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829A -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829A
KR20200130829A KR1020207027071A KR20207027071A KR20200130829A KR 20200130829 A KR20200130829 A KR 20200130829A KR 1020207027071 A KR1020207027071 A KR 1020207027071A KR 20207027071 A KR20207027071 A KR 20207027071A KR 20200130829 A KR20200130829 A KR 20200130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process value
correlation
values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170B1 (ko
Inventor
타케미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4Quantitative history assessment, e.g. mathematical relationships between available data; Functions theref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artial least square [PLS]; Statistical classifiers, e.g. Bayesian networks, linear regression or correlation analysis; Neural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프로세스값선택부(10)는, 복수의 프로세스값의 후보 중에서, 오퍼레이터가 값을 변경 가능한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소정의 목푯값으로 제어해야 할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을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킨다. 상관관계특정부(20)는, 선택된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1 이상의 관련프로세스값을 특정한다. 상관관계표시부(50)는, 상관관계에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열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플랜트나 발전플랜트 등의 프로세스계 시스템에서는 제어로직에 의하여 자동으로 운전되는 부분과,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설정하는 고정값에 근거하여 운전되는 부분이 있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계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프로세스제어에 있어서, 오퍼레이터는 자동운전에 사용되는 제어파라미터나 수동으로 설정하는 고정값을 운전상태를 감시하면서 적절히 조정하여, 운전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한다.
프로세스제어에 있어서의 제어파라미터나 고정값은, 연역적인 연산에 의하여 최적값을 구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이론적으로 산출하는 것은 곤란하며, 오퍼레이터가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조정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211839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228254호
오퍼레이터에 의한 시행착오의 제어파라미터나 고정값의 조정은, 프로세스계 시스템의 안정운전계속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하여, 미소량의 설정값 변경을 행하고, 프로세스 전체의 변화를 확인하여, 문제가 없는 것을 판단한 다음, 다시 미소량의 설정값 변경을 행한다는 수순을 반복하는 것이며, 원하는 결과를 얻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勞力)을 필요로 한다. 또, 오퍼레이터가 잘못된 설정값 변경을 행한 경우에는, 프로세스계 시스템의 안정운전계속이나 배기가스농도 등의 법규제되고 있는 요소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시적인 목적의 하나는, 프로세스계 시스템을 최적인 운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원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표시장치는,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로서, 복수의 프로세스값의 후보 중에서, 오퍼레이터가 값을 변경 가능한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소정의 목푯값으로 제어해야 할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선택부와, 선택된 상기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상기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1 이상의 관련프로세스값을 특정하는 상관관계특정부와, 상관관계에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열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스제어에 있어서 수입력프로세스값 또는 타겟프로세스값과 상관관계에 있는 관련프로세스값을 특정하여, 상관관계에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변동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표시방법이다. 이 방법은,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방법으로서, 복수의 프로세스값의 후보 중에서, 오퍼레이터가 값을 변경 가능한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소정의 목푯값으로 제어해야 할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선택 스텝과, 선택된 상기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상기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1 이상의 관련프로세스값을 특정하는 상관관계특정 스텝과, 상관관계에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열하여 표시하는 표시 스텝을 포함한다.
다만,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컴퓨터프로그램, 데이터구조, 기록매체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세스계 시스템을 최적인 운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원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수(手)입력프로세스값과 타겟프로세스값의 선택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택지제시부에 의하여 선택지로서 제시되는 연쇄경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제1 선택지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b는 도 3의 제3 선택지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c는 도 3의 제4 선택지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의 (a)~도 5의 (d)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이다.
도 6의 (a)~도 6의 (d)는, 각각 도 5의 (a)~도 5의 (d)의 산포도에 있어서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의 (a)~도 7의 (d)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에 있어서 일방의 프로세스값이 소정의 값인 경우에 타방의 프로세스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의 (a)~도 8의 (d)는, 상관관계가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 중, 일방의 프로세스값이 소정의 값인 경우에 타방의 프로세스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을 도수분포로 나타낸 도이다.
도 9의 (a)~도 9 의 (d)는, 연쇄경로에 있어서의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이다.
도 10의 (a)~도 10의 (d)는, 연쇄경로에 있어서 상관관계가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 중, 일방의 프로세스값이 소정의 값인 경우에 타방의 프로세스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을 도수분포로 나타낸 도이다.
도 11의 (a)~도 11의 (d)는, 수입력프로세스값을 변경한 경우에 다른 프로세스값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는, 수입력프로세스값의 변화에 의하여 부작용프로세스값이 허용범위나 규제범위를 초과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선택지제시부에 의하여 선택지로서 제시되는 연쇄경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제1 선택지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b는 도 13의 제2 선택지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c는 도 13의 제3 선택지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d는 도 13의 제4 선택지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를 기초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동등의 구성요소, 부재, 처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적절히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실시형태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시이며, 실시형태에 기술되는 모든 특징이나 그 조합은, 반드시 발명의 본질적인 것이라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100)의 구성도이다. 표시장치(100)는, 화학플랜트나 발전플랜트 등의 프로세스계 시스템의 운전지원장치의 일부로서 구성된다. 표시장치(100)는, 프로세스값선택부(10)와, 상관관계특정부(20)와, 선택지제시부(30)와, 프로세스값입력부(40)와, 상관관계표시부(50)와, 경고부(60)와, 상관관계기억부(70)와, 운전데이터 DB(데이터베이스)(80)를 포함한다.
