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299A -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299A
KR20200127299A KR1020190051156A KR20190051156A KR20200127299A KR 20200127299 A KR20200127299 A KR 20200127299A KR 1020190051156 A KR1020190051156 A KR 1020190051156A KR 20190051156 A KR20190051156 A KR 20190051156A KR 20200127299 A KR20200127299 A KR 20200127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male
data
styling service
sty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기
Original Assignee
조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기 filed Critical 조문기
Priority to KR102019005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7299A/ko
Publication of KR2020012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에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의 페이지로의 엑세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기 저장된 설문지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응답한 설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과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치수를,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선호 핏(Fit) 및 기 저장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위의 정장 치수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이용하여 셔츠 발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ALE STYLING SERVICE USING SMARTSIZING ALGORITHM}
본 발명은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제로 치수를 재지 않아도 맞춤정장을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현재 국내 패션시장은 세계 경제위기가 불러온 장기적인 경기불황으로 내수 소비시장의 침체는 물론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및 SPA 브랜드들의 확장으로 성장둔화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은 특히, 여성복, 남성복, 캐주얼, 아동복과 같은 복종의 매출 저하를 가져왔으며, 해당 복종에 속한 브랜드들은 빈번한 할인행사나 저가의 기획 상품 출시 등을 통해 매출 부진을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불황기에도 성공 사례를 보이고 있는 남성복은 국내 패션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시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남성 의류편집매장의 확대와 긍정적인 실적 달성뿐만 아니라 남성 맞춤정장매장의 증가는 전반적인 소비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이 구매력을 갖춘 소비층으로서 제조 및 유통업체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으며 이들의 패션감도가 변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지라 할 수 있다.
이때, 정장패턴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서비스가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95961호(2018년08월29일 공개)에는, 스캐너장치를 통해 인체를 촬영하여 측정된 인체 치수에 대한 치수값을 분석하여 변환서버로 전송하고, 변환서버는 스캐너장치의 측정값분석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인체부위별 분석정보와 기 설정된 고객의 선택정보를 변수로 하여 정장패턴을 이루는 각 점을 생성하도록 데이터 정보를 변환한 다음 패턴을 완성시켜 표시하는 구성, 변환서버로부터 완성된 정장패턴을 전송받아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스캐너장치와 같은 설비구축이 필수적이어서 고객이 직접 스캐너장치를 구비한 정장맞춤점으로 찾아가야 하고, 사람이 하는 일을 스캐너로 대체한 것일 뿐 치수를 재야 하는 것은 동일하기 때문에, 오히려 인력을 채용하는 비용이 스캐너장치의 구축비용보다 싼 경우에는 인프라 자체가 구축될 수가 없고, 상술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고객이나 재단사 모두 부담으로 다가올 수 밖에는 없다. 이에, 소비자는 양복점으로 찾아가지 않고도, 재단사는 직접 치수를 재거나 스캐너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맞춤정장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변화하고 있는 남성 소비자의 욕구나 소비가치를 반영한 서비스의 연구 및 개발이 절실한 것이 현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치수를 질의하는 설문지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은 설문지에 대한 응답 및 원하는 스타일에 대한 이미지 선택만으로도 재단사가 맞춤형으로 재단한 것과 같은 핏(Fit)의 정장 셔츠를 고를 수 있고, 플랫폼에서는 기 저장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으로 설문 결과 데이터의 신체 치수를 정장 치수로 변환하고, 변환된 정장 치수를 기준으로 상품을 리스트업하여 고객에게 전달함으로써, 고객은 치수를 재는 불편함 없이도 맞춤정장을 입을 수 있고, 플랫폼 상에서는 별도의 장비를 구비함이 없이도 정확한 치수를 얻어낼 수 있어 맞춤형과 같은 정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정장을 판매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이를 관리하는 서비스까지 제공함으로써 직장인들이 업무에 집중하고 주말에는 편히 쉴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사용자 단말에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의 페이지로의 엑세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기 저장된 설문지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응답한 설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과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치수를,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선호 핏(Fit) 및 기 저장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위의 정장 치수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이용하여 셔츠 발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의 페이지로 엑세스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기 저장된 설문지를 수신하는 기능, 기 저장된 설문지에 설문 결과 데이터를 입력하여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치수가, 기 저장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 및 사용자 선호 