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870B1 -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870B1
KR102630870B1 KR1020230062483A KR20230062483A KR102630870B1 KR 102630870 B1 KR102630870 B1 KR 102630870B1 KR 1020230062483 A KR1020230062483 A KR 1020230062483A KR 20230062483 A KR20230062483 A KR 20230062483A KR 102630870 B1 KR102630870 B1 KR 102630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nft
smart contract
standard
cre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연창학
황학선
원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Priority to KR102023006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은 전자문서 생성 장치는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전자문서 검증 장치는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증된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전자문서 공증 장치는 상기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증된 공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체결된 계약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여 공증 서비스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퍼블릭 네트워크(public network) 또는 프라이빗 네트워크(private network)에서 발생하는 거래 정보를 암호화한 후 해당 네트워크 구성원 간 공유되는 디지털 원장(Ledger)을 의미한다.
블록체인은 거래 원장의 복사본이 각 네트워크 구성원으로 분산(distributed) 저장되어 새로운 거래 발생시마다 구성원들의 동의에 따른 거래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따라서, 블록체인에서는 거래 정보가 임의로 변경 불가능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시 거래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정보 추적이 용이하다. 특히,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고 새로운 서비스가 구축될 수 있다.
블록체인을 금융 서비스에 적용하는 경우, 분산 장부를 이용하여 투명한 거래로 보안, 감독, 규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블록체인 기술은 금융 분야뿐만 아니라 물류, 유통, 정부 공공 행정 서비스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전자문서에 대한 위조 변조 및 계약의 성립과 관련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관리가 수행되는 경우, 블록체인 기반의 공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 특허 10-2020-0048191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문서 생성자가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전자문서에 대한 생성, 검증, 공증 절차에 대한 기록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여 전자문서에 대한 진본 여부에 대한 증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문서 생성자가 표준화된 기록 및 비표준화된 기록 관리를 블록체인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전자문서 생성 과정에서 발생한 기록들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은 전자문서 생성 장치는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전자문서 검증 장치는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증된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전자문서 공증 장치는 상기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증된 공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문서 생성 장치는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인공지능 엔진을 기반으로 전자문서 문구와 스마트컨트랙트에 대한 학습을 통해 전자문서 문구 중에서 스마트컨트랙트로 구현 가능한 전자문서 문구를 추출하고, 상기 전자문서 문구에 대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를 수행하는 전자문서 공증 시스템은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전자문서 생성 장치,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증된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전자문서 검증 장치와 상기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증된 공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전자문서 공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문서 생성 장치는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인공지능 엔진을 기반으로 전자문서 문구와 스마트컨트랙트에 대한 학습을 통해 전자문서 문구 중에서 스마트컨트랙트로 구현 가능한 전자문서 문구를 추출하고, 상기 전자문서 문구에 대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문서 생성자가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전자문서에 대한 생성, 검증, 공증 절차에 대한 기록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여 전자문서에 대한 진본 여부에 대한 증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문서 생성자가 표준화된 기록 및 비표준화된 기록 관리를 블록체인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전자문서 생성 과정에서 발생한 기록들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공증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생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검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공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상에서 전자문서에 대한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문서 관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공증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문서 공증 플랫폼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에 대한 NFT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의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공증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호 간의 계약 문서와 같은 전자문서를 공증하기 위한 전자문서 공증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문서 공증 시스템은 전자문서 생성 장치(100), 전자문서 검증 장치(110), 전자문서 공증 장치(110), 전자문서 정보 제공 장치(130),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 장치(100)는 전자문서의 생성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 장치(100)는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전자문서 생성자(예를 들어, 계약 문서의 경우, 계약 당사자)가 전자 문서의 생성을 도와주기 위한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전자문서는 블록체인 상에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 있다.
전자문서 검증 장치(110)는 생성된 전자문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전자문서 검증 장치(110)는 전자문서 생성자에게 전자문서가 본인이 작성한 유효한 문서인지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문서 검증 장치(110)는 전자문서가 법률적으로 유효한 문서인지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문서 검증 장치(110)에 의해 검증된 전자문서는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 있다.
