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760A - 와이어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760A
KR20200127760A KR1020190052510A KR20190052510A KR20200127760A KR 20200127760 A KR20200127760 A KR 20200127760A KR 1020190052510 A KR1020190052510 A KR 1020190052510A KR 20190052510 A KR20190052510 A KR 20190052510A KR 20200127760 A KR20200127760 A KR 20200127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x
inner box
cover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539B1 (ko
Inventor
배효영
김영주
전봉석
박경우
김석환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53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2Devices for guiding electrode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7Means for transporting supp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coils of wire, rope or 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02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delivery of material from supply package
    • B65H59/06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delivery of material from supply package by devices acting on material leaving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수납장치는, 외상자 내에 내상자가 내장된 이중상자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상자 내에 와이어가 루프 형태의 편심을 이루며 루핑되어 적층형성된 적층체가 수납되고, 상기 외상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덮개와 하부덮개가 제공되는 상자유닛; 및 상기 적층체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적층체를 상기 내상자 내에 고정시키는 와이어누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외상자는 네 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단면 형상이 4각인 구조를 갖고, 상기 내상자는 열두 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단면 형상이 12각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상자의 개방된 하부에는 상기 적층체가 놓여 지지되는 바닥판이 결합되며, 상기 내상자의 측벽 하단은 부분적으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누름유닛은 상기 적층체의 중공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덮개에 하단부가 연결된 탄성부재, 상기 적층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에서 발생된 탄성력을 하측으로 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적층체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에서 가해지는 탄성력으로 상기 적층체의 상부를 가압하는 누름부재 및 보호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수납장치{WIRE CONTAINER}
본 발명은 와이어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용 와이어는 원통형 와이어 수납용기의 내부에 와이어 적층체를 이루어 적층되고, 적층된 용접용 와이어는 와이어 수납용기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서 인출된다.
이러한 용접용 와이어를 와이어 수납용기에 적층시에는 비틀림이 부여되어 나선형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적층된 용접용 와이어의 인출시에는 비틀림에 의해 저장되어 있던 탄성에너지로부터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용접용 와이어의 인출시에는 탄성회복으로 인해 비틀림이 풀리면서 인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제어해 주지 않으면 인출되는 와이어가 튀어올라 서로 엉키게 됨에 따라, 원활한 와이어 인출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02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와이어를 엉키지 않고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는 와이어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수납장치는, 외상자 내에 내상자가 내장된 이중상자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상자 내에 와이어가 루프 형태의 편심을 이루며 루핑되어 적층형성된 적층체가 수납되고, 상기 외상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덮개와 하부덮개가 제공되는 상자유닛; 및 상기 적층체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적층체를 상기 내상자 내에 고정시키는 와이어누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외상자는 네 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단면 형상이 4각인 구조를 갖고, 상기 내상자는 열두 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단면 형상이 12각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상자의 개방된 하부에는 상기 적층체가 놓여 지지되는 바닥판이 결합되며, 상기 내상자의 측벽 하단은 부분적으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누름유닛은 상기 적층체의 중공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덮개에 하단부가 연결된 탄성부재, 상기 적층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에서 발생된 탄성력을 하측으로 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적층체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에서 가해지는 탄성력으로 상기 적층체의 상부를 가압하는 누름부재 및 보호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중앙에 상기 적층체의 중공 상에 배치되는 중앙홀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재는 외측 테두리 둘레가 상기 내상자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12각인 구조를 갖고 상기 중앙홀의 내측 테두리가 원형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누름부재의 모서리에서의 최대 직경은 상기 내상자의 내측 모서리에서의 최대 직경보다 작고, 상기 내상자의 측벽에서의 최대 직경보다는 큰 것일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외측 테두리를 이루는 제1 몸체, 상기 내측 테두리를 이루며 상기 중앙홀을 구현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의 루프는 상기 내상자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최대 직경의 64% 내지 92% 비율의 직경으로 루핑되어 적층 수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상자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내상자의 내측 모서리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누름유닛은 상기 하부덮개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가 걸림연결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걸림부재의 돌출된 