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306A -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306A
KR20230060306A KR1020210144895A KR20210144895A KR20230060306A KR 20230060306 A KR20230060306 A KR 20230060306A KR 1020210144895 A KR1020210144895 A KR 1020210144895A KR 20210144895 A KR20210144895 A KR 20210144895A KR 20230060306 A KR20230060306 A KR 20230060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actice
evaluation
record
information
portfol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남
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타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타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타랩
Priority to KR102021014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306A/ko
Publication of KR2023006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은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습자들에 의해 실습 기록지에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된 실습 정보를 기록하고,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며, 외래예진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정보,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정보, 임상 표현 정보, 임상 술기 정보,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 제공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U-포트폴리오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linical training field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ablet PC and U-portfolio,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건의료기관(병원), 의과 대학, 치과 대학, 간호 대학의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PC/노트북,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특히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며, 의료 교육과정 커리큘럼에 따라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을 공지하고, 이론과 실습 정보, 교수자의 평가와 피드백, 실습성적 정보가 관리되며, 병원 실습 시에 교수자와 실습자(학사/인턴/레지던트)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U-포트폴리오 시스템을 통해 임상실습 현장에서 외래예진기록, 입원환자 의무기록 조회, 계획과 성찰, 임상표현, 임상 술기, 임상실습 활동별 기록지에 실습 정보를 기록하여 서버에 저장하며 태블릿 PC를 활용한 즉각적으로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를 제공한다.
보건의료 교육은 의과/치과/간호 대학에서 의사, 치과의사, 간호사의 학사일정과 교육과정 커리큘럼에 따라 이론과 실습 정보를 제공하고,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을 공지, 교수자의 실습 피드백과 평가, 시험 정보를 관리하며, 병원의 현장 실습, 그리고 전문화 된 교수자의 개별 지도에 의한 기본 교육을 채택하여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실습교육 시, 보건의료 현장에서 교수자의 바쁜 스케줄과 실습자 학생의 현장 실습 교육 이력 관리와 교수자의 지도와 평가 정보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다. 보건의료 교육 시스템에서, 도제형 교육 방식을 갖는 보건의료 교육은 체계적인 실습 교육과 교수자의 평가 바쁜 교수자, 교수자의 역량에 따라 실습 교육의 차이가 존재한다.
미국 등의 선진 보건의료 교육은 학생이 자신의 수업 이력을 직접 웹(Web)에 접속하여 등록, 관리, 보관하여 이력화하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개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병원 임상실습은 실습자들과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현장 의료 환경의 한계와 구조적 차이로 체계적으로 관리돼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1로써, 특허 등록번호 10-1068498에서는 " 임상실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이 등록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임상실습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임상실습 모니터링 시스템은
임상실습에 대한 경험 정보를 서버 컴퓨터에 전송하는 학생 컴퓨터(110);
상기 임상실습의 확인 사인을 포함하는 실습 정보를 관리자 컴퓨터(120)에 전송하고, 서버 컴퓨터(140)에 상기 임상실습에 대한 임상실습 평가 점수를 전송하는 교실 컴퓨터(130);
상기 서버 컴퓨터(140)로부터 임상실습에 대한 상기 경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경험 정보를 상기 실습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경험 정보에 대한 확인 정보를 상기 서버 컴퓨터(140)에 전송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를 교실별 및 임상실습 주별로 구분된 테이블에 표시하며, 상기 서버 컴퓨터(140)로부터 상기 임상실습 평가 점수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관리자 컴퓨터(120); 및
상기 임상실습 평가 점수 및 상기 경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컴퓨터(140)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2로써, 특허 공개번호 10-2013-0102384에서는 " 이러닝 포트폴리오 관리/평가 시스템 및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닝 포트폴리오 관리/평가 시스템은
학생의 학습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성찰가능케 하도록 이러닝 포트폴리오 서버와 유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이러닝 포트폴리오 관리/평가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러닝 포트폴리오 서버는,
개인 정보, 학습활동 정보, 학습외 활동 정보 및 성찰활동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 정보, 학습활동 정보, 학습외 활동 정보 및 성찰활동 정보마다 서브 디렉토리로서 구성요소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구성요소 정보의 서브 디렉토리로서 세부내용 정보를 저장하는 제3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제2,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항목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학년별 또는 순서별로 매칭시켜 매칭 정보로서 저장하는 제4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4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매칭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유무선 단말기로 보내 GUI 형태로 구현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매칭 정보 전송부; 및
상기 매칭 정보를 확인한 학습자에 의해 각 공란마다 입력되거나 삭제된 공란 정보를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4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매칭 정보를 갱신하는 매칭 정보 갱신부를 포함한다.
각 학습자마다 대내외적인 활동을 면밀히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성찰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학습자(학생)의 학업 및 취업 역량을 향상시켜 취업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3으로써, 특허 등록번호 10-1692603에서는 "이동 단말기를 기초로 학습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설계하는 방법 및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다.
학습 포트폴리오 제공 시스템은,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학습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학습과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특화된 학습 안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통신부가 상기 결정한 학습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는 변경 가능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변경된 교육과정 정보와 교육컨텐츠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며,
상기 교육과정 정보는 초등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 직업훈련 교육과정, 고등 교육과정 및 해외 교육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교육컨텐츠 정보는 학술 데이터베이스 정보, 민간 데이터베이스 정보, 해외 교육컨텐츠 정보 및 학원에서 제공하는 개별 교육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발생되는 데이터 정보, 학습 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는 학습 활동 데이터 정보, 교육기관에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정보, 상기 사용자의 경력과 인맥에 대한 데이터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은 학습 활동 측정 기준, 맥락 기준, 참여도 기준 및 성취도 기준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활동 측정 기준은 읽기, 강좌, 퀴즈, 프로젝트, 과제, 미디어, 교습, 지도, 조사, 평가, 협업, 주석, 게이밍, 소셜, 메시징, 스케줄링 및 토론 기준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육과정 정보, 교육컨텐츠 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며,
방법은 학습 분석 대시보드 방법, 예측 분석 방법, 적응형 학습 분석 방법, 소셜네트워크 분석 방법, 담화 분석 방법 및 ICT를 활용한 평가 방법을 포함한다.
보건의료 교육 시스템에서, 의사, 치과의사, 간호사의 보건의료인력이 되기 위해 관련 학과를 졸업한 후, 국가공인자격 면허시험(지필고사와 실기시험-“국가고시”)을 합격해야 한다. 1명의 전문 의료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10년의 교육/실습/수련과정이 필요하나, 병원에서 의사 선발 시에는 해당 과정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국가면허시험 성적, 출신 학교명과 졸업학점, 출신 병원과 주변 평판에 의존하여 선발. 교육 패러다임과 외부 환경의 변화로 즉각적인 과정 중심의 평가, 포트폴리오 질적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 건강에 지켜주는 보건의료 인력의 선발과정이 1회성 지필고사와 모형 기반의 실기시험으로 시행되는 현실에 대해 임상실습 현장에서의 우려가 높은 편이다. 좋은 대학, 높은 학점, 높은 국가고시 점수의 의사와 임상 현장에서 좋은 의사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보건의료인력 교육과 평가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선 대학에서는 역량 중심의 교육(Competency based education), 사례 기반 학습(Case based Learning, CBL), 문제 해결 기반의 토론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 등 다양한 교육 방식과 이를 적용한 E-러닝 시스템이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지필 평가도 임상 역량 중심 평가가 가능하도록 멀티미디어 문항과 컴퓨터, 태블릿 PC,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UBT 시스템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건의료교육의 꽃이라 불리는 병원 임상 실습의 교육 방식과 평가 방식은 병원, 과목(내과, 외과 등), 분과(소화기 내과, 심장 내과 등), 심지어 교수자에 따라 교육 방식과 평가 기준과 평가 방식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구두로만 교수자의 임상실습 교육과 피드백이 이루어지고 있다. 성적 사정 시, 정량적 기준 없이 실습자의 임상실습 평가가 이루어져 양질의 보건의료인력 양성과 평가, 선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 2는 대학/병원/분과마다 다른 기록지와 교수마다 다른 평가 기준을 갖는 과거의 보건의료인력 평가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과거에는 모든 임상실습 활동들이 종이 기반으로 작성/제출은 되나,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이나 평가 없이 학기가 끝난 후 학점으로만 평가 결과가 통지하였다. 또한, 대학/병원/분과마다 다른 기록지와 교수마다 다른 평가 기준(동일한 대학 내에서도 “같은 실습 행위"에 대해 다른 이름과 내용의 기록지들이 존재한다(표준화된 평가의 기준 부재. 학생들은 학점으로만 피드백 확인). 동일한 대학 내에서도 전공 분과마다 다른 기록지명과 양식(A 대학의 경우, 300개가 넘는 실습 기록지 존재)을 사용한다.
