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698A -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 Google Patents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698A
KR20200126698A KR1020190050667A KR20190050667A KR20200126698A KR 20200126698 A KR20200126698 A KR 20200126698A KR 1020190050667 A KR1020190050667 A KR 1020190050667A KR 20190050667 A KR20190050667 A KR 20190050667A KR 20200126698 A KR20200126698 A KR 2020012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okbinding
rear moving
plate
fo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706B1 (ko
Inventor
송제호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서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서진이엔지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0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70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9/00Applying glue or adhesive peculiar to bookbinding
    • B42C9/0006Applying glue or adhesive peculiar to bookbinding by applying adhesive to a stack of shee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7/00Control of torque; Control of mechanical power
    • G05D17/02Control of torque; Control of mechanical pow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압소음 등의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된 기어박스 등의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An intelligent wireless bookbinding machine utilizing a fixing device for bookbinding, and a dynamically improved motor control with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은 공압소음 등의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된 기어박스 등의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의 제조공정은 크게 인쇄공정과 제본공정을 통해 완성되는데, 인쇄공정은 인쇄지에 인쇄하는 공정이고, 제본공정은 인쇄된 인쇄지들을 결합시키는 공정이다.
또한, 인쇄공정에서는 통상 인쇄작업과 접지 작업을 행한다.
한편, 제본공정과 관련하여 공지된 무선 제본기는 책자의 일측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책자 페이지가 상호 접합을 이루어 제본하는 것으로, 제본되는 과정에서 도포된 접착제 층에 표지를 일치시켜 공급하여 동시에 접착을 이루도록 하며, 최근에는 책제본을 수행함에 있어 제본할 책의 두께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접착제 도포 롤러의 회전수 및 도포면적을 제어하고, 히팅 플레이트의 온도 제어 및 표지 클램핑 압력과 높이, 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책 두께에 따라 최적의 제본 결과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제본기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13635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136356호는 공압 실린더 등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압 실린더를 통한 수평방향으로의 힘 제공과정에서 공압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상기 공압 실린더의 기능상 필수기기인 컴프레셔와 압력전달배관 등의 구성요소가 요구되어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13635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공압소음 등의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된 기어박스 등의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제본 대상을 상기 몸체에 압착고정하는 지그부재와; 상기 지그부재를 전후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그부재는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본 대상을 상기 몸체에 압착고정하는 전후이동판과; 상기 전후이동판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일측과 타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을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봉과; 상기 전후이동봉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전후이동판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일측과 타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전후이동봉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지그부재의 전후이동봉을 전후이동시키는 직선운동변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직선운동변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기어박스에 결합되는 상부나사기어와, 상기 상부나사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상부나사기어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나사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하부나사기어로 구성되는 나사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봉에 고정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봉과 함께 전후이동하는 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전후이동봉의 전측은 상기 전후이동판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전후이동봉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봉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봉을 상기 몸체의 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의 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봉의 후측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와;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 중에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에 고정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접착제 도포부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표지를 접합하는 표지접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체와; 복수의 회전체에 감겨진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송하는 감김부재와; 상기 감김부재에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복수의 상기 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회전체와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제본 대상에 도포될 접착제가 수용되는 접착제 수용부재와; 상기 접착제 수용부재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롤러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지접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을 따라 승강운동하며, 상부에 상기 접착제 도포부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접합될 표지의 전측이 안착되는 전후이동판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후측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을 따라 승강운동하고, 상부에 상기 접착제 도포부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으로 접합될 표지의 후측이 안착되는 후측고정판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전후이동판을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의 내부로 상부가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승강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판은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전후이동판과; 상기 하부전후이동판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하부전후이동판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상부전후이동판과; 상기 하부전후이동판의 일측과 상기 상부전후이동판의 일측 사이 및 상기 하부전후이동판의 타측과 상기 상부전후이동판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전후이동판과 상기 상부전후이동판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측고정판은 상기 승강프레임의 후측에 고정되는 제 1후측고정판과; 상기 제 1후측고정판의 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의 후측에 고정되고, 상기 전후이동판이 상기 승강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전후이동판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 