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609A -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Google Patents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0609A KR20200130609A KR1020190055081A KR20190055081A KR20200130609A KR 20200130609 A KR20200130609 A KR 20200130609A KR 1020190055081 A KR1020190055081 A KR 1020190055081A KR 20190055081 A KR20190055081 A KR 20190055081A KR 20200130609 A KR20200130609 A KR 202001306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 frequency
- protrusion
- present
- protector
- conductive p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 D03D15/0066—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03D15/258—Noble met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와 손목의 피부 사이를 밀착시켜 유격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저주파 자극 장치에 의해 저주파가 발생시 패드와 손목의 피부 사이에 버닝(Burn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손목의 통증이 완화되도록 마사지할 수 있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는, 일면에 전도성을 갖는 은사; 및 타면에 전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을 갖는 전도성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는, 일면에 전도성을 갖는 은사; 및 타면에 전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을 갖는 전도성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손목은 손의 5개의 중수 뼈(Metacarpal Bone)와 아래팔의 요골 및 척골 사이에 있는 복합 관절로, 대략 2줄로 배열된 8 ~ 9개의 작고 짧은 뼈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손목은 구성 관절로 이루어지는데, 전완골의 중심 역할을 하는 원위요척관절과, 손목의 굴곡 신전에 관여하고 손목뼈의 첫째 줄과 요골 사이에 있는 요골손목뼈관절과, 2줄의 손목뼈 사이에 있는 중수근 관절과, 2줄을 이루고 있는 인접 손목뼈 사이에 존재하는 여러 손목뼈사이관절 등이 있다.
이러한 손목에는 많은 뼈와 복합 관절이 있어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고, 광범위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척골과 요골 사이에 있는 원판 모양의 요골 손목뼈 인대(Radiocarpal Ligament)는 손과 아래팔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해주며 손목뼈 사이의 인대는 작은 손목뼈들을 강하게 지지해준다.
손목에 있는 많은 뼈 때문에, 이 부위에 있는 혈관과 신경은 손목 터널(Carpal Tunnel)이라는 좁은 통로를 지나간다.
그런데, 현대인들은 업무와 여가활동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장시간 이용하게 됨에 따라, 손목 터널 증후군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 정보에 의하면, 평생 손목 터널 증후군에 걸릴 확률이 50%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팔에서 발생하는 신경 질환 중 가장 흔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손목 앞쪽의 피부조직 밑에 손목을 이루는 뼈인 수근관과 인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작은 통로로서 9개의 힘줄과 하나의 신경이 손 쪽으로 지나가는데, 손목 터널 증후군은, 이 통로가 여러 원인으로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여기를 지나가는 정중신경이 수축 또는 변형됨으로써, 신경 지배 영역인 손바닥과 손가락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이러한 손목 터널 증후군의 치료로서, 수술적 치료를 제외하고는 손목보호대를 착용한 상태로 쉬어주거나, 병원을 방문하여 물리치료를 받는 것이 최선이나, 현대인들은 바쁜 업무와 가사노동으로 인해 병원 방문을 하지 못하고, 위의 증상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 1은 기존에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저주파 자극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용 저주파 자극 시스템은 부피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병원을 방문해야만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는 달리, 이동식 저주파 자극 장치의 경우 부피가 작아서 휴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치료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8-0087962호(발명의 명칭: 개인용 저주파 자극기), 등록실용신안 제20-0452160호(고안의 명칭: 휴대형 수지요법용 저주파 자극기) 등이 있다.
다만, 기존의 이동식 저주파 자극 장치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PCB 판을 하이드로겔 패드에 부착하여 손목의 특정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준다.