핏(Fit)으로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기준으로 필터링 및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를 수신하는 기능, 및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신체 치수를 질의하는 설문지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은 설문지에 대한 응답 및 원하는 스타일에 대한 이미지 선택만으로도 재단사가 맞춤형으로 재단한 것과 같은 핏(Fit)의 정장 셔츠를 고를 수 있고, 플랫폼에서는 기 저장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으로 설문 결과 데이터의 신체 치수를 정장 치수로 변환하고, 변환된 정장 치수를 기준으로 상품을 리스트업하여 고객에게 전달함으로써, 고객은 치수를 재는 불편함 없이도 맞춤정장을 입을 수 있고, 플랫폼 상에서는 별도의 장비를 구비함이 없이도 정확한 치수를 얻어낼 수 있어 맞춤형과 같은 정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정장을 판매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이를 관리하는 서비스까지 제공함으로써 직장인들이 업무에 집중하고 주말에는 편히 쉴 수 있도록 하여 고객의 감성품질까지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장을 구매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접속하여 설문지를 수신하고, 설문지에 응답을 한 설문 결과 데이터를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정장은 셔츠, 바지, 자켓, 코트 등 다양할 수 있고, 남성의 정장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라고 기재되어 있지만, 여성의 정장이나 스타일링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셔츠 관리 서비스, 넥타이나 양말을 정기구독하는 서비스를 신청하는 단말일 수 있고, 이에 따른 결제를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된 서버(미도시)의 사이트에서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엑세스하는 경우, 기 저장된 설문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설문 결과 데이터로 수신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설문 결과 데이터 중 신체 치수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 저장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과 핏(Fit)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체 치수 데이터를 정장 치수 데이터로 변환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정장 치수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적어도 하나의 셔츠를 추출하여 리스트업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셔츠를 선택 및 결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발주를 전송하거나, 자체발송하는 경우에는 발주서를 출력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셔츠 관리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위치 기준으로 선정하여 선정된 가맹점 단말(400)로 사용자의 주소지, 셔츠의 개수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물론,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체적으로 셔츠 관리를 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기별로 셔츠를 수거 및 배송하도록 하는 주문서를 출력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그리고,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넥타이 구독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신청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또는 랜덤으로 선택된 넥타이를 주소지로 발송하기 위한 발주서를 출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양말 구독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신청된 경우, 랜덤으로 선택된 양말을 사용자가 선택한 주기 및 수량에 맞게 발송처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세탁, 수거, 배송 등을 처리하는 발주서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셔츠를 판매하는 판매점의 단말일 수도 있고, 세탁물을 수거하고 다림질 서비스를 제공하며 배송까지 해주는 세탁소의 단말일 수도 있고, 양말이나 넥타이를 배송하고, 넥타이를 수거하는 지점의 단말일 수도 있다. 물론,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 자체적으로 상술한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과 통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송부(310), 저장부(320), 변환부(330), 필터링부(340), 발주부(350), 정기관리부(360), 넥타이 구독 관리부(370), 양말 구독 관리부(380), 빅데이터화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하에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구성을 도 3c 내지 도 3i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송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페이지로의 엑세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기 저장된 설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설문지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형, 키, 몸무게, 셔츠 사이즈, 바지 허리 사이즈, 선호 핏, 팔 길이, 목 둘레, 및 어깨 너비에 대한 질문 및 선택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3c의 설문지가 모두 선택되고 나면, 전송부(310)는, 도 3d의 디테일 설문지를 전송하고, 수량, 셔츠의 종류, 원단, 카라 디자인, 커프스 디자인, 봉제선 디자인, 포켓 유무, 이니셜 유무 등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기 저장된 설문지의 선택지는, 텍스트 및 이미지의 선택지를 포함하고, 저장부(310)는, 선택지가 이미지인 경우, 이미지에 태그(Tag)가 기 매핑되어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이미지인 선택지를 선택하는 경우, 이미지의 태그가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는 스타일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이미지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구축이 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이하의 빅데이터화부(390)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저장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응답한 설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변환부(330)는,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치수를,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선호 