도 3은 전문의료인 양성을 위한 보건의료인력 평가 방식 변화 배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1명의 전문 의료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10년의 교육/실습/수련과정이 필요하며, 병원에서 의사 선발 시에는 해당 과정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국가면허시험 성적, 출신 학교명과 졸업학점, 출신 병원과 주변 평판에 의존하여 선발하며, 보건의료교육 패러다임과 외부 환경의 변화로 즉각적인 과정 중심의 평가, 포트폴리오 질적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에는 의료 현장에서 모든 임상실습 활동들이 실습지 기반으로 작성/제출은 되나, 즉각적인 교수자의 실습 평가나 피드백 없이 학기가 끝난 후 학점으로만 평가 결과가 통지되어 실시간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임상실습의 현장 평가를 위하여 우선 임상실습의 모든 활동과 항목, 평가를 위한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핵심 요소를 도출하여 요소별로 사용자 설정 및 자유 저작 기능을 구현하였다. 임상실습의 경우, 전통적으로 대학별, 병원별, 과목별, 분과별, 심지어 교수별로 임상실습 활동과 평가 방법이 표준화되지 않고 상이하여 전산화가 불가능하였다. 결국, 기존 상용화된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보건의료인력양성 과정의 핵심 교육 과정인 임상실습 과정의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그치고 있다.
특허 등록번호 10-1068498 (등록일자 2011년 09월 22일), " 임상실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특허 공개번호 10-2013-0102384 (공개일자 2013년 09월 17일), " 이러닝 포트폴리오 관리/평가 시스템 및 방법", 조용개 특허 등록번호 10-1692603 (등록일자 2016년 12월 28일), "이동 단말기를 기초로 학습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설계하는 방법 및 서비스",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건의료기관(병원),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의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PC/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특히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며, 의료 교육과정 커리큘럼에 따라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을 공지하고, 이론과 실습 정보, 교수자의 평가와 피드백, 실습성적 정보가 관리되며, 병원 실습 시에 교수자와 실습자(학사/인턴/레지던트)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U-포트폴리오 시스템을 통해 임상실습 현장에서 외래예진기록, 입원환자 의무기록 조회, 계획과 성찰, 임상표현, 임상 술기, 임상실습 활동별 기록지에 실습 정보를 기록하여 서버에 저장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즉각적으로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를 제공하며,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U-포트폴리오 서버는 각 대학, 병원, 과목, 분과 별로 임상실습 항목, 임상실습 활동, 임상실습 활동별 기록지, 임상실습 활동별 평가 기준표, 각 과목별 최종 평가 기준표를 미리 설정/구축하고, 상기 웹, 외부 서버 및 스마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임상실습과 관련된 활동 기록을 수신하는 경우, 활동에 따른 평가 기준표를 학생 화면에 생성하여 교수자가 현장에서 평가 기준표에 따라 평가 및 피드백을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실습 활동 이력, 평가 결과, 평가 기준표의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여 개인의 실습 성취도를 추적 관리하고 분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은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습자들에 의해 실습 기록지에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된 실습 정보를 기록하고,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며, 외래예진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정보,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정보, 임상 표현 정보, 임상 술기 정보,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 제공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U-포트폴리오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방법은 (a)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습자들에 의해 실습 기록지에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된 실습 정보를 기록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U-포트폴리오 시스템으로 저장하고,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표시하는 단계; 및 (b)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며, 외래예진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정보,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정보, 임상 표현 정보, 임상 술기 정보,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 제공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연동된 임상실습 시에 (a)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습자들에 의해 실습 기록지에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된 실습 정보를 기록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U-포트폴리오 시스템으로 저장하고,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표시하는 기능; 및 (b)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며, 외래예진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정보,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정보, 임상 표현 정보, 임상 술기 정보,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 제공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은 보건의료기관(병원),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의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PC/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특히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며, 의료 교육과정 커리큘럼에 따라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을 공지하고, 이론과 실습 정보, 교수자의 평가와 피드백, 실습성적 정보가 관리되며, 병원 실습 시에 교수자와 실습자(학사/인턴/레지던트)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U-포트폴리오 시스템을 통해 임상실습 현장에서 외래예진기록, 입원환자 의무기록 조회, 계획과 성찰, 임상표현, 임상 술기, 임상실습 활동별 기록지에 실습 정보를 기록하여 서버에 저장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즉각적으로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를 제공하며, 졸업생에게는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임상실습현장 교육과 평가 시에, 기존 종이 기반의 이용 방식과 가장 유사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 평가 방식을 고안하여, 다양한 임상실습의 실습 정보 들록과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정보를 제공한다.
의과 대학과 병원에서, 외래예진환자, 입원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회하고, 임상 실습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임상실습 활동별 실습 기록지, 임상실습의 표준화, 즉각적인 교수자의 평가와 피드백의 관리 실습 항목별 평가기준에 따른 점수 부여, 실습 과정 중심의 평가와 학습, 실습 이력 관리를 제공하며, 보건의료인력 양성을 위한 포트폴리오 플랫폼(U-Folio 2.0) 고도화 및 상용화(Healthcare Edu-Tech Platform, U-FOLIO system)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은 병원과 의과 대학/치과 대학/약학 대학/간호 대학/보건의료대학, 일반 대학의 물리치료과의 보건의료 교육 부문에서 임상 실습에 적용이 가능하며, 임상 실습 위주로 이루어지는 학과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임상실습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대학/병원/분과마다 다른 기록지와 교수마다 다른 평가 기준을 갖는 과거의 보건의료인력 평가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전문의료인 양성을 위한 보건의료인력 평가 방식 변화 배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포트폴리오 인공지능 평가 가이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습자의 실습 정보 등록과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평가 가이드 피드백 봇 플랫폼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6은 전자 포트폴리오(U-Folio)의 개념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7은 U-포트폴리오 시스템 플랫폼을 보인 화면이다.
도 8은 임상실습 시에, 학생/교수 메뉴 화면이다.
도 9는 임상실습 교육 환경 프로세스의 정의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10은 임상실습 항목 구성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1은 임상실습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2는 임상 실습활동의 구성-핵심 임상실습, 필수/선택 임상실습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3은 임상 실습활동의 구성-장기추적 통합 임상실습, 학생 인턴, 자율 임상실습1/2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14는 외래예진기록(과제)-학생 실습기록지 예시: 실습 활동별 기록지 저작 모듈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5는 실습 활동별 기록지 평가 방식을 보인 화면이다.
도 16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 평가 방식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 인증 + 사후 과제형 평가 방식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스마트 디바이스,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외래예진 교육 방식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9는 스마트 디바이스,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입원환자 교육 방식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20은 스마트 디바이스,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문제바탕학습 교육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21은 실습자들에게 제공되는 외래예진기록(현장) 최종 성적표(활동별 점수 표시) 예시 화면이다.
