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453A -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 Google Patents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453A
KR20210048453A KR1020210037195A KR20210037195A KR20210048453A KR 20210048453 A KR20210048453 A KR 20210048453A KR 1020210037195 A KR1020210037195 A KR 1020210037195A KR 20210037195 A KR20210037195 A KR 20210037195A KR 20210048453 A KR20210048453 A KR 20210048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gings
low frequency
present
low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403B1 (ko
Inventor
최우혁
이화진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드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5508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30608A/ko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드제이 filed Critical (주)제이앤드제이
Priority to KR102021003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4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4Panti-hose; Body-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7/00Gaiters; Spats
    • A41D17/02Leggings, i.e. worn over lower body garments for protecting the garment undernea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와 하체의 피부 사이를 밀착시켜 유격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저주파 자극 장치에 의해 저주파가 발생시 패드와 하체의 피부 사이에 버닝(Burn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하체의 통증이 완화되도록 마사지할 수 있는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는, 레깅스; 및 상기 레깅스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LEGGINGS USING LOW FREQUENCY}
본 발명은 레깅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깅스는 팬티스타킹이나 타이츠와 비슷하지만 발 부분이 없어 바지처럼 입을 수 있는 하의로, 각선미를 도드라지게 보여줄 뿐 아니라 다양하게 겹쳐 입을 수 있고 활동성이 좋아 여성들에게 인기가 좋은 아이템이다.
레깅스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의복은 고대부터 입었던 다리싸개인 각반이다.
각반이 중세에 이르러 호즈(hose)로 발전하다가 길이가 계속 늘어나 레깅스 형태로 변화했는데, 당시에는 남성들이 입었던 옷이었다.
현대 들어서 스키복이나 수영복 등에 사용하던 고기능성 직물을 이용해 레깅스를 만들면서 여성을 비롯한 일반인들이 운동복으로 입기 시작했다.
체육관이나 댄스 연습실에서 주로 입던 레깅스는 길거리에서도 흔히 보이는 평상복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길이로 구분하면 발목을 덮거나 발목이 드러나는 발목 레깅스와, 발가락과 뒷꿈치가 드러나고 고리처럼 발바닥에 걸어 입는 고리 레깅스와, 무릎 아래 7 ~ 8 ㎝ 정도로 내려오는 7부 레깅스 등이 있다.
소재는 나일론, 인조가죽, 면, 니트, 기모 등 다양하다.
저지와 인조 실크의 개발은 신축성이 중요한 레깅스의 디자인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고, 이후로도 나일론이나 라텍스, 스판덱스, 폴리에스터 등 신축성이 좋은 소재가 연달아 개발되어 레깅스의 다양화에 크게 기여했다.
오늘날 레깅스는 스포츠웨어로서 기능적인 한 측면을 담당하는 것은 물론 날씬하고 균형잡힌 몸매를 보여주는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몸에 붙는 스트레치 청바지가 유행하기 시작하고, 이 유행이 다시 스키니 진으로 연결되면서 레깅스의 확산에 큰 영향을 주기도 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레깅스는 신축성이 뛰어난 소재의 원단을 바지 형태로 재단 후 봉제한 것으로, 착용시 하체를 전체적으로 조금씩 압박하여 하체를 얇고 돋보이게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레깅스를 착용시 마사지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신체, 즉 하체의 혈액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성 레깅스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레깅스의 선행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465104호(발명의 명칭: 기능성 레깅스)가 있다.
하지만 상술한 선행 기술은 레깅스에 지압 밴드가 봉제되어, 사용자가 레깅스를 착용시 혈액 순환을 돕는 기능을 제공할 뿐 통증이 있는 부위에 대한 마사지 효과나 저주파 자극 효과를 갖지 못한다.
따라서, 하체의 통증이 있는 부위에 대한 마사지 효과 또는 저주파 자극 효과를 갖기 위한 기능성 레깅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레깅스에 저주파 자극을 주기 위해 저주파 자극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주파 자극 장치가 장착되는 레깅스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PCB 판을 하이드로겔 패드에 부착하여 하체의 통증이 있는 특정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준다.
