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195A -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195A
KR20200130195A KR1020200128410A KR20200128410A KR20200130195A KR 20200130195 A KR20200130195 A KR 20200130195A KR 1020200128410 A KR1020200128410 A KR 1020200128410A KR 20200128410 A KR20200128410 A KR 20200128410A KR 20200130195 A KR20200130195 A KR 20200130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actice
information
instructor
training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남
신승용
이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타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타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타랩
Priority to KR102020012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0195A/ko
Publication of KR2020013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195A/ko
Priority to KR1020210122809A priority patent/KR102400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PC,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실습 교육, 예시로 보건의료교육 부문에서 이론, 실습정보 기록, 및 교수자 평가, UBT/SBT 시험 및 채점의 학습자/실습자 별 학습이력관리와 교수자와 학습자/실습자 간 메신저를 사용한 P2P 커뮤니케이션, U-포트폴리오 시스템 상에서 개별 학생의 실습관리, 수행평가 점수, 지표를 제공하며,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실습 개설하기에 의해 실습을 개설하고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실습 대상자들을 공지하며,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실습 담당 교수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학습자/실습자가 작성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고 즉시 사용자 단말들로 전송되는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응급조치, 처방), 교수자의 평가, UBT/SBT 시험 및 채점, 행정관리 측면에서 각 학생과 교수자의 상호 학습, 학습자/실습자의 실습이력과 교수자의 평가이력/지도 이력을 제공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인공 지능과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사용한 클라우드 실습교육 관리 서비스(U-Portfolio)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Ubiquitous-based training education portfolio system for managing learning activiti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C/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유무선 및 오프라인/온라인을 통해 실습교육, 예시로 보건의료교육부문에서 이론, 실습 및 평가, UBT/SBT 시험과 채점 등의 학습이력관리와 교수자와 학습자간 메신저를 사용한 Peer-to-Peer 커뮤니케이션, U-포트폴리오 시스템 상에서 실습 대상인 개별 학습자/실습자(학생)의 실습기록 관리, 학습자/실습자별 실습이력관리, 수행평가 점수, 지표를 제공하며, 실습 현장 또는 보건의료 현장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실습자가 제공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 등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응급조치, 처방), 평가지를 사용한 평가, UBT/SBT 시험 및 채점, 행정관리 측면에서 각 학생과 교수자의 상호 학습, 학습자/실습자의 실습이력과 교수자의 평가이력/지도 이력을 종합하여 제공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현대 보건의료교육 현장은 이론 교육과 실습 교육, 그리고 교수자의 개별지도를 기본 교육 방법을 채택하고 있고, 이를 위해 교육과정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실습교육 시, 많은 케이스를 학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바쁜 스케줄에 의한 일정 불일치의 문제로 현장 교육의 적시성이 떨어지며, 개별 학생의 현장 교육 이력과 교수자의 지도 현황이 실시간으로 관리되지 않아 교육 관리의 품질 유지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미국 등의 선진 보건의료교육은 학생이 자신의 수업 이력을 직접 웹(Web)에 접속하여 등록, 관리, 보관하여 이력화하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개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한국은 이를 그대로 도입하여 사용하기가 현장 교육 환경의 한계와 구조적 차이로 아직 시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마저도 학교에 의한 교육이력 관리와 개인에 의한 학습이력 관리의 명확한 경계가 모호하여 이를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도제형 교육 방식에 의해 보건의료 교육에서는, 바쁜 교수자, 교수자의 태도와 역량에 따라 교육 효과의 차이가 존재한다. 또한, 실습 스케줄이 유동적이라 균등한 실습 기회를 제공하기가 불가능하고, 이로 말미암아 자기주도적 실습 교육 수행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습교육 항목을 모두 이수하지 못하거나, 형식적으로 이수하고 보건의료 현장으로 이관되는 학생도 있다.
그러나, 교육의 주관기관, 예를 들면 의과대학교와 실습 담당 기관, 병원 간 행정 및 교육관리 주체의 불일치에 의해 학습관리의 효율이 떨어지고, 행정적 지원이 어렵다. 그러므로, 각 기관의 행정지원 인력이 중복으로 해당 학생의 이력을 관리해야 하고, 해당 이력의 입력 및 관리과정에서 누락과 불필요한 단순 반복업무가 지속되어 학생과 교육기관간 교육의 이력 관리를 통해 학습 효과 증대로의 선순환이 아닌 단순 기록, 대학평가시 교육 이력 내역을 제출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써, 특허 공개번호 10-2011-0111736에서는 의료 및 보건 인력의 교육을 위한 웹기반 교육 콘텐츠 표현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의료 및 보건 인력의 교육을 위한 웹기반 교육 콘텐츠 표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b는 1a의 화면제어부에 의해 동영상 파일과 강의 노트 파일의 출력 위치가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화면이다. 도 1c는 의료 및 보건 인력의 교육을 위한 웹기반 교육 콘텐츠 표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교육진행부(110)는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은 명령에 대응하는 교육 콘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 화면구성부(120)는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 내용을 선택하면, 콘텐츠 출력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화면을 구성한다. 화면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학습자로부터 출력위치변경명령이 입력되면, 분할된 영역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출력위치를 변경한다. 교수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교육 내용과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료를 원하는 시점과 형태로 열람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교육진행부(110)는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은 명령에 대응하는 교육 콘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S400). 만약 학습자가 메뉴 화면에서 학습자료실을 선택한 후 원하는 학습 내용을 선택하면(S410), 화면구성부(120)는 콘텐츠 출력 영역을 3개의 영역(210, 220, 230)으로 분할하고, 제1영역(210)에는 강의 동영상을, 제2영역(220)에는 강의에 대한 강의 노트를, 그리고 제3영역(230)에는 강의에 대한 강의노트 목록을 출력하도록 화면을 구성한다(S420). 이와 달리 학습자가 메뉴 화면에서 다른 메뉴를 선택하면(S410), 교육진행부(110)는 그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S430).
또한, 학습자가 메뉴 화면에서 학습자료실을 선택한 후 원하는 학습 내용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학습 콘텐츠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화면제어부(130)는 학습자의 입력을 감시한다(S440). 만약 학습자의 입력이 "전체화면"이면(S450), 화면제어부(130)는 동영상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460). 이와 달리 학습자의 입력이 "출력위치변경"이면(S450), 화면제어부(130)는 동영상 파일과 강의 노트 파일의 출력 위치를 서로 변경한다(S470). 이와 같은 화면구성부(120)에 의한 화면구성동작과 화면제어부(130)에 의한 화면제어 동작은 학습자에 의해 학습이 종료될 때까지 유지된다(S480).
그러므로, 이론교육, 병원 등 현장에서의 실습교육을 학생 스스로 관리하는 방법론 그리고 이를 지원해주는 시스템, 교수자 및 교육자가 학생의 학습을 지도하는 방법론과 시스템, 그리고 행정직원 및 의료보건교육 행정가가 해당 정보를 활용하고 정형화하여 보관, 관리, 차후 정보 이관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고, 해당 시스템은 현장 의료교육환경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실제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현되어야 함에 따라 실제 병원 현장 환경을 고려하여 단일 웹(Web)이나 단일 모바일(Mobile) 환경을 아우른 PC, 스마트폰, 태블릿으로 유무선 환경 및 오프라인/온라인 다중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포트폴리오 시스템(U-Portfolio)이 필요하며, 이를 현장에서 운용하는 전반에 걸친 방법론이 필요하다.
