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978A - 자율주행차량의 승하차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율주행차량의 승하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978A
KR20200129978A KR1020190055194A KR20190055194A KR20200129978A KR 20200129978 A KR20200129978 A KR 20200129978A KR 1020190055194 A KR1020190055194 A KR 1020190055194A KR 20190055194 A KR20190055194 A KR 20190055194A KR 20200129978 A KR20200129978 A KR 20200129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vable member
vehicle
seat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소영
Original Assignee
유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소영 filed Critical 유소영
Priority to KR102019005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978A/ko
Publication of KR2020012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45Longitudinal adjustment by means of articulated rods supporting the seat, e.g. parallelogr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transvers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의 승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 시트를 차체의 출입문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게 이동시키는 가동부재(Movable menber)와; 상기 가동부재를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부재(Guide member)와; 상기 가동부제를 구동하는 구동부재(Actuate member)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音聲)지시, 또는 버튼 등의 조작에 따라 도어(door)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안내부재의 궤도를 따라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에 의해 차체의 출입문의 밖으로 나오게 되어, 이때 가동부재에 구비된 시트(seat)에 사람이 앉아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것으로 차체의 외부로 시트를 나오게 하여 승하차하기 때문에 승하차 시에 공간적 제한을 받지 않아, 장애자, 노약자, 부녀자, 어린이를 부문하고 누구나 보다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율주행차량의 승하차시스템 {A SYSTEM INTO AND OUT OF SELF DRIVING VIHICLES}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의 승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 시트를 차체의 출입문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게 이동시키는 가동부재(Movable menber)와; 상기 가동부재를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부재(Guide member)와; 상기 가동부제를 구동하는 구동부재(Actuate member)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音聲)지시, 또는 버튼 등의 조작에 따라 도어(door)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안내부재의 궤도를 따라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에 의해 차체의 출입문 밖의 일정한 위치로 나오게 되며, 이때 상기 가동부재에 구비된 시트에 승차, 또는 하차 하는 것으로 차체 밖으로 시트를 나오게 하여 승하차하기 때문에 승하차 시에 공간적 제한을 받지 않아, 장애자, 노약자, 부녀자, 어린이를 부문하고 누구나 보다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발달과정에서 차량에 의해 사람이나 짐을 신속하게 먼 거리로 운송할 수 있는 기능에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에 비자동화 차량이나, 또는 반자동화 차량은 운행에 적합하도록 사람이 조정, 또는 운전하는 등 기계적 작동에 인간이 어느 정도 간섭 및 협동해야만 운행이 가능했다.
최근에 인공지능을 차량에 적용하려는 시도(試圖)에 따라 인공지능 자율주행 차량(self-driving vihicles)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의 개입 없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주행상황을 판단하여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스스로 주어진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동차를 말하며, 이러한 자율주행 자동차는 교통사고를 줄이고 교통의 효율성을 높이며, 연료를 절감하고 운전을 사람 대신 해줌으로써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미래의 개인 교통수단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말하자면, 사람이 설계한 기계에 사람의 협조가 와전 배제되고 오직 기계가 사람을 위하여 스스로 일을 해 줌으로써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감을 증대하는데 그 취지가 있다고 본다.
종래의 비자동화 자동차나 반자동화 자동차를 비롯하여 첨단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라 해도 차량을 이용하는 ‘시작’ 과 ‘끝’은 ‘승차(乘車)’와 ‘하차(下車)’이다.
지금까지 버스나 특수차량을 제외하고 일반적인 개인 승용차는 천장이 낮고 차내의 공간이 제한적이며, 출입문이 좁고 차체에 시트가 고정되어 있어, 승차, 및 하차하려면, 허리를 굽히고 기어서 들어가거나 나와야하기 때문에 장애자, 노약자, 부녀자, 어린이를 부문하고 승하차가 불한 문제점이 있었다.