부분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상자는 상기 측벽 상부에 복수개의 절취부재를 구비하며, 각 절취부재는 상기 측벽의 상단에서 하부로 부분 절개된 한 쌍의 절취선을 따라 상기 측벽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종단부가 상기 절취부재에 걸림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수납장치는, 외상자 내에 내상자가 내장된 이중상자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상자 내에 와이어가 루프 형태의 편심을 이루며 루핑되어 적층형성된 적층체가 수납되고, 상기 외상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덮개와 하부덮개가 제공되는 상자유닛; 및 상기 적층체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적층체를 상기 내상자 내에 고정시키는 와이어누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외상자의 측벽 상단과 각각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도록 접히는 한 쌍의 제1 덮개와 한 쌍의 제2 덮개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덮개는 서로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덮개는 서로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측벽 상단과의 연결부위에 제공되는 제1 접철선을 따라서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가 각각 상부로 경사지게 펼쳐짐에 의해서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측벽 상단에서 상부로 테이퍼지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와이어의 인출을 안내하는 안내후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는 하단 가장자리에서 상단 중앙을 향해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접철선 및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접철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제2 접철선을 따라서 삼각형의 형상으로 접히면서 상기 제2 덮개와 함께 상기 제1 접철선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접혀져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접철선을 따라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접히면서 상기 제2 덮개와 함께 상기 제1 접철선을 따라 경사지게 펼쳐져 상기 안내후드를 구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내후드는 상단에 상기 와이어가 인출되는 인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에는 작업구와 연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작업구를 덮으면서 개방가능한 투명커튼이 장착되고, 인출관이 연결된 헤드가 상기 인출구 상에 장착 시 상기 헤드가 상기 연결홀에 걸림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상자 내에서 상기 바닥판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내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관의 외측면과 상기 내상자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와이어의 적층체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상자유닛은 양면 강화 골판지를 2중 내지 4중으로 중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자유닛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파렛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렛트는 강화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와이어를 엉키지 않고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는 와이어 수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수납장치의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수납장치의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와이어 수납장치에서 상자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상자유닛에서 내상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내상자에 구비되는 절취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내상자에 구비되는 상부덮개의 접혀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내상자에 구비되는 상부덮개가 안내후드를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와이어 적층체 상에 와이어누름유닛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와이어누름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와이어누름유닛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와이어누름유닛에서 누름부재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상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수납장치를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수납장치(1000)는 상자유닛(100) 및 와이어누름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자유닛(100)은 외상자(110) 내에 내상자(120)가 내장된 이중상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자유닛(100) 내에는 와이어(1)가 수납될 수 있다. 참고로, 와이어(1)는 용접 시 사용되는 용접용 와이어일 수 있고, 나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된 후 인출되면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와이어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자유닛(100)은 양면 강화 골판지를 2중 내지 4중으로 중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종이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소재의 분리가 불필요한 경량구조물로 취급될 수 있어서, 폐기 및 재활용이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자유닛(100)의 하부에는 파렛트(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파렛트(300)로 인하여 리프트나 지게차 등으로 와이어 수납장치(1000)가 더욱 간편하게 적재되고 하역될 수 있다. 파렛트(300)는 상자유닛(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렛트(300)는 상자유닛(100)과 별개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자유닛(100)은 파렛트(300)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파렛트(300)는 강화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소재분리가 불필요한 경량구조물로 취급될 수 있어서, 폐기 및 재활용이 용이하다.
외상자(110)와 내상자(120)는 단면 형상이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가지며, 외상자(110)의 내측면에 내상자(120)의 외측면이 부분적으로 접하도록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상자(110)는 네 개의 측벽(111)을 구비하여 단면 형상이 4각인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내상자(120)는 열두 개의 측벽(121)을 구비하여 단면 형상이 12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내상자(120)의 열두 개의 측벽(121) 중 네 개가 외상자(110)의 네 개의 측벽(111)에 접하는 구조로 내장될 수 있다.
