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250A -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250A
KR20200128250A KR1020190051072A KR20190051072A KR20200128250A KR 20200128250 A KR20200128250 A KR 20200128250A KR 1020190051072 A KR1020190051072 A KR 1020190051072A KR 20190051072 A KR20190051072 A KR 20190051072A KR 20200128250 A KR20200128250 A KR 20200128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item
user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천
이정훈
김민규
김현수
공대우
Original Assignee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filed Critical 김민규
Priority to KR102019005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8250A/ko
Publication of KR2020012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42Data-driven translation
    • G06F40/44Statistical methods, e.g. probability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Bioeth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사 계약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유사 계약서 중 제1 계약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항목 중, 제1 항목 상의 양식 정보 및 수정대상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계약서 외의 상기 복수의 유사 계약서 상에서 상기 제1 항목의 양식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대응되는 양식 정보를 갖는 매칭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항목 및 매칭 항목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학습 모델에 따른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의 수행에 따라,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한 제1 최종 항목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최종 항목을 포함하는 추천 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RACT PLATFORM SERVICE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체결된 계약 정보를 블록화 하기 전에 양식 정보를 추출하여 AI 기반의 계약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의료 정보, 계약 정보 등 다양한 대용량 정보를 위변조 없이 저장하려는 기술적 시도가 진행 중이다. 일 예로 제시된 방법은 해쉬(hash)값을 통해 별도의 분산파일시스템(IPFS 등)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대량의 본 정보는 특정의 물리적 공간인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고, 이 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특정의 키만 해쉬값으로 블록에 저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해쉬값을 블록에 저장하여 원본을 분산 저장하더라도 원초적으로 원본문서의 위변조를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특정 정보의 저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계약서를 외부 파일 시스템에 두고 블록에 해쉬값만 저장한다면 아무리 분산된 환경에 저장된 데이터라고 하더라도 해당 데이터를 일부 바꾸거나 왜곡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얼마든지 존재하게 된다. 즉, 분산되어 물리적으로 저장된 데이터는 저장 공간 자체의 물리적 파괴, 저장된 자료의 위변조라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 같은 상황은, 당사자 간의 문서 취급에 관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을 어렵게 한다. 예를 들어, 거래 당사자에게 계약서를 제공하고, 양 당사자의 거래를 공증하고 계약서를 저장하는 플랫폼 서비스는 다양한 문서 양식에 대한 접근 편의성에도 불구하고 낮은 신뢰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한국특허 제10-1313158호 한국특허 제10-18166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쉬값을 블록에 저장하되, 문서의 참조위치가 아닌 문서 자체를 압축하고 암호화하여 저장함으로써, 분산저장 이후 해킹에도 완벽하게 대응 가능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계약 정보 또는 법률 정보의 위변조 검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사이드(one-side) 압축기법을 활용하여 개인은 개인 키를 가지고 언제든지 서비스 레이어를 통해 본인의 계약서를 확인할 때 블록에 저장된 해쉬값과 원본파일을 해싱해보는 것만으로도 무결함을 확증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계약 정보 또는 법률 정보의 위변조 검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약 정보 중, 양식 정보와 수정 대상 정보를 구별하여 학습함으로써, 양식 정보를 조합하여 추천 계약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계약서를 기초로 거래 당사자에게 계약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약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약 당사자의 일방의 계약서 수정에 대응하여 주의사항, 수정대상 항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계약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계약 가이드 과정에서 법률적인 검토가 필요한 경우, 온라인 매칭 전문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사 계약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유사 계약서 중 제1 계약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항목 중, 제1 항목 상의 양식 정보 및 수정대상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계약서 외의 상기 복수의 유사 계약서 상에서 상기 제1 항목의 양식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대응되는 양식 정보를 갖는 매칭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항목 및 매칭 항목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학습 모델에 따른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의 수행에 따라,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한 제1 최종 항목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최종 항목을 포함하는 추천 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유사 계약서 중 제1 계약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항목 중, 제1 항목 상의 양식 정보 및 수정대상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제1 