하지만, 하이드로겔 패드를 통증이 있는 손목의 피부에 부착할 경우, 끈적이는 하이드로겔의 특성상 피부에 이질감을 유발하고, 하이드로겔 패드와 피부 사이의 밀착도가 떨어져 유격이 발생함으로써 저주파 자극 장치에 의해 저주파가 발생시 하이드로겔 패드와 손목의 피부 사이에 버닝(Burning)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로 인해 하이드로겔 패드는 통상 15회 ~ 20회 정도 사용된 후 교체됨으로써,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패드와 손목의 피부 사이를 밀착시켜 유격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저주파 자극 장치에 의해 저주파가 발생시 패드와 손목의 피부 사이에 버닝(Burn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손목의 통증이 완화되도록 마사지할 수 있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는, 일면에 전도성을 갖는 은사; 및 타면에 전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을 갖는 전도성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패드는 사방으로 스트레칭성을 갖는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상기 은사는, 나일론; 전도성을 갖도록 상기 나일론에 코팅되는 전도성 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면에 저주파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상부의 제 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돌출부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기 위한 제 1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하부 일측에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하부 타측에는 상기 제 2 돌출부가 결속되기 위한 제 2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측 상부 및 타측 하부가 각각 돌출하여 제 3 돌출부 및 제 4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며, 중심 부위의 제 3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측 중심 부위에는 제 5 돌출부를 형성하며, 타측 중심 부위에는 상기 제 5 돌출부가 결속되기 위한 사각 형상의 제 1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측 상부 및 일측 하부 부위에는 제 6 돌출부 및 제 7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며, 타측 상부 및 타측 하부 부위에는 상기 제 6 돌출부 및 상기 제 7 돌출부가 각각 결속되기 위한 사각 형상의 제 2 고리 및 제 3 고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중심 부위의 제 4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측 상부 및 일측 하부 부위에는 제 8 돌출부 및 제 9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며, 타측 상부 및 타측 하부 부위에는 상기 제 8 돌출부 및 상기 제 9 돌출부가 각각 결속되기 위한 벨크로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와 손목의 피부 사이를 밀착시켜 유격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저주파 자극 장치에 의해 저주파가 발생시 패드와 손목의 피부 사이에 버닝(Burn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손목의 통증이 완화되도록 마사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에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저주파 자극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전도성 패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다양한 형태의 저주파 발생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전도성 패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다양한 형태의 저주파 발생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전도성 패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는 전도성 패드(100)와, 후술하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도성 패드(100)는 일면의 은사(銀絲)(110)와, 타면의 실리콘(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도성 패드(100)에는 사방으로 스트레칭성을 갖는 스판덱스를 더 포함한다.
은사(110)는 전도성을 가진다.
이러한 은사(110)는 나일론과, 이러한 나일론을 코팅하는 전도성 은을 더 포함한다.
나일론은 1938년 미국 듀폰 사의 캐러더스(Wallace Hume Carothers, 1896~ 1937)가 발명한 가장 역사가 오래된 합성 섬유로, 폴리아미드 계에 포함된다. 나일론 실은 거미줄보다 가늘지만 잡아당기거나 마찰시켰을 때 다른 섬유에 비해 매우 강하다.
또한, 가볍고 물에 젖어도 강도 차이가 없으며, 탄력성이 매우 크고 천연 섬유와는 달리 좀과 같은 벌레로부터 해를 받지 않아 개발 초기에는 여성용 스타킹을 비롯하여 의복에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흡수성이 좋지 않고 마찰에 의해 정전기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어 특히 속옷으로는 부적합했다. 이런 단점을 꾸준히 개선하는 등 다양한 가공법으로 생활에서의 활용도를 더욱 확대해왔다.
나일론은 대표적인 합성 섬유로 일찍이 우리 생활 속의 여러 가지 필수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여성용 스타킹이지만 그 밖에도 의복 및 여러 용도의 나일론 줄을 비롯하여 요즘엔 아웃도어 용품의 재료, 건축 재료 등 생활 곳곳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은(Ag)은 원소기호 Ag, 원자번호 47, 원자량 107.868, 녹는 점 960.5℃, 비중 10.5이다. 자연 은으로서 유리 상태로 산출될 때도 있지만 주로 휘은광(Ag2S)으로 산출되며, 이 밖에 취은광(5Ag2S ·Sb₂2S₃3)·농홍은광(3Ag2S·Sb₂2S₃3)·담홍은광(3Ag2S·Ag₂2S₃3) 등으로 소량 존재한다. 은은 금속상으로 금과 합금 상태로만 산출되며, 그 밖에 납·구리·아연 등의 광물에 함유될 때가 많다.
은은 은백색의 광택을 띠며 금속 중 전기 및 열의 전도도가 가장 크고 전성·연성이 금 다음으로 크다. 황(S)과 염소(Cl)와는 작용하기 쉽고 공기 중에서는 표면에 황화물이 형성되어 흐려진다.
이러한 은은 금 또는 동과 마찬가지로 전도성을 가진다.
