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590A -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 Google Patents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590A
KR20200129590A KR1020190054228A KR20190054228A KR20200129590A KR 20200129590 A KR20200129590 A KR 20200129590A KR 1020190054228 A KR1020190054228 A KR 1020190054228A KR 20190054228 A KR20190054228 A KR 20190054228A KR 20200129590 A KR20200129590 A KR 20200129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ignal transmission
lamp
socket par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왕오토메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왕오토메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왕오토메이션
Priority to KR1020190054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590A/ko
Publication of KR2020012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외부의 신호전달선과 접속하는 다수의 고정단자를 구비한 전방소켓부와; 상기 전방소켓부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단자에 신호전달선이 끼워졌을 때, 고정단자에 대한 신호전달선의 물리적 접속을 감지하는 제1접속감지부, 상기 제1접속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점등되는 접속확인램프가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전방소켓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외부의 연결선과 접속하여 전방소켓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상기 연결선으로 인가하는 후방소켓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는, 신호전달선과 연결선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므로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양호한 유지보수성을 갖는다. 또한 물리적 접속시 점등되는 접속확인램프와 신호전달시 점등되는 통신램프를 구비하여 작동 상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 불량일 경우, 접속 상태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와 리셋버튼를 포함하여, 굳이 끼움단자를 분리했다가 다시 끼우는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그만큼 사용이 간편하다.

Description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Connector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각종 전자장비에 사용되는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접속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램프를 구비하여 사용 및 관리가 편리한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기기기나 전자기기는 물론 제어나 통신 분야에 이르기 까지,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의 신호 전달용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예컨대, 전원과 장비(전기장비나 전자장비 제어장비 등)를 접속시키거나, 장비를 서로 간에 연결하여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전자 기기들의 경박 단소화의 추세에 따라, 커넥터 관련 부품들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회로기판에 실장 되는 전자 소자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의 사이즈도 더욱 작아지고 있다.
한편, 주로 입출력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관련 케이블은, 전송 시간의 단축을 위해 병렬 전송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병렬 전송 방식을 갖는 기기들 간의 접속을 위해서, 여러 가닥의 신호선 다발 또는 플랫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의 커넥터장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25핀용 케이블 커넥터, 9핀용 케이블 커넥터 등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커텍터는, 다수의 핀이 돌출되어 있는 수 커넥터와 다수의 구멍으로 되어 있는 암 커넥터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커넥터장치(10)의 구조 및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장치(10)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상부에 단자접속구(12)를, 상부 일측에 연결선고정부(13)를 갖는다. 단자접속부(12)는 상부로 오픈된 사각 통로로서 그 내부에 다수의 고정단자(미도시)가 배치된다. 고정단자는 신호전달선(17)의 끼움단자(17a)가 끼워지는 부품이다.
신호전달선(17)은 외부의 장비와 커넥터장치(10)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으로서, 끼움단자(17a)와 케이블(17b)으로 이루어진다. 케이블(17b)은 통신용 케이블로서 끼움단자(17a)를 통해 커넥터장치(10)에 접속한다. 특히 케이블(17b)은, 끼움단자(17a)를 단자접속구(12)에 끼운 상태에서 커넥터장치(10)의 상부로 연장된다. 물론 케이블(17b)은 플렉시블하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옆으로 구부려 케이블타이 등으로 묶어 정리한다.
또한 연결선고정부(13)에는 연결선(15)이 물려 고정된다. 연결선(15)은 커넥터장치(10)를 전자장비(21)에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이다. 연결선고정부(13)에 연결선(15)을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선고정부(13)에는 다수의 고정나사(14)와 너트부(미도시)가 구비된다.
