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028A - How to create a job description, how to create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how to recommend a new business, and how to recommend a curriculum - Google Patents

How to create a job description, how to create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how to recommend a new business, and how to recommend a curricul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028A
KR20200129028A KR1020200005012A KR20200005012A KR20200129028A KR 20200129028 A KR20200129028 A KR 20200129028A KR 1020200005012 A KR1020200005012 A KR 1020200005012A KR 20200005012 A KR20200005012 A KR 20200005012A KR 20200129028 A KR20200129028 A KR 20200129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competency
similar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0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3608B1 (en
Inventor
김희동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소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소셜 filed Critical (주)스마트소셜
Publication of KR20200129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028A/en
Priority to KR102021003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1680A/en
Priority to KR1020210035307A priority patent/KR202100916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6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creating the job description, a method for creating a capacity measurement tool, a method for recommending a new business, and a method for recommending curriculu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creating the job descrip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job performance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pieces of similar job performance similar to the required job performance; and creating the job description from the required job performance and the similar job performance.

Description

직무 기술서 생성 방법, 역량 측정 도구 생성 방법, 신사업 추천 방법 및 커리큘럼 추천 방법{omit}Job description generation method, competency measurement tool generation method, new business recommendation method, and curriculum recommendation method{omit}

본 발명은 직무 기술서를 생성 방법, 역량 측정 도구 생성 방법, 신사업 추천 방법 및 커리큘럼 추천 방법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a method for generating a capability measurement tool, a method for recommending a new business, and a method for recommending a curriculum.

기업이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충족하는 인재를 채용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과제이다. 과거 기업은 직무에 관계없이 학벌을 직무수행능력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인식하여 왔으며, 채용 과정에서도 충분한 직무설명이나 명확한 채용 기준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기업의 채용 과정으로 직무에 부적합한 인재가 채용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채용한 인재가 실무에 투입되기까지 직무교육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발생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It is a very important task for companies to hire talented people who meet the skills required to perform their jobs in the industrial field. In the past, companies have recognized academic background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judging job performance regardless of job duties, and in the hiring process, there are many cases where sufficient job descriptions or clear recruitment standards have not been presented. In the hiring process of such companie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personnel who are not suitable for the job are hi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time and money are incurred for job training before the recruited personnel are put into practice.

특히, 실무에 투입된 인재가 직무에 적응하지 못하고 조기에 퇴사 또는 이직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어서, 기업과 인재에게 더욱 큰 손해를 야기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human resources who have been put into practice do not adapt to their jobs and resign or change jobs early, which can cause further damage to companies and human resources.

한편, 정부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마다 요구되는 지식, 기술, 능력을 확인하여 인재의 채용 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국가직무수행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을 도입하고, 최근 국가기관, 공공기관, 교육기관뿐 아니라 민간기업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Meanwhile,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in order to check the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 required for each job in the industrial field and use it as an important standard when hiring talent. It aims to spread to private enterprises as well as institutions, public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하지만, 민간기업이 NCS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NCS표준제도를 이해하고 준수해야 하며, 관련 내용을 채용 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과 준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도입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order for private companies to introduce NCS, they must understand and comply with the NCS standard system, and they are reluctant to introduce the NCS because it requires efforts and preparations to reflect related contents in the recruitment process.

특히, 회사 및 부서에 근무한 이력이 있는 근로자 또는 퇴직자가 경험하거나 경험했던 실제 직무와 NCS를 통한 직무 분류 사이에 괴리가 존재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In particular,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actual jobs experienced or experienced by workers or retirees with a history of working in companies and departments and job classification through NCS.

한편, 최근 빅데이터 분석 기술들이 발달되면서, NCS를 활용하여 직무 미스매칭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NCS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여전히 직무에 대한 정보 제공에 소극적인 면을 보이고 있어서 직무 미스매칭을 효율적으로 개선시키지 못하는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Meanwhile,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big data analysis technologies, many attempts to improve job mismatching using NCS are being made. However, most companies lack awareness of NCS and are still passive in providing job information, which is acting as a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efficiently improve job mismatching.

본 발명은 직무 미스매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job mismatching.

본 발명은 채용 분야의 직무에 관해 높은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채용 담당자가 채용 분야의 직무에 대하여 상세하고 구체적인 직무 기술서를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by which a hiring manager who does not have high knowledge about a job in the hiring field can create a detailed and specific job description for a job in the hiring field.

본 발명은 연봉 협상에 있어서, 합리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reasonable basis for salary negotiation.

본 발명은 교육기관이 커리큘럼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기업의 실질적인 니즈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by which an educational institution can reflect the actual needs of companies in setting a curriculum.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무 기술서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직무 기술서 생성 방법은,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직무 기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In an embodiment, a method for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includes: receiving an input of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And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similar job competency.

다른 관점에 따른 직무 기술서 생성 방법은,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으로부터 직무 기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according to another viewpoin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n input of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Providing the one or more similar job capabilities to the terminal; Receiving one or more additional job abilities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from the terminal; And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additional job competency.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fter the step of receiving one or more additional job capabilities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similar job capabilities from the terminal: providing the required job capability and the additional job capability to the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weight for the required job capability and the additional job capability from the terminal.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상기 추가 직무 능력 및 상기 가중치는 기업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required job capability, the additional job capability, and the weight may be stored as information on the company.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는: 입력된 직무 능력 및 필터를 기반으로 상기 유사 직무 능력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직무에 따른 필요 능력과 관련된 데이터로 구성된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을 기반으로 생성되되, 상기 직무능력단위들과 상기 직무능력단위들을 구성하는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단어들 간의 연관도 및 상기 직무능력단위들 상호 간의 관련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riving the similar job competency includes: recommending the similar job competency based on the input job competency and a filter, and the filter is composed of data related to required competence according to the job. Generated based on a dictionary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at least one of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job competency units and words extracted from the data constituting the job competency units and a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job competency units It may includ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행 단위 및 열 단위 중 어느 하나의 제1 단위에 직무능력단위들이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제2 단위에 상기 직무능력단위들을 구성하는 데이터들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이 배열되는 2차원 행렬을 포함하고, 상기 2차원 행렬은, 상기 제1 단위의 각 직무능력단위들와, 상기 제2 단위의 각 단어 간의 연관도를 각각의 성분값으로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lter is a word extracted from data constituting the job competency units in one of a first unit of a row unit and a column unit, and another second unit And a two-dimensional matrix in which they are arranged, and the two-dimensional matrix may have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each job competency unit of the first unit and each word of the second unit as each component valu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행 단위 및 열 단위 중 어느 하나의 제1 단위에 직무능력단위들이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제2 단위에 상기 직무능력단위들이 배열되는 2차원 행렬을 포함하고, 상기 2차원 행렬은, 상기 제1 단위의 각 직무능력단위와 연관된 제1 직무능력단위와 상기 제2 단위의 각 직무능력단위와 연관된 제2 직무능력단위 간의 관련도를 각각의 성분값으로 가질 수 있다.본 발명은 역량 측정 도구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역량 측정 도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filter includes a two-dimensional matrix in which job competency units are arranged in a first unit of a row unit and a column unit, and the job competency units are arranged in another second unit, and , The two-dimensional matrix has a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job competency unit associated with each job competency unit of the first unit and a second job competency unit associated with each job competency unit of the second unit as each component valu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generating a capability measurement tool. In an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an input of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And generating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similar job competency.

다른 관점에 따른 역량 측정 도구 생성 방법은,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으로부터 역량 측정 도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generating a capability measurement tool according to another viewpoin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Providing the one or more similar job capabilities to the terminal; Receiving one or more additional job abilities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from the terminal; And generating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additional job competency.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fter the step of receiving one or more additional job capabilities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similar job capabilities from the terminal: providing the required job capability and the additional job capability to the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weight for the required job capability and the additional job capability from the terminal.

본 발명은 신사업 추천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역량 측정 도구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역량 측정 도구로부터 하나 이상의 직원의 역량을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의 역량으로부터 기업의 역량을 산정하는 단계와;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다른 기업의 역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기업 중 상기 기업과 유사한 역량을 갖는 유사 역량 기업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출된 유사 역량 기업의 사업 정보를 상기 기업에게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business recommendation method. In an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an input of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Generating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similar job competency; Receiving competencies of one or more employees from the competency measurement tool; Calculating the capabilities of the enterprise from the capabilities of the one or more employees; Comparing the stored capabilities of one or more different enterprises; Deriving a similar competency company having a similar capability to the company from among the one or more other companies; The business information of the similar competency company derived above is provided to the company.

본 발명은 기업, 직업 또는 직무 추천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역량 측정 도구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역량 측정 도구로부터 제1 피측정자의 역량을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제1 피측정자의 역량과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피측정자의 서로 역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피측정자 중 상기 제1 피측정자와 역량이 서로 유사한 제2 피측정자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피측정자의 기업 정보, 직업 정보 또는 직무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제1 피측정자에게 기업, 직업 또는 직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commending a company, job or job. In an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receiving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capabilities similar to the requested job capability; Generating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similar job competency; Receiving a capability of a first subject from the capability measurement tool; Comparing the capabilities of the first testee with the capabilities of the stored at least one subject; Extracting a second subject whose capabilities ar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subject from among the stored at least one subject; Any one or more of a company, a job, or a job is recommended to the first subject from any one or more of company information, job information, or job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ject.

본 발명은 커리큘럼 추천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으로부터 기업의 필요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업의 필요 직무 능력과 교육기관의 커리큘럼에 따른 직무 능력을 비교하여 상기 교육기관에 대하여 커리큘럼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rriculum recommendation method. In an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an input of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Providing the one or more similar job capabilities to the terminal; Receiving one or more additional job abilities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from the terminal; Deriving a required job competency of the company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additional job competency; And comparing the required job ability of the company with the job ability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recommending a curriculum for the educational institu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직무 미스매칭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job mismatch problem may be solv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채용 분야의 직무에 관해 높은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채용 담당자가 채용 분야의 직무에 대하여 상세하고 구체적인 직무 기술서를 작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ring manager who does not have high knowledge about the job in the hiring field can write a detailed and specific job description for the job in the hiring fiel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연봉 협상에 있어서, 합리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negotiating an annual salary, a reasonable basi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교육기관이 커리큘럼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기업의 실질적인 니즈를 반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etting a curriculum by an educational institution,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actual needs of a company.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받은 요구 직무 능력으로부터 처리부가 유사 직무 능력을 추천하고, 필요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받은 요구 능력으로부터 처리부가 기업의 직무 기술서를 생성하고 이를 채용공고에 연결하기 까지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사 직무 추천부(31)로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직무 능력으로부터 유사한 직무 능력까지 확장하는 사항을 도시한 사용자 단말기의 예시 화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받은 직무 능력으로부터 역량 측정 도구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봉협상하고, 기업에게 신사업을 추천하거나, 직원을 추천하는 방법과, 직원에게 새로운 기업 또는 새로운 직업 또는 새로운 직무를 추천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합부(36)를 설명한다.
도 9는 일 예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가 기업의 직무 역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예에 있어서 기업 1에 대하여 신사업을 추천하는데 있어서, 기업 역량을 비교하는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일 예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가 직업인의 직무 역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은 직업인1에 대하여 새로운 기업 또는 새로운 직업 또는 새로운 직무를 추천하는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교육기관에 대하여 교육 커리큘럼을 추천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교육기관에 대하여 교육 커리큘럼을 추천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기업의 요구 직무 역량과 교육기관의 커리큘럼 정보를 보유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교육기관에 대하여 커리큘럼을 추천하는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직무 추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생성부의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직무 추천부의 구성도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제1 필터 생성부의 구성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의 일예로서 NCS의 직무능력단위들(6124)을 정의하는 문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필터의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직무 추천부의 구성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필터 생성부의 구성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예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직무 추천부의 구성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mmending a similar job competency by a processing unit and deriving a required job competency from an input requested job competenc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unit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of a company from an input request cap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connecting it to a job posting.
FIG. 4 is an exemplary screen of a user terminal showing an extension from a job competency input from a user to a similar job competency from the similar job recommendation unit 3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5 illustrates a method of creating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rom input job compet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negotiating an annual salary using it, recommending a new business to a company, or recommending an employee, and a new company or a new job or a new job to an employee. It is a flow chart showing how to recommend.
6, 7 and 8 illustrate the data integration unit 36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atabase stores job competency data of a company according to an example.
10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comparing company capabilities in recommending a new business to company 1 according to an example.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atabase stores job competency data of a professional.
12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recommending a new company or a new job or a new job to a worker 1;
1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mmending an education curriculum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mmending an education curriculum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base that holds information on required job competency of a company and curriculum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16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recommending a curriculum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17 is a block diagram of a job recommendation server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block diagram of a filter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job recommendation unit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filter generator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A and 2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ocument defining the job competency units 6112 of the NCS as an example of a dictionary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2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irst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job recommendation unit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filter generator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econd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job recommend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at configures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O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Even if not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accepted by universal technology in the prior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General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for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hav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or any further features, is not excluded in advance.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와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 및 '~부'들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The'~ unit'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mean, for example,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and subs.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by the'~ unit' may be performed separately by a plurality of elements and the'~ units', or may be integrated with other additional elements.