계약서 외의 상기 복수의 유사 계약서 상에서 상기 제1 항목의 양식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대응되는 양식 정보를 갖는 매칭 항목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항목 및 매칭 항목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학습 모델에 따른 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학습의 수행에 따라,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한 제1 최종 항목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최종 항목을 포함하는 추천 계약서를 생성하는, 계약 플랫폼 서버와 상기 추천 계약서를 제공받고, 상기 추천 계약서에 수정 항목 및 추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제1 수정본을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제1 수정본을 상기 계약 플랫폼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제1 수정본에 대한 제2 수정본을 생성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약 플랫폼 서버는, 미리 저장된 상기 추천 계약서의 유사 계약서를 분석하고, 상기 제1 수정본 상에 반영된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항목의 최종 반영 사항을 상기 유사 계약서 상에서 추출하고, 상기 최종 반영 사항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계약 정보 또는 법률 정보의 위변조 검증 방법은 거래의 주체가 사용자가 맞는지 확인하는 신분확인단계와 사용자에게 맞는 계약서 조항 조합을 제공하는 계약서작성단계와 계약서를 압축하고, 계약서를 압축하고, 해쉬값을 암호화하는 키 압축 및 암호화단계 및 암호화된 해쉬값과 사용자의 계약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에 상기 사용자와 상기 암호화된 해쉬값을 저장하는 블록생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분확인단계는 계정인증단계, 신분인증단계, 및 생체인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분확인단계에서 신뢰지수가 축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뢰지수는 사용자의 혜택을 제공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혜택은 이용수수료, 스토리지 서비스 비용, 및 전문인력 자문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암호화된 해쉬값은 상기 계약서의 원본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키로서 작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계약 정보 또는 법률 정보의 위변조 검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거래의 주체가 사용자가 맞는지 확인하는 인증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에게 맞는 계약서 조항 조합을 제공하는 계약서작성서버와 상기 계약서를 압축하고, 해쉬값을 암호화하는 서버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암호화된 해쉬값이 저장되는 블록체인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약서작성서버는 AI학습서버 및 빅데이터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쉬값을 블록에 저장하되, 문서의 참조위치가 아닌 문서 자체를 압축하고 암호화하여 저장함으로써, 분산저장 이후 해킹에도 완벽하게 대응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사이드(one-side) 압축기법을 활용하여 개인은 개인 키를 가지고 언제든지 서비스 레이어를 통해 본인의 계약서를 확인할 때 블록에 저장된 해쉬값과 원본파일을 해싱해보는 것만으로도 무결함을 확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계약서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맞는 계약서 조항 조합을 추천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독소 조항 및 수정 사항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계약 주의사항에 대한 알림 제공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법률적 검토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전문가 매칭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계약 체결에 있어 원스톱 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 플랫폼 서버의 블록(Block)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따른 계약서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 시스템의 계약 정보 학습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계약서의 각 항목에 대한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계약서의 학습 과정에 대한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 가이드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계약 시스템의 대체 항목 추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료된 계약에 대한 계약서 위변조 검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위변조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약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계약 시스템(100),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0)은 본 명세서에서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칭해질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칭해질 수 있다.
계약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약서 학습, 추천 계약서 생성, 계약 가이드 제공, 계약서 최종본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체일 수 있다.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는 계약의 당사자이며,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상호간 및/또는 계약 시스템(1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이동식 또는 고정식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계약 시스템(1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계약 시스템(100)은 계약 플랫폼 서버(110), 계약서 DB(120), 학습 서버(130), 암호화 서버(140) 및 블록체인DB(15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계약 시스템(100)의 개별 구성요소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한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에 대한 설명은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계약서 DB(120)는 각종 계약서 문서 데이터를 저장한다. 문서 데이터는 빅 데이터일 수 있으며, 학습 서버(130)에서 각 계약서의 유사 여부, 각 계약서 조항 간의 유사 여부, 하나의 계약서 상의 각 조항 과의 관계 정보, 각 조항 내부의 문자 또는 숫자의 배치 및 좌표 정보 등 각종 정보를 분석하고 생성할 수 있다.