도 22는 실습 과정 졸업 시에, U-포트폴리오 시스템(U-FOLIO)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전자 포트폴리오의 열람/출력을 나타낸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술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번호는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한다.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은 보건의료기관(병원), 의과 대학, 치과 대학, 간호 대학의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PC/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특히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며, 의료 교육과정 커리큘럼에 따라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을 공지하고, 이론과 실습 정보, 교수자의 평가, 성적 정보가 관리되며, 병원 실습 시에 교수자와 실습자(학사/인턴/레지던트)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U-포트폴리오 시스템을 활용하여 임상실습 현장에서 실습 스케쥴과 공지사항, 외래예진기록, 입원환자 의무기록 조회, 계획과 성찰 정보, 임상표현 정보, 임상 술기 정보, 실습 정보를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기록하여 서버에 저장하며 매 순간을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교수자의 피드백(환자별 응급 조치, 처방 등)과 임상실습 현장 평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를 제공하며, 그리고 졸업생에게는 졸업 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은 관련 임상 실습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실습 기록지와 임상실습의 표준화, 즉각적인 교수자의 평가와 피드백의 관리, 실습 과정 중심의 평가와 학습, 실습 이력 관리를 제공하며, 보건의료인력 양성을 위한 포트폴리오 플랫폼(U-Folio 2.0) 고도화 및 상용화(Healthcare Edu-Tech Platform, U-FOLIO system)를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포트폴리오 인공지능 평가 가이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습자의 실습 정보 등록과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평가 가이드 피드백 봇 플랫폼을 나타낸 화면이다.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습자들에 의해 실습 기록지에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된 실습 정보를 기록하고,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며, 실습 스케쥴과 공지사항, 실습자들에 의해 작성되는 실습 기록지에 의료기기의 측정 정보와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된 실습 정보를 기록하고,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저장하여 제공하고, 외래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정보, 임상 표현 정보, 임상 술기 정보,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입력 값과 표준 답안 루브릭 간 상관관계 분석) 제공하며 그리고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U-포트폴리오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방법은 (a)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습자들에 의해 실습 기록지에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된 실습 정보를 기록하여 사용자 단말(태블릿 PC)로부터 U-포트폴리오 시스템으로 저장하고,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표시하는 단계; 및 (b)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며, 외래예진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정보,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정보, 임상 표현 정보, 임상 술기 정보,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 제공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연동된 임상실습 시에 (a)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습자들에 의해 실습 기록지에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된 실습 정보를 기록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U-포트폴리오 시스템으로 저장하고,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표시하는 기능; 및 (b)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며, 외래예진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정보,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정보, 임상 표현 정보, 임상 술기 정보,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 제공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노트북, 및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사용한다. 실시예에서는 태블릿 PC를 사용하였다.
상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실습 기록지에 실습자의 실습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해당 실습마다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되는 실습 기록 정보를 저장하고, 서버의 피드백 봇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실습 기록지에 임상실습 관련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정보를 전송하며, 실습 정보를 저장하고 빅 데이터를 분석 후, 교수자의 평가와 실습 성적표를 제공한다.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인공지능 플랫폼 연결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되는 실습 기록 정보를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하고, 서버의 실습 관련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전달부;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되는 실습 기록 정보를 베이지안 분류기 또는 SVM 분류기를 사용한 현장 실습 사진의 분류와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에 의해 학습, 딥러닝(CNN)을 사용한 현장 실습 사진의 특징점을 추출과 분류하여 이를 분석하며 또는 피드백 봇(feedback bot)을 사용한 강화 학습에 의해 평가 결과를 학습하는 학습부;
학습 모델에 따라 분석 학습된 현장 실습 사진과 최종 학습 결과를 저장하는 최종 학습 모델 저장부;
실습 정보를 저장하고 빅 데이터를 분석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실습 정보를 저장하고 빅 데이터를 분석 후, 평가와 실습 성적표를 제공하는비교결과 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사용자 인증부;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전자 포트폴리오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의 기계 학습 엔진과 학습 모델 알고리즘(베이지안 분류기, SVM 분류기)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CNN 등)을 사용하여 현장 실습 사진을 특징 추출 및 분류(내과/외과, 위장/폐 등)하고 실습 기록 및 임상 실습 평가항목마다 점수화하여 교수자의 평가 결과를 제공한다.
도 6은 전자 포트폴리오(U-Folio)의 개념을 나타낸 화면이다.
전통적으로 포트폴리오(portfolio)는 자신의 이력이나 경력, 실력 등을 증빙하기 위해 만든 자료 묶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전자 포트폴리오는 U-포트폴리오의 학습자 중심의 전통적인 개념에서 학습자와 교수자 쌍방의 관계, 임상 실습 교육에서 교수자의 즉각적인 평가와 피드백이 추가된 과정 중심의 평가 플랫폼에서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증명서이다.
도 7은 U-포트폴리오 시스템 플랫폼을 보인 화면이다.
U-포트폴리오 전체 플랫폼은 각 의료 기관, 교육 기관별로 다른 커리큘럼과 교육 목표, 활동을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기관별 서버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연동한다.
임상 실습 역량 중심의 교육(Competency based education), 사례기반 학습(Case based Learning, CBL), 문제 해결 기반의 토론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의 임상실습 교육방식과 이를 적용한 u-러닝 시스템이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지필고사는 평가도 임상 역량 중심 평가가 가능하도록 멀티미디어 문항과 컴퓨터, 스마트폰/태블릿 PC, 태블릿 PC를 활용한 유비쿼터스 기반 시험(UBT) 시스템이 도입될 수 있다.
a. 학생 데이터 입력 모듈은 학생들이 각 교육 기관의 졸업목표, 졸업역량, 과정성과에 맞게 학생 스스로 학습계획을 수립하고, 각 교육 기관의 정규 교육 과정 내학습활동 정보, 임상실습 활동 정보, 비정규 과정의 활동(학습/연구/실습/봉사/동아리/독서/취미/어학/자격증/보직/수상/기타 등) 등 학습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기록하며, 교수자의 평가와 피드백 결과를 조회하고 이를 기반으로 성찰할 수 있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b. 교수 평가 데이터 입력 모듈은 교수자들이 학생이 제출한 기록들을 조회하고, 활동에 맞는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와 피드백을 하며, 해당 학기(해당 실습 기간) 배정된 학생들의 포트폴리오를 종합적으로 조회하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c. 각 과정별 책임교수/관리자 모니터링 및 환경 설정 모듈은 학생과 교수 간의 쌍방향 평가와 피드백 과정과 통계를 모니터링하고, 각 교육 기관의 졸업목표, 졸업역량, 과정성과에 맞게 활용할 임상실습 활동명을 선택/설정, 필수 임상실습 항목을 설정, 항목별로 학생 기록 내용, 교수자 평가기준, 평가 방식, 점수 변환 기준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평가 및 피드백 담당자를 배정하는 등 해당 학기의 학습/실습 환경을 세팅하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d. 각 대학별 환경 설정 모듈은 각 대학의 학사 체계, 교육 과정, 교육 목표, 졸업역량, 과정성과를 설정하고 학생과 평가자 정보 등록 및 관리, 학사 일정, 실습 일정을 배정 및 관리하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외래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임상 표현, 임상 술기,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실습 성적표(실습 항목별 점수 표시)를 제공하는 실습 관리 시스템; 의과 대학과 병원에서 환자별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실습자 단말기와 교수자 단말기의 서버의 피브백 봇(Feedback Bot)에 의해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에서 1:1 또는 1:N multithread와 multicasting 기술을 사용하여 실습자별 실습 기록지에 교수자 피드백(환자별 응급조치, 처방 등)과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AI 기반 피드백 봇 엔진; 임상 실습과 관련된 실습 기록을 참조하여 AI 빅데이터 기반 장기 추적 통합 학습 성과 분석 엔진;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개인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습자 학생, 교수, 책임 교수, 관리자 단말기가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되어 임상 실습 현장에서 개인별 실습 기록을 입력하고 실습 이력이 관리되며, 실습자별 실습 기록지에 교수자의 피드백(환자별 응급조치, 처방 등)과 평가, 실습자별 성적표(실습 평가 항목별 점수 표시)를 제공하며, 개별적으로 실습자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보건의료 현장 또는 실습 현장에서 교수자는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태블릿 PC)를 사용하여 U-Portfolio 시스템의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메인 서버의 피드백 봇에 의해 CSCW 그룹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을 multi-thread와 multicasting 기술을 사용하여 교수자가 실습자가 제시한 현장 실습 기록지에 밑줄을 긋거나 텍스트, 그림, 사진, 교수자의 음성 녹음, 파일 전송을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기며, 교수자의 실습 현장 피드백 내용은 즉시 캡쳐되어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환자별 응급조치, 처방 등), 교수자의 평가와 실습 성적관리, 실습자들과 교수자의 상호 학습, 학생의 실습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정보를 종합하여 PC(Web), 스마트폰(App), 태블릿 PC(App)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인공 지능과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사용한 클라우드 실습교육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보건의료 교육을 위해 의과대학/병원 특화 실습 교육관리 시스템 인 U-포트폴리오 서비스(U-Portfolio Service)를 제공한다.