지금까지 이러한 자동차의 승하차시의 불편한 점을 감수하면서도 이에 대한 개선의 배려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의 편리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본 발명의 목적은 누구나 보다 편리하게 자동차를 승하차 할 수 있는 새로운 ‘자율주행 차량의 승하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시트를 차체의 출입문 밖으로 나오게 하여 시트에 앉거나 내리는 방식으로 승하차하기 위하여, 상기 시트(seat)를 차체의 출입문의 일정한 위치의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도록 이동시키는, 시트와 발판이 구비된 가동부재(Movable member)와; 상기 가동부재(可動部材)를 일정한 궤도를 따라 출입문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부재(Guide member)와; 상기 가동부제를 구동하는 구동부재(Actuate member)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Movable member)는 이동 양태(樣態)에 따라 회동하게 된 회동대(rotation base)과 좌우 직선 이동하게 된 이동대(moving base)를 포함한다.
가동부재의 회동하게 된 회동대는 약 1/4 원형(부채꼴)으로 되어 있고 상기 회동대의 평면의 지각 모서리 부분이 지지수단에 의해 차체의 도어 포스트(door post)에 힌지(hinge)의 지축에 지지되어 약 90도 회동각의 범위의 수평으로 회동하여 회동대에 구비된 시트(seat)와 함께 차체의 출입문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게 되어 있다.
또 상기 가동부재의 좌우 직선 이동하게 된 이동대는 직사각형으로 되어있고 좌우 직선 이동하여 이동대에 구비된 시트와 함께 차체의 출입문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게 되어 있다.
이때 출입문의 폭과 높이는 차량 시트가 구비된 상기 가동부재가 출입문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 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크기로 된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Guide member)는 상기 가동부재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부재로써 안내레일(guide rail), 또는 안내 홈(guide gloove)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가 회동대인 경우에는 상기 회동대의 회동궤도에 상응하게 만곡(curve)된 안내부재의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이 출입문의 한쪽 가장자리 측에서 차내의 주앙부측으로 약 1/4 원호(圓弧)로 차체의 바닥에 구비된다.
또 상기 가동부재의 회동대에는 상기 안내레일, 또는 안내 홈을 따라 회동되는 안내롤러(guide roller)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대가 수평으로 안내 레일, 또는 안내홈에 지지된 채 차체의 출입문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도록 회동하게 되어 있다.
좌우 직선이동하게 된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대의 경우에는 한 쌍의 직선으로 된 안내레일, 또는 안내 홈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차체의 타 측에서 일 측 출입문에 이르는 범위로 가로질러 차체 바닥에 구비된다.
상기 이동대에는 상기 안내레일, 또는 안내 홈을 따라 접동(sliding)하는 접동부재(sliding member)가 상기 이동대의 하중을 충분이 지지할 수 있을 길이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대가 수평으로 안내레일, 또는 안내 홈에 지지된 채 차체의 출입문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도록 이동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대가 출입문 밖의 허공에 위치되었을 때의 편위(偏位)된 이동대의 하중에 대하여 상기 접동부재가 차체 안쪽에서 안내부재에 지지하게 되므로 이동대가 아래로 처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수평으로 유지된다.
상기 접동부재(摺動部材)는 안내레일, 또는 안내 홈을 따라 보다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트라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또는 여러 개의 아이들 롤러(idle roller)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Actuate member)는 상기 가동부재가 구동할 수 있는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써 구동모터, 또는 파워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재(驅動部材)가 구동모터의 경우에는 구동모터의 랙기어(rack gear)와 상대적으로 맞물리는 랙(rack)이 일조가 된다.
상기 가동부재의 회동대에는 원호상 랙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대에는 직선형 렉이 장착된다.
따라서 차체의 바닥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랙 기어(rack gear)와 상기 가동부재에 구비된 랙에 의해 감속모터의 동력이 가동부재에 전달되어 회동대는 회동하고 이동대는 직선이동 한다. 또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의 변환에 따라 회동대는 왕복회동 하고 이동대는 왕복이동 한다.
또 구동부재가 파워실린더인 경우 차체의 바닥에 설치된 파워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가 상기 가동부재의 회동대, 또는 이동대의 한 지점에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파워실린더의 작동으로 신축(伸縮)되는 피스톤 로드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의 회동대, 또는 이동대가 각각 구동된다.
이때 피스톤 로드의 행정거리(stroke length)는 상기 가동부재의 가동범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행정거리를 가진다.