프로세스제어에 있어서는 복수의 프로세스변수가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하나의 프로세스변수의 값에 주목하는 것만으로는 프로세스 전체의 관리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복수의 프로세스변수의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면서 운전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관관계기억부(70)에는, 복수의 프로세스변수의 사이의 상관관계를 기억한다. 프로세스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이론적인 수식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도 있고, 경험칙으로 얻을 수 있는 것도 있다.
운전데이터 DB(80)에는, 프로세스계 시스템을 실제로 운전시킨 경우의 프로세스변수의 값이 운전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다. 운전데이터는 상설(常設) 또는 가설(假設)의 각종 계기에 의하여 수시로 수집되어, 운전데이터 DB(80)에 계속적으로 축적되기 때문에, 현시점의 운전데이터뿐만 아니라, 과거의 운전데이터도 참조 가능하다.
프로세스값선택부(10)는, 복수의 프로세스값의 후보 중에서, 소정의 목푯값으로 제어해야 할 "타겟프로세스값"을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킨다. 프로세스값선택부(10)는 또한, 복수의 프로세스값의 후보 중에서, 오퍼레이터가 값을 변경 가능한 "수입력프로세스값"을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켜도 된다. 수입력프로세스값은, 후술과 같이 상관관계특정부(20)가 자동적으로 발견할 수도 있으므로 오퍼레이터에 의한 수입력프로세스값의 선택은 필수는 아니다.
도 2는, 수입력프로세스값과 타겟프로세스값의 선택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표시장치(100)의 화면에는, 수입력프로세스값을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수입력프로세스값선택 윈도(200)와, 타겟프로세스값을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타겟프로세스값선택 윈도(210)가 표시된다. 윈도 내의 항목은 상하로 스크롤함으로써 모두 표시할 수 없는 부분의 열람이 가능하다.
수입력프로세스값선택 윈도(200)에는, 오퍼레이터가 값을 변경 가능한 복수의 수입력프로세스값의 후보가 표시되고, 오퍼레이터는 복수의 수입력프로세스값의 후보 중에서, 운전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설정값을 변경하고 싶은 수입력프로세스값을 적절히 선택한다. 오퍼레이터가 어느 수입력프로세스값을 조정하면 될지 모르는 경우는, 어느 수입력프로세스값도 선택하지 않고, 상관관계특정부(20)가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맡길 수도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오퍼레이터는 수입력프로세스값으로서 프로세스값 A, 프로세스값 B, 프로세스값 D를 선택하고 있으며, 이들 프로세스값이 하이라이트표시되어 있다.
타겟프로세스값선택 윈도(210)에는, 소정의 목푯값으로 제어해야 할 복수의 타겟프로세스값의 후보가 표시되고, 오퍼레이터는 복수의 타겟프로세스값의 후보 중에서, 운전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목푯값으로 제어하고 싶은 타겟프로세스값을 선택한다. 도 2의 예에서는, 오퍼레이터는 타겟프로세스값으로서 프로세스값 Q를 선택하고 있으며, 프로세스값 Q가 하이라이트표시되어 있다.
상관관계특정부(20)는, 상관관계기억부(70)를 참조하여, 오퍼레이터가 선택한 타겟프로세스값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관련프로세스값"을 특정한다. 타겟프로세스값과 직접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관련프로세스값을 특정하고, 그 관련프로세스값과 직접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다른 관련프로세스값을 특정하여,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타겟프로세스값과 연쇄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1 이상의 관련프로세스값의 연쇄경로를 얻을 수 있다.
타겟프로세스값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관련프로세스값의 연쇄경로 중에는, 오퍼레이터가 값을 변경 가능한 수입력프로세스값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관련프로세스값의 연쇄경로 중에서 발견된 수입력프로세스값은, 오퍼레이터가 수입력프로세스값선택 윈도(200)에서 선택한 수입력프로세스값인 경우와, 수입력프로세스값선택 윈도(200)에서 선택하지 않았던 수입력프로세스값인 경우가 있다.
선택지제시부(30)는, 수입력프로세스값으로부터 관련프로세스값을 거쳐 타겟프로세스값에 이르는 연쇄경로를 선택지로서 제시한다.
도 3은, 선택지제시부(30)에 의하여 선택지로서 제시되는 연쇄경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각 연쇄경로의 선택지는, 선택지식별자(300), 수입력프로세스값(302), 관련프로세스값(304), 타겟프로세스값(306), 리스크(308)의 순으로 표시된다. 리스크(308)는 옵션이며, 표시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제1 선택지(220)는, 선택지식별자 S1, 수입력프로세스값 A,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 타겟프로세스값 Q, 리스크 높음의 순으로 나타나 있다. 수입력프로세스값 A는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과 직접적으로 상관이 있고,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은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와 직접적으로 상관이 있으며,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는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과 직접적으로 상관이 있고,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은 타겟프로세스값 Q와 직접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프로세스값 A, 프로세스값 X1, 프로세스값 X2, 프로세스값 X3, 프로세스값 Q의 순으로 연쇄하여 상관관계가 있다.