학습 서버(130)는 계약서를 학습하기 위한 머신 러닝 또는 딥 러닝 알고리즘을 하나 이상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서버(130)는, TF-IDF, Doc2Vec, Binary, 토픽모델링(LDA, LSA)과 같은 알고리즘을 하나 이상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서버(130)는 상기 알고리즘은, 인공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오토 인코더(auto encoder), 피드포워드 신경망(feedforward neural network), 방사 신경망(radial basis function network), 코헨 자기조직 신경망(kohonen self-organizing network), 순환 신경망(RNN:recurrent neural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학습 서버(130)에 의한 학습 결과는 계약 플랫폼 서버(110)에 의해, 계약 가이드 제공을 위한 추천 계약서 생성을 위한 모델의 생성, 개정에 활용될 수 있다.
암호화 서버(140)는 체결된 계약 정보, 체결 과정에 대한 정보, 계약 당사자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압축 및 암호화한다. 블록체인 DB(150)는 이와 같은 암호화 결과를 해쉬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 플랫폼 서버의 블록(Block)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되거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 프로세서(111)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13)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계약 플랫폼 서버(11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는 계약 플랫폼 서버(11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는 공중 통신망인 인터넷 외에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 및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디바이스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200, 300) 또는 학습 서버(130), 암호화 서버(140) 및 각종 DB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3)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14)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5)을 로드(load)할 수 있다.
스토리지(114)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15), 생성된 추천 계약서(117)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15)의 예시로 계약 가이드 제공 소프트웨어(115)가 도시되었다.
스토리지(114)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계약 가이드 제공 소프트웨어(1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계약 플랫폼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200, 300)에 계약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따른 계약서의 예시이다.
추천 계약서(117) 및 각종 기 수행된 계약서가 빅데이터로 계약 시스템(10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에서, 특히, 동업 계약서(510), 물품공급 계약서(520), 근로 계약서(430)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 시스템의 계약 정보 학습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각 단계는 계약 플랫폼 서버(110)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 각 항목은 계약서의 조문 또는 조항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계약 플랫폼 서버(110) 미리 저장된 복수의 유사 계약서 중 제1 계약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항목을 식별할 수 있다(S10).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특히, 제1 항목 상의 양식 정보 및 수정대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S20)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제1 계약서 외의 상기 복수의 유사 계약서 상에서 상기 제1 항목의 양식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대응되는 양식 정보를 갖는 매칭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정대상 정보를 제외한 양식 정보를 각 제1 항목 및 매칭 항목과 같이 항목 별로 저장할 수 있다(S30).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제1 항목 및 매칭 항목을 그룹화하고(S40),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학습 모델에 따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S50).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학습의 수행에 따라,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한 제1 최종 항목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최종 항목을 포함하는 추천 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계약서의 각 항목에 대한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계약서의 학습 과정에 대한 예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계약서(600)은 항목(601, 602, 603, 604, 605, 606, 607)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항목은, 양식 정보와 수정대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6에서, 항복(605)와 같이 오직 양식 정보만 포함하는 항목도 존재할 수 있다.