핏(Fit) 및 기 저장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위의 정장 치수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은, 키별로 체형, 셔츠 사이즈, 바지 허리 사이즈, 선호 핏, 팔 길이, 목 둘레, 및 어깨 너비에 대응되도록 조정된 목둘레, 어깨너비, 소매길이, 상동, 중동 및 기장이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e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키 176-180을 선택하고, 기성복 셔츠 사이즈를 90을 선택했고, 핏(Fit)은 일반핏을 선택하고, 팔이 짧은 편을 선택하고, 목이 두꺼운 편인 것을 선택하고, 어깨가 좁은 것을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목둘레, 어깨 너비, 소매(팔길이), 상동, 중동 및 기장을 도 3e와 같이 사이즈 조정되거나 출력되도록 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정리하면,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은, 일반핏이나 슬림핏을 기준으로 각 셔츠 사이즈별로 목둘레, 어깨, 소매(팔길이), 상동, 중동, 기장 등의 기준 사이즈를 저장해두고, 어깨가 넓은 편인 경우 1/2인치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어깨가 좁은 편인 경우 1/2인치를 감소시키고, 목이 두꺼운 편인 경우 1/4인치 증가, 반대인 경우 1/4인치 감소, 팔길이도 신장에 따라 짧은 편인 경우와 긴 편인 경우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고, 체형별로 슬릿핏 또는 일반핏에 맞게 각 부위별 사이즈를 증감시키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또한, 변환부(330)는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이용하여 셔츠 발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서 외주제작하는 방법 등으로 제작을 시작할 수 있고, 제작된 셔츠가 사용자의 주소지로 배송될 수 있다. 이때, 맞춤제작하는 객체를 셔츠로 기술하였지만, 바지, 코트, 자켓 등도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필터링부(340)는,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기준으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를 필터링하여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맞춤제작을 디폴트로 하지만, 만약 동일한 사이즈나 치수 및 선택 사항들을 가지는 셔츠가 이미 제작되어 있다면, 이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터링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정장셔츠에 대한 셔츠 이미지, 사이즈, 원단, 각 부위 치수, 색상, 소매, 카라 디자인, 커프스 디자인 등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 상술한 정장 치수를 입력값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 그 결과를 리스트업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필터링부(340)는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기준으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를 필터링하여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때,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를 필터링하여 추출할 때,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로 제 1 차 필터링을 실시하고, 이미지의 태그로 제 2 차 필터링을 실시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장 셔츠도 스타일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존재할 수 있고, 셔츠 이외에도 바지, 치마, 블라우스, 코트, 자켓 등 다양한 종류 및 디자인의 의복에서 사용자가 맞춤정장을 선택할 때에는, 각 개인이 선호하는 스타일을 일컫는 단어와, 연상되는 이미지가 각각 달라서 예를 들어, "모던한 스타일의 셔츠"를 선택한 경우라도, 디자이너나 재단사가 생각하는 "모던함"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각 개인이 어느 단어로 떠올리는 이미지의 다름으로 인하여 결과물이 고객의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단어가 아닌 이미지로 선호하는 스타일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재단하거나 디자인하는 재단사나 디자이너의 결과물이, 고객이 생각하는 결과물과 최대한 일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발주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주소지로 배송발주를 출력할 수 있다.
정기관리부(360)는, 변환부(330)에서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이용하여 셔츠 발주 데이터를 출력한 후, 도 3f 및 도 3g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배송발주된 정장셔츠의 세탁 및 다림질을 포함하는 정기관리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주기로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지로 정장셔츠를 수거하도록 수거요청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자체적으로 수거, 세탁, 다림질 및 배송을 할 수도 있지만, 자체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고, 가맹점 단말(400)이 위치별로 등록된 경우에는, 정기관리부(360)는, 가맹점 단말(400)로 수거요청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수거 요청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넥타이 구독관리부(370)는, 저장부(32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응답한 설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되도록 저장한 후, 도 3f 및 도 3h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넥타이 정기구독 서비스를 신청 및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지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디자인의 넥타이 또는 랜덤으로 추출된 넥타이를 발주요청하고, 기 설정된 구독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지로 넥타이를 수거하도록 수거요청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거가 자체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가맹점 단말(400)이 수거업체의 단말인 경우, 넥타이 구독관리부(370)는, 가맹점 단말(400)로 수거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양말 구독관리부(380)는, 저장부(32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응답한 설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되도록 저장한 후, 도 3f 및 도 3i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양말 