U-Portfolio 시스템은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보건 의료 실습 현장에서 실습 기록지에 내용 작성, 교수자로부터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 실습 대상자를 공지받고, 이론과 실습 교육,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feedback)을 받는 실습 교육 및 교수자 피드백과 평가 솔루션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보건의료 교육 부문에서 의과대학/병원에서 현장 실습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실습교육 부문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은 의과대학/치과대학/약학 대학/간호 대학/보건의료대학, 일반 대학의 물리치료과의 보건의료 교육 부문에서 임상 실습에 적용이 가능하며, 임상 실습 현장 위주로 이루어지는 학과에 적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의과대학용 U-포트폴리오 서비스
태블릿 PC를 사용한 보건의료 교육 U-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에서 보건의료기관, 병원 등의 실습 정보에서 학생 실습 정보와 실습 이력,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의료기관과 병원에서 즉각적인 교수자 현장 피드백(환자별 응급조치, 처방, 간호/응급 구조)을 제공한다.
○ 의과대학 특화 실습 교육 관리 시스템 U-포트폴리오
- U-Portfolio 서비스는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임상 실습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교육 내용 실습 기록지에 작성, 교수자로부터의 평가와 교수자의 feedback을 받는 실습 교육 및 평가 솔루션으로써, PC,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동작된다.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사용자 인증부;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전자 포트폴리오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U-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은 PC/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보건의료 교육 부문에서 - 보건의료기관(병원), 교육기관(의과 대학)의 해당 실습자(학사/인턴/레지던트)에게 실습 일정과 실습 스케쥴을 공지하고, 이론과 실습 정보,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실습자의 실습이력 관리, 교수자와 학습자/실습자들이 메신저를 사용한 Peer-to-Peer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U-포트폴리오 시스템 상에서 개인별 학생의 실습관리, 실습 평가 점수를 제공한다.
도 8은 임상 실습시에 학생/교수 메뉴 화면이며, 실습자 학생 화면과 교수자 화면이 제공되고, 실습 계획과 공지사항, 교수자와 실습자 단말기의 채팅을 통한 피드백 토크(feedback talk), My 내 정보 관리, 과정별 계획과 성찰, 실습 일정, 실습 지침, 핵심 임상실습, 장기추적 통합 임상실습, 학생 인턴, 필수/선택임상실습, 학교별 자율 임상실습1,2, 학습 활동, 연구활동, 실습 활동, 임상표현 중심 학습 향상도 분석, 임상술기 중심 학습 향상도 분석, 동아리 활동,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되는 최종 전자 포트폴리오가 제공된다.
U-포트폴리오의 전체 메뉴도를 참조하면, 보건의료인력약성 과정의 경우, 시기(Phase) 별로 교육 커리큘럼과 성과가 상이하다. 각 시기별 학습/실습 증거를 축적할 수 있는 메뉴와 교육과정 기간 동안 통합 추적할 수 있는 메뉴, 포트폴리오 관리 메뉴, 공통 메뉴로 구성하고, 각 교육기관별로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임상실습의 현장 평가를 위하여 우선 임상실습의 모든 활동과 항목, 평가를 위한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핵심 요소를 도출하여 요소별로 사용자 설정 및 자유 저작 기능을 구현하였다. 임상실습의 경우, 전통적으로 대학별, 병원별, 과목별, 분과별, 심지어 교수별로 임상실습 활동과 평가 방법이 표준화되지 않고 상이하여 전산화가 불가능하였다. 결국 기존 상용화된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보건의료인력양성 과정의 핵심 교육 과정인 임상실습 과정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임상실습 활동(예진 교육, 입원환자 교육, 수술 교육 등), 필수 실습 항목명(임상표현, 진단명, 임상술기 항목 등), 임상실습 활동 별 기록지, 임상실습 활동 별 평가 방식, 평가 기준(Rubric), 최소 실습 횟수과 회당 점수 정의, 최종 성적표 반영 방식 정의, 최종 성적표 반영 방식 정의로 핵심 요소를 정의하고, 각 요소별로 사용자 설정 및 자유 저작 기능을 구현하여 세계 최초로 임상실습 활동의 전산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도 9는 임상실습 교육 환경 프로세스의 정의를 나타낸 화면이다.
임상실습 교육 환경 프로세스는 임상실습 활동 정의(표준 활동/자유 저작)-> 필수 실습 항목명 정의(표준 용어집/표준 코드)->임상실습 활동별 기록지 정의->임상실습 활동별 평가 방식 정의->임상실습 활동별 또는 실습 항목별 평가기준 정의->최소 실습 횟수와 횟수당 점수 정의-> 대학, 학기, 과목(내과, 외과 등)별 최종 성적표 반영 방식 정의를 포함한다.
도 10은 임상실습 항목 구성을 나타낸 화면이다.
임상실습 항목은 보건의료 표준 용어와 국제 표준 질병 코드 등을 활용하여 보건의료 용어 사전을 구축하였으며, 이 중에서 각 대학, 각 실습 과목별로 필수 임상실습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용어 및 데이터 처리의 표준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든 활동의 기록과 평가 데이터에 임상실습 항목을 사용자가 직접 태깅하기 때문에, 임상실습 활동간의 연계성, 평가 항목간의 연계성, 이에 따른 장기 추적 학습 분석 등이 가능하다.
임상실습 항목 구성은 한국 보건의료인력표준 학습 성과와 대학 학습 성과(과목별 학습성과, 통합 교육과정별 학습성과, 수업별 학습성과, 임상실습 교육과정별 학습성과, 실습과목별 학습성과)에 따라 임상표현(급성복통, 소화불량, 기침, 호흡 곤란, 위염, 위암, 수술 후 발열), 필수 환자군 진단명, 임상술기(기본 임상술기, 관찰 임상술기, 수술 및 기타 수기), 및 자율 실습 항목을 포함한다.
보건의료인력양성을 위한 임상실습 과정은 그림과 같이 정의하였으며, 해당 과정명은 각 대학별로 수정이 가능하고, 사용 여부 역시 선택 가능하다.
도 11은 임상실습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예를 들면, 임상실습 과정은 핵심 임상실습, 장기추적 통합 임상실습, 필수/선택 임상실습, 학생 인턴, 자율 임상실습 과정1, 및 자율 임상실습 과정2를 포함한다.
핵심임상실습과 필수/선택임상실습의 세부 임상실습 활동은 도 12와 같이 정의하였으며, 해당 임상실습 활동은 각 대학, 각 실습 과목별로 사용 여부를 선택 가능하다.
장기추적통합임상실습, 학생인턴, 자율 임상실습의 세부 임상실습 활동은 도 13과 같이 정의하였으며, 장기추적통합임상실습과 학생인턴은 학생에 의해 환자별로 각 활동의 사용 여부 선택이 가능하고, 자율 임상실습의 경우에는 각 대학, 각 실습 과목별로 사용 여부를 선택 가능하다.
도 12는 임상실습 활동의 구성-핵심 임상실습, 필수/선택 임상실습을 나타낸 화면이다.
임상실습 활동의 구성-핵심 임상실습, 필수/선택 임상실습 시에,
- 실습 기록지 선택[외래예진기록, 입원환자 의무기록(SOAP, 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 경과기록(SOAP), 자유기록, 360도 평가(환자)]
- 실습 기록지 선택[외래예진기록(현장), 입원환자 의무기록(POMR),
수술참관기록, 기본임상술기, 관찰임상술기, 처방기록, 자유기록
* 계획과 성찰: 임상표현 계획과 자기평가, 임상술기 계획과 자기평가,
최종 성찰, 주간실습계획과 성찰, 일일실습기록, 실습기록(오전/오후),
360도 평가(전공의, 동료, 환자, 간호사/응급구조사/임상병리사 등),
의사다움, 환자 안전 성찰
* 임상 표현: 외래예진기록(현장-최종), 외래예진발표(현장-최종-SNAPPS),
외래예진발표(현장-SNAPPS), 외래참관(예진 대체), 외래예진기록(과제), 외래참관, 입원환자 의무기록(POMR), 입원환자 증례발표, 증례발표(응급실), 문제바탕학습(Problem base Learning, PBL)(1회차), 문제바탕학습(2회차), 문제바탕학습(과제), 진료수행평가(CPX)
* 임상 술기: 임상 술기(루브릭 평가), 임상 술기(척도 평가),
임상 술기(관찰), 수술참관기록
* 자율 실습: 자유기록(과제), 자유기록(현장 발표)
* 수기 입력: 지필고사, OSCE, CPX
도 13은 임상 실습활동의 구성-장기추적 통합 임상실습, 학생인턴, 자율 임상실습1/2를 나타낸 화면이다.
