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711B1 -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711B1
KR101046711B1 KR1020090028889A KR20090028889A KR101046711B1 KR 101046711 B1 KR101046711 B1 KR 101046711B1 KR 1020090028889 A KR1020090028889 A KR 1020090028889A KR 20090028889 A KR20090028889 A KR 20090028889A KR 101046711 B1 KR101046711 B1 KR 10104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management server
offline
online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518A (ko
Inventor
임국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의와 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의와 탐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의와 탐구
Priority to KR102009002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71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에서 학습한 내용을 온라인상에서 확장하여 심화,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전 진단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태도 및 창의성향과 사고력을 종합진단하여 학생의 수준에 맞는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을 찾아 단계별/맞춤형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사가 연계된 효율적인 학습의 진행 및 관리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 온/오프라인을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회원등록과 등록회원들의 인증을 수행하고, 각 회원들의 신상 및 이력관리 및 회원들간의 가족관계를 관리하는 회원관리서버(110); 인증회원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진단평가를 예약하면, 회원관리서버(110)로부터 인증회원 정보를 부여받아 각 인증회원별로 진단평가 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하며, 태도검사, 창의성향 검사, 사고력 검사를 위한 문항관리, 결과입력, 결과지의 생성 및 관리를 수행하는 평가관리서버(120); 평가관리서버(120)에 진단평가 결과가 입력되면 해당 학생에게 수준별 단계별로 가장 적합한 온라인 학습컨텐츠들과 커리큘럼들로 이루어진 교육프로그램을 찾아 제시하고, 수강등록이 이루어진 학생별로 상기 교육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하는 학사관리서버(130); 학사관리서버(130)가 제시하는 교육프로그램들을 구성하는 각종 온라인 학습컨텐츠들과 커리큘럼들이 저장된 학습데이터서버(140); 회원관리서버(110), 학사관리서버(130) 및 학습데이터서버(140)와 연동하여, 오프라인에서 제공 받았던 수업에 대한 과제해결, 확장학습, 심화학습 등의 수행과, 쪽지함, 알림판, 학사일정, 수강내역, 평가내역 등의 확인이 가능한 나의공부방을 생성 및 관리하는 학습운영서버(150); 및 평가관리서버(120), 학사관리서버(130) 및 학습운영서버(150)와 연동하여 웹페이지를 통해 나의공부방으로 접속한 학생에게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는 온라인 학습컨텐츠를 상기 학습데이터서버(140)로부터 전달받아 제공하고, 학사관리서버를 통해 학생들이 나의공부방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청되는 온라인 학습컨텐츠가 오프라인 수업스케줄 보다 빠른지를 판단하여, 빠른 경우에 교사를 통해 공개가 지정된 온라인 학습컨텐츠를 제외하고는 그 공개를 거부하면서, 온라인 학습컨텐츠 및 학생의 이용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학습관리서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학습, 온라인, 오프라인, 진단평가, 연계

Description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및 방법{Study system and method associating online and offline channels}
본 발명은 오프라인에서 학습한 내용을 온라인상에서 확장하여 심화,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전 진단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태도 및 창의성향과 사고력을 종합진단하여 학생의 수준에 맞는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을 찾아 단계별/맞춤형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사가 연계된 효율적인 학습의 진행 및 관리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 온/오프라인을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오프라인 학습은 학교와 사설학원 그리고 과외 및 학습지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오프라인 학습방식은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교과과정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어 학생의 성취도가 고려되지 않았으며 집단 내에서 우열상황이 발생됨으로써 열등감을 지닌 학생이 보충학습을 하기 어렵고 학습과정에서도 많은 기회비용이 발생하여 가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학습방식으로서,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학 습서비스가 있다. 온라인 학습서비스는 온라인으로 학습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웹서버 운영자가 다양한 학습프로그램을 올려 놓으면, 수강생들이 온라인으로 수강을 신청하고 학습프로그램을 다운받아 학습하고 평가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온라인 학습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수강생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선행학습 및 반복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유용성 때문에 최근에는 초,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온라인 학습서비스는 동시 다발적으로 접속하는 수강생들에게 학교 진도에 맞추어 제작된 천편일률적인 학습내용만을 기계적으로 전달할 뿐이어서 수강생들 저마다의 능력, 취향 및 특성 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수강생들은 재능과 관심영역이 분명 다름에도 불구하고 수준별, 분야별로 특화된 교육을 제공받지 못하게 되고 학교에서의 학업성적으로만 평가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마음껏 자신을 실현하고 자아만족과 성장의 기쁨을 누릴 수 없게 된다.
