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610A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610A
KR20200127610A KR1020190052083A KR20190052083A KR20200127610A KR 20200127610 A KR20200127610 A KR 20200127610A KR 1020190052083 A KR1020190052083 A KR 1020190052083A KR 20190052083 A KR20190052083 A KR 20190052083A KR 20200127610 A KR20200127610 A KR 20200127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ver
pipe
dispos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5066B1 (ko
Inventor
주재영
김범기
이헌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0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6Pipes for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압축부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고 제1 인렛이 포함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압축부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하며 아웃렛을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아웃렛과 연결된 배관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로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흡입냉매를 수용하는 제1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공간부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냉매를 압축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공간부와 연통되어 상기 압축부에서 압축된 압축냉매를 수용하는 제3 공간부과, 상기 제3 공간부와 구획된 제4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4 공간부는 연통하며, 상기 배관은 상기 제4 공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관의 압축냉매는 상기 제4 공간부의 상기 흡입냉매와 열교환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ELECTRIC COMPRESSOR}
실시예는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전동 압축기는, 차량의 공조장치에서, 냉매를 압축하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7071호(2018.12.11. 공고,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는 전동 압축기를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전동 압축기는 하우징과 구동부와 압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는 압축부로 공급된다. 압축부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부는 모터일 수 있다. 모터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터와,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는 구동부의 샤프에 연동하여,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된 냉매는 컨덴서에 공급될 수 있다. 냉매가 압축되면 냉매의 온도가 상승한다. 컨덴서에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가 높으면, 컨덴서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행풍이 없는 경우, 고온의 냉매를 냉각히기 위하여 라디에이터의 팬을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7071호(2018.12.11. 공고)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냉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압축부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고 제1 인렛이 포함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압축부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하며 아웃렛을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아웃렛과 연결된 배관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로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흡입냉매를 수용하는 제1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공간부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냉매를 압축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공간부와 연통되어 상기 압축부에서 압축된 압축냉매를 수용하는 제3 공간부과, 상기 제3 공간부와 구획된 제4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4 공간부는 연통하며, 상기 배관은 상기 제4 공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관의 압축냉매는 상기 제4 공간부의 상기 흡입냉매와 열교환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공간부는 상기 제3 공간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상기 제4 공간부와 연통하는 제1 아웃렛과, 제2 인렛과, 제2 아웃렛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은 제1 관과 제2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은 상기 제1 아웃렛과 상기 제2 인렛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관은 제2 인렛과 상기 제2 이웃렛에 연결되고, 상기 제4 공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4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관의 외경은 상기 제1 관의 외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은 제1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공간부와 상기 제4 공간부는 상기 커버에 배치된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반경을 갖는 만곡영역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공간부는 상기 격벽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공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만곡부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관은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제2 인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제2 아웃렛과 연결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만곡부를 따라 배치되는 만곡영역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바디에서 제3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제3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실시예는, 커버와 연통된 배관을 통해 컨덴서에 압축된 냉매를 공급하는 전동 압축기로서, 상기 커버는 압축냉매의 토출공간과 함께, 흡입냉매의 흡입공간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은 상기 커버에 배치된 상기 흡입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컨덴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배관을 흐르는 압축냉매가 상기 커버에 배치된 상기 흡입공간에 수용된 흡입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흡입공간은 상기 토출공간의 둘레를 따라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은 서로 연통하는 제1 관과 제2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은 상기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관은 상기 흡입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관의 외경은 상기 제1 관의 외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은 제1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토출공간과 상기 흡입공간은 상기 커버에 배치된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반경을 갖는 만곡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관은 상기 격벽의 만곡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만곡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압축냉매의 온도를 낮추어 공조 효율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압축냉매를 저온의 흡입냉매의 일부와 열교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압축냉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구조를 간소화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압축냉매가 흐르는 배관을 흡입냉매의 일부가 수용된 커버의 내측 공간을 관통하게 함으로써, 압축냉매와 흡입냉매의 열교환 성능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압축냉매와 열교환하는 흡입냉매의 일부 수용공간을 커버의 외측 공간을 따라 배치하여, 열교환 면적 및 시간을 늘림으로써, 압축냉매와 흡입냉매의 열교환 성능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커버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배관이 연결된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공간부와 연결되는 제4 공간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커버의 외측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커버의 제4 공간부에 배치된 배관을 도시한 커버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과, 커버(300)와, 제3 하우징(400)과, 구동부(500)와, 압축부(600)와, 배관(7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구동부(500)는 제1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1 하우징(100)은 제1 인렛(1)과 제1 공간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렛(1)과 제1 공간부(10)는 연통된다. 제1 인렛(1)을 통해 냉매(이하, 흡입냉매라 한다)가 흡입된다. 흡입냉매는 제1 공간부(10)(이하, 흡입공간이라고도 한다.)에 수용된다. 제1 공간부(10)는 제2 하우징(200)의 제2 공간부(20)와 연통된다.