* 장기추적 통합 임상실습: 월간성찰, 월간평가, 최종평가
환자별 기록[외래예진기록(과제), 입원환자 의무기록(SOAP), 경과기록(SOAP), 수술참관기록, 자유기록, 360도 평가(환자)]
* 학생 인턴: 주간 실습 계획과 성찰, 최종평가,
환자별 기록[외래예진기록(현장), 입원환자 의무기록(POMR), 경과기록(SOAP), 수술참관기록, 기본임상술기, 관찰임상술기, 처방기록, 자유기록]
* 자율 임상실습1: 순환 관찰 출석, 나절별 임상참여, 전 임상실습,
증례별 임상실습, 기공, 세미나, Total Case, 역량 평가, 비판적사고 에세이
Report
* 자율 임상실습2:
순환 관찰 출석, 나절별 임상참여, 전 임상실습,
증례별 임상실습, 기공, 세미나, Total Case, 역량 평가, 비판적사고 에세이
Report
임상실습 활동별 기록지의 경우, 실습 시간, 평가자 선택 방식, 실습항목, 환자정보, Case 정보, 실습 활동, 실습 메모, 첨부 파일, URL, 현장 평가 후 과제 부여 여부, 기록지 이월 여부 등의 구성 요소를 블록 방식으로 모듈화하여 교육기관 마다 활동별로 기록지의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임상실습 활동에 대한 평가 방식은 과제형 평가, 현장평가, 현장인증+사후평가, 공개문서(자동 채점)로 구분된다. 과제형 평가는 타 e포트폴리오 시스템에서 채택한 온라인 평가 방식으로 학생이 평가자에게 자신의 활동을 기록하여 제출하면, 교수자가 자기 디바이스에서 로그인하여 학생이 제출한 과제 화면을 열고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과제형 평가는 학생이 작성한 내용을 충분히 읽고 정확하게 평가하여 피드백하기에는 유효하나, 학생과 교수자가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로그인하여 제출을 대기하여 평가하는 것은 바쁜 임상 실습 환경에서는 한계가 있었다. 이로 인해 학생은 실습이 끝나고 재택에서 2~3일 후에 과제를 제출하고, 교수자가 학생 실습이 이미 끝난 후 수십개의 과제가 쌓여 있는 상태에서 평가하도록 현장 실습교육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외래예진기록(과제)-학생 실습기록지 예시: 실습 활동별 기록지 저작 모듈을 나타낸 화면이다.
외래예진기록(과제)-학생 실습기록지는 실습정보(병원, 분과, 과, 날짜, 시간), 기본정보(담당교수(전공의), 테스트 교수), 실습 항목(임상표현 선택, 필수환자군 선택, 기타 입력), 환자정보(유형, 환자이름, 연령, 성별, 병력번호), 실습 내용(C.C, 주제, 목적, 평가(Assessment), Plans-진단, 치료, 교육), 파일 업로드(jpg,jpeg,png,docx,pptx,pdf) 칸을 포함한다.
[실습 기록지 저작요소 및 기능]
A. 시간 입력부
○ 시간 입력형 ○ 오전/오후 선택형 ○ 미사용(자동 기록)
B. 평가자 입력부
○ 시간 입력형 ○ 오전/오후 선택형 ○ 미사용(자동 기록)
C. 실습항목 입력부
○ 표준 학습성과 ○ 대학 학습성과 ○ 임상표현 ○ 필수환자군
○ 진단명 ○ 임상술기(기본술기 / 관찰술기/ 기타 수기)
○ 자유항목(현장) ○ 자유항목(과제) ○ 수기입력 항목
D. 환자정보 입력기
○ 기본(상세) ○ 간소화 버전 (환자 정보 자리수 설정) ○ 미사용
E. CASE 정보 입력기
○ 사용 (CASE NO 자리수 설정) ○ 미사용
F. 실습 활동 입력기 (텍스트)
○ 사용 ○ 미사용
G. 실습 활동 입력기 (에디터)
○ 사용 ○ 미사용
H. 실습 메모 입력기 (현장 평가 후 수정 가능)
○ 사용 ○ 미사용
I. 첨부 파일 입력기
○ 사용 ○ 미사용
J. URL 입력기
○ 사용 ○ 미사용
K. 현장 평가 후 과제 부여 기능 사용 여부
○ 사용 ○ 미사용
L. 기록지 이월 기능 사용 여부(최종 성적에 미반영 기록 다음 학기로 이월)
○ 사용 ○ 미사용
도 15는 실습 활동별 기록지 평가 방식을 보인 화면이다.
(1) 과제형 평가(일반 온라인 과제형 평가)
- 학생 제출 -> 교수자 평가
- 반려 및 반려 시 문서 버전 관리
(2) 현장 평가(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현장 평가)
- 학생 작성, 평가자 선택 후 제출
- 학생 화면에 평가기준표 출력
- 교수자의 현장 인증(모바일 인증 번호, 손글씨 활용 서명 등)
(3) 현장 인증 + 사후 과제형 평가(현장 인증과 평가는 사후로 진행)
- 학생 작성 제출 단계
- 학생 화면에서 전공의 등 현장 평가자의 현장 인증 단계
(최종 평가자에게 자동 제출)
- 최종 평가자는 학생 제출 내용과 현장 평가자의 피드백 내용을 토대로 평가(점수 입력)
전통적으로 종이를 제출하는 서명 받는 프로세스와 달리, 현장 평가 방식은 실습자 학생의 스마트 디바이스(태블릿 PC)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임상실습 활동을 기록하고 자기 스마트 디바이스(태블릿 PC)를 사용하여 실습 정보를 제출하여 평가자로부터 평가 또는 인증을 받는 방식이다. 평가자 인증 방식은 학번, 모바일PIN 번호, 서명, 안면 인식, 홍채 인식, 지문 인식 등 바이오 정보, QR코드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이는 교수자가 PC 또는 모바일에서 별도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번거로움 없이, 전자 평가가 가능하여,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고 현장 교육 및 평가를 허위로 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 16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 평가 방식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마트 디바이스(태블릿 PC)를 활용한 현장 평가 방식은, 학생 실습 활동 선택 -> 실습활동에 따른 기록지 입력폼 노출 -> 평가자 선택 -> 실습항목(필수, 선택) 선택 -> 실습 기록지 내용 입력 -> 서버 저장/제출 -> 학생 화면(단말)에 실습활동 및 실습항목에 따른 현장 평가기준표 노출 -> [평가자] 평가 데이터 및 피드백 내용, 본인인증 정보 입력 -> 평가자(본인 인증) -> 현장 평가 완료 (학생에게 평가 결과 및 피드백 전송) 과정으로 구성된다.
또한, 현장 인증+사후 과제형 평가 방식은 현장 평가와 과제형 평가를 결합한 방식으로 현장 인증자가 학생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현장 인증을 수행하고, 교수자가 사후에 과제형 평가를 하는 방식이다. 수련의, 전공의 등 평가 권한이 없는 보건의료인들이 바쁜 교수들을 대신하여 임상실습 출석 체크 및 현장 실습 수행 내용을 관찰하고 메모 등을 남기면, 교수자들이 사후에 해당 내역을 참고하여 과제형 평가를 할 수 있다.
도 17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 인증 + 사후 과제형 평가 방식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 인증 + 사후 과제형 평가 방식은, 학생 실습 활동 선택 -> 실습활동에 따른 기록지 입력폼 노출 -> 평가자 선택 -> 실습항목(필수, 선택) 선택 -> 실습 기록지 내용 입력 -> 서버 저장/제출 -> 학생 화면(단말)에 실습활동 및 실습항목에 따른 현장 인증영역 노출 -> [현장인증자] 본인인증 정보 입력 및 현장 메모 -> 본인 인증 -> 현장 인증 완료 (최종 평가자에게 자동 제출) 과정으로 구성된다.
평가자는 U-포트폴리오 시스템으로 평가자 로그인 -> To do list에 현장 인증된 기록지(평가 대기 상태) 노출 -> 평가 대기 상태의 기록지 선택 -> 실습 활동 및 실습 항목에 따른 기록 내용 및 현장 인증, 메모 내역 노출 -> 평가 데이터 미 피드백 내용 입력 -> 사후 평가 완료(학생에게 평가 결과 및 피드백 전송) 과정을 실행한다.