설령, 특화된 교육내용을 온라인으로 제공한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방식의 학습서비스는 오로지 온라인상으로만 이루어지게 되고 오프라인 교육시스템과 연계되지 못하므로 학습의 집중도와 심화/반복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학습성취도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강생들이 제대로 학습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후관리 또한 학습프로그램에 따라 정해진 문제를 출제하고 개인의 성적만을 단순누계하여 평가하는 단순 문제풀이에 국한된 형식적 차원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학생과 학부모, 교사와의 정보공유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학습관리에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수강생 개개인의 능력, 취향 및 특성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진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맞춤식 학습관리가 학생, 학부모, 교사간에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및 학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회원등록과 등록회원들의 인증을 수행하고, 각 회원들의 신상 및 이력관리 및 회원들간의 가족관계를 관리하는 회원관리서버; 인증회원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진단평가를 예약하면, 회원관리서버로부터 인증회원 정보를 부여받아 각 인증회원별로 진단평가 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하며, 태도검사, 창의성향 검사, 사고력 검사를 위한 문항관리, 결과입력, 결과지의 생성 및 관리를 수행하는 평가관리서버; 평가관리서버에 진단평가 결과가 입력되면 해당 학생에게 수준별 단계별로 가장 적합한 온라인 학습컨텐츠들과 커리큘럼들로 이루어진 교육프로그램을 찾아 제시하고, 수강등록이 이루어진 학생별로 상기 교육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하는 학사관리서버; 학사관리서버가 제시하는 교육프로그램들을 구성하는 각종 온라인 학습컨텐츠들과 커리큘럼들이 저장된 학습데이터서버; 회원관리서버 학사관리서버 및 학습데이터서버와 연동하여, 오프라인에서 제공 받았던 수업에 대한 과제해결, 확장학습, 심화학습 등의 수행과, 쪽지함, 알림판, 학사일정, 수강내역, 평가내역 등의 확인이 가능한 나의공부방을 생성 및 관리하는 학습운영서버; 및 평가관리서버, 학사관리서버 및 학습운영서버와 연동하여 웹페이지를 통해 나의공부방으로 접속한 학생에게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는 온라인 학습컨텐츠를 상기 학습데이터서버로부터 전달받아 제공하고, 학사관리서버를 통해 학생들이 나의공부방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청되는 온라인 학습컨텐츠가 오프라인 수업스케줄 보다 빠른지를 판단하여 빠른 경우에 교사를 통해 공개가 지정된 온라인 학습컨텐츠를 제외하고는 그 공개를 거부하면서, 온라인 학습컨텐츠 및 학생의 이용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학습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방법은 회원관리서버와, 평가관리서버와, 학사관리서버와, 학습데이터서버와, 학습운영서버와, 학습관리서버를 구비한 학습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방법에 있어서, 회원관리서버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요청되는 회원의 등록 및 인증을 처리하고, 인증된 학생회원과 인증된 학부모회원간에 가족관계를 맺어주는 단계; 평가관리서버가 인증된 학부모회원에 의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요청되는 진단평가의 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 학사관리서버가 진단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최적의 교육프로그램을 찾아 제시하고, 진단평가를 통과하여 수강신청을 한 학생들에 한하여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을 생성시키는 단계; 학습운영서버가 웹페이지에 접속한 학생들에게 온라인 학습이 가능한 나의공부방을 제공하는 단계; 및 학습관리서버가 학사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나의 공부방을 통해 요청되는 각종 온 라인 학습컨텐츠들이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추어 허가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이를 선별적으로 공급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강신청 전에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학생의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인 태도와 창의성향을 진단함으로써 각 학생들이 갖고 있는 재능과 관심영역에 따라 수준별, 분야별로 특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웹서버에 접속한 학생들에게 오프라인상에서 받았던 학습에 대한 과제수행을 비롯하여 심화학습이나 확장학습 등 개인의 수준에 맞추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나의공부방을 제공함으로써, 단지 정해진 학습프로그램에 따라 정해진 문제를 출제하고 개인의 성적만을 단순 누계하여 평가하는 단순 문제풀이에 국한된 종래의 형식적 학습시스템에서 탈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나의 공부방을 통해 요청되는 각종 온라인 학습컨텐츠들이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추어 선별적으로 공개가 되므로 온라인 학습관리가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학부모와 자녀들 사이의 가족관계를 맺도록 함으로써 학생, 학부모, 교사가 상호 정보공유를 하면서 실시간으로 체계적인 학습관리를 수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100)은 회원관리서버(110)와, 평가관리서버(120)와, 학사관리서버(130)와, 학습데이터서버(140)와, 학습운영서버(150)와, 학습관리서버(160)로 크게 구성되어 수강등록이 이루어진 회원에게는 개인별 특성에 맞는 최적의 강의프로그램이 제시되고 이를 기반으로 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오프라인 학습과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온라인 학습이 유기적으로 진행되고 체계적으로 관리된다.
<회원관리서버>
회원관리서버(110)는 웹페이지를 통한 회원등록과 소정의 회원인증 과정을 거친 인증회원들의 이력을 관리하고 인증회원과 학부모와의 가족관계 및 교사의 인증을 관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원관리서버(110)는 등록회원 데이터베이스(111)와 인증회원 데이터베이스(112)를 구비한다. 등록회원 데이터베이스(111)에는 등록회원의 정보와 이력이 지속적으로 저장되며, 인증회원 데이터베이스(112)에는 인증회원들의 정보와 이력이 지속적으로 저장된다. 등록회원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등록된 학생회원 및 학부모회원을 뜻하고, 인증회원은 등록회원들 중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소정의 인증과정을 거친 학생회원 및 학부모회원을 뜻한다.
상기 등록회원 데이터베이스(111)와 인증회원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는 등록회원과 인증회원의 이력은 오프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센터에서의 수강이력과 진학이력과 수상이력도 함께 저장되어 추후에 학습운영서버(150)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학습운영 정보로 활용된다.