내상자(120) 내에는 와이어(1)가 루프 형태의 편심을 이루며 루핑되어 적층형성된 적층체(10)가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상자(120)의 개방된 하부에는 적층체(10)가 놓여 지지되는 바닥판(1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상자(120)의 측벽(121) 하단은 부분적으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바닥판(130)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21a)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내상자(120)와 바닥판(130)이 일체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와이어(1)의 수납 시 또는 운반 도중에 발생되는 진동과 유동에 의해 바닥판(130)이 내상자(120)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판(130)은 중앙에 관통홀(131)을 구비하여 부분적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적층체(10)는 관통홀(131) 둘레의 영역 상에 놓일 수 있다.
바닥판(130)은 상자유닛(100)과 같이 양면 강화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납되는 와이어(1) 적층체의 중량과 운반도중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바닥으로부터의 습기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내상자(120)의 진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내상자(120)를 12각의 다각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12각 이상, 예를 들어, 16각 또는 20각과 같이 각의 수가 증가하면 원형에 근접하여 안정적으로 와이어(1)의 적층 수납이 가능하지만, 그만큼 절곡부가 많아져 재질의 특성상 절곡이 어렵고 파손이 쉽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12각 이하로 각수가 감소하게 되면 운반시 와이어(1)의 적층 상태가 흐트러져 얽힘이 발생하게 되고, 적층체의 쏠림 현상이나 내상자(120)의 변형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내상자(120) 내에 수납되는 와이어(1)의 루프는 내상자(12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최대 직경의 64% 내지 92% 비율의 직경으로 루핑되어 적층 수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종래예1, 2와 같이 4각 또는 8각의 상자가 적용되는 경우, 운반시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유동에 의해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의 쏠림이나, 내상자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용접시에 인출되는 와이어의 엉킴이 발생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비교예1, 2는 8각의 내상자를 적용한 것인데, 외상자의 내부 수직 4면에 면접촉되지 않는 4개의 넓은 면이 운반시 적층 수납된 와이어의 유동 및 자중에 밀려 휘어짐 등의 변형이 발생되고, 이로인한 용접용 와이어의 쏠림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적층체를 이루는 와이어 루프의 자중이 내상자 내측 수직면 점접촉부에 집중되고 있으며, 운반중 심한 유동이 있을 경우 내상자의 변형이 발생된다.
따라서, 내상자 내측 수직면에 집중되는 용접용 와이어 루프 적층체의 자중을 최대한 분산시키고 균형을 유지시켜 내상자의 변형과 적층체의 쏠림을 방지하고자 내상자의 각의 수를 증가시켜 확인하였다. 그러나, 내상자의 각이 많을수록 내상자의 제작이 어려워졌으며, 절곡부의 균열이나 터짐이 발생하였다. 또한, 정다각형으로서의 진원도도 저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상자의 각의 수가 12각일 때 내상자의 제작이 용이하였고, 적층체를 이루고 있는 와이어 루프의 자중이 내상자 내측 수직면 접촉부가 분산됨으로써 내상자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한편, 루프 형태의 편심을 이루면서 수납되는 와이어의 루프 직경이 작으면 작을수록 쏠림현상이 증가한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쏠림현상은 결국에 내상자의 변형을 초래하고, 이로인한 와이어의 엉킴이 유발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내상자 내측면에 대응되는 용접용 와이어 루프의 최대 직경비율을 조정함으로써 내상자 내측면에 집중되는 와이어 루프 적층체의 자중을 최대한 분산시키고 균형을 유지시켜 내상자의 변형과 적층체의 쏠림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엉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착안하였다. 상기 실시예2 내지 실시예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상자 내측면에 대응되는 와이어 루프의 최대 직경비율이 64%~92%일 때, 적층체의 높이, 적층상태, 운반특성, 인출특성 및 용접특성 등에서 모두 만족되는 결과를 얻었다.