고정나사(14)는 연결선(15)의 심선, 즉, 와이어(15a)를 감은 상태로 너트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연결선고정부(13)에 대한 연결선(15)의 연결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장치(10)는, 연결선고정부(13)에 대한 연결선(15)의 연결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각각의 고정나사(14)를 일일이 풀고 그 외주면에 와이어(15a)를 감은 후 다시 고정 하는 것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또한, 특히 끼움단자(17a)의 삽입방향과 연결선(15)의 연장방향이 직교하므로 유지 보수에 제약이 많다는 문제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장비(21)를 협소한 설치공간(23)내에 배치한 경우, 커넥터장치(10) 상부의 공간이 좁아 끼움단자(17a)를 화살표 b방향으로 뽑거나 신규 끼움단자를 단자접속구에 끼울 수 없고, 케이블(17b)을 옆으로 구부릴 수밖에 없어, 접속 작업시 케이블(17b)이 단선 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33349호 (회로기판 일체형 멀티 컨텍터 케이블 유닛)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양호한 유지보수성을 가지며, 물리적 접속시 점등되는 접속확인램프와 신호전달시 점등되는 통신램프를 구비하여 작동 상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접속 상태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와 리셋버튼를 포함하는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는, 외부의 신호전달선과 접속하는 다수의 고정단자를 구비한 전방소켓부와; 상기 전방소켓부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단자에 신호전달선이 끼워졌을 때, 고정단자에 대한 신호전달선의 물리적 접속을 감지하는 제1접속감지부, 상기 제1접속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점등되는 접속확인램프가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전방소켓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외부의 연결선과 접속하여 전방소켓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상기 연결선으로 인가하는 후방소켓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신호전달선과 고정단자간의 전기적 접속을 감지하는 제2접속감지부와, 상기 제2접속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점등되는 통신램프와, 상기 접속확인램프가 점등되고 통신램프가 소등되었을 때 점등되는 점검램프와, 필요시 상기 전방소켓부와 후방소켓부를 차단하기 위한 리셋회로부와, 사용자에 의해 눌려 상기 리셋회로부를 작동시키는 리셋버튼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를 그 내부에 수용 보호하는 것으로서, 전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본체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바디와, 상기 케이스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케이스바디 내부에 삽입된 본체부의 접속확인램프와, 통신램프와, 점검램프를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글래스를 구비하는 보호케이스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바디에는, 케이스바디에 본체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셋버튼과 대응하고, 외력에 의해 눌려 상기 리셋버튼을 누르는 버튼누름돌기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는, 신호전달선과 연결선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므로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양호한 유지보수성을 갖는다.
또한 물리적 접속시 점등되는 접속확인램프와 신호전달시 점등되는 통신램프를 구비하여 작동 상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 불량일 경우, 접속 상태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와 리셋버튼를 포함하여, 굳이 끼움단자를 분리했다가 다시 끼우는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그만큼 사용이 간편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커넥터장치의 구조 및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한 커넥터장치의 여러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및 그 설치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장치는, 전방소켓부와 후방소켓부가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전후방에 배치되므로 납작하게 제작하여 아주 좁은 공간에서 사용하기 좋다. 좁은 장소에 설치하더라도 신호전달선의 삽입과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커넥터장치는, 외부의 신호전달선과 접속하는 다수의 고정단자를 구비한 전방소켓부와; 상기 전방소켓부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단자에 신호전달선이 끼워졌을 때, 고정단자에 대한 신호전달선의 물리적 접속을 감지하는 제1접속감지부, 상기 제1접속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점등되는 접속확인램프가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전방소켓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외부의 연결선과 접속하여 전방소켓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상기 연결선으로 인가하는 후방소켓부를 포함하는 기존 구성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30)는, 전방소켓부(37), 본체부(32), 후방소켓부(도 4a의 31), 연결선(18)을 구비한다.
전방소켓부(37)는 외부의 신호전달선(17)이 끼워져 접속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본체부(32)의 전방에 위치한다. 전방이라 함은 신호전달선(17)이 위치한 방향을 의미한다.
신호전달선(17)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17b)과, 케이블(17b)의 단부에 연결된 끼움단자(17a)로 이루어진다. 끼움단자(17a)를 전방소켓부(37)에 끼움으로써 전방소켓부(37)에 대한 케이블(17b) 접속이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상기 전방소켓부(37)는, 끼움단자(17a)를 고정하여 빠지지 않게 지지하는 하우징(37a)과, 삽입된 끼움단자(17a)와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는 고정단자(37b)를 구비한다. 끼움단자(17a)를 고정단자(37b)에 접속시키면 하우징(37a)에 자동적으로 결합하여 빠지지 않는다.
본체부(32)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에서 전방소켓부(37)와 후방소켓부(31)를 접속시킨다. 후방소켓부(31)에 끼워지는 연결선(18)은 신호전달선(17)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가진다. 이와 같이 중심축선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므로, 커넥터장치(30)를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더라도 끼움단자(17a)의 분리나 삽입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참고로 종전의 커넥터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신호전달선(17)과 연결선(15)이 직각을 이루어, 좁은 설치공간(23)에서 끼움단자(17a)의 분리가 불가능하였다.
