2 중심자성체(M2A)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20)는, 용기(400)가 제1 주변자성체(M1B)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인력에 의해 1차 이동하고 나서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2 중심자성체(M2A) 간 인력에 의해 2차 이동하는 다단 이동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400)의 개구가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용기(400)를 이동시키는 거리가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이후 제어부(5)는 구동부(200)와 워터펌프(4)를 순서대로 작동시킨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제2 주변자성체(M2B)와 제2 중심자성체(M2A)에 차례대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나서 구동부(200)의 작동에 의해 출수유닛(100)이 하강하여 탄성부재(140)가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밀착된다. 용기(400)는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하므로, 탄성부재(140)는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견고한 밀착력을 형성하며 용기(400)를 밀폐하게 된다. 제어부(5)는 제2 중심자성체(M2A)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한다.
이후 워터펌프(4)가 작동하여 용기(400) 내부에 수소수가 채워진다. 용기(400)에 수소수가 채워진 후 사용자가 다시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구동부(200)를 작동시켜 출수유닛(100)을 상승시킨다. 사용자는 용기(400)를 들고 수소수를 즉시 음용하거나 용기(400)에 마개를 씌워 수소수를 보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수소수기의 구름판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30)는, 용기(400)가 구름판(330)에 올려진 상태에서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 간 인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30)는, 안착유닛(300)을 제외한 구성은 일 실시예(10)와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안착유닛(300)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유닛(300)은 용기(400)가 올려놓이는 구성으로서, 출수구(121) 아래에 배치된다. 안착유닛(300)은 안착패널(310) 및 구름판(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패널(310)은 제2 자성체(M2)가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면에 구름판(330)이 이동하는 평면을 형성한다.
구름판(330)은 안착패널(310) 상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상면에 용기(400)가 올려놓이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용기(400)는 구름판(330)의 상면 어디에든 올려놓일 수 있다. 즉, 안착면은 구름판(330)의 상면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름판(330)의 아래에는 볼(333) 또는 휠이 구비된다. 볼(333) 또는 휠은, 구름판(330)이 이동할 때 구름판(330)과 안착패널(310) 사이에서 회전하며 구름판(33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구름판(330)은 대략 접시형태를 형성한다. 안착패널(310)의 상면은 제2 자성체(M2)를 중심으로 구름판(330)의 반경보다 연장된 평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구름판(330)은 외력 인가시 안착패널(31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구름판(330)에는 제2 자성체(M2)와 인력을 형성하는 제3 자성체(M3)가 구비된다. 제3 자성체(M3)는 구름판(330)의 중앙에 장착된다. 제3 자성체(M3)는 강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구름판(330)에는 물이 아래로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수로 물을 구름판(330) 위에 쏟더라도 물은 구름판(330)의 구멍을 통과하여 안착패널(310) 위에 모여진다. 바디(7)는 안착패널(310)의 둘레에서 안착패널(310)보다 높게 형성된 가림부(7C)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름판(330) 위에 쏟아진 물은 가림부(7C) 바깥으로 넘치지 않게 된다.