특허 공개번호 10-2011-0111736 (공개일자 2011년 10월 12일), "의료 및 보건 인력의 교육을 위한 웹기반 교육 콘텐츠 표현 장치 및 방법", 주식회사 이디스넷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PC,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유무선 및 오프라인/온라인을 통해 보건의료교육 및 실습 교육 부문에서 이론, 실습 및 평가, UBT/SBT 시험과 채점 등의 실습 정보 기록, 학습자/실습자의 학습이력관리와 교수자와 학습자간 메신저를 사용한 Peer-to-Peer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U-포트폴리오 시스템 상에서 실습 대상인 개별 학생, 학습자/실습자의 실습관리, 학습자/실습자별 실습이력관리, 수행평가 점수, 지표를 제공하며,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실습자가 제시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 등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응급조치, 처방), 평가, UBT/SBT 시험 및 채점, 행정관리 측면에서 각 학생과 교수자의 상호 학습, 학습자/실습자의 실습이력과 교수자의 평가이력/지도 이력을 종합하여 제공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U-Portfolio 시스템은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보건의료교육 및 실습 교육 현장에서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실습교육 내용 기록 작성, 실습 담당 교수자로부터 피드백과 평가, 및 실습 현장에서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feedback)을 받는 실습 교육 및 평가 솔루션으로써, PC, 태블릿PC, 스마트폰(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기반 보건의료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를 제공하며, 의과대학/치과대학/간호 대학/보건의료대학의 보건의료교육 현장 실습에서 학사일정과 캘린더, 커리큘럼에 따라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My 정보 관리, 학습자/실습자별 실습기록 관리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 교수자의 평가 정보, 실습별 환자의 임상 표현 - 외래 예진, 입원 환자/응급 환자 의무 기록, 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 바탕 학습) -, 임상 술기, 성찰 정보, 실습 평가, UBT/SBT 시험 및 채점 정보,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규정된 실습 기록지와 각 평가지/피드백 양식을 제공하는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 및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와 동기화되어 연결되고,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를 위한 실습 관련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 U-포트폴리오 App과 메신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사용하고,
상기 실습 기록지는 실습 교육이 보건의료교육의 경우 일일/주간/최종 성찰/예진/입원환자/PBL(문제바탕학습)/기본 임상술기/관찰 임상술기 실습 기록지를 포함하며,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실습 담당 교수자에 의해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학습자/실습자가 제공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메인 서버의 그룹 통신(group communication) 1:N 통신 SW 기술을 사용하여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에 multi-thread의 동시성 제어에 의해 학습자/실습자의 사용자 단말들로 multicasting 기술을 통해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며, 실습 마다 즉각적인 교수자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교수자 피드백 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제어부와 연결되며, 실습 관련 보건의료 실습/학습 컨텐츠로 제작된 VR/AR 콘텐츠 또는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하는 3D 렌더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가 실습 평가부에 의해 개설된 실습에 대하여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기록 정보, 증례 발표 정보와 교수자의 평가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에 저장하며,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을 상기 메인 서버에 기록 관리하며,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통계 관리부에 의해 개인별 학습자/실습자의 실습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교수자의 평가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실습 관련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습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360도 다면평가를 지원하고, 막대 그래프, 파이차트로 그래픽하고 비쥬얼하게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 사용자 인증 단계; 의과대학/치과대학/간호 대학/보건의료대학의 보건의료교육 현장 실습을 위해 실습 기관의 학사 일정 및 캘린더를 제공하고, 학습자/실습자 정보, 실습 개설하기에 의해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실습 담당 교수자, 실습 대상자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실습 정보 기록 관리부에 의해 실습 기록지와 평가지 및 피드백 양식을 제공하며, 실습 개설 후,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과 실습 교수자 정보, 실습 대상자 정보들이 메인 서버에 저장되어 공지되며, 실습시에 학습자/실습자별로 실습 기록지에 기록하여 상기 메인 서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부와 연결된 3D 렌더러에 의해 실습 관련 보건의료 실습/학습 컨텐츠로 제작된 VR/AR 콘텐츠 또는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하거나 실습 관련 학습 동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임상 표현부에 의해 외래 예진, 입원 환자에 대하여 의무 기록과 PBL(문제 바탕 학습)과 임상 실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임상 술기부에 의해 환자에 대하여 기본 임상술기, 관찰 임상술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성찰부에 의해 학습자/실습자의 성찰 정보, 교수자의 성찰 정보를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는 교수자 피드백 정보부에 의해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실습 담당 교수자에 의해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학습자/실습자가 제공한 현장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메인 서버의 그룹 통신(group communication) 1:N 통신 SW 기술을 사용하여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에 multi-thread의 동시성 제어에 의해 학습자/실습자의 사용자 단말들로 multicasting 기술을 통해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며, 실습 마다 즉각적인 교수자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교수자 피드백 정보 제공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실습 평가부에 의해 개설된 실습에 대하여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평가 정보를 메인 서버에 저장하며,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을 상기 메인 서버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서는 상기 메인 서버가 통계 관리부에 의해 개인별 학습자/실습자의 실습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교수자의 평가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실습 관련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습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360도 다면평가를 지원하고, 막대 그래프, 파이차트로 그래픽하고 비쥬얼하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 U-포트폴리오 App과 메신저가 구비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사용하고,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상기 메인 서버와 동기화되어 연결되며,
상기 실습 기록지는 실습 교육이 보건의료교육의 경우 일일/주간/최종 성찰/예진/입원환자/PBL(문제바탕학습)/기본 임상술기/관찰 임상술기 실습 기록지를 포함하고,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제어부와 연결되며, 실습 관련 보건의료 실습/학습 컨텐츠로 제작된 VR/AR 콘텐츠 또는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하는 3D 렌더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실습 평가부에 의해 개설된 실습에 대하여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기록 정보, 증례 발표 정보와 교수자의 평가 정보를 저장하며,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을 기록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은 PC,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유무선 및 오프라인/온라인을 통해 실습 교육, 예시로 보건의료교육 부문에서 이론, 실습 및 평가, 시험 등의 학습이력관리와 교수자와 학습자간 메신저를 사용한 Peer-to-Peer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U-포트폴리오 시스템 상에서 실습 대상인 개별 학생, 학습자/실습자의 실습관리, 학습자/실습자별 실습이력관리, 수행평가 점수, 지표를 제공하며,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실습자가 제시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 등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응급조치, 처방), 평가, UBT/SBT 시험 및 채점, 행정관리 측면에서 각 학생과 교수자의 상호 학습, 학생의 실습이력과 교수자의 평가이력/지도 이력을 종합하여 제공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넷 단선시에, 온라인/오프라인 지원을 위해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태블릿PC, PC/노트북)에 설치된 U-포트폴리오 APP은 모든 연결이 끊긴 경우, 사용자 단말의 자체 저장소에 해당 실습의 실습 정보 기록정보와 학습이력정보/실습이력정보를 가지고 있다가 LAN 또는 WAN 연결시 해당 정보들을 상기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170)와 동기화되고, 상기 릴레이 서버(170)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100)로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메인 서버(100)와 동기화하여 해당 실습의 실습 정보 기록정보와 학습이력정보/실습이력정보를 저장하여 사용되며,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인공 지능과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사용한 클라우드 실습교육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U-Portfolio 시스템은 학습자/실습자가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교육 내용 작성, 교수자로부터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이 제공되며, 실습 기록지에 기록, 교수자의 피드백, 교수자의 평가(평가지에 기록), 및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실습 담당 교수자는 메인 서버의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을 통해 학습자/실습자가 제공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 등을 통해 교수자가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고,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Feedback) 정보를 수신받는 실습 교육 및 평가 솔루션으로써 실습 관련 SBT 시험과 채점, PC, 태블릿PC, 스마트폰(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 가능하다.
도 1a는 종래의 의료 및 보건 인력의 교육을 위한 웹기반 교육 콘텐츠 표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b는 1a의 화면제어부에 의해 동영상 파일과 강의 노트 파일의 출력 위치가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화면이다.
도 1c는 의료 및 보건 인력의 교육을 위한 웹기반 교육 콘텐츠 표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를 사용한 유비쿼터스 기반 보건의료교육 U-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에서 보건의료 분야 학생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 의료기관, 병원 등의 실습 현장에서 즉각적인 교수자 현장 피드백(응급 조치, 처방) 화면이다.
도 2b는 의과대학은 예과 2학년 본과 4학년 과정을 구비하며, 의사의 경우, 의과대학 본과 3,4 학년에 임상 실습 과정을 거치며, 의사 국가고시 후 인턴(1년 수련의 과정) 과정을 거치며, 그 후 전공의 시험 후 4년의 레지던트(4년 전공의 과정) 과정을 마친 후, 전문의 시험을 통과하면 비로소 전문의 자격이 부여됨-고객 Needs를 보인 도면이다.
도 2c는 실습 기록지/평가지/피드백 양식, 실습 커리큘럼의 표준화, 불특정 환자 사례/병원 실습 스케쥴에 따른 실습 이력관리, 교수 현장 피드백과 성찰을 통한 셀프 피드백 강화-고객 Needs를 보인 도면이다.
도 3a 임상실습 보고서/주간 계획표/주간 평가표/수행 실적보고서 레이아웃, 도 3b는 태블릿 PC/스마트폰/PC를 사용한 임상실습 보고서 등의 임상실습 교육 과정에서 최적화 된 U-포트폴리오 사용자 프로토타입 개발 화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 보건의료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 보건의료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학교 관리자[학생/교수 정보 등록, 실습 스케쥴 등록, 학생 실습 피드백 이력 모니터링, 학생의 실습이력관리, 교수의 실습 평가 관리], 학생[실습 계획(일/주/월), 실습 정보 기록 및 관리, 환자 관리-성찰], 실습 담당 교수[실습 관리 및 실습 피드백, 환자관리-성찰, 평가, 일정 관리, 시험]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임상 실습을 위한 시스템 메뉴[My 메뉴, 실습 계획과 성찰, 임상 표현, 임상 술기, 평가, 시험관리] 구성도이다.
도 7a, 7b, 및 도 7c는 대학병원, 의과대학,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유비쿼터스 기반 보건의료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8a는 주요 화면 및 고객 시나리오 1) 예진, 도 8b는 2) 술기, 도 8c는 주요 화면- 3) 입원 환자 의무기록지, 도 8d는 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 바탕 학습), 증례발표, 도 8e는 Self 피드백, 도 8f는 교수자 평가- 편의성 강화 화면이다.
도 9는 학생[PC용 서비스, 모바일용 서비스(SNAPPS, 증례발표 등), 태블릿 PC 전용 서비스(예진 등)], 교수[PC용 서비스, 모바일용 서비스(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 바탕 학습), 일정관리 등)], 행정 관리자[PC용 서비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국내 의과 대학/치과 대학, 보건의료 대학, 국내 일반 대학, 글로벌 마케팅 목표 시장을 보인 그림이다.
도 11은 유비쿼터스 기반 U-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의 판매 전략을 보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은 PC/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유무선 및 오프라인/온라인을 통해 실습 교육- 예를들면, 보건의료교육 부문에서 - 보건의료기관(병원), 교육기관(의과대학)의 학사/인턴/레지던트의 학사일정과 커리큘럼에 따라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을 공지하고, 이론, 실습 정보 기록, 교수자의 평가, UBT(Ubiquitous Based Test)/SBT(Smart device Based Test) 시험 및 채점 등의 학습자/실습자의 학습이력관리와 교수자와 학습자/실습자들이 메신저를 사용한 Peer-to-Peer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U-포트폴리오 시스템 상에서 개별 학생의 실습관리, 수행평가 점수, 지표를 제공하며,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교수자는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태블릿 PC)를 사용하여 U-Portfolio 시스템의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메인 서버의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을 통해 학습자/실습자가 제시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교수자의 음성 녹음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응급조치, 처방), 시험 및 평가, 행정관리 측면에서 각 학습자/실습자와 교수자의 상호 학습, 학생의 실습이력과 교수자의 평가이력/지도 이력을 종합하여 PC(Web), 스마트폰(Mobile),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인공 지능과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사용한 클라우드 실습교육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예를들면, 보건의료교육의 경우 의과대학/병원 특화 실습 교육관리 시스템 인 U-포트폴리오 서비스(U-Portfolio Service)를 제공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U-Portfolio 시스템은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실습 교육 현장에서 실습 교육 내용 기록 작성, 교수자로부터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실습 대상자를 공지받고, 이론, 실습, 평가, 및 실습 현장에서 예를들면, 보건의료 현장에서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Feedback)을 받는 실습 교육 및 평가 솔루션으로써, PC, 태블릿PC, 스마트폰(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 이용 가능하다.