은사(110)는 이상 설명한 나일론과, 전도성을 갖도록 나일론에 코팅되는 전도성 은이 포함되어 형성된다.
실리콘(Silicone; 120)은 유체 수지 또는 탄성 중합체의 형태로 만들어진 실리콘 원소가 포함된 화학 중합체로 폴리실록산(Polysiloxane)이라고도 한다.
실리콘(120)은 조성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기물이지만 실리콘 분자는 유기 화합물의 특징적인 원소인 탄소가 골격 구조에 포함되는 대신, 규소 원자와 산소 원자가 교대로 있는 폴리실록산 사슬의 골격을 이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대개 실리콘에는 각 실리콘 원자에 보통 2개의 메틸(-CH3) 또는 페닐(-C6H5)의 유기 원자단이 각각의 규소 원자에 붙어 있다.
실리콘 유체는 열, 물 또는 산화제에 의한 분해에 대단히 안정적이며, 절연 효과가 뛰어난 전기 절연체이다. 실리콘은 유압 장치의 유체 성분과 유탁액 파괴 물질로 사용되며, 직물·종이와 그 밖의 많은 물질에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쓰인다. 실리콘 고무는 고무의 전기 절연성, 화학적 안정성과 넓은 온도 범위에서 탄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실리콘 수지는 보호 피복제, 전기 절연용 니스, 얇은 유리 섬유 직물 제조에 사용되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
이러한 실리콘(120)은 전기 절연성을 갖지만, 전도성 필러를 첨가함으로써, 실리콘(120)이 전도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실리콘(120) 대신에 전도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 패드(100)는 일면에 전도성을 갖는 은사(110)와, 타면에 전도성을 갖는 실리콘(120) 또는 폴리우레탄을 가진다.
한편, 스판덱스(Spandex)는 섬유 산업에서 가장 고부가 가치를 지닌 섬유로, '섬유의 반도체'로 불린다. 석유 화합물인 폴리우레탄이 주성분으로, 기존 고무줄에 비해 약 3배의 강도를 가진다. 원래 길이의 5 ~ 8배나 늘어날 수 있으며, 고무줄보다 가볍고 원래의 탄성을 유지하는 특성이 뛰어나다. 여성의 속옷이나 수영복, 스타킹, 유아용 종이 기저귀 등에 주로 사용되며 점점 그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1959년 미국 듀퐁사에 의해 상업화되어 1962년부터 본격 생산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에서는 1979년 태광산업이 일본의 도요보 사의 기술을 도입하여 대한민국 최초로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스판덱스는 신축성과 탄성이 좋아 고무 대용으로 쓰인다.
한편, 전도성 패드(100)는 실리콘(120)과 접촉하지 않는 은사(110) 면에 수스냅 형상의 제 1 결합부(130)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 1 결합부(130)는 후술하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의 암스냅 형상의 제 2 결합부(250)와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스냅이란, 일명 똑딱단추를 말하며,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맞물리게 되어 있다.
예컨대, 2개의 부재를 서로 결합해야 할 경우, 각각의 부재에 수스냅 형상의 제 1 결합부(130)와, 암스냅 형상의 제 2 결합부(250)를 각각 형성한 후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결합부(130)와, 제 2 결합부(250)는 전도성 패드(100)와, 저주파 발생 수단(200)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의해 발생하는 자극 또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기능을 전도성 패드(100)에 각각 전달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는 전도성 패드(100)가 은사(110)와 실리콘(120)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리콘(120)은 인체에 무해하며, 인체의 피부와 밀착하는 정도가 매우 친밀하다.
원단에 얇게 코팅하여 피부와 가장 유사한 소재인 실리콘(120) 또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함으로써 저항 값을 최소화하고 패드 면에 고른 저주파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도성 패드(100)의 실리콘(120)과 손목의 피부 사이를 밀착시켜 유격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저주파 자극 장치에 의해 저주파가 발생시 패드와 손목의 피부 사이에 버닝(Burn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손목의 통증이 완화되도록 마사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에서 다양한 형태의 저주파 발생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다.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약 3 ㎃의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PCB판으로 구성된다.