전자문서 공증 장치(120)는 생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공증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전자문서 공증 장치(120)는 전자문서에 대한 공증을 위한 자격이 부여된 노드일 수 있고, 전자문서 공증 장치(120)는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 및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공증 전자문서 데이터는 블록체인 상에 기록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 및 공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블록체인 상에 기록할 수 있다.
전자문서 정보 제공 장치(130)는 블록체인 상에 기록된 전자문서 데이터(생성 전자문서 데이터,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 및 공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전자문서 정보 제공 장치(130)는 전자문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문서 데이터의 특성을 기초로 제공을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전자문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문서 데이터는 모든 사용자에게 액세스 가능한 제1 타입 전자문서 데이터와 특정한 사용자만이 액세스 가능한 제2 타입 전자문서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타입 전자문서 데이터는 요청시 제공될 수 있고, 제2 타입 전자문서 데이터는 사용자가 전자문저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전자문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 및 공증 전자문서 데이터 각각마다 서로 다른 타입으로 정의되어 액세스가 서로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생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전자문서 생성 장치가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동작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문서 생성 장치는 전자문서 생성자의 전자문서의 생성을 돕기 위한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전자문서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예를 들어, 문자 데이터, 기타 이미지 데이터) 등을 입력받고,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전자 문서의 생성 과정에 대한 기록까지 가능한 전자문서 생성 기록 옵션이 존재하고, 이러한 경우, 전자문서 생성자는 전자문서의 생성에 대한 히스토리를 전자문서 생성 기록 옵션을 기반으로 기록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전자문서 생성자 각각에 의한 전자문서 생성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생성자A와 전자문서 생성자B가 하나의 계약서로서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경우, 전자문서 생성자A가 전자문서 상에 기입하고 수정한 기록, 전자문서 생성자B가 전자문서 상에 기입하고 수정한 기록이 데이터로서 생성되고,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완성된 전자문서만을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로서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전자문서 상의 계약을 스마트컨트랙트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기 위해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생성자A와 전자문서 생성자B 간의 금액을 대여하는 계약이 수행되고, 금액에 대한 이자가 지불되는 계약이 수행되는 경우, 계약서 상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컨트랙트의 생성이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인공지능 엔진을 기반으로 계약서 문구와 스마트컨트랙트에 대한 학습을 통해 특정 계약서 내에서 조항 중 스마트컨트랙트로 구현 가능한 계약 조항을 추출하고 계약 조항에 대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생성된 전자문서를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엔진으로 입력하고,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엔진은 전자문서 상에서 스마트컨트랙트로 추출될 수 있는 복수의 스마트컨트랙트 후보 문장을 추출할 수 있다. 복수의 스마트컨트랙트 후보 문장 각각은 복수의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각각으로 생성되고, 사용자는 복수의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중 실제 스마트컨트랙트로 생성할 수 있는 최종 스마트컨트랙트를 선택할 수 있다.
최종 스마트컨트랙트는 추후 전자문서 검증 장치의 검증, 전자문서 공증 장치의 공증 이후, 블록체인 상에 기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검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전자문서 검증 장치가 전자문서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문서 검증 장치는 생성된 전자문서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전자문서 검증 장치는 전자문서 생성자 검증 및 전자문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자 검증은 전자문서를 생성자가 실제 생성자가 맞는지에 대한 검증일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자 검증을 위해 전자문서 생성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기반 인증, 전자문서 생성자의 KYC(know your customer) 완료 지갑 기반 인증, 전자문서 생성자의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전자문서 유효성 검증은 전자문서가 유효한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유효성 검증은 전자문서의 법률적인 유효성에 대한 판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문서 유효성 검증을 위해 법률 검토 엔진을 통해 전자문서에 들어가 있는 내용 중 법률적으로 문제가 존재하는 부분에 대한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법률 검토 엔진은 전자문서의 타입을 분류하고 분류된 전자문서에 대한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고, 자연어 처리 이후에 법률 상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조항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법률 검토 엔진은 전자문서의 타입을 분류하기 위한 전자문서 타입 분류 모듈, 법률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문서 타입 분류 모듈은 전자문서에 대한 타입을 분류하고, 법률 분석 모듈은 전자문서의 타입에 따라 전자문서에 포함된 문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법률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문서 검증 장치의 검증 결과, 전자문서 유효성 검증의 결과는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로서 블록체인 상에 기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공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전자문서 공증 장치가 전자문서에 대한 공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문서에 대한 공증을 위한 공증 절차가 개시된다.