하지만, 하이드로겔 패드를 통증이 있는 하체의 피부에 부착할 경우, 끈적이는 하이드로겔의 특성상 피부에 이질감을 유발하고, 하이드로겔 패드와 피부 사이의 밀착도가 떨어져 유격이 발생함으로써 저주파 자극 장치에 의해 저주파가 발생시 하이드로겔 패드와 하체의 피부 사이에 버닝(Burning)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로 인해 하이드로겔 패드는 통상 15 회 ~ 20 회 정도 사용된 후 교체됨으로써,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65104호 (2014.11.25.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와 하체의 피부 사이를 밀착시켜 유격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저주파 자극 장치에 의해 저주파가 발생시 패드와 하체의 피부 사이에 버닝(Burn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하체의 통증이 완화되도록 마사지할 수 있는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는, 레깅스; 및 상기 레깅스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면의 전도성을 갖는 은사; 타면의 전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및 사방으로 스트레칭성을 갖는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상기 은사는, 나일론; 및 전도성을 갖도록 상기 나일론에 코팅되는 전도성 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저주파 발생 수단과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상기 랜딩 패드는, 전도성을 갖는 은사에 의해 상기 전도성 패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상기 은사는, 상기 랜딩 패드로부터 허리선을 따라 배꼽 영역; 상기 배꼽 영역으로부터 상기 레깅스의 전면을 따라 사타구니 영역; 및 상기 사타구니 영역으로부터 다리 내측을 따라 종아리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연장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은사는 폴리우레탄(PU) 원단에 의해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상기 은사는, 요철 형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와 레깅스의 피부 사이를 밀착시켜 유격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저주파 자극 장치에 의해 저주파가 발생시 패드와 레깅스의 피부 사이에 버닝(Burn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레깅스의 통증이 완화되도록 마사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전도성 패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다양한 형태의 저주파 발생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전도성 패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전도성 패드(100)는 일면의 전도성을 갖는 은사(110)와, 타면의 전도성을 갖는 실리콘(120) 또는 폴리우레탄과, 사방으로 스트레칭성을 갖는 스판덱스를 포함한다.
은사(110)는 전도성을 가진다.
이러한 은사(110)는 나일론과, 이러한 나일론을 코팅하는 전도성 은을 더 포함한다.
나일론은 1938년 미국 듀폰 사의 캐러더스(Wallace Hume Carothers, 1896~ 1937)가 발명한 가장 역사가 오래된 합성 섬유로, 폴리아미드 계에 포함된다. 나일론 실은 거미줄보다 가늘지만 잡아당기거나 마찰시켰을 때 다른 섬유에 비해 매우 강하다.
또한, 가볍고 물에 젖어도 강도 차이가 없으며, 탄력성이 매우 크고 천연 섬유와는 달리 좀과 같은 벌레로부터 해를 받지 않아 개발 초기에는 여성용 스타킹을 비롯하여 의복에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흡수성이 좋지 않고 마찰에 의해 정전기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어 특히 속옷으로는 부적합했다. 이런 단점을 꾸준히 개선하는 등 다양한 가공법으로 생활에서의 활용도를 더욱 확대해왔다.
나일론은 대표적인 합성 섬유로 일찍이 우리 생활 속의 여러 가지 필수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여성용 스타킹이지만 그 밖에도 의복 및 여러 용도의 나일론 줄을 비롯하여 요즘엔 아웃도어 용품의 재료, 건축 재료 등 생활 곳곳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은(Ag)은 원소기호 Ag, 원자번호 47, 원자량 107.868, 녹는 점 960.5℃, 비중 10.5이다. 자연 은으로서 유리 상태로 산출될 때도 있지만 주로 휘은광(Ag2S)으로 산출되며, 이 밖에 취은광(5Ag2S ·Sb₂2S₃3)·농홍은광(3Ag2S·Sb₂2S₃3)·담홍은광(3Ag2S·Ag₂2S₃3) 등으로 소량 존재한다. 은은 금속상으로 금과 합금 상태로만 산출되며, 그 밖에 납·구리·아연 등의 광물에 함유될 때가 많다.
은은 은백색의 광택을 띠며 금속 중 전기 및 열의 전도도가 가장 크고 전성·연성이 금 다음으로 크다. 황(S)과 염소(Cl)와는 작용하기 쉽고 공기 중에서는 표면에 황화물이 형성되어 흐려진다.
이러한 은은 금 또는 동과 마찬가지로 전도성을 가진다.
은사(110)는 이상 설명한 나일론과, 전도성을 갖도록 나일론에 코팅되는 전도성 은이 포함되어 형성된다.
실리콘(Silicone; 120)은 유체 수지 또는 탄성 중합체의 형태로 만들어진 실리콘 원소가 포함된 화학 중합체로 폴리실록산(Polysiloxane)이라고도 한다.
