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359A - 강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359A
KR20200127359A KR1020190051327A KR20190051327A KR20200127359A KR 20200127359 A KR20200127359 A KR 20200127359A KR 1020190051327 A KR1020190051327 A KR 1020190051327A KR 20190051327 A KR20190051327 A KR 20190051327A KR 20200127359 A KR20200127359 A KR 20200127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aterial
server
steel
transfer device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한석
옥진성
권순도
김지윤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7359A/ko
Publication of KR2020012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08B13/240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characterised by the tag technology used
    • G08B13/2414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characterised by the tag technology used using inductive tags
    • G08B13/2417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characterised by the tag technology used using inductive tags hav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h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08B13/2451Specific applications combined with EAS
    • G08B13/2462Asset location systems combined with E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관리 시스템은 강재 적치 위치를 계획하는 서버, 계획에 따라서 강재를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그리고 이송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서버는 게이트 웨이 서버, 강재 위치 서버, 모바일 서버(23)를 포함하는 미들웨어 서버, 모니터링 서버 및 시뮬레이션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재 관리 시스템{STEEL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강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강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강재의 입고, 출고 및 선별 작업을 자동화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강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물량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물류의 증가로 물류 흐름의 최적화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선박은 블록 단위로 조립하여 건조하는데, 블록을 만들기 위해서는 강재를 필요로 한다. 블록은 선박의 종류와 크기, 용도에 따라 각기 다른 두께, 폭 및 길이를 갖는 강재를 용접하여 사용한다.
블록을 제조사에 블록별로 발주하더라도, 제조사에서는 생산 효율을 고려하여 여러 블록을 취합하여 같은 두께, 같은 폭 위주로 강재를 분류한 후 제작한 후 블록단위가 아닌 유사한 두께, 폭의 강재들을 묶어 한 파일씩 분류한 후 조선소로 이송된다.
조선소에서는 하역된 강재들을 다시 강재 절단일자별로 선별 분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넓은 면적의 선별장이 필요하고, 반복적인 크레인의 사용을 요구하게 되어 시간과 비용이 증가한다.
입고되는 강재는 야드 내에 오버 헤드 마그네틱 크레인을 설치하여 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소는 늘어나는 물량과 공정상 일찍 입고되어 적치하여야 할 기간이 긴 강재, 여분의 강재 관리를 위해 부족한 야드 내의 적치장 이외에 야드 외부에서도 지게차 등의 이송 장비를 이용해 강재를 적치 관리하고 있다.
강재 생산업체로부터 입고된 강재는 야드의 적치장 상황, 일일 작업량 등 여러 이유를 고려하여 작업자가 적절히 분류, 보관한다. 현재 작업자는 야드 강재 적치장을 구역별로 나누고 각 구역에 파일번호를 지정해 재고를 관리하고 있다.
특히, 작업자가 입고, 출고 및 선별 작업을 작업자의 수기 작성에 의존하여 진행하고, 크레인 하부에서 작업자의 확인 작업으로 진행하는 2인 1조 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강재의 입고, 출고 및 선별 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어 이에 대한 자동화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재의 입고, 출고 및 선별 작업을 자동화하여 강재 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강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관리 시스템은 강재 적치 위치를 계획하는 서버(200), 계획에 따라서 강재를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100), 그리고 이송 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12)를 포함하고, 서버(200)는 게이트 웨이 서버(21), 강재 위치 서버(22), 모바일 서버(23)를 포함하는 미들웨어 서버(202), 모니터링 서버(201) 및 시뮬레이션 서버(2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12)는 상기 이송 장치의 이동 거리, 강재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강재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서버(23)로 제어되며, 상기 강재의 입출고 프로그램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20)를 더 포함하고, 휴대 단말기(20)는 상기 강재에 포함된 바코드 또는 큐알 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재가 입고시,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203)는 상기 강재 위치 서버(22)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재의 적치 위치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장치(100)는 오버 헤드 마그네틱 크레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201)는 대쉬보드(dashboard) 및 가시화 시스템을 포함하고, 모니터링 서버(201)는 상기 강재가 적치되는 적치장을 3차원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장치(100) 및 상기 강재의 이동 정보는 상기 강재 위치 서버(22)에 실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작업 일정에 따라서 강재가 최적의 장소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강재 입출고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신호수가 크레인 하부에서 작업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강재 적치장의 디지털 트윈이 관제 센터에 구축 및 표시되어, 현재 강재의 위치, 이동 정보, 이송 장치의 위치 등을 그래프 및 수치화하여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강재 입고시 강재 배치 위치를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강재 배치 계획을 수립하도록 함으로써, 강재의 반출일정, 작업장 내 부하 정도, 날짜별 작업 표준화 정도 등 작업장 관리와 후속 공정 및 작업 일정을 계획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배치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강재 적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배치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관리 시스템은 강재의 입, 출고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 장치(100), 서버(200) 및 관제 센터(300)를 포함하고, 이들은 LTE 등의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송 장치(100)는 강재를 이송하여 강재를 적치하거나 리프팅하는 장치로, 크레인, 주행 레일, 주행 축, 하우스 및 케빈 등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오버헤드 마그네틱 크레인일 수 있다.