전자문서 공증 절차는 전자문서에 대한 공증 자격을 가지는 전자문서 공증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자문서 공증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의한 공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개의 전자문서 공증 노드에 의한 공증 옵션, 복수개(2개 이상)의 전자문서 공증 노드에 의한 공증 옵션 등이 존재하고 사용자는 전자문서 타입 등에 따라 공증 옵션을 선택하여 공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에 의한 공증이 이루어지는 경우, 공증을 수행하는 복수의 공증 노드의 합의를 기초로 공증 절차가 수행되고, 옵션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공증 절차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문서 공증 장치의 공증 결과는 공증 전자문서 데이터로서 블록체인 상에 기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상에서 전자문서에 대한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문서 관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블록체인 상에서의 제1 블록체인을 통해 전자문서 상의 표준 기록을 관리하고, 제2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전자문서 생성자별 추가적인 비표준 기록을 NFT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블록체인(510)은 전자문서별로 표준화된 표준 기록을 관리하는 블록체인이고, 제2 블록체인(520)은 전자문서 생성자별로 자유롭게 추가될 수 있는 비표준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일 수 있다. 제1 블록체인(510)은 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이라는 용어로 표현되고, 제2 블록체인(520)은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표준기록관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전자문서에 대한 NFT(non-fungible token)는 표준 전자문서 NFT(515)라는 용어로 표현되고, 비표준기록관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전자문서에 대한 NFT는 비표준 전자문서 NFT(525)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준 전자문서 NFT(515)는 전자문서별로 표준화되어 설정된 표준 스마트컨트랙트를 기반으로 생성되고, 비표준 전자문서 NFT(525)는 전자문서 생성자 별로 자유롭게 설정된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스마트컨트랙트는 전자문서 생성자, 전자문서 생성일자, 전자문서 본문 등과 같은 전자문서에 포함될 필수적인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표준 전자문서 NFT(515)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컨트랙트일 수 있다.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는 전자문서 생성시 발생한 회의록, 전자문서 생성시 논의 및 수정한 상항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전자문서 생성자 각각이 전자문서의 내용을 뒷받침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기록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비표준 전자문서 NFT(525)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가지 타입으로 표준 전자문서 NFT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가 관리될 수 있다.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550)에서는 표준 전자문서 NFT(515)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525)가 매칭되어 발행될 수 있다. 즉, 생성, 검증, 공증 단계 각각에서 표준 전자문서 NFT(515)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525)가 매칭되고, 표준 전자문서 NFT(515)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525)가 상호 연동되도록 블록체인 상에서 설정될 수 있다. NFT의 이동시에도 표준이력 NFT(515)와 비표준이력 NFT(525)가 함께 이동되도록 스마트컨트랙트 기반의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NFT 생성 관리 방법(560)에서는 표준 전자문서 NFT(515)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525)가 매칭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발행될 수 있다. 즉, 생성, 검증, 공증 단계 각각에서 표준 전자문서 NFT(515)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525)가 매칭되지 않고, 표준 전자문서 NFT(515)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525)가 개별적으로 생성되도록 블록체인 상에서 설정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자는 적응적으로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550) 또는 제2 NFT 생성 관리 방법(560)을 선택하여 판매되는 제품을 관리할 수 있다.