2후측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승강프레임 사이에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과 함께 전후이동하는 전후이동몸체와;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전측부 내측과 후측부 내측에 각각 상기 승강프레임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롤러와;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축과 함께 상기 승강롤러가 승강운동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전측부 내측면 상부와 후측부 내측면 상부에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랙기어와 함께 상기 전후이동몸체 및 전후이동판을 전후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에 고정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을 스카핑하기 위한 스카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본 대상을 압착고정하는 제본용 고정장치의 지그부재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전달받아 제본 대상을 압착고정하고, 이송부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전달받아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를 좌우이송하며, 접착제 도포부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전달받아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표지접합부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전달받아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표지를 접합하기 때문에 제본과정 중에 공압소음 등의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제본용 고정장치의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의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된 기어박스 등의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본용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직선운동변환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제본 대상이 압착고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7은 제본용 고정장치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접착제 도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6의 A - A선에 따른 일부절개 단면도이고,
도 10은 표지접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스카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측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스카핑부가 제본 대상의 제본면을 스카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9는 제본용 고정장치가 프레임의 일측방향으로 이송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0은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단면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표지가 접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제본면에 표지가 접합완료된 제본 대상의 압착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본용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본용 고정장치(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10), 지그부재(120) 및 구동모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지그부재(120)가 상기 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제본 대상을 상기 몸체(10)에 압착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130)는 상기 몸체(10)의 후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상기 지그부재(120)를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직선운동변환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그부재(12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후이동판(121), 전후이동봉(122) 및 가이드봉(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121)은 전측전후이동판(121a)과 후측전후이동판(12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전후이동판(121a)은 상기 몸체(110)의 전측방향에 상기 몸체(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전후이동판(121b)는 상기 몸체(110)의 후측방향에 상기 몸체(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봉(122)은 상기 몸체(110)의 일측과 타측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몸체(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121)을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봉(122)의 전측은 상기 전측전후이동판(121a)의 일측 중간부와 타측 중간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123)은 상기 전후이동봉(122)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일측 상부와 일측 하부 및 상기 몸체(110)의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를 각각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몸체(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121)의 전후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123)의 전측은 각각 상기 전후이동판(121)의 전측전후이동판(121a)의 일측 상부와 일측 하부 및 상기 전후이동판(121)의 전측전후이동판(121a)의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전후이동판(121b)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가이드봉(123)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그부재(120)는 반드시 상기 전후이동판(121), 전후이동봉(122) 및 가이드봉(123)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본 대상을 상기 몸체(10)에 압착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30)와 상기 전후이동봉(122) 사이에 직선운동변환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변환부재(140)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지그부재(120)의 전후이동봉(122)을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변환부재(140)는 일예로, 크게, 기어박스(141), 회전축(142), 나사기어(143), 피니언기어(144) 및 랙기어(1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141)는 상기 구동모터(13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110)의 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42)이 상기 몸체(110)의 내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142)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몸체(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나사기어(143)는 상부나사기어(143a)와 하부나사기어(14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나사기어(143a)는 상기 기어박스(141)의 전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나사기어(143b)는 상기 상부나사기어(143a)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142)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나사기어(143a)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142)을 감속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144)는 상기 회전축(14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42)을 따라 감속회전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145)는 상기 피니언기어(144)의 상부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봉(122)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피니언기어(1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봉(122)과 함께 전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변환부재(140)는 반드시 상기 기어박스(141), 회전축(142), 나사기어(143), 피니언기어(144) 및 랙기어(145)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지그부재(120)의 전후이동봉(122)을 전후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도 3 및 도 4는 제본 대상이 압착고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판(121)의 전측전후이동판(121a)은 상기 몸체(110) 방향으로 후진하여 상기 제본 대상(3)을 상기 몸체(110)의 전측에 압착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동봉(122)의 전측은 상기 전후이동판(121)의 전측전후이동판(121a)의 