이송 장치(100)는 크레인 케빈에 설치되어 이송 장치(100)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조작부(11)는 서버(200) 및 관제 센터(30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강재 적치 정보를 이송장치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일 수 있다. 운전자는 관제 센터(300)로부터 전달되는 강재 적치 배치 계획과 실제 강재 배치 현황을 비교하여, 현장 상황에 맞게 수정할 수 있다. 크레인 케빈에는 운전자에게 청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 장치(100)에는 다양한 센서와 비젼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센서는 이송 장치(100)의 이동 거리 및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 강재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젼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예를 들어 강재에 기재된 강재 정보는 실시간으로 크레인 케빈 내의 표시 장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크레인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로드셀은 강재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현재 이동되는 강재의 매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측정된 중량을 바탕으로 적치 대상 강재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센서는 GPS를 이용하거나, 크레인의 이동축의 회전수 등을 이용하여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이동 거리를 기초로 크레인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 거리는 크레인의 주행 거리 뿐 아니라, 강재의 수직 방향 이동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강재의 이동 시 측정된 정보는 자동으로 추적되어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송 장치(100)에 설치된 조작부(1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정보는 센서에서 직접 IoT 플랫폼을 통해서 서버(200)로 전달될 수 있다.
서버(200)는 강재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강재 배치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된 강재 정보와 ERP 데이터를 통해서 강재 배치 계획을 수립하고, 배치 계획을 휴대 단말기(20) 및 이송 장치(100)의 조작부(11)에 전달한다.
서버(200)는 모니터링 서버(201), 미들웨어(middleware) 서버(202) 및 시뮬레이션 서버(203)를 포함한다.
모니터링 서버(201)는 대쉬보드(dashboard) 및 가시화 시스템을 포함하며, 강재 적치장을 가상화하며, 강재 배치 정보 및 크레인의 위치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시각 정보, 예를 들어 3차원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강재 적치장은 구역별로 나뉘어져 관리되며, 강재 배치 정보 및 크레인의 위치 정보는 가상의 강재 적치장 영상과 함께 표시(도 2 및 도 3 참조)될 수 있다. 또한, 시각 정보는 강재 현황, 강재 리스트, 그래프, 작업 지시서, 불출 지시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시각 정보는 정보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20), 이송 장치(100)의 조작부(11) 및 관제 센터(300)의 관제 컴퓨터로 전달될 수 있다.
미들웨어 서버(202)는 강재를 이동시키면서 측정되는 강재 위치 정보 또는 크레인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게이트 웨이 서버(21), 강재 위치 서버(22) 및 모바일 서버(23)를 포함한다.
게이트 웨이 서버(21)에는 이송 장치(100)에 부착된 센서(12)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취합하는 곳으로, 이송 장치(100)에 설치된 로드셀로 측정된 중량 정보, 위치센서로부터 획득된 거리 정보,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정보 등이 취합된다.
게이트 웨이 서버(21)로 취합된 정보는 강재 위치 서버(22)로 전달될 수 있다.
강재 위치 서버(22)는 게이트 웨이 서버(21)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강재 적치 현황에 따른 강재 적치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에 따라서 강재 적치 계획을 휴대 단말기(20), 이송 장치의 조작부(11) 또는 관제 센터(300)의 컴퓨터로 전달한다.