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550)에서는 표준 전자문서 NFT(515)와 비표준이력 NFT(525)를 연계하기 위해 표준 전자문서 NFT(515)의 토큰ID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525)의 토큰 ID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계 ID를 생성하여 NFT 간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표준 전자문서 NFT(515)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525)는 개별로도 전달될 수 있고, 결합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준 전자문서 NFT는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타입의 전자문서(예를 들어, 부동산 계약서)에 대한 복수의 업체의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기반으로 표준 전자문서 NFT를 결정하기 위한 합의 절차가 노드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서로 다른 비표준 전자문서 NFT에 저장된 복수의 정보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고, 복수의 정보를 고려하여 임계 비율 이상 공통된 정보인 경우, 표준 전자문서 NFT의 생성을 위한 정보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존에 표준 전자문서 NFT가 설정되지 않은 전자문서에 대해서도 임계 데이터 이상의 비표준 전자문서 NFT가 누적되는 경우, 표준 전자문서 NFT가 사후 생성될 수도 있다. 즉, 각 단계별 기존에 표준 전자문서 NFT가 정의되지 않아 생성되지 않았던 경우에도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기초로 사후적으로 표준 전자문서 NFT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표준 전자문서 NFT가 전자문서별 필요 정보에 대한 기준 변화를 포함하는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기초로 적응적으로 변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기존의 표준이력 NFT 중 제품 관리 기준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비표준이력 NFT를 기반으로 변화가능한 경우, 업데이트된 표준이력 NFT로서 기존 표준이력 NFT가 소각되고, 업데이트된 표준이력 NFT가 생성되어 교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공증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문서 공증 플랫폼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문서 공증 플랫폼 상에서 전자문서 이력(표준 전자문서 NFT, 비표준 전자문서 NFT)이 생성되고 전달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자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전자문서 공증 플랫폼 상에서 전자문서의 이력 관리를 위해 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 및/또는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을 선택할 수 있다(단계 S600).
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이 선택된 경우, 표준 전자문서 NFT를 발행할 단계가 설정될 수 있다(단계 S610). 표준 전자문서 NFT 발행 단계는 복수의 단계(생성 단계, 검증 단계, 공증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공되는 전자문서의 특성에 따라 표준 전자문서 NFT 발행 단계가 결정될 수 있다.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이 선택된 경우, 마찬가지로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발행할 단계(단계 S620)가 설정될 수 있다. 비표준 전자문서 NFT 발행 단계는 복수의 단계(생성 단계, 검증 단계, 공증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생성되는 전자문서의 특성에 따라 비표준이력 NFT 발행 단계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표준 전자문서 NFT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단계 S630). 전술한 바와 같이 표준 전자문서 NFT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의 관리 방법은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 또는 제2 NFT 생성 관리 방법을 포함할 수 있고, 판매자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 또는 제2 NFT 생성 관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이 선택된 경우,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을 위한 스마트컨트랙트가 직접적으로 코딩되어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거나, 기존의 스마트컨트랙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툴을 통해 생성된 스마트컨트랙트가 블록체인 상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공증 플랫폼 상에서는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을 위한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이 제공될 수 있다.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은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은 단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건(condition)을 조합하도록 할 수 있고, 조합된 조건들을 기반으로 스마트컨트랙트가 생성될 수 있다.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의 조건은 독립 조건과 종속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별 조건들을 선택시 조건 간의 관계를 통해 서로 모순된 조건 간의 선택은 불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독립 조건은 개별적으로 다른 조건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조건일 수 있다.