비교예1은 내상자가 8각일 때, 내상자 내측면에 대응되는 와이어 루프의 최대 직경비율을 53%로 루핑한 것으로 내상자 중앙의 적층높이가 높았으며, 운반시 내상자의 변형이 일어났다. 또한, 인출시 상층부의 엉킴이 발생되고, 용접시 와이어의 심한 유동으로 용접비드의 사행이 발생되었다.
비교예2는 내상자가 8각일 때, 내상자 내측면에 대응되는 와이어 루프의 최대 직경비율을 87%로 루핑한 것으로 운반시 내상자의 변형과 인출시 상층부의 엉킴이 발생되었다.
비교예3은 내상자가 8각일 때, 내상자 내측면에 대응되는 와이어 루프의 최대 직경비율을 97%로 루핑한 것으로 내상자 내측면에 적층량이 편중되어 수납량을 모두 수납할 수 없었다.
실시예1은 내상자가 12각일 때, 내상자 내측면에 대응되는 와이어 루프의 최대 직경비율을 60%로 루핑한 것으로 내상자 중앙부의 적층높이가 다소 높았으며, 용접시 용접아크가 미소한 유동을 발생하였지만, 운반시 내상자의 변형이나 인출시 엉킴현상은 없었다.
실시예7은 내상자가 12각일 때, 내상자 내측면에 대응되는 와이어 루프의 최대 직경비율을 93%로 루핑한 것으로 적층체의 높이가 다소 높았고, 내상자 내측면에 적층량이 다소 편중되었지만, 운반시 내상자의 변형이나 인출시에 엉킴현상은 없었으며, 용접특성도 양호하였다.
실시예8은 내상자가 12각일 때, 내상자 내측면에 대응되는 와이어 루프의 최대 직경비율을 95%로 루핑한 것으로 내상자 내측면에 적층량이 편중되어 수납량을 모두 수납하기는 어려웠지만, 운반시 내상자의 변형이나 적층체의 쏠림현상은 없었다.
비교예4 및 비교예5는 내상자가 16각일 때, 내상자 내측면에 대응되는 와이어 루프의 최대 직경비율을 각각 86%, 78%로 루핑한 것으로 적층상태는 양호하였으나, 내상자의 변형과 상층부에서 엉킴이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예4, 5, 6의 내상자가 16각 또는 20각인 경우, 내상자의 제작시 절곡부의 균열이나 터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상자(120)를 12각으로 구성함으로써 내상자(12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금속부재의 결합이 없이 재활용성이 높은 종이로만 구성된 와이어 수납장치(1000)에 용접용 와이어(1)를 수납하고, 운반시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유동에 의하여 용접용 와이어 적층체(10)의 쏠림이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상자(120)를 12각으로 구성하고, 내상자(120) 내측면에 대응되는 와이어 루프의 최대 직경비율을 64%~92%로 루핑함으로써, 적층체(10)의 밀도를 높여 적층체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운반시에도 적층체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는 적층상태를 유지함과 이로인한 엉킴현상도 방지되고, 용접시 와이어(1)의 회전 인출로 인한 용접아크의 흔들림이나 용접비드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에서와 같이, 내상자(120)는 일부 측벽(121) 상부에 복수개의 절취부재(122)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절취부재(122)는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각 절취부재(122)는 측벽(121)의 상단에서 하부로 부분 절개된 한 쌍의 절취선(122a)을 따라 측벽(121)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취부재(122)에는 와이어(1)의 종단부(1a)와 시단부(1b)가 걸림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를 루프 형태로 루핑하여 적층하는데 있어서, 와이어(1)의 종단부(1a)를 절취부재(122)를 통해 내상자(120)의 내측면을 따라 수회 감아서 고정시킨 후 내상자(120)의 바닥판(130) 상에 연속하여 루핑하여 적층시키고, 와이어(1)의 시단부(1b)를 절취부재(122)에 형성된 홀(122b)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적층체를 이루는 와이어(1)의 종단부(1a)와 시단부(1b)를 내상자(120)의 측벽(121) 상부에 제공되는 절취부재(122)에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와이어(1)의 시단부(1b)를 빼내어 용접작업을 수행하고, 와이어(1)의 인출이 끝나가면 와이어(1)의 종단부(1a) 끝을 또 다른 수납장치(1000)에 수납된 와이어(1)의 시단부(1b)와 연결하여 와이어(1)가 전량 소진되더라도 용접 중단 없이 연속적인 용접작업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1)의 시단부(1b)가 종단부(1a)와 함께 절취부재(122)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와이어(1)의 시단부(1b)는 절취부재(122) 외에 내상자(120)의 내측면이나 상단에 고정될 수도 있고, 추후 설명하는 와이어누름유닛(200)의 고정부재(220) 또는 누름부재(23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상자(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덮개(140)와 하부덮개(150)가 제공될 수 있다. 상부덮개(140)와 하부덮개(150)는 외상자(110)와 일체를 이루며 제공될 수 있다. 