도 6에서 수정대상 정보는, 개인정보, 계약 대상정보, 보증금, 임대료, 계약기간, 서명 정보와 같이 각 계약마다 달라질 수 있는 정보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제1 항목 및 매칭 항목의 그룹(603)을 저장하고, 이를 기초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룹(603)을 참조하면, 각 항목은, 조문 번호(701), 양식 정보(703, 707), 수정대상 항목인 보증금(705)을 포함할 수 있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그룹화된 항목 상에서 단어의 발생 빈도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키워드 중, 발생 빈도가 임계 값 이상인 키워드를 양식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양식 정보(703) 및 제2 양식 정보(707)이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그룹화된 항목 상에서 상기 결정된 양식 정보 중에서, 제1 양식 정보(703) 및 제2 양식 정보(707) 각각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식별되는 정보를 수정대상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수정대상 정보로 결정 시, 상기 그룹화된 항목 상에서 상기 결정된 양식 정보 외의 정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분석 결과, 상기 수정대상 정보에 대한 후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그룹화된 항목 상에서 상기 결정된 양식 정보 외의 정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분석 결과, 상기 수정대상 정보에 대한 후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후보 중, 상기 제1 양식 정보 및 제2 양식 정보 각각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식별되는 정보를 수정대상 정보로 최종 결정하고, 상기 후보 중, 상기 제1 양식 정보 및 제2 양식 정보 각각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식별되는 정보를 수정대상 정보로 최종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제1 최종 항목을 생성하는 시에, 상기 제1 양식 정보(703) 및 상기 제2 양식 정보(707)를 포함하되, 상기 결정된 수정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를 수정작성 영역으로 구성하는 제1 최종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수정작성 영역은, 예를 들어 계약마다 수정되는 사항을 기입하기 위하여 공란일 수도 있다. 상기 수정작성 영역은, 상기 1 양식 정보에서 제1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양식 정보에서 제2 거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약 가이드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계약 시스템의 대체 항목 추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추천 계약서를 생성(S801)하고, 상기 생성된 추천 계약서를 상기 추천 계약서의 계약 당사자인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사용자는 추천 계약서를 검토하고, 수정할 수도 있다(S802). 제1 사용자가 수정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제1 사용자의 단말(200)에 의해 상기 추천 계약서에 대한 제1 수정본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수정본에 수정 항목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추가 항목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S803).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수정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300)에 상기 제1 수정본 및 상기 수정 항목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제2 사용자의 단말(300)로부터 상기 제1 수정본 상의 상기 수정 항목을 재차 수정한 재수정 항목이 포함된 제2 수정본을 수신할 수도 있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가 상기 제2 수정본에서 상기 재수정 항목이 식별하는 경우,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재수정 항목이, 상기 추천 계약서와 동종인 미리 저장된 계약서 상에서 최종 반영된 결과를 추출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밀 저장된 추천 계약서 동종 계약서에 수정 항목이 최종 반영된 결과를 식별하고 추출할 수 있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추출된 결과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200)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여, 기존에 이뤄진 최종 합의 결과를 계약 당사자에 공유할 수 있다.
단계(S803)에서,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추가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추가 항목에 대응한 대체 항목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항목은, 제1 사용자가 추천 계약서에 추가한 특약 조건, 독소 조항과 같은 항목일 수 있다. 대체 항목은, 독소 조항 등이 갖고 있는 리스크를 회피한 조항으로, 계약 플랫폼 서버(110)에 미리 저장된 항목일 수 있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300)에 상기 제1 수정본, 상기 추가 항목 및 상기 대체 항목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추가 항목을 포함하는 수정본에 대응하여 수정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제2 수정본을 분석할 수도 있다. 즉,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기존의 추천 계약서에 대하여 추가된 항목에 대응하여 수정, 조정, 삭제, 변경 등이 이뤄진 미리 저장된 계약서를 추출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계약서 상에서 추가 항목이 어떤 항목으로 대체되었는지 필터링할 수 있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제2 수정본을 분석함에 따라, 상기 추가 항목에 대응한 대체 항목을 식별할 수 있다. 특히,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식별된 대체 항목 중,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영된 대체 항목을 추천 대체 항목으로 선별할 수 있으며, 상기 추천 대체 항목을 상기 알람 정보에 반영하여 제2 사용자의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이 계약서(900) 중 10항을 추가 항목으로 포함하여 수정한 경우, 계약 시스템(100)에서 이에 대한 대체 항목(910) 10-1항, 10-2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항목 중, 미리 저장된 계약서에서 가장 많이 대체된 항목이 제1 사용자 단말(200)에 계약 가이드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추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료된 계약에 대한 계약서 위변조 검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위변조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추천 계약서를 생성 후, 상기 추천 계약서의 최종본에 의해 계약이 체결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최종본에 따른 계약의 당사자인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계약체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최종본에 대한 계약 체결을 식별할 수 있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최종본의 파일을 압축하고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에 의한 해쉬 값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에 블록화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 상기 최종본을 제공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에 의해 상기 제공된 최종본에 대한 압축 및 암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단말은 시스템 상의 계약서를 획득(S1001) 후, 계약서에 대한 해싱을 수행할 수 있다(S1002). 이에 따라, 최종본에 대한 암호화에 의한 해쉬 값과 어느 하나의 단말에 저장된 해쉬 값이 비교되고(S1003)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최종본의 위변조 여부가 검증될 수 있다.