용기(400)에는 제1 자성체(M1)가 구비된다. 안착패널(310)에는 제1 자성체(M1)와 인력을 형성하는 제2 자성체(M2)가 구비된다. 용기(400)는 상단에 개구를 형성하여 출수구(121)에서 낙하하는 수소수를 수용한다. 제1 자성체(M1)는 용기(400)의 하단부 중앙에 장착된다. 제1 자성체(M1)는 강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2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M2)는 출수구(121)의 중력방향 연장선상에서 안착패널(31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용기(4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자성체(M1)는 용기(400)의 하단부 중앙에 장착된다. 용기(400)는, 제1 자성체(M1)가 제2 자성체(M2) 바로 위에 위치할 때 출수구(121)에서 낙하하는 물을 가장 안정적으로 받게 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M2)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용기(400)를 안착면에 안착시키고 나서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먼저 제2 자성체(M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구름판(330)은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 간 인력에 의해 제1 자성체(M1)가 제2 자성체(M2)의 바로 위에 위치할 때까지 안착패널(310) 상에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30)는, 사용자가 용기(400)를 안착면에 놓고 난 다음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가 서로 인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용기(400)의 개구가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용기(4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용기(400)는 구름판(330)의 구름 이동에 의해 개구가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용기(400)는 구름판(330) 상에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30)는,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가 일 실시예(10)보다 작은 인력을 형성하더라도 구름판(330)의 구름 이동에 의해 용기(400)의 이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 간 인력에 의한 구름판(330)의 이동을 평면도로 예시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이후 제어부(5)는 구동부(200)와 워터펌프(4)를 순서대로 작동시킨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먼저 제2 자성체(M2)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나서 출수유닛(100)이 하강하여 탄성부재(140)가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밀착된다. 이후 워터펌프(4)가 작동하여 용기(400) 내부에 수소수가 채워진다. 제어부(5)는 제2 자성체(M2)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한다.
용기(400)는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 간 인력에 의해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하므로, 탄성부재(140)는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견고한 밀착력을 형성하며 용기(400)를 밀폐하게 된다.
용기(400)에 수소수가 채워진 후 사용자가 다시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구동부(200)를 작동시켜 출수유닛(100)을 상승시킨다. 사용자는 용기(400)를 들고 수소수를 즉시 음용하거나 용기(400)에 마개를 씌워 수소수를 보관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2의 수소수기의 용기 및 구름판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 19a 및 도 19b는 도 12의 수소수기의 구름판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9는 사용자가 용기(400)를 들어올린 후 안착패널(310) 상에서 구름판(330)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5)가 구동부(200)를 작동시켜 출수유닛(100)을 상승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5)는 제2 자성체(M2)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17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판(330)은 제2 자성체(M2)와 제3 자성체(M3) 간 인력에 의해 제3 자성체(M3)가 제2 자성체(M2)의 바로 위에 위치할 때까지 안착패널(310) 상에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30)는, 사용자가 용기(400)를 들어올린 후 제2 자성체(M2)와 제3 자성체(M3)가 서로 인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구름판(330)이 다시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M1)와 제3 자성체(M3)가 모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자성체(M1)와 제3 자성체(M3)는 서로 척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자성체(M1)와 제3 자성체(M3)가 서로 척력을 형성하면, 사용자가 구름판(330)에서 용기(400)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제어부(5)는 제2 자성체(M2)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제2 자성체(M2)의 극성을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제2 자성체(M2)는 전극이 역전하여 제1 자성체(M1) 또는 제3 자성체(M3)와 선택적으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자성체(M1)를 제3 자성체(M3)보다 높은 자석밀도의 영구자석으로 마련하면,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 간 인력 형성시 제3 자성체(M3)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수소수기의 구름판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40)는, 용기(400)가 제1 주변자성체(M1B)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인력에 의해 1차 이동하고 나서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2 중심자성체(M2A) 간 인력에 의해 2차 이동하는 다단 이동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40)는, 안착유닛(300)을 제외한 구성은 다른 실시예(20)와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안착유닛(300)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유닛(300)은 용기(400)가 올려놓이는 구성으로서, 출수구(121) 아래에 배치된다. 안착유닛(300)은 안착패널(310) 및 구름판(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400)에는 제1 자성체(M1)가 구비되고, 안착패널(310)에는 제2 자성체(M2)가 구비된다. 안착패널(310)은 상면에 구름판(330)이 이동하는 평면을 형성한다.