일측과 타측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전측전후이동판(121a)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봉(122)의 전측에 탄성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전후이동봉(122)의 전측에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고정턱(122a)과 상기 몸체(110)의 전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121)의 전측전후이동판(121a)을 상기 몸체(110)의 후측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부(160)와 제어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6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봉(122)의 후측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감지부(1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180)에서 상기 구동모터(130)로의 전원공급여부를 단속하여 상기 구동모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70)에는 상기 전후이동봉(122)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전진버튼 및 후진버튼이 각각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60)가 상기 전후이동봉(122)의 후측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3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구동모터(130)가 작동중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판(121)의 전측전후이동판(121a)이 상기 제본 대상(3)을 상기 몸체(110) 방향으로 압착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10)의 후측면 일측 또는 후측면 타측에 상기 몸체(1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연장판(111)의 중간부에 상기 감지부(16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본 대상(3)의 전후두께에 따라 상기 감지부(160)의 전후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장판(111)의 중간부에 상기 연장판(111)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11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감지부(160)에는 상기 가이드슬릿(111a)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슬릿(111a)에 수용되는 가이드축(1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61)의 일측에 상기 감지부(160)가 일체연결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축(161)의 타측에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결부재(162)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장판(111)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부(1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의 구동모터(130)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의 구동모터(130) 및 상기 구동모터(130)와 결합된 기어박스(141) 등의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 프레임(20), 이송부, 접착제 도포부(40) 및 표지접합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0)은 하부프레임(210)과; 상기 하부프레임(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에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가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타측 상부에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가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2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의 좌우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30)이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의 몸체(110)의 상부는 상기 가이드레일(23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30)을 따라 좌우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를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타측 상부에서 일측 상부방향으로 좌우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40)는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하부 중간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40)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가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타측 상부에서 일측 상부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 중에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에 수직고정된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된다.
상기 표지접합부(50)는 상기 접착제 도포부(40)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에 표지를 접합하게 된다.
도 7은 제본용 고정장치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이송부(30)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회전체(310), 감김부재(320), 연결부재(330) 및 구동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체(310)는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하부 전측의 반대측인 하부 후측에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2, 3, 4회전체(311, 312, 313, 3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32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이 복수의 상기 회전체(310)의 제 1, 4회전체(311, 314)에 각각 걸쳐지고, 상기 감김부재(320)의 하부가 복수의 상기 회전체(310)의 제 2회전체(312)의 하부와 제 3회전체(313)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걸쳐진 상태로 상기 감김부재(320)가 복수의 상기 회전체(310)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320)는 복수의 상기 회전체(31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를 상기 프레임(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송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전체(310)는 풀리, 스프로켓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감김부재(320)는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 스프로켓에 감겨지는 체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30)의 상부는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의 몸체(110)의 후측에 고정된 기어박스(141)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330)의 하부는 상기 감김부재(320)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감김부재(320)와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를 연결하는 ']'형상의 연결판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4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상기 회전체(31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체(31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220)의 바닥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어 어느 하나의 회전체(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구동모터(340)는 복수의 상기 회전체(310) 중 제 3회전체(313)와 결합되어 제 3회전체(3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부(30)는 반드시 복수의 상기 회전체(310), 감김부재(320), 연결부재(330) 및 구동모터(340)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를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좌우이송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도 9는 접착제 도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6의 A - A선에 따른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4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접착제 수용부재(410), 접착제 도포롤러(420) 및 구동모터(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수용부재(410)는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와 상기 표지접합부(50)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바닥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는 접착제 수용통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수용부재(410)의 내부에는 