계약 플랫폼 서버(110)는 상기 최종본의 파일을 압축하고 암호화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200)은, 계약서1의 블록화를 통해 블록 A의 해쉬값(1102)를 획득한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200)은 계약 시스템(100) 상의 계약서1을 획득 후, 해싱함으로써, 계약서1의 블록B의 해쉬 값(1101)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이를 양자 비교함으로써, 계약서 1의 위변조를 검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계약 시스템(100)은, 계약 당사자인 사용자에 대한 신분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계약 정보 또는 법률 정보의 위변조 검증 방법은 신분확인단계, 계약서작성단계, 키 압축 및 암호화 단계, 및 블록생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신분확인단계는 본 발명이 동작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서, 이용자 간 신분확인(identification) 절차의 무결함을 증명하는 단계이다. 즉, 개인간 또는 법인간 거래일 경우 거래의 주체가 당사자가 맞는지 확인하는 절차이다.
상기 신분확인단계는 계정인증단계, 신분인증단계, 및 생체인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단계별로 이용자 계정의 신뢰지수를 표현하여 거래의 신뢰를 제공하다. 지속적인 거래를 통해 신뢰지수를 쌓아감으로써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되고, 신뢰지수가 확보될수록 서비스 이용 수수료, 스토리지 서비스 비용, 변호사 등 전문인력 자문서비스 등의 다양한 혜택이 주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분확인은, 도 8의 단계(S801)과 같이, 추천 계약서 자동 생성에 앞서 수행될 수도 있다.
계약서작성단계에서는 사용자에게 맞는 계약서 조항 조합을 추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계약서를 제공하게 된다.
안전한 계약서를 제공한다는 의미는, 분쟁이 발생했을 때 표준이 될 수 있는 안전한 계약서를 제공한다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고, 계약서 그 자체를 안전하게 보관해 준다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관 서비스에는 계약의 전 과정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단순한 물건거래부터 회사간 계약까지, 2명 이상의 개인 또는 법인이 거래하는 모든 사항에 대해 진행 과정에서부터 계약서까지 작성하고 보관한다.
이렇게 작성된 계약서 및 진행 과정(문서, 음성, 링크 등)은 모두 저장되며 언제 어디서든 확인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법적 문제(legal issue)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해 사용자의 리스크(risk) 조항 및 독소 조항에 대한 피해 정도 등 계약을 진행함에 있어서 예상되는 피해를 예측해 볼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이러한 것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은, 계약서 조항을 하나의 블록의 개념으로 보고, 목적에 맞는 계약서 작성을 위해 사용자는 다양한 조합의 블록을 더해서 계약서를 만들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블록은 온톨로지 기술을 통해 계약서의 조항(블록)과 연관된 조항(의미)의 개념으로 집대성하여 쌓여진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맞는 계약서 조항 조합을 추천한다.
완성된 계약서는 다양한 사용자를 통해 검증되고 학습되어 다시 이를 통해 고도화된 계약서를 추천하게 되는 과정을 거쳐서 점차적으로 발전된 형태로 완성된다.
만약 추천만으로 작성될 수 없는 복잡하고 다양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한 계약 작성의 경우, 작성과정을 변호사, 세무사 등 전문인력을 통해 검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어 더욱 안전하고 완전한 방식으로 계약서가 작성될 수 있다.
나아가, 계약서 작성 이후 법적 분쟁 발생시 대응을 위한 전문 변호인 매칭서비스 등 부가서비스도 제공된다.
계약서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된 계약서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위한 키 압축 및 암호화 단계가 수행된다.
