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293A -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 Google Patents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293A
KR20200127293A KR1020190051122A KR20190051122A KR20200127293A KR 20200127293 A KR20200127293 A KR 20200127293A KR 1020190051122 A KR1020190051122 A KR 1020190051122A KR 20190051122 A KR20190051122 A KR 20190051122A KR 20200127293 A KR20200127293 A KR 20200127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
stepping motor
distan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841B1 (ko
Inventor
송진건
Original Assignee
송진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건 filed Critical 송진건
Priority to KR1020190051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841B1/ko
Priority to PCT/KR2020/000625 priority patent/WO2020222398A1/ko
Publication of KR2020012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를 주차하면서 옆차의 문을 긁거나 찍는 일(이하 문콕이라 함) 등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탄성과 복원력, 기계적 강도, 투명성이 뛰어난 도어쿠션 등을 부착하거나 운전자가 조심하는 방법 외에는 별다른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탈피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차량에 보유되어 있는 전원을 동력원으로 하여 자동차의 각 문에 설치된 거리센서로 옆자동차 또는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감지신호를 자동차문 내에 설치된 컨트롤 박스로 보내고, 컨트롤 박스에서는 입력받은 자료로 내부 연산작용을 통하여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소정의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자동차문 내부에 장착된 스테핑 모터 세트로 전달되어 해당 스테핑 모터의 작동으로 그 모터의 축에 결합된 아암이 차체에 부착된 로드의 홈과 연결함으로써 옆에 있는 자동차나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자동차문이 차체의 힌지를 중심으로 문콕이 발생하지 않을 만큼의 옆차나 장애물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최대 각도로 열리고 멈추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옆의 자동차 또는 장애물과 거리가 고려되어 자동차의 문이 개방되기 때문에 아무리 조심해도 주차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콕 사고를 원천적으로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Car-Door With Door Ding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좁은 주차 공간에서 자동차의 문을 열면서 운전석 쪽이나 조수석쪽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콕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문에 설치된 거리센서, 컨트롤 박스, 스테핑 모터 세트, 스테핑 모터의 축에 결합된 아암 그리고 차체에 부착된 로드의 홈을 이용하여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자동차문이 열리는 각도를 다르게 조절해주는 시스템을 장착함으로서 좁은 주차공간에서 아무리 강한 힘으로 자동차문을 열더라도 옆의 자동차 또는 장애물과 부딪치는 일이 절대 생기지 않는 문콕 방지를 위한 자동차문에 관한 내용이다.
승용차문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기술은 차량에 보유되어있는 전원을 동력원으로 하는 모터가 감속기를 통하여 피니언을 구동하고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어 있는 랙의 일단을 차체에 힌지 고정함으로써 문짝의 자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승용차문 자동 개폐장체에 있어서, 차량이 경사로에 주차나 정차를 했을 때 열려진 문짝이 무게에 의하여 저절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장치와; 모터동력에 의하여 문짝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충격완화장치와; 침수 및 결빙방지를 위하여 방수수단을 구비하고 감속기내 치차축의 지지구조를 개량한 승용차문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는 자동차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각도센서와; 주행중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이들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연산작용에 의해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컨트롤 유니트와; 컨트롤 유니트로 부터 입력된 신호값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여 압력변화에 따른 피스톤의 직선이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와 연결된 자동차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사로에서 자동차문 개방시 항상 일정속도와 일정각도로 열리게 되고, 주행 중에도 부주의로 인해 자동차문이 개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 및 차량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외에도 문콕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운전자를 위한 자동차 제조회사들의 노력도 돋보이는데, 최근 국내에 출시한 시트로엥 C4 칵투스는 차량 겉면에 문콕을 방지하는 '에어범프' 를 장착하여 도어 측면과 앞 뒤 범퍼 모서리, 트렁크 테일게이트 하단 부위에 적용되어 있는데, 이 부분들이 문콕 사고에 취약한 부분이다. 또, 독일 포드 연구소에서 개발한 포커스 차량을 위한 도어 엣지 프로텍터는 문이 열릴 때 고무 재질의 보호 패드가 자동으로 돌출하여 문 모서리 쪽을 커버하며 사고를 방지하고 자동차에 내장된 기능으로 보호가 가능하다.