그리고 상기 회원관리서버(110)는 가족관계 데이터베이스(113)를 더 구비한다. 가족관계 데이터베이스(113)에는 각 회원들의 가족관계가 저장된다. 가족관계는 회원등록에 각 회원들에 의해 온/오프라인 상으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맺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가족관계는 학부모와 자녀인 학생 뿐만 아니라 담당 교사도 포함된다. 가족관계가 맺어진 각 회원들은 동일한 가족코드 또는 가족그룹코드가 부여되며 이를 통해 관리된다.
<평가관리서버>
평가관리서버(120)는 진단평가관리모듈(121)과 학력진단검사관리모듈(122)로 구성되어 수강전에 시행되는 진단평가 및 수강 후에 오프라인 수업에 대하여 시행되는 학력진단검사를 주관한다.
(1)진단평가관리모듈
진단평가란 수강신청에 앞서 각 학생별로 특성에 맞는 최적의 강의프로그램을 찾아주기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병행 시행되는 절차로서, 학생의 인지적능력에 대한 진단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인 태도와 창의성향을 진단하고 그 결과 는 반배치나 교육계획 등 학사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즉, 상기 진단평가는 종래와 같이 학습능력의 우열을 가리는 반배치고사가 아니라, 수강신청 전에 학생 개개인 별로 흥미와 호기심, 해당과목에 대한 관점 및 태도, 문제해결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성향 등을 진단하여 이에 맞는 교수법의 계획을 수립하고 적용함으로써,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평가관리모듈(121)은 예약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예약처리부(121a)와, 태도검사와 창의성향 검사 및 사고력 검사를 위한 문제들이 저장된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121b)와, 진단평가 결과처리부(121c)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인증을 받은 학부모 회원(이하, "학부모"라 함)이 진단평가관리모듈(121)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진단평가를 예약하거나 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진단평가를 예약하면, 예약처리부(121a)가 회원관리서버(110)로부터 학부모의 인증이 확인된 자녀회원(이하, "학생"이라고 함)의 정보를 부여받아 진단평가 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하며,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121b)로부터 태도검사, 창의성향 검사, 사고력 검사를 위한 문항을 제공받아 문제지를 생성한다. 진단평가 결과처리부(121c)는 교사 또는 학생을 통해 입력된 답안 또는 채점표를 분석하여 결과지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한다.
(2)학력진단검사관리모듈
학력진단검사란 오프라인 학습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실 시하는 성취도 평가로서, 오프라인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평가가 이루어진다.
학력진단검사관리모듈(122)은 학습운영서버(150)와 연동되며 학력진단검사 스케줄 및 학력진단검사 결과에 대한 상담 스케줄을 생성시키고 관리하는 예약처리부(122a)와, 최근 3개월간의 오프라인 수업내용에 대한 문제해결력, 창의적문제해결, 탐구과정능력, 창의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문제들이 저장된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122b)와, 학력진단검사의 결과지를 작성하는 학력진단검사 결과처리부(122c)를 갖고 있다. 학력진단검사는 학습운영서버(150)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며 그 결과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학습운영서버(150)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교사는 학력진단검사 결과처리부(122c)가 작성한 결과지를 통해 학력진단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상담자료를 만든 다음 학생 또는 학부모와 상담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학력진단검사 결과의 상담신청은 학생 또는 학부모가 학습운영서버(150)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직접 상담신청을 함으로써 이루어지고 그 스케줄작성은 상기 학력진단검사 예약처리부(122a)에서 이루어진다.
<학사관리서버>
학사관리서버(130)는 진단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학생에게 수준별 단계별로 가장 적합한 온라인 학습컨텐츠들과 커리큘럼들로 이루어진 교육프로그램을 찾아 제시한다.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은 2차 진단검사 이후에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부모와의 면담시 교사를 통해 학부모에게 추천된다.
그리고, 학사관리서버(130)는 수강등록이 이루어진 학생별로 상기 교육프로 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한다. 상기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은 과목별 커리큘럼, 수강등록된 학생의 수업 편성년월, 학년, 수강과목, 과목별 담당교사, 시간표, 출/결석, 교실 등이다.
한편, 상기 학사관리서버(130)는 수강등록이 이루어진 학생 또는 교사가 특정 학습컨텐츠와 커리큘럼을 요청할 경우, 상기 특정 학습컨텐츠와 커리큘럼을 포함하는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을 생성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학사관리서버(130)는 학생들이 학습관리서버(160)를 통해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청되는 예컨대 과제나 시험답안과 같은 컨텐츠들의 공개 시점을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따라 교사가 학생의 학습태도에 맞게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사는 상기 답안공개 시점은 답안작성일을 기준으로 하여 7일차 단위로 설정하거나 1일차에서 6일차 범위 이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학습데이터서버>
학습데이터서버(140)는 학사관리서버(130)가 제시하는 교육프로그램들을 구성하는 각종 온라인 학습컨텐츠들과 커리큘럼들이 저장된다. 학사관리서버(130)는 2차 진단평가를 마친 학부모에게 제시할 교육프로그램을 이 학습데이터서버(140)로부터 제공받는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교사가 오프라인 수업진행이나 학생들이 온라인 학습을 위해 요청할 경우 온/오프라인을 통해 제공된다.
<학습운영서버>
학습운영서버(150)는 회원관리서버(110), 평가관리서버(120), 학사관리서 버(130) 및 학습데이터서버(140)와 상호연동된다.