또한,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은 의과대학/치과대학/약학 대학/간호 대학/보건의료대학, 일반 대학의 물리치료과의 보건의료교육 부문에서 임상 실습에 적용이 가능하며, 사범 대학/자동차 공학과 실습 위주로 이루어지는 학과에 적용이 가능하며,
실시예에서는, 실습 교육은 예를들면, 보건의료교육 부문에서 의과대학/병원 특화 실습 교육관리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실습 위주의 다른 실습교육 부문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의과대학용 U-포트폴리오 서비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PC를 사용한 유비쿼터스 기반 보건의료교육 U-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에서 보건의료 분야 학생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 의료기관, 병원 등의 실습 현장에서 즉각적인 교수자 현장 피드백(환자별 의료 응급조치, 처방, 간호/응급구조) 화면이다.
○ 의과대학 특화 실습 교육 관리 시스템 U-포트폴리오
- U-Portfolio 서비스는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실습 교육 현장에서 교육 내용 실습 기록지에 작성, 교수자로부터의 평가와 교수자의 Feedback을 받는 실습 교육 ?? 평가 솔루션으로 PC, 태블릿PC, 모바일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 이용 가능하다.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SBT(Smart device Based Test) 추진 : 2017년 1급 응급구조사 자격증 시험 내 도입 확정, 2020년 내 방사선사 시험, 치기공사 시험, 간호사 시험, 의사 면허 시험, 전공의 시험, 전문의 시험 도입 예정
도 2b는 의과대학은 예과 2학년 본과 4학년 과정을 구비하며, 의사의 경우, 의과대학 본과 3,4 학년에 임상 실습 과정을 거치며, 의사 국가고시 후 인턴(1년 수련의 과정) 과정을 거치며, 그 후 전공의 시험 후 4년의 레지던트(4년 전공의 과정) 과정을 마친 후, 전문의 시험을 통과하면 비로소 전문의 자격이 부여됨-고객 Needs를 보인 도면이다.
도 2c는 실습 기록지/평가지/피드백 양식, 실습 커리큘럼의 표준화, 불특정 환자 사례/병원 실습 스케쥴에 따른 실습 이력관리, 교수 현장 피드백과 성찰을 통한 셀프 피드백 강화-고객 Needs를 보인 도면이다.
○ 평가 항목이 제한적인 종이 시험의 한계를 극복하고, 임상 수행능력 평가기능을 더욱 강화한 텍스트, 이미지, 음성, 동영상, 보건의료용 VR 또는 애니메이션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문항을 시험에 활용
○ 문제 해결 능력 중심의 교육 환경 및 실습 교육 환경의 변화 필요성 제기
○ 의과대학 전용 학사 커리큘럼[학사 일정, 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 바탕 학습), 실습 교육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통합 성취도 관리 및 학사 운영의 효율성 제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 구성도이다.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인공 지능과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사용한 클라우드 실습교육 관리 서비스(U-Portfolio)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예, 보건의료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서비스를 제공하며, 보건의료교육 현장 실습을 위해 의과대학/치과대학/간호대학/보건의료대학/일반 대학 물리치료학과의 학사일정과 캘린더, 커리큘럼에 따라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My 정보 관리[실습 스케쥴(캘린더 연동), 자기소개서(Portfolio), 내 정보 관리, 해야 할 일(To do list)], 학습자/실습자별 실습기록 관리,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 교수자의 평가 정보, 실습별 환자의 임상 표현[외래 예진, 입원 환자/응급 환자 의무 기록, 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 바탕 학습)], 임상 술기(기본 임상 술기, 관찰 임상 술기), 성찰 정보(일일/주간/월 전체-환자 안전), 실습 평가, UBT(Ubiquitous Based Test)/SBT(Smart device Based Test) 시험 및 채점 정보,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표준화된/규정된 실습 기록지(일일/주간/최종 성찰/예진/입원환자/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바탕학습)/기본 임상술기/관찰 임상술기 실습 기록지 등)와 표준화 된/규정된 각 평가지/피드백 양식을 제공하는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와 동기화되고, 유비쿼터스 기반 보건의료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를 위한 실습 관련 정보들이 송수신되어 저장되며, 학생, 교수자, 행정 직원들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200), U-포트폴리오 App과 메신저를 구비하며 Wi-Fi 통신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300) 또는 태블릿 PC(310)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를 사용하고, 유무선 통신망(LAN/WAN, Wi-Fi, LTE-A)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에 접속되며,
상기 실습 기록지는 실습 교육이 보건의료교육의 경우 일일/주간/최종 성찰/예진/입원환자/PBL(문제바탕학습)/기본 임상술기/관찰 임상술기 실습 기록지를 포함하며,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실습 담당 교수자에 의해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학습자/실습자가 제공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메인 서버의 그룹 통신(group communication) 1:N 통신 SW 기술을 사용하여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에 multi-thread의 동시성 제어에 의해 학습자/실습자의 사용자 단말들로 multicasting 기술을 통해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며, 실습 마다 즉각적인 교수자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교수자 피드백 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실습 관련 보건의료 실습/학습 컨텐츠로 제작된 VR/AR 콘텐츠 또는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하는 3D 렌더러(1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가 실습 평가부(116)에 의해 개설된 실습에 대하여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기록 정보, 증례 발표 정보와 교수자의 평가 정보를 메인 서버(100)에 저장하며,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을 상기 메인 서버(100)에 기록 관리하며,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통계 관리부에 의해 개인별 학습자/실습자의 실습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교수자의 평가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실습 관련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습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360도 다면평가를 지원하고, 막대 그래프, 파이차트로 그래픽하고 비쥬얼하게 출력한다.
또한,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와 동기화되고, 국소 지역에 설치된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170)를 더 포함하며, 인터넷 단선시에 온라인/오프라인 지원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U-포트폴리오 App은 모든 연결이 끊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자체 저장소에 해당 실습의 실습 정보 기록정보와 학습이력정보/실습이력정보를 가지고 있다가 LAN 또는 WAN 연결시 해당 정보들을 상기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와 동기화되고, 상기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170)를 통해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로 동기화되어 해당 실습의 실습 정보 기록정보와 학습이력정보/실습이력정보를 저장한다.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실습 담당 교수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학습자/실습자가 제공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즉시 실습에 참가한 IP 주소가 할당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300,310)로 전송되는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응급조치, 처방), 메인 서버의 교수자의 평가 정보 저장 관리, UBT/SBT(Smart device Based Test) 시험 및 채점과 성적관리, 행정관리 측면에서 각 학생과 교수자의 상호 학습,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지도 이력을 종합하여 제공한다.