상부덮개(140)와 하부덮개(150)는 양면 강화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b에서와 같이, 상부덮개(140)는 외상자(110)를 덮는 상부외측덮개(141)가 별개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부덮개(140)는 외상자(110)의 측벽(111) 상단과 각각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도록 접히는 한 쌍의 제1 덮개(142)와 한 쌍의 제2 덮개(1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덮개(142)와 한 쌍의 제2 덮개(143)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덮개(142)가 서로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한 쌍의 제2 덮개(143)가 서로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측벽(111) 상단과의 연결부위에 제공되는 제1 접철선(140a)을 따라서 제1 덮개(142)와 제2 덮개(143)가 각각 상부로 경사지게 펼쳐짐에 의해서 상부덮개(140)는 측벽(111) 상단에서 상부로 테이퍼지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와이어(1)의 인출을 안내하는 안내후드(16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a에서와 같이, 제1 덮개(142)는 하단 가장자리에서 상단 중앙을 향해 제1 각도(θ1)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접철선(140b) 및 제1 각도(θ1)보다 큰 제2 각도(θ2)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접철선(140c)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덮개(142)와 제2 덮개(143)는 수직 방향으로 상부를 향해 펼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덮개(140)는 외상자(110)의 상부를 개방시켜 와이어(1)가 내부에 수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6b 및 도 6c에서와 같이, 제1 덮개(142)는 제2 접철선(140b)을 따라서 삼각형의 형상으로 접히면서 제2 덮개(143)와 함께 제1 접철선(140a)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접혀져 눕혀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덮개(142)와 제2 덮개(143)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부덮개(140)는 외상자(110)의 상부를 덮어 밀봉하여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c에서와 같이, 제1 덮개(142)는 제3 접철선(140c)을 따라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접히면서 제2 덮개(143)와 함께 제1 접철선(140a)을 따라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펼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덮개(142)와 제2 덮개(143)가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덮개(140)는 상술한 안내후드(160)를 구현할 수 있다. 안내후드(160)는 상단에 와이어(1)가 인출되는 인출구(161)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덮개(142)에는 작업구(142a)가 관통 형성되고, 작업구(142a)를 덮으면서 개방가능한 투명커튼(142b)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투명커튼(142b)은 상단부만이 제1 덮개(142)에서 작업구(142a) 위에 고정됨으로써, 작업자가 투명커튼(142b)을 젖힌 후 작업구(142a)를 통해 와이어(1)의 시단부(1b)를 잡고 인출구(16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투명커튼(142b)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와이어(1)가 인출되는 내부상황을 작업자가 외부에서 관찰하여 점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덮개(142)에는 연결홀(142c)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142c)은 작업구(142a)보다 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인출관(171)이 연결된 헤드(170)가 인출구(161) 상에 장착 시 헤드(170)가 연결홀(142c)에 걸림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170)는 안내후드(160)의 상단부에 끼움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와이어(1)가 인출 시 인출구(161)로 가이드 이동되며, 인출관(171)을 통해 최종적으로 외부로 인출됨으로써 흔들리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인 인출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덮개(140)는 외상자(1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덮개(140)를 상부로 펼침으로 인해 와이어 인출용 안내후드(160)가 형성됨으로써 덮개로서의 역할과 안내후드(160)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덮개와 후드가 불필요하여 편의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자유닛(100)의 하부에 관찰용 구멍(101)을 형성하고, 투명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용접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 와이어(1)의 소진 잔량을 외부에서 확인 및 점검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와이어누름유닛(200)은 상자유닛(100) 내에서 와이어(1)의 적층체(10) 상부를 가압하여 적층체(10)를 내상자(12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와이어누름유닛(200)은 