제1 자성체(M1)는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1 주변자성체(M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중심자성체(M1A)는 용기(400)의 하단부 중앙에 장착된다. 제1 주변자성체(M1B)는 제1 중심자성체(M1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1 중심자성체(M1A) 및 제1 주변자성체(M1B)는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은 링 형태로 제작된 제1 주변자성체(M1B)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주변자성체(M1B)는 제1 중심자성체(M1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제1 주변자성체(M1B)는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주변자성체(M1B)는 제1 중심자성체(M1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안착패널(310)은 제2 자성체(M2)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구름판(330) 아래에 배치된다. 제2 자성체(M2)는 제2 중심자성체(M2A)와 제2 주변자성체(M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심자성체(M2A) 및 제2 주변자성체(M2B)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심자성체(M2A)는 출수구(121)의 중력방향 연장선상에서 안착패널(31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제2 주변자성체(M2B)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2 중심자성체(M2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안착패널(31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도 20에는 제2 주변자성체(M2B)가 8개 구비되어 제1 중심자성체(M1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판(330)은 안착패널(310) 상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중심구름판(331)과 주변구름판(3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심구름판(331) 및 주변구름판(332)은 상면에 용기(400)가 올려놓이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용기(400)는 중심구름판(331) 및 주변구름판(332)의 상면 어디에든 올려놓일 수 있다. 즉, 안착면은 중심구름판(331) 및 주변구름판(332)의 상면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구름판(331) 및 주변구름판(332) 아래에는 볼(333) 또는 휠이 구비된다. 볼(333) 또는 휠은, 중심구름판(331) 및 주변구름판(332)이 이동할 때 구름판(330)과 안착패널(310)과의 사이에서 회전하며 중심구름판(331) 및 주변구름판(332)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중심구름판(331)은 대략 접시형태를 형성한다. 주변구름판(332)은 중심구름판(331)을 에워싸는 고리형태를 형성한다. 주변구름판(332)의 내측은 중심구름판(331)의 외측보다 큰 반지름을 형성한다.
안착패널(310)의 상면은 제2 자성체(M2)를 중심으로 주변구름판(332)의 외측보다 연장된 평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주변구름판(332)은 외력 인가시 안착패널(31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구름판(331)에는 제2 중심자성체(M2A)와 인력을 형성하는 제3 중심자성체(M3A)가 구비된다. 제3 자성체(M3)는 구름판(330)의 중앙에 장착된다. 주변구름판(332)에는 제2 주변자성체(M2B)와 인력을 형성하는 제3 주변자성체(M3B)가 구비된다. 제3 중심자성체(M3A)와 제3 주변자성체(M3B)는 강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수로 물을 구름판(330) 위에 쏟더라도 물은 중심구름판(331)과 주변구름판(332) 사이를 통과하여 안착패널(310) 위에 모여진다. 바디(7)는 안착패널(310)의 둘레에서 안착패널(310)보다 높게 형성된 가림부(7C)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름판(330) 위에 쏟아진 물은 가림부(7C) 바깥으로 넘치지 않게 된다.
도 23 내지 도 28은 도 21의 수소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M2)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용기(400)를 안착면에 안착시키고 나서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먼저 복수의 제2 주변자성체(M2B)에 전원을 공급하고 나서 제2 주변자성체(M2B)의 전원공급을 중단한 후, 제2 중심자성체(M2A)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가 먼저 복수의 제2 주변자성체(M2B)에 전원을 공급하면, 중심구름판(331) 및 주변구름판(332)은 제1 주변자성체(M1B)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인력에 의해 안착패널(310)의 상면에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도 29a, 도 29b 및 도 29c는 도 21의 수소수기의 용기 및 구름판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29a는 사용자가 안착면의 가장자리에 용기(400)를 안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29b는 제1 주변자성체(M1B)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인력에 의해 용기(400) 및 구름판(330)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2 주변자성체(M2B)가 복수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 29b 상태에서 제2 주변자성체(M2B) 중 일부만 제1 주변자성체(M1B)의 바로 밑에 위치하게 된다.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1 주변자성체(M1B) 간 간격은 제2 중심자성체(M2A)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간격보다 작아야 한다.
만일,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1 주변자성체(M1B) 간 거리와 제2 중심자성체(M2A)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거리가 동일하면, 도 29b 상태에서 제1 중심자성체(M1A)가 제2 중심자성체(M2A) 바로 위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400)의 다단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그리고 만일,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1 주변자성체(M1B) 간 거리가 제2 중심자성체(M2A)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거리보다 크면, 도 29b 상태에서 제1 중심자성체(M1A)가 제2 중심자성체(M2A)에 더 가까워진다. 따라서, 용기(400)의 다단 이동거리가 감소하게 된다.