동일하게, 제2 선택지(230)는, 선택지식별자 S2를 갖고, 수입력프로세스값 B, 제4 관련프로세스값 X4, 제5 관련프로세스값 X5, 제6 관련프로세스값 X6, 제7 관련프로세스값 X7, 타겟프로세스값 Q의 순으로 연쇄하여 상관관계가 있으며, 리스크 높음이다.
제3 선택지(240)는, 선택지식별자 S3을 갖고, 수입력프로세스값 D, 제8 관련프로세스값 X8, 제9 관련프로세스값 X9, 타겟프로세스값 Q의 순으로 연쇄하여 상관관계가 있으며, 리스크 중간이다.
제4 선택지(250)는, 선택지식별자 S4를 갖고, 수입력프로세스값 F, 제10 관련프로세스값 X10, 제11 관련프로세스값 X11, 제12 관련프로세스값 X12, 타겟프로세스값 Q의 순으로 연쇄하여 상관관계가 있으며, 리스크 낮음이다.
제1 선택지(220), 제2 선택지(230), 제3 선택지(240)의 각각의 수입력프로세스값 A, B, D는 오퍼레이터가 수입력프로세스값선택 윈도(200)에서 선택한 수입력프로세스값이지만, 제4 선택지(250)의 수입력프로세스값 F는 오퍼레이터가 수입력프로세스값선택 윈도(200)에서 선택하지 않았던 수입력프로세스값으로, 상관관계특정부(2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발견된 것이다.
오퍼레이터가 도 3의 각 선택지(220, 230, 240, 250)를 클릭하면 각 선택지(220, 230, 240, 250)의 상세가 표시되며, 관련프로세스값으로부터 부작용으로서 영향이 나타나는 부작용프로세스값이 표시된다.
도 4a는, 도 3의 제1 선택지(220)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은 제1 부작용프로세스값 Y1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는 제2 부작용프로세스값 Y2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은 제3 부작용프로세스값 Y3 및 제4 부작용프로세스값 Y4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도 4a에 나타나는 부작용프로세스값 중, 제1 부작용프로세스값 Y1과 제4 부작용프로세스값 Y4는 리스크가 있는 항목이기 때문에, 리스크항목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리스크마크"라고 부름)가 표시되어 있다. 리스크가 있는 부작용프로세스가 2개 있기 때문에, 제1 선택지(220)는 리스크가 "높음"으로 되어 있다. 리스크를 평가할 때, 부작용프로세스값이 리스크요인이 되는 성질의 것인지 여부로 리스크를 정적으로 평가해도 되지만, 부작용프로세스값이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값인지 여부로 리스크를 동적으로 평가해도 된다. 리스크를 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는, 부작용프로세스값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값이 될지를 시뮬레이션하는 일 없이, 부작용프로세스값이 리스크를 가져오는 항목인지 여부라고 하는 성질만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리스크의 평가가 가능하다. 리스크를 동적으로 평가하는 경우는, 시뮬레이션의 결과, 부작용프로세스값이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값이 되는지 여부로 평가하기 때문에, 허용범위에 들어가는 경우는 리스크를 낮게 추측하고,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리스크를 높게 추측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정확한 리스크의 평가가 가능하다. 또, 리스크의 판정결과를 정량적으로 수치로 나타내도 된다. 리스크를 정량적으로 수치로 나타냄으로써, 리스크의 높고 낮음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 선택지 간에서 용이하게 리스크를 비교할 수 있다.
도 4b는, 도 3의 제3 선택지(240)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8 관련프로세스값 X8은 제5 부작용프로세스값 Y5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제9 관련프로세스값 X9는 제6 부작용프로세스값 Y6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제6 부작용프로세스값 Y6은 또한 제7 부작용프로세스값 Y7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도 4b에 나타나는 부작용프로세스값 중, 제7 부작용프로세스값 Y7은 리스크항목이기 때문에, 리스크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리스크가 있는 부작용프로세스가 1개 있기 때문에, 제3 선택지(240)는 리스크가 "중간"으로 되어 있다.
도 4c는, 도 3의 제4 선택지(250)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10 관련프로세스값 X10은 제8 부작용프로세스값 Y8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제11 관련프로세스값 X11은 제9 부작용프로세스값 Y9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제12 관련프로세스값 X12는 제10 부작용프로세스값 Y10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도 4c에 나타나는 부작용프로세스값에는, 리스크항목이 없기 때문에, 제4 선택지(250)는 리스크가 "낮음"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각 선택지의 상세를 열람하여, 어떠한 부작용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부작용의 리스크의 유무나 높고 낮음을 조사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제4 선택지(250)가 가장 리스크가 낮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최적인 수단으로서 선택하는 선택지가 된다. 제4 선택지(250)의 수입력프로세스값 F는, 오퍼레이터가 수입력프로세스값선택 윈도(200)에서 선택하지 않았던 것이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타겟프로세스값 Q를 목푯값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스스로 발견할 수 없었던 연쇄경로를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이 된다.
상관관계표시부(50)는, 각 선택지의 연쇄경로에 있어서 2개의 프로세스값을 선택하여, 2개의 프로세스값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표시한다. 연쇄경로에 있어서의 관련프로세스값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연쇄하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복수 나열하여 표시해도 된다.