상기 메인 서버(100)가 실습 평가부에 의해 개설된 실습에 대하여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평가 정보를 메인 서버에 저장하며,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을 상기 메인 서버에 기록 관리하며,
또한,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와 동기화되고, 특정 지역의 국소 지역에 설치된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170)를 더 포함하며,
인터넷 단선시에, 온라인/오프라인 지원을 위해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태블릿PC, PC/노트북)에 설치된 U-포트폴리오 App은 모든 연결이 끊긴 경우, 사용자 단말의 자체 저장소에 해당 실습의 실습 정보 기록정보와 학습이력정보/실습이력정보를 가지고 있다가 LAN 또는 WAN 연결시 해당 정보들을 상기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170)와 동기화되고, 상기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170)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100)로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메인 서버(100)와 동기화하여 해당 실습의 실습 정보 기록정보와 학습이력정보/실습이력정보를 저장하여 사용되며, 스마트 기기와 인공 지능과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사용한 클라우드 실습교육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보건의료기관과 교육 기관은 병원과 의과대학에 적용하고, 의과대학 본과3,4학년 학생/인턴/수련의/전공의/전문의가 실습 담당 교수의 주관하에 병원의 입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보건 의료 실습을 예시로 적용하였으며, 사용자 단말은 PC(200), U-포트폴리오 App과 메신저와 LAN 연결부 또는 Wi-Fi 통신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300) 또는 태블릿 PC(310)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은 전용 태블릿 PC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습 예시는 보건의료교육 부문,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실습은 의과대학/치과대학/간호대학/보건의료대학/일반 대학 물리치료학과의 학사일정과 캘린더, 커리큘럼에 따라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보건의료 실습, 임상 실험, 현장 실습 등에 여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WWW 서버(101); U-포트폴리오 서비스를 위해 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02); U-포트폴리오 서비스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103); ID/Passwd 방식 또는 학번/Passwd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104); 해당 보건의료기관과 교육기관의 학사 일정과 캘린더 정보를 제공하는 학사 일정 및 캘린더(105); 실습 대상자로 지정된 휴학생이 아닌 해당 학기 등록금을 납입한 학생 또는 실습자/학습자 정보를 등록하는 학생 정보 등록부(106); 실습 담당 교수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교수자 정보 등록부(107); 상기 My 정보 관리는 캘린더 연동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자기소개서(Portfolio), 내 정보 관리(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학번, ID, 비밀번호(Passwd), 이메일주소, 연락처 등), 해야 할 일(To do list)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파일 첨부가 가능한 쪽지 보내기/쪽지 받기/쪽지 삭제하기, 게시판 파일 올리기/파일 삭제하기, 메일 보내기/받기, 전화하기/전화받기(VoIP)를 제공하는 My 정보 관리부(108); 캘린더와 연동하여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실습 담당 교수 정보를 등록하는 실습 스케쥴 등록부(109); 보건의료기관과 교육기관과의 표준화된/규정된 실습 기록지(일일/주간/최종 성찰/예진/입원환자/PBL(문제바탕학습)/기본 임상술기/관찰 임상술기)와 평가지 및 피드백 양식을 통해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실습시에 학습자/실습자별로 실습 기록지에 기록하여 상기 메인 서버로 저장하며, 보건의료 실습의 경우 실습 대상 환자의 증상과 학생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을 기록하여 관리하는 실습 기록 관리부(110);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실습 담당 교수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스마트 디바이스,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학습자/실습자가 제공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을 통해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받는 학습자/실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실시간으로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고, 메인 서버의 그룹 통신(group communication) 1:N 통신 SW 기술을 사용하여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 또는 개별적으로 학습자/실습자 사용자 단말로 multi-thread의 동시성 제어(concurrency control)에 의해 학습자/실습자의 사용자 단말들로 multicasting 기술을 통해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Feedback) 정보를 제공하며, 실습 마다 즉각적인 교수자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교수자 피드백 정보부(112); 외래 예진, 입원 환자에 대하여 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 바탕 학습)과 임상 실습 정보를 제공하는 임상 표현부(113); 환자에 대하여 기본 임상술기, 관찰 임상술기 정보를 제공하는 임상 술기부(114); 학습자/실습자의 성찰 정보, 교수자의 성찰 정보를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는 성찰부(115); 및 실습 담당 교수자에 의해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보건의료 현장 실습, 임상 실험, 현장 실습에 대하여 해당 학습자/실습자 별로 실습 정보 기록을 보고 PBL(문제 바탕 학습) 평가, 증례발표 평가 실습 현장에서 채점하여 실습 평가 정보를 관리하는 실습 평가부(116)를 포함한다.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는 상기 제어부(102)와 연결되며, 실습 담당 교수자의 주관하에 시험 일시와 장소를 공지하고, 학습자/실습자 별로 실습 관련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공인 시험/비공인 시험, 정규 시험/비정규 시험에 대하여 UBT/SBT(Smart device Based Test) 시험 또는 UBT 시험을 실시하여 그 답안을 메인 서버로 저장하고 채점, 성적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시험 관리부(117)를 더 포함한다.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는 개인별 학습자/실습자의 실습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교수자의 평가 이력 관리(일일/주간/월/년도), 실습 관련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360도 다면평가를 지원하고, 막대 그래프, 파이차트 등의 2D/3D 그래픽 또는 비쥬얼하게 가시화하여 출력하는 통계 관리부(118)를 더 포함한다.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는 상기 제어부(102)와 연결되며, 실습 관련 보건의료 실습, 학습 컨텐츠와 가상현실/증강현실 콘텐츠로 제작된 VR/AR 콘텐츠 또는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하는 3D 렌더러(119)를 더 포함한다.
유비쿼터스 기반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은 학습자/실습자들과 실습 담당 교수자와, 담당 행정 직원과의 이메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일 서버(120); 및 학습자/실습자와 교수자와의 파일 첨부가 가능한 채팅 데이터를 포함한 메신저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여 P2P(Peer-to-Peer)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130)를 더 포함한다.
유비쿼터스 기반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은 동영상 촬영과 음성 녹화 기능을 제공하고, 실습/학습 관련 동영상/음성을 촬영하는 카메라(140); 상기 카메라(140)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인코더(141); 및 상기 인코더(141)로부터 인코딩된 동영상/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142)를 더 포함한다. 해당 메신저 APP과 서버는 네트워크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자기 APP 내 데이터베이스에 메시징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네트워크 연결시 서로 동기화되어 각 사용자의 APP에 보여지는 비동기 메시징을 포함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유비쿼터스 기반 보건의료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 통신망(LAN/WAN, Wi-Fi, LTE-A)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 사용자 인증 단계(S10);
보건의료교육 기관과 교육기관의 보건의료교육 현장 실습을 위해 학사 일정 및 캘린더를 제공하고, 학습자/실습자 정보, 실습 개설하기에 의해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실습 담당 교수자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로 저장하는 단계(S20);
상기 메인 서버의 실습 정보 기록 관리부에 의해 실습기록지와 평가지 및 피드백 양식을 제공하며, 실습 담당 교수자가 실습 개설 후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실습 교수자 정보, 실습 대상자들을 공지하며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해당 장소에서 실습시에 학습자/실습자별로 실습 기록지에 기록하여 상기 메인 서버로 저장되어 관리되며,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정보와 교수자의 평가 정보를 평가지를 통해 메인 서버에 저장하며, 실습 대상 환자의 증상과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지도 이력을 기록하여 실습 평가 정보를 관리하며(S100), 실습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S120)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부와 연결된 3D 렌더러에 의해 실습 관련 보건의료 실습/학습 컨텐츠로 제작된 VR/AR 콘텐츠 또는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하거나 실습 관련 학습 동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임상 표현부에 의해 외래 예진, 입원 환자에 대하여 의무 기록과 PBL(문제 바탕 학습)과 임상 실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임상 술기부에 의해 환자에 대하여 기본 임상술기, 관찰 임상술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성찰부에 의해 학습자/실습자의 성찰 정보, 교수자의 성찰 정보를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교수자 피드백 정보부에 의해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실습 담당 교수자에 의해 자신의 사용자 단말(스마트 디바이스, 전용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학습자/실습자들이 제공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메인 서버를 통해 1:N 그룹 통신(group comunication)/CSCW 기술이 적용된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을 통해 자유롭게 교수자의 피드백(Feedbacl) 정보를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되고, 메인 서버의 그룹 통신(group communication) 1:N 통신 SW 기술을 사용하여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에 multi-thread의 동시성 제어(concurrency control)에 의해 학습자/실습자들의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multicasting 기술을 통해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며, 실습 마다 즉각적인 교수자 피드백(Feedback)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교수자 피드백 정보 제공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실습 평가부에 의해 개설된 실습에 대하여 교수자의 실습 평가 정보를 메인 서버에 저장하며, 실습 담당 교수자에 의해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보건의료 현장 실습, 임상 실험, 현장 실습에 대하여 해당 실습의 학습자/실습자 별로 실습 평가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S100); 및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서는 상기 메인 서버가 통계 관리부에 의해 개인별 학습자/실습자의 실습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교수자의 평가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실습 관련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습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360도 다면평가를 지원하고, 막대 그래프, 파이차트로 그래픽하고 비쥬얼하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학습자/실습자, 교수자, 행정 직원들이 사용하며, PC, U-포트폴리오 App과 메신저와 LAN 연결부 및 Wi-Fi 통신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사용하고,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상기 메인 서버와 동기화되고,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U-Portfolio)를 제공받으며,
상기 실습 기록지는 실습 교육이 보건의료교육의 경우 일일/주간/최종 성찰/예진/입원환자/PBL(문제바탕학습)/기본 임상술기/관찰 임상술기 실습 기록지를 포함하고,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실습 관련 보건의료 실습/학습 컨텐츠로 제작된 VR/AR 콘텐츠 또는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하는 3D 렌더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가 실습 평가부에 의해 개설된 실습에 대하여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기록 정보, 증례 발표 정보와 교수자의 평가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에 저장하며,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을 상기 메인 서버에 기록 관리하고,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100)와 동기화되고, 국소 지역에 설치된 상기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170)를 더 포함하며, 인터넷 단선시에 온라인/오프라인 지원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U-포트폴리오 App은 모든 연결이 끊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자체 저장소에 해당 실습의 실습 정보 기록정보와 학습이력정보/실습이력정보를 가지고 있다가 LAN 또는 WAN 연결시 해당 정보들을 상기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와 동기화되고, 상기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를 통해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로 동기화되어 해당 실습의 실습 정보 기록정보와 학습이력정보/실습이력정보를 저장한다.
실습은 실습 개설하기/실습 삭제하기/실습 정정하기 기능을 제공하며, 실습 담당 교수자가 개설한 실습은 실습 명칭, 실습 내용,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실습 담당 교수자 정보, 실습 대상자 정보를 포함한다.
교수의 피드백 방법은 현장에서 드로잉, 많은 서술형 텍스트를 입력할 수 없는 상황에 맞게 피드백 표준 템플릿을 관리자가 만들어 그것을 교수자가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풍부한 피드백과 신속한 피드백을 가능하게 한다. 피드백 방법은 음성 녹음, 영상 녹화, 텍스트 입력, 위 기술한 드로잉, 및 객관식형 점수 라디오 버튼 선택, 그리고 표준 템플릿([*] o o o 항목을 잘 확인하였음, [ ] o o o 항목이 빠져 있음, o o o 항목에 대한 이해가 있음)을 활용한다.