정기구독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지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수량의 양말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배송 주기마다 발주요청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빅데이터화부(390)는, 전송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페이지로의 엑세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기 저장된 설문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스타일 태그와 적어도 하나의 스타일 태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수집하고, 스타일 태그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빅데이터가 구축되어 이미지가 분류되고 각 이미지에 태그가 부착되어 계층구조를 이루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경우, 이를 학습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사하거나 비슷한 이미지를 하나의 군집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Content-based Image Retrieval, CBIR)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남성 정장셔츠의 대표 이미지가 A 하나만 존재한다면, 사용자는 이를 선택할지 말지 등을 많이 고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표 이미지인 A를 남성 정장셔츠의 질의(Query) 이미지로 설정하고,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물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 이미지를 빅데이터나 외부 웹 등을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이미지를 A 라는 대표 이미지와 함께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대표 이미지를 2 개 이상으로 늘릴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계속하다보면 풍부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도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이때,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에서 질의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를 찾을 때 두 이미지의 비교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SIFT나 SURF를 이용하여 특징점(Keypoint) 기술자를 이용한 이미지 비교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점 기술자는 이미지의 크기변화 및 회전변화에도 불변한(invariant)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서도 유사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고, 기존의 방법(색상, 질감 등을 사용한 방법)에 비해 높은 정확도의 검색 결과를 보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징점 기술자를 사용한 이미지 검색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BOVW(Bag-of-visual-words) 모델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BOVW 모델에서는 이미지의 각 특징점 기술자가 미리 생성된 코드북(비주얼 워드 사전)의 한 단어로 매핑된다. 그 결과, 각 이미지는 그 이미지에 포함된 비주얼 워드의 빈도수로 구성된 한 개의 비주얼 워드 벡터로 표현된다. 두 이미지의 유사도는 각 이미지의 비주얼 워드 벡터의 유사도(코사인 유사도 등)를 통해 빠른 시간에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정보검색(Information Retrieval) 분야에서 사용하는 역인덱스(inverted index)를 활용함으로써, 질의 이미지와 동일한 비주얼 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만을 빠르게 가져올 수 있고, 그 결과 전체 이미지 중 일부 만을 질의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 속도가 빠르게 된다.
덧붙여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추상적인 형용사나 감성 단어나 이미지 주관적인 정보 등을 이용하여 매핑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감성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사람의 주관적인 정보가 조사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설문 문항에서 사용자에게 제시할 감정 레이블링의 기준 또한 애매하다. 이러한 여러 가지의 이유로 감성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IAPS(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감성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GAPED(Geneva Affective PicturE Database)이나, NAPS(The Nencki Affective Picture System)을 이용하여 각 디자인에서 얻어질 수 있는 감성의 종류를 분류하고, 이를 각 이미지에 태깅하여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사람이 감성 단어에 의해 정장 디자인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감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는데, 카테고리 기반 모델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감성정보를 획득하고, 이미 구축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더불어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까지 포함하는 경우, 감성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훈련 및 학습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연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관되는 상품을 더 게재 및 판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품과 연관되는 상품을 함께 팔 수 있도록 연관규칙 알고리즘으로 연관 상품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관규칙 알고리즘이란 데이터마이닝 분석기법 중 하나로, 예를 들어 A 라는 상품을 산 고객은 B 라는 상품을 살 확률이 높다는 연관성을 밝혀주는 알고리즘이다. 즉, A라는 상품과 B 라는 상품의 상호연관규칙을 찾는 것이다. 이때, 연관분석은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등의 평가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각 항목들의 연관성을 찾아내는데 이용될 수 있는데,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 외에도 다양한 평가측도가 개발되어 있다. 연관규칙평가의 지지도(Support)는 전체 고객 중 A,B,C를 함께 구매한 비율을 의미하고, IF A & B THEN C = P(A∩B∩C)로 정의된다. 신뢰도(Confidence)는, A, B를 구매한 고객 중 C 를 구매한 고객의 비율을 의미하고, IF A & B THEN C = P(A∩B∩C)/P(A∩B)로 정의된다. 