상기 파워실린더는 유압(油壓)실린더와 공압(空壓)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한 가동부재의 가동과 구동부재의 구동 및 도어의 개폐작동은 센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 컴퓨터에 입력된 제어 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 자동으로 수순(work step)대로 실행(process)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답게 카메라, 또는 멀티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조작이 전혀 없이 본 발명의 승하차 시스템이 스스로 작동하여 사람을 태우거나 내릴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차할 경우, 음성지시, 또는 열림 버튼, 적외선 원격조정 등의 조작에 따라 차체의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고 이와 동시에 구동부재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가 안내부재의 궤도를 따라 회동 또는 직선 이동되어 상기 가동부재에 구비된 시트가 출입문 밖으로 나온 일정한 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지된다.
출입문 밖으로 나온 시트에 사람이 앉은 다음 음성지시, 또는 닫힘 버튼 등의 조작, 또는 시트에 구비되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시트에 사람이 앉은 채 가동부재가 구동부재의 동력에 의해 안내부재의 궤도를 따라 차 내부의 정 위치로 북귀되어 정지되고 자동으로 도어가 출입문을 닫아 승차가 완료된다.
하차의 경우에도 승차의 경우와 동일하게 음성지시, 또는 열림 버튼 등의 조작에 따라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동시,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가 축 회동. 또는 직선 이동하여 사람이 앉은 채 시트가 출입문 밖으로 나온 일정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때 회동하는 회동대의 경우에는 회동대에 구비된 시트가 차체의 측방향, 즉 출입문과 정면으로 하여 정지하고 직선 이동하는 이동대의 경우에는 이동대에 구비된 시트가 출입문의 측방에서 차체의 정면을 향한 정 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지된다.
출입문 밖으로 나온 시트에서 일어나 하차하고 음성지시, 또는 닫힘 버튼 등의 조작, 또는 시트에 구비되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안내부재의 궤도를 따라 원위치로 복귀되고 자동으로 도어가 출입문을 닫아 하차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의 출입문 밖으로 시트가 나오게 하여, 시트에 승하차하는 시스템이므로 종래와 것과 달리, 승차 시에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장애자, 노약자, 부녀자, 어린이를 부문하고 누구나 보다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하차 시스템은 자율주행 차량의 메카니즘(mechanism)과 직접 연관성이 없는 독립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 반자동화 차량이나 자동화 차량을 불문하고 어느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자율주행 차량은 주로 전기 에너지로 주행하기 때문에 엔진을 비롯하여 이에 수반되는 전동기구, 가속 및 제동 페달, 핸들 등의 구조물이 없게 되므로 차체의 구조가 달라지고 차량의 내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비교적 넓어지며 바닥면이 평평하고 미래 지향적으로 차량의 설계가 다양하게 융통성이 있으며, 출입문도 보다 넓게 설계가 가능하여, 본 발명의 승하차 시스템을 적용하기에 작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간의 간섭 없이 승하차가 가능한 편리성은 자율주행 차량의 발전취지에 부합되어 자율주행 차량의 편리성과 효용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동부재를 가동시키지 않고 시트가 차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종래와 동일하게 도어를 열고 출입문을 통하여 승하차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seat)를 차체의 출입문의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도록 이동시키는, 가동부재와, 시트가 구비된 상기 가동부재를 일정한 궤도를 따라 출입문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가동부제를 구동하는 구동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조직이 간단하고 차량의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차체의 출입문 밖으로 시트를 나오게 하여 승하차 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주위의 공간적 제한을 받지 않아 종래의 차량에 비하여 누구나 보다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다.