상관관계표시부(50)는, 운전데이터 DB(80)를 참조하여, 과거의 소정 기간의 프로세스제어의 운전데이터를 이용하여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에 있어서 2개의 프로세스값이 취할 수 있는 상한값과 하한값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a)~도 5의 (d)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이다. 도 5의 (a), 도 5의 (b), 도 5의 (c), 도 5의 (d)는, 각각 과거 1개월, 3개월, 6개월, 1년의 운전데이터를 이용한 프로세스값 X와 프로세스값 Y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이다. 오퍼레이터가 조사하고 싶은 운전조건의 기간을 구체적으로 지정하여 산포도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플랜트의 운전상태는 기온, 습도 등의 계절변동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름이나 겨울 등의 기간을 지정하여 산포도를 표시해도 된다.
도 6의 (a)~도 6의 (d)는, 각각 도 5의 (a)~도 5의 (d)의 산포도에 있어서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의 (a), 도 6의 (b), 도 6의 (c), 도 6의 (d)는, 각각 과거 1개월, 3개월, 6개월, 1년의 운전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세스값 X와 프로세스값 Y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에 있어서 프로세스값 X와 프로세스값 Y가 취할 수 있는 상한값과 하한값을 실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프로세스값 X를 변경했을 때에 프로세스값 Y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수학적으로 상한값과 하한값을 구하는 방법으로서, 최소제곱법, 단순한 일차함수근사를 이용해도 되고, 혹은 근사함수의 오차로서 임의로 설정해도 된다.
또, 상관관계표시부(50)는, 과거의 소정 기간의 프로세스제어의 운전데이터를 이용하여, 2개의 프로세스값 중, 일방의 프로세스값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한 경우의 타방의 프로세스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을 도수분포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의 (a)~도 7의 (d)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에 있어서 일방의 프로세스값이 소정의 값인 경우에 타방의 프로세스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의 (a), 도 7의 (b), 도 7의 (c), 도 7의 (d)는, 각각 과거 1개월, 3개월, 6개월, 1년의 운전데이터를 이용한 프로세스값 X와 프로세스값 Y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에 있어서 프로세스값 X를 세로막대로 나타내는 소정의 값으로 했을 때에 프로세스값 Y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의 (a)~도 8의 (d)는, 상관관계가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 중, 일방의 프로세스값이 소정의 값인 경우에 타방의 프로세스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을 도수분포로 나타낸 도이다. 도 8의 (a), 도 8의 (b), 도 8의 (c), 도 8의 (d)는, 각각 과거 1개월, 3개월, 6개월, 1년의 운전데이터를 이용한 프로세스값 X와 프로세스값 Y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에 있어서 프로세스값 X를 세로막대로 나타내는 소정의 값으로 했을 때에 프로세스값 Y가 취할 수 있는 값을 도수분포로 나타낸 도이다. 가로축은 프로세스값 Y의 값이고, 세로축은 프로세스값 Y의 도수이다. 도수분포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한값과 하한값은 표준편차의 임의의 배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관관계표시부(50)가, 연쇄경로에 있어서의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 또는 도수분포를 복수 나열하여 표시함으로써, 수입력프로세스값의 조정이 관련프로세스값을 거쳐 타겟프로세스값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a)~도 9의 (d)는, 연쇄경로에 있어서의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4a의 제1 선택지(220)의 경우로 설명한다. 도 9의 (a)는, 수입력프로세스값 A와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의 상관관계의 산포도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나타낸다. 도 9의 (b)는,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과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의 상관관계의 산포도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나타낸다. 도 9의 (c)는,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와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의 상관관계의 산포도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나타낸다. 도 9의 (d)는,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과 타겟프로세스값 Q의 상관관계의 산포도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나타낸다.
도 10의 (a)~도 10의 (d)는, 연쇄경로에 있어서 상관관계가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 중, 일방의 프로세스값이 소정의 값인 경우에 타방의 프로세스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을 도수분포로 나타낸 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4a의 제1 선택지(220)의 경우로 설명한다. 도 10의 (a)는, 수입력프로세스값 A가 소정의 값인 경우에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이 취할 수 있는 값을 도수분포로 나타낸다. 도 10의 (b)은,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이 소정의 값인 경우에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가 취할 수 있는 값을 도수분포로 나타낸다. 도 10의 (c)는,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가 소정의 값인 경우에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이 취할 수 있는 값을 도수분포로 나타낸다. 도 10의 (d)는,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이 소정의 값인 경우에 타겟프로세스값 Q가 취할 수 있는 값을 도수분포로 나타낸다.