강재 적치 계획은 게이트 웨이 서버(21)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와 별도로 설치된 데이터 서버(301)에 기 입력된 강재 정보를 통해서 진행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301)에는 ERP 정보, 이전에 적치 및 이송된 강재의 위치 정보 및 강재 이송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모바일 서버(23)는 신호수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20)를 관리하고, 작업 지시서 또는 강재 정보를 휴대 단말기(20)에 전달하는 것으로 강재 위치 서버(22) 및 데이터 서버(301)와 연동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는 신호수가 휴대하면서 강재의 입출고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강재 입출고 처리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으며, 정보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정된 사람이 로그인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를 통해 작업자는 제조사로부터의 강재 송장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입고 지시서를 통해서 입고 일정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20)를 통해 강재 입고 등록을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입고 확인한 강재 정보를 현물 강재로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어, 강재 현황을 이중으로 체크할 수 있다.
즉, 저장된 강재와 현물 강재의 현재 위치가 일치하는 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며, 수정이 가능하다. 이때, 휴대 단말기(20)는 스캐너를 더 포함하여, 강재에 형성된 바코드, 큐알코드를 스캔하여 데이터 서버(301)에 저장된 ERP 정보와 공유하여, 저장 정보와 현물 강재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20)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20)에 작업 지시서, 불출지시서 등을 전달하여 강재 불출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서버(203)는 강재 입고시 강재 배치를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으로, 기 적치된 강재 현황에 따라 입고되는 강재의 배치 위치를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강재 배치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시뮬레이션 서버(203)는 조건에 따른 여러 상황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강재의 적치는 후속 공정시 강재를 반출하는 것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될 수 있다.
또한, 강재 사용시의 단계별 계획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해봄으로써, 작업장 내 부하 정도, 날짜별 작업 표준화 정도 등에 따라서 용이하게 작업 일정을 계획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서버(203)는 강재 위치 서버(22)로부터 강재의 위치 정보 및 강재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적용호선, 블록번호, 무게, 적치될 파일 번호, 강재의 무게 정보, 강재의 위치 정보 등을 제공받아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최적의 위치에 강재가 배치되는 적치 계획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한다.
강재 정보는 강재 제조사에서 제공된 강재 정보 또는 휴대 단말기(20)를 통해 강재의바코드를 스캔하여 획득하거나, 수정된 현물 강재 정보일 수 있다.
강재 입고시 강재 정보를 바탕으로 강재 배치 계획을 도출하고, 도출된 배치 계획을 휴대 단말기(20) 및 이송 장치(100)의 조작부(11)로 전달하여, 신호수 및 크레인 운전자가 강재 배치시 이를 참고하도록 한다. 현장 상황에 따라서 신호수 및 크레인 운전자는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강재 적치 계획 및 지시는 관제 센터(300)를 통해서 관리 될 수 있으며, 관제 센터는 작업자가 컴퓨터를 통해서 서버(200), 휴대 단말기(20) 및 이송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다.
관제 센터(300)의 컴퓨터에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강재 적치장의 디지털 트윈이 구축되어 표시되며, 현재 강재의 위치, 이동 정보, 이송 장치의 위치 등이 각 베이별로 그래프 및 수치화 되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1일, 1주일, 1개월과 같이 일정 기간 동안 이송 장치의 이동 거리, 시간, 로드셀 정보, 강판 이용량과 같은 누적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현재의 강재의 재고량 및 리스트, 그리고 강재 개별, 블록별, 베이별 이동 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강재 적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강재 적치 방법은 관제 센터(300)로부터 강재 입고 지시가 전달되면 시작될 수 있다. 관제 센터(300)는 제조업체로부터 입고되는 강재의 수량 및 길이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 서버(301)에 저장(S11)한다.
강재 입고 계획이 강재 위치 서버(22)로 전달되면, 강재 위치 서버(22)는 데이터 서버(301)에 저장된 강재 정보와 현재 강재 적치 현황 정보를 시뮬레이션 서버(203)로 전달하여, 시뮬레이션하여(S12) 입고되는 강재의 최적의 배치 위치를 도출하고, 이를 모니터링 서버(201)를 통해 시각화하여 관제 센터(300)에 전달한다.