상기 후방소켓부(31)는 전방소켓부(37)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본체부(32)를 사이에 두고 후방소켓부(31)의 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연결선(18)의 끼움단자(18a)와 접속된다. 끼움단자(18a)는 케이블(18b)을 후방소켓부(31)에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후방소켓부(31)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할 도 4a 내지 도 4d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32)의 도면상 상면에는 다수의 접속확인램프(33)가 배치된다. 접속확인램프(33)는 고정단자(37b)에 끼움단자(17a)를 끼울 때 점등되는 LED 램프이다. 접속확인램프(33)의 개수는 고정단자(37b)의 개수와 동일하다. 고정단자(37b)로부터 끼움단자(17a)를 분리하면 접속확인램프(33)가 소등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한 커넥터장치(30)의 여러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한 후방소켓부(31)는 고정단자(31b)가 가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단자(31b)는 본체부(32)의 내부에 매립되며 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한 끼움단자(18a)와 접속이 가능하다.
도 4b의 후방소켓부(31)는, 도 4a와 비교하자면, 세로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타입이다. 즉 고정단자(31b)가 세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고정단자(31b)가 세로형으로 적용되어 있다 하더라도 끼움단자(18a)와의 결합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도 4c의 후방소켓부(31)는 본체(32)의 후방으로 돌출된 타입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후방소켓부(31)는, 후방으로 돌출되며 끼움단자(18a)가 결합하는 하우징(31a)과, 하우징(31a)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단자(31b)로 이루어진다. 끼움단자(18a)를 고정단자(31b)에 접속시키면, 끼움단자(18a)가 하우징(31a)에 자동적으로 결합함은 물론이다. 도 4c의 후방소켓부(31)는 도 4a와 같이 가로형이다.
도 4d의 후방소켓부(31)는, 세로형 하우징(31a)과 고정단자(31b)로 이루어진다. 끼움단자(18a)를 세로형 하우징(31a)에 결합하면 고정단자(31b)와 접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및 그 설치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후방소켓(31)은 도 4a에 도시한 타입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다른 타입의 후방소켓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30)는, 전방소켓부(37), 본체부(32), 후방소켓부(31), 연결선(18)을 구비한다. 전방소켓부(37)는 외부의 신호전달선(17)이 끼워져 접속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본체부(32)의 전방에 위치한다. 후방소켓부(31)는 연결선(18)과 접속을 이루며, 본체부(32)의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전방소켓부(37)는, 끼움단자(17a)를 고정하여 빠지지 않게 지지하는 하우징(37a)과, 삽입된 끼움단자(17a)와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는 고정단자(37b)와, 제1접속감지부(38a)를 갖는다.
상기 제1접속감지부(38a)는, 전방소켓부(37)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단자(37b)에 대한 끼움단자(17a)의 물리적 접속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말하자면, 고정단자(37b)에 끼움단자(17a)가 올바로 접속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접속감지부(38a)는, 접속확인램프(33)와 연결되며, 접속확인램프(33)를 점등시킨다. 말하자면, 고정단자(37b)에 끼움단자(17a)가 접속된 상태라면 신호를 발생하여 접속확인램프(33)를 점등시키는 것이다. 고정단자(37b)로부터 끼움단자(17a)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접속확인램프(33)가 소등된다.
본체부(32)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에서 전방소켓부(37)와 후방소켓부(31)를 접속시킨다. 특히 후방소켓부(31)에 접속되는 연결선(18)은 신호전달선(17)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가진다. 이와 같이 중심축선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므로, 커넥터장치(30)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장비(21)와 측벽(25) 사이의 좁은 설치공간(23)에 위치시키더라도, 끼움단자(17a)의 분리나 삽입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설치공간(23)은 가령, 전자장비(21)가 설치되는 캐비닛일 수 있다. 또한 측벽(25)은 캐비닛의 측벽이나 천장 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32)의 측면에는 다수의 접속확인램프(33)가 구비된다. 접속확인램프(33)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접속감지부(38a)부로부터 신호를 받을 때만 점등되는 LED 램프이다. 접속확인램프(33)의 개수는 고정단자(37b)의 개수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30) 및 그 설치 예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커넥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30)는, 전방소켓부(37), 본체부(32), 후방소켓부(31), 연결선(18)을 구비한다.
전방소켓부(37)는 외부의 신호전달선(17)이 끼워져 접속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본체부(32)의 전방에 위치한다. 또한 후방소켓부(31)는 본체(32)의 후방에 위치하며 연결선(18)과 접속한다.