상기 학습운영서버(150)는 오프라인에서 제공받았던 수업에 대한 과제해결, 확장학습, 심화학습, 학력진단검사 등의 수행과, 쪽지함, 알림판, 학사일정, 수강내역, 평가내역 등의 확인이 가능한 나의공부방을 생성 및 관리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의 공부방은 온라인상으로 이루어지는 맞춤형 개인학습공간으로서, 나의공부방에는 쪽지관리, 알림판관리, 선생님게시판, 학사일정확인, 수강내역확인, 평가내역확인, 학력진단검사 상담예약 등을 할 수 있는 메뉴를 가진 알림터 메뉴를 비롯하여 오프라인상으로 학습한 학습내용에 대한 과제해결, 확장학습, 심화학습이 가능한 배움터 메뉴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기적으로 학습성취도 평가를 받아 볼 수 있는 학력진단검사 메뉴 등을 제공한다.
상기 알림터는 학생들간에 온라인 커뮤니티공간으로서, 학생들은 "나의 쪽지함"으로 입장하여 해당 학생의 회원아이디를 통해 쪽지쓰기, 받은쪽지함, 보낸쪽지함, 쪽지보관함, 주소록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고, 교사와 학습한 내용에 대해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도 있다.
또한, 학생들은 "알림판"으로 입장하여 센터의 소식이나 교사의 소식 등 각종 공지를 열람할 수 있고, 선생님게시판으로 입장하여 교사로부터의 지시사항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학사일정"으로 입장하여 현재 오프라인에서 수업중인 수강과목에 대한 하루단위의 시간표를 공급받아 자신의 학사일정을 확인할 수 있고, 수강내역으로 입장하여 각각 지난 일정기간 동안 자신의 수강정보 및 출석정보를 확 인할 수도 있으며, 평가내역으로 입장하여 수강중 받았던 각종 평가내역이나 학력진단검사의 평가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학생들은 "배움터"로 입장하여 오프라인에서 받았던 수업에 대한 과제처리 및 심화학습이나 확장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과제처리를 수행하는 학생들에게는 비슷한 문제풀이나 오답노트를 기반으로 한 전자칠판 문제풀이 등을 통한 오답클리닉이 제공된다. 심화학습이나, 확장학습은 고난이도 문제와, 게임/퍼즐 등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컨텐츠학습 등이 있다. 이러한 과제처리 및 심화학습이나 확장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들은 학습데이터서버(140)로부터 제공받게 된다.
심화학습이나 확장학습은 오답문제풀이나 오답노트의 제공 등을 통한 오답클리닉이나 반복문제풀이나 고난이도 문제풀이나 비슷한 문제풀이 또는 각종 컨텐츠를 활용한 컨텐츠학습 등이 있다.
또한, 학생들은 나의 공부방의 학력진단검사로 입장하여 온라인상으로 학력진단검사를 치룰 수도 있다. 학력진단검사 일정은 학습운영서버(150)가 학사관리서버(130)로부터 수업스케줄 정보를 전달받아 나의 공부방의 나의쪽지함이나 알림판이나 선생님게시판 등을 통해 해당 학생들과 학부모 모두에게 공지하거나 교사에 의해 센터에서 온라인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공지된다.
학력진단검사는 평가관리서버(120)의 학력진단검사관리모듈(122)을 통해 학생들의 특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학습결과나 성취중심의 평가에서 벗어나 학습과정중심의 평가를 위주로 문제가 출제된다.
학생과 학부모는 나의공부방으로 입장하여 평가내역확인부를 통해 학력진단 검사 평가결과를 열람할 수 있다. 학력진단검사 평가결과는 평가관리서버(120)의 학력진단검사 결과처리부(122c)를 통해 작성된다. 학생과 학부모들은 평가내역확인부를 통해 제공되는 학력진단검사 평가결과를 통해 부족한 학습부분을 진단받게 되고, 교사들은 지도목표를 조정하거나 수업방법의 오류 또는 새로운 교수방법 전략을 모색하는 피드백을 수행한다.
<학습관리서버>
학습관리서버(160)는 학사관리서버(130) 및 학습운영서버(150)와 연동하여 웹페이지를 통해 나의공부방으로 접속한 학생에게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는 온라인 학습컨텐츠를 상기 학습데이터서버(140)로부터 전달받아 제공하고, 온라인 학습컨텐츠 및 학생의 이용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학습관리서버(160)는 나의공부방을 통해 요청되는 온라인 학습컨텐츠가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는 온라인 학습컨텐츠인지를 판단한다. 학습관리서버(160)는 요청되는 온라인 학습컨텐츠가 오프라인 학습진도 보다 빠른 것인지를 판단하여, 요청되는 온라인 학습컨텐츠가 오프라인 학습진도 보다 빠르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교사가 특별히 공개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공개를 거부할 수 있다. 만일, 학습관리서버(160)는 요청되는 학습컨텐츠가 답안일 경우에는 학사관리서버(130)를 통해 교사가 미리 설정해 놓은 답안공개 시점을 초과했는지를 판단하고 답안공개 시점을 초과한 경우에 한하여 학습운영서버(150)측으로 해당 데이터 제공을 요청한다.