도 24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어부(5)가 제2 주변자성체(M2B)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제2 중심자성체(M2A)에 전원을 공급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400)는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2 중심자성체(M2A) 간 인력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주변구름판(332)이 바디(7)에 접촉하여 더 이상의 구름 이동이 구속되면, 용기(400)는 중심구름판(331)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 과정에서 중심구름판(331)마저 주변구름판(332)에 접촉하여 더 이상의 구름 이동이 구속되면, 용기(400)는 안착면상에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다. 도 29c는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2 중심자성체(M2A) 간 인력에 의해 용기(400)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2 중심자성체(M2A)는 각각 하나만 구비된다. 따라서, 도 29c 상태에서 제1 중심자성체(M1A)는 제2 중심자성체(M2A)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40)는, 용기(400)가 제1 주변자성체(M1B)와 제2 주변자성체(M2B) 간 인력에 의해 1차 이동하고 나서 제1 중심자성체(M1A)와 제2 중심자성체(M2A) 간 인력에 의해 2차 이동하는 다단 이동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400)의 개구가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용기(400)를 이동시키는 거리가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40)는,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가 다른 실시예(20)보다 작은 인력을 형성하더라도 중심구름판(331)과 주변구름판(332)의 다단 구름 이동에 의해 용기(400)의 이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이후 제어부(5)는 구동부(200)와 워터펌프(4)를 순서대로 작동시킨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제2 주변자성체(M2B)와 제2 중심자성체(M2A)에 차례대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나서 구동부(200)의 작동에 의해 출수유닛(100)이 하강하여 탄성부재(140)가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밀착된다. 용기(400)는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하므로, 탄성부재(140)는 용기(400)의 개구 둘레를 따라 견고한 밀착력을 형성하며 용기(400)를 밀폐하게 된다. 제어부(5)는 제2 중심자성체(M2A)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한다.
이후 워터펌프(4)가 작동하여 용기(400) 내부에 수소수가 채워진다. 용기(400)에 수소수가 채워진 후 사용자가 다시 조작버튼(N)을 누르면, 제어부(5)는 구동부(200)를 작동시켜 출수유닛(100)을 상승시킨다. 사용자는 용기(400)를 들고 수소수를 즉시 음용하거나 용기(400)에 마개를 씌워 수소수를 보관할 수 있다.
도 30a, 도 30b 및 도 30c는 도 21의 수소수기의 구름판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26 및 도 30a은 사용자가 용기(400)를 들어올린 후 안착패널(310) 상에서 중심구름판(331) 및 주변구름판(332)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5)가 구동부(200)를 작동시켜 출수유닛(100)을 상승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5)는 먼저 복수의 제2 주변자성체(M2B)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나서 제2 주변자성체(M2B)의 전원공급을 중단한 후, 제2 중심자성체(M2A)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27 및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가 먼저 제2 주변자성체(M2B)에 전원을 공급하면, 주변구름판(332)은 제2 주변자성체(M2B)와 제3 주변자성체(M3B) 간 인력에 의해 안착패널(310) 상에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주변구름판(332)은 제3 주변자성체(M3B)가 제2 주변자성체(M2B)의 바로 위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중심구름판(331)은 주변구름판(332)에 의해 밀려 제3 중심자성체(M3A)가 제2 중심자성체(M2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30c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어부(5)가 제2 주변자성체(M2B)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제2 중심자성체(M2A)에 전원을 공급하면, 중심구름판(331)은 제2 중심자성체(M2A)와 제3 중심자성체(M3A) 간 인력에 의해 안착패널(310) 상에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중심구름판(331)은 제3 중심자성체(M3A)가 제2 중심자성체(M2A)의 바로 위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기(40)는, 사용자가 용기(400)를 들어올린 후 제2 자성체(M2)와 제3 자성체(M3)가 서로 인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구름판(330)이 출수구(121)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구름판(33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3 및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M1)와 제3 자성체(M3)가 모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자성체(M1)와 