(공개특허 0001) 특2003-0006331(2003.03.23.) (공개특허 0002) 특2003-0022626(2003.03.17.)
아무리 조심하여 차를 운행해도 주차하는 과정에서 승차 또는 하차를 하면서 자동차문에 의해 발생되는 긁히거나 찍히는 상황을 피할 수 없다. 자동차문을 열다가 옆 차를 콕 찍는 흠집이나 스크래치 등으로 피해가 발생하는데 주차공간이 좁기 때문에 작은 충격으로도 큰 패임과 스크래치로 마음이 찢어지는 상처를 줄 수 있다. 차량의 사이드 부분이나 동승객을 자주 태우지 않는 차량은 조수석의 흠집을 식별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교통사고처럼 인명이 위협받는 사고는 아니지만, 자동차의 외관 컨디션은 운전자의 감수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기 때문에 개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주차에 관한 사회적 인프라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형 주차장의 경우 현재 소형차 기준 2,300mm*5,000mm으로 주차구획이 설정돼 있지만 최근 늘어난 중형차량의 폭 1,900mm를 기준으로 열림 폭 600mm, 30도가량의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 2,500mm*5,000mm의 공간으로 2019년 3월부터 넓은 주차공간을 위한 문콕 방지법이 시행되고 있다. 아무리 주차 공간의 인프라 문제를 해결한다 할지라도, 결국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은 물론 타인의 차량도 사고로부터 보호할 의무가 있다.
그 외에도 문콕으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줄이기 위하여 궁여지책으로 탄성과 복원력, 기계적강도, 투명성 뛰어난 도어쿠션 등 다양한 보조제품을 부착하거나 운전자가 조심하는 방법 외에는 별다른 해결책을 찾지 못하면서 수동적이고 방어적으로만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현실에서 문콕에 관한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에 대한 해결수단으로 제시하는 본 발명은 문콕으로 인한 사고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보유되어있는 전원을 동력원으로 하여, 차량 밖의 손잡이의 레버 위나 그 부근에 거리센서를 설치하여 옆차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감지신호를 자동차문 내부에 설치된 컨트롤 박스로 보내면, 컨트롤 박스에서는 입력받은 자료를 내부 연산작용을 통하여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소정의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자동차문에 장착된 스테핑 모터 세트로 전달하여 해당 스테핑 모터가 작동하면 그 모터 축에 결합된 아암이 차체에 부착된 로드의 홈과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문이 열릴 때, 자동적으로 차체의 힌지를 중심으로 옆차나 장애물과 부딪치지 않을 거리를 유지하며 최대의 각도로 열리면서 멈추게 되어 문콕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로 부터의 거리를 감안하여 부딪치지 않으면서 자동차문이 차체의 힌지로부터 자동적으로 최대 거리와 각도 까지만 열리고 멈춤으로써 문콕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와;
해마다 가파르게 늘어나는 문콕으로 인한 사고로 보험청구 까지 이어지는 공식적인 건수 뿐 만 아니라 경미한 경우로 인한 엄청난 인적, 경제적 손실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와;
주차장에서 자동차문을 열 때마다 옆 차를 의식하여 항상 조심하며 열어야 한다는 심리적 강박감에서 벗어나 편안한 마음으로 승차 또는 하차를 할 수 있는 심리적 효과와;
문콕 발생을 대비하여 문콕방지 스펀지, 문콕도어가드, 문콕방지 차량프로텍터 등,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문콕방지 보조제품 제작에 들어가는 비용과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와;
문콕방지법인 주차장 개정안법이 현재 시행 중이지만 결국은 주차하는 운전자와 타고 내리는 탑승자들에게 달려 있는 문콕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하는 근본 대책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문의 개폐 작동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문의 개폐 상세한 작동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된 스테핑 모터와 아암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핑 모터 세트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핑 모터에 결합된 아암의 정회전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핑 모터에 결합된 아암의 역회전 과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로드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3번 스테핑모터의 3번 아암과 로드의 3번 홈이 연결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최대 30도 까지만 열리는 자동차문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최대 50도 까지만 열리는 자동차문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최대 70도 까지만 열리는 자동차문의 단면도
전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 생략 또는 간략 설명토록 하고 또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서는 하나의 부호로 통일 기재하고 설명하며, 하기 설명에 있어 구성과 작용은 첨부된 (도1)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문(1)에 관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문(1)의 자동 제어장치는 옆에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2)의 저항을 가변시킨 감지신호를 자동차문 내에 설치된 컨트롤 박스(3)로 송출하면, 컨트롤 박스(3)는 거리센서(2)로 부터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 받아 내부 연산작용에 의해 상기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몇번째 스테핑 모터를 작동할지의 명령인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스테핑 모터 세트(7)로 보낸다.