또한 승하차 시스템의 모든 기구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동으로 승하차가 가능하므로 미래 지향적인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하여 자율차량의 편리성과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효과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가동부재가 회동되는 승하차 시스템의 정면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가동부재가 회동되는 승하차 시스템의 평면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가동부재가 회동되어 시트가 출입문 밖으로 나온 상태의 평면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시트가 출입문 밖으로 나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가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는 승하차 시스템의 평면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가동부재가 직선 이동하여 시트가 출입문 밖으로 나오는 작동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시트가 출입문 밖으로 나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 가동부재가 회동되는 승하차 시스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재(M)는 차채(B)의 출입문(n)을 통과 할 수 있는 폭을 반지름으로 하는 약 1/4 원형의 부체꼴 회동대(10)로 되어 있다. 상기 회동대(10)의 평면상의 직각 모서리 부분에서 직각 반지름 방향으로 지지판(1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대(10)을 보강하고 수평으로 지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회동대(10)의 직각 모서리부분을 상기 지지판(11)과 지지구(12)에 의해 차체(B)의 도어 포스트(p)에 구비된 상하의 힌지(h)의 지축(x)에 축 설치되어, 상기 회동대(10)이 지축(x)을 지점으로 하여 약 90도의 회동각의 범위로 수평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동대(10)의 지축(x)은 차체(B)의 도어(D)의 지축을 이용하거나 또는 개별 지축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회동대(10)에 뒤쪽으로 보다 넓게 연장된 연장부(10s)는 회동대(10)가 차체(B)의 출입구(n)의 외부로 나왔을 때 상기 회동대(10)의 연장부(10s)가 안내부재(G)에 지지되어 있어, 복귀 작동 시에 회동대(10)가 용이하게 안내부재(G)를 따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 도1에는 도어(D)의 내측 면에 구비된 브래킷(bracket)(13)에 상기 회동대(10)의 한쪽 가장자리가 받쳐있고 상기 회동대(1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걸쇠(locking member)(14)에 상기 도어(D)에 구비된 래칫(ratch)(1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레칫(15)은 도어의 레버의 조작에 따라 걸쇠(14)에 잠그거나 풀릴 수 있다. 상기 회동대(10)가 출입문(n)의 외부로 나왔을 때 상기 브래킷(13)에 회동대(10)의 일부가 지지된다.
또 상기 회동대(10)의 상면에는 차체의 앞쪽방향으로 시트(s)와 발판(f)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동대(1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시트(s)가 상기 출입문(n)의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게 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G)는 상기 가동부재(M)의 회동대(10)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회동하도록 원호상으로 만곡(curve)된 안내 레일(20)이 차체(B)의 출입문(n)의 한쪽 가자자리에서 차체(B)의 중앙 안쪽으로 차체(B)의 바닥(b)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대(10)의 저면에는 상기 안내레일(20)을 따라 굴러가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안내롤러(guide roller)(21)가 구비되어 상기 안내롤러(21)가 안내레일(20)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대(10)이 수평으로 유지된 채, 출입문(n)의 안 밖으로 부드럽게 회동하게 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A)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랙기어(31)와 맞물리어 구동되는 랙(32)이 일조를 이룬다.
상기 구동모터30)는 출입문(n)에 인접된 차체(B)의 바닥(b)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동대(10)의 회동궤도와 상응하게 만곡된 랙(32)은 상기 랙기어(31)와 맞물릴 수 있는 회동대(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에 의해 렉기어(31)와 랙(32)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0)의 동력이 상기 회동대(10)에 전달되어 상기 회동대(10)는 좌우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한 가동부재(M)의 회동대(10)과 구동부재(A)의 구동(30) 및 도어(D)의 자동 개폐작동은 도시되지 않은 컴퓨터에 입력된 센서의 검출신호의 지시에 따라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수순을 따라 작동을 수행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할 경우, 음성지시, 또는 도시되지 않은 열림 버튼 등의 조작, 또는 적외선 원격조작에 따라 차체(B)의 출입문(n)의 도어(D)가 약 90도 회전각 범위로 자동으로 열리는 동시에, 구동부재(A)의 구동모터(30)가 구동되어 랙 기어(31)와 랙(30)이 맞물리어 상기 구동모터(30)의 동력이 상기 회동대(10)에 전달되어 상기 회동대(10)는 상기 안내 레일(20)의 궤도를 따라 지축(x)을 지점으로 한 약 90도 회전각 범위로 출입문(n) 쪽으로 회동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대(10)가 시트(s)와 함께 차체(B)의 출입문(n)의 밖으로 나와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되고 상기 회동대(10)의연장부(10s)는 출입문(n) 안쪽의 안내레일(20)의 위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출입문 밖으로 나온 시트(s)에 사람이 앉은 다음 음성지시, 또는 닫힘 버튼 등의 조작에 따라 시트(s)에 사람이 앉은 채, 구동모터(30)의 역(逆)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회동대(10)가 안내레일(20)의 궤도를 따라 차체(B)내부의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정 위치에서 정지되고 시트(s)에 앉은 채, 사람도 승차되며, 상기 회동대(10)가 정지된 다음 자동으로 도어(D)가 출입문(n)을 닫아 승차가 완료된다.