프로세스값입력부(40)는, 각 선택지에 있어서의 수입력프로세스값에 대하여 입력값을 오퍼레이터에게 입력시킨다. 오퍼레이터는 입력값을 수치로 부여해도 되지만, 상관관계표시부(50)가 표시하는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수입력프로세스값의 축 상에서 슬라이더(손잡이)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수입력프로세스값을 현재의 값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변경해도 된다. 상관관계표시부(50)는,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수입력프로세스값을 오퍼레이터가 부여한 입력값으로 변경한 경우의 관련프로세스값, 부작용프로세스값, 타겟프로세스값의 변화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의 (a)~도 11의 (d)는, 수입력프로세스값을 변경한 경우에 다른 프로세스값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4a의 제1 선택지(220)의 경우로 설명한다. 도 11의 (a)는, 그래프의 가로축 상에서 삼각형으로 나타내는 슬라이더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수입력프로세스값 A를 실선으로 나타내는 현재의 값으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내는 설정값으로 증가시킨 경우를 나타낸다. 수입력프로세스값 A의 증가에 의하여,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 타겟프로세스값 Q가 연쇄적으로 변화한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입력프로세스값 A와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은 정의 상관이 있기 때문에, 수입력프로세스값 A가 증가하면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도 증가한다.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과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는 부의 상관이 있기 때문에, 제1 관련프로세스값 X1이 증가하면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는 감소한다. 도 1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관련프로세스값 X2와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은 부의 상관이 있기 때문에, 제2 관련프로세스값 X1이 감소하면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은 증가한다. 도 11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과 타겟프로세스값 Q는 부의 상관이 있기 때문에, 제3 관련프로세스값 X3이 증가하면 타겟프로세스값 Q는 감소한다.
여기에서는 타겟프로세스값 Q를 감소시키는 것이 목표인 경우, 수입력프로세스값 A를 증가시킴으로써, 연쇄적으로 관련프로세스값 X1이 증가, 관련프로세스값 X2가 감소, 관련프로세스값 X3이 증가, 타겟프로세스값 Q가 감소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경고부(60)는, 수입력프로세스값을 오퍼레이터가 설정하는 입력값으로 변경한 경우에 관련프로세스값이나 부작용프로세스값이 허용범위를 초과하거나, 법률에 의하여 규제되는 범위를 초과한다면, 메시지나 리스크마크 등으로 경고를 출력한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는, 수입력프로세스값의 변화에 의하여 부작용프로세스값이 허용범위나 규제범위를 초과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4a의 제1 선택지(220)의 경우로 설명한다. 도 12의 (a)는,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프로세스값 X1이 증가한 경우, 제1 프로세스값 X1과 부의 상관이 있는 제1 부작용프로세스값 Y1이 감소하여, 하한값 α를 하회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의 (b)는, 도 1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프로세스값 X3이 증가한 경우, 제3 프로세스값 X3과 정의 상관이 있는 제4 부작용프로세스값 Y4가 증가하여, 상한값 β를 상회하는 것을 나타낸다.
경고부(60)는, 관련프로세스값이나 부작용프로세스값이 허용범위나 규제범위를 초과한 경우, 도 4a~도 4c에서 설명한 선택지의 상세화면에 있어서 리스크마크를 표시함으로써 경고를 발해도 되고, 또, 상관관계표시부(50)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화면에 있어서 메시지 등으로 경고를 발해도 된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와 같이 제한값이나 규제값을 그래프 내에 표시하고, 수입력프로세스값을 바꿈으로써, 관련프로세스값이나 부작용프로세스값이 허용범위나 규제범위를 초과하는 것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로서, 순환유동층(Circulating Fluidized Bed) 보일러의 프로세스제어에 표시장치(100)를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CFB 보일러에서는 발열량이나 이론공기량은, 실프로세스로부터 역산하여 추정 가능하지만, 프로세스 변화가 느린 노내 온도 등의 파라미터는 역산하여 추정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장치(100)를 이용하면, 수입력프로세스값의 조정에 대하여 용이하게 추정하는 것이 곤란한 연쇄적으로 관련되는 프로세스값의 변동폭을 과거의 운전데이터에 근거하여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 또, 수입력프로세스값을 실제로 변경하기 전에, 부작용프로세스값의 변동을 포함하여 프로세스 전체에 부여하는 부차적 영향을 사전에 평가할 수 있다.
일례로서, CFB 보일러의 1차 공기비율과 베드온도, 베드온도와 질소산화물(NOx)발생량, 1차 공기비율과 질소산화물발생량의 사이에는 각각 상관관계가 있다. 수입력프로세스값으로서 1차 공기비율을 조정함으로써, 타겟프로세스값인 베드온도를 목푯값으로 제어할 때, 부작용프로세스값인 질소산화물발생량을 규제값 이하로 억제할 것이 요구된다. 1차 공기비율, 질소산화물발생량, 베드온도의 사이의 상관관계를 운전데이터에도 근거하는 그래프로 확인하면서, 1차 공기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질소산화물발생량을 억제하면서 베드온도를 목푯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선택지제시부(30)에 의하여 선택지로서 제시되는 연쇄경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에서는 CFB 보일러의 타겟프로세스값으로서 보일러출구의 배기가스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제어목표로 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제1, 제2, 제3, 제4 선택지(260, 270, 280, 290)가 제시되어 있고, 수입력프로세스값(302)은 각각 "공기비함수설정 변경(증)", "공기비함수설정 변경(감)", "이론공기량설정값 변경", "연소공기배분설정값 변경"이며, 타겟프로세스값(306)은 "보일러출구배기가스온도 저하"이다. "공기비함수설정 변경(증)", "공기비함수설정 변경(감)"은 공기비를 각각 늘리고, 줄이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고, 수입력프로세스값은, 이와 같이 설정값을 변경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정의할 수도 있다.