제2 하우징(200)은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압축부(600)는 제2 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2 하우징(200)은 제2 공간부(20)를 포함한다. 압축부(600)는 제2 공간부(20)에 수용된다. 제2 하우징(200)은 제1 공간부(10)와 제4 공간부(40)를 연통시키는 유로(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0)는 제2 하우징(20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300)는 제3 공간부(30)(이하, 토출공간이라고도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600)에서 압축된 압축냉매는 제3 공간부(30)에 수용된다. 제3 공간부(30)는 제2 공간부(20)와 연통된다. 또한, 커버(300)는 제4 공간부(40)를 포함한다. 제4 공간부(40)는 제2 하우징(200)의 유로(50)를 통해 제1 공간부(10)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공간부(10)로 흡입된 흡입냉매의 일부는 제4 공간부(40)에 수용된다.
제3 하우징(400)은 제1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제3 하우징(400)에 수용될 수 있다.
구동부(500)는 모터일 수 있다. 모터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터와,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는 스테이터와 로터의 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압축부(600)는 흡입냉매를 압축한다, 압축부(600)는 선회스크롤(610)과 고정스크롤(6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회스크롤(610)은 구동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스크롤(620)은 제2 하우징(200)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선회스크롤(610)은 와선형 돌출구조가 배치된 원판형 부재일 수 있다. 선회스크롤(610)은 구동부(500)에 편심결합되어, 고정스크롤(620)에 대하여 공전한다. 선회스크롤(610)과 고정스크롤(620) 사이에서 압축된 압축냉매는 제3 공간부(30)로 토출된다.
배관(700)은 커버(300)에 결합될 수 있다. 배관(700)은 제3 공간부(30) 및 제4 공간부(40)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배관(700)은 컨덴서(10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커버(300)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버(300)는 제3 공간부(30)와 제4 공간부(40)를 포함한다. 제4 공간부(40)는 제3 공간부(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공간부(40)는 제3 공간부(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커버(300)는 제1 아웃렛(2)과, 제2 인렛(3)과, 제2 아웃렛(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웃렛(2)은 제3 공간부(30)와 연통된다. 제2 인렛(3)과 제2 아웃렛(4)은 제4 공간부(40)와 연통된다.