도 18은 스마트 디바이스,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외래예진 교육 방식을 나타낸 화면이다.
실습자 학생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서버에 접속하여 활동명(외래예진), 활동 정의(환자-교수 외래 진료 전, 학생이 환자를 먼저 만나 상담 진행), 기록지명(외래예진기록지(현장)”를 작성/제출), 기록 내용(환자정보와 SOAP(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진단/치료/교육 순)을 서버에 저장한다.
학생은 활동명(외래예진기록지 보완/성찰)을 체크하고, 현장 피드백 받은 내용을 참고하여 외래예진 기록지를 보완하여 제출하며, 외래예진기록지(최종)”를 작성/제출한다. 학생은 제출한 외래예진기록(최종) 문서 중 1개를 선택하여 발표지를 생성, 작성하여 서버에 저장한다.
학생은 활동명(외래예진 CASE 발표 준비), 활동 정의(외래예진 Case 발표 자료 작성), 기록지명(“외래예진발표(SNAPPS)”를 작성/제출), 기록내용(외래예진 Case 발표자료 작성)을 작성하여 서버에 저장한다.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외래 참관 후, 외래예진기록지 현장 피드백), 활동 정의(환자-교수 외래 진료를 참관하고, 사전 작성/제출), 기록지명(“외래예진기록지(현장)”를 현장 승인), 평가방법(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현장 승인)에 의해 평가가 실행된다.
외래예진 CASE 발표 시에,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외래예진 CASE 발표), 활동 정의(외래예진 Case 중 1개를 선택하여 발표), 기록지명(“외래예진발표(SNAPPS)”를 현장 평가), 평가 방법(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현장 평가(SNAPPS 평가 기준 제시, 평가 결과 제공)에 의해 평가가 실행된다.
교수자는 교수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외래예진기록지(최종) 평가), 활동 정의(학생이 제출한 외래예진기록지를 평가), 기록지명(“외래예진기록지(최종)”를 과제형 평가), 평가 방법(과제형 평가 (SOAP 평가 기준 제시))에 의해 평가한다.
도 19는 스마트 디바이스,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입원환자 교육 방식을 나타낸 화면이다.
실습자 학생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서버에 접속하여 활동명(입원환자 Care), 활동 정의(입원 환자를 1명 배정받아, 환자를 Care), 기록지명(“입원환자 의무기록(POMR)”을 작성/제출), 기록 내용(환자정보, 문제목록, 문진, 신체진찰, 초기 문제목록, 평가, 계획, 경과 기록 작성)을 작성하여 서버에 저장한다.
학생은 활동명(입원환자 CASE 발표 준비), 활동 정의(입원환자 Case 중 1개를 선택하여 증례 발표 자료 작성/제출), 기록지명(“입원환자 증례발표”를 작성/제출), 기록내용(입원환자 Case 발표자료 작성)을 작성하여 서버에 저장한다.
입원환자 증례 발표 시에,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입원환자 CASE 발표), 활동 정의(입원환자 Case 중 1개를 선택하여 발표), 기록지명(“입원환자 증례 발표”를 현장 평가), 평가 방법(학생 스마트디바이스 활용, 현장 평가(증례발표 평가 기준 제시, 평가 결과 비공개)에 의해 평가가 실행된다.
교수자는 교수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입원환자 의무기록(POMR) 평가), 활동 정의(학생이 제출한 의무기록지를 평가), 기록지명(“입원환자 의무기록(POMR)”를 과제형 평가), 평가 방법(과제형 평가 (POMR 평가 기준 제시))에 의해 평가한다.
도 20은 스마트 디바이스,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문제바탕학습 교육을 나타낸 화면이다.
실습자 학생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서버에 접속하여 활동명(문제바탕학습(개인 과제) 작성), 활동 정의(개인별 스키마 작성/제출), 기록지명(“문제바탕학습(과제)”를 작성/제출), 기록 내용(환자정보, 개인별 스키마 작성)을 서버에 저장한다.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문제바탕학습(Problem base Learning) 1차), 활동 정의(그룹 토의), 기록지명(“문제바탕학습(1회차)”를 현장 그룹 평가), 기록 내용(조장이 조원을 선택하여 자기 디바이스 제출, 교수자는 그룹 평가 진행(평가 기준 제시, 평가 결과 비공개))을 서버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또한,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문제바탕학습(Problem base Learning) 2차), 활동 정의(그룹 토의), 기록지명(“문제바탕학습(2회차)”를 현장 그룹 평가), 기록 내용(조장이 조원을 선택하여 자기 디바이스 제출, 교수자는 그룹 평가 진행(평가 기준 제시, 평가 결과 비공개))을 서버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교수자는 교수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서버에 접속하여 활동명(문제바탕학습(개인 과제) 평가), 활동 정의(학생이 제출한 개인과제를 평가), 기록지명(“문제바탕학습(과제)”를 과제형 평가), 평가 방법(과제형 평가(평가 기준 제시, 평가결과 공개))에 의해 평가한다.
도 21은 실습자들에게 제공되는 외래예진기록(현장) 최종 성적표(활동별 점수 표시) 예시 화면이다.
임상 실습에 설정한 활동, 기록지, 평가방식, 실습항목에 따른 1건의 실습 행동(기록지+평가표)에 대해 건당 점수, 최소 실습 건수를 정의하고, 임상 실습 최종 성적표는, 매 순간의 실습 현장의 기록과 평가 결과가 자동으로 취합/계산되어 실습자 학생의 임상 실습 성적표가 산출된다. 교수자의 평가에 따라 매 순간의 평가 결과가 축적되어 학생의 최종 성적이 완성된다.
좌측 화면은 외래예진 교육을 예시로 최종 성적표를 나타낸 예이다.
A. 활동 별 회당 점수 정의
- 예진 교육(예진 현장승인 + 예진 과제평가) 1회 당 만점 5점으로 정의
B. 최소 실습 획수 정의
- 해당 과에서 예진 교육을 6회 시행하는 것으로 정의
C. 최종 성적표 반영 방식 정의
- 실습 1회당 원점수 부여 방식 : 실습 횟수에 제한 없이 점수 누적
- 최소 실습 건수 설정 방식 : 실습을 많이 하여도 최소 실습 건수까지만
점수 반영 (최고점 순, 평균점수 반영 등)
D. 활동 별 만점 산출
- C의 기준에 따라 A X B의 점수가 활동별 만점으로 산출
E. 절대 평가 여부 설정
○ ON (PASS 기준 도달시에만 PASS) ○ OFF (상대 평가)
F. A~E를 설정 시, 학생 성적 산출 화면 (예진 교육 점수, 주간 산출)
G. 임상 실습의 평가 항목별 점수가 표시된 최종 성적표 자동 산출 화면
도 22는 실습 과정 졸업 시에, U-포트폴리오 시스템(U-FOLIO)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전자 포트폴리오의 열람/출력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23은
모든 학습, 임상 실습의 기록과 평가 데이터는 시기별, 임상실습 요소별로 추적 분석 가능하여, 학생 개인의 임상실습 성과를 진단/예측하여 맞춤 임상 실습 계획을 수립한다. 또한 졸업 후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며, 실습자 학생은 자신의 임상실습 성취도를 사용자 단말의 대시보드로 데이터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실습 이력과 교수자의 평가 이력이 누적되어 있는 전자 포트폴리오(전자 증명서)를 제공한다.
실습 과정 졸업 시에, 졸업생은 열람 권한을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서버 URL에 접속하여 학교 인증후 분산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fier, DID)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U-FOLIO)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열람/출력하도록 한다.