이 때의 스테핑 모터 세트(7)는 서로 독립적인 스테핑 모터(8) 5개를 수직으로 쌓아 배열하여 하나로 묶은 것으로서 각각의 스테핑 모터(8) 축에 결합된 아암(9)이 차체의 로드(12)에 있는 홈과 독립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자동차문 내부의 컨트롤 박스(3) 근처에 고정한다.
한편, 거리센서(2)와 컨트롤 박스(3)를 거쳐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받은 자동차문(1)에 장착되어 있는 스테핑 모터 세트(7)는 측정거리에 해당되는 스테핑 모터(8)를 작동시켜 그 모터의 축에 결합된 아암(9)을 45도 정회전(도6)하여 차체에 부착된 로드(12)에 있는 홈(12-a ~ 12-e)과 연결됨으로써 자동차문(1)은 차체의 힌지로 부터 정해진 최대 거리와 각도 까지만 열리고 멈춘다. 즉, 옆에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나 장애물로 부터는 항상 50mm~150mm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자동차문이 최대로 열리고 멈추기 때문에 절대 문콕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자동차문(1)에 장착되어 있는 안쪽 손잡이(5)나 바깥쪽 손잡이(6)의 작동으로 전원이 켜지면서 시작되고 열린 자동차문이 닫히면서 종료된다. 이 발명은 여닫이 자동차문이 장착된 모든 차량에 적용할 수 있고, 자동차문의 수량에 관계없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자동차문에 상관없이 각각의 자동차문에 독립적으로 장착, 조정 및 작동이 가능하다.
거리센서(2)의 설치 위치는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까지의 거리 측정이 용이한 자동차문(1)의 손잡이 레버 위나 레버의 전방 부근이 적절하다. 차안의 승차자가 하차하기 위하여 차안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문을 열 때는 바깥에서 거리측정이 이루어지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승차자가 밖에서 승차할 때에도 승차자가 항상 손잡이 레버의 뒤쪽에서 손잡이를 작동시키고 승차하기 때문에 거리센서(2)의 렌즈를 가려 거리측정을 방해하는 상황은 발생되지 않는다.
승차자의 승차 또는 하차 후에 열렸던 자동차문(1)이 닫히면 컨트롤 박스(3)에서는 종료를 위한 스테핑 모터의 역회전을 명령하는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스테핑 모터 세트(7)로 보내면 해당 스테핑 모터(8)가 작동하여 그 축에 결합된 아암(9)을 45도 역회전(도7)하여 로드(12)의 홈과 연결되어 있던 아암(9)이 분리 되면서 원래의 처음 상태로 되어 다음 신호에 대비한다.
여닫이 자동차문을 장착한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와 자동차문의 규격을 고려하여 차간 거리에 따라 문이 열리는 거리와 각도는 자동차의 특성을 감안하여 상황에 맞게 거리센서(2)로 부터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 받아 자동차문에 고정되어있는 컨트롤 박스(3) 내부의 연산작용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의 적절한 조정과 소요되는 스테핑 모터(8)의 개수, 그리고 로드(12) 홈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면 원하는 거리와 각도로 자동차문이 차체(14)의 힌지(15)를 중심으로 문콕이 일어나지 않을 적당한 거리(50mm~150mm)를 유지하면서 최대로 열리고 멈추게 할 수 있다.