상기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에 도포될 접착제가 일정높이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420)는 상기 접착제 수용부재(410)의 내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3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30)는 상기 접착제 수용부재(4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바닥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30)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420) 사이에 상기 구동모터(430)의 회전력을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420)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4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40)는 크게, 구동스프로켓(도 6의 441), 회전축(442) 종동스프로켓(443) 및 체인(도 6의 4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스프로켓(441)은 상기 구동모터(430)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4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42)은 상기 접착제 수용부재(410)의 전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종동스프로켓(443)는 제 1, 2, 3종동스프로켓(443a, 443b, 443c)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스프로켓(4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2종동스프로켓(443a, 443b)은 상기 회전축(442)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종동스프로켓(443c)의 상부가 상기 제 2종동스프로켓(443b)의 하부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제 3종동스프로켓(443c)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420)의 전측에 결합되어 상기 접착제 수용부재(4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인(444)의 하부와 상부는 상기 구동스프로켓(441)과 상기 제 1종동스프로켓(443a)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40)가 반드시 상기 접착제 수용부재(410), 접착제 도포롤러(420) 및 구동모터(430)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에 수직고정된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도 10은 표지접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표지접합부(50)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승강프레임(510), 전후이동판(520), 후측고정판(530), 승강부재(540) 및 전후이동부재(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510)은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520)은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상부 전측에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520)은 상기 승강프레임(510)을 따라 승강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520)의 상부에는 상기 접착제 도포부(40)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에 접합될 표지의 전측이 수평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후측고정판(530)은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상부 후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어 상기 승강프레임(510)을 따라 승강운동할 수 있다.
상기 후측고정판(530)의 상부에는 상기 접착제 도포부(40)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으로 접합될 표지의 후측이 수평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40)는 상기 승강프레임(510)을 승강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550)는 상기 전후이동판(520)을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표지접합부(50)가 반드시 상기 승강프레임(510), 전후이동판(520), 후측고정판(530), 승강부재(540) 및 전후이동부재(550)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착제 도포부(40)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에 표지를 접합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상기 승강프레임(510)은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승강판(511), 승강몸체(512), 지지다리(5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511)은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511)의 후측 사이에는 상기 승강판(51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몸체(5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515)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연결몸체(515)의 일측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한 상기 승강판(511)의 후측 상부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몸체(512)는 상기 승강판(511)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513)의 상부가 상기 승강몸체(512)의 내부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지지다리(513)는 상기 승강몸체(512)의 하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520)은 하부전후이동판(521), 상부전후이동판(522) 및 연결바(5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후이동판(521)은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승강판(511)의 상부 전측에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후이동판(521)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은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승강판(511)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가이드레일(511a)에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전후이동판(522)은 상기 하부전후이동판(521)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하부전후이동판(521)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523)는 상기 하부전후이동판(521)의 일측과 상기 상부전후이동판(522)의 일측 사이 및 상기 하부전후이동판(521)의 타측과 상기 상부전후이동판(522)의 타측 사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구비되어 상기 하부전후이동판(521)과 상기 상부전후이동판(52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후측고정판(530)은 제 1, 2후측고정판(531, 5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후측고정판(531)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승강판(511)의 후측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후측고정판(532)이 상기 제 1후측고정판(531)의 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후측고정판(532)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연결몸체(515)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520)이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후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전후이동판(520)의 내측에 상기 제 2후측고정판(532)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후측고정판(532)의 상하두께는 상기 제 1후측고정판(531)의 상하두께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40)는 도 12 및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후이동몸체(541), 승강축(542), 승강롤러(543) 및 탄성부재(5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몸체(541)는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승강판(511) 사이에 상기 프레임(2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520)과 함께 전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몸체(541)의 전측 상부에는 상기 하부전후이동판(521)의 중간부를 수직관통하는 가이드축(541a)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축(542)이 상기 전후이동몸체(541)의 전측부와 후측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승강축(542)은 상기 전후이동몸체(541)의 전측부 내측과 후측부 내측에 각각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축(542)이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승강몸체(51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축(542)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승강몸체(512)에 