제1 선택지(260)에서는, 수입력프로세스값 "공기비함수설정 변경(증)"에 대하여, 관련프로세스값(304)으로서 "공기비 증가", "총연소공기량 증가", "배기가스량 증가", "화로수열량 증가", "화로출구배기가스온도 저하"가 이 순으로 연쇄적으로 관련되고, 타겟프로세스값 "보일러출구배기가스온도 저하"에 이르는 연쇄경로가 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관련프로세스값에 "증가", "저하" 등 변화의 방향이 나타나 있는 것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말하면, 하나 전의 관련프로세스값의 증감에 대하여 정의 상관인지, 부의 상관인지에 의한 것이며,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표시하지 않아도, 이와 같이 문자열로 각 관련프로세스값의 증감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선택지(270)에서는, 수입력프로세스값 "공기비함수설정 변경(감)"에 대하여, 관련프로세스값(304)으로서 "공기비 감소", "총연소공기량 감소", "배기가스량 감소", "화로수열량 저하", "화로출구배기가스온도 증가", "후부연도 내의 열교환기성능 개선"이 이 순으로 연쇄적으로 관련되고, 타겟프로세스값 "보일러출구배기가스온도 저하"에 이르는 연쇄경로가 제시되어 있다.
제3 선택지(280)에서는, 수입력프로세스값 "이론공기량설정값 변경"에 대하여, 관련프로세스값(304)으로서 "1차 연소공기량만 증가", "화로수열량 증가", "화로출구배기가스온도 저하"가 이 순으로 연쇄적으로 관련되고, 타겟프로세스값 "보일러출구배기가스온도 저하"에 이르는 연쇄경로가 제시되어 있다. "1차 연소공기량만 증가"가 "화로수열량 증가"에 연쇄하는 것은, 노내 열매체인 순환재의 활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제4 선택지(290)에서는, 수입력프로세스값 "연소공기배분설정값 변경"에 대하여, 관련프로세스값(304)으로서 "1차 연소공기량만 증가", "화로수열량 증가", "화로출구배기가스온도 저하"가 이 순으로 연쇄적으로 관련되고, 타겟프로세스값 "보일러출구배기가스온도 저하"에 이르는 연쇄경로가 제시되어 있다.
도 14a는, 도 13의 제1 선택지(260)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부작용프로세스값이 나타나고, 리스크가 있는 부작용프로세스값에는 리스크마크가 붙여진다.
관련프로세스값 "공기비 증가"는 부작용프로세스값 "NOx 발생량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고, "총연소공기량 증가"는 부작용프로세스값 "2차 압입통풍기소비동력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배기가스량 증가"는 부작용프로세스값 "유인통풍기소비동력 증가" 및 "보일러효율 저하"와 상관관계가 있고, "화로수열량 증가"는 부작용프로세스값 "노내온도 저하"와 상관관계가 있고, 부작용프로세스값 "노내온도 저하"는 다시 부작용프로세스값 "탈황효율 저하(SOx 배출량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다.
여기에서, 부작용프로세스값 "보일러효율 저하"는 리스크항목이다. 왜냐하면 보일러효율이 저하하면 보일러의 본래의 목적달성이 저해되기 때문이다. 또, "탈황효율 저하(SOx 배출량 증가)"도 리스크항목이다. 대기오염의 관점에서 황산화물(SOx)의 배출량은 법률에 의하여 규제되고 있어, 규제값을 초과하면 법률위반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탈황반응에는 적절한 온도대가 있는데, 본 예에서는 수입력프로세스값 "공기비함수설정 변경(증)"의 조정에 의하여, 적절한 온도 이하가 되어, 탈황반응이 정지해 버려, SOx 배출량이 규제값을 초과해 버린다. 그 때문에, 제1 선택지(260)는 채용할 수 없다.
도 14b는, 도 13의 제2 선택지(270)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총연소공기량 감소"는 부작용프로세스값 "2차 압입통풍기소비동력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고, "배기가스량 감소"는 부작용프로세스값 "유인통풍기소비동력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화로수열량 저하"는 부작용프로세스값 "노내온도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고, 부작용프로세스값 "노내온도 증가"는 또한 부작용프로세스값 "탈황효율 저하(SOx 배출량 증가)" 및 "NOx 발생량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다.
여기에서, "탈황효율 저하(SOx 배출량 증가)"와 "NOx 발생량 증가"가 리스크항목이다. 대기오염의 관점에서 황산화물(SOx)과 동일하게, 질소산화물(NOx)의 발생량도 법률로 규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수입력프로세스값 "공기비함수설정 변경(감)"은, 보일러의 고운용 부하대에서는 적용 불능인 점도 수입력프로세스값에 관한 리스크항목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수입력프로세스값 "공기비함수설정 변경(감)"의 조정에 의하여, 탈황반응이 일어나는 온도 이하가 되어, 탈황반응이 정지해 버려, SOx 배출량이 규제값을 초과하는 점, 또, NOx 배출량도 규제값을 초과하는 점에서, 제2 선택지(270)는 채용할 수 없다.