상기 메인 서버의 My 정보 관리부에 의해 캘린더 연동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자기소개서(Portfolio),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학번, ID, 비밀번호(Passwd), 이메일주소, 연락처를 포함하는 내 정보 관리, 해야 할 일(To do list), 파일 첨부가 가능한 쪽지 보내기/쪽지 받기/쪽지 삭제하기, 게시판 파일 올리기/파일 삭제하기, 메일 보내기/받기, 전화하기/전화받기(VoIP)를 제공하는 My 정보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부와 연결된 3D 렌더러에 의해 실습 관련 보건의료 실습/학습 컨텐츠로 제작된 VR/AR 콘텐츠 또는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하거나 실습 관련 학습 동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임상 표현부에 의해 외래 예진, 입원 환자에 대하여 PBL(문제 바탕 학습)과 임상 실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임상 술기부에 의해 환자에 대하여 기본 임상술기, 관찰 임상술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의 성찰부에 의해 학습자/실습자의 성찰 정보, 교수자의 성찰 정보를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통계 관리부에 의해 개인별 학습자/실습자의 실습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교수자의 평가 이력 관리(일일/주간/월/년도), 실습 관련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360도 다면평가를 지원하고, 막대 그래프, 파이차트 등의 2D/3D 그래픽하고 비쥬얼하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서는 상기 학습자/실습자, 교수자와의 메신저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에서 메신저 서버를 통해 P2P(Peer-to-Peer)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제공하여 파일 첨부, 채팅 데이터를 포함한 메신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시험 관리부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실습 담당 교수자의 주관하에 시험 일시와 장소를 공지하고, 학습자/실습자 별로 실습 관련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공인 시험/비공인 시험, 정규 시험/비정규 시험에 대하여 SBT(Smart device Based Test) 시험 또는 UBT(Ubiquitous Based Test) 시험을 실시하여 그 답안을 각각 메인 서버에 저장하고, 그 채점 결과를 관리자가 정의한 교육기관 채점표에 대응하여 결과를 재처리한 후, 교육기관의 사용자 출력용, 행정팀 보관용,학사정보 시스템 보관 및 연동용 템플릿 양식에 맞춰 결과를 각각 생성하여 메인 서버에 저장하고, 응시자, 교수자, 행정가에게 응시자별 성적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학교 관리자[학생/교수 정보 등록, 실습 스케쥴 등록, 학생 실습 피드백 이력 모니터링, 학생의 실습이력관리, 교수의 실습 평가 관리], 학생[실습 계획(일/주/월), 실습 정보 기록 및 관리, 환자 관리-성찰], 실습 담당 교수[실습 관리 및 실습 피드백, 환자관리-성찰, 평가, 일정 관리, 시험]를 보인 도면이다.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인공 지능과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사용한 클라우드 실습교육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6은 임상 실습을 위한 시스템 메뉴[My 메뉴, 실습 계획과 성찰, 임상 표현, 임상 술기, 평가, 시험관리] 구성도이다.
실습 교육은 보건의료교육 실습 부문에서 의과대학의 3,4학년의 임상 실습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실습 교육에 적용이 가능하다.
임상 실습을 위한 시스템 메뉴는 My 메뉴, 실습 계획과 성찰, 임상 표현, 임상 술기, 평가, 및 시험관리(SBT, UBT) 모듈을 포함한다.
My 메뉴는 나의 정보 관리로써, 실습 스케쥴(캘린더 연동), 자기소개서(Portfolio), 내 정보 관리, 해야 할 일(To do list)를 포함하며, 실습 파일 업로드 하기/다운로드 하기, 쪽지 보내기/쪽지 받기, 메일 쓰기/메일/받기, 전화하기/전화 받기(VoI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습 계획과 성찰은 과정 학습 계획과 성찰, 주간 계획과 성찰, 일일 계획과 성찰, 환자 안전 성찰 분석 기능을 포함한다.
임상 표현은 외래예진 정보, 입원 환자 정보, PBL(문제 바탕 학습) 기능을 제공한다.
임상 술기는 기본 임상술기, 관찰 임상술기 기능을 포함한다.
평가는 360도 다면평가, 포트폴리오 질적 평가, 주간 평가(자동 채점), 최종 평가(자동 채점+조정) 기능을 포함한다.
시험관리(SBT, UBT) 모듈은 SBT/UBT 시스템에서 전달하는 시험 일정/장소 공지, 시험 문제, 답안, 채점 결과 재처리 및 재처리된 결과를 양식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 단말로 맞춤형 공지 기능을 포함한다.
도 7a, 7b, 7c는 대학병원, 의과대학,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유비쿼터스 기반 보건의료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이다.
인터넷 단선시에, 온라인/오프라인 지원을 위해 스마트폰, 태블릿, PC(노트북 포함)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U-포트폴리오 APP은 모든 연결이 끊긴 경우, 사용자 단말의 자체 저장소에 실습이력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LAN 또는 WAN 연결시 해당 정보를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 또는 메인 서버와 동기화하여 저장하여 사용된다.
(LAN기반)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가 학습 이력/실습 이력과 실습 관리 정보를 보관, 인터넷 연결시 사용자 단말과 동기화하여, 로컬 U-포트폴리오 릴레이 서버를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해당 실습의 실습 정보 기록정보와 학습이력정보/실습이력정보를 전송하여 저장하며, 메인 서버는 실습 정보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replication을 위해 백업 서버(backup serv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 동기화 : 릴레이 서버- 메인 서버(WAN)
* 동기화 : 스마트폰, 태블릿-릴레이 서버 (LAN)
예) 인터넷 단선시에 온라인/오프라인 지원을 위해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태블릿PC, PC)에 설치된 U-포트폴리오 APP은 모든 연결이 끊긴 경우, 사용자 단말의 자체 저장소에 해당 실습의 실습 정보 기록정보와 학습이력정보/실습이력정보를 가지고 있다가 LAN 또는 WAN 연결시 해당 정보를 릴레이 서버 또는 메인 서버와 동기화하여 해당 실습의 실습 정보 기록정보와 학습이력정보/실습이력정보를 저장한다.
(ex) 병원에서는 일상적임(데이터 통신이 특정 구역밖에서는 잘 되지 않음)
* 학교(교육기관) 측면
- 실습 교육의 표준화 시행 : 보건의료기관(병원)과 교육기관(의과대학)간 교육 평가지을 표준화하고, 전산화하며, 보건의료기관/교육기관 마다 표준화가 힘든 양식은 규정된 레이아웃을 제공하여 스스로 템플릿을 제작하여 전산화할 수 있는 표준을 만든다.
- 실습 성취도와 교수 피드백 정보를 통계화하고 이를 시스템에 반영하여 학생 교육 현황과 학생의 실습 이력, 교수자의 교육 이력을 학생, 교수자 및 행정직원이 확인, 상호 관리를 통해 학사 일정/실습 일정과 실습관리와 평가, UBT/SBT 시험과 채점을 통해 학습 효과를 증진, 실습 교육의 질적 관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 교수자 측면
- 종이 포트폴리오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고, Paperless 형태로 단순 체크 항목, 교수자가 짧은 시간에 제공하기 힘든 서술형 코멘트 항목 밖에 제공할 수 없던 종이 관리대장(종이 포트폴리오)의 단점을 개선한 시스템 UI(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UX(사용자경험)를 시스템에서 구현, 제공하여 사용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단순반복 업무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실습 현장에서의 실시간 메신저 및 비동기 메신저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적용, 실습 교육의 동기 부여와 상호 만족을 이끌어내도록 한다.
* 학생 측면
- 단순 기록, 제출이 아닌 학생이 이수해야 할 교과 과정에 따른 각종 정보를 입력, 출력, 해당 정보를 재구성하고, 보관하며 이를 의료현장으로 이동시 이관하여 개인의 교육 이력에 맞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제공하므로 불필요한 페이퍼 작업을 간소화하고, 더 많은 교수자와 학습자간 피드백을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 병원(의료현장) 측면
- 진료 중심, 현장 중심의 교육과 이론, 실습 교육의 괴리를 위에 기술한 시스템을 통해 줄이고, 동기식/비동기식 전송방식을 채용하고, PC, 스마트폰, 태블릿을 현장의 환경에 맞게 사용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프로그램을 통해 인터넷 및 PC 사용의 제약이 심한 현장의 한계를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극복하며, 유동적인 실습, 현장 실습 스케줄에도 학습자/실습자(학생)와 교수자, 현장기관 담당자의 상호 확인을 통한 빈틈없는 교육이 가능하며, 데이터의 수치화, 정형화를 통해 학생 학습 성취도 및 실습 현황 관리가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a는 주요 화면 및 고객 시나리오 1) 예진, 도 8b는 2) 술기, 도 8c는 주요 화면- 3) 입원 환자 의무기록지, 도 8d는 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 바탕 학습), 증례 발표, 도 8e는 Self 피드백, 도 8f는 교수자 평가- 편의성 강화 화면이다.
도 9는 학생[PC용 서비스, 모바일용 서비스(SNAPPS, 증례발표 등), 태블릿 PC 전용 서비스(예진 등)], 교수[PC용 서비스, 모바일용 서비스(PBL, 일정관리 등)], 행정 관리자[PC용 서비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국내 의과 대학/치과 대학, 보건의료 대학, 국내 일반 대학, 글로벌 마케팅 목표 시장을 보인 그림이다.
도 11은 유비쿼터스 기반 U-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의 판매 전략을 보인 그림이다.
(1) 유비쿼터스 기반 보건의료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 구축
○ 의과대학 특화 실습 교육 관리 시스템인 U-포트폴리오 서비스를 도입하여 의과대학에 최적화하여 커스터마이징 개발
※ 의과대학 특화 U-Portfolio
- 의과대학 본과 3~4학년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실습 교육 관리 솔루션 (실습 기록지 작성과 피드백 통합 관리 시스템, PC, 태블릿 PC, 모바일 스마트폰 지원)
- 의과대학과 공동으로 R&D 과제를 개발하여 현재 본과 3학년/4학년 내과용 프로토타입 개발 완료.