위의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H사의 중형 모델의 운전석 자동차문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로 부터의 거리가 650mm미만일 경우에는 자동차문이 차체(14)의 힌지(15)를 중심으로 최대 각도로 열리더라도 승차나 하차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문콕의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거리센서(2)의 감지신호가 컨트롤 박스(3)를 거쳐 경고장치 작동을 명령하는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보내어 차안에서 손잡이를 작동하면 바로 경고음과 경고등이 작동하여 자동차문을 열리지 않게 한다. 불가피하게 문을 열어야 할 경우에는 자동차문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 전원 장치(16)를 끄면 본 발명의 모든 시스템 작동이 멈추므로 원하는 만큼의 문을 개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거리센서(2)에서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로 부터의 거리가 650mm이상~750mm미만으로 측정되면, 그 감지신호는 컨트롤 박스(3)를 거쳐 1번 스테핑 모터(8-a)만 작동하라는 명령의 전기적인 제어신호에 따라 1번 스테핑 모터(8-a)를 작동하면 그 축에 결합되어 있는 아암(9-a)을 45도 정회전(도6) 시켜 차체에 부착된 로드(12)의 1번 홈(12-a)과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문이 열린다. 이 때, 자동차문은 차체의 힌지로부터 최대 거리 600mm와 최대 각도 30도(도10) 까지만 열리기 때문에 옆 차와는 50mm~150mm의 거리를 유지하며 멈춰 문콕이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그렇게 자동차문(1)이 열린 후 다시 닫히면 컨트롤 박스(3)에서는 종료를 위한 1번 스테핑 모터(8-a)의 역회전(도7)을 명령하는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보내어 1번 스테핑 모터(8-a)에 결합되어 있던 1번 아암(9-a)을 45도 역회전(도7)시켜 차체에 부착된 로드의 1번 홈(12-a)에서 분리하여 초기 상태인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다음 신호에 대비하게 된다.
거리센서(2)에서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로 부터의 거리가 750mm이상~850mm미만으로 측정되면, 그 감지신호는 컨트롤 박스(3)를 거쳐 2번 스테핑 모터(8-b)만 작동하라는 명령의 전기적인 제어신호에 따라 2번 스테핑 모터(8-b)를 작동하여 그 축에 결합되어 있는 아암(9-b)을 45도 정회전(도6) 시켜 차체에 부착된 로드의 2번홈(12-b)과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문이 열린다. 이 때, 자동차문은 차체의 힌지(15)로 부터 최대 거리 700mm와 최대 각도 40도 까지만 열리기 때문에 옆 차와는 50mm~150mm의 거리를 유지하며 멈춰 문콕이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거리센서(2)에서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로 부터의 거리가 850mm이상~950mm미만으로 측정되면, 그 감지신호는 컨트롤 박스(3)를 거쳐 3번 스테핑 모터(8-c)만 작동을 명령하는 전기적인 제어신호에 따라 3번 스테핑 모터(8-c)를 작동하여 그 축에 결합되어 있는 아암(9-c)을 45도 정회전(도6) 시켜 차체에 부착된 로드의 3번홈(12-c)과 연결(도9)된 상태에서 자동차문이 열린다. 이 때, 자동차문은 차체의 힌지로부터 최대 거리 800mm와 최대 각도 50도(도11)까지만 열리기 때문에 옆 차와는 50mm~150mm의 거리를 유지하며 멈춰 문콕이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거리센서(2)에서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로 부터의 거리가 950mm이상~1,050mm미만으로 측정되면, 그 감지신호를 컨트롤 박스(3)로 보내고, 컨트롤 박스에서는 입력받은 자료를 내부 연산작용을 통하여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4번 스테핑 모터(8-d)만 작동하라는 명령의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자동차문에 고정된 스테핑 모터세트(7)에 보내어 4번 스테핑 모터(8-d)만 작동하면 그 모터 축에 결합되어 있는 아암(9-d)은 45도 정회전(도6)하여 차체에 부착되어 있는 로드의 4번 홈(12-d)과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문이 열린다. 