제3 자성체(M3)는 서로 척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자성체(M1)와 제3 자성체(M3)가 서로 척력을 형성하면, 사용자가 구름판(330)에서 용기(400)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제어부(5)는 제2 자성체(M2)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제2 자성체(M2)의 극성을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제2 자성체(M2)는 전극이 역전하여 제1 자성체(M1) 또는 제3 자성체(M3)와 선택적으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자성체(M1)를 제3 자성체(M3)보다 높은 자석밀도의 영구자석으로 마련하면, 제1 자성체(M1)와 제2 자성체(M2) 간 인력형성시 제3 자성체(M3)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20,30,40 : 수소수기
100 : 출수유닛 M1 : 제1 자성체
110 : 몸체 M1A : 제1 중심자성체
111 : 결합부 M1B : 제1 주변자성체
120 : 노즐 M2 : 제2 자성체
121 : 출수구 M2A : 제2 중심자성체
122 : 연결관 M2B : 제2 주변자성체
130 : 연결구 M3 : 제3 자성체
140 : 탄성부재 M3A : 제3 중심자성체
200 : 구동부 M3B : 제3 주변자성체
210 : 모터 1 : 물통
220 : 피니언 2 : 급수구
230 : 래크 3 : 전극모듈
300 : 안착유닛 4 : 워터펌프
310 : 안착패널 T : 튜브
320 : 안착판 5 : 제어부
330 : 구름판 6 : 배터리
331 : 중심구름판 7 : 바디
332 : 주변구름판 7A : 지지패널
333 : 볼 7B : 장착패널
400 : 용기 8 : 상판
N : 조작버튼

Claims (16)

  1. 출수구를 형성하는 출수유닛;
    상기 출수구 아래에 배치되고, 안착면을 형성하는 안착유닛; 및
    상기 안착면에 올려놓이고, 상단에 개구를 형성하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하단부에는 제1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유닛에는 영구자석인 제2 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 인력이 상기 안착면에 올려놓이는 상기 용기의 위치를 안내하는, 수소수기.
  2. 출수구를 형성하는 출수유닛;
    상기 출수구 아래에 배치되고, 안착면을 형성하는 안착유닛; 및
    상기 안착면에 올려놓이고, 상단에 개구를 형성하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하단부에는 제1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유닛에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제2 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 인력이 상기 용기를 상기 안착면 상에서 이동시키는, 수소수기.
  3. 출수구를 형성하는 출수유닛;
    상기 출수구 아래에 배치되고, 구름판이 올려진 안착패널; 및
    상기 구름판에 올려놓이고, 상단에 개구를 형성하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하단부에는 제1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패널에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제2 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 인력이 상기 용기 및 상기 구름판을 상기 안착패널 상에서 이동시키는, 수소수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는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수소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판과 상기 안착패널 사이에는 복수의 볼 또는 휠이 개재되어 상기 구름판의 이동시 회전하는, 수소수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판에는 제3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가 상기 구름판에 올려놓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 간 인력이 상기 구름판을 상기 안착패널 상에서 이동시키는, 수소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체는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수소수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3 자성체는 각각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제2 자성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종속하여 상기 제1 자성체 또는 상기 제3 자성체와 선택적으로 인력을 형성하는, 수소수기.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는,
    제1 중심자성체; 및
    상기 제1 중심자성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주변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제1 중심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는 제2 중심자성체; 및
    상기 제2 중심자성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주변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주변자성체를 포함하는, 수소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에 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주변자성체들에만 전류를 공급한 후 상기 제2 중심자성체에만 전류를 공급하면,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주변자성체와 상기 제2 주변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이동한 후 제1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중심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이동하는, 수소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1 주변자성체 간 거리는 상기 제2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주변자성체 간 거리보다 가까운, 수소수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는,