또한, 학습관리서버(160)는 네트워크 또는 온라인으로 교사의 단말기와 접속 이 가능하다. 교사들은 별도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으로 인증을 마친 후에 학습관리서버(160)가 제공하는 각 학생들의 이용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교사들은 학생개인별로 온라인 쪽지를 발송하거나, 학생 또는 학부모에게 SMS를 발송하여 파악된 각 학생들의 학습결과를 실시간으로 피드백 해줄 수 있다. 발송된 온라인 쪽지는 각 학생들의 나의공부방의 쪽지관리함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100)을 통해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관리서버(110)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요청되는 회원의 등록 및 인증을 처리한다. 회원관리서버(110)를 통해 회원등록과 회원인증이 처리되는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오프라인상에서의 회원등록은 학생을 동반하여 센터를 방문한 학부모의 확인을 받아 이루어지며, 센터의 교사를 통해 입력되는 회원정보는 등록회원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다.
온라인상에서의 회원등록은 단말기를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여 신입회원가입을 요청한 학생이나 학부모가 소정의 신상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회원관리서버(110)가 회원코드를 부여하여 회원등록이 이루어진다.(S1) 이때, 학생들이 대부분 미성년자이므로 상기 회원관리서버(110)는 웹서버에 접속한 학생으로 하여금 소정의 회원정보와 부모님의 이메일주소의 입력할 수 있는 승인창을 학생의 단말기에 활성화시키고, 학생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학부모의 이메일로 회원가입승인서를 송부하여 부모의 승인처리 메일이 접수된 경우에 한하여 아이디를 부여하여 회원등록을 허락한다. 등록된 회원정보는 등록회원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회원관리서버(110)를 통해 회원등록 처리가 완료되면, 회원관리서버(110)는 등록된 학생회원과 학부모회원들의 정보를 통해 가족맺기를 신청한 등록회원들에 한하여 가족관계를 맺어준다. 물론, 가족관계를 맺지 않아도 무방하나, 가족관계를 맺어야만 여러가지 서비스들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학부모는 자녀인 학생이 학습하는 내용을 볼 수 있고 센터 및 교사와 편리한 소통의 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가족관계 맺기는 회원등록시에 이루어진다. 회원관리서버(110)는 회원을 등록하고자 하는 학생 또는 학부모 회원의 단말기에 가족관계를 맺고자 하는 학부모 또는 자녀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이름, 주소, 핸드폰번호, 이메일 주소, 인증코드나 이미 부여된 가족코드 또는 가족그룹코드 등의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가족관계맺기 활성창을 활성화시킨다.
등록회원들은 회원등록이 완료된 이후 별도의 회원인증을 받아야 한다.(S2)
오프라인상에서의 회원인증은 센터에서 회원등록과 동시에 인증코드가 부여되어 이루어진다. 센터의 교사를 통해 입력되는 회원정보는 인증회원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다.
온라인상에서의 회원인증은 회원가입을 한 학생 등록회원 또는 학부모 등록회원이 단말기를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한 다음 인증요청을 하면 회원관리서버(110)가 이메일이나 SMS를 통해 학부모에게 인증코드를 통보할 수 있도록 인증요청을 한 등록회원의 단말기에 인증확인창을 활성화시키고, 학부모가 부여받 은 인증코드를 인증확인창에 입력하게 되면 회원관리서버(110)가 로그인 한 학생 또는 학부모에 대하여 인증회원의 자격을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인증된 회원정보는 인증회원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다. 인증이 확인된 학생과 학부모에게는 진단평가신청의 자격이 주어지며 보다 많은 학습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혜택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회원인증 처리가 완료되면, 학부모인증회원에 한하여 자녀들의 진단평가를 신청할 수 있다.(S3) 평가관리서버(120)의 진단평가관리모듈(121)은 학부모인증회원으로부터 진단평가 신청이 요청되면, 가족관계 맺기가 완료된 학부모인증회원인지를 판단하고 가족관계 맺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학부모 인증회원에 대해서는 진단평가를 받을 자녀가 누구인지 파악이 불가하므로 진단평가신청 자격을 불허한다.(S4)
그러나, 진단평가관리모듈(121)은 가족관계 맺기가 완료된 학부모 인증회원에 대해서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요청되는 진단평가의 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한다. 즉, 진단평가관리모듈(121)의 예약처리부(121a)는 학부모가 웹서버를 방문하여 진단평가예약을 요청할 경우, 학부모의 단말기에 진단평가 예약시 진단평가일자와 시간, 센터를 지정할 수 있는 예약창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문제은행 데이터서버는 학부모가 진단평가 예약신청을 완료하면 진단평가를 예약한 학부모의 정보를 회원관리서버(110)로부터 전달받아 자녀의 나이나 학력에 맞는 태도 및 창의성향 검사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선별 출제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문제은행 데이터서버는 태도 및 창의성향 검사를 마친 학생에 한하여 논리적 사고력 검사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선별 출제하여 저장한다.