제3 공간부(30)와 제4 공간부(40)는 격벽(31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격벽(310)의 내측에는 제3 공간부(30)가 배치되고, 격벽(310)의 외측에는 제4 공간부(40)가 배치된다. 격벽(310)은 제1 반경(R)을 갖는 만곡영역(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공간부(40)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만곡영역(311)의 외주면과 커버(30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배관(700)이 연결된 커버(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관(700)은 커버(300)에 결합될 수 있다. 배관(700)은 커버(300)의 제4 공간부(4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배관(700)은 제1 관(710)과 제2 관(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710)은 커버(3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2 관(720)은 커버(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300)는 제4 공간부(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710)은 제1 아웃렛(2)과 제2 인렛(3)에 연결된다. 제2 관(720)은 제2 아웃렛(4)과 제2 인렛(3)에 연결된다. 제2 관(720)은 제3 공간부(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관(720)의 직경(D2)은 제1 관(710)의 직경(D1)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는 제1 공간부(10)와 연결되는 제4 공간부(4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4 공간부(40)는 유로(50)에 의해 제1 공간부(10)와 연통된다. 제1 인렛(1)으로 흡입되어 제1 공간부(10)에 수용된 흡입냉매 중 일부는 유로(50)를 거쳐 제4 공간부(40)에 수용된다. 제4 공간부(40)에 수용된 흡입냉매는 제2 관(720)을 흐르는 압축냉매와 열교환한다. 제2 관(720)의 압축냉매는 제4 공간부(40)에 수용된 흡입냉매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낮아진다. 온도가 낮아진 압축냉매는 제2 아웃렛(4)을 거쳐 제1 관(710)으로 공급된다. 제2 아웃렛(4)을 통해 제1 관(710)으로 공급된 저온의 압축냉매는 컨덴서(1000)로 공급된다.
도 5는 커버(300)의 외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관(700)의 제1 관(710)은 제1 방향(A)으로 절곡된 부분(711)과. 제1 방향(A)과 상이한 제2 방향(B)으로 절곡된 부분(7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된 제3 공간부(30)에 수용된 압축냉매를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된 제4 공간부(40)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커버(300)의 제4 공간부(40)에 배치된 배관(700)을 도시한 커버(300)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관(720)은 바디(721)와, 제1 단부(722)와, 제2 단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722)는 제2 인렛(3)과 연결된다. 제2 단부(723)는 제2 아웃렛(4)과 연결된다. 제1 단부(722)는 바디(721)에서 제3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 단부(723)는 바디(721)에서 제3 방향과 상이한 제4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3 방향은 전동 압축기의 축방향일 수 있으며, 제4 방향은 전동 압축기의 반경방향일 수 있다.
바디(721)는 격벽(310)의 만곡영역(311)을 따라 배치되는 만곡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바디(721)의 만곡영역은 제2 관(720)을 흐르는 압축냉매와 흡입냉매의 열교환 면적 및 열교환 시간을 늘려, 컨덴서(1000)로 공급되는 압축냉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는 이점이 있다. 바디(721)의 제2 관(720)은 플렉서블하고,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덴서(1000)에 공급되는 압축냉매의 온도를 낮추면, 공조장치 전체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 공간부
20: 제2 공간부
30: 제3 공간부
40: 제4 공간부
50: 유로
100: 제1 하우징
200: 제2 하우징
300: 커버
400: 제3 하우징
500: 구동부
600: 압축부
610: 선회스크롤
620: 고정스크롤
700: 배관

Claims (17)

  1.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압축부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고 제1 인렛이 포함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압축부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하며 아웃렛을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아웃렛과 연결된 배관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로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흡입냉매를 수용하는 제1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공간부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냉매를 압축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공간부와 연통되어 상기 압축부에서 압축된 압축냉매를 수용하는 제3 공간부과, 상기 제3 공간부와 구획된 제4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4 공간부는 연통하며,
    상기 배관은 상기 제4 공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관의 압축냉매는 상기 제4 공간부의 상기 흡입냉매와 열교환하는 전동 압축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공간부는 상기 제3 공간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동 압축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4 공간부와 연통하는 제1 아웃렛과, 제2 인렛과, 제2 아웃렛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은 제1 관과 제2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은 상기 제1 아웃렛과 상기 제2 인렛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관은 제2 인렛과 상기 제2 이웃렛에 연결되고, 상기 제4 공간부에 배치되는 전동 압축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4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의 외경은 상기 제1 관의 외경 보다 작은 전동 압축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은 제1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간부와 상기 제4 공간부는 상기 커버에 배치된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반경을 갖는 만곡영역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간부는 상기 격벽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공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만곡부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 압축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은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제2 인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제2 아웃렛과 연결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만곡부를 따라 배치되는 만곡영역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바디에서 제3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제3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전동 압축기.