하차의 경우에도 승차의 경우와 동일하게 음성지시, 또는 열림 버튼 등의 조작에 따라 도어(D)가 자동으로 열리는 동시,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동대(10)는 출입문 쪽으로 회동되어 사람이 앉은 시트(s)가 출입문 밖으로 나와 정 위치에서 회동대(10)sms 정지된다.
출입문 밖에서 시트(s)에서 일어나 하차하고 음성지시, 또는 닫힘 버튼등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동대(10)는 안내레일(20)의 궤도를 따라 차체 내부의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자동으로 도어(D)가 출입문(n)을 닫아 하차가 완료된다.
이때, 시트(s)에 센서를 구비하여 사람이 내리면 이를 감지한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컴퓨터의 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 자동으로 회동대(10)가 차체(B) 내부로 복귀하는 동시 도어(D)가 출입문(n)을 닫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 가동부재가 직선 이동하는 승하차 시스템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 시트(s)를 차체(B)의 출입문(n)의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도록 이동시키는, 가동부재(M)는 차체B)의 출입문(n)을 통과하여 안팎으로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된 직사각형의 이동대(100)로 되어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와 발판(f)이 구비된 상기 이동대(100)를 좌우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G)는 한 쌍의 직선 안내레일(20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차체(B)의 왼쪽 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질러 출입문(n)의 문턱까지 연장되어 차체(B)의 바닥(b)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대(100)의 저면에는 접동부재(210)가 이동대(100)의 뒤쪽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회동대(100)가 자기 하중에 의해 위로 뜨거나 기울어짐이 없이 안전하게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접동부재(210)가 상기 안내레일(200)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대(100)가 출입문(n)의 밖으로 나왔을 때의 편위(偏位)된 이동대(100)의 하중에 대하여 상기 접동부재(210)가 차체(B)의 안쪽에서 안내레일(200)에 지지되어 이동대(100)가 출입문 밖에서 아래로 처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수평으로 유지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M)의 이동대(100)를 구동하는 구동부재(A)는 파워실린더(300)가 차체(B)의 바닥(b)에 이동대(100)의 이동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파워실린더(300)의 피스톤 로드(310)의 선단부는 상기 이동대(100)의 한 지점에 연결구(320)에 의해 연결되어 파워실린더(300)의 피스톤 로드(310)의 행정운동에 의해 상기 이동대(100)가 직선으로 왕복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때 피스톤 로드의 행정거리(stroke lenth)는 상기 이동대(100)의 이동범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행정거리를 가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하면, 도5,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할 경우, 음성지시, 또는 도시되지 않은 열림 버튼 등의 조작에 따라 차체(B)의 도어(D)가 자동으로 열리고 이와 동시에 구동부재(A)의 파워실린더(3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310)가 신장되면서 상기 가동부재(M)의 이동대(100)가 안내레일(200)의 궤도를 따라 출입문(n)밖으로 직선이동하고 상기 이동대(100)에 구비된 시트(s)가 출입문 밖으로 나온 정 위치에서 자동으로 이동대(100)가 정지된다.
출입문 밖으로 나온 시트(s)에 사람이 앉은 다음 음성지시, 또는 닫힘 버튼 등의 조작에 따라 파워실린더(300)의 역동작에 의해 피스톤 로드(310)가 수축되면서 시트(s)에 사람이 앉은 채 상기 이동대(100)가 안내레일(200)의 궤도를 따라 차체(B)내부의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시트에 앉은 채 사람도 승차되며, 상기 이동대(100)가 정지되는 동시 자동으로 도어(D)가 출입문(n)을 닫아 승차가 완료된다.