- 2017년 상반기 공동 연구 참여 교육 기관에 한해 솔루션 라이선스 무상 제공(실습 기록지 및 평가/피드백 양식 커스터마이징 실비만 청구)
※ 커스터마이징 범위
- 실습 교육 전산화에 대한 컨설팅 진행 (전산화를 위해 사전 준비해야 할 정책, 프로세스, 교육 방법 등에 대해 점검과 공동 준비)
- 본과 3~4학년 실습기록지(일일/주간/최종 성찰/예진/입원환자/PBL/기본 임상술기/관찰 임상술기 실습 기록지 등)와 각 평가/피드백 양식을 관동대학교 실습 양식에 최적화
- 계약 후, (주)엔에스데블-대학교의 의과대학 공동 TF팀 구축 컨설팅 진행, 현재 실습 과정 분석 및 사전 점검, 요구 사항 도출, 커스터마이징 개발
(2) 주요 기능
○ 웹표준 기반으로 PC, 스마트폰(모바일 기기), 태블릿 PC 지원
○ 병원 예진의 경우, 태블릿 PC(Android)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이 보장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실습지 작성 및 교수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구현
○ 실습 일정 관리 기능 제공 (캘린더 형식)
○ 일일/주간/최종 성찰 기록지 작성, 보관, 관리 및 교수 피드백 기능 제공
○ 예진/입원환자/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 바탕 학습)/기본임상술기/관찰임상술기 등 각종 실습 기록지 작성, 보관, 관리 및 교수 피드백/평가 기능 제공
○ 실습 일정 외 작성, 부정행위 제한
○ 실습 전체의 평가 이력 관리 (주간 평가/최종 평가 자동 산출)
○ 개인별 통합 실습 이력 관리
(3) U-Portfolio 서비스 상세 규격
표1은 U-Portfolio 서비스 상세 규격을 기재하였다.
구분 상세 규격 비고
공통
플랫폼
의예과 1년부터 의학과 4년까지 체계적으로 학습의 품질과 성취도를 관리하고 자기주도적인 역량 강화가 가능한 플랫폼 개설과 운영 지원
교수자가 학생의 학습 성취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피드백을 강화할 수 있어야 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시공간 제약없는 학습 성취도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병원 등 인터넷 연결성이 보장되지 않고, PC 사용이 불가능한 임상실습 환경에서도 원활한 서비스 사용과 동작 보장
UBT Enabled Tablet PC(시험 및 교육 전용 단말)과의 안정적인 연동성 보장
보건의료인 면허자격시험에 도입된 태블릿 PC 기반의 평가 시스템과의 연동 보장
클라우드 기반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학생이 졸업 후에도 연속된 형태의 B2C 서비스를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정보 보안 기술 적용을 통한 보안 강화(로그인 암호화 등)
사용자 중심의 UI 및 가독성,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구현
웹 표준 문법((X)HTML, CSS)을 준수하고 웹 호환성(동작, 레이아웃)을 확보하도록 개발
다양한 웹브라우저 환경에서도 동등한 서비스가 제공
HTML5를 적용한 웹사이트 구축을 통해 웹표준 및 호환성을 확보
모바일 표준 에디터 및 콘텐츠 지원
학생용
WEB
플랫폼
■ 메인
- 학사일정 캘린더 및 To do list 노출, My 정보 관리,
- 학습 일정 관리 및 캘린더 관리 기능 제공
- 자기 소개서 작성, 수정, 조회 기능 구현(7년 동안 버전 관리 필요)
- 내 정보(이름, 주민번호, 주소, 학번, ID, 비밀번호(Passwd), 이메일주소, 연락처 등) 관리, 수정 기능 구현
- To do list 모아 보기 기능 구현
■ 학습 계획과 성찰
- 의예과 1년부터 의학과 4년까지 졸업역량에 근거하여 스스로 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가이드 및 탬플릿 제공
- 정규과정, 정규임상실습과정, 비정규 과정에 대한 학습 계획 수립 및 자가 성찰 기능 제공
- 주간, 일일 학습 계획과 성찰 기능 제공
■ 임상표현
- 임상표현 별 학습 계획 수립과 기록, 성취도 관리 기능 구현
- 임상 실습 시,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UBT Enabled Tablet PC를 활용하여 실습 정보 기록을 저장, 교수자로부터 피드백 받기 기능이 가능해야 하며, 인터넷 연결시 자동 동기화 기능 구현
- 예진기록지, 증례발표지, 입원환자 의무기록지, 문제바탕학습(PBL)을 통한 조별 과제 제출과 발표 등 다양한 학습 및 실습 방법론에 맞게 최적화
- 임상실습 현장에서 작성해야 할 내용들은 PC에서는 조회만 가능하도록 구현
■ 임상술기
- 기본 임상술기, 관찰 임상술기 항목 별 학습 계획 수립과 기록, 성취도 관리 기능 구현
- 각 항목 별 실습 이력 및 PASS/FAIL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기능 구현 (자가성찰강화 목적)
- 임상실습 현장에서 작성해야 할 내용들은 PC에서는 조회만 가능하도록 구현
■ 평가 및 피드백
- 일일, 주간, 과정별 다양한 평가 및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능과 조회 기능 제공
- 수직, 수평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론 채택하여 구현
■ 기타
- 모든 학습 결과물을 저장/취합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결과물을 조합하여 포트폴리오 제작/편집/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 학생이 재학 중 생성한 모든 콘텐츠의 소유는 학교에 귀속되며, 졸업 시점에 학교가 승인한 범위 내에서의 콘텐츠를 개인화 공간에 별도로 보관하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함
학생용
모바일
플랫폼
-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제공하며, 모바일 기기 및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해야함
- 모바일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꼭 필요한 기능(실습현장에서 기록해야하는 내용)들 중심으로 제공
- 실습 스케쥴 및 To do list 조회 기능 제공
- 자기 소개서 조회 기능 제공
- 실습 교육의 표준화를 위해 기본 임상술기, 관찰 임상술기 등 실습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기록하고 피드백 받아야 할 실습 내용은 반드시 모바일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하도록 구현하고, 이용 가능 시간을 통제
- 학습자와 교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피드백 모아보기 기능 구현
- 학생 및 교수 정보 조회 및 전화, 문자 등 연락하기 기능 구현
- UBT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자가학습 및 형성평가, 설문조사 기능 제공
학생용
태블릿PC
플랫폼
- 국가 공인 자격 시험에 활용되는 UBT Enabled Tablet PC(UBT/SBT 모드 제공)에선 탑재 및 안전한 사용성이 보장되어야 함
- 학생이 공용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로그인 후 개인 현장 실습지를 기록저장하고 교수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기능 구현
- 국가 공인 자격 시험 등에 도입된 비동기식 통신 기술을 탑재하여 일시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원활한 동작이 보장됨
- 교수자는 학생이 제시한 현장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 등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길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
교수용
플랫폼
■ 메인
- 학사일정 캘린더 및 To do list 노출
■ My
- 학습 일정 관리 및 캘린더 관리 기능 제공
- 내 정보(비밀번호, 이메일주소, 연락처 등) 관리, 수정 기능 구현
- To do list 모아 보기 기능 구현
- 책임교수의 경우, 소속된 교수들의 To do list 및 피드백 결과 모아 보기 기능 구현
■ 학습 계획과 성찰
- 학생들이 제출한 학습 계획과 성찰을 모니터링 하고 학교의 루브릭 채점표에 의한 평가, 피드백이 가능
■ 임상표현
- 학생들이 제출한 임상표현에 근거한 학습 성과물을 확인하며 루브릭 채점표에 의한 평가
- 현장 기록지, 리뷰 기록지, 발표 결과물 등 하나의 케이스에 연결된 학습 성과물을 확인하기에 용이한 UI/UX를 제공
■ 임상술기
- 학생들이 제출한 임상표현에 근거한 학습 성과물과 현장 피드백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 구현(PC에서 평가가 불가능해야 함)
- 임상실습 현장 평가 및 피드백 부분은 PC에서 작성할 수 없어야 함
■ 평가 및 피드백
- 일일, 주간, 과정별 다양한 평가 및 피드백이 가능
- 각 평가는 자동으로 취합되어 관리되어야 하고, 이를 지정된 양식의 엑셀로 일괄 다운로드 받음
■ 기타
- 병원별, 그룹별 배정된 학생들을 확인할 때 학생 사진, 자기소개서 등 학생의 다른 기록들을 조회하기 편리한 UI/UX를 제공
- 교수자의 평가 및 피드백 결과는 교수업적평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평가 이력 관리 및 취합
교수용
모바일
플랫폼
-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제공하며, 모바일 기기 및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해야함
- 모바일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꼭 필요한 기능(실습현장에서 기록해야하는 내용)들 중심으로 제공
- 실습 스케쥴 및 To do list, 피드백 내역 조회 기능이 편리하게 제공되어야 함
- PBL 평가, 증례발표 평가 등 실습 현장에서 채점 기능들은 반드시 모바일로만 평가 가능하도록 기능을 구현하고, 이용 가능 시간을 통제
-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및 피드백 모아보기 기능 구현
- 학생 및 교수 정보 조회 및 전화, 문자 등 연락하기 기능 구현
- UBT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설문 기능 제공
관리자용
플랫폼
■ 메인
- 학사일정 캘린더 및 To do list 노출
■ My
- 학습 일정 관리 및 캘린더 관리 기능 제공
- 내 정보(이름, 주민번호, 학번, ID, 비밀번호, 이메일 주소, 주소, 연락처 등) 관리, 수정 기능 구현
- To do list 모아 보기 기능 구현
- 교수들의 To do list 및 피드백 결과 모아 보기 기능 구현
학생 및 교수자 정보 관리 기능 제공
- 학생들의 정보 및 교수자의 정보를 엑셀로 일괄 등록, 수정, 관리
- U-LMS, UBT 시스템과의 DB 연동을 보장
■ 학사 일정 관리 기능 제공
- 정규교과과정 및 비정규교과과정의 개설, 학생들이 제출한 학습 계획과 성찰을 모니터링 하고 학교의 루브릭 채점표에 의한 평가, 피드백이 가능
■ 메뉴 관리 기능 제공
- 대메뉴 기준 각 항목별 사용 여부 및 항목명칭 변경이 가능해야함
임상표현, 임상술기, 졸업역량 항목 관리 기능 제공
- 임상표현, 임상술기, 졸업역량 등 학습 키워드에 일괄 등록, 수정, 관리가 가능해야 함
■ 실습 기록지 및 평가지 관리 기능 제공
- 각 항목별, 각 교과과정멸 학생 작성 기록지와 교수자 평가지에 대한 관리 기능 제공
■ 평가 및 피드백
- 학생들의 평가 결과의 조회 및 지정된 양식의 엑셀로 일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야 함
- 교수자의 평가 및 피드백 결과는 교수업적평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평가이력 관리 및 취합
[학생용 태블릿PC 플랫폼]- 국가 공인 자격 시험에 활용되는 UBT Enabled Tablet PC(UBT/SBT 모드 제공)에서 탑재 및 안전한 사용성이 보장 - 학생이 공용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로그인 후 개인 현장 실습 기록지를 기록저장하며, 교수자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기능 구현
- 국가 공인 자격 시험 등에 도입된 비동기식 통신 기술을 탑재하여 일시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원활한 동작이 보장
- 교수자 단말은 학생이 제시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을 통해 자유롭게 교수자 피드백을 남길 수 있으며, 이러한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
[교수용 플랫폼]
* 메인
- 학사일정 캘린더 및 해야 할 일(To do list) 노출
* My
- 학습 일정 관리 및 캘린더 관리 기능 제공
- 내 정보(비밀번호, 이메일주소, 연락처 등) 관리, 수정 기능 구현
- To do list 모아 보기 기능 구현
- 책임 교수의 경우, 소속된 교수들의 To do list 및 피드백 결과 모아 보기 기능 구현
* 학습 계획과 성찰
- 의과대학 학생들이 제출한 학습 계획과 성찰을 모니터링하고, 학교의 루브릭 채점표에 의한 평가, 교수자의 피드백이 가능
* 임상표현
- 의과대학 학생들이 제출한 임상표현에 근거한 학습 성과물을 확인하며, 루브릭 채점표에 의한 평가
- 현장 실습 기록지, 리뷰 기록지, 발표 결과물 등 하나의 케이스에 연결된 학습 성과물을 확인하기에 용이한 UI/UX를 제공
* 임상술기
- 의과대학 학생들이 제출한 임상표현에 근거한 학습 성과물과 현장 피드백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 구현(PC에서 평가가 불가능해야 함)
- 임상실습 현장 평가 및 피드백 부분은 PC에서 작성할 수 없어야 함
* 평가 및 피드백
- 일일, 주간, 과정별 다양한 평가 및 피드백이 가능해야 함
- 각 평가는 자동으로 취합되어 관리되며, 이를 지정된 양식의 엑셀로 일괄 다운로드 가능
* 기타
- 병원별, 그룹별 배정된 학생들을 확인할 때 학생 사진, 자기소개서 등 학생의 다른 기록들을 조회하기 편리한 UI/UX를 제공
- 교수자의 평가 및 피드백 결과는 교수업적평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교수자의 평가이력 관리