와이어(1)의 보관 시 와이어(1)의 상측 이동을 포함한 움직임을 차단하고, 적층체(10)가 흐트러짐 없이 안전하게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와이어누름유닛(200)은 탄성부재(210), 고정부재(220), 누름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10)는 내상자(120) 내에서 적층체(10) 중앙의 중공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하부덮개(150)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210)는, 예를 들어, 인장용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누름유닛(200)은 탄성부재(2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240)는 하부덮개(150)에 고정되며, 하부덮개(150)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탄성부재(210)의 하단부가 걸림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부재(240)는 돌출된 부분이 내상자(120)의 바닥판(130)에 구비된 관통홀(131)을 통과하여 탄성부재(210)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220)는 적층체(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탄성부재(21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210)의 상단부가 고정부재(220)의 중앙에 연결됨으로써 고정부재(220)는 탄성부재(210)에서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끌어당겨져 탄성력을 하측으로 가할 수 있다.
고정부재(220)는 일례로서 봉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220)는 내상자(120)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내상자(120)의 내측 모서리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운반 시 진동 및 유동에 의한 고정부재(220)의 이탈이 방지되어 적층체(10)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누름부재(230)는 적층체(10)와 고정부재(220) 사이에 배치되며, 고정부재(220)에서 가해지는 탄성력으로 적층체(10)의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누름부재(230)는 적층체(10)의 상부를 눌러줌으로써 용접 시 용접용 와이어(1)의 인출을 용이하게 안내하여 엉킴 및 얽힘을 방지할 수 있다.
누름부재(230)는 중앙에 적층체(10)의 중공 상에 배치되는 중앙홀(231)을 구비할 수 있다. 중앙홀(231)을 통해서 탄성부재(210)가 고정부재(2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누름부재(230)는 외측 테두리 둘레가 내상자(12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12각인 구조를 갖고, 중앙홀(231)의 내측 테두리가 원형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누름부재(230)의 모서리에서의 최대 직경(M)은 내상자(120)의 내측 모서리에서의 최대 직경(L)보다 작고, 내상자(120)의 측벽(121)에서의 최대 직경(N)보다는 큰 구조일 수 있다. 누름부재(23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직경(M)이 내상자(120)의 내측 모서리에 대응되는 최대 직경(L)과 같으면 용접용 와이어(1)가 인출 소모되면서 누름부재(230)의 자연스러운 하강이 어려워지고, 누름부재(23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직경(M)이 내상자(120)의 측벽(121) 내측면에 대응되는 직경(N)과 같거나 작으면 탄성을 가지며 적층된 와이어(1)가 누름부재(230)의 모서리를 벗어나서 상부로 튀어올라 엉킴 또는 얽힘을 유발할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누름부재(230)는 외측 테두리를 이루는 제1 몸체(232), 내측 테두리를 이루며 중앙홀(231)을 구현하는 제2 몸체(233) 및 제1 몸체(232)와 제2 몸체(233)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몸체(234)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재(230)는 플라스틱, 고무자석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누름유닛(200)은 누름부재(230)와 고정부재(220) 사이에 개재되는 보호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250)는 고정부재(22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제공되며, 적층체(10) 및/또는 누름부재(2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수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수납장치는 내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관(400)은 내상자(12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관(400)은 내상자(120) 내에서 바닥판(130)의 관통홀(131)을 통해서 바닥판(130)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상자유닛(100)은 내관(400)의 외측면과 내상자(12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와이어(1)의 적층체(10)를 수납할 수 있다.