본 발명에서는 '직무 능력'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직무 능력'이라는 용어는 산업현장의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한국산업인력공단 또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로 체계화한 개념에 따른 능력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CS에 관하여서는, https://www.ncs.go.kr/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등을 참고하여 분류한 대분류(24) → 중분류(79) → 소분류(253) → 세분류(1,001개)에 따라, 각 세분류에 제공된 NCS능력단위에 포함된 각 NCS능력단위가 포함하는 NCS능력단위(레포트)에서 제공된 능력단위 요소의 지식, 기술, 태도가 될 수 있다. 한편, 직무 능력이란 상술한 NCS능력단위 또는 능력단위요소에 한정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직무 능력이란 NCS에서 정의하는 능력단위의 명칭, 정의, 직업기초능력, 평가사항, 능력단위요소별 수행준거 등 모든 기재 사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직무 능력이란 상술하지 않은 산업현장의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된 개념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job ability' is used. The term'job competenc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job performance in the industrial field, for example,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or the Kore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Institute. Standards) can be defined as a unit of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oncept structured. Specifically, information on NCS can be obtained from https://www.ncs.go.kr/, and the major classification (24) classified by referring to the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KECO) → Sub-classification (79) → Sub-classification (253) → According to the sub-classification (1,001), knowledge and skills of the elements of the competency unit provided in the NCS competency units (reports) included in each NCS competency unit included in the NCS competency units provided in each subclass , Attitude can be. On the other hand, job competency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 concep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NCS competency unit or competency unit element. Job competency may mean all the items to be stated, such as the name, definition, basic job competency, evaluation items, performance standards for each competency unit element defined in the NCS. In addition, job competency includes knowledge, skills, attitudes, etc. required for job performance in an industrial site not described above, and may be a concept classified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1)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1)는 단말기(20)와, 처리부(30)와, 데이터 베이스(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erminal 20, a processing unit 30, and a database 40.

단말기(20)는 사용자 또는 구직자에게 제공되어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serv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설명되지 않았으나,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정보를 사용자의 입력받을 수 있는 다른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The terminal 20 is a terminal provided to a user or job seeker to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book reader ( e-book reader), desktop PC, laptop PC, netbook computer, workstation, server,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 an MP3 player, a mobile medical device, a camera, or a wearable device. In addition, although not described, another terminal may be provided that is provided to the user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user.

처리부(30)는 유사 직무 추천부(31), 기업 정보 갱신부(32), 직무기술서 생성부(33), 역량 시트 생성부(34), 신사업 추천부(35), 데이터 통합부(36), 직원 추천부(37)와 기업/직업/직무 추천부(38), 교육 커리큘럼 추천부(39)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30)의 구성에 관하여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processing unit 30 includes a similar job recommendation unit 31, a company information update unit 32, a job description generation unit 33, a competency sheet generation unit 34, a new business recommendation unit 35, and a data integration unit 36. , An employee recommendation unit 37, a company/job/job recommendation unit 38, and an education curriculum recommendation unit 39. The configuration of the process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데이터 베이스(40)는 처리부(30)내에 존재하거나 처리부(30)와 분리된 서버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처리부(30)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4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베이스(40)에 저장된 데이터는 처리부(30)로 가져와 처리될 수 있다.The database 40 may exist in the processing unit 30 or may be configured as a server computer separate from the processing unit 30.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30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40, and data stored in the database 40 may be brought to the processing unit 30 and processed.

직무 추천 서버(30)는 다양한 방식의 통신을 통해 구직자 단말기, 채용자 단말기 및 데이터베이스(40)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방식의 통신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원거리 통신(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5G(5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job recommendation server 30 may access the job seeker terminal, the recruiter terminal, and the database 40 through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Her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ay be implemented by a network interface capable of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short-range communication (eg, Bluetooth, WiFi direct, or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eg, cellular It may be a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Wired/wireless network interfaces communicate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rd Generation (3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oution (LTE), 5th Generation (5G), etc. It may be configured as a network interface that perfor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받은 요구 직무 능력으로부터 처리부가 유사 직무 능력을 추천하고, 필요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받은 직무 능력으로부터 처리부가 기업의 직무기술서를 생성하고 이를 채용공고에 연결하기까지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에서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은 도 2의 설명과 동일한 것이므로. 도 2의 설명으로 대신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여 유사 직무 추천부(31)와 기업 정보 갱신부(32)와 직무기술서 생성부(33)를 설명한다.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mmending a similar job competency by a processing unit and deriving a required job competency from an input requested job compet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unit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of a company from an input job cap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connecting it to a job posting. The use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2 in FIG. 3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FIG. 2. It can be replaced by the description of FIG. 2. With reference to FIG. 3, the similar job recommendation unit 31, the company information update unit 32, and the job description generation unit 33 will be described.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사 직무 추천부(31)로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직무 능력으로부터 유사한 직무 능력까지 확장하는 사항을 도시한 사용자 단말기의 예시 화면이다. 도 2, 3에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사 직무 추천부(31)는 유사한 직무 능력을 추천한다. 예컨대, 제1 직무 능력이 제2 직무 능력과 소정의 유사성을 가진다고 가정할 때, 단말기(20)로부터 제1 직무 능력을 입력 받으면, 유사 직무 추천부(31)는 제1 직무 능력과 유사한 제2 직무 능력과 제3 직무 능력을 도출해낸다.FIG. 4 is an exemplary screen of a user terminal showing an extension from a job competency input from a user to a similar job competency from the similar job recommendation unit 3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and 3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4. The similar job recommendation unit 31 recommends similar job capabilitie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irst job ability has a predetermined similarity to the second job ability, when the first job ability is input from the terminal 20, the similar job recommendation unit 31 Deriving job competency and third job competency.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기(20)를 통해 사용자(예컨대, 기업의 채용 담당자)로부터 입력받는 사항은 사용자 라인(100)에 도시하고, 처리부(100)가 처리하는 사항은 처리부 라인(200)에 도시된다.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one embodi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eg, a hiring manager of a company) through the terminal 20 is shown in the user line 100, and the items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100 are displayed in the processing unit line 200. Is shown.

먼저 단말기(20)로부터 요구 직무 능력을 입력 받는다(1110). 예컨대. 단말기(20)로부터 제1 직무 능력(118)을 입력 받는다(요구되는 직무 능력이 다수개 존재할 경우 다수개의 직무 능력을 입력 받을 것이다). 유사 직무 추천부(31)는 입력받은 제1 직무 능력(118)으로부터 유사한 직무 능력을 도출한다(1210). 유사 직무 추천부(31)는 제1 직무 능력과 유사한 제1 유사 직무 능력과 제2 유사 직무 능력을 생성한다(유사 직무 능력이 수에서 수십개 이상 존재하면, 수에서 수십개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생성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사 직무 능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유사 직무 추천부(31)로부터 추천된 유사 직무라는 것으로 편의상 유사 직무 능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고, 실질적으로는 직무 능력과 동일한 개념이다. First, the required job capability is input from the terminal 20 (1110). for example. The first job competency 118 is input from the terminal 20 (if there are a plurality of required job competencies, a plurality of job competencies will be inputted). The similar job recommendation unit 31 derives a similar job competency from the inputted first job competency 118 (1210). The similar job recommendation unit 31 generates a first similar job competency and a second similar job competency similar to the first job competency (if there are dozens or more of similar job competencies, the number may generate dozens or more of similar job competencies. will b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imilar job competency” is used, which is a similar job recommended by the similar job recommendation unit 31, and for convenience, the term “similar job competency” is used, and is substantially the same concept as job competency.

유사 직무 추천부(31)는 이를 이용하여 유사 직무 능력 리스트(125)를 생성하고(1220), 이를 단말기(20)로 다시 제공한다(1230). 단말기(20) 사용자는 단말기(20)에 입력한 제1 직무 능력(118)으로부터 확장된 제1 유사 직무 능력(126)과 제2 유사 직무 능력(127)이 포함된 유사 직무 능력 리스트(125)를 제공받게 된다. 유사 직무 능력 리스트(125)는 입력받은 직무 능력과 유사한 유사 직무 능력이 리스트화 된 것으로 예컨대, 제1 유사 직무 능력, 제2 유사 직무 능력이 리스트화 된 것일 수 있다.The similar job recommendation unit 31 generates a similar job capability list 125 using this (1220), and provides it to the terminal 20 again (1230). The terminal 20 user is a similar job competency list 125 including a first similar job competency 126 and a second similar job competency 127 expanded from the first job competency 118 input to the terminal 20 Will be provided. The similar job competency list 125 is a list of similar job competencies similar to the input job competencies, and may be, for example, a list of first and second similar job competencies.

사용자는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유사 직무 능력 리스트(125)로부터 스스로 생각하지 못했던 확장된 직무 능력이 유사 직무 능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유사 직무 능력 리스트(125)로부터 요구되는 추가의 직무 능력을 선정할 수 있다(1120). 예컨대, 제1 유사 직무 능력(126)이 기업으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이라면, 이를 선택(128)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a similar job ability with an expanded job ability that he did not think of himself from the similar job ability list 125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 The user may select an additional job competency required from the similar job competency list 125 (1120). For example, if the first similar job competency 126 is a job competency required from a company, it may be selected 128.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확장하는 것은 기업의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예컨대, 제1 직무 능력을 통해 수행하는 업무가 요구되는 직무 보직에서 수행해야할 업무 중 70%를 차지한다면, 기업의 채용 담당자는 나머지 30%의 업무에 대해서 쉽게 인지하지 못한다. 이는 채용 담당자가 해당 직무 보직에 종사하지 않기 때문에 직무기술서 작성 당시에는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정은 특히 인력이 중소기업에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예컨대 A기업에서 작성한 특정 직무기술서에 제1 직무 능력만이 요구되는 제1 업무만이 자신의 업무가 될 것이라고 이해하고 A기업에 입사한 B씨는, 막상 입사하고 나니 A기업이 B씨에게 제2 직무 능력도 요구하고, 제1 업무 외에 제2 업무도 요구하는 등의 사정으로 A기업에 다니는 것을 유지하기 힘든 사정이 되는 것이며, A기업도 B씨가 제2 업무를 할 수 없었다면 다른 사람을 채용하는 등의 사정이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서는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이다.It is very important for companies to expand their required job skills. For example, if the job performed through the first job competency accounts for 70% of the work to be performed in the required job position, the hiring manager of the company is not easily aware of the remaining 30% of the work. This is because the hiring manager is not engaged in the job position, so it is not clearly understood at the time of writing the job description. This correction has serious consequences, especially for small and medium-sized workforce. For example, B, who joined Company A, understands that only the first job that requires only the first job ability will be his job in a specific job description written by Company A, and after joining Company A, Company A 2 It is a difficult situation to keep attending Company A due to reasons such as demanding job skills and requesting a second job in addition to the first job, and if Company A was unable to do the second job, then another Such situations as hiring occur frequently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at lack manpower.

추천된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추가로 선정하여 요구 직무 능력을 확장하고 나면, 단말기(20)의 사용자는 입력받은 제1 직무 능력(118)과 제1 유사 직무 능력(126)을 필요 직무 능력으로 저장한다(1240). 저장된 필요 직무 능력은 기업 정보로 저장되어 기업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1280). 그리고 저장된 필요 직무 능력은 필요 직무 능력 리스트(135)로 생성된다(1250). 생성된 필요 직무 능력 리스트(135)는 사용자에게 제공된다(1260). 사용자는 제공받은 필요 직무 능력 리스트(135)로부터 필요 직무 능력별 가중치(136)를 입력할 수 있다(1130). 예컨대, 제1 직무 능력(118)에 대해 입력된 가중치는 0.8이고, 제1 유사 직무 능력(126)에 대해 입력된 가중치는 0.2일 수 있다. 가중치는 사용자가 판단하기에 기업에서 요구되는 수준을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 입력된 필요 직무 능력별 가중치는 처리부(30)를 통해 저장된다(1270). 저장된 필요 직무 능력별 가중치는 기업에 대한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기업의 정보로서 저장되면서 기업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1280). 갱신된 기업의 정보는 추후 유사 직무 능력을 추천하는데 데이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A기업이 제1 보직에 대하여 제1 직무 능력에 대하여 0.8의 비중을 갖는 능력을 요구하고, 제1 유사 직무 능력에 대하여 0.2의 비중을 갖는 능력을 요구한다면, A기업은 0.8의 비중을 갖는 제1 직무 능력과 0.2의 비중을 갖는 제1 유사 직무 능력을 필요로 하는 기업일 수 있다. 이는 추후 단말기(20)로부터 제1 직무 능력을 입력받은 경우 제1 유사 직무 능력을 추천하거나, 제1 유사 직무 능력을 입력 받은 경우 제1 직무 능력을 추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는 입력된 보직이 다수개 일수록 의미있는 수치로 데이터화되는데,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fter expanding the required job competency by additionally selecting the job competency required from the recommended similar job competency, the user of the terminal 20 needs the inputted first job competency 118 and the first similar job competency 126 Stored as job competency (1240). The stored required job competency may be stored as company information to update the company information (1280). And the stored required job competency is generated as a required job competency list 135 (1250). The generated list of required job capabilities 135 is provided to the user (1260). The user may input a weight 136 for each required job competency from the provided required job competency list 135 (1130). For example, the weight input for the first job competency 118 may be 0.8, and the weight input for the first similar job competency 126 may be 0.2. The weight may define a level required by the company as the user judges. The input weight for each required job capability is stored through the processing unit 30 (1270). The stored weight for each required job competency can be used as information on the company.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f the company may be updated while being stored as information of the company (1280). The updated company information can serve as data to recommend similar job capabilities in the future. For example, if Firm A requests the ability to have a weight of 0.8 for the first job ability for the first position and the ability to have a weight of 0.2 for the first similar job ability, then Firm A has the weight of 0.8. It may be a company that requires the first job ability to have and the first similar job ability with a weight of 0.2. This may be used to recommend a first similar job ability when the first job ability is input from the terminal 20, or to recommend a first job ability when a first similar job ability is input. These values are converted into meaningful values as the number of input positions increase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처리부(30)는 입력받은 필요 직무 능력과 필요 직무 능력별 가중치로부터 직무기술서 초안을 생성한다. 직무기술서 초안은 각 직무 능력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에서 도출되는 상세한 데이터(예컨대, 지식, 기술, 태도 등에 대한 상세한 기재)와 기업의 기 입력된 직무기술서 등의 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30 generates a draft job description from the input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weight for each required job competency. The draft job description may be generated from detailed data (e.g., detailed description of knowledge, skills, attitudes, etc.) derived from data stored according to each job competency and previously entered data such as a previously entered job description of a company.