임상실습현장 교육과 평가 시에, 기존 종이 기반의 이용 방식과 가장 유사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 평가 방식을 고안하여, 다양한 임상실습의 실습 정보 들록과 즉각적인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U-Portfolio) 시스템은 병원과 의과 대학/치과 대학/약학 대학/간호 대학/보건의료대학, 일반 대학의 물리치료과의 보건의료 교육 부문에서 임상 실습에 적용이 가능하며, 임상 실습 현장 위주로 이루어지는 학과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와 같은 저장 매체에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기계어 코드 뿐만아니라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습자들에 의해 실습 기록지에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된 실습 정보를 기록하고,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며, 외래예진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정보,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정보, 임상 표현 정보, 임상 술기 정보,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 제공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U-포트폴리오 시스템;
    을 포함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실습 기록지에 실습자의 실습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해당 실습마다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제시부;
    를 포함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되는 실습 기록 정보를 저장하고, 서버의 피드백 봇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실습 기록지에 임상실습 관련 교수자의 피드백과 평가 정보를 전송하며, 실습 정보를 저장하고 빅 데이터를 분석 후, 교수자의 평가와 실습 성적표를 제공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사용자 인증부;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전자 포트폴리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외래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임상 표현, 임상 술기,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실습 성적표(실습 항목별 점수 표시)를 제공하는 실습 관리 시스템; 및
    실습자 단말기와 교수자 단말기의 서버의 피브백 봇(Feedback Bot)에 의해 공유 작업 공간(shared workspace)에서 1:1 또는 1:N multithread와 multicasting 기술을 사용하여 실습자별 실습 기록지에 교수자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AI 기반 피드백 봇 엔진;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개인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임상 실습과 관련된 실습 기록을 참조하여 AI 빅데이터 기반 장기 추적 통합 학습 성과 분석 엔진; 및
    의과 대학과 병원에서 환자별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을 통해 임상 실습시에 실습자/교수자 단말기 메뉴 화면은, 학생 화면과 교수자 화면이 제공되고, 실습 계획과 공지사항, 교수자와 실습자 단말기의 채팅을 통한 피드백 토크(feedback talk), My 내 정보 관리, 과정별 계획과 성찰, 실습 일정, 실습 지침, 핵심 임상실습, 장기추적 통합 임상실습, 학생 인턴, 필수/선택임상실습, 학교별 자율 임상실습1,2, 학습 활동, 연구활동, 실습 활동, 임상표현 중심 학습 향상도 분석, 임상술기 중심 학습 향상도 분석, 최종 전자 포트폴리오가 제공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실습은 핵심 임상실습, 장기추적 통합 임상실습, 필수/선택 임상실습, 학생 인턴, 자율 임상실습 과정1, 및 자율 임상실습 과정2를 포함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 실습 시에,
    외래예진기록(과제)-학생 실습기록지는 실습정보(병원, 분과, 과, 날짜, 시간), 기본정보(담당교수(전공의), 테스트 교수), 실습 항목(임상표현 선택, 필수환자군 선택, 기타 입력), 환자정보(유형, 환자이름, 연령, 성별, 병력번호), 실습 내용(C.C, 주제, 목적, Assessment, Plans-진단, 치료, 교육), 파일 업로드(jpg,jpeg,png,docx,pptx,pdf)를 제공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외래 예진 시에,
    실습자 학생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외래예진), 활동 정의(환자-교수 외래 진료 전, 학생이 환자를 먼저 만나 상담 진행), 기록지명(외래예진기록지(현장)”를 작성/제출), 기록 내용(환자정보와 SOAP(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진단/치료/교육 순)이 서버에 저장되며,
    학생은 활동명(외래예진기록지 보완/성찰)을 체크하고, 현장 피드백 받은 내용을 참고하여 외래예진 기록지를 보완하여 제출하며, 외래예진기록지(최종)”를 작성/제출한다. 학생은 제출한 외래예진기록(최종) 문서 중 1개를 선택하여 발표지를 생성, 작성되어 저장되고,
    학생은 활동명(외래예진 CASE 발표 준비), 활동 정의(외래예진 Case 발표 자료 작성), 기록지명(“외래예진발표(SNAPPS)”를 작성/제출), 기록내용(외래예진 Case 발표자료 작성)을 작성되어 저장되고,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외래 참관 후, 외래예진기록지 현장 피드백), 활동 정의(환자-교수 외래 진료를 참관하고, 사전 작성/제출), 기록지명(“외래예진기록지(현장)”를 현장 승인), 평가방법(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현장 승인)에 의해 평가가 실행되며,
    외래예진 CASE 발표 시에,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외래예진 CASE 발표), 활동 정의(외래예진 Case 중 1개를 선택하여 발표), 기록지명(“외래예진발표(SNAPPS)”를 현장 평가), 평가 방법(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현장 평가(SNAPPS 평가 기준 제시, 평가 결과 제공)에 의해 평가가 실행되며,
    교수자는 교수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외래예진기록지(최종) 평가), 활동 정의(학생이 제출한 외래예진기록지를 평가), 기록지명(“외래예진기록지(최종)”를 과제형 평가), 평가 방법(과제형 평가 (SOAP 평가 기준 제시))에 의해 평가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입원환자 교육 시에,
    실습자 학생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입원환자 Care), 활동 정의(입원 환자를 1명 배정받아, 환자를 Care), 기록지명(“입원환자 의무기록(POMR)”을 작성/제출), 기록 내용(환자정보, 문제목록, 문진, 신체진찰, 초기 문제목록, 평가, 계획, 경과 기록 작성)이 서버에 저장되며,
    학생은 활동명(입원환자 CASE 발표 준비), 활동 정의(입원환자 Case 중 1개를 선택하여 증례 발표 자료 작성/제출), 기록지명(“입원환자 증례발표”를 작성/제출), 기록내용(입원환자 Case 발표자료 작성)을 작성되어 자장되고,
    입원환자 증례 발표 시에,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입원환자 CASE 발표), 활동 정의(입원환자 Case 중 1개를 선택하여 발표), 기록지명(“입원환자 증례 발표”를 현장 평가), 평가 방법(학생 스마트디바이스 활용, 현장 평가(증례발표 평가 기준 제시, 평가 결과 비공개)에 의해 평가가 실행되며,
    교수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서버에 접속하여 활동명(입원환자 의무기록(POMR) 평가), 활동 정의(학생이 제출한 의무기록지를 평가), 기록지명(“입원환자 의무기록(POMR)”를 과제형 평가), 평가 방법(과제형 평가 (POMR 평가 기준 제시))에 의해 평가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문제바탕학습 교육 시에
    실습자 학생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문제바탕학습(개인 과제) 작성), 활동 정의(개인별 스키마 작성/제출), 기록지명(“문제바탕학습(과제)”를 작성/제출), 기록 내용(환자정보, 개인별 스키마 작성)을 서버에 저장하며,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문제바탕학습-Problem base Learning), 활동 정의(그룹 토의), 기록지명(“문제바탕학습(1회차 또는 2회차)”를 현장 그룹 평가), 기록 내용(조장이 조원을 선택하여 자기 디바이스 제출, 교수자는 그룹 평가 진행(평가 기준 제시, 평가 결과 비공개))을 기록한다.