종속 조건은 개별적으로 다른 조건에 영향을 끼치는 조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의 표준 스마트컨트랙트와 비표준이력관리 블록체인을 위한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비교를 통해 동일한 조건의 스마트컨트랙트가 추출되어 공통 스마트컨트랙트로서 관리될 수도 있다. 즉, 공통 스마트컨트랙트는 조건은 공유하되, 조건의 설정값만을 조정하여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컨트랙트의 관리를 위해 공통 조건이 추출되고, 공통 조건에 대한 설정값이 조정되고, 공통 조건에 대한 판단주기에 대한 동기화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특히,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와 같이 표준 전자문서 NFT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가 매칭되어 발행되는 경우, 위와 같은 공통 스마트컨트랙트의 추출을 통한 표준 전자문서 NFT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의 생성이 관리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표준 스마트컨트랙트와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 중 전체 조건이 아닌 일부 조건이 유사한 경우, 일부 조건 동일 스마트컨트랙트를 별도로 추출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스마트컨트랙트가 3개의 조건이 필요하고,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 2개의 조건이 필요한 경우, 이중 1개의 조건이 표준 스마트컨트랙트와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에서 동일할 수 있다. 1개의 조건(일부 동일 조건)은 일부 조건 동일 스마트컨트랙트로서 추출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추출된 1개의 조건의 종속성 스코어를 기준으로 종속성 스코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1개의 조건이 일부 조건 동일 스마트컨트랙트로서 추출되고, 일부 동일 조건에 대한 판단주기에 대한 동기화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일부 동일 조건에 대한 판단주기는 종속성 스코어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종속성 스코어를 가질수록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스마트컨트랙트에 포함된 조건에 대한 종속성 스코어는 스마트컨트랙트 코드 상에서 상호 연관되는 변수, 상호 연관되는 함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에 대한 NFT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기한의 설정을 통해 전자문서에 대한 NFT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전자문서에 대한 표준 전자문서 NFT 및/또는 비표준 전자문서 NFT는 설정된 기한이 지나거나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소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문서별로 NFT의 소각이 설정되는 전자문서인 NFT 소각 전자문서와 NFT의 소각이 설정되지 않는 전자문서인 NFT 비소각 전자문서가 구분될 수 있다.
특정 전자문서가 NFT 비소각 전자문서로 설정되는 경우, NFT는 소각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전자문서가 NFT 소각 전자문서로 설정되는 경우, NFT 소각을 위한 조건이 스마트컨트랙트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NFT 소각 조건은 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과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 상에서 설정될 수 있다. 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 상에서는 표준 전자문서 NFT의 제1 NFT 소각 조건(710)이 설정되고,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 상에서는 비표준 전자문서 NFT의 제2 NFT 소각 조건(720)이 설정될 수 있다.
표준 전자문서 NFT에 대해서 전자문서에 설정된 계약 기한, 계약의 달성 여부 등을 고려한 제1 NFT 소각 조건(710)이 설정될 수 있다.
비표준 전자문서 NFT에 대해서 전자문서 생성자 간의 별도의 계약에 의해 설정된 비표준 전자문서 NFT 소각 조건을 기반으로 한 제2 NFT 소각 조건(720)이 설정될 수 있다.
설정에 따라 동기화 소각 조건이 설정되는 경우, 표준 전자문서 NFT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의 소각 조건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소각될 수도 있다.
제1 NFT 소각 조건(710)이 만족되는 경우, 표준 전자문서 NFT가 소각되어 사라지고, 제2 NFT 소각 조건(720)이 만족되는 경우, 비표준 전자문서 NFT가 소각되어 사라질 수 있다.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으로 표준 전자문서 NFT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가 함께 관리되는 경우, 두 개의 표준 전자문서 NFT와 비표준 전자문서 NFT 중 하나의 NFT가 소각되는 경우, 제2 NFT 생성 관리 방법으로 전환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의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전자문서 내에서 스마트컨트랙트로 구현 가능한 계약 조항을 추출하고 계약 조항에 대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엔진은 전자문서 상에서 스마트컨트랙트로 추출될 수 있는 복수의 스마트컨트랙스 후보 문장을 추출할 수 있다. 복수의 스마트컨트랙트 후보 문장 각각은 복수의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각각으로 생성되고, 전자문서 새성자(또는 사용자)는 복수의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중 실제 스마트컨트랙트로 생성할 수 있는 최종 스마트컨트랙트를 선택할 수 있다.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엔진은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종속성에 대한 분석 및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모순 스코어 분석을 통해 스마트컨트랙트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스마트컨트랙트 후보 문장 간의 모순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엔진은 후보 스마트컨트랙트의 스마트컨트랙트 코드 상에서 상호 연관되는 변수, 상호 연관되는 함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종속성 스코어를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엔진은 스마트컨트랙트 코드를 기반한 출력 결과를 기초로 출력 결과 간에 모순도를 기초로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모순 스코어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종속성 스코어(800)를 기초로 전자문서 생성자가 최종 스마트컨트랙스를 결정하기 위해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을 나누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속성 스코어가(800) 제1 범위인 경우, 제1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 종속성 스코어(800)가 제2 범위인 경우, 제2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 종속성 스코어(800)가 제3 범위인 경우, 제3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은 제1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에 포함되는 특정 후보 스마트컨트랙트가 선택되는 경우, 제1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에 포함되는 다른 후보 스마트컨트랙트에 대해서도 무조건 선택될 수 있도록 그룹핑되어 움직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은 제2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에 