암호화된 해쉬값은 원본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키로만 쓰일 뿐, 타인이 열람하여도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즉, 계약의 당사자만이 키를 가지고 원본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블록생성단계가 수행되는 데, 암호화된 해쉬값과 사용자의 계약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에 2명 이상의 계약당사자와 암호화된 해쉬값만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블록에 해쉬값을 저장하되 문서의 참조위치가 아닌 문서 자체를 압축하고 암호화하여 저장함으로써, 분산저장 이후 해킹에도 완벽히 대응할 수 있다.
단, 압축된 해쉬값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쉬값 자체를 특정한 문서로 복원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반대로 문서에서 해쉬로는 변환이 되도록 원-사이드(one-side) 압축기법을 활용한다.
이 경우, 개인은 개인 키를 가지고 언제든지 서비스 레이어를 통해 본인의 계약서를 확인할 때 블록에 저장된 해쉬값과 원본파일을 해싱해보는 것만으로도 무결함을 확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의 로직을 통해 EVM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이며 저 비용으로 구축될 수 있으며, 이더리움 기반의 다양한 플랫폼 지원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계약 정보 또는 법률 정보의 위변조 검증 시스템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계약 정보 또는 법률 정보의 위변조 검증 방법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를 통해, 거래과정 또는 계약 과정을 이력화하여 블록체인에 위변조가 되지 않도록 무결하게 저장하고, 사용자는 완료한 거래나 체결된 계약 내용을 언제든지 원할 때 위변조 되지 않은 상태로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2)

  1. 복수의 유사 계약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유사 계약서 중 제1 계약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항목 중, 제1 항목 상의 양식 정보 및 수정대상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계약서 외의 상기 복수의 유사 계약서 상에서 상기 제1 항목의 양식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대응되는 양식 정보를 갖는 매칭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항목 및 매칭 항목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학습 모델에 따른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학습의 수행에 따라,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한 제1 최종 항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최종 항목을 포함하는 추천 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화된 항목 상에서 단어의 발생 빈도를 기초로,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중, 발생 빈도가 임계 값 이상인 키워드를 양식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화된 항목 상에서 상기 결정된 양식 정보 중에서, 제1 양식 정보 및 제2 양식 정보 각각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식별되는 정보를 수정대상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종 항목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양식 정보 및 상기 제2 양식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결정된 수정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를 수정작성 영역으로 구성하는 제1 최종 항목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작성 영역은, 상기 1 양식 정보에서 제1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양식 정보에서 제2 거리에 위치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대상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화된 항목 상에서 상기 결정된 양식 정보 외의 정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분석 결과, 상기 수정대상 정보에 대한 후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중, 상기 제1 양식 정보 및 제2 양식 정보 각각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식별되는 정보를 수정대상 정보로 최종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추천 계약서를 상기 추천 계약서의 계약 당사자인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중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의해 상기 추천 계약서에 대한 제1 수정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정본에 수정 항목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제1 수정본 및 상기 수정 항목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항목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수정본 상의 상기 수정 항목을 재차 수정한 재수정 항목이 포함된 제2 수정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정본에서 상기 재수정 항목이 식별되는 경우, 상기 재수정 항목이, 상기 추천 계약서와 동종인 미리 저장된 계약서 상에서 최종 반영된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결과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추천 계약서를 상기 추천 계약서의 계약 당사자인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중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의해 상기 추천 계약서에 대한 제1 수정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정본에 추가 항목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가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추가 항목에 대응한 대체 항목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제1 수정본, 상기 추가 항목 및 상기 대체 항목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항목에 대응한 대체 항목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항목을 포함하는 수정본에 대응하여 수정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제2 수정본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정본을 분석함에 따라, 상기 추가 항목에 대응한 대체 항목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대체 항목 중,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영된 대체 항목을 추천 대체 항목으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체 항목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대체 항목을 상기 알람 정보에 반영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계약서의 최종본에 대하여, 상기 최종본에 따른 계약의 당사자인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계약체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최종본에 대한 계약 체결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최종본의 파일을 압축하고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에 의한 해쉬 값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에 블록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 상기 최종본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에 의해 상기 제공된 최종본에 대한 압축 및 암호화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최종본에 대한 암호화에 의한 해쉬 값과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에 저장된 해쉬 값이 비교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최종본의 위변조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본의 파일을 압축하고 암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12. 