[교수용 모바일 플랫폼]
-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제공하며, 모바일 기기 및 운영체계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
- 교수자의 모바일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꼭 필요한 기능(실습현장에서 기록해야 하는 내용)들 중심으로 제공
- 실습 스케쥴 및 To do list, 피드백 내역 조회 기능이 제공
- PBL 평가, 증례발표 평가 등 실습 현장에서 채점해야할 기능들은 반드시 모바일로만 평가 가능하도록 기능을 구현하고, 이용 가능 시간을 통제
- 학습자/실습자와 교수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및 피드백 모아보기 기능 구현
- 학습자/실습자(학생) 및 교수 정보 조회 및 전화, 문자 등 연락하기 기능 구현
- UBT와 유사한 환경에서 설문조사 기능 제공
[관리자용 플랫폼]
* 메인
- 학사일정 캘린더 및 To do list 노출
* My 메뉴
- 학습 일정 관리 및 캘린더 관리 기능 제공
- 내 정보(비밀번호, 이메일주소, 연락처 등) 관리, 수정 기능 구현
- To do list 모아 보기 기능 구현
- 교수들의 To do list 및 피드백 결과 모아 보기 기능 구현
* 학생 및 교수자 정보 관리 기능 제공
- 학생들의 정보 및 교수자의 정보를 엑셀로 일괄 등록, 수정, 관리 가능
- U-LMS 학습관리 시스템, UBT/SBT 시스템과의 DB 연동을 보장
*학사 일정 관리 기능 제공
- 정규 교과과정 및 비정규 교과과정의 개설, 학생들이 제출한 학습 계획과 성찰을 모니터링하고, 학교의 루브릭 채점표에 의한 평가, 피드백이 가능
* 메뉴 관리 기능 제공
- 대메뉴 기준 각 항목별 사용 여부 및 항목명칭 변경이 가능
* 임상표현, 임상술기, 졸업역량 항목 관리 기능 제공
- 임상표현, 임상술기, 졸업역량 등 학습 키워드에 일괄 등록, 수정, 관리가 가능해야 함
* 실습 기록지 및 평가지 관리 기능 제공
- 각 항목별, 각 교과과정별 학생 작성 기록지와 교수자 평가지에 대한 관리 기능 제공
* 평가 및 피드백
- 학생들의 평가 결과의 조회 및 지정된 양식의 엑셀로 일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
- 교수자의 평가 및 피드백 결과는 교수업적평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교수자의 평가이력 관리 및 취합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은 PC,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하며, 실시예에서는 Wi-Fi 통신부를 구비하는 전용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유무선 및 오프라인/온라인을 통해 보건의료교육 부문에서 이론, 실습 및 평가 등의 학습이력관리와 교수자와 학습자간 메신저를 사용한 Peer-to-Peer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U-포트폴리오 시스템 상에서 개별 학생의 실습관리, 수행평가 점수, 지표를 제공하며, 교수자의 의료현장에서 즉각적인 피드백(응급조치, 처방), 평가, UBT/SBT 시험 및 채점, 행정관리 측면에서 각 학생과 교수자의 상호 학습, 학습자의 실습이력, 교수자의 평가이력을 종합하여 제공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되었다.
유비쿼터스 기반 보건의료교육 U-Portfolio 시스템은 학습자/실습자가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교육 내용 작성, 교수자로부터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이 제공되며, 평가, 및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실습 담당 교수자는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예,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학습자/실습자가 제공한 현장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고, 즉각적인 교수자의 Feedback 정보를 수신받는 실습 교육 및 평가 솔루션으로써 실습 관련 SBT 시험과 채점, PC, 태블릿PC, 스마트폰(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에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
101: WWW 서버 102: 제어부
103: 회원 관리부 104: 사용자 인증부
105: 학사 일정 및 캘린더 106: 학생 정보 등록부
107: 교수자 정보 등록부 108: My 정보 관리부
109: 실습 스케쥴 등록부 110: 실습 정보 기록 관리부
112: 교수자 피드백 정보부 113: 임상 표현부
114: 임상 술기부 115: 성찰부
116: 실습 평가부 117: 시험 관리부(SBT, UBT)
118: 통계 관리부 119: 3D 렌더러
120: 메일 서버 130: 메신저 서버
140: 카메라 141: 인코더
142: 스트리밍 서버
170: 로컬 U-Portfolio 릴레이 서버
200: PC 300: 스마트폰
310: 태블릿 PC

Claims (7)

  1.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를 제공하며, 의과대학/치과대학/간호 대학/보건의료대학의 보건의료교육 현장 실습에서 학사일정과 캘린더, 커리큘럼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My 정보 관리, 학습자/실습자별 실습기록 관리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 교수자의 평가 정보, 실습별 환자의 임상 표현 - 외래 예진, 입원 환자/응급 환자 의무 기록, 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 바탕 학습) -, 임상 술기, 성찰 정보, 실습 평가, UBT/SBT 시험 및 채점 정보,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규정된 실습 기록지와 각 평가지/피드백 양식을 제공하는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 및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와 동기화되어 연결되고,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를 위한 실습 관련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 U-포트폴리오 App과 메신저가 구비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사용하고,
    상기 실습 기록지는 실습 교육이 보건의료교육의 경우 일일/주간/최종 성찰/예진/입원환자/PBL(문제바탕학습)/기본 임상술기/관찰 임상술기 실습 기록지를 포함하며,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실습 담당 교수자에 의해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학습자/실습자가 제공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메인 서버의 그룹 통신(group communication) 1:N 통신 SW 기술을 사용하여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에 multi-thread의 동시성 제어에 의해 학습자/실습자의 사용자 단말들로 multicasting 기술을 통해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며, 실습 마다 즉각적인 교수자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교수자 피드백 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제어부와 연결되며, 실습 관련 보건의료 실습/학습 컨텐츠로 제작된 VR/AR 콘텐츠 또는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하는 3D 렌더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가 실습 평가부에 의해 개설된 실습에 대하여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기록 정보, 증례 발표 정보와 교수자의 평가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에 저장하며,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을 상기 메인 서버에 기록 관리하며,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통계 관리부에 의해 개인별 학습자/실습자의 실습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교수자의 평가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실습 관련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습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360도 다면평가를 지원하고, 막대 그래프, 파이차트로 그래픽하고 비쥬얼하게 출력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WWW 서버;
    U-포트폴리오 서비스를 위해 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U-포트폴리오 서비스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ID/Passwd 방식 또는 학번/Passwd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해당 보건의료기관과 교육기관의 학사 일정과 캘린더 정보를 제공하는 학사 일정 및 캘린더;
    학습자/실습자 정보를 등록하는 학생 정보 등록부;
    실습 담당 교수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교수자 정보 등록부;
    상기 My 정보 관리는 캘린더 연동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자기소개서(Portfolio), 내 정보 관리, 해야 할 일(To do list)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파일 첨부가 가능한 쪽지 보내기/쪽지 받기/쪽지 삭제하기, 게시판 파일 올리기/파일 삭제하기, 메일 보내기/받기, 전화하기/전화받기(VoIP)를 제공하는 My 정보 관리부;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실습 담당 교수 정보를 등록하는 실습 스케쥴 등록부;
    실습 기록지(일일/주간/최종 성찰/예진/입원환자/PBL(문제바탕학습)/기본 임상술기/관찰 임상술기)와 평가지 및 피드백 양식을 통해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실습 대상 환자의 증상과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을 기록하여 관리하는 실습 기록 관리부;
    외래 예진, 입원 환자에 대하여 PBL(문제 바탕 학습)과 임상 실습 정보를 제공하는 임상 표현부;
    환자에 대하여 기본 임상술기, 관찰 임상술기 정보를 제공하는 임상 술기부;
    학습자/실습자의 성찰 정보, 교수자의 성찰 정보를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는 성찰부; 및
    실습 담당 교수자에 의해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에 따라 보건의료 현장 실습, 임상 실험, 현장 실습에 대하여 해당 학습자/실습자 별로 실습 정보 기록을 보고 PBL(문제 바탕 학습) 평가, 증례발표 평가 실습 현장에서 채점하여 실습 평가 정보를 관리하는 실습 평가부;
    를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은
    학습자/실습자들과 실습 담당 교수자와, 담당 행정 직원과의 이메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일 서버; 및
    상기 학습자/실습자와 교수자와의 파일 첨부가 가능한 채팅 데이터를 포함한 메신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P2P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를 더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은
    동영상 촬영과 음성 녹화 기능을 제공하고, 실습/학습 관련 동영상/음성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인코더; 및
    상기 인코더로부터 인코딩된 동영상/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더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5.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 사용자 인증 단계;