진단평가는 2단계로 나뉘어 실시된다. 1단계는 온라인상에서 실시되고 2단계는 오프라인상에서 실시된다. 1단계 진단평가는 학생의 태도 및 창의성향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고 2단계는 논리적 사고력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진단평가관리모듈(121)의 결과처리부(121c)는 진단학부모가 진단평가의 예약을 완료하면, 학부모에게 진단평가의 수락을 요청하고, 수락이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121b)로부터 미리 저장된 태도 및 창의성향 검사용 문제를 학부모의 단말기에 활성화시킨다. 학부모의 단말기를 통해 학생이 진단평가를 완료하면, 상기 결과처리부(121c)는 채점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결과지의 형태로 저장 및 출력하여 1단계 진단평가를 완료한다.(S5)
진단평가관리모듈(121)은 1단계 진단평가 진행을 마친 학생에 한하여 2단계 진단평가를 준비한다.(S6)
2단계 진단평가는 논리적 사고력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1단계 진단평가를 마친 학생이 예약당일 센터를 방문하면, 미리 출력된 문제지를 통해 2단계 진단평가가 실시된다. 각 문제들은 고유의 문제영역과 배점이 부여되어 있으며 교사는 특정메뉴얼에 의거하여 결과처리부에 문항별로 채점결과를 입력한다. 결과처리부는 채점결과를 저장하고 결과지의 형태로 출력한다.
상기 결과지에는 1단계 진단평가결과와 2단계 진단평가결과가 모두 기재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결과지에는 본인점수, 회원들의 평균점수, 비회원을 대상으로 동일 문제에 대하여 실시한 일반학생들의 평균점수를 비롯하여 교과개념 문제해 결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또는 탐구과정 능력 등이 절대평가 및 상대평가되어 다양한 비교 그래프를 통해 이해하기 쉽게 작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과개념 문제해결력은 수칙, 연산, 도형, 분수, 확률 등과 같은 개념영역별 또는 계산, 이해, 추론 등과 같은 문제해결 영역별로 작성될 수 있고,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민감성, 정교성, 유창성, 융통성 등과 같은 창의적 요소별 및 문제의 이해, 문제해결의 계획 및 시행, 결과의 표현, 수용 및 평가, 아이디어 산출 등과 같은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별로 작성될 수 있으며, 탐구과정 능력은 관찰, 분류, 비교, 의사소통과 같은 탐구영역별로 작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과지에는 상기한 평가데이터에 근거한 총평과 함께 개인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도록 누적분포표(누적분포그래프)와 점수분포표(점수분포그래프)도 제공된다. 총평에는 개념, 문제해결력, 수준별로 나누어 부족한 영역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주는 교과개념 문제해결력 코너와, 문제의 이해, 해결의 계획과 실행, 결과의 표현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안내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코너와, 관찰, 분류, 비교, 의사소통에 대하여 부족한 부분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안내하는 탐구과정 능력코너와, 수업에 대한 흥미, 호기심, 자신감, 과제집착력에 대한 평가를 진단하는 태도코너와, 도전감, 모험심, 자신감, 새로운 생각에 대한 태도, 호기심과 흥미의 다양성을 진단한 창의성향코너와, 실력을 키우기 위하여 보완하여야 할 부분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주는 종합안내코너 등이 마련되어 있다.
2차 진단평가까지 모두 마친 학부모는 센터에서 자녀의 진단평가 결과상담을 위한 예약을 신청한다. 이때 예약처리부(121a)는 교사를 통해 입력되는 학부모가 신청한 예약정보를 체크하여 예약당일의 상담가능한 인원 등을 고려하여 예약일과 시간 등의 스케줄을 생성하고 이를 관리한다. 진단평가 결과상담은 결과처리부(121c)에 의해 작성된 결과지를 통해 교사와 학부모간에 일대일 면담형식으로 이루어진다.(S7)
학사관리서버(130)는 진단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데이터서버(140)로부터 각종 온라인 학습컨텐츠들과 커리큘럼들을 제공받아 해당학생에게 수준별 단계별로 최적의 교육프로그램을 찾아 제시한다. 교사는 학부모와의 일대일 면담시에 학사관리서버(130)를 통해 제시된 학습프로그램을 학부모에게 추천한다. 이와 같이, 학생들은 수강 전에 진단평가를 통해 저마다의 능력, 취향 및 특성 등이 적극반영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재능과 관심영역에 따라 수준별, 분야별로 특화된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센터에서는 소정의 커트라인을 통과하여 합격한 학생들의 경우에 한하여 수강신청을 받는다.(S8, S9)
학사관리서버(130)는 수강신청을 한 학생들에 한하여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을 생성시킨다.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이 생성되면, 학습운영서버(150)는 웹페이지에 접속한 학생들에게 온라인 학습이 가능한 나의공부방을 제공한다.