저주파 발생 수단은 의료 기기로 등록되어 있는 기기로 주로 손목 관절, 무릎 관절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각각의 보호대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오토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어 일정 시간 작동 후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는 원리이며 주파의 강도와 모드 조절은 버튼 또는 다이얼을 통해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상태 표시 램프(210)와, + 버튼(220)과, - 버튼(230)과, USB 충전 연결 단자(240)와, 제 2 결합부(250)를 포함한다.
상태 표시 램프(210)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이다.
일례로,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충분한 전원이 공급될 경우에는 램프의 색이 녹색으로 표시되고,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램프의 색이 적색으로 표시되며,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램프가 오프(Off)된다.
+ 버튼(220)과, - 버튼(230)은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서 발생시키는 저주파의 강도를 조절하는 버튼이다.
+ 버튼(220)을 누르면 저주파의 강도가 강해지고, - 버튼(230)을 누르면 저주파의 강도가 약해진다.
또한, + 버튼(220)을 길게 누르면 저주파 발생 수단(200)의 전원이 온(On)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USB 충전 연결 단자(240)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며, 암스냅 형상의 제 2 결합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패드(100)의 실리콘(120)과 접촉하지 않는 은사(110) 면에 수스냅 형상의 제 1 결합부(130)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도 3의 저주파 발생 수단(200)과 동일하게 상태 표시 램프(210)와, + 버튼(220)과, - 버튼(230)과, USB 충전 연결 단자(240)와, 제 2 결합부(250)를 포함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도 3의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서는 전원을 온하기 위해 + 버튼(220)을 길게 누르지만, 도 4의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서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버튼(260)을 더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도 4의 저주파 발생 수단(200)과 동일하게 상태 표시 램프(210)와, + 버튼(220)과, - 버튼(230)과, USB 충전 연결 단자(240)와, 제 2 결합부(250)와, 온오프 버튼(260)을 포함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부 단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도 4의 저주파 발생 수단(200)과 동일하게 상태 표시 램프(210)와, + 버튼(220)과, - 버튼(230)과, USB 충전 연결 단자(미도시)와, 제 2 결합부(250)와, 온오프 버튼(미도시)을 포함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는 전도성 패드(100)와, 저주파 발생 수단(200)을 포함하며, 이러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전도성 패드(100)의 일면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이 없는 전도성 패드(100) 면에 손목 또는 무릎을 밀착시킨 후, 전도성 패드(100)를 잡아당겨 손목 또는 무릎을 감싼 후, 전도성 패드(100)의 양단 부위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전도성 패드(100)의 양단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결합 수단을 통해 결합하게 된다.
일례로, 전도성 패드(100)의 양단을 벨크로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양한 형태의 저주파 발생 수단(200)과, 달리 다양한 형태의 전도성 패드(100)를 갖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일측과, 타측과, 상부와, 하부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도면에서 좌측과, 우측과, 상부와, 하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는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 보호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서, 전도성 패드(100)는, 상부에 제 1 돌출부(141)를 포함하며, 제 1 돌출부(141)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기 위한 제 1 관통홀(14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전도성 패드(100)의 일측에는 제 2 돌출부(144)를 포함하며, 전도성 패드(100)의 타측에는 제 2 돌출부(144)가 결속되기 위한 제 2 관통홀(143)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손등을, 도 8에서 보았을 때,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후면에 밀착시킨 후, 사용자 자신의 엄지 손가락을 제 1 관통홀(142)에 삽입한다.
이후, 제 2 돌출부(144)를 당겨서 제 2 관통홀(143)에 삽입하여 사용자 자신의 손목을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 결속한 후, 제 2 돌출부(144)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결속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돌출부(144)를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본체에 결속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벨크로 방식으로 결속시킬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속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를 손목에 장착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는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서, 전도성 패드(100)는, 일측 상부 및 타측 하부가 각각 돌출하여 제 3 돌출부(152) 및 제 4 돌출부(153)를 각각 형성하며, 중심 부위에 제 3 관통홀(151)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무릎을, 도 9에서 보았을 때,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후면에 밀착시키되, 사용자의 무릎의 돌출 부위를 제 3 관통홀(151)에 밀착시킨다.