도 14c는, 도 13의 제3 선택지(280)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1차 연소공기량만 증가"는 부작용프로세스값 "1차 압입통풍기소비동력 증가" 및 "2차 압입통풍기에 의한 배기가스 O2 보정기능 저하(또는 상실)"와 상관관계가 있고, "화로수열량 증가"는 부작용프로세스값 "노내온도 저하"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부작용프로세스값 "노내온도 저하"는 또한 부작용프로세스값 "탈황효율 저하(SOx 배출량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다.
여기에서, "탈황효율 저하(SOx 배출량 증가)"가 리스크항목이다. 또, 수입력프로세스값 "이론공기량설정값 변경"은, 운용부하를 변화시킨 경우에 재차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수입력프로세스값에 관한 리스크항목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수입력프로세스값 "이론공기량설정값 변경"의 조정에 의하여, SOx 배출량이 규제값을 초과하는 점에서, 제3 선택지(280)는 채용할 수 없다.
도 14d는, 도 13의 제4 선택지(290)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1차 연소공기량만 증가"는 부작용프로세스값 "1차 압입통풍기소비동력 증가" 및 "2차 압입통풍기에 의한 배기가스 O2 보정기능 저하(또는 상실)"와 상관관계가 있고, "화로수열량 증가"는 부작용프로세스값 "노내온도 저하"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부작용프로세스값 "노내온도 저하"는 또한 부작용프로세스값 "탈황효율 저하(SOx 배출량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고, "화로출구배기가스온도 저하"는 부작용프로세스값 "후부연도 내의 열교환기성능 저하"와 상관관계가 있다.
본 예에서는, 수입력프로세스값 "연소공기배분설정값 변경"을 조정해도, SOx 배출량이 규제값을 초과하지 않는 점에서, "탈황효율 저하(SOx 배출량 증가)"는 리스크항목으로 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4 선택지(290)를 가장 리스크없이 운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채용할 수 있어, 연소공기배분을 부하에 알맞은 설정값으로 조정함으로써, 보일러출구의 배기가스온도를 목푯값까지 낮출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표시장치(100)에 의하면, 수입력프로세스값으로부터 타겟프로세스값에 이르는 연쇄경로의 관련프로세스값이나 부작용프로세스값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입력프로세스값을 조정한 경우의 타겟프로세스값의 변동을 보는 것만으로는 놓쳐 버리는 관련프로세스값이나 부작용프로세스값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다.
또, 표시장치(100)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수입력프로세스값의 설정값을 실제로 변경하기 전에 영향이 나타나는 프로세스값의 변화의 정도를 예측하여, 악영향이 있는 경우는 수입력프로세스값의 설정값의 변경을 중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입력프로세스값에 직접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관련프로세스값의 변화의 정도를 예측하고, 또한 연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관련프로세스값이나 부작용프로세스값의 변화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또, 상관관계에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병렬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입력프로세스값을 조정한 경우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관관계에 있는 다른 프로세스값의 변화폭을 한번에 예측할 수 있다.
또, 표시장치(100)에 의하면, 과거의 운전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지금까지 경험에 의지하여 조정되고 있던 프로세스값에 최적값을 용이하게 조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치시뮬레이션으로 프로세스값 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하는 경우, 전달함수를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전달함수에 포함되는 시상수나 시간지연, 각종 계수, 상수를 설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표시장치(100)에 의하면, 실운전데이터로부터 프로세스값 간의 상관관계를 그래프표시하여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번잡한 전달함수의 설정이나 시뮬레이션 등의 수치계산은 불필요하다. 또 플랜트의 특성(예를 들면 발열량, 연료의 종류, 증기의 온도·압력·유량 등)에 상관없이, 실운전데이터로부터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방식은 플랜트의 개체차에 상관없이 연소계 플랜트에 한정하지 않고, 화학계 플랜트도 포함한 다종다양한 프로세스계 시스템에 폭넓게 적용 가능하며, 범용성이 높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표시장치(100)에 의하면, 오퍼레이터의 노력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또, 플랜트의 안정운용에 공헌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기술에 이용할 수 있다.