향상도(Lift)는 A,B를 구매한 고객 중에서 C를 구매한 고객의 비율을 전체 고객 중에서 C를 구매한 고객의 비율로 나눈 값으로, IF A & B THEN C = P(C|A∩B)/P(C)로 정의된다. 이를 이용하여,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A라는 물품을 구매한 고객이 B라는 상품을 구매할 확률을 연관규칙의 신뢰도를 통하여 추정할 수 있고, 신뢰도 등의 지표가 기 설정된 퍼센트를 초과하는 물품을 리스트업하여 제공함으로써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로그 데이터와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훈련용 데이터와 평가용 데이터를 분리하고, 훈련용 데이터를 통하여 연관규칙을 생성하고 구매연관규칙 및 비구매 연관규칙으로 나누어 학습을 진행하고, 평가용 데이터를 통하여 구매확률을 예측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함께 구매할 수 있는 물품을 고르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a 및 도 3b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엑세스 이벤트가 발생하고 셔츠 주문 이벤트가 입력되면, 설문지를 전송하여 (b) 설문지에 대한 답변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c) 부가적으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원하는 스타일에 대한 이미지를 전송하거나 디테일에 대한 설문을 전송함으로써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또한, (d)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설문 응답 데이터와 스타일 선택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존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필터링하여 셔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기존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문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맞춤제작을 하도록 발주를 하게 된다. 그리고, (e) 맞춤정장을 판매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스타일링 및 정장 관리에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리를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고객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트에 친숙하도록 유도하고, 지속적인 접속으로 구매기회를 늘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도 3b와 같이, 상술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a) 사용자 단말(100)에서 셔츠 정기관리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b) 플랫폼 자체적으로 셔츠를 수거, 세탁, 다림질 및 배송 서비스를 진행하도록 하고, 거점을 기준으로 가맹점이 존재하는 경우, 가맹점 단말(400)로 의뢰 데이터를 전송하여 수거, 세탁, 다림질 및 배송 서비스가 주기적으로 제공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c) 넥타이 구독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생하는 경우,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또는 랜덤으로 선택된 넥타이를 1주일 동안 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발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수거할 수 있도록 수거 요청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1주일은 실시예에 불과하고 그 기간은 서비스 요금에 비례하여 증감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양말 정기구독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신청한 경우,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체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발주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거점에 위치한 가맹점 단말(400)로 발주 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또는 랜덤으로 선택된 양말이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페이지에 접속하여 셔츠를 주문하고자 하는 경우(S4100), 설문지를 전송하고(S4200), 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여(S4210), 설문 결과 데이터로부터 신체치수 및 선택된 핏의 종류를 추출한다(S4300). 그리고,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신체치수 및 핏을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에 입력시켜 정장 치수를 출력하도록 하고(S4400), 이를 바로 맞춤제작하도록 하거나, 기 등록된 제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장 치수로 기존 제품을 필터링하여(S4500), 리스트업 된 셔츠 리스트를(S4600),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S4700), 선택 및 결제하도록 할 수 있다(S4710). 그리고,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맞춤제작 또는 기존 제품 배송에 대한 발주를 출력하여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한다(S4720).
또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셔츠 관리 서비스가 신청된 경우(S4800), 가맹점을 검색하여 수거, 세탁, 다림질 및 배송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발주 데이터를 출력하고(S4820), 넥타이 정기구독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신청된 경우(S4900), 넥타이가 배송 및 수거될 수 있도록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하거나(S4910~S4930), 자체적으로 처리되는 경우에는 넥타이 배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기 설정된 기간이 도과한 경우 수거 데이터를 출력한다. 덧붙여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양말 정기구독 신청이 수신되는 경우(S4960), 가맹점 단말(400)을 통하여 배송될 수 있도록 하거나, 자체적으로 배송처리를 위한 발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4970).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의 페이지로의 엑세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기 저장된 설문지를 전송한다(S5100).
그리고,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응답한 설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과 매핑되도록 저장하고(S5200),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치수를,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선호 핏(Fit) 및 기 저장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위의 정장 치수로 변환한다(S5300).