본체부(32)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에서 전방소켓부(37)와 후방소켓부(31)를 접속시킨다. 특히 후방소켓부(31)에 끼워지는 연결선(18)은 신호전달선(17)이 동일한 중심축선을 가진다. 이와 같이 중심축선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므로, 커넥터장치(30)를, 좁은 설치공간(23)에 위치시키더라도, 끼움단자(17a)의 분리나 삽입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32)의 측면에는 다수의 접속확인램프(33)와 통신램프(34)와 리셋버튼(36)이 구비되고, 본체부 내부에는 리셋회로부(39)와 제2접속감지부(38b)가 설치된다.
접속확인램프(33)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접속감지부(38a)부로부터 신호를 받을 때만 점등되는 LED 램프이다. 접속확인램프(33)의 개수는 고정단자(37b)의 개수와 동일하다.
상기 제2접속감지부(38b)는, 신호전달선(17)과 고정단자(37b)간의 전기적 접속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신호전달선(17)으로부터 고정단자(37b)로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끼움단자(17a)와 고정단자(37b)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더라도, 해당 신호라인의 어딘가에 이상이 있는 경우, 신호 전달이 차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이다.
제2접속감지부(38b)의 작동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끼움단자(17a)와 고정단자(37b)의 전류나 저항값 측정 및 비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통신램프(34)는 접속확인램프(33)의 측부에 배열된 LED램프로서 제2접속감지부(38b)와 연결된다. 제2접속감지부(38b)는 정상상태에서는 통신램프(34)를 점등시키고 그 이외의 상황에서는 소등시킨다. 통신램프(34)의 개수도 고정단자(37b)의 개수와 같다.
리셋회로부(39)는 전방소켓부(37)와 후방소켓부(31)의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방소켓부(37)에서 후방소켓부(31)로 연결되는 신호전달 라인을 차단하거나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말하자면 접속확인램프(33)가 점등되고 통신램프(34)가 소등되었을 때 작동하여 상기 신호전달 라인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리셋회로부(39)는 리셋버튼(36)과 접속된다. 리셋버튼(36)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리셋버튼(36)을 누르면 신호전달라인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이어진다. 리셋버튼(36)이나 리셋회로부(39)는 컴퓨터의 본체에 설치되는 리셋버튼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고정단자(37b)에 대한 끼움단자(17a)의 물리적인 접속이 이상 없이 유지되고 있으나,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 리셋버튼(36)을 눌러, 말하자면 한 번 껐다 켤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35는 점검램프이다. 점검램프(35)는, 접속확인램프(33)가 점등되고 통신램프(34)가 소등되었을 때 점등된다. 작업자는 점검램프(35)가 점등되었을 때 리셋버튼(36)을 눌러 신호전달라인을 차단 후 재접속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타입의 커넥터장치(30)는, 도 6의 커넥터장치와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접속확인램프(33)와 통신램프(34)와 점검램프(35)가 본체부(32)의 상면에 위치한 것만 다르다. 통신램프(34)와 점검램프(35)와 접속확인램프(33)의 위치는, 커넥터장치(30)의 설치 환경에 따라, 보다 양호한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는 도 9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장치(30)에 보호케이스(4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호케이스(41)는 본체부(32)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방수 및 방진 성능을 갖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케이스(41)는, 케이스바디(41a)와 글래스(41b)로 구성된다. 케이스바디(41a)는 전방으로 개방되며 본체부(32)를 수용하는 수용공간(41c)을 제공한다. 본체부(32)는 케이스바디(41a)에 삽입된 상태로 케이스바디(41a)의 내향면에 긴밀히 밀착한다.
글래스(41b)는 투광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수용공간(41c)에 삽입된 본체부의 접속확인램프(33)와, 통신램프(34)와, 점검램프(35)를 외부로 나타내 보인다.
아울러, 케이스바디(41a)의 일측면에는 버튼누름돌기(41d)와 록킹홀(41e)이 마련되어 있다. 버튼누름돌기(41d)는, 본체부(32)를 수용공간(41c) 내부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 리셋버튼(36)과 대응하는 돌출부로서,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다. 가령, 작업자가 도 8의 화살표 z방향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며 내부의 리셋버튼(36)을 누르는 것이다.
또한 록킹홀(41e)은 사각의 관통구멍으로서 본체부(32)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걸림후크(32b)를 수용 지지한다.
