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941A -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 - Google Patents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941A
KR20200128941A KR1020190053146A KR20190053146A KR20200128941A KR 20200128941 A KR20200128941 A KR 20200128941A KR 1020190053146 A KR1020190053146 A KR 1020190053146A KR 20190053146 A KR20190053146 A KR 20190053146A KR 20200128941 A KR20200128941 A KR 2020012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ounding
mesh
heating film
leakag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미
Original Assignee
김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미 filed Critical 김경미
Priority to KR102019005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8941A/ko
Publication of KR2020012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88Applications for non specified applications
    • H05B1/0294Planar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6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single discontinuous metallic lay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metal grid, perforated metal foil, film, aggregated flakes, 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접지층과 온열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온열 필름의 하면에는 제1접지층이 결합되어 있고,
제1접지층은 절연성 부재와 메쉬형 접지망을 포함하며, 메쉬형 접지망은 절연성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쉬형 접지망이 상기 온열 필름의 하면과 결합되도록, 상기 온열 필름의 하면에는 제1접지층이 결합되어 있는 것인,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Heating film module}
본 발명은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열 필름(종종 '난방 필름'으로도 불리움)은 전기저항을 갖는 발열체를 매개로 하여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화시켜 열을 발산하는 것으로 가정용, 산업용 난방장치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종래 온열 필름은 니크롬선이나 구리선을 이용한 선상발열체가 사용되었으나, 선상발열체는 발열 면적 전체에 고른 열전달이 어려워 면상발열체가 개발되었다.
한편, 종래 온열 필름에는 누설전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존재하며, 누설전류는 면상 발열체에 인가된 전기 에너지의 일부가 누설된 것이거나 또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누설전류는 건강에 해롭고 불쾌감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종래 온열 필름에서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채택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누설전류가 잘 제거되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설전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접지층과 온열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온열 필름의 하면에는 제1접지층이 결합되어 있고, 제1접지층은 절연성 부재와 메쉬형 접지망을 포함하며, 메쉬형 접지망은 절연성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쉬형 접지망이 상기 온열 필름의 하면과 결합되도록, 상기 온열 필름의 하면에는 제1접지층이 결합되어 있는 것인,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온열 필름에 생성된 누설전류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누설전류에 발생될 수 있는 전자기파를 제거할 수 있고, 면상 발열체에 인가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전자기파도 본 발명에 따른 접지층을 통과하면서 전류로 변화될 수 있으므로, 전자기파를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당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누설 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설 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2개 구비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층을 2개 구비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접지층을 1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은 접지층(A)(이하, '제1접지층'이라고 함), 접지층(B)(이하, '제2접지층'이라고 함), 및 온열 필름을 포함한다.
제1접지층(A)은 절연성 부재와 메쉬형 접지망을 포함하며, 절연성 부재의 일면에 메쉬형 접지망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부재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면 PET와 같은 것일 수 있고, 메쉬형 접지망은 철,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은과 같은 전기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제2접지층(B)도, 제1접지층(A)과 동일하게, 절연성 부재와 메쉬형 접지망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절연성 부재의 일면에 메쉬형 접지망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접지층(B)의 절연성 부재는 예를 들면 PET와 같은 것일 수 있고, 메쉬형 접지망은 철,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은과 같은 전기 전도성 물질일 수 있다.
제1접지층(A)과 제2접지층(B)에서, 메쉬형 접지망은 그라비아 인쇄와 같은 종래 널리 알려진 기술에 의해 절연성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접지층(A)은 온열 필름의 하면에 결합되고, 제2접지층(B)은 온열 필름의 상면에 결합된다.
제1접지층(A)에 형성된 메쉬형 접지망이 온열 필름의 하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제1접지층(A)과 온열 필름의 하면이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됨으로써, 온열 필름에 존재하는 누설 전류는 메쉬형 접지망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접지층(B)에 형성된 메쉬형 접지망이 온열 필름의 상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제2접지층(B)과 온열 필름의 상면이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됨으로써, 온열 필름에 존재하는 누설 전류는 메쉬형 접지망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1접지층(A)과 제2접지층(B)이 결합되는 온열 필름은 에너지를 제공받아서 열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온열 필름은 예를 들면 면상발열체(미 도시)를 포함하며, 이러한 면상 발열체는 전기적 에너지를 제공받으면 열을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1접지층(A)과 제2접지층(B)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접착제와 같은 합성수지 접착제에 의해 온열 필름에 결합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E.V.A (Ethylen - Vynylacetate) 또는 E.E.A (Ethylene-Ethylacrylate)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온열 필름
A, B: 접지층

Claims (1)

  1. 제1접지층과 온열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온열 필름의 하면에는 제1접지층이 결합되어 있고,
    제1접지층은 절연성 부재와 메쉬형 접지망을 포함하며, 메쉬형 접지망은 절연성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쉬형 접지망이 상기 온열 필름의 하면과 결합되도록, 상기 온열 필름의 하면에는 제1접지층이 결합되어 있는 것인,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
KR1020190053146A 2019-05-07 2019-05-07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 KR20200128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46A KR20200128941A (ko) 2019-05-07 2019-05-07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46A KR20200128941A (ko) 2019-05-07 2019-05-07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941A true KR20200128941A (ko) 2020-11-17

Family

ID=7364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146A KR20200128941A (ko) 2019-05-07 2019-05-07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89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312A (ko) * 2022-05-11 2023-11-20 김경미 접지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 마감 시공 구조
KR102661784B1 (ko) 2023-06-16 2024-04-26 김경미 유도전류 차단 기능이 구비된 난방필름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312A (ko) * 2022-05-11 2023-11-20 김경미 접지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 마감 시공 구조
KR102661784B1 (ko) 2023-06-16 2024-04-26 김경미 유도전류 차단 기능이 구비된 난방필름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0470B (zh) 靜電防護觸控面板
US999743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using the same
KR20200128941A (ko)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층을 구비한 온열 필름모듈
JP2010092875A (ja) ヒータ
TR200000511T2 (tr) Elektrikli cihazlar ve bunları imal etmek için bir yöntem.
US3654580A (en) Resistor structure
CN106486439A (zh) 包括两部分式壳体的功率电子子模块
KR102374783B1 (ko) 접지 가능한 면상발열필름
JP5286150B2 (ja) 電力変換用半導体装置
US20220243927A1 (en) Film type planar heating element for preventing electromagnetic waves
EP3470367A1 (en) Ozone generation device
TW201218287A (en)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60019868A (ko) 회로 보호 디바이스
JP2005011651A (ja) 面状発熱体、この面状発熱体を用いた暖房装置及び面状発熱体の製造方法
JP2015198188A (ja) 半導体モジュール
JP6968269B2 (ja) アセンブリ、エネルギ蓄積器
KR100703191B1 (ko) 전자파 차단 기능의 면상 발열체
CN107360640B (zh) 一种电加热玻璃、盖体和烹饪电器
JP2009181732A (ja) 面状発熱体
JPH02155189A (ja) Ptcプレートヒータ
CN104145338B (zh) 具有分布式负载元件的分段电致发光设备
US11967451B2 (en) Electronic device
KR102170762B1 (ko) 누설 전류를 제거할 수 있는 온열 필름모듈
CN108834358A (zh) 开关组件及使用该开关组件的开关电源
CN205583994U (zh) 开关组件及使用该开关组件的开关电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