  10. 커버와 연통된 배관을 통해 컨덴서에 압축된 냉매를 공급하는 전동 압축기로서,
    상기 커버는 압축냉매의 토출공간과 함께, 흡입냉매의 흡입공간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은 상기 커버에 배치된 상기 흡입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컨덴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배관을 흐르는 압축냉매가 상기 커버에 배치된 상기 흡입공간에 수용된 흡입냉매와 열교환하는 전동 압축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서, 상기 흡입공간은 상기 토출공간의 둘레를 따라 구획되어 배치되는 전동 압축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서로 연통하는 제1 관과 제2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은 상기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관은 상기 흡입공간에 배치되는 전동 압축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서로 연통하는 제1 관과 제2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은 상기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관은 상기 흡입공간에 배치되는 전동 압축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의 외경은 상기 제1 관의 외경 보다 작은 전동 압축기.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은 제1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서, 상기 토출공간과 상기 흡입공간은 상기 커버에 배치된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반경을 갖는 만곡영역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은 상기 격벽의 만곡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만곡영역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KR1020190052083A 2019-05-03 2019-05-03 전동 압축기 KR10266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83A KR102665066B1 (ko) 2019-05-03 2019-05-03 전동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83A KR102665066B1 (ko) 2019-05-03 2019-05-03 전동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610A true KR20200127610A (ko) 2020-11-11
KR102665066B1 KR102665066B1 (ko) 2024-05-13

Family

ID=7345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083A KR102665066B1 (ko) 2019-05-03 2019-05-03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0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6583A (ja) * 2005-08-12 2007-02-22 Sanden Corp 冷却システムの電動圧縮機
JP2007327691A (ja) * 2006-06-07 2007-12-20 Sanden Corp 圧縮機
KR101927071B1 (ko) 2018-10-22 2018-12-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6583A (ja) * 2005-08-12 2007-02-22 Sanden Corp 冷却システムの電動圧縮機
JP2007327691A (ja) * 2006-06-07 2007-12-20 Sanden Corp 圧縮機
KR101927071B1 (ko) 2018-10-22 2018-12-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5066B1 (ko) 202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4451B2 (ja) モータ冷却応用例
EP3401549B1 (en) Turbo compressor
CN107421005B (zh) 轻便窗式空调器
KR100981859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CN112119224B (zh) 离心送风机、送风装置、空调装置及制冷循环装置
US11236748B2 (en) Compressor having directed suction
JP6011571B2 (ja) 電動ターボ式圧縮機
JP2019535948A (ja) 分離された冷却気路を備えたターボ圧縮機
US10164495B2 (en) Motor-driven fluid machine
KR101658728B1 (ko) 모터­구동형 터보 압축기
US20200392953A1 (en) Compressor Having Suction Fitting
JP2002106485A (ja) モータ一体型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1012630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200127610A (ko) 전동 압축기
CN111365233A (zh) 涡旋式压缩机
CN113906221A (zh) 离心送风机、空调装置以及制冷循环装置
CN106765575B (zh) 风道组件及空调器
CN113530856A (zh) 压缩机及制冷系统
CN112930444A (zh) 涡轮风扇、送风装置、空气调节装置以及制冷循环装置
TWI754505B (zh) 遠心送風機的渦形殼體、具備這個渦形殼體的遠心送風機、空氣調和裝置以及冷凍循環裝置
JP7080423B1 (ja) 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5278203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スクロール圧縮機を備える空気調和装置
US20240117975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724393B1 (ko) 회전형 열교환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240049034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