걸림후크(32b)는 본체부(32)의 양측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된 공지 방식의 걸림수단이다. 걸림후크(32b)에 화살표 p방향의 외력을 가하면, 본체부(32) 측으로 밀려들어 가며, 외력을 제거하면 처음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걸림후크(32b)는 본체부(32)를 수용공간(41c) 내부로 삽입할 때, 수용공간(41c) 입구부에서 화살표 p방향으로 가압되어 눌리며, 완전히 삽입된 순간 탄성 복원되어 록킹홀(41e)에 끼워져 걸린다. 걸림후크(32b)를 다시 누르지 않는 한 본체부(32)는 케이스바디(41a)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도면부호 41f는 끼움단자(18a)가 통과하는 단자구멍이다. 끼움단자(18a)는 단자구멍(41f)를 통해 후방소켓부(31)에 접속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커넥터장치 12:단자접속구 13:연결선고정부
14:고정나사 15:연결선 15a:와이어
17:신호전달선 17a:끼움단자 17b:케이블
18:연결선 18a:끼움단자 18b:케이블
21:전자장비 23:설치공간 25:측벽
30:커넥터장치 31:후방소켓부 31a:하우징
31b:고정단자 32:본체부 32b:걸림후크
33:접속확인램프 34:통신램프 35:점검램프
36:리셋버튼 37:전방소켓부 37a:하우징
37b:고정단자 38a:제1접속감지부 38b:제2접속감지부
39:리셋회로부 41:보호케이스 41a:케이스바디
41b:글래스 41c:수용공간 41d:버튼누름돌기
41e:록킹홀 41f:단자구멍

Claims (4)

  1. 외부의 신호전달선과 접속하는 다수의 고정단자를 구비한 전방소켓부와;
    상기 전방소켓부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단자에 신호전달선이 끼워졌을 때, 고정단자에 대한 신호전달선의 물리적 접속을 감지하는 제1접속감지부, 상기 제1접속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점등되는 접속확인램프가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전방소켓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외부의 연결선과 접속하여 전방소켓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상기 연결선으로 인가하는 후방소켓부를 포함하는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신호전달선과 고정단자간의 전기적 접속을 감지하는 제2접속감지부와,
    상기 제2접속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점등되는 통신램프와,
    상기 접속확인램프가 점등되고 통신램프가 소등되었을 때 점등되는 점검램프와,
    필요시 상기 전방소켓부와 후방소켓부를 차단하기 위한 리셋회로부와,
    사용자에 의해 눌려 상기 리셋회로부를 작동시키는 리셋버튼이 구비된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그 내부에 수용 보호하는 것으로서,
    전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본체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바디와,
    상기 케이스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케이스바디 내부에 삽입된 본체부의 접속확인램프와, 통신램프와, 점검램프를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글래스를 구비하는 보호케이스가 더 구비된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바디에는, 케이스바디에 본체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셋버튼과 대응하고, 외력에 의해 눌려 상기 리셋버튼을 누르는 버튼누름돌기가 설치된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KR1020190054228A 2019-05-09 2019-05-09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KR20200129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28A KR20200129590A (ko) 2019-05-09 2019-05-09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28A KR20200129590A (ko) 2019-05-09 2019-05-09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90A true KR20200129590A (ko) 2020-11-18

Family

ID=7369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228A KR20200129590A (ko) 2019-05-09 2019-05-09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5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349B1 (ko) 2018-06-08 2018-12-28 주식회사 세왕오토메이션 회로기판 일체형 멀티 컨넥터 케이블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349B1 (ko) 2018-06-08 2018-12-28 주식회사 세왕오토메이션 회로기판 일체형 멀티 컨넥터 케이블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2319B2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module
US6851960B2 (en) AC adapter connector assembly
US83400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cal layer connectivity
JP4822560B2 (ja) デュプレクスプラグアダプタモジュール
US10158222B2 (en) Surge protective device and surge protective system
EP2957936A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optical fiber connector plug and adapter assembly
EP2659550B1 (en) Two-part modular connector comprising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communication port
JP2010501110A (ja) 光電プラグおよびコンセント
CN201904477U (zh) 电连接器组件
US7102887B2 (en) Housing for hot pluggable network taps
US7980767B2 (en)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CN105490098A (zh) 一种新型的安全智能插座
EP2850704B1 (en) A keystone jack for use in a computing network
US8636537B2 (en) Connecting terminal
WO2008125813A1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power supply
KR102252900B1 (ko)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KR20200129590A (ko) 신호전달용 커넥터장치
US20190363497A1 (en) Power Over Ethernet Connection with Power Control
US11527338B2 (en) Patch cord inspecting system
US20120039573A1 (en) Connector
EP2448071A1 (en) Telecommunication connecting device
KR102312443B1 (ko) 서지 방지 기능을 가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KR20220124981A (ko) 모듈러잭
JP6329748B2 (ja) 電気コネクタ
JP7298951B1 (ja) プラグ接続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