    제2 중심자성체; 및
    상기 제2 중심자성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2 주변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자성체는,
    상기 제2 중심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는 제3 중심자성체; 및
    상기 제3 중심자성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주변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3 주변자성체를 포함하는, 수소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판은,
    상기 제3 중심자성체가 구비된 중심구름판; 및
    상기 중심구름판을 에워싸고, 상기 제3 주변자성체가 구비된 주변구름판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구름판은 상기 중심구름판의 상기 안착패널 상 이동경계를 형성하는, 수소수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주변자성체들에만 전류를 공급한 후 상기 제2 중심자성체에만 전류를 공급하면, 상기 주변구름판이 상기 제3 주변자성체와 상기 제2 주변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이동한 후 상기 중심구름판이 상기 제3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2 중심자성체 간 인력에 의해 이동하는, 수소수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변자성체와 상기 제3 주변자성체 간 인력이 상기 주변구름판을 상기 안착패널 상에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주변구름판은 상기 중심구름판을 상기 제2 중심자성체와 상기 제3 중심자성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미는, 수소수기.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닛이 상기 용기의 개구를 덮고 열도록, 상기 출수유닛은 상하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소수기.
KR1020190083238A 2019-05-13 2019-07-10 수소수기 KR20200131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92,408 US11312611B2 (en) 2019-05-13 2019-11-22 Hydrogen water generator
EP19216953.0A EP3738935B1 (en) 2019-05-13 2019-12-17 Hydrogen water generator
CN202010017066.7A CN111924953A (zh) 2019-05-13 2020-01-08 水素水生成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936 2019-05-13
KR20190055936 2019-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146A true KR20200131146A (ko) 2020-11-23

Family

ID=7368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238A KR20200131146A (ko) 2019-05-13 2019-07-10 수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114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948B1 (ko) 2016-09-08 2017-06-15 (주)포엘디자인 산소수 및/또는 수소수 제조기
KR101795735B1 (ko) 2016-12-16 2017-11-13 주식회사 토리 수소발생장치
KR101883864B1 (ko) 2017-08-04 2018-07-31 (주)더메리트 자화 활성 및 순환 방식을 적용한 자화수소수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948B1 (ko) 2016-09-08 2017-06-15 (주)포엘디자인 산소수 및/또는 수소수 제조기
KR101795735B1 (ko) 2016-12-16 2017-11-13 주식회사 토리 수소발생장치
KR101883864B1 (ko) 2017-08-04 2018-07-31 (주)더메리트 자화 활성 및 순환 방식을 적용한 자화수소수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135Y1 (ko) 포터블 수소풍부수 제조장치
JP5079896B2 (ja) オゾン液生成器及びその生成方法
CN106029582A (zh) 功能水生成装置
CN101827643A (zh) 液体处理装置
CN205556176U (zh) 生成含有溶解氢的液体的生成器
CN111943345A (zh) 水素水发生器
KR20200131146A (ko) 수소수기
EP3738935B1 (en) Hydrogen water generator
KR101748789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JPH0678592B2 (ja) オゾン水製造装置
CN102772842A (zh) 一种安全自动液控启闭阀及具有该安全自动液控启闭阀的输液器
JP2007289492A (ja) 炭酸泉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111924952B (zh) 水素水生成器
KR101892673B1 (ko) 휴대용 수소수 물병
KR101710837B1 (ko) 수소흡입기가 구비된 다용도 수소분사장치
WO2019037377A1 (zh) 一种具有断电保护功能的加湿器
KR20070062383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200131147A (ko) 수소수기
JP2021049216A (ja) 空気浄化装置
KR101861296B1 (ko) 수소수 냉온수기
CN220683359U (zh) 一种液体存储装置和液体处理设备
KR200390294Y1 (ko) 전해액 주입장치의 기포제거기구
CN116136351A (zh) 具有除氧保鲜功能的冰箱
JP2023137226A (ja) 給水タンク
JP2023147449A (ja) 貯水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