이 때, 자동차문은 차체의 힌지로부터 최대 거리 900mm와 최대 각도 60도 까지만 열리기 때문에 옆 차와는 50mm~150mm의 거리를 유지하며 멈춰 문콕이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거리센서(2)에서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로 부터의 거리가 1,050mm이상~1,150mm미만으로 측정되면, 그 감지신호를 컨트롤 박스(3)로 보내고, 컨트롤 박스(3)에서는 입력받은 자료를 내부 연산작용을 통하여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5번 스테핑 모터(8-e)만 작동하라는 명령의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자동차문에 고정된 스테핑 모터 세트(7)에 보내어 5번 스테핑 모터(8-e)만 작동하면 그 모터 축에 결합되어 있는 아암(9-e)은 45도 정회전(도6)하여 차체에 부착되어 있는 로드의 5번홈(12-e)과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문이 열린다. 이 때, 자동차문은 차체의 힌지로부터 최대 거리 1,000mm와 최대 각도 70도(도12) 까지만 열리기 때문에 옆 차와는 50mm~150mm의 거리를 유지하며 멈춰 문콕이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로 부터의 거리가 1,150mm이상(옆에 차가 없는 경우) 멀리 있는 경우에는 거리센서(2)의 감지신호를 컨트롤 박스(3)로 보내고, 컨트롤 박스에서는 입력받은 자료를 내부 연산작용을 통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모든 스테핑 모터(8-a ~ 8-e)가 미작동하라는 명령의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자동차문에 고정된 스테핑 모터 세트(7)에 보내어 모든 스테핑 모터(8-a ~ 8-e)가 작동하지 않아 모터축에 결합된 아암(9-a ~ 9-e)과 차체에 부착되어 있는 로드(12-a ~ 12-e)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자동차문이 열리기 때문에 차체의 힌지를 중심으로 열 수 있는 최대의 각도인 80도까지 열린다. 즉, 이때는 본 발명품이 자동차문 개방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되며, 비상 전원 장치(16)를 끄고 자동차문을 개방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된다.
이와 같이 H사의 중형 모델의 운전석 자동차문의 경우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로 부터의 거리가 100mm씩 늘어날 때 마다 자동차문(1)의 열림은 차체(14)의 힌지로(15)로부터 거리 100mm와, 각도 10도씩 늘어나도록 컨트롤 박스(3)의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스테핑 모터(8)의 개수와 차체의 로드(12) 홈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여닫이 자동차문을 장착한 모든 종류의 자동차와 여러 가지 규격의 자동차문을 감안하여 차간 거리의 설정과 그 거리에 따른 스테핑 모터의 개수, 로드의 홈의 개수와 홈의 길이 등을 조절하면 자동차문이 열리는 최대 각도는 차량의 특성과 주어진 여건에 맞게 다양한 조정이 가능하다.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차문 안쪽에 있는 비상 전원 장치(16)의 스위치를 끄면 컨트롤 박스(3)의 모든 기능이 정지되어 모든 스테핑 모터(8)에 결합된 아암(9)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차체에 부착된 로드(12)와 분리된 상태에서 자동차문을 열 수 있어 최대 각도인 80도까지 자유롭게 원하는 만큼 개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가 있다.
1 : 자동차문 2 : 거리센서
3 : 컨트롤 박스 4 : 손잡이 작동(전원 0N)
5 : 안쪽 손잡이 6 : 바깥쪽 손잡이
7 : 스테핑 모터 세트
8 : 스테핑 모터
8-a : 1번 스테핑 모터 8-b : 2번 스테핑 모터
8-c : 3번 스테핑 모터 8-d : 4번 스테핑 모터
8-e : 5번 스테핑 모터
9 : 아암
9-a : 1번 아암 9-b : 2번 아암
9-c : 3번 아암 9-d : 4번 아암
9-e : 5번 아암
10 : 아암의 정회전 11 : 아암의 역회전
12 : 로드
12-a : 로드의 1번 홈 12-b : 로드의 2번 홈
12-c : 로드의 3번 홈 12-d : 로드의 4번 홈
12-e : 로드의 5번 홈
13 : 로드 축
14 : 차체
15 : 힌지
16 : 비상 전원 장치

Claims (4)

  1. 차량에 보유되어 있는 전원을 동력원으로 하여 정지된 자동차에서 옆의 자동차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거리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연산작용에 의해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소정의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컨트롤 박스와;
    상기 컨트롤 박스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수행 가능한 스테핑 모터나 다수의 스테핑 모터를 묶은 세트의 각각 스테핑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있는 아암과 다수의 홈으로 구성된 로드가 연결되어 자동차문을 열 때 차체의 힌지로부터 원하는 거리와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수행 가능한 다수의 스테핑 모터를 하나로 묶은 스테핑 모터 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수행하는 스테핑 모터(세트)의 각 스테핑 모터 축에 결합되어 로드의 홈과 연결이 가능한 갈고리 형태의 아암.