하차의 경우에도 승차의 경우와 동일하게 음성지시, 또는 열림 버튼 등의 조작에 따라 도어(D)가 자동으로 열리는 동시, 상기 이동대(100)가 파워실린더(300)의 구동력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사람이 앉은 채 시트(s)가 출입문(n) 밖으로 나와 정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때 시트(s)에서 일어나 하차하고 음성지시, 또는 닫힘 버튼 등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파워실린더(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대(100)가 안내레일(200)의 궤도를 따라 차체(B) 내부의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 다음 정지되고 이어서 자동으로 도어(D)가 출입문(n)을 닫는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시트를 차체의 출입문 밖으로 나오게 한 다음 시트에 승하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차체의 출입구를 통하여 승하차 하던 것에 비하여 승하차 시에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장애자, 노약자, 부녀자, 어린이를 부문하고 누구나 보다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다.
10, ; 회동대 11 : 지지판
12 : 지지구 13 : 브래킷
14 : 걸쇠 15 : 래칫
20 : 안내레일 21 : 안내롤러
30 : 구동모터 31: 랙기어
32 : 랙 100 : 이동대
200 : 안내레일 210 : 접동부재
300 : 파워실린더 310 : 피스토 로드
320 : 연결구 10a : 연장부
A : 구동부재 B : 차체
D : 도어 G : 안내부재
b : 바닥 n : 출입문
h : 힌지 f : 발판
s : 시트 x : 지축

Claims (5)

  1. 차량의 시트를 차체의 출입문의 밖으로 나오게 하거나 들어가도록 이동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가동부제를 구동하는 구동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가동에 의해 가동부재에 구비된 상기 시트가 출입문 밖으로 나오게 하여 차체 밖에서 승하차 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승하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가동부재는 부채꼴의 회동대의 일 측에 직각 수직으로 구비된 지지판에 의해 회동대의 직각 모서리부분이 도어 포스트의 힌지의 지축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대의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대에 구비된 시트가 출입문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승하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가동부재는 직사각형 이동대가 안내부재의 궤도를 따라 좌우 직선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대에 구비된 시트가 출입문 밖으로 나오거나 들어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승하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안내부재는 가동부재를 출입문의 안 밖으로 안내하도록 차체의 바닥에 고정 설치된 만곡, 또는 직선 안내레일, 또는 안내 홈으로 된 자율주행 차량의 승하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구동부재는 가동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또는 파워실린더인 자율주행 차량의 승하차 시스템.
KR1020190055194A 2019-05-10 2019-05-10 자율주행차량의 승하차시스템 KR20200129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194A KR20200129978A (ko) 2019-05-10 2019-05-10 자율주행차량의 승하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194A KR20200129978A (ko) 2019-05-10 2019-05-10 자율주행차량의 승하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978A true KR20200129978A (ko) 2020-11-18

Family

ID=7369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194A KR20200129978A (ko) 2019-05-10 2019-05-10 자율주행차량의 승하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9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5993B2 (ja) 追越し機能付リニアモータ駆動エレベータ
JP4979292B2 (ja) 立体駐車装置
US6599080B1 (en) Lift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s
KR20200129978A (ko) 자율주행차량의 승하차시스템
JP4353028B2 (ja) 車両乗降用開口部の開閉装置
JP2006327431A (ja) 車両用フロアリフト装置
JPH0419167Y2 (ko)
KR960005855B1 (ko) 차량개구 폐쇄조립체
JP3942339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乗降補助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467993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H0732780Y2 (ja) ターンテーブルにおける自動車入出と乗降者のデッキ装置
JP2511665Y2 (ja) 垂直循環式駐車装置
JPH0225825Y2 (ko)
KR19980027202A (ko) 대형차량의 승용 발판
JP2759247B2 (ja) 昇降床を設けた駐車装置の乗込場
JP270197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217183A (ja) 乗降用グリップ装置
JP2003054292A (ja) 座席移動装置
JPH059916Y2 (ko)
KR960001501Y1 (ko) 지하용 다층 순환식 주차설비의 승입구 구조
JPH0512348U (ja) 軌道車両用の乗降場の引戸装置
JPH0721838Y2 (ja) 跳ね上げ門扉のガイド溝隠蔽構造
JPH01177357U (ko)
JPH0651418U (ja) 機械式駐車場における乗降装置
JP2008255579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