관제 센터(300)는 시뮬레이션으로 도출된 배치 계획을 확인한 후, 배치 여부를 결정한다. 도출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서 배치가 결정되면, 관제 센터(300)는 강재 입고 지시(S13)를 휴대 단말기(20) 및 이송 장치(100)로 전달한다. 입고 지시는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도출된 강재 배치도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송 장치(100)는 강재 배치도 따라 강재를 지정된 강재 적치장으로 이송(S14)한다. 이때, 강재의 이동 및 크레인의 이동 정보는 실시간으로 강재 위치 서버(22)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실시간으로 강재의 이동 및 크레인의 이동이 저장되므로, 추후 강재의 현황을 별도의 확인 없이 용이하게 알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 서버(203)는 이를 기초로 하여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신호수는 휴대 단말기(20)에 전달된 강재 배치 계획을 참조하고, 이송 장치(100)에 의해서 적치되는 현물 강재를 확인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20)에 전송된 강재 배치 계획서의 강재와 이송된 현물 강재가 다를 경우, 신호수는 휴대 단말기(20)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된 사항은 강재 위치 서버(22)에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이송 장치 200: 서버
201: 모니터링 서버 202: 미들웨어 서버
203: 시뮬레이션 서버 300: 관제 센터

Claims (7)

  1. 강재 적치 위치를 계획하는 서버(200);
    상기 계획에 따라서 상기 강재를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100); 및
    상기 이송 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12);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200)는 게이트 웨이 서버(21), 강재 위치 서버(22), 모바일 서버(23)를 포함하는 미들웨어 서버(202), 모니터링 서버(201) 및 시뮬레이션 서버(203)를 포함하는 강재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2)는 상기 이송 장치의 이동 거리, 상기 강재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및
    상기 강재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을 포함하는 강재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서버(23)로 제어되며, 상기 강재의 입출고 프로그램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20)는 상기 강재에 포함된 바코드 또는 큐알 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를 포함하는 강재 관리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가 입고시, 상기 시뮬레이션 서버(203)는 상기 강재 위치 서버(22)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재의 적치 위치를 시뮬레이션하는 강재 관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100)는 오버 헤드 마그네틱 크레인인 강재 관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201)는 대쉬보드(dashboard) 및 가시화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201)는 상기 강재가 적치되는 적치장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는 강재 관리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100) 및 상기 강재의 이동 정보는 상기 강재 위치 서버(22)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강재 관리 시스템.
KR1020190051327A 2019-05-02 2019-05-02 강재 관리 시스템 KR20200127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27A KR20200127359A (ko) 2019-05-02 2019-05-02 강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27A KR20200127359A (ko) 2019-05-02 2019-05-02 강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59A true KR20200127359A (ko) 2020-11-11

Family

ID=7345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327A KR20200127359A (ko) 2019-05-02 2019-05-02 강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73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i et al. An Internet of Things-enabled BIM platform for modular integrated construction: A case study in Hong Kong
US107136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with a marking robot
CN110598987A (zh) 一种基于无人驾驶的港口调度系统及方法
JP5069936B2 (ja) 資材保管位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6779355A (zh) 一种集装箱码头自动化信息管理系统和方法
US115568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worksite project tracking
CN109896427A (zh) 混凝土施工中缆机运输监测预警方法
KR102269793B1 (ko)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Zekavat et al. Holonic construction management: Unified framework for ICT-supported process control
Mahmud Internet of things (IoT) for manufacturing logistics on SAP ERP applications
KR20200127359A (ko) 강재 관리 시스템
Hammad et al. Integrated mathematical optimisation approach for the tower crane hook routing problem to satisfy material demand requests on-site
WO20211583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management systems through scale ticket data
US113712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terial transport
KR20140070819A (ko) 모니터링 시스템 기반의 조선소 작업장 선체블록 배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978730B2 (ja) スクラップ回収車両の配車計画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8904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haul truck arrival
KR20140036563A (ko) 강재 적치 관리 시스템
EP32703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waste service regulation and hauler compliance data
KR20190117264A (ko) 항만관제 시스템의 가상 터미널
US115079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project tracking
CN219872423U (zh) 一种改扩建工程智能施工管理系统
CN114693037A (zh) 一种智能建造管理系统及其应用方法
WO201716053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job management
KR20090117488A (ko)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선박 건조 강재 적치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