포함되는 특정 후보 스마트컨트랙트가 선택되는 경우, 제2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에 포함되는 다른 후보 스마트컨트랙트에 대해서도 선택이 권장되는 추천 후보 스마트컨트랙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3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은 제3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에 포함되는 특정 후보 스마트컨트랙트가 선택되는 경우, 제3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에 포함되는 다른 후보 스마트컨트랙트도 관련이 있음을 관련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필요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최종 스마트컨트랙트로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순 스코어를 기반으로 임계 모순 스코어(820) 이상의 모순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에 대해서는 특정 스마트컨트랙트의 선택시 자동적으로 선택이 불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생성자에게 관련 문장 간의 모순성에 대한 체크를 요청하기 위한 알람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은,
    전자문서 생성 장치는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전자문서 검증 장치는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증된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전자문서 공증 장치는 상기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증된 공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문서 생성 장치는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에 대응되는 표준 전자문서 NFT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에 대응되는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생성하고,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 및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는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 및 제2 NFT 생성 관리 방법을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은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매칭하여 발행하고,
    상기 제2 NFT 생성 관리 방법은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매칭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발행하고,
    상기 전자문서 공증 플랫폼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을 위한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은 단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건을 조합하여 조합된 조건들을 기반으로 스마트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의 조건은 독립 조건과 종속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을 통해 단계별 조건들을 선택시 조건 간의 관계를 통해 서로 모순된 조건 간의 선택은 불가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의 표준 스마트컨트랙트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을 위한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비교를 통해 동일한 조건의 스마트컨트랙트가 추출되어 공통 스마트컨트랙트로서 관리되고,
    상기 표준 스마트컨트랙트와 상기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 중 전체 조건이 아닌 일부 조건이 유사한 경우, 일부 조건 동일 스마트컨트랙트를 별도로 추출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수행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의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엔진은 후보 스마트컨트랙트의 스마트컨트랙트 코드 상에서 상호 연관되는 변수, 상호 연관되는 함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종속성 스코어를 결정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엔진은 스마트컨트랙트 코드를 기반한 출력 결과를 기초로 출력 결과 간에 모순도를 기초로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모순 스코어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상기 종속성 스코어를 기초로 전자문서 생성자가 최종 스마트컨트랙스를 결정하기 위해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을 나누어 제공하고,
    상기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상기 모순 스코어를 기반으로 임계 모순 스코어 이상의 모순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에 대해서는 특정 스마트컨트랙트의 선택시 자동적으로 선택이 불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스마트컨트랙트는 전자문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컨트랙트이고,
    상기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는 전자문서 생성시 전자문서 생성자 각각에 의해 기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이고,
    상기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은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연계하기 위해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의 토큰ID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의 토큰 ID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계 ID를 생성하여 NFT 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를 수행하는 전자문서 공증 시스템은,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전자문서 생성 장치;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증된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전자문서 검증 장치; 및
    상기 검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증된 공증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전자문서 공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문서 생성 장치는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에 대응되는 표준 전자문서 NFT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 전자문서 데이터에 대응되는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생성하고,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 및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는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 및 제2 NFT 생성 관리 방법을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은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매칭하여 발행하고,
    상기 제2 NFT 생성 관리 방법은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매칭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발행하고,