처리부(30)는 직무기술서 초안을 생성할 수 있다(2210). 처리부(30)는 생성된 직무기술서 초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2210). 사용자는 단말기(20)로부터 직무 기술서 초안을 제공받고, 직무 기술서 초안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수정할 수 있다(2210). 사용자에 의해 수정된 내용을 반영하여 직무 기술서가 생성된다(2230). 상술한 단계를 거쳐 생성된 직무 기술서는 채용 공고에 연결될 수 있다(2240).The processing unit 30 may generate a draft job description (2210). The processing unit 30 may provide the generated draft job description to the user (2210). The user is provided with a draft job description from the terminal 20, and may appropriately modify the draft job description as necessary (2210). A job description is generated by reflecting the contents modified by the user (2230). The job description gener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s may be linked to a job posting (2240).

상술한 방법을 거쳐 생성된 직무 기술서는 기업이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직무 능력까지도 확장하여, 직무 기술서가 보다 정확한 요구 직무 능력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며, 직무 기술서 초안을 제공함으로써, 작문 능력이 부족한 채용 담당자에게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직무 기술서가 보다 상세하고 정확하게 기재될 수 있`다. 이로서 구직자와 채용자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직무 미스매칭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The job description cre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extends to job abilities that companies are not aware of, so that the job description can contain more accurate required job abilities, and by providing a draft job description, hiring managers with insufficient writing ability By providing help to people, the job description can be written more precisely and accurately. As a result, communication between job seekers and recruiters can be facilitated and job mismatch problems can be resolved.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받은 직무 능력으로부터 역량 측정 도구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봉협상하고, 기업에게 신사업을 추천하거나, 직원을 추천하는 방법과, 직원에게 새로운 기업 또는 새로운 직업 또는 새로운 직무를 추천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에서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은 도 2의 설명과 동일한 것이므로. 도 2의 설명으로 대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기(20)를 통해 사용자(예컨대, 기업의 채용 담당자)로부터 입력받는 사항은 사용자 라인(100)에 도시하고, 처리부(100)가 처리하는 사항은 처리부 라인(200)에 도시되고, 단말기(20, 또는 또 다른 단말기일 수 있다)를 통해 직원으로부터 입력받는 사항은 직원 라인(300)에 도시한다. 실시 예에 따른 연봉 협상 방법, 신사업 추천 방법, 직원 추천 및 직원에 대한 기업/직업/직무 추천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역량 시트 생성부(34)와 신사업 추천부(35)와 직원 추천부(37)와 기업/직업/직무 추천부(38)를 설명한다.FIG. 5 illustrates a method of creating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rom input job compet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negotiating an annual salary using it, recommending a new business to a company, or recommending an employee, and a new company or a new job or a new job to an employee. It is a flow chart showing how to recommend. The use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2 in FIG. 5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FIG. 2. It can be replaced by the description of FIG. 2.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one embodi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eg, a hiring manager of a company) through the terminal 20 is shown in the user line 100, and the items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100 are displayed in the processing unit line 200. It is illustrated,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mployee through the terminal 20 or another terminal is shown in the employee line 300. An annual salary negotiation method, a new business recommendation method, an employee recommendation, and a company/job/job recommendation method for an employ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n addition, with reference to FIG. 5, the competency sheet generation unit 34, the new business recommendation unit 35, the employee recommendation unit 37, and the company/job/job recommendation unit 38 will be described.

도 2를 이용한 설명과 동일한 방법으로부터 추천된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추가로 선정하여 요구 직무 능력을 확장하고 필요 직무 능력을 선정하고나면(1000), 역량 시트 생성부(34)는 입력받은 필요 직무 능력과 필요 직무 능력별 가중치로부터 역량 측정 도구 초안을 생성한다(30). 역량 측정 도구는 직원의 직무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몇가지 질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질문지는 NCS능력단위(레포트)에 포함된 수행준거로부터 추출된 질문일 수 있다(도 21 참조). 각각의 직무 능력에 따른 분류 안에 포함된 데이터에는 직무 능력의 평가 요소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평가 요소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역량 측정 도구 초안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초안은 아래 [표 1]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역량 측정 도구 초안은 필요 직무 능력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평가 요소별 난이도에 따라 평가 요소 선택지가 조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After selecting the required job competency from the similar job competency recommended from the same method as the description using FIG. 2 to expand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selecting the required job competency (1000), the competency sheet generation unit 34 inputs A draft competency measurement tool is generated from the received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weight by required job competency (30). The competency measurement tool is a tool to measure an employee's job competency, and may include several questionnaires. For example, the questionnaire may be a question extracted from the performance criterion included in the NCS capability unit (report) (see FIG. 21). The data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each job competency may include evaluation elements of job competency, and these evaluation elements can be automatically extracted to generate a draft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example, a draft can be created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draft competency measurement tool may be provided by adjusting the selection of evaluation elements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each evaluation element, taking into account weights for each required job competency.

예시적인 역량 측정 도구 초안Draft exemplary competency measurement tool 직무능력Job ability 평가 요소Evaluation factor 선택Select 세부 선택Detail selection 협력대상국 개발환경 분석하기Analyzing the development environment of partner countries 협력대상국의 정책, 제도, 법령 등을 검토하여 공적개발원조 추진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promoting public development assistance by reviewing the policies, systems, and laws of partner countries. 협력대상국을 지원하는 타 공여자들의 지원특성과 운영전략, 실행방안 등을 파악하여 한국의 비교 우위를 분석할 수 있다.The comparative advantage of Korea can be analyzed by grasping the support characteristics, operational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 plans of other donors who support partner countries. 한국과 협력대상국의 이해관계자를 분석하여 원활한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잇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By analyzing the stakeholders of Korea and the partner countries, it is possible to suggest a plan for smooth cooperation.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협력대상국의 국내외 환경, 기타 위험요소를 조사하여 사업수행 특이사항을 분석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specific matters of project execution by investigating the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 and other risk factors of the partner country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프로젝트환경 분석하기Analyzing the project environment 조직 내부 요인에 따라 내부 환경을 분석할 수 있다.The internal environment can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ternal factors of the organization. 조직 외부 요인에 따라 외부 환경을 분석할 수 있다.The external environment can be analyzed according to factors outside the organization. 프로젝트 환경 분석을 통한 가정 및 전제조건을 파악할 수 있다.Assumptions and prerequisites can be identified through project environment analysis. 프로젝트 현장의 주요 투입물인 프로젝트 작업 문서 및 계약 내용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다.Project work documents and contracts, the main inputs of the project site, can be reviewed in advance. 프로젝트 타당성 조사하기Investigating project feasibility 환경 분석을 통하여 프로젝트의 기술 변화 및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Through environmental analysis, technology changes and trends of the project can be identified. 환경 분석을 통한 프로젝트의 기술적 및 경제적 타당성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The technical and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roject can be investigated through environmental analysis. 효과적인 프로젝트 선정을 위하여 규모, 복잡도, 리스트도, 분석 대상으로 정의하고 효과적인 분석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In order to select an effective project,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size, complexity, list, and analysis target, and establish an effective analysis plan. 프로젝트 타당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타당성 조사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A feasibility study report can be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oject feasibility study.

위 [표 1]에 따른 예에서 '협력대상국 개발환경 분석하기'는 제1 직무 능력에 해당하고, '프로젝트환경 분석하기'는 제1 유사 직무 능력에 해당하고, '프로젝트 타당성 조사하기'는 제2 유사 직무 능력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according to [Table 1] above,'Analyzing the partner country's development environment' corresponds to the first job competency,'Analyzing the project environment' corresponds to the first similar job ability, and'Investigating the project feasibility' is the first. 2 May correspond to similar job capabilities.

일 실시 예에 따라 평가 요소는 수행 준거에 따른 평가 요소만을 포함하도록 예시하였으나, [지식]란의 기재사항으로부터 '국제기구 양자원조기구, NGO 등의 협력대상국에 대한 개발정책과 지원현황에 대해서 안다'와 같은 문항이나, [기술]란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이 있다.'와 같은 문항이나, [태도]란의 기재사항으로부터 '객관적이며 논리적으로 사고하려는 의지가 있다'와 같은 문항을 도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valuation elements are exemplified to include only evaluation element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criteria, but from the information in the [Knowledge] column,'We know the development policy and support status for partner countries such a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ilateral aid organizations and NGOs. Questions such as'I ha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foreign languages' from the items in the [Skill] column, or items such as'I have the will to think objectively and logically' from the items in the [Attitude] column. You can also derive.

상술한 역량 측정 도구 초안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3220). 역량 측정 도구 초안을 제공받은 사용자는 역량 측정 도구 초안을 수정하거나, 필요한 항목만을 선택할 수 있다(3110). 예컨대, 필요한 항목의 선택은 직무능력단위에 따른 일 그룹의 평가 요소가 선택될 수도 있고, 평가 요소별로 세부 선택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draft capability measurement tool is provided to the user (3220). A user who is provided with a draft competency measurement tool can modify the draft competency measurement tool or select only necessary items (3110). For example, as for the selection of necessary items, a group of evaluation elements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job competency units, or detailed selection may be made for each evaluation element.

상술한 다수의 방법으로 사용자로부터 수정되거나 선택된 역량 측정 도구 초안은 역량 측정 도구로서 생성된다(3230). 예컨대 역량 측정 도구는 아래 [표 2]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A draft of the competency measurement tool modified or selected from the user in a number of ways described above is generated as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3230). For example, a capability measurement tool can be created as shown in [Table 2] below.

역량 측정 도구Competency measurement tool 직무능력Job ability 평가 요소Evaluation factor 그렇다Yes 보통usually 아니다no 협력대상국 개발환경 분석하기Analyzing the development environment of partner countries 협력대상국의 정책, 제도, 법령 등을 검토하여 공적개발원조 추진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promoting public development assistance by reviewing the policies, systems, and laws of partner countries. 협력대상국을 지원하는 타 공여자들의 지원특성과 운영전략, 실행방안 등을 파악하여 한국의 비교 우위를 분석할 수 있다.The comparative advantage of Korea can be analyzed by grasping the support characteristics, operational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 plans of other donors who support partner countries. 한국과 협력대상국의 이해관계자를 분석하여 원활한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잇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By analyzing the stakeholders of Korea and the partner countries, it is possible to suggest a plan for smooth cooperation.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협력대상국의 국내외 환경, 기타 위험요소를 조사하여 사업수행 특이사항을 분석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specific matters of project execution by investigating the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 and other risk factors of the partner country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프로젝트환경 분석하기Analyzing the project environment 조직 내부 요인에 따라 내부 환경을 분석할 수 있다.The internal environment can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ternal factors of the organization. 조직 외부 요인에 따라 외부 환경을 분석할 수 있다.The external environment can be analyzed according to factors outside the organization. 프로젝트 환경 분석을 통한 가정 및 전제조건을 파악할 수 있다.Assumptions and prerequisites can be identified through project environment analysis. 프로젝트 현장의 주요 투입물인 프로젝트 작업 문서 및 계약 내용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다.Project work documents and contracts, the main inputs of the project site, can be reviewed in advance.

역량 측정 도구는 직원(300)에게 제공된다(3240). 직원(300)은 역량 측정 도구를 제공 받아 자신의 역량을 측정할 수 있다(3310). 일 예로, 직원이 입사 연도에 역량 측정 도구를 제공 받아 역량을 측정하고, 그 다음 연도에 연봉협상을 위하여 상기 역량 측정 도구로부터 다시 역량을 측정함으로써, 역량 향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연봉 협상의 근거로서 작용할 수 있다(3500). 추가적으로 직원이 스스로 역량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역량은 객관성이 결여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관리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처리부(30)는 지나친 상승폭을 나타내는 평가 결과에 대하여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mpetency measurement tool is provided to the employee 300 (3240). The employee 300 may be provided with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to measure his or her competence (3310). For example, an employee may be provided with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in the year of employment to measure competency, and then the competency improvement may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competency again from the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salary negotiation in the next year. This can serve as a basis for negotiating an annual salary (3500). In addition, the competencies measured by the employee themselves using the competency measurement tool may lack objectivity and can be modified by the manager. The processing unit 30 may provide information to an administrator by providing a notification on an evaluation result indicating an excessive increase.