한편, 오프라인 학습은 상기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추어 센터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온라인 학습은 상기 나의공부방을 통해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추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 학습을 마친 학생들은 웹서버에 접속(S10)하여 로그인을 한 다음, 나의 공부방으로 입장(S11)하여 나의 공부방에서는 오프라인에서 받았던 수업에 대한 과제를 처리하고 심화학습이나 확장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과제처리를 통해 학생에게는 비슷한 문제풀이나 오답노트를 기반으로 한 전자칠판 문제풀이 등을 통한 오답클리닉이 제공되고, 심화학습이나 확장학습은 고난이도 문제와 게임/퍼즐 등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컨텐츠 학습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학습관리서버(160)는 학사관리서버(130)와 연계하여 상기 나의 공부방을 통해 요청되는 각종 온라인 학습컨텐츠들이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추어 공개가 허가된 것인지를 판단(S12)하고 미리 허가된 경우에 한하여 요청한 자료들을 선별적으로 공급해 준다.(S13) 따라서,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추어 온라인 학습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답안의 공개는 학사관리서버(130)에 교사가 그 공개일을 지정할 수도 있으며, 학습의 운영이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답안공개 시점을 학생의 학습태도에 따라 교사가 각각 달리 설정할 수 있다. 학습관리서버(160)는 학생이 답안을 요청할 경우, 요청하는 답안이 답안공개일을 경과했는지를 판단하고(S14),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답안공개를 거부하는 동시에 그 공개일을 안내한다.(S15)
한편, 교사들은 학습관리서버(160)에 접속하여 센터에서의 오프라인 학습을 마친 학생들이 온라인 학습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가능하며, 학생들의 학습결과를 학생 또는 학부모에게 나의 공부방으로 쪽지를 발송하거나, SMS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피드백하여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정해진 학습프로그램에 따라 정해진 문제를 출제하고 개인의 성적만을 단순누계하여 평가하는 단순 문제풀이에 국한된 형식적 차원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종래의 학습관리를 탈피하여 오프라인에서 받았던 과제를 온라인상에서 처리하고, 이에 부가적으로 심화학습이나 확장학습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상으로 일회성에 그치기 쉬운 강의나 문제풀이를 개인의 수준에 맞추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학습관리가 학생, 학부모, 교사가 상호 정보공유를 하면서 실시간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원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평가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a 및 4b는 각각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학습운영서버가 온라인상으로 제공하는 나의공부방의 알림터와 학력진단검사 메뉴를 선택하여 입장했을 때 활성화된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회원등록에서 수강신청까지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평가관리서버의 진단평가관리모듈을 통해 출력된 진단평가 결과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평가관리서버의 진단평가관리모듈을 통해 출력된 진단평가 결과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학습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학습시스템 110...회원관리서버
111...등록회원 데이터베이스 112...인증회원 데이터베이스
113...가족관계 데이터베이스 120...평가관리서버
121a,122a...예약처리부 121b,122b...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121c...진단평가 결과처리부 122c...학력진단평가 결과처리부
130...학사관리서버 140...학습데이터서버
150...학습운영서버 160...학습관리서버

Claims (9)

  1.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회원등록과 등록회원들의 인증을 수행하고, 각 회원들의 신상 및 이력관리 및 회원들간의 가족관계를 관리하는 회원관리서버;
    인증회원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진단평가를 예약하면, 회원관리서버로부터 인증회원 정보를 부여받아 각 인증회원별로 진단평가 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하며, 태도검사, 창의성향 검사, 사고력 검사를 위한 문항관리, 결과입력, 결과지의 생성 및 관리를 수행하는 평가관리서버;
    평가관리서버에 진단평가 결과가 입력되면 해당 학생에게 수준별 단계별로 가장 적합한 온라인 학습컨텐츠들과 커리큘럼들로 이루어진 교육프로그램을 찾아 제시하고, 수강등록이 이루어진 학생별로 상기 교육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하는 학사관리서버;
    학사관리서버가 제시하는 교육프로그램들을 구성하는 각종 온라인 학습컨텐츠들과 커리큘럼들이 저장된 학습데이터서버;
    회원관리서버, 학사관리서버 및 학습데이터서버와 연동하여, 오프라인에서 제공 받았던 수업에 대한 과제해결, 확장학습, 심화학습 등의 수행과, 쪽지함, 알림판, 학사일정, 수강내역, 평가내역 등의 확인이 가능한 나의공부방을 생성 및 관리하는 학습운영서버; 및
    평가관리서버, 학사관리서버 및 학습운영서버와 연동하여 웹페이지를 통해 나의공부방으로 접속한 학생에게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는 온라인 학습컨텐츠를 상기 학습데이터서버로부터 전달받아 제공하고, 학사관리서버를 통해 학생들이 나의공부방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청되는 온라인 학습컨텐츠가 오프라인 수업스케줄 보다 빠른지를 판단하여 빠른 경우에 교사를 통해 공개가 지정된 온라인 학습컨텐츠를 제외하고는 그 공개를 거부하면서, 온라인 학습컨텐츠 및 학생의 이용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학습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사관리서버의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은 과목별 커리큘럼, 수강등록된 학생의 수업 편성년월, 학년, 수강과목, 과목별 담당교사, 시간표, 출결석 현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학사관리서버는 학생들이 나의공부방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문제풀이의 답안공개의 시점을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학사관리서버의 상기 답안공개 시점은 답안작성일을 기준으로 하여 7일차 단위 또는 1일차에서 6일차 범위 이내에서 교사가 학생별로 각각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서버는 학사관리서버를 통해 학생들이 나의공부방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청되는 답안이 답안공개 시점을 초과했는지를 판단하여, 초과한 경우에 한하여 공개를 허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사관리서버는 수강등록이 이루어진 학생 또는 교사가 특정 학습컨텐츠와 커리큘럼을 요청할 경우, 상기 특정 학습컨텐츠와 커리큘럼을 포함하는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을 생성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관리서버는 진단평가가 인증회원 또는 학부모가 지정하는 오프라인 학습처에서 이루어지도록 진단평가 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학사관리서버는 진단평가를 실시한 오프라인 학습처에서 학사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9. 회원관리서버와, 평가관리서버, 학사관리서버, 학습데이터서버, 학습운영서버 및 학습관리서버를 구비한 학습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방법에 있어서,
    회원관리서버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요청되는 회원의 등록 및 인증을 처리하고, 인증된 학생회원과 인증된 학부모회원간에 가족관계를 맺어주는 단계;
    평가관리서버가 인증된 학부모회원에 의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요청되는 진단평가의 스케줄을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
    학사관리서버가 진단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최적의 교육프로그램을 찾아 제시하고, 진단평가를 통과하여 수강신청을 한 학생들에 한하여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을 생성시키는 단계;
    학습운영서버가 웹페이지에 접속한 학생들에게 온라인 학습이 가능한 나의공부방을 제공하는 단계;
    학습관리서버가 학사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나의 공부방을 통해 요청되는 각종 온라인 학습컨텐츠들이 오프라인 수업스케줄에 맞추어 허가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이를 선별적으로 공급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 프라인이 연계된 학습방법.