이후, 제 3 돌출부(152)를 당겨서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본체에 결속시키고, 마찬가지로 제 4 돌출부(153)를 당겨서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본체에 결속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를 무릎에 장착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는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 보호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서, 전도성 패드(100)는, 일측 중심 부위에는 제 5 돌출부(162)가 형성되며, 타측 중심 부위에는 제 5 돌출부(162)가 결속되기 위한 사각 형상의 제 1 고리(161)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손등을, 도 10에서 보았을 때,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후면에 밀착시킨 후, 제 5 돌출부(162)를 당겨서 제 1 고리(161)에 삽입하여 사용자 자신의 손목을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 결속한 후, 제 5 돌출부(162)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본체에 결속한다.
마찬가지로 제 5 돌출부(162)를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본체에 결속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벨크로 방식으로 결속시킬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속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를 손목에 장착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는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서, 전도성 패드(100)는, 일측 상부 및 일측 하부 부위에는 제 6 돌출부(171) 및 제 7 돌출부(172)를 각각 형성하며, 타측 상부 및 타측 하부 부위에는 제 6 돌출부(171) 및 제 7 돌출부(172)가 각각 결속되기 위한 사각 형상의 제 2 고리(174) 및 제 3 고리(175)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서, 전도성 패드(100)는 중심 부위에 제 4 관통홀(173)을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무릎을, 도 11에서 보았을 때,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후면에 밀착시키되, 사용자의 무릎의 돌출 부위를 제 4 관통홀(173)에 밀착시킨다.
이후, 제 6 돌출부(171)를 당겨서 제 2 고리(174)에 삽입시킨 후, 반대 방향으로 당겨서 제 6 돌출부(171)를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본체에 결속시킨다.
마찬가지로 제 7 돌출부(172)를 당겨서 제 3 고리(175)에 삽입시킨 후, 반대 방향으로 당겨서 제 7 돌출부(172)를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본체에 결속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를 무릎에 장착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는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에서, 전도성 패드(100)는, 일측 상부 및 일측 하부 부위에는 제 8 돌출부(182) 및 제 9 돌출부(184)를 각각 형성하며, 타측 상부 및 타측 하부 부위에는 제 8 돌출부(182) 및 제 9 돌출부(184)가 각각 결속되기 위한 벨크로(183, 185)가 각각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무릎을, 도 12에서 보았을 때,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후면에 밀착시키되, 사용자의 무릎의 돌출 부위를 제 5 관통홀(181)에 밀착시킨다.
이후, 제 8 돌출부(182)를 당겨서 벨크로(183)를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본체에 결속시킨다.
마찬가지로 제 9 돌출부(184)를 당겨서 벨크로(185)를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의 본체에 결속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1000)를 무릎에 장착하게 된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전도성 패드
110 : 은사
120 : 실리콘
130 : 제 1 결합부
200 : 저주파 발생 수단
210 : 상태 표시 램프
220 : + 버튼
230 : - 버튼
240 : USB 충전 연결 단자
250 : 제 2 결합부
260 : 온오프 버튼
1000 :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110 : 은사
120 : 실리콘
130 : 제 1 결합부
200 : 저주파 발생 수단
210 : 상태 표시 램프
220 : + 버튼
230 : - 버튼
240 : USB 충전 연결 단자
250 : 제 2 결합부
260 : 온오프 버튼
1000 :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Claims (9)
- 일면에 전도성을 갖는 은사; 및
타면에 전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을 갖는 전도성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패드는 사방으로 스트레칭성을 갖는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사는,
나일론; 및
전도성을 갖도록 상기 나일론에 코팅되는 전도성 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면에 저주파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상부의 제 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돌출부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기 위한 제 1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하부 일측의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하부 타측에는 상기 제 2 돌출부가 결속되기 위한 제 2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측 상부 및 타측 하부가 각각 돌출하여 제 3 돌출부 및 제 4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며,