직원의 역량을 측정 결과로부터 신사업 추천부(35)가 기업에 대하여 신사업을 추천한다(3600). 또한, 측정된 역량으로부터 직원 추천부(37)가 기업에 대하여 직원을 추천한다(3700). 또한, 측정된 역량으로부터 기업/직업/직무 추천부(38)가 직원에 대하여 기업 또는 직업 또는 직무를 추천한다(4000). 도 6은 직원의 직무 능력으로부터 직원의 직무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통합하는 사항을 도시하고, 도 7 및 도 8은 신사업 추천부(35)가 신사업을 추천하거나, 직원 추천부(37)가 직원을 추천하기 위하여 데이터가 통합되는 사항을 도시한다. 도 5에 도 6,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From the results of measuring employee competency, the new business recommendation department (35) recommends a new business to the company (3600). In addition, the employee recommendation unit 37 recommends employees to the company from the measured capabilities (3700). In addition, the company/job/job recommendation unit 38 recommends a company or job or job to the employee from the measured competency (4000). 6 shows a matter of integrating data in order to derive an employee's job competency from the employee's job competency, and FIGS. 7 and 8 show a new business recommendation unit 35 recommending a new business or an employee recommendation unit 37 Shows where data is being incorporated to recommend staff. 5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6, 7, and 8.

데이터 통합부(36)는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다. 예컨대, 직원1으로부터 측정된 직원1의 직무 능력1과, 직무 능력 2와, 직무 능력 3을 데이터 통합부(36)를 통해 통합하면, 직원1의 직무 역량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직원2, 직원3, 직원4에 대하여 직원1과 동일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통합하면, 직원2의 직무 역량과, 직원3의 직무 역량과, 직원 4의 직무 역량을 얻을 수 있다. 기업의 직무 역량은, 기업에 소속된 직원들의 직무 역량을 통합하여 도출될 수 있다. 예컨대, 직원1과 직원2를 갖는 기업1의 직무 역량은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원1의 직무 역량과, 직원 2의 직무 역량을 통합한 형태로 도출될 수 있다. 한편, 기업의 특정 기계 보유 여부 등이 기업의 직무 역량 데이터로서 보정될 수도 있다. The data integration unit 36 may integrate data. For example, by integrating the job capability 1, job capability 2, and job capability 3 of employee 1 measured from employee 1 through the data integration unit 36, the job competency of employee 1 may be derived. 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data for employee 2, employee 3, and employee 4 in the same way as employee 1, the job competency of employee 2, job competency of employee 3, and job competency of employee 4 can be obtained. The job competency of a company can be derived by integrating the job competencies of employees belonging to the company. For example, the job competency of the company 1 having employees 1 and 2 is as shown in FIG. 8. It can be derived in the form of integrating employee 1's job competency and employee 2's job competency. Meanwhile, whether or not a company has a specific machine may be corrected as the company's job capability data.

이렇게 도출된 기업1의 직무 역량은 데이터 베이스(40)에 저장된다. 또한, 도 9를 통해 참조되듯이, 데이터 베이스(40)는 기업2, 기업3, ... 기업n의 직무 역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1에게 신사업을 추천하는데 있어서, 기업2, 기업3, ... 기업n과의 비교를 통하여, 가장 유사한 직무 역량을 가지는 기업의 사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업1에게 신사업을 제안할 수 있다. The job competency of Company 1 thus derived is stored in the database 40. In addition, as referenced through FIG. 9, the database 40 may store job competency data of company 2, company 3, ... company n. For example, in recommending a new business to Firm 1, it is possible to propose a new business to Firm 1 by providing business information of the company with the most similar job competency through comparison with Firm 2, Firm 3, ... Firm n. I can.

일 예로, 도 10은 기업 1에 대하여 신사업을 추천하는데 있어서, 기업 역량을 비교하는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통해 참조되듯이, 기업1은 기업3과 유사한 직무 역량을 갖는데, 기업 1에 대하여 기업 3의 사업 분야를 제공함으로써, 기업 1에 대하여 신사업을 추천할 수 있다. 반대로 기업 3에 대하여 기업 1의 사업 분야를 제공함으로써, 기업 3에 대하여 신사업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만약 기업 1이 기업 2와 유사한 사업 분야에 종사하는 반면에 기업 1의 직무 능력 5가 기업 2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약하다면, 기업1에 대하여 직무능력5가 뛰어난 직원(입사지원자 또는 타 기업의 직원 등)을 추천할 수 있다. As an example, FIG. 10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comparing company capabilities in recommending a new business for company 1. FIG. As referenced through FIG. 10, Firm 1 has similar job capabilities to Firm 3, and by providing Firm 3's business field to Firm 1, a new business can be recommended for Firm 1. Conversely, by providing Firm 1's business field to Firm 3, a new business can be recommended to Firm 3. In addition, if Firm 1 is engaged in a business field similar to Firm 2, whereas Firm 1's job capability 5 i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Firm 2, then the employee with excellent job capability 5 compared to Firm 1 (applicants or other companies Staff, etc.).

도 11은 일 예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가 직업인의 직무 역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은 직업인1에 대하여 새로운 기업 또는 새로운 직업 또는 새로운 직무를 추천하는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기업/직업/직무 추천부(38)를 설명한다. 도 11을 통해 참조되듯이, 상술한 예들을 통해 저장된 개개인 직원의 정보는 직업인으로 정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직원은 기업에 소속될 때는 직원이지만, 사회적인 입장에서 바라보면 직업인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기업에서 벗어난 입장에서 직원을 바라보아 직업인이라고 정의한다. 예컨대, 데이터 베이스(40)는 직업인1, 직업인2, 직업인3, ... 직업인n의 직무 역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각 직업인은 동일한 기업에 소속되거나, 서로 상이한 기업에 소속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프리랜서일 수도 있고, 사업자이거나 자영업자일 수도 있고, 기타 정의되지 않은 직업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2를 통해 참조되듯이, 직업인1과 직업인 2와 직업인 3의 직무 역량을 비교할 때, 직업인1은 직업인2와 유사한 직무 역량을 갖는데, 직업인1에 대하여 직업인2의 기업 또는 직업 또는 직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직업인1에 대하여 기업 또는 직업 또는 직무를 추천할 수 있다. 반대로 직업인 2에 대하여 직업인1의 기업 또는 직업 또는 직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직업인2에 대하여 기업 또는 직업 또는 직무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atabase stores job competency data of a professional. 12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recommending a new company or a new job or a new job to a worker 1; 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company/job/job recommendation unit 38 will be described. As referenced through FIG. 11, information of individual employees sto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examples may be defined and stored as a professional person. When an employee belongs to a company, it is an employee, but when viewed from a social standpoint, it corresponds to a professional person.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ployee is viewed from a position outside the company and defined as a professional person. For example, the database 40 may store job competency data of a professional 1, a professional 2, a professional 3, ... professional n. Each professional may belong to the same company, may belong to different companies, may be freelancers, business owners or self-employed persons, or may have other undefined jobs. As referenced through FIG. 12, when comparing the job competencies of professional 1, 2, and 3, professional 1 has similar job competency as professional 2,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mpany or job or job of professional 2 to professional 1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 company or a job or job to a professional person 1. Conversely, by providing the company or job or job information of the employee 1 to the employee 2, it is possible to recommend the company or job or job information to the employee 2.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교육기관에 대하여 교육 커리큘럼을 추천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에서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은 도 2의 설명과 동일한 것이므로, 도 2의 설명으로 대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기(20)를 통해 사용자(예컨대, 기업의 채용 담당자)로부터 입력받는 사항은 사용자 라인(100)에 도시하고, 처리부(100)가 처리하는 사항은 처리부 라인(200)에 도시되고, 단말기(20, 또는 또 다른 단말기일 수 있다)를 통해 교육기관이 수신하는 사항은 교육기관 라인(400)에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교육 커리큘럼 추천부(39)와 교육기관에 대하여 교육 커리큘럼을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mmending an education curriculum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FIG. 13, the use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2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FIG. 2, and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FIG. 2 may be substituted. In one embodi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eg, a hiring manager of a company) through the terminal 20 is shown in the user line 100, and the items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100 are displayed in the processing unit line 200. It is shown,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rough the terminal 20 or another terminal is shown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line 400. Referring to FIG. 13, a method of recommending an education curriculum to the education curriculum recommendation unit 39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describe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직무 기술서를 작성하고 채용 공고와 연결하는 것에 연장하여, 교육 커리큘럼 추천부(39)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필요 직무 능력을 토대로 교육 커리큘럼을 추천할 수 있다(5000). In one embodiment, in addition to creating the job description described through FIG. 2 and connecting it to the employment announcement, the education curriculum recommendation unit 39 may recommend the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necessary job skills required by the company. Yes (5000).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교육기관에 대하여 교육 커리큘럼을 추천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에서 도 4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은 도 4의 설명과 동일한 것이므로, 도 4의 설명으로 대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기(20)를 통해 사용자(예컨대, 기업의 채용 담당자)로부터 입력받는 사항은 사용자 라인(100)에 도시하고, 처리부(100)가 처리하는 사항은 처리부 라인(200)에 도시되고, 단말기(20, 또는 또 다른 단말기일 수 있다)를 통해 교육기관이 수신하는 사항은 교육기관 라인(400)에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교육 커리큘럼 추천부(39)와 교육기관에 대하여 교육 커리큘럼을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mmending an education curriculum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FIG. 14, the use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4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FIG. 4, and thus, the description of FIG. 4 may be substituted. In one embodi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eg, a hiring manager of a company) through the terminal 20 is shown in the user line 100, and the items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100 are displayed in the processing unit line 200. It is shown,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rough the terminal 20 or another terminal is shown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line 400. Referring to FIG. 14, a method of recommending an education curriculum to the education curriculum recommendation unit 39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describe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4를 통해 설명된 역량 측정 시트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역량 측정을 통해 연봉협상하는 것에 연장하여(혹은 기업에 대하여 신사업을 추천하거나, 직원을 추천하거나, 직원에 대하여 기업/직업/직무를 추천하는 것과 연장하여), 교육 커리큘럼 추천부(39)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필요 직무 능력과 실제 산업현장에서 기업이 갖는 직무 역량을 토대로 교육 커리큘럼을 추천할 수 있다(5000).In one embodiment, by creating and providing the competency measurement sheet described in FIG. 4 and extending the salary negotiation through competency measurement (or recommending a new business to a company, recommending an employee, In addition to recommending jobs/jobs), the education curriculum recommendation unit 39 may recommend an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required job competency required by the company and the job competency of the company in the actual industrial field (5000).

도 15는 기업의 요구 직무 역량과 교육기관의 커리큘럼 정보를 보유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6은 교육기관에 대하여 커리큘럼을 추천하는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 또는 도 14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base holding the required job competency of a company and curriculum information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Fig. 16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recommending a curriculum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or FIG. 14 and FIGS. 15 and 16.

데이터 베이스(40)는 기업의 요구 직무 역량과 교육기관의 커리큘럼에 따른 직무 역량을 보유한다. 데이터 베이스(40)에 저장된 기업의 요구 직무 역량과 교육기관의 커리큘럼에 따른 직무 역량을 비교한다. 도 1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업이 요구 직무 역량과 교육기관의 커리큘럼에 따른 직무 역량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16에 따라 일 예를 살피면, 기업은 직무능력 1과 직무능력 3과 직무능력 5를 크게 요구하는데 반해, 교육기관의 커리큘럼은 직무 능력 5에 대해서는 교육을 거의 제공하지 않는 반면에, 기업에서 요구하지 않는 직무능력 2에 대해서 교육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 추천부(39)는 교육기관에 대하여 직무능력5의 비중을 높이는 커리큘럼을 제안하면서, 직무능력2에 대한 비중을 줄이는 커리큘럼을 제안할 수 있다. The database 40 holds job competencies required by companies and job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equired job competency of the company stored in the database 40 is compared with the job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s shown in FIG. 16, the job competency required by the company and the job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Looking at an example according to Fig. 16, while companies strongly demand job competency 1, job competency 3, and job competency 5, the curriculum of educational institutions rarely provides training for job competency 5, whereas companies require it. You may be educating about job skills 2 that you do not do.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commendation unit 3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pose a curriculum that increases the proportion of job competency 5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proposes a curriculum that reduces the proportion of job competency 2.

이하, 입력받은 직무 능력으로부터 유사 직무 능력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extracting a similar job competency from the input job competency will be described.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직무 추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직무 추천 서버(31)는 필터 생성부(6100)와, 필터(6200) 및 직무 추천부(6300)를 포함할 수 있다.17 is a block diagram of a job recommendation server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7, the job recommendation server 31 may include a filter generation unit 6100, a filter 6200, and a job recommendation unit 6300.

필터 생성부(6100)는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을 기초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이한 필터(6200)를 생성할 수 있다.The filter generator 6100 may generate one or a plurality of different filters 6200 based on a dictionary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이하, 사전집이라고 칭함)은 직무와 관련된 특정 데이터(예컨대, 구직자의 자기소개서, 채용자의 직무 기술서, NCS에 따른 분류데이터 등)로부터 추출된 직무능력과 관련된 데이터(예컨대, 직무능력과 관련성을 갖는 단어, 문장 등)를 각 정의되는 직무능력단위에 따라 분류하여 정리한 데이터화된 집합을 의미한다. 각 직무능력단위들은 직무능력을 대표하는 인덱스와 직무능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ctionary coll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ictionary collection)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includes job competency extracted from job-related specific data (e.g., job seeker's self-introduction, job description, classification data according to NCS, etc.) It refers to a set of data that is organized by classifying related data (eg, words, sentences, etc. related to job competency) according to each defined job competency unit. Each job competency unit may include an index representing job competency and data related to job competency.