    상기 전자문서 공증 플랫폼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을 위한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은 단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건을 조합하여 조합된 조건들을 기반으로 스마트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의 조건은 독립 조건과 종속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을 통해 단계별 조건들을 선택시 조건 간의 관계를 통해 서로 모순된 조건 간의 선택은 불가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의 표준 스마트컨트랙트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관리 블록체인을 위한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비교를 통해 동일한 조건의 스마트컨트랙트가 추출되어 공통 스마트컨트랙트로서 관리되고,
    상기 표준 스마트컨트랙트와 상기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 중 전체 조건이 아닌 일부 조건이 유사한 경우, 일부 조건 동일 스마트컨트랙트를 별도로 추출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수행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툴의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엔진은 후보 스마트컨트랙트의 스마트컨트랙트 코드 상에서 상호 연관되는 변수, 상호 연관되는 함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종속성 스코어를 결정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 생성 엔진은 스마트컨트랙트 코드를 기반한 출력 결과를 기초로 출력 결과 간에 모순도를 기초로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모순 스코어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스마트컨트랙트 간의 상기 종속성 스코어를 기초로 전자문서 생성자가 최종 스마트컨트랙스를 결정하기 위해 후보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을 나누어 제공하고,
    상기 전자문서 생성 플랫폼은 상기 모순 스코어를 기반으로 임계 모순 스코어 이상의 모순 스마트컨트랙트 그룹에 대해서는 특정 스마트컨트랙트의 선택시 자동적으로 선택이 불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공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스마트컨트랙트는 전자문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컨트랙트이고,
    상기 비표준 스마트컨트랙트는 전자문서 생성시 전자문서 생성자 각각에 의해 기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이고,
    상기 제1 NFT 생성 관리 방법은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를 연계하기 위해 상기 표준 전자문서 NFT의 토큰ID와 상기 비표준 전자문서 NFT의 토큰 ID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계 ID를 생성하여 NFT 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공증 시스템.
  6. 삭제
KR1020230062483A 2023-05-15 2023-05-15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630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483A KR102630870B1 (ko) 2023-05-15 2023-05-15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483A KR102630870B1 (ko) 2023-05-15 2023-05-15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870B1 true KR102630870B1 (ko) 2024-01-30

Family

ID=8971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483A KR102630870B1 (ko) 2023-05-15 2023-05-15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8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001B1 (ko) * 2019-02-21 2019-08-06 주식회사 모파스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시스템
KR20200048191A (ko) * 2018-10-29 2020-05-08 전재균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문서의 공증 방법, 그리고 시스템
KR20200094956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문서 서비스 플랫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191A (ko) * 2018-10-29 2020-05-08 전재균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문서의 공증 방법, 그리고 시스템
KR20200094956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문서 서비스 플랫폼
KR102008001B1 (ko) * 2019-02-21 2019-08-06 주식회사 모파스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3457B1 (en) Data structure having internal self-references suitable for immutably representing and verifying data generated over time
US11720688B2 (en) Secure initiation and transfer of a cryptographic database and/or a cryptographic unit
US20180075138A1 (en)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using classification taxonomy
AU2018202830A1 (en) Digital Asset Platform
CN110199305B (zh) 用于确定使用区块链实现的机器可执行合约的状态的计算机实现的系统和方法
Hsiao " Smart" Contract on the Blockchain-Paradigm Shift for Contract Law?
US20230135256A1 (en) Apparatus for proportional calculation regarding non-fungible tokens
CN105590055A (zh) 用于在网络交互系统中识别用户可信行为的方法及装置
TW201901482A (zh) 區塊鏈系統及區塊鏈生成方法
JP2024020329A (ja) デジタル文書の存在を証明する方法、そ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タグチェーンブロックチェーンシステム
CN111602166A (zh) 在区块链上提供可遍历键值数据存储的方法和设备
Konashevych Cross-blockchain protocol for public registries
Promyslov et al. A clustering method of asset cybersecurity classification
CN113362068B (zh) 一种轻节点验证区块链状态转移的方法
Jadye et al. Decentralized Crowdfunding Platform Using Ethereum Blockchain Technology
KR20200128250A (ko)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796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arty document revision
Elgohary et al. Improving uncertainty in chain of custody for image forensics investigation applications
KR102630870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13810185B (zh) 一种抗陷门泄露的链上数据修复系统及方法
Van der Laan „Understanding Blockchain”. U
Moreaux et al. Blockchain assisted near-duplicated content detection
CN114450687A (zh) 用于实现对计算结果的验证的方法、计算机程序和系统
Harlian et al. Implementation of blockchain for digital document data collection website
KR102485525B1 (ko) 블록체인 상에서 봉사 활동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