  4. 제 1항에 있어서, 스테핑 모터(세트)의 축에 결합되어 있는 아암과 연결이 가능하며 적절한 간격과 길이의 홈이 다수 있는 로드.
KR1020190051122A 2019-05-01 2019-05-01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KR102202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22A KR102202841B1 (ko) 2019-05-01 2019-05-01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PCT/KR2020/000625 WO2020222398A1 (ko) 2019-05-01 2020-01-13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22A KR102202841B1 (ko) 2019-05-01 2019-05-01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293A true KR20200127293A (ko) 2020-11-11
KR102202841B1 KR102202841B1 (ko) 2021-01-15

Family

ID=7302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122A KR102202841B1 (ko) 2019-05-01 2019-05-01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2841B1 (ko)
WO (1) WO2020222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10873B (zh) * 2021-09-07 2023-12-08 磐安县天诚科技有限公司 一种减少撞击伤害的安全车门
KR20230166235A (ko) 2022-05-30 2023-12-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 문을 열 때 다른 차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KR20230172878A (ko) 2022-06-16 2023-12-2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 문을 열 때 다른 차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649A (ko)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차량용 도어 안전장치
KR20030006331A (ko) 2001-07-12 2003-01-23 동아특수정밀 주식회사 승용차문 자동개폐장치
KR20030022626A (ko) 2001-09-11 2003-03-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
KR101667487B1 (ko) * 2015-06-08 2016-10-1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 도어의 열림각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23742A1 (de) * 2014-11-20 2016-05-25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Türassistenzsystem für ein Fahrzeug
KR102041574B1 (ko) * 2016-04-01 2019-11-06 주식회사 디젠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KR20180070851A (ko) * 2016-12-19 2018-06-27 서재권 어라운드 뷰를 활용한 문콕방지 시스템
KR101949816B1 (ko) * 2017-03-30 2019-02-19 김슬기 차량 도어 충돌방지 장치
KR20190006197A (ko) * 2019-01-07 2019-01-17 (주)현보 차량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649A (ko)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차량용 도어 안전장치
KR20030006331A (ko) 2001-07-12 2003-01-23 동아특수정밀 주식회사 승용차문 자동개폐장치
KR20030022626A (ko) 2001-09-11 2003-03-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
KR101667487B1 (ko) * 2015-06-08 2016-10-1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 도어의 열림각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2398A1 (ko) 2020-11-05
KR102202841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841B1 (ko)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US6676186B2 (en) Motor vehicle with a tailgate
CN206625698U (zh) 用于车辆的门限制系统、门限位器系统以及机动车辆
US10596989B2 (en) Driver's barrier door with powered window
US8235432B2 (en) Supplemental side impact protect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8366175B2 (en) Door checker drive mechanism
US8028375B2 (en) Pinch prevention structure of slide door
CA3118257C (en) Integrated vehicle cover
CN106103254A (zh) 可展开空气动力型侧板系统
KR20180113545A (ko) 특히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감속의 의미에서 자동차 도어에 영향을 주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745957B1 (en) Vehicle door opening system
CN109334597B (zh) 基于磁流变阻尼器的汽车开门防撞装置及方法
MXPA01011776A (es) Arreglo de cofre o capo frontal.
WO2003066380A1 (en) Motor vehicle running board
EP0958975B1 (en) Vehicle window security guard apparatus
JP2013174077A (ja) 開閉体制御装置
US20140375083A1 (en) The Dual (day/night) Power Window system for automobiles, the DPW system
CN112319211A (zh) 一种汽车发动机舱自动散热装置及散热方法
US78064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inted windows
US11554636B2 (en) Enclosure for a vehicle system
EP1842732B1 (en) Vehicle Bumper Protection
WO2012017217A1 (en) Vehicle window shutters
US20080018140A1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12026651A (zh) 一种汽车车门开启防撞装置
US20230191878A1 (en) Enclosure for a vehicl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