필터(6200)는 입력값을 제공하면 입력값과 관련된 출력값을 도출하는 것이다. 예컨대 입력값은 직무능력과 관련된 단어 또는 직무능력일 수 있다. 예컨대 출력값은 직무능력과 관련된 단어 또는 직무능력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필터(6200)는 사전집을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필터 생성부(6100)에 의해 생성된 필터(620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될 수 있다. 직무 추천부(6300)는 대상자 관련 데이터와, 필터 생성부(6100)에 의해 생성된 필터(6200)를 기반으로 대상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추천할 수 있다. The filter 6200 derives an output value related to the input value when an input value is provided. For example, the input value may be a word related to job ability or job ability. For example, the output value may be a word related to job ability or job ability. In an embodiment, the filter 6200 may be calculated based on a dictionary. The filter 6200 generated by the filter generator 6100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40. The job recommendation unit 6300 may recommend a job suitable to the subject based on the subject-related data and the filter 6200 generated by the filter generating unit 6100.

실시예에서,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분류에 따라 정의된 직무분류에 따른 능력단위과 관련된 문서와, 이러한 문서들로부터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모음집을 포함할 수 있다. 사전집은 복수개의 직무능력단위로 구성된다. 직무능력단위라는 정의는 단순히 직무능력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직무능력이 필요로 하는 능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집합의 개념으로 이해해야하며, 단순히 단어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각 직무능력마다 복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집 또는 문장으로 정의된 직무 해설서, 직무 기술서 등과 이들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다. In an embodiment, a dictionary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includes documents related to competency units according to job classification defined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classification, and words extracted from these documents. May contain a collection of words. The dictionary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The definition of a job competency unit does not simply mean job competence itself, bu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a data set that includes data related to the competency required by each job competency. It is not simply defined in words, but each job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a vocabulary including a plurality of words for each ability or a job description, job description, etc. defined as sentences or their indexes.

실시예에서, 필터 생성부(6100)는 각각의 직무능력단위의 사전집에서 각 직무능력단위에 따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직무능력단위에 따른 데이터들에서 단어들을 추출한 후, 각 직무능력단위와 단어들 간의 관련도 또는 각 직무능력단위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여 필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직무능력단위에 따른 데이터는 직무능력단위의 '분류번호', '명칭', '정의', '평가지침', '직업기초능력', '평가사항', 직무능력단위에 속하는 직무능력단위요소별 '명칭', '수행준거',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화된 문서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lter generating unit 6100 extracts data for each job competency unit from a dictionary collection of each job competency unit, extracts words from the extracted data for each job competency unit, and then A filter can be created by calcula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units and words or between each job competency unit. For example, the data according to each job competency unit is'classification number','name','definition','evaluation guideline','basic job competency','evaluation item', job competency belonging to the job competency unit. It may be a data-formatted document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name','conformity','knowledge','technology', and'attitude' for each unit element.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생성부의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직무 추천부의 구성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필터 생성부(6100)는 제1 필터 생성부(6120)와, 제2 필터 생성부(6140) 및 필터 갱신부(6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6200)는 제1 필터(6220)와, 제2 필터(6240)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무 추천부(6300)는 제1 직무 추천부(6320)와, 제2 직무 추천부(6340)를 포함할 수 있다.18 is a block diagram of a filter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job recommendation unit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19, the filter generator 6100 may include a first filter generator 6120, a second filter generator 6140, and a filter updater 6160. The filter 6200 may include a first filter 6220 and a second filter 6240. The job recommendation unit 6300 may include a first job recommendation unit 6320 and a second job recommendation unit 6340.

제1 필터 생성부(6120)는 각 직무능력단위과, 각 직무능력단위에 따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단어들 간의 관계도를 나타내는 2차원 행렬의 제1 필터(6220)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필터 생성부(6120)는 각 직무능력단위 간의 연관도를 나타내는 2차원 행렬의 제2 필터(6240)를 생성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generator 6120 may generate a first filter 6220 of a two-dimensional matrix representing a relationship between each job competency unit and words extracted from data according to each job competency unit. The second filter generator 6120 may generate a second filter 6240 of a 2D matrix indicating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each job competency unit.

제1 직무 추천부(6320)는 제1 필터 생성부(6120)에 의해 생성된 제1 필터(6220)를 기반으로 대상자에게 직무를 추천할 수 있다. 제2 직무 추천부(6340)는 제2 필터 생성부(6140)에 의해 생성된 제2 필터(6240)를 기반으로 대상자에게 직무를 추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필터(6220)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제2 필터(62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job recommendation unit 6320 may recommend a job to a target person based on the first filter 6220 generated by the first filter generation unit 6120. The second job recommendation unit 6340 may recommend a job to a target person based on the second filter 6240 generated by the second filter generation unit 6140. Hereinafter, the first filter 6220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second filter 6240 will be described.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제1 필터 생성부의 구성도이다. 도 18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1 필터 생성부(6120)는 사전집 구축부(6122)와, 단어 추출부(6126)와, 연관도 분석부(6130), 및 정규화부(613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집 구축부(6122)는 직무능력 관련 데이터(6400)로부터 직무능력단위에 따른 데이터들을 분할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직무능력단위에 따라 통합함으로써 이를 사전집(6125)으로 구축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전집 구축부(6122)는 24개의 NCS 대분류 별로 직무능력단위를 정의하는 pdf 문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직무능력단위들(6124)의 개수 n은 상이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n은 해당 분류에 속하는 직무능력단위들(6124)의 개수를 나타낸다. 같은 분류에 속하는 n개의 직무능력단위들(6124)에 따른 pdf문서들은 해당 분류에 대한 제1 필터(6220)를 산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분류의 개수만큼 복수개(예를 들어, NCS 분류체계의 대분류에 따르면 24개)의 제1 필터(6220)가 산출될 수 있다.2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filter generator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20, the first filter generation unit 6120 includes a dictionary construction unit 6122, a word extraction unit 6126, a correlation analysis unit 6130, and a normalization unit 6132. Can include. The dictionary collection construction unit 6122 may construct a dictionary collection 6125 by dividing and extracting data according to job competency units from job competency-related data 6400 and integrating the extracted data according to job competency units. In an embodiment, the dictionary collection construction unit 6122 may extract pdf documents defining job competency units for each of 24 NCS major categories. The number n of the job competency units 6112 may be different, and in one embodiment, n denotes the number of job competency units 6112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PDF documents according to n job competency units 6112 belonging to the same classification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first filter 6220 for the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and as many as the number of classifications (for example, the NCS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large classification, 24) of first filters 6220 may be calculated.

도 21a 및 도 21b는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의 일예로서 NCS의 직무능력단위들(6124)을 정의하는 문서를 예시한 도면이다. 사전집 구축부(6122)는 직무능력단위 별로 '분류번호', '명칭', '수준', '정의', '직업기초능력', '평가사항', 직무능력단위요소별 '수행준거',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에서 직무능력단위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추출할 수 있다. 단어 추출부(6126)는 n개의 직무능력단위들 전체로부터 단어들(6128)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어 추출부(6126)는 직무능력단위들(6124)을 정의하는 문서 내의 문장들을 형태소 단위의 단어들로 분할하고 품사를 태깅(Tagging)하는 형태소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어 추출부(6126)는 문장들에서 불용어(stop word)를 제외하고, 유니그램(Uni-gram) 및/또는 바이그램(bi-gram) 등의 N-그램(N은 2 이상의 정수)으로 단어들을 추출할 수 있다.21A and 2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ocument defining the job competency units 6112 of the NCS as an example of a dictionary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For each job competency unit,'classification number','name','level','definition','basic vocational competence','evaluation items','performance standards' for each job competency unit element, Data related to job competency units can be extracted from documents containing information such as'knowledge','skill', and'attitude'. The word extractor 6126 may extract words 6128 from all of the n job competency units. In an embodiment, the word extracting unit 6126 may include a morpheme analyzer that divides sentences in a document defining the job competency units 6112 into words of a morpheme unit and tagging parts of speech. In an embodiment, the word extracting unit 6126 excludes stop words from sentences, and N-grams such as uni-gram and/or bi-gram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 To extract words.

연관도 분석부(6130)는 사전집(6125)에 정의된 직무능력단위들(6124)과, 직무능력단위들(6124)에서 추출된 단어(6128)들 간의 연관도를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관도 분석부(6130)는 TF-IDF(Term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 기반으로 n개의 직무능력단위들(6124)과, n개의 직무능력단위들(6124)에서 추출된 m개의 단어들(6128) 간의 연관도를 분석할 수 있다. 직무능력단위들(6124)과 단어들(6128) 간의 연관도는 예를 들면 하기의 수식 1 내지 수식 3에 따라 산출되거나, 수식 1, 수식 2 및 수식 4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The association analysis unit 6130 may analyze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job competency units 6112 defined in the dictionary 6125 and the words 6128 extracted from the job competency units 6112. In an embodiment, the correlation analysis unit 6130 is based on TF-IDF (Term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 based on n job competency units 6112 and m words extracted from n job competency units 6112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fields 6128.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job competency units 6112 and the words 6128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s 1 to 3 below, or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s 1, 2, and 4 below.

[수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식 3][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식 4][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식 1 내지 4에서, 'tfidf(t,d,D)'는 단어 빈도 역문서 빈도수, 't'는 단어, 'd'는 문서, D는 전체 문서들의 집합, tf(t,d)는 단어 빈도수, idf(t,D)는 역문서 빈도수, 'ft,d'는 문서 d 내에서의 단어 t의 빈도수, 'df(t,d)'는 전체 문서들 중 단어 t를 포함하는 문서들의 개수를 나타낸다.In Equations 1 to 4,'tfidf(t,d,D)' is the word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t' is a word,'d' is a document, D is a set of all documents, and tf(t,d) is a word Frequency, idf(t,D) is the inverse document frequency,'ft,d' is the frequency of the word t in the document d, and'df(t,d)' is the number of documents containing the word t among all documents Represents.

연관도 분석부(130)는 TF-IDF 뿐 아니라, 비음수 행렬 분해 특성추출(NMF;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Word2Vec/Doc2Vec 등의 단어 임베딩(Word Embedding) 기술을 적용하여 직무능력단위 문서들과, 직무능력단위 문서들에서 추출된 단어들 간의 연관도를 분석할 수도 있다.The relevance analysis unit 130 applies not only TF-IDF, but also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and word embedding technologies such as Word2Vec/Doc2Vec, and documents job competency units. And, it is also possible to analyze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words extracted from job competency unit documents.

n개의 직무능력단위들(6124)에서 추출된 단어들(6128)의 개수가 m개인 경우, 직무능력단위들(6124)과 단어들(6128) 간의 연관도들은 n×m 크기의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정규화부(6132)는 n×m 크기의 행렬의 크기가 1로 정규화되도록, n×m 행렬의 각 성분을 설정값로 나누어 정규화된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설정값은 n×m 행렬의 각 성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설정값은 정규화 방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행렬의 크기가 1이 되도록 정규화 하였지만, 10, 100등 적정한 크기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대분류 별로, 정규화된 제1 필터(6220)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필터(6220)를 정규화함으로써, 상이한 대분류에 속하는 추천 직무들의 우선순위가 대분류들 간의 상이한 행렬 크기에 의해 좌우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특정 대분류(행렬 크기가 큰 대분류) 내의 능력단위로 추천 직무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행렬 크기가 큰 대분류 뿐 아니라, 행렬 크기가 작은 대분류에서도 구직자에게 적합한 직무(능력단위)를 추천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words 6128 extracted from n job competency units 6112 is m, the associations between job competency units 6112 and words 6128 can be expressed in a matrix of size n×m. have. The normalization unit 6132 may generate a normalized matrix by dividing each component of the n×m matrix by a set value so that the size of the matrix of size n×m is normalized to 1. The set valu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each component of the n×m matrix. Also, the set valu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normalization metho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trix is normalized to have a size of 1, but it may be modified to an appropriate size such as 10 or 100. Accordingly, a normalized first filter 6220 may be generated for each major classification. By normalizing the first filter 62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iorities of recommended jobs belonging to different major categories from being influenced by different matrix sizes between major categories, and recommended jobs as competency units within a specific major category (large category with a large matrix siz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people and recommend a job (competency unit) suitable for job seekers not only in the large category with a large matrix size, but also in the large category with a small matrix size.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필터의 예시도이다. 도 20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제1 필터(6220)는 행(row) 단위(제1 단위)로 직무능력단위들(6124)(a1,a2,...,an-1,an)이 배열되고, 열(column) 단위(제2 단위)로 사전집(6125)의 직무능력단위들(6124)에서 추출된 단어들(6128)(v1,v2,...,vm-1,vm)이 배열되는 2차원 행렬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필터(6220)의 2차원 행렬의 각 성분값은 단어의 TF-IDF 값을 행렬 크기로 나누어 정규화한 값일 수 있다. 제1 필터(6220)는 n개의 직무단위능력들 각각의 1×m 크기를 가지는 행 벡터들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단어들(128)의 개수 m은 대략 수만 내지 수십만개일 수 있다.2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irst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and 22, the first filter 6220 includes job competency units 6112 (a1, a2,...,an-1,an) in a row unit (first unit). Words (6128) (v1,v2,...,vm-1,vm) that are arranged and extracted from the job competency units (6124) of the dictionary (6125) in a column unit (second unit) This can be expressed as an arrayed two-dimensional matrix. Each component value of the 2D matrix of the first filter 6220 may be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F-IDF value of a word by the matrix size and normalized. The first filter 6220 may be regarded as a set of row vectors having a size of 1×m for each of n job unit capabilities. The number m of words 128 may be approximately tens of thousands to hundreds of thousands of words.