복수의 유사 계약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유사 계약서 중 제1 계약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항목 중, 제1 항목 상의 양식 정보 및 수정대상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제1 계약서 외의 상기 복수의 유사 계약서 상에서 상기 제1 항목의 양식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대응되는 양식 정보를 갖는 매칭 항목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항목 및 매칭 항목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학습 모델에 따른 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학습의 수행에 따라, 상기 그룹화된 항목에 대한 제1 최종 항목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최종 항목을 포함하는 추천 계약서를 생성하는, 계약 플랫폼 서버;
    상기 추천 계약서를 제공받고, 상기 추천 계약서에 수정 항목 및 추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제1 수정본을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제1 수정본을 상기 계약 플랫폼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제1 수정본에 대한 제2 수정본을 생성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계약 플랫폼 서버는,
    미리 저장된 상기 추천 계약서의 유사 계약서를 분석하고, 상기 제1 수정본 상에 반영된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항목의 최종 반영 사항을 상기 유사 계약서 상에서 추출하고, 상기 최종 반영 사항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051072A 2019-05-01 2019-05-01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8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072A KR20200128250A (ko) 2019-05-01 2019-05-01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072A KR20200128250A (ko) 2019-05-01 2019-05-01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250A true KR20200128250A (ko) 2020-11-12

Family

ID=7339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072A KR20200128250A (ko) 2019-05-01 2019-05-01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82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659B1 (ko) * 2021-11-10 2022-02-23 주식회사 씨앤비웹에이치알 노무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4153848A (zh) * 2021-05-07 2022-03-08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区块链数据存储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20220096835A (ko) * 2020-12-31 2022-07-07 디네핏 주식회사 노무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158B1 (ko) 2013-04-18 2013-09-30 리더스손해사정 주식회사 손해사정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1816653B1 (ko) 2017-02-14 2018-02-2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스마트 컨트랙트 및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158B1 (ko) 2013-04-18 2013-09-30 리더스손해사정 주식회사 손해사정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1816653B1 (ko) 2017-02-14 2018-02-2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스마트 컨트랙트 및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835A (ko) * 2020-12-31 2022-07-07 디네핏 주식회사 노무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N114153848A (zh) * 2021-05-07 2022-03-08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区块链数据存储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2365659B1 (ko) * 2021-11-10 2022-02-23 주식회사 씨앤비웹에이치알 노무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547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data to an immutable distributed ledger
US20180294966A1 (en) Blockchain-based digital identity management method
US10482554B1 (en) Digital negotiation platform
US11410448B2 (en) Predictive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using machine learning
US10878126B1 (en) Batch tokenization service
KR20200128250A (ko)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5683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계약 정보 또는 법률 정보의 위변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86131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non-internet applications
US20230098507A1 (en) De-tokenization patterns and solutions
US20230050280A1 (en) Computer-implemented user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CN111124421B (zh) 区块链智能合约的异常合约数据检测方法和装置
CN110223075B (zh) 身份认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22517042A (ja) 分散型台帳システムへのデータの記録の誤ったコピーの送信を防止する
US2022012958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gency-initiated privacy requests
KR101876672B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전자 서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N110533381B (zh) 案件管辖权审核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222181A (zh) Ai模型的监管方法、系统、服务器及存储介质
US2023025209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xpanding contacts for a social networking platform
CN114840872A (zh) 秘密文本脱敏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450687A (zh) 用于实现对计算结果的验证的方法、计算机程序和系统
KR101876671B1 (ko) 서버 사이의 통신을 통한 전자 서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630870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00087333A (ko) 웹 사이트에 대한 이미지 권리 확인 감사 시스템 및 방법
US11790677B2 (en) System for distributed server network with embedded image decoder as chain code program runtime
US116712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gent assignment 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