실리콘(120)은 조성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기물이지만 실리콘 분자는 유기 화합물의 특징적인 원소인 탄소가 골격 구조에 포함되는 대신, 규소 원자와 산소 원자가 교대로 있는 폴리실록산 사슬의 골격을 이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대개 실리콘에는 각 실리콘 원자에 보통 2개의 메틸(-CH3) 또는 페닐(-C6H5)의 유기 원자단이 각각의 규소 원자에 붙어 있다.
실리콘 유체는 열, 물 또는 산화제에 의한 분해에 대단히 안정적이며, 절연 효과가 뛰어난 전기 절연체이다. 실리콘은 유압 장치의 유체 성분과 유탁액 파괴 물질로 사용되며, 직물·종이와 그 밖의 많은 물질에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쓰인다. 실리콘 고무는 고무의 전기 절연성, 화학적 안정성과 넓은 온도 범위에서 탄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실리콘 수지는 보호 피복제, 전기 절연용 니스, 얇은 유리 섬유 직물 제조에 사용되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
이러한 실리콘(120)은 전기 절연성을 갖지만, 전도성 필러를 첨가함으로써, 실리콘(120)이 전도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실리콘(120) 대신에 전도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 패드(100)는 일면에 전도성을 갖는 은사(110)와, 타면에 전도성을 갖는 실리콘(120) 또는 폴리우레탄을 가진다.
한편, 스판덱스(Spandex)는 섬유 산업에서 가장 고부가 가치를 지닌 섬유로, '섬유의 반도체'로 불린다. 석유 화합물인 폴리우레탄이 주성분으로, 기존 고무줄에 비해 약 3배의 강도를 가진다. 원래 길이의 5 ~ 8배나 늘어날 수 있으며, 고무줄보다 가볍고 원래의 탄성을 유지하는 특성이 뛰어나다. 여성의 속옷이나 수영복, 스타킹, 유아용 종이 기저귀 등에 주로 사용되며 점점 그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1959년 미국 듀퐁사에 의해 상업화되어 1962년부터 본격 생산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에서는 1979년 태광산업이 일본의 도요보 사의 기술을 도입하여 대한민국 최초로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스판덱스는 신축성과 탄성이 좋아 고무 대용으로 쓰인다.
한편, 후술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1000)에서, 전도성 패드(100)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이 장착되는 랜딩 패드(300)와 연결된다.
또한, 랜딩 패드(300)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과, 후술하는 레깅스(4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레깅스(400)에 부착되는 패드로 스냅 단추 또는 스냅 자석 단추를 활용하여 저주파 기기를 고정시키게 된다.
2 채널 이상 품목인 경우 전도체와 연결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랜딩 패드(300)는 일면에 수스냅 형상의 제 1 결합부(310)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 1 결합부(310)는 후술하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의 암스냅 형상의 제 2 결합부(250)와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스냅이란, 일명 똑딱단추를 말하며,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맞물리게 되어 있다.
예컨대, 2개의 부재를 서로 결합해야 할 경우, 각각의 부재에 수스냅 형상의 제 1 결합부(310)와, 암스냅 형상의 제 2 결합부(250)를 각각 형성한 후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결합부(310)와, 제 2 결합부(250)는 랜딩 패드(300)와, 저주파 발생 수단(200)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의해 발생하는 자극 또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기능을 랜딩 패드(300)를 통해 전도성 패드(100)에 각각 전달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1000)는 전도성 패드(100)가 은사(110)와 실리콘(120)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리콘(120)은 인체에 무해하며, 인체의 피부와 밀착하는 정도가 매우 친밀하다.
원단에 얇게 코팅하여 피부와 가장 유사한 소재인 실리콘(120) 또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함으로써 저항 값을 최소화하고 패드 면에 고른 저주파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도성 패드(100)의 실리콘(120)과 피부 사이를 밀착시켜 유격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저주파 자극 장치에 의해 저주파가 발생시 패드와 피부 사이에 버닝(Burn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통증이 완화되도록 마사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다양한 형태의 저주파 발생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다.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약 3 ㎃의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PCB판으로 구성된다.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전도성 패드(100) 부위에 저주파를 흘려보내어 근육을 자극시키는 원리로 전도성 패드(100)의 범위에 따라 채널이 추가된다.
예를 들면, 복부 영역이 채널 1이고, 복부 영역 + 허벅지 영역이 채널 2이며, 복부 영역 + 허벅지 영역 + 종아리 영역이 채널 3이다.
또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오토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어 일정 시간 작동 후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는 원리이며, 주파수의 강도와 모드 조절은 버튼 또는 다이얼을 통해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상태 표시 램프(210)와, + 버튼(220)과, - 버튼(230)과, USB 충전 연결 단자(240)와, 제 2 결합부(250)를 포함한다.