이상에서 직무능력단위들이 행 단위(제1 단위)에 순차 배열되고, 직무능력단위 문서들에서 추출된 단어들이 열 단위(제2 단위)에 순차 배열되는 제1 필터(6220)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1 필터(6220)는 직무능력단위들이 열 단위에 배열되고, 직무능력단위들에서 추출된 단어들이 행 단위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직무능력단위 벡터는 열 벡터로 제공될 수 있다.In the above, for an embodiment of the first filter 6220 in which job competency units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row units (first unit), and words extracted from job competency unit documents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column units (second unit). Although described, in the first filter 6220, job competency units may be arranged in column units, and words extracted from job competency units may be arranged in row units. In this case, each job competency unit vector may be provided as a column vector.

다시 도 18을 참조하면, 필터 갱신부(6160)는 주기적인 크롤링(crawling) 기술을 통해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의 갱신 정보를 수집하고,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의 갱신 정보를 기반으로 필터를 갱신할 수 있다.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은 미래사회 변화와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변경, 갱신될 수 있으며, 새로 생겨나거나 없어지는 직무가 있는 경우, 직무능력단위가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직무능력단위에 포함되는 단어나 요구 능력이 보다 구체화된 용어를 포함하도록 변경, 갱신될 수 있다. 예컨대, 직무능력 관련 데이터(6400)의 일 예인 자기소개서로부터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명칭인 'powerpoint'라는 단어를 수집한 경우, powerpoint가 직무능력단위에 포함되지 않은 단어일 때, 직무능력단위를 포함하는 사전집은 이를 포함하도록 갱신될 수 있다. 필터 갱신부(160)는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이 갱신되는 경우, 필터를 갱신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8, the filter update unit 6160 collects update information of a dictionary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through a periodic crawling technique, and a dictionary coll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The filter can be updated based on the update information of. The dictionary coll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can be changed or updated to reflect future social changes and the needs of industrial sites, and job competency units may be added or deleted if there are new or disappearing jobs. In addition, words included in the job competency unit or required competence may be changed or updated to include more specific terms. For example, when the word'powerpoint', which is a program name used in industrial sites, is collected from a self-introduction, which is an example of job competency-related data 6400, when the word powerpoint is a word that is not included in the job competency unit, the job competency unit is The containing dictionary can be updated to include it. The filter updater 160 may update the filter when a dictionary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is updated.

예를 들어, 필터 갱신부(6160)는 크롤링으로 수집된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에 새로운 분류번호 또는 새로운 명칭을 가지는 직무능력단위가 발견되거나, 기존 직무능력단위들의 분류번호들 또는 명칭들 중 삭제된 분류번호 또는 명칭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크롤링(crawling) 기술에 의해 직무능력단위의 '직업기초능력', '평가사항', 직무능력단위요소별 '수행준거',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등의 경우,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이 변경, 갱신된 것으로 판단하여, 필터를 갱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lter update unit 6160 finds a new classification number or a job competency unit having a new name in a dictionary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collected by crawling, or the classification numbers of the existing job competency units or If there is a deleted classification number or name among the names, or by a crawling technique, the job competency unit's'vocational basic competency','evaluation items','performance criteria','knowledge' by job competency unit ele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information such as,'technology','attitude', etc. has been changed, it is determined that the dictionary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has been changed or updated, and the filter may be updated.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직무 추천부의 구성도이다. 도 18,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직무 추천부(6320)는 대상자의 입력된 직무 능력(6500), 예컨대 요구 직무 능력, 및 제1 필터(6220)를 기반으로 대상자에게 하나 이상의 직무를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력된 직무 능력(6500)는 교육정보, 보유 자격증 정보, 포트폴리오, 이력서, 자기소개서, SNS 데이터 및 상기 대상자와 대화 형태로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챗봇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 대상자의 음성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 대상자의 사회 관계 정보, SNS의 관심사, 컨텐츠 시청 기록, 검색 정보 등 디지털화된 개인 정보, 군복무 주특기, 군직무 포트폴리오, 군 복무시 수행 임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직무 능력(6500)은 대상자 단말기로부터 수집되거나, 대상자의 SNS 또는 이메일, 구인구직 중계 서버, 대상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있는 학교 또는 국가 행정기관 서버 등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제1 직무 추천부(6320)는 단어 추출부(6322)와, 벡터화부(6324)와, 유사도 산출부(6326), 및 유사 직무 능력 결정부(6328)를 포함할 수 있다.23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job recommendation unit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22, and 23, the first job recommendation unit 6320 provides at least one job to the subject based on the subject’s input job capability 6500, for example, the required job capability, and the first filter 6220. Can recommend a job. In an embodiment, the input job competency 6500 is data collected by a chatbot that collects education information, possession certificate information, portfolio, resume, self-introduction, SNS data, and history information in the form of conversation with the subject, the subject’s voice The collected data may include digitized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social relations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 interests of SNS, content viewing records, search information, etc., military service main specialty, military job portfolio, and missions performed during military service. The input job capability 6500 may be collected from the target person's terminal, or may be collected from the target person's SNS or e-mail, a job search relay server, a school or a national administrative agency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the target person. The first job recommendation unit 6320 may include a word extraction unit 6322, a vectorization unit 6324, a similarity calculation unit 6326, and a similar job capability determination unit 6328.

단어 추출부는 대상자의 입력된 직무 능력(6500)로부터 역량 관련 단어들을 추출할 수 있다. 단어 추출부(6322)는 입력된 직무 능력(6500) 내의 문장들을 형태소 단위의 단어들로 분할하고 품사를 태깅하는 형태소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어 추출부(6322)는 형태소 분석 후 명사태깅 형태소를 추출하고, 불용어(stop words)를 제거한 후, 명사 연속의 경우 바이그램(bi-gram) 등의 N-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 단어 추출부(6322)는 입력된 직무 능력(6500)의 단어들 중에서, 제1 필터(6220)에 정의된 단어들(6128)에 대응되는 단어들 만을 추출할 수 있다.The word extraction unit may extract competency-related words from the input job competency 6500 of the subject. The word extracting unit 6322 may include a morpheme analyzer that divides the inputted sentences in the job capability 6500 into words in morpheme units and tags parts of speech. In an embodiment, the word extracting unit 6322 may extract a noun tagging morpheme after morpheme analysis, remove stop words, and then apply an N-gram such as a bi-gram in the case of noun continuation. . The word extractor 6322 may extract only words corresponding to the words 6128 defined in the first filter 6220 from among the input words of the job competency 6500.

벡터화부(6324)는 단어 추출부(6322)에 의해 입력된 직무 능력(6500)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을 제1 필터(6220)에 정의된 단어들(6128)의 배열 순서에 따라서 벡터화할 수 있다. 제1 필터(6220)는 열 단위로 단어들(6128)의 순서가 배열되어 있다. 벡터화부(6324)는 제1 필터(6220)에 정의된 단어들(6128)의 배열 순서에 따라, 입력된 직무 능력(6500)로부터 추출된 k개(k는 0 이상, m 이하의 정수)의 단어들을 1×m 크기의 행 벡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된 직무 능력(6500)에서 추출된 단어들로부터 변환된 행 벡터는 k개의 성분들은 0 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나머지 (m-k)개의 성분들은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k개의 단어들 각각의 성분값은 입력된 직무 능력(6500)에서의 단어의 빈도수(TF; Term Frequency)에 대응하는 값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바이너리 스코어(binary score) 적용에 의해 빈도수에 관계 없는 값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단어의 빈도수(TF)를 사용하는 경우, 정규화된 빈도수(Normalized Term Frequency)를 사용하여 유사도(예를 들어, 코사인 유사도) 계산에 활용할 수 있다. 바이너리 스코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곱을 취한 다음 내적하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vectorization unit 6324 may vectorize words extracted from the job capability 6500 input by the word extraction unit 6322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of words 6128 defined in the first filter 6220. In the first filter 6220, the order of words 6128 is arranged in units of columns. The vectorization unit 6324 includes k (k is an integer of 0 or more and m or less) extracted from the input job competency 650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of words 6228 defined in the first filter 6220. Words can be converted into 1×m row vectors. In this case, in the row vector converted from words extracted from the input job competency 6500, k components may have a size greater than 0, and the remaining (m-k) components may have a value of 0. The component value of each of the k words may be determined a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Term Frequency (TF) in the input job capability 6500, or a value irrespective of the frequency by applying a binary score. It can also be determined. When a word frequency (TF) is used, a normalized term frequency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similarity (eg, cosine similarity). In the case of using a binary score, it can be applied by taking the square and then dot product.

예를 들어, 입력된 직무 능력(6500)에 '건축설계' 단어가 2회 포함되어 있고, 제1 필터(6220)에서 '건축설계'에 해당하는 단어가 12145번째 열로 규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단어의 빈도수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벡터화부(6324)에 의해 생성된 1차 벡터의 12145번째 성분 값은 '1'로 결정되고, 단어의 빈도수를 고려하는 경우 벡터화부(6324)에 의해 생성된 1차 벡터의 12145번째 성분 값은 '2'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벡터 정규화 연산에 의해 정규화된 행 벡터(특징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유사도 산출부(6326)는 벡터화부(6324)에 의해 입력된 직무 능력(6500)로부터 생성된 행 벡터(특징 벡터)와, 제1 필터(6220)를 기반으로 구직자의 특징 벡터와 능력단위들 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유사도 산출부(6326)는 구직자의 특징 벡터와 능력단위들 각각의 행 벡터(능력단위 벡터) 간의 유사도(예를 들어,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를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word'architectural design' is included twice in the input job competency 6500, and the word corresponding to'architectural design' in the first filter 6220 is defined in the 12145th column, the word When the frequency of the vectorization unit 6324 is not considered, the 12145th component value of the primary vector generated by the vectorization unit 6324 is determined as '1', and when the frequency of the word is considered, the first order generated by the vectorization unit 6324 The value of the 12145th component of the vector may be determined as '2'. Then, a normalized row vector (feature vector) can be generated by a vector normalization operation. The similarity calculation unit 6326 is based on the row vector (feature vector) generated from the job competency 6500 input by the vectorization unit 6324 and the first filter 6220 between the job seeker's feature vector and the competency units. Similarity can be calculated. In an embodiment, the similarity calculation unit 6326 may calculate a similarity (eg, cosine similarity) between the job seeker's feature vector and the row vectors (capacity unit vectors) of each of the job seekers.

실시예에서, 코사인 유사도는 대상자의 특징 벡터와 m개의 직무능력단위들 각각의 행 벡터를 내적한 후, 특징 벡터의 크기와 직무능력단위의 행 벡터 크기로 나눈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특징 벡터가 정규화되어 있는 경우, 특징 벡터의 크기로 나누는 연산은 생략될 수 있다. 유사도 산출부(6326)는 하나의 대분류에 속하는 n개의 직무능력단위별로, 대상자의 특징 벡터와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유사 직무 능력 결정부(6328)는 대상자의 특징 벡터와 직무능력단위들 간의 n개의 유사도 값들 중 대상자의 특징 벡터와의 유사도가 큰 순서대로 직무능력단위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대상자에게 추천할 추천 직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추천된 직무에 필요한 자격증 정보나 역량 향상에 필요한 교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sine similarity may be calculated a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feature vector of the subject and the row vector of each of the m job competency units by the size of the feature vector and the row vector size of the job competency unit. When the feature vector is normalized, the operation of dividing by the size of the feature vector may be omitted. The similarity calculation unit 6326 may calculate a similarity with a feature vector of a subject for each of n job competency units belonging to one major classification. The similar job competency determination unit 6328 determines the priority of the job competency units in the order of the highest similarity to the subject's feature vector among n similarity values between the subject's feature vector and the job competency units, and recommends the job to be recommended to the subject. Can be determined. In addition, certific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recommended job or training information necessary to improve competency can be provided.

실시예에서, 유사 직무 능력 결정부(6328)는 모든 대분류 별로, 대상자의 특징 벡터와, 직무능력단위들 간의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대분류에서 추천 직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대상자가 대상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특정 대분류를 선택하는 입력을 한 경우, 선택된 대분류에 대해서만 필터를 기반으로 대분류 내에 속하는 직무(직무능력단위)를 추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분류 별로 다양한 필터를 생성하여 직무를 추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며, 모든 대분류에 속하는 전체 직무능력단위문서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필터를 생성하여 직무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the similar job competency determination unit 6328 may determine a recommended job from one or a plurality of major categories, in an order of a high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subject's feature vector and the job competency units, for each major category. Alternatively, when the target person inputs selecting a specific major category using the target person interface, a job (job competency unit) belonging to the major category may be recommended based on a filter for only the selected major category. In the above, the case of recommending a job by creating various filters for each major category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 single filter for all job competency unit documents belonging to all major categories to recommend a job.