KR1020090028889A 2009-04-03 2009-04-03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및 방법 KR10104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89A KR101046711B1 (ko) 2009-04-03 2009-04-03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89A KR101046711B1 (ko) 2009-04-03 2009-04-03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518A KR20100110518A (ko) 2010-10-13
KR101046711B1 true KR101046711B1 (ko) 2011-07-06

Family

ID=4313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889A KR101046711B1 (ko) 2009-04-03 2009-04-03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04A (ko) 2012-08-30 2014-03-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커리큘럼 강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1372A (ko) * 2014-06-10 2015-12-18 문상주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한 학습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학습보조자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72860C (en) 2012-02-20 2022-08-30 Knowre Korea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education service based on knowledge units
KR101398951B1 (ko) * 2012-06-15 2014-05-29 심현숙 통합학습관리시스템
KR101439464B1 (ko) * 2012-10-22 2014-09-17 주식회사 인사이트컨설팅 학생 관리 및 대입 진학 컨설팅 시스템
KR101492808B1 (ko) * 2013-07-05 2015-02-1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강신청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473449B1 (ko) * 2014-04-15 2014-12-29 주식회사 에듀킨더 온오프라인 연계 생태학습 방법
KR102091789B1 (ko) * 2017-12-20 2020-03-20 주식회사 순수교육 온라인 기반의 자기 주도 학습 코칭 방법
KR102387471B1 (ko) * 2019-08-19 2022-04-14 주식회사 세타랩 Ubt와 sbt 시험을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8091B1 (ko) 2020-03-13 2020-12-07 (주)레오코퍼레이션 효과적인 학습 및 수시 전형 성공을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밀착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430142B1 (ko) * 2020-07-23 2022-08-11 주식회사 태강인 성적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0195A (ko) * 2020-10-05 2020-11-18 주식회사 세타랩 유비쿼터스 기반 실습교육 포트폴리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54239B1 (ko) * 2022-02-16 2023-07-12 (주)라라클래스 온라인 교육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98B1 (ko) * 2006-01-17 2007-12-13 문상주 학습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98B1 (ko) * 2006-01-17 2007-12-13 문상주 학습관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04A (ko) 2012-08-30 2014-03-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커리큘럼 강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1372A (ko) * 2014-06-10 2015-12-18 문상주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한 학습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학습보조자료
KR101582555B1 (ko) 2014-06-10 2016-01-05 문상주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한 학습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학습보조자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518A (ko)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711B1 (ko)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및 방법
Callahan et al. Describing the status of programs for the gifted: A call for action
Lachat Data-Driven High School Reform: The Breaking Ranks Model.
Hasler Waters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learning coaches in a cyber charter school: A qualitative case study
Barrie et al. Student surveys on teaching and learning
El-Sheikh et al. Developing corrective actions to improve academic advising process
Alexander Best practices i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cross academic disciplines
Diaz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s of a Doctorate in Educational Leadership on Professional Preparaton
Connolly Barriers to the adoption of online education at Vietnam National University-Ho Chi Minh City
Hayre Teacher Attitudes toward Personalized Learning Plans
Patterson Map of MathWorld: Identifying Core Practices for Successful Supplemental Instruction of Community College Math Students
Hallman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Student Social/Civic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asoning. TLTC Paper No. 5. CRLT Occasional Paper No. 36.
Ragin Administrators' perceptions of community college students' computer literacy skills in beginner courses
Fabbi Fortifying the Pipeline: An Exploratory Study of High School Factors Impac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Van Tonder Managing the quality of employability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through blended learning: A comparative study
Moreno Social Media and Academic Performance: Assisting Academic Achievement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Chamberlain Case study: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enhances teaching and learning
Pinkston A Case Study of Pairing Mentors and New Career and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Quinn Improving test scores in five easy steps: The silver bullet
Takona et al. Primer to developing a successful pre-service teacher portfolio
Lachat Data-driven high school reform
Thomson A Comparative Case Study on the Perceived Quality of Interactions Between Novice First and Second Grade Teachers with Differing Bachelor’s Degrees in Teaching
Lyons High School Counselors in Low-Performing Schools and Their Perceived Impact on Student Engagement and Outcomes
Bottoms Telltale Signs of Rigor and Career Readiness in High School.
Ortuzar Exploring Educational Leaders' Perceptions of Leadership Preparation Programs: an Adult Development Persp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