내관(400)은 양면 강화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 형태로 말린 상태에서 바닥판(130)의 관통홀(131)을 통해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관(400)의 수직이음부는 용접시에 와이어(1)가 인출될 때 와이어(1)의 회전방향으로 겹침이음부(410)가 형성되도록 하여, 와이어(1)가 내관(400)의 겹침이음부(410)에서 걸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와이어 수납장치
1... 와이어
10... 적층체
100... 상자유닛
110... 외상자
120... 내상자
130... 바닥판
200... 와이어누름유닛
210... 탄성부재
220... 고정부재
230... 누름부재
300... 파렛트
400... 내관

Claims (14)

  1. 외상자 내에 내상자가 내장된 이중상자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상자 내에 와이어가 루프 형태의 편심을 이루며 루핑되어 적층형성된 적층체가 수납되고, 상기 외상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덮개와 하부덮개가 제공되는 상자유닛; 및
    상기 적층체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적층체를 상기 내상자 내에 고정시키는 와이어누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외상자는 네 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단면 형상이 4각인 구조를 갖고, 상기 내상자는 열두 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단면 형상이 12각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상자의 개방된 하부에는 상기 적층체가 놓여 지지되는 바닥판이 결합되며, 상기 내상자의 측벽 하단은 부분적으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누름유닛은 상기 적층체의 중공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덮개에 하단부가 연결된 탄성부재, 상기 적층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에서 발생된 탄성력을 하측으로 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적층체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에서 가해지는 탄성력으로 상기 적층체의 상부를 가압하는 누름부재 및 보호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중앙에 상기 적층체의 중공 상에 배치되는 중앙홀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재는 외측 테두리 둘레가 상기 내상자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12각인 구조를 갖고 상기 중앙홀의 내측 테두리가 원형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누름부재의 모서리에서의 최대 직경은 상기 내상자의 내측 모서리에서의 최대 직경보다 작고, 상기 내상자의 측벽에서의 최대 직경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외측 테두리를 이루는 제1 몸체, 상기 내측 테두리를 이루며 상기 중앙홀을 구현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루프는 상기 내상자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최대 직경의 64% 내지 92% 비율의 직경으로 루핑되어 적층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상자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내상자의 내측 모서리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누름유닛은 상기 하부덮개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가 걸림연결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걸림부재의 돌출된 부분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자는 상기 측벽 상부에 복수개의 절취부재를 구비하며, 각 절취부재는 상기 측벽의 상단에서 하부로 부분 절개된 한 쌍의 절취선을 따라 상기 측벽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종단부가 상기 절취부재에 걸림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9. 외상자 내에 내상자가 내장된 이중상자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상자 내에 와이어가 루프 형태의 편심을 이루며 루핑되어 적층형성된 적층체가 수납되고, 상기 외상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덮개와 하부덮개가 제공되는 상자유닛; 및
    상기 적층체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적층체를 상기 내상자 내에 고정시키는 와이어누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외상자의 측벽 상단과 각각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도록 접히는 한 쌍의 제1 덮개와 한 쌍의 제2 덮개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덮개는 서로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덮개는 서로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측벽 상단과의 연결부위에 제공되는 제1 접철선을 따라서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가 각각 상부로 경사지게 펼쳐짐에 의해서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측벽 상단에서 상부로 테이퍼지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와이어의 인출을 안내하는 안내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는 하단 가장자리에서 상단 중앙을 향해 제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접철선 및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접철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제2 접철선을 따라서 삼각형의 형상으로 접히면서 상기 제2 덮개와 함께 상기 제1 접철선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접혀져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접철선을 따라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접히면서 상기 제2 덮개와 함께 상기 제1 접철선을 따라 경사지게 펼쳐져 상기 안내후드를 구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내후드는 상단에 상기 와이어가 인출되는 인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에는 작업구와 연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작업구를 덮으면서 개방가능한 투명커튼이 장착되고, 인출관이 연결된 헤드가 상기 인출구 상에 장착 시 상기 헤드가 상기 연결홀에 걸림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12.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자 내에서 상기 바닥판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내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관의 외측면과 상기 내상자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와이어의 적층체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13.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유닛은 양면 강화 골판지를 2중 내지 4중으로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14.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자유닛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파렛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렛트는 강화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수납장치.