이하에서는 제2 필터(240)를 생성하여 직무를 추천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필터 생성부의 구성도이다. 도 18 및 도 24를 참조하면, 제2 필터 생성부(6140)는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6125)으로부터 추출된 직무능력단위(6124) 간의 연관도를 나타내는 2차원 행렬의 제2 필터(6240)를 생성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filter 240 is generated to recommend a job will be described. 2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filter generator constituting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24, the second filter generator 6140 is a second filter generating unit 6140 of a two-dimensional matrix indica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job competency units 6112 extracted from a dictionary 6125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2 Filter 6240 can be created.

제2 필터 생성부(6140)는 사전집 구축부(6122)와, 단어 추출부(6146), 및 분류간 관계 분석부(614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집 구축부(6122)는 직무능력 관련 데이터(6400)로부터 직무능력단위들(6124)을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사전집 구축부(6122)는 직무능력 관련 데이터로부터 직무능력단위들(6124)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되는 직무능력단위들(6124)의 개수는 n개일 수 있다. n개의 직무능력단위들(6124)은 제2 필터를 산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The second filter generation unit 6140 may include a dictionary construction unit 6122, a word extraction unit 6146, and a relationship analysis unit 6148 between classifications. The dictionary collection construction unit 6122 may extract job competency units 6112 from job competency-related data 6400. In an embodiment, the dictionary collection building unit 6122 may extract job competency units 6112 from job competency-related data. The number of extracted job competency units 6112 may be n. The n number of job competency units 6114 may be used to calculate the second filter.

단어 추출부(6146)는 n개의 직무능력단위들(6124) 전체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할 수 있다. 단어 추출부(6146)는 직무능력단위들(6124) 내의 문장들을 형태소 단위의 단어들로 분할하고 품사를 태깅하는 형태소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어 추출부(6146)는 형태소 분석 후 명사태깅 형태소를 추출하고, 불용어(stop words)를 제거한 후, 명사 연속의 경우 바이그램(bi-gram) 등의 N-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The word extraction unit 6146 may extract words from all of the n job competency units 6112. The word extracting unit 6146 may include a morpheme analyzer for dividing sentences in the job competency units 6112 into words in morpheme units and tagging parts of speech. In an embodiment, the word extractor 6146 may extract a noun tagging morpheme after morpheme analysis, remove stop words, and then apply an N-gram such as a bi-gram in the case of noun continuation. .

분류간 관계 분석부(6148)는 직무능력단위들(6124)에서 추출된 단어들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직무능력단위들(6124) 상호 간의 연관도를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류간 관계 분석부(6148)는 TF-IDF(Term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 기반으로 n개의 직무능력단위들(6124) 상호 간의 연관도를 분석할 수 있다.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ifications analysis unit 6148 may analyze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job competency units 6114 based on the similarity of words extracted from the job competency units 6112. In an embodiment, the relationship analysis unit 6148 between classifications may analyze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n job competency units 6114 based on TF-IDF (Term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

실시예에서, 단어 추출부(6146)에 의해, 전체 직무능력단위들(6124)로부터 m개의 단어들이 추출된 경우, 분류간 관계 분석부(6148)는 모든 단어들의 순서가 열 순번에 매핑된 1×m 크기의 행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분류간 관계 분석부(6148)는 각각의 직무능력단위들(6124)에서 추출된 단어들의 집합으로부터, 각각의 직무능력단위들(6124) 별로 행 벡터를 생성하여, 직무능력단위들(6124)의 개수(n개) 만큼의 행 벡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n개의 직무능력단위들(124) 상호 간의 모든 n×n 개의 조합에 대하여, 예를 들어 상기 수식 1 내지 수식 4에 따라 2개의 직무능력단위들(6124)의 행 벡터들 간의 코사인 유사도를 산출하여, 직무능력단위 문서들(6124) 상호 간의 관계도를 분석할 수 있다. 직무능력단위 문서들(6124) 간의 관계도 값들은 n×n 크기의 2차원 행렬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2차원 행렬이 제2 필터(240)로 저장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m words are extracted from the total job competency units 6112 by the word extracting unit 6146, the interclassification relationship analysis unit 6148 is 1 in which the order of all words is mapped to the column order. You can create a row vector of size ×m.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ifications analysis unit 6148 generates a row vector for each job competency unit 6124 from a set of words extracted from each job competency unit 6112, As many as n number of row vectors can be created. Thereafter, for all n×n combinations of the n job competency units 124, for example, the cosine similarity between the row vectors of the two job competency units 6112 i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s 1 to 4 above. By calculating,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competency unit documents 6112. The relationship diagram values between the job competency unit documents 6112 may be represented by a two-dimensional matrix having a size of n×n, and the two-dimensional matrix may be stored as the second filter 240.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예시도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제2 필터(6240)는 행(row) 단위(제1 단위)로 직무능력단위들(6124)(a1,a2,...,an-1,an)이 배열되고, 열(column) 단위(제2 단위)로 직무능력단위들(6124)(a1,a2,...,an-1,an)이 배열되는 2차원 행렬로 표현될 수 있다. 직무능력단위들(6124)(a1,a2,...,an-1,an)은 행 단위와 열 단위에 동일한 배열 순으로 규정될 수 있다. 제2 필터(6240)의 2차원 행렬의 각 성분값은 복수개의 직무능력단위들로부터 각각 추출된 복수개의 단어 집합들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행 벡터들 간의 유사도 값일 수 있다. 제2 필터(6240)의 대각 성분은 같은 직무능력단위로부터 추출된 복수개의 동일한 행 벡터들 간의 유사도 값이므로, 성분 값이 1이 된다. 제2 필터(6240)는 n개의 직무단위능력 단위들 각각의 1×n 크기를 가지는 행 벡터들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제2 필터(6240)에서 성분 값이 크다는 것은 해당하는 2개의 직무능력단위들 간의 유사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의 경우 2개의 직무능력단위들 간의 유사도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2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econd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24 and 25, the second filter 6240 includes job competency units 6124 (a1, a2,...,an-1,an) in a row unit (first unit). It is arranged and may be expressed as a two-dimensional matrix in which job competency units 6112 (a1, a2,...,an-1,an) are arranged in a column unit (second unit). The job competency units 6112 (a1, a2,...,an-1,an) may be defined in the same order as the row unit and the column unit. Each component value of the 2D matrix of the second filter 6240 may be a similarity value between a plurality of row vectors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word sets each extracted from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Since the diagonal component of the second filter 6240 is a similarity value between a plurality of identical row vectors extracted from the same job capability unit, the component value is 1. The second filter 6240 may be referred to as a set of row vectors having a size of 1×n for each of the n job unit capability units. A large component value in the second filter 6240 means that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corresponding job competency units is large,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job competency units is small.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직무 추천부의 구성도이다. 도 19,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제2 직무 추천부(6340)는 대상자의 입력된 직무 능력(6500) 및 제2 필터(6240)를 기반으로 대상자에게 하나 이상의 직무를 추천할 수 있다. 제2 직무 추천부(6340)는 단어 추출부(6342)와, 직무능력 분석부(6344), 및 유사 직무 능력 결정부(6346)를 포함할 수 있다.2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job recommend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at configures a job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25, and 26, the second job recommendation unit 6340 may recommend one or more jobs to the subject based on the job capability 6500 and the second filter 6240 input by the subject. . The second job recommendation unit 6340 may include a word extraction unit 6432, a job capability analysis unit 6344, and a similar job capability determination unit 6346.

단어 추출부(6342)는 대상자의 입력된 직무 능력(6500)로부터 역량 관련 단어들을 추출할 수 있다. 단어 추출부(6342)는 입력된 직무 능력(6500) 내의 문장들을 형태소 단위의 단어들로 분할하고 품사를 태깅하는 형태소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어 추출부(342)는 형태소 분석 후 명사태깅 형태소를 추출하고, 불용어(stop words)를 제거한 후, 명사 연속의 경우 바이그램(bi-gram) 등의 N-그램을 적용하고, 대상자의 직무능력단위와 관련된 단어들을 추출할 수 있다.The word extractor 6432 may extract competency-related words from the input job competency 6500 of the subject. The word extracting unit 6432 may include a morpheme analyzer that divides the inputted sentences in the job capability 6500 into words in morpheme units and tags the parts of speech. In an embodiment, the word extracting unit 342 extracts a noun tagging morpheme after morpheme analysis, removes stop words, and applies N-grams such as bi-grams in the case of noun continuation, and Words related to the unit of job competency can be extracted.

직무능력 분석부(6344)는 입력된 직무 능력(6500)로부터 추출된 단어들로부터 대상자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1 직무능력단위를 결정하고, 제2 필터(6240)를 기반으로 제1 직무능력단위와 높은 유사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직무능력단위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대상자에 의해 제1 직무능력단위에 대한 수준점수가 입력되거나, 제1 직무능력단위와 관련된 경력이나 교육프로그램 등의 이수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직무능력 분석부(6344)는 제2 필터(6240)의 직무능력단위들 간의 유사도 행렬 관계를 기반으로 제1 직무능력단위에 대한 수준점수 또는 이수정보를 다른 직무능력단위들에 대한 수준점수 또는 이수정보로 반영할 수 있다.The job competency analysis unit 6344 determines one or more first job competency units related to the subject from the words extracted from the input job competency 6500, and determines the first job competency unit and the first job competency unit based on the second filter 6240. One or more second job competency units having a high degree of similarity can be extract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level score for the first job competency unit is input by the target person, or when completion information such as a career or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first job competency unit is input, the job competency analysis unit 6344 is used as a second filter. Based on the similarity matrix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competency units in (6240), the level score or comple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job competency unit may be reflected as the level score or completion information for the other job competency units.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제2 필터(6240)에서 an-1번째 직무능력단위(제1 직무능력단위)에 대한 an번째 직무능력단위(제2 직무능력단위)의 관련도는 0.30 이므로, an-1번째 직무능력단위와 관련된 대상자의 수준점수가 90점으로 입력되거나 측정/평가 또는 분석된 경우, an번째 직무능력단위에 대해서도 대상자의 수준점수가 27점으로 반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필터(6240)를 기반으로, 대상자의 제1 직무능력단위에 대한 구직 관련 이력을 다른 직무능력단위로 확장할 수 있어, 대상자에게 적합한 다양한 직무능력단위들을 대상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econd filter 6240 shown in FIG. 2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1th job competency unit (the first job competency unit) and the an-1 job competency unit (the second job competency unit) is 0.30. , If the subject's level score related to the an-1st job competency unit is input as 90 points, measured/evaluated or analyzed, the subject's level score may be reflected as 27 points for the anth job competency unit as well. Accordingly, based on the second filter 6240, the job search-related history of the subject's first job competency unit can be expanded to other job competency units, so that various job competency units suitable for the subject can be recommended to the subject.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SRAM(Static RAM),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us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RAM(Ferroelectric RAM)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어 시디롬, 디브이디 등과 같은 형태의 저장매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t least some of the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volatile memories such as SRAM (Static RAM), DRAM (Dynamic RAM), SDRAM (Synchronous DRAM), Read 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OM (PROM), 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PROM), Nonvolatile memory such as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device, phase-change RAM (PRAM), magnetic RAM (MRAM), resistive RAM (RRAM), ferroelectric RAM (FRAM), floppy disk, hard disk, or The optical reading medium may be, for example, a storage medium in the form of a CD-ROM or a DV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 추천 방법 중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At least some of the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a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t least some of the job recommendation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calling a stored comman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ing a process according to the called command.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or executed by a compiler or interpreter. Th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non-transient'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does not contain a signal and is tangible, bu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semi-permanent or temporary storage of data in the storage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3)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직무 기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무 기술서 생성 방법.
Receiving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A job description gener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from the required job ability and the similar job ability.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으로부터 직무 기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무 기술서 생성 방법.
Receiving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Providing the one or more similar job capabilities to the terminal;
Receiving one or more additional job abilities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from the terminal;
A job description generat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from the required job ability and the additional job abilit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직무 기술서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fter the step of receiving input from the terminal one or more additional job capabilities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similar job capabilities:
Providing the required job capability and the additional job capability to the terminal;
The method of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weight for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additional job competency from the termina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상기 추가 직무 능력 및 상기 가중치는 기업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되는 직무 기술서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required job capability, the additional job capability, and the weight are stored as information on a company.
제1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는:
입력된 직무 능력 및 필터를 기반으로 상기 유사 직무 능력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직무에 따른 필요 능력과 관련된 데이터로 구성된 복수의 직무능력단위들을 포함하는 사전집을 기반으로 생성되되, 상기 직무능력단위들과 상기 직무능력단위들을 구성하는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단어들 간의 연관도 및 상기 직무능력단위들 상호 간의 관련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직무 기술서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tep of deriving the similar job competency is:
Including the step of recommending the similar job ability based on the input job ability and filter,
The filter is generated based on a dictionary including a plurality of job competency units composed of data related to required competence according to the job, and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job competency units and words extracted from the data constituting the job competency units And a job description generating method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egree of relation between the job competency unit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행 단위 및 열 단위 중 어느 하나의 제1 단위에 직무능력단위들이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제2 단위에 상기 직무능력단위들을 구성하는 데이터들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이 배열되는 2차원 행렬을 포함하고,
상기 2차원 행렬은, 상기 제1 단위의 각 직무능력단위들와, 상기 제2 단위의 각 단어 간의 연관도를 각각의 성분값으로 가지는 직무 기술서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filter is a two-dimensional matrix in which job competency units are arranged in a first unit of a row unit and a column unit, and words extracted from data constituting the job competency units are arranged in another second unit. Including,
The two-dimensional matrix is a method for generating a job description having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each job competency unit of the first unit and each word of the second unit as respective component value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행 단위 및 열 단위 중 어느 하나의 제1 단위에 직무능력단위들이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제2 단위에 상기 직무능력단위들이 배열되는 2차원 행렬을 포함하고,
상기 2차원 행렬은, 상기 제1 단위의 각 직무능력단위와 연관된 제1 직무능력단위와 상기 제2 단위의 각 직무능력단위와 연관된 제2 직무능력단위 간의 관련도를 각각의 성분값으로 가지는 직무 기술서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filter includes a two-dimensional matrix in which job competency units are arranged in a first unit of a row unit and a column unit, and the job competency units are arranged in another second unit,
The two-dimensional matrix is a job having a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job competency unit associated with each job competency unit of the first unit and a second job competency unit associated with each job competency unit of the second unit as component values How to create a description.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역량 측정 도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량 측정 도구 생성 방법.
Receiving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And generating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similar job competency.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으로부터 역량 측정 도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량 측정 도구 생성 방법.
Receiving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Providing the one or more similar job capabilities to the terminal;
Receiving one or more additional job abilities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from the terminal;
And generating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additional job competency.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역량 측정 도구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fter the step of receiving input from the terminal one or more additional job capabilities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similar job capabilities:
Providing the required job capability and the additional job capability to the terminal;
And receiving a weight for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additional job competency from the terminal.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역량 측정 도구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역량 측정 도구로부터 하나 이상의 직원의 역량을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직원의 역량으로부터 기업의 역량을 산정하는 단계와;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다른 기업의 역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기업 중 상기 기업과 유사한 역량을 갖는 유사 역량 기업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출된 유사 역량 기업의 사업 정보를 상기 기업에게 제공하는 신사업 추천 방법.
Receiving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Generating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similar job competency;
Receiving competencies of one or more employees from the competency measurement tool;
Calculating the capabilities of the enterprise from the capabilities of the one or more employees;
Comparing the stored capabilities of one or more different enterprises;
Deriving a similar competency company having a similar capability to the company from among the one or more other companies;
A new business recommendation method for providing the derived business information of the similar competency company to the company.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역량 측정 도구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역량 측정 도구로부터 제1 피측정자의 역량을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제1 피측정자의 역량과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피측정자의 서로 역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피측정자 중 상기 제1 피측정자와 역량이 서로 유사한 제2 피측정자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피측정자의 기업 정보, 직업 정보 또는 직무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제1 피측정자에게 기업, 직업 또는 직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하는 기업, 직업 또는 직무 추천 방법.
Receiving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Generating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similar job competency;
Receiving a capability of a first subject from the capability measurement tool;
Comparing the capabilities of the first testee with the capabilities of the stored at least one subject;
Extracting a second subject whose capabilities ar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subject from among the stored at least one subject;
A company, job, or job recommendation method for recommending any one or more of a company, job, or job to the first subject from any one or more of company information, job information, or job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ject.
단말기로부터 요구되는 직무 능력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유사 직무 능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직무 능력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요구되는 직무 능력 및 상기 추가 직무 능력으로부터 기업의 필요 직무 능력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업의 필요 직무 능력과 교육기관의 커리큘럼에 따른 직무 능력을 비교하여 상기 교육기관에 대하여 커리큘럼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리큘럼 추천 방법.
Receiving a job capability required from a terminal;
Deriving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similar to the required job abilities;
Providing the one or more similar job capabilities to the terminal;
Receiving one or more additional job abilities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similar job abilities from the terminal;
Deriving a required job competency of the company from the required job competency and the additional job competency;
And recommending a curriculum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by comparing the required job competency of the company with the job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KR1020200005012A 2019-05-07 2020-01-14 Job description creation method, competency measurement tool creation method, and new business recommendation method KR1022436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308A KR20210091680A (en) 2019-05-07 2021-03-18 How to recommend a business and how to recommend a curriculum
KR1020210035307A KR20210091679A (en) 2019-05-07 2021-03-18 How to create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303 2019-05-07
KR20190053303 2019-05-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307A Division KR20210091679A (en) 2019-05-07 2021-03-18 How to create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KR1020210035308A Division KR20210091680A (en) 2019-05-07 2021-03-18 How to recommend a business and how to recommend a curricul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028A true KR20200129028A (en) 2020-11-17
KR102243608B1 KR102243608B1 (en) 2021-04-26