10 프로세스값선택부
20 상관관계특정부
30 선택지제시부
40 프로세스값입력부
50 상관관계표시부
60 경고부
70 상관관계기억부
80 운전데이터 DB
100 표시장치

Claims (10)

  1.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로서,
    복수의 프로세스값의 후보 중에서, 오퍼레이터가 값을 변경 가능한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소정의 목푯값으로 제어해야 할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선택부와,
    선택된 상기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상기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1 이상의 관련프로세스값을 특정하는 상관관계특정부와,
    상관관계에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열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과거의 소정 기간의 프로세스제어의 운전데이터를 이용한 상기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포도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프로세스값이 취할 수 있는 상한값과 하한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과거의 소정 기간의 프로세스제어의 운전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2개의 프로세스값 중, 일방의 프로세스값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한 경우의 타방의 프로세스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을 도수분포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관계특정부는, 1 이상의 상기 관련프로세스값 중, 상기 오퍼레이터가 값을 변경 가능한 수입력프로세스값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관계특정부는, 상기 관련프로세스값에 대하여 부작용을 초래하는 부작용프로세스값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력프로세스값으로부터 상기 타겟프로세스값에 이르는 상관관계를 갖는 프로세스값의 연쇄경로를 선택지로서 제시하는 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입력프로세스값을 상기 오퍼레이터가 설정하는 입력값으로 변경한 경우, 상기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프로세스값의 변화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력프로세스값을 상기 오퍼레이터가 설정하는 입력값으로 변경한 경우, 상기 상관관계특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프로세스값이 허용범위 또는 법률에 의하여 규제되는 범위를 초과한다면,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방법으로서,
    복수의 프로세스값의 후보 중에서, 오퍼레이터가 값을 변경 가능한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소정의 목푯값으로 제어해야 할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선택 스텝과,
    선택된 상기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상기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1 이상의 관련프로세스값을 특정하는 상관관계특정 스텝과,
    상관관계에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열하여 표시하는 표시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0.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복수의 프로세스값의 후보 중에서, 오퍼레이터가 값을 변경 가능한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소정의 목푯값으로 제어해야 할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선택 스텝과,
    선택된 상기 수입력프로세스값 및 상기 타겟프로세스값 중 적어도 일방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1 이상의 관련프로세스값을 특정하는 상관관계특정 스텝과,
    상관관계에 있는 2개의 프로세스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열하여 표시하는 표시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207027071A 2018-03-13 2019-03-05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82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5726 2018-03-13
JPJP-P-2018-045726 2018-03-13
PCT/JP2019/008536 WO2019176635A1 (ja) 2018-03-13 2019-03-05 プロセス制御を支援するための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829A true KR20200130829A (ko) 2020-11-20
KR102482170B1 KR102482170B1 (ko) 2022-12-27

Family

ID=6790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071A KR102482170B1 (ko) 2018-03-13 2019-03-05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315528B2 (ko)
KR (1) KR102482170B1 (ko)
PH (1) PH12020500653A1 (ko)
TW (1) TWI698728B (ko)
WO (1) WO201917663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426A (ko) * 2006-05-09 2009-01-16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서버 장치 및 프로그램
KR20090068600A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공정에서의 자동화된 정보분석방법
JP2017211839A (ja) 2016-05-25 2017-11-30 横河電機株式会社 機器保全装置、機器保全方法、機器保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7228254A (ja) 2016-06-24 2017-12-28 横河電機株式会社 機器保全装置、機器保全システム、機器保全方法、機器保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1442B2 (ja) * 1999-05-21 2006-0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ント運転監視装置及びプラント運転監視方法
US7127358B2 (en) * 2004-03-30 2006-10-24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un-to-run control
JP4910757B2 (ja) * 2007-02-21 2012-04-04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プロセスデータ予測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プロセス管理装置
JP4368905B2 (ja) * 2007-05-11 2009-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グラフ描画装置および方法、その方法を実行する歩留り解析方法および歩留り向上支援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606519B2 (en) * 2013-10-14 2017-03-28 Applied Materials, Inc. Matching process controllers for improved matching of proce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426A (ko) * 2006-05-09 2009-01-16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서버 장치 및 프로그램
KR20090068600A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공정에서의 자동화된 정보분석방법
JP2017211839A (ja) 2016-05-25 2017-11-30 横河電機株式会社 機器保全装置、機器保全方法、機器保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7228254A (ja) 2016-06-24 2017-12-28 横河電機株式会社 機器保全装置、機器保全システム、機器保全方法、機器保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98728B (zh) 2020-07-11
PH12020500653A1 (en) 2021-06-21
KR102482170B1 (ko) 2022-12-27
JP7315528B2 (ja) 2023-07-26
JPWO2019176635A1 (ja) 2021-02-25
TW201939185A (zh) 2019-10-01
WO2019176635A1 (ja)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6683B (zh) 具有燃烧装置的控制对象物的控制装置
CN101846332B (zh) 具有燃烧装置的控制对象物的控制装置
EP246365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combustion system operation
CN101063872B (zh) 锅炉氧量优化系统
Lin et al. A temperature-based approach to detect abnormal building energy consumption
JP2007271187A (ja) 燃焼装置を有する制御対象物の制御装置、及びボイラを有するプラントの制御装置
US11371733B2 (en)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 modeling and reporting
US200600529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NCR optimization
JP4665815B2 (ja) プラントの制御装置
TWI705316B (zh) 鍋爐之運轉支援裝置、鍋爐之運轉支援方法、及鍋爐之學習模型之作成方法
US20090112363A1 (en) Adaptive control system for reagent distribution control in SCR reactors
CN105485714B (zh) 一种确定锅炉运行氧量的方法、装置及自动控制系统
WO2006135392A2 (en) Method and system for scr optimization
JP5117232B2 (ja) ボイラを備えたプラントの制御装置、及びボイラを備えたプラントの制御方法
KR102209176B1 (ko) 시뮬레이션 결과의 평가 장치 및 방법
WO2020240592A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um coal selection and power plant optimization
KR20200130829A (ko) 프로세스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
JP4358871B2 (ja) ボイラプラントの制御装置及び運転員訓練用装置
CN106884726A (zh) 在燃气涡轮调节中对功率输出‑排放参数的概率控制
JP5828515B2 (ja) 発電設備の運転支援装置
CN105650672A (zh) 空燃电子比例调节系统
Benz et al. NOx Reduction through Efficiency Gain
EP3683634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technological process
CN114777112A (zh) 适用于掺烧化工尾气的控制方法
James et al. Mercury Specie and Multi-Pollutant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