    교수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문제바탕학습(개인 과제) 평가), 활동 정의(학생이 제출한 개인과제를 평가), 기록지명(“문제바탕학습(과제)”를 과제형 평가), 평가 방법(과제형 평가(평가 기준 제시, 평가결과 공개))에 의해 평가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14. (a)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습자들에 의해 실습 기록지에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된 실습 정보를 기록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U-포트폴리오 시스템으로 저장하고,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표시하는 단계; 및
    (b)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며, 외래예진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정보,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정보, 임상 표현 정보, 임상 술기 정보,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 제공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U-포트폴리오 시스템을 통해 임상 실습시에 실습자/교수자 단말기 메뉴 화면은, 학생 화면과 교수자 화면이 제공되고, 실습 계획과 공지사항, 교수자와 실습자 단말기의 채팅을 통한 피드백 토크(feedback talk), My 내 정보 관리, 과정별 계획과 성찰, 실습 일정, 실습 지침, 핵심 임상실습, 장기추적 통합 임상실습, 학생 인턴, 필수/선택임상실습, 학교별 자율 임상실습1,2, 학습 활동, 연구활동, 실습 활동, 임상표현 중심 학습 향상도 분석, 임상술기 중심 학습 향상도 분석, 최종 전자 포트폴리오가 제공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실습은 핵심 임상실습, 장기추적 통합 임상실습, 필수/선택 임상실습, 학생 인턴, 자율 임상실습 과정1, 및 자율 임상실습 과정2를 포함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 실습 시에,
    외래예진기록(과제)-학생 실습기록지는 실습정보(병원, 분과, 과, 날짜, 시간), 기본정보(담당교수(전공의), 테스트 교수), 실습 항목(임상표현 선택, 필수환자군 선택, 기타 입력), 환자정보(유형, 환자이름, 연령, 성별, 병력번호), 실습 내용(C.C, 주제, 목적, Assessment, Plans-진단, 치료, 교육), 파일 업로드(jpg,jpeg,png,docx,pptx,pdf)를 제공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태블릿 PC와,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외래 예진 시에,
    실습자 학생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외래예진), 활동 정의(환자-교수 외래 진료 전, 학생이 환자를 먼저 만나 상담 진행), 기록지명(외래예진기록지(현장)”를 작성/제출), 기록 내용(환자정보와 SOAP(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진단/치료/교육 순)이 서버에 저장되며,
    학생은 활동명(외래예진기록지 보완/성찰)을 체크하고, 현장 피드백 받은 내용을 참고하여 외래예진 기록지를 보완하여 제출하며, 외래예진기록지(최종)”를 작성/제출한다. 학생은 제출한 외래예진기록(최종) 문서 중 1개를 선택하여 발표지를 생성, 작성되어 저장되고,
    학생은 활동명(외래예진 CASE 발표 준비), 활동 정의(외래예진 Case 발표 자료 작성), 기록지명(“외래예진발표(SNAPPS)”를 작성/제출), 기록내용(외래예진 Case 발표자료 작성)을 작성되어 저장되고,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외래 참관 후, 외래예진기록지 현장 피드백), 활동 정의(환자-교수 외래 진료를 참관하고, 사전 작성/제출), 기록지명(“외래예진기록지(현장)”를 현장 승인), 평가방법(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현장 승인)에 의해 평가가 실행되며,
    외래예진 CASE 발표 시에,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외래예진 CASE 발표), 활동 정의(외래예진 Case 중 1개를 선택하여 발표), 기록지명(“외래예진발표(SNAPPS)”를 현장 평가), 평가 방법(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현장 평가(SNAPPS 평가 기준 제시, 평가 결과 제공)에 의해 평가가 실행되며,
    교수자는 교수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외래예진기록지(최종) 평가), 활동 정의(학생이 제출한 외래예진기록지를 평가), 기록지명(“외래예진기록지(최종)”를 과제형 평가), 평가 방법(과제형 평가 (SOAP 평가 기준 제시))에 의해 평가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입원환자 교육 시에,
    실습자 학생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입원환자 Care), 활동 정의(입원 환자를 1명 배정받아, 환자를 Care), 기록지명(“입원환자 의무기록(POMR)”을 작성/제출), 기록 내용(환자정보, 문제목록, 문진, 신체진찰, 초기 문제목록, 평가, 계획, 경과 기록 작성)이 서버에 저장되며,
    학생은 활동명(입원환자 CASE 발표 준비), 활동 정의(입원환자 Case 중 1개를 선택하여 증례 발표 자료 작성/제출), 기록지명(“입원환자 증례발표”를 작성/제출), 기록내용(입원환자 Case 발표자료 작성)을 작성되어 자장되고,
    입원환자 증례 발표 시에,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입원환자 CASE 발표), 활동 정의(입원환자 Case 중 1개를 선택하여 발표), 기록지명(“입원환자 증례 발표”를 현장 평가), 평가 방법(학생 스마트디바이스 활용, 현장 평가(증례발표 평가 기준 제시, 평가 결과 비공개)에 의해 평가가 실행되며,
    교수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서버에 접속하여 활동명(입원환자 의무기록(POMR) 평가), 활동 정의(학생이 제출한 의무기록지를 평가), 기록지명(“입원환자 의무기록(POMR)”를 과제형 평가), 평가 방법(과제형 평가 (POMR 평가 기준 제시))에 의해 평가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태블릿 PC와, 현장 평가, 과제형 평가를 조합한 문제바탕학습 교육 시에
    실습자 학생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문제바탕학습(개인 과제) 작성), 활동 정의(개인별 스키마 작성/제출), 기록지명(“문제바탕학습(과제)”를 작성/제출), 기록 내용(환자정보, 개인별 스키마 작성)을 서버에 저장하며,
    교수자/학생 현장 평가는 활동명(문제바탕학습-Problem base Learning), 활동 정의(그룹 토의), 기록지명(“문제바탕학습(1회차 또는 2회차)”를 현장 그룹 평가), 기록 내용(조장이 조원을 선택하여 자기 디바이스 제출, 교수자는 그룹 평가 진행(평가 기준 제시, 평가 결과 비공개))을 기록한다.
    교수자 단말을 사용하여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여 활동명(문제바탕학습(개인 과제) 평가), 활동 정의(학생이 제출한 개인과제를 평가), 기록지명(“문제바탕학습(과제)”를 과제형 평가), 평가 방법(과제형 평가(평가 기준 제시, 평가결과 공개))에 의해 평가하는,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방법.
  21. 컴퓨터,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연동된 임상실습 시에,
    (a) 임상 실습 현장에서, 실습자들에 의해 실습 기록지에 현장 실습 사진이 포함된 실습 정보를 기록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U-포트폴리오 시스템으로 저장하고, 교수자/교육자/평가자의 피드백과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표시하는 기능; 및
    (b) 교수자와 실습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U-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접속하며, 외래예진 환자와 입원 환자 의무기록과 처방 정보, 수술 정보 조회, 실습 기록지 제공, 계획과 성찰 정보, 임상 표현 정보, 임상 술기 정보, 실습 기록 정보와 교수자의 피드백 정보와 평가 정보와 AI 실습 평가 가이드에 따른 평가 기준과 실습 항목별 점수가 표시되는 실습 성적표 제공 및 개인별 실습 이력이 포함된 전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144895A 2021-10-27 2021-10-27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230060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895A KR20230060306A (ko) 2021-10-27 2021-10-27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895A KR20230060306A (ko) 2021-10-27 2021-10-27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306A true KR20230060306A (ko) 2023-05-04

Family

ID=8637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895A KR20230060306A (ko) 2021-10-27 2021-10-27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03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0798A (zh) * 2023-07-13 2023-08-11 南京纳实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精准的受试者药物临床试验遴选的研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98B1 (ko) 2009-03-16 2011-09-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상실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2384A (ko) 2012-03-07 2013-09-17 조용개 이러닝 포트폴리오 관리/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603B1 (ko) 2015-01-13 2017-01-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를 기초로 학습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설계하는 방법 및 서비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98B1 (ko) 2009-03-16 2011-09-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상실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2384A (ko) 2012-03-07 2013-09-17 조용개 이러닝 포트폴리오 관리/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603B1 (ko) 2015-01-13 2017-01-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를 기초로 학습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설계하는 방법 및 서비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0798A (zh) * 2023-07-13 2023-08-11 南京纳实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精准的受试者药物临床试验遴选的研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nter et al. A scoping review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urricula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KR102422510B1 (ko) Ai 기반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대화용 피드백 봇
Cuéllar et al. Preceptor's handbook for pharmacists
Boland et al. Integrated behavioral health curriculum in counseling psychology training programs
Bone et al. Building a navigation system to reduce cancer disparities in urban black older adults
Silveira et al. Development of the processfolio: Promoting preservice music teacher reflection through authentic assessment
Ostergren et al. Speech-language pathology assistants: A resource manual
Lucas et al. Conceptualisation and development of the RIPE-N model (reflective interprofessional education-network model) to enhanc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across multiple health professions
KR102387471B1 (ko) Ubt와 sbt 시험을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Younge et al. On-the-job training of health professionals for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use: A scoping review
Kelly et al. Supervising the school psychology practicum: A guide for field and university supervisors
KR20230060306A (ko) 태블릿 pc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230038624A (ko) 스마트 디바이스와 u-포트폴리오 기반 임상실습 현장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avis et al. How to assess doctors and health professionals
Ahluwalia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P education and patient outcomes
Ascencio The Impact of Blend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Retention
VanTassel-Baska et al. Using the National Gifted Education Standards for Teacher Preparation
KR20230038623A (ko) U-포트폴리오 인공지능 평가 가이드 시스템
Okoromah An Integrative Review of Core Competencies for Millennial Academic Medical Faculty
Henman et al. Teaching Pharmaceutical Care to Pharmacist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Bindon Practical applications in professional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Hernandez Principals' Behaviors and Practices in Closing Gaps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Davis Retention Strategies to Enhance Nursing Program Completion
Kanaan et al.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Pharmacy (AACP) Co-Curriculum Toolkit
Orsatti Challenges for Hospital Leadership in Obtaining Urology and Otolaryngology Community Precep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