상태 표시 램프(210)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이다.
일례로,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충분한 전원이 공급될 경우에는 램프의 색이 녹색으로 표시되고,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램프의 색이 적색으로 표시되며,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램프가 오프(Off)된다.
+ 버튼(220)과, - 버튼(230)은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서 발생시키는 저주파의 강도를 조절하는 버튼이다.
+ 버튼(220)을 누르면 저주파의 강도가 강해지고, - 버튼(230)을 누르면 저주파의 강도가 약해진다.
또한, + 버튼(220)을 길게 누르면 저주파 발생 수단(200)의 전원이 온(On)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USB 충전 연결 단자(240)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며, 암스냅 형상 제 2 결합부(250)는 랜딩 패드(300)의 수스냅 형상 제 1 결합부(130)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도 2의 저주파 발생 수단(200)과 동일하게 상태 표시 램프(210)와, + 버튼(220)과, - 버튼(230)과, USB 충전 연결 단자(240)와, 제 2 결합부(250)를 포함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도 2의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서는 전원을 온하기 위해 + 버튼(220)을 길게 누르지만, 도 3의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서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버튼(260)을 더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도 4의 저주파 발생 수단(200)과 동일하게 상태 표시 램프(210)와, + 버튼(220)과, - 버튼(230)과, USB 충전 연결 단자(240)와, 제 2 결합부(250)와, 온오프 버튼(260)을 포함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에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부 단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도 4의 저주파 발생 수단(200)과 동일하게 상태 표시 램프(210)와, + 버튼(220)과, - 버튼(230)과, USB 충전 연결 단자(미도시)와, 제 2 결합부(250)와, 온오프 버튼(미도시)을 포함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1000)는, 레깅스(400)와, 이 레깅스(400)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100)를 포함한다.
레깅스(400)는 심리스 방식으로 생산되는 의류로, 주로 나일론과 스판덱스, 또는 폴리에스터와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하여 편직된 신축성이 높은 하의 의류이다.
또한, 전도성 패드(100)는 사용자의 허리 영역과, 허벅지 영역과, 종아리 영역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저주파 발생 수단(200)으로부터 발생된 3채널의 저주파에 의해, 허리 영역과, 허벅지 영역과, 종아리 영역에 각각 마사지 효과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전도성 패드(100)는 상술한 영역에만 장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주파 마사지 효과를 갖기 위해 하체의 다양한 영역에도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전도성 패드(100)는 랜딩 패드(300)와 전도성을 갖는 은사(110)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전도성 패드(100)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이 장착되는 랜딩 패드(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저주파 발생 수단(200)은 랜딩 패드(300)에 연결되며, 랜딩 패드(300)는 은사(110)에 의해 전도성 패드(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에 의해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의해 발생하는 자극 또는 저주파 발생 수단(200)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기능을 전도성 패드(100)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1000)는, 랜딩 패드(300)로부터 허리선을 따라 배꼽 영역과, 배꼽 영역으로부터 레깅스(400)의 전면을 따라 사타구니 영역과, 사타구니 영역으로부터 다리 내측을 따라 종아리 영역까지 봉제선을 따라 은사(110)가 위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심리스(Seamless)란 연결되어 겹쳐지는 부분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심리스 방식이 적용된 레깅스(400)는 봉제선이 최소화되고, 겹쳐진 봉제선이 없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심리스 방식이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1000)는 봉제선이 배꼽 영역으로부터 레깅스(400)의 전면을 따라 사타구니 영역과, 사타구니 영역으로부터 다리 내측을 따라 종아리 영역까지만 최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선은 인체에 무해한 전도성 은사(110) 또는 안전 피복을 입힌 구리선을 배선하고 폴리 우레탄(410) 등으로 덧대어 레깅스에 접착한다.