    의과대학/치과대학/간호 대학/보건의료대학의 보건의료교육 현장 실습을 위해 실습 기관의 학사 일정 및 캘린더를 제공하고, 학습자/실습자 정보, 실습 개설하기에 의해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실습 담당 교수자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실습 정보 기록 관리부에 의해 실습 기록지와 평가지 및 피드백 양식을 제공하며, 실습 개설 후,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과 실습 교수자 정보, 실습 대상자들이 공지되며, 실습시에 학습자/실습자별로 실습 기록지에 기록하여 상기 메인 서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부와 연결된 3D 렌더러에 의해 실습 관련 보건의료 실습/학습 컨텐츠로 제작된 VR/AR 콘텐츠 또는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하거나 실습 관련 학습 동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임상 표현부에 의해 외래 예진, 입원 환자에 대하여 의무 기록과 PBL(문제 바탕 학습)과 임상 실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임상 술기부에 의해 환자에 대하여 기본 임상술기, 관찰 임상술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의 성찰부에 의해 학습자/실습자의 성찰 정보, 교수자의 성찰 정보를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는 교수자 피드백 정보부에 의해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실습 담당 교수자에 의해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학습자/실습자가 제공한 현장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음성 녹음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메인 서버의 그룹 통신(group communication) 1:N 통신 SW 기술을 사용하여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에 multi-thread의 동시성 제어에 의해 학습자/실습자의 사용자 단말들로 multicasting 기술을 통해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며, 실습 마다 즉각적인 교수자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교수자 피드백 정보 제공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실습 평가부에 의해 개설된 실습에 대하여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평가 정보를 메인 서버에 저장하며,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을 상기 메인 서버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서는 상기 메인 서버가 통계 관리부에 의해 개인별 학습자/실습자의 실습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교수자의 평가이력관리(일일/주간/월/년도), 실습 관련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습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360도 다면평가를 지원하고, 막대 그래프, 파이차트로 그래픽하고 비쥬얼하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 U-포트폴리오 App과 메신저가 구비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사용하고,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상기 메인 서버와 동기화되어 연결되며,
    상기 실습 기록지는 실습 교육이 보건의료교육의 경우 일일/주간/최종 성찰/예진/입원환자/PBL(문제바탕학습)/기본 임상술기/관찰 임상술기 실습 기록지를 포함하고,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제어부와 연결되며, 실습 관련 보건의료 실습/학습 컨텐츠로 제작된 VR/AR 콘텐츠 또는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하는 3D 렌더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실습 평가부에 의해 개설된 실습에 대하여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기록 정보, 증례 발표 정보와 교수자의 평가 정보를 저장하며, 학습자/실습자의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을 기록 관리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의 My 정보 관리부에 의해 캘린더 연동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자기소개서(Portfolio),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학번, ID, 비밀번호(Passwd), 이메일주소, 연락처를 포함하는 내 정보 관리, 해야 할 일(To do list), 파일 첨부가 가능한 쪽지 보내기/쪽지 받기/쪽지 삭제하기, 게시판 파일 올리기/파일 삭제하기, 메일 보내기/받기, 전화하기/전화받기(VoIP)를 제공하는 My 정보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서는 상기 학습자/실습자, 교수자와의 메신저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에서 메신저 서버를 통해 P2P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제공하여 파일 첨부가 가능한 채팅 데이터를 포함한 메신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128410A 2020-10-05 2020-10-05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0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410A KR20200130195A (ko) 2020-10-05 2020-10-05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10122809A KR102400196B1 (ko) 2020-10-05 2021-09-14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410A KR20200130195A (ko) 2020-10-05 2020-10-05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301A Division KR20200007984A (ko) 2020-01-08 2020-01-08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809A Division KR102400196B1 (ko) 2020-10-05 2021-09-14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195A true KR20200130195A (ko) 2020-11-18

Family

ID=736979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410A KR20200130195A (ko) 2020-10-05 2020-10-05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10122809A KR102400196B1 (ko) 2020-10-05 2021-09-14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809A KR102400196B1 (ko) 2020-10-05 2021-09-14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301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1587A (zh) * 2021-03-26 2021-07-30 林兵 实时线上智能教学用集互动反馈与教学一体化管理系统
KR20220095836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휴먼브릿지 비대면 간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113934A (ko)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케이엘넷 복화운송서비스 및 복화공유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14A (ko) 2022-02-11 2023-08-18 조선간호대학교산학협력단 메타버스 콘텐츠 기반 가상 간호실습 시뮬레이션 구현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736A (ko)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이디스넷 의료 및 보건 인력의 교육을 위한 웹기반 교육 콘텐츠 표현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7293A (ja) * 2007-03-02 2008-09-18 Takeshi Shiina 携帯端末を利用した医療教育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0231286A (ja) * 2009-03-25 2010-10-14 Hokukou:Kk 薬学生実務実習支援システム
KR101046711B1 (ko) * 2009-04-03 2011-07-06 주식회사 창의와 탐구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및 방법
US20130280686A1 (en) * 2012-04-19 2013-10-24 Martin Hetland Medical Procedure Train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736A (ko)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이디스넷 의료 및 보건 인력의 교육을 위한 웹기반 교육 콘텐츠 표현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836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휴먼브릿지 비대면 간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3191587A (zh) * 2021-03-26 2021-07-30 林兵 实时线上智能教学用集互动反馈与教学一体化管理系统
KR20230113934A (ko)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케이엘넷 복화운송서비스 및 복화공유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196B1 (ko) 2022-05-19
KR20210117240A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pwood et al. Twelve tips for conducting a virtual OSCE
Costello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facilitate learning for students in the health professions: Current uses, gaps, and future directions
Hebda et al. What nurse educators need to know about the TIGER initiative
KR102400196B1 (ko)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Balzer et al. Development and alignment of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a in a web-based, dynamic Learning Opportunities, Objectives and Outcome Platform (LOOOP)
KR102422510B1 (ko) Ai 기반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대화용 피드백 봇
Hovaguimian et al. Twelve tips for clinical teaching with telemedicine visits
Bone et al. Building a navigation system to reduce cancer disparities in urban black older adults
KR102387471B1 (ko) Ubt와 sbt 시험을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Suen Teaching epidemiology using WebCT: Application of the seven principles of good practice
Kan et al. Conducting of web-based workshops for final year medical students preparing to enter the workfor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Lucas et al. Conceptualisation and development of the RIPE-N model (reflective interprofessional education-network model) to enhanc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across multiple health professions
McBride et al. Developing an applied informatics course for a doctor of nursing practice program
Downer et al. Starting early: Using ePortfolios to prepare first year midwifery students for professional practice
Butera et al. Expanding our roles: embedded in curriculum design
KR20190082436A (ko)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7984A (ko)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Huang et al. Millennium conference 2005 on medical simulation: a summary report
KR20190111850A (ko) Ubt와 sbt 시험을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60306A (ko)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230038624A (ko) 스마트 디바이스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90082435A (ko) Ubt와 sbt 시험을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Fischer et al. Using technology to maximize engagement and outcomes in family–school partnerships
Valentino et al. A team-led remote ambulatory care rotation: creating efficiency without sacrificing quality
Feldthouse et al. Implementing an Academic Electronic Health Record in Nursing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