또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이용하여 셔츠 발주 데이터를 출력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의 페이지로의 엑세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기 저장된 설문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응답한 설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치수를, 상기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선호 핏(Fit) 및 기 저장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위의 정장 치수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이용하여 셔츠 발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치수를, 상기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선호 핏(Fit) 및 기 저장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위의 정장 치수로 변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기준으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를 필터링하여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주소지로 배송발주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설문지는, 체형, 키, 몸무게, 셔츠 사이즈, 바지 허리 사이즈, 선호 핏, 팔 길이, 목 둘레, 및 어깨 너비에 대한 질문 및 선택지가 포함되고,
    상기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은, 상기 키별로 상기 체형, 셔츠 사이즈, 바지 허리 사이즈, 선호 핏, 팔 길이, 목 둘레, 및 어깨 너비에 대응되도록 조정된 목둘레, 어깨너비, 소매길이, 상동, 중동 및 기장이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인 것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이용하여 셔츠 발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배송발주된 정장셔츠의 세탁 및 다림질을 포함하는 정기관리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지로 상기 정장셔츠를 수거하도록 수거요청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응답한 설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넥타이 정기구독 서비스를 신청 및 결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디자인의 넥타이 또는 랜덤으로 추출된 넥타이를 발주요청하는 단계;
    기 설정된 구독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지로 상기 넥타이를 수거하도록 수거요청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응답한 설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양말 정기구독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수량의 양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배송 주기마다 발주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설문지의 선택지는, 텍스트 및 이미지의 선택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지가 이미지인 경우, 상기 이미지에 태그(Tag)가 기 매핑되어 저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미지인 상기 선택지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핑되도록 저장되는 것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기준으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를 필터링하여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를 필터링하여 추출할 때, 상기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로 제 1 차 필터링을 실시하고, 상기 이미지의 태그로 제 2 차 필터링을 실시하여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의 페이지로의 엑세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기 저장된 설문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스타일 태그와 적어도 하나의 스타일 태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스타일 태그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마이닝은,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10. 디바이스에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의 페이지로 엑세스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기 저장된 설문지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기 저장된 설문지에 설문 결과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설문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치수가, 기 저장된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 및 사용자 선호 핏(Fit)으로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의 정장 치수를 기준으로 필터링 및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정장셔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KR1020190051156A 2019-05-01 2019-05-01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27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56A KR20200127299A (ko) 2019-05-01 2019-05-01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56A KR20200127299A (ko) 2019-05-01 2019-05-01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299A true KR20200127299A (ko) 2020-11-11

Family

ID=7345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156A KR20200127299A (ko) 2019-05-01 2019-05-01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72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143B1 (ko) * 2020-11-17 2021-06-23 주식회사 예스나우 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신체 치수를 예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57760A (ko) 2021-10-22 2023-05-02 이성민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560863B1 (ko) * 2022-09-27 2023-07-31 박상진 사용자 맞춤형 패션양말 구독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143B1 (ko) * 2020-11-17 2021-06-23 주식회사 예스나우 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신체 치수를 예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2108026A1 (ko) * 2020-11-17 2022-05-27 주식회사 예스나우 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신체 치수를 예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57760A (ko) 2021-10-22 2023-05-02 이성민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560863B1 (ko) * 2022-09-27 2023-07-31 박상진 사용자 맞춤형 패션양말 구독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191B1 (ko)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138831A1 (en) Method of Providing Fashion Item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User's Body Type and Purchase History
Deldjoo et al. A review of modern fashion recommender systems
US2021039060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tyle recommendation
JP6212013B2 (ja) 商品推奨装置及び商品推奨方法
KR20200127299A (ko) 스마트사이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남성 스타일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37489B1 (ko) 이미지 기반 광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3377193A (zh) 信息提供方法、网页服务器以及网页浏览器
KR20150138310A (ko) 디지털 영수증 경제
CN105245561A (zh) 家饰布置提议方法与系统
KR20210131198A (ko) 추천 상품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41251A (ko) 사용자 맞춤형 패션 아이템 광고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220151574A (ko) 인공지능 기반 웹사이트 크롤링을 이용한 상품 판매 콘텐츠 게시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JPWO202009005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又は方法
KR20220039697A (ko) 코디네이션 패션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
KR20220019737A (ko) 패션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345119B1 (ko)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생성, 진단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
US11170428B2 (en) Method for generating priority data for products
TWI753267B (zh) 消費推薦資訊與採購決策的優化系統及其實施方法
KR102378072B1 (ko) 코디네이션 패션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
KR20200084647A (ko) 사용자에게 날짜를 이용하여 패션 아이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521752B1 (ko) 가맹점으로 회원 고객의 고객관리정보를 제공하는고객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0683B1 (ko)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71090B1 (ko) 사용자에게 캘린더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션 아이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230289862A1 (en) Method for providing fashion item recommendation service to user by using swipe ges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