중심 부위의 제 3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측 중심 부위에는 제 5 돌출부를 형성하며,
타측 중심 부위에는 상기 제 5 돌출부가 결속되기 위한 사각 형상의 제 1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측 상부 및 일측 하부 부위에는 제 6 돌출부 및 제 7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며,
타측 상부 및 타측 하부 부위에는 상기 제 6 돌출부 및 상기 제 7 돌출부가 각각 결속되기 위한 사각 형상의 제 2 고리 및 제 3 고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중심 부위의 제 4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측 상부 및 일측 하부 부위에는 제 8 돌출부 및 제 9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며,
타측 상부 및 타측 하부 부위에는 상기 제 8 돌출부 및 상기 제 9 돌출부가 각각 결속되기 위한 벨크로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5081A KR102264306B1 (ko) | 2019-05-10 | 2019-05-10 |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5081A KR102264306B1 (ko) | 2019-05-10 | 2019-05-10 |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0609A true KR20200130609A (ko) | 2020-11-19 |
KR102264306B1 KR102264306B1 (ko) | 2021-06-15 |
Family
ID=7367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5081A KR102264306B1 (ko) | 2019-05-10 | 2019-05-10 |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430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20032A (zh) * | 2022-06-28 | 2022-09-06 | 东莞市十星健康科技有限公司 | 一种导电硅胶制造工艺 |
KR20220123917A (ko) * | 2021-03-02 | 2022-09-13 | 원포올 주식회사 | 손목 상태 인식에 기반하는 저주파 자극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23057A (ko) * | 2005-09-05 | 2005-12-29 | 전언국 | 잇몸전용 저주파자극기 |
KR20080087962A (ko) | 2007-03-28 | 2008-10-02 | 주식회사 창조인텔 | 개인용 저주파 자극기 |
KR200452160Y1 (ko) | 2008-06-19 | 2011-02-08 | 유태우 | 휴대형 수지요법용 저주파 자극기 |
KR20180137787A (ko) * | 2017-06-19 | 2018-12-28 | 주식회사 티알상사 | 감기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91769A1 (en) * | 1994-07-07 | 1996-01-1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Voice circuit emulation system in a packet switching network |
-
2019
- 2019-05-10 KR KR1020190055081A patent/KR1022643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23057A (ko) * | 2005-09-05 | 2005-12-29 | 전언국 | 잇몸전용 저주파자극기 |
KR20080087962A (ko) | 2007-03-28 | 2008-10-02 | 주식회사 창조인텔 | 개인용 저주파 자극기 |
KR200452160Y1 (ko) | 2008-06-19 | 2011-02-08 | 유태우 | 휴대형 수지요법용 저주파 자극기 |
KR20180137787A (ko) * | 2017-06-19 | 2018-12-28 | 주식회사 티알상사 | 감기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3917A (ko) * | 2021-03-02 | 2022-09-13 | 원포올 주식회사 | 손목 상태 인식에 기반하는 저주파 자극 장치 |
CN115020032A (zh) * | 2022-06-28 | 2022-09-06 | 东莞市十星健康科技有限公司 | 一种导电硅胶制造工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4306B1 (ko) | 2021-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67484A (en) |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flex response of the muscles of a living body joint | |
CN107715296A (zh) | 生物体用电极以及带生物体用电极的穿戴物品 | |
ATE416818T1 (de) | Textilbasierte elektrode | |
CN109562256A (zh) | 用于将电流递送至身体的设备和用于治疗的相关方法 | |
KR102264306B1 (ko) |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 |
CN107596547A (zh) | 生物体用电极以及带生物体用电极的穿戴物品 | |
KR20200130608A (ko) |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 |
KR102357958B1 (ko) | 미세전류 자극 기반의 관절용 보호대 | |
KR20210048453A (ko) |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 |
AU2004311573A1 (en) | Heated garment system | |
CN206342003U (zh) | 一种具有石墨烯电发热织物的腰带 | |
WO2021137298A1 (ja) | 電気刺激衣類、電気刺激衣類用生地、電気刺激システム | |
KR102568158B1 (ko) | 편물 발열체를 포함하는 스마트 발열의복 | |
JP5969436B2 (ja) | 除電磁気健康パッド | |
KR101174312B1 (ko) |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전기 자극용 피복품 | |
JP2006141668A (ja) | 筋膜の活性化機能を有するサポータ | |
JP6052837B2 (ja) | 除電磁気健康パッド | |
CN211672516U (zh) | 肌肉用具有电刺激功能的服饰 | |
CN215739808U (zh) | 一种风湿免疫用关节护理装置 | |
CN211091940U (zh) | 可实现靶向锁定肌肉的压缩衣 | |
CN201749589U (zh) | 中风体征体验装置 | |
CN219050136U (zh) | 一种可穿戴装置 | |
CN201398484Y (zh) | 一种红外线抑菌保健服装 | |
CN210299653U (zh) | 一种加热式保暖手套 | |
CN201640462U (zh) | 抗电磁波健康内衣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