Family

ID=73642368

Famil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127A KR102217040B1 (en) 2019-05-07 2019-11-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job
KR1020200005012A KR102243608B1 (en) 2019-05-07 2020-01-14 Job description creation method, competency measurement tool creation method, and new business recommendation method
KR1020200005613A KR20200129029A (en) 2019-05-07 2020-01-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job
KR1020200012202A KR20200129030A (en) 2019-05-07 2020-01-31 Method for matching between emproyee and emproyer
KR1020200012281A KR20200129031A (en) 2019-05-07 2020-01-31 Method for recommending job and method for matching between emproyee and emproyer
KR1020200052323A KR102217041B1 (en) 2019-05-07 2020-04-29 Method for matching between emproyee and emproyer
KR1020210015454A KR20210059674A (en) 2019-05-07 2021-02-03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job
KR1020210035307A KR20210091679A (en) 2019-05-07 2021-03-18 How to create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KR1020210035308A KR20210091680A (en) 2019-05-07 2021-03-18 How to recommend a business and how to recommend a curriculum
KR1020210076553A KR20210133899A (en) 2019-05-07 2021-06-14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job
KR1020210076551A KR20210098394A (en) 2019-05-07 2021-06-14 Method for recommending job and method for matching between emproyee and emproy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127A KR102217040B1 (en) 2019-05-07 2019-11-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job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613A KR20200129029A (en) 2019-05-07 2020-01-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job
KR1020200012202A KR20200129030A (en) 2019-05-07 2020-01-31 Method for matching between emproyee and emproyer
KR1020200012281A KR20200129031A (en) 2019-05-07 2020-01-31 Method for recommending job and method for matching between emproyee and emproyer
KR1020200052323A KR102217041B1 (en) 2019-05-07 2020-04-29 Method for matching between emproyee and emproyer
KR1020210015454A KR20210059674A (en) 2019-05-07 2021-02-03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job
KR1020210035307A KR20210091679A (en) 2019-05-07 2021-03-18 How to create a competency measurement tool
KR1020210035308A KR20210091680A (en) 2019-05-07 2021-03-18 How to recommend a business and how to recommend a curriculum
KR1020210076553A KR20210133899A (en) 2019-05-07 2021-06-14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job
KR1020210076551A KR20210098394A (en) 2019-05-07 2021-06-14 Method for recommending job and method for matching between emproyee and empro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1) KR10221704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324A (en) 2021-02-25 2022-09-01 메이저맵 주식회사 Job recommendation service methods and service systems based on job specifications
KR20230080892A (en) 2021-11-30 2023-06-07 메이저맵 주식회사 Department Recommendation and Career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gnitive Competency Games
KR102600307B1 (en) * 2022-10-11 2023-11-09 주식회사 커피챗 User and conversation partner matching optimization system based on combination of user 's representative activity log extraction method and machine learning model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131B1 (en) * 2020-12-22 2023-10-05 (주)스마트소셜 Carrier analysis management server
KR102584124B1 (en) * 2020-12-22 2023-10-05 (주)스마트소셜 Job seeker propensity analysis server using chatbot
KR20220093869A (en)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퍼니브라운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job brokerage service and local currency service using personal information inquiry
KR102546409B1 (en) * 2021-02-01 2023-06-22 주식회사 마이온컴퍼니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job suitability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learning-based analysis of user's experience information
KR102532792B1 (en) * 2021-04-27 2023-05-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ending job duty training contenst based on multi-class classification model
KR102386909B1 (en) * 2021-08-27 2022-04-15 주식회사 심플키 Job matching method and system for retired senior people
KR102634888B1 (en) * 2021-10-01 2024-02-08 (주)아리오씨오에스 Job matching method and system through customized OJT
KR102656250B1 (en) * 2022-02-24 2024-04-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Job recommendation system using my data and job recommendation method using it
KR102608703B1 (en) 2023-06-29 2023-12-04 (주)씨엠잡매칭 Career Management System and Career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2621594B1 (en) * 2023-10-25 2024-01-04 오희망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mpany-tailored job development and job-seeker-customized job training
CN117828194A (en) * 2024-03-04 2024-04-05 武汉华林梦想科技有限公司 Occupational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knowledge grap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89A (en) * 2007-08-30 2009-03-04 화이트정보통신 주식회사 Online people-job fit estimate method and system using job orientation and career orientation
KR101623860B1 (en) * 2015-04-08 2016-05-2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alculating similarity between document elements
KR20180104789A (en) * 2017-03-13 2018-09-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supply method of global human resources in construction
KR101961144B1 (en) 2017-10-12 2019-03-22 주식회사 디지털존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job mat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92B1 (en) * 2010-10-13 2013-02-20 (주)이투오피에스 Human resource competenc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75923B1 (en) * 2016-10-14 2018-08-02 주식회사 렙딥 Human resouce matching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walle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809589B1 (en) * 2016-10-14 2017-12-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atch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job seeker and job offerer
KR101932353B1 (en) * 2017-10-27 2018-12-24 석 영 정 Job matching service method based on NCS and the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89A (en) * 2007-08-30 2009-03-04 화이트정보통신 주식회사 Online people-job fit estimate method and system using job orientation and career orientation
KR101623860B1 (en) * 2015-04-08 2016-05-2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alculating similarity between document elements
KR20180104789A (en) * 2017-03-13 2018-09-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supply method of global human resources in construction
KR101961144B1 (en) 2017-10-12 2019-03-22 주식회사 디지털존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job mat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324A (en) 2021-02-25 2022-09-01 메이저맵 주식회사 Job recommendation service methods and service systems based on job specifications
KR20230080892A (en) 2021-11-30 2023-06-07 메이저맵 주식회사 Department Recommendation and Career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gnitive Competency Games
KR102600307B1 (en) * 2022-10-11 2023-11-09 주식회사 커피챗 User and conversation partner matching optimization system based on combination of user 's representative activity log extraction method and machine learning model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674A (en) 2021-05-25
KR102217040B1 (en) 2021-02-22
KR20200129043A (en) 2020-11-17
KR20200129029A (en) 2020-11-17
KR20200129030A (en) 2020-11-17
KR20200129031A (en) 2020-11-17
KR102243608B1 (en) 2021-04-26
KR20210091680A (en) 2021-07-22
KR20200129024A (en) 2020-11-17
KR20210098394A (en) 2021-08-10
KR102217041B1 (en) 2021-02-22
KR20210091679A (en) 2021-07-22
KR20210133899A (en)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608B1 (en) Job description creation method, competency measurement tool creation method, and new business recommendation method
Sledgianowski et al. Toward integration of Big Data, technology and information systems competencies into the accounting curriculum
Junior et al. Selection of interns for startups: an approach based on the AHP-TOPSIS-2N method and the 3DM computational platform
Xue et al. STEM crisis or STEM surplus? Yes and yes
Dainty et al. People and culture in construction: A reader
Deng et al. Developing competitive advantages in political risk management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erprises
Mazhisham et al. Identification of training needs assessment in organizational context
Rocha et al. Planning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in a local public administration organization
Yousey-Elsener et al. Coordinating student affairs divisional assessment: A practical guide
Purón Cid A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affairs master’s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Latin American region
Bowers et al. The evolution of analytics and implications for industry and academic programs
Schroeder Implementing accessibility initiatives at the Michigan State University libraries
Hashim et al. Effects of intellectual capital on microfinance institutions’ performance
Alvarez Employment trend of graduates of bachelor of science in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in marketing of the college of business, accountancy and public administration, Isabela State University
Green et al. Using an Electronic Resume Analyzer Portal (eRAP) to Improve College Graduates Employability.
KR202001290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job
Mustapha et al. Health and safety regulation and its compliance amo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contractors in Ghana
Kaplan et al. INVESTIGATION OF DIGITAL HUMAN RESOURCES APPLICATIONS IN LEGAL CONTEXT
Agunbiade et al. Job performance between professional accountants of the Institute of Chartered Accountants of Nigeria (ICAN) and Association of National Accountants of Nigeria (ANAN)
Friday et al. Acquisition of 21 st Century Librarianship Skills by Librarians in Public University Libraries in Bayelsa and Rivers States of Nigeria.
Webber et al. ARE CONSTRUCTION MANAGERS PRACTISING A PROFESSION, OCCUPATION OR TRADE?
Bora et al. Designing strategy maps for private engineering college
Liang et al. Cross-cultural competences required for department managers of selected Chinese transnational companies in the Amata City Industrial Estate of Thailand
deMaine Preparing Law Students for Information Governance
TAWORNKUL et al. A CORPUS-BASED STUDY OF ENGLISH HUMAN RESOURCES VOCABULARY USED IN ONLINE JOB ADVERTISEMENTS: THAI OWNED JOB PORTALS IN THAI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