따라서, 은사(110)는 봉제선을 따라 연결됨으로써 심리스 방식이 적용된 레깅스(400)에 추가 봉제선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제선을 따라 위치한 은사(110)는 폴리우레탄(410) 원단에 의해 마감처리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1000)에서, 은사(110)는 봉제선을 따라 위치시 요철 형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은사(110)가 탄성을 갖지 않기 때문이며, 사용자가 레깅스(400)를 착용하고, 저주파에 의한 자극을 받을시 레깅스(400)는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은 레깅스(400)의 팽창시 은사(110)가 절단되거나 전기적 연결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은사(110)는 봉제선을 따라 요철 형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1000)는 전도성 패드와 레깅스의 피부 사이를 밀착시켜 유격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저주파 자극 장치에 의해 저주파가 발생시 패드와 레깅스의 피부 사이에 버닝(Burn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레깅스의 통증이 완화되도록 마사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전도성 패드
110 : 은사
120 : 실리콘
200 : 저주파 발생 수단
210 : 상태 표시 램프
220 : + 버튼
230 : - 버튼
240 : USB 충전 연결 단자
250 : 제 2 결합부
260 : 온오프 버튼
300 : 랜딩 패드
400 : 레깅스
1000 :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Claims (8)

  1. 레깅스; 및
    상기 레깅스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패드는,
    일면의 전도성을 갖는 은사; 및
    타면의 전도성을 갖는 실리콘;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패드의 상기 실리콘과 피부 사이를 밀착시켜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사방으로 스트레칭성을 갖는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은사는,
    나일론; 및
    전도성을 갖도록 상기 나일론에 코팅되는 전도성 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저주파 발생 수단과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패드는,
    전도성을 갖는 은사에 의해 상기 전도성 패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은사는,
    상기 랜딩 패드로부터 허리선을 따라 배꼽 영역;
    상기 배꼽 영역으로부터 상기 레깅스의 전면을 따라 사타구니 영역; 및
    상기 사타구니 영역으로부터 다리 내측을 따라 종아리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연장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타구니 영역으로부터 다리 내측을 따라 종아리 영역에 위치하는 은사는 폴리우레탄(PU) 원단에 의해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은사는,
    요철 형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KR1020210037195A 2019-05-10 2021-03-23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KR102351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195A KR102351403B1 (ko) 2019-05-10 2021-03-23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80A KR20200130608A (ko) 2019-05-10 2019-05-10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KR1020210037195A KR102351403B1 (ko) 2019-05-10 2021-03-23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080A Division KR20200130608A (ko) 2019-05-10 2019-05-10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453A true KR20210048453A (ko) 2021-05-03
KR102351403B1 KR102351403B1 (ko) 2022-01-20

Family

ID=8005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195A KR102351403B1 (ko) 2019-05-10 2021-03-23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425A (ko) 2021-10-18 2023-04-26 김혜진 다이어트 레깅스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874A (ko) *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은합연사와 이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104B1 (ko) 2011-10-25 2014-11-25 박희진 기능성 레깅스
KR20160090114A (ko) * 2015-01-21 2016-07-29 김정순 운동량 극대화 의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874A (ko) *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은합연사와 이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104B1 (ko) 2011-10-25 2014-11-25 박희진 기능성 레깅스
KR20160090114A (ko) * 2015-01-21 2016-07-29 김정순 운동량 극대화 의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425A (ko) 2021-10-18 2023-04-26 김혜진 다이어트 레깅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403B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0608A (ko)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KR102351403B1 (ko) 저주파를 이용한 레깅스
Voyce et al. Elastic textiles
RU2300583C2 (ru) Ткань для создания барьерного эффекта против магнитных и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полей и/или металлотерапевтических эффектов
WO2012039835A1 (en) Lower body garment and methods
GR1009117B (el) Ενδυματα εφαπτομενα στο δερμα παραγομενα απο υφασμα επικαλυμμενο απο συνθετο υλικο που βασιζεται σε οξειδια μεταλλων και ανοργανο υλικο
JP5907451B2 (ja) 本来の機能とその外観が異なるストッキング、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等の靴下類の製造方法
KR20180003650U (ko) 인체 동맥·정맥이 지나가는 특정 부위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체를 설치한 신체 밴드
KR200385129Y1 (ko) 스타킹이 일체로 형성된 운동용 반바지
JP6603057B2 (ja) インナー・ウェア
KR102264306B1 (ko) 저주파를 이용한 보호대
KR100989828B1 (ko) 피부흉터 커버와 대리문신을 갖는 기능성 착용의류
GB2378891A (en) Quarter foot mitten
KR200481570Y1 (ko) 태피스트리 자카드 직조법을 이용한 기능성 양말
JP3044071U (ja) タイツ類
JP2016196724A (ja) 爪先伸縮ソックス
CN205358251U (zh) 抗静电袜
TWM583305U (zh) 導電布料結構
CN215913327U (zh) 一种抗菌抗病毒裤袜
JP3093518U (ja) 肌に接触させるニット製装身具または被服
CN215603226U (zh) 一种塑身保暖连裤袜
US20240008563A1 (en) Legwear item for massaging and compressing
CN211091913U (zh) 一种拼接的组合式袜子
CN2511151Y (zh) 束身弹性结构健美棉裤
CN210353227U (zh) 一种速干抗静电瑜伽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