KR1020190052510A 2019-05-03 2019-05-03 와이어 수납장치 KR102185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510A KR102185539B1 (ko) 2019-05-03 2019-05-03 와이어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510A KR102185539B1 (ko) 2019-05-03 2019-05-03 와이어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760A true KR20200127760A (ko) 2020-11-11
KR102185539B1 KR102185539B1 (ko) 2020-12-02

Family

ID=7345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510A KR102185539B1 (ko) 2019-05-03 2019-05-03 와이어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4240A1 (ja) * 2022-06-30 2024-01-04 株式会社フジクラ 梱包ユニッ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2157A (ja) * 1999-09-01 2001-03-21 Rogosu Corp:Kk レインコート収納用ケース
JP2005305458A (ja) * 2004-04-16 2005-11-04 Kobe Steel Ltd ペイル容器内の溶接用ワイヤ
KR20080054624A (ko) * 2006-12-13 2008-06-18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용접 와이어용 페일팩
KR101067693B1 (ko) * 2010-10-25 2011-09-27 이상래 용접 와이어용 페일팩의 가압판 고정치구
KR20130010267A (ko) 2011-07-18 2013-01-28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2157A (ja) * 1999-09-01 2001-03-21 Rogosu Corp:Kk レインコート収納用ケース
JP2005305458A (ja) * 2004-04-16 2005-11-04 Kobe Steel Ltd ペイル容器内の溶接用ワイヤ
KR20080054624A (ko) * 2006-12-13 2008-06-18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용접 와이어용 페일팩
KR101067693B1 (ko) * 2010-10-25 2011-09-27 이상래 용접 와이어용 페일팩의 가압판 고정치구
KR20130010267A (ko) 2011-07-18 2013-01-28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4240A1 (ja) * 2022-06-30 2024-01-04 株式会社フジクラ 梱包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539B1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9186A (en) Boxed pay-out reel for optic fiber cable or wire or the like, with smooth pay-out, high-impact and cable end holding features
JP4197326B2 (ja) リフトストラップ付き溶接ワイヤパッケージ
EP0636098B1 (en) Container for packaging and unwinding a coil of wire
KR100491806B1 (ko) 대량의 와이어를 수용 및 분배하는 패키지
CA2403067C (en) Container for welding wire
KR100729297B1 (ko) 용접 와이어 컨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EP2256064A1 (en) Container for welding wire with elongated members for maintaining the wire coil
US20080210840A1 (en) Interlocking roll support and spacing structure
US9061814B2 (en) Packaging for wound coil
EP2354039A1 (en) Container for welding wire with internal retainer
CZ412599A3 (cs) Schránka pro uložení a odvíjení cívky svařovacího drátu
US20080017650A1 (en)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a plurality of items
KR102185539B1 (ko) 와이어 수납장치
JP2007055626A (ja) ケーブル梱包箱及びケーブル引出し方法
JP3723381B2 (ja) ペイル容器入り金属線材の収納方法
US6494340B1 (en) Tennis ball container
US10035612B2 (en) Portable paper stacking and storage device
US20190263585A1 (en) Strap guide and pail pack having the same
WO2021066074A1 (ja) ロール状物支持機構及びロール状物梱包用パレット並びにロール状物梱包体
KR102150063B1 (ko) 와이어 수납장치
CN117677569A (zh) 焊丝容器及其支撑构件
EP2706020B1 (en) Container for welding wire with two superimposed retainers
JP4662813B2 (ja) ロービング積載物
MXPA99010694A (en) Container for packaging and unwinding a coil of welding wire
JP2001261238A (ja) 溶接用ワイヤの装填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