일체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축(542)은 상기 전후이동몸체(541)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롤러(543)는 상기 승강축(542)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542)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승강판(511)과 승강몸체(512)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44)는 상기 전후이동몸체(541)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축(542)과 함께 상기 승강롤러(543)가 승강운동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승강판(511)과 승강몸체(512)를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44)는 상기 지지다리(513)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승강몸체(5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몸체(512)를 상기 승강몸체(512)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몸체(541)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축(542)과 함께 상기 승강롤러(543)가 보다 용이하게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롤러(543)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전후이동몸체(541)의 전측부 내측면 상부와 후측부 내측면 상부에 각각 경사면(5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45)은 상기 전후이동몸체(541)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후이동몸체(541)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550)는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랙기어(551), 피니언기어(552) 및 구동모터(5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551)는 상기 전후이동몸체(541)의 하부 일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552)의 하부에 상기 랙기어(551)의 상부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기어(552)는 회전하여 상기 랙기어(551)와 함께 상기 전후이동몸체(550) 및 상기 전후이동판(520)을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53)는 상기 피니언기어(552)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220)의 바닥면 일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어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5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4는 스카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에 접착제가 원활히 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에 고정된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을 스카핑(scuffing), 즉, 제본면에 삼각 또는 사각 등 다양한 형상의 자국이나 홈을 형성하기 위한 스카핑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카핑부(60)는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220)의 바닥면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카핑부(60)는 도 14 내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610), 가이드봉(620), 전후이동프레임(630), 회전축(640), 회전날부재(650) 및 전후이동부재(6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10)은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220)의 바닥면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620)은 상기 지지프레임(6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지지프레임(610)의 전후방향으로 각각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프레임(630)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이 각각 상기 가이드봉(620)에 상기 가이드봉(6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이동프레임(630)은 상기 가이드봉(620)을 따라 상기 프레임(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4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전후이동프레임(630)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640)은 상기 전후이동프레임(630)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스카핑부가 제본 대상의 제본면을 스카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상기 회전날부재(650)는 상기 회전축(640)의 외면에 상기 회전축(6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640)을 따라 회전하여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에 고정된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을 스카핑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660)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630)을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660)는 도 15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랙기어(661), 피니언기어(662) 및 구동모터(6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661)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630)의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662)의 상부가 상기 랙기어(661)의 하부에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기어(662)는 회전하여 상기 랙기어(661)와 함께 상기 전후이동프레임(630) 및 상기 회전축(640)을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63)는 상기 피니언기어(662)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프레임(6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0)의 바닥면 타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66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축(640)을 별도의 구동모터 등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무동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피니언기어(670) 및 랙기어(6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670)는 상기 회전축(64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680)의 상부가 상기 피니언기어(670)의 하부와 치합되도록 상기 랙기어(680)는 상기 피니언기어(67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프레임(610)의 상부에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프레임(630)의 전후이동과정 중에 상기 피니언기어(670)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6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9는 제본용 고정장치가 프레임의 일측방향으로 이송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0은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단면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표지가 접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가 상기 프레임(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 중에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에 접착제(411)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방향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도 21 및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지접합부(50)의 전후이동몸체(541)와 함께 전후이동판(520)이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후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 중에 상기 승강축(542)과 함께 상기 승강롤러(543)가 팽창하는 상기 탄성부재(544)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승강판(511)과 상기 승강몸체(51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520)이 후진하면서 상기 제본 대상(3)의 제본면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표지(5) 부위를 상기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밀어올려줄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접착제(411)가 도포된 상기 제본 대상(3)의 하부의 제본면에 상기 표지(5)가 더욱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 접합될 수 있게 된다.
도 23 및 도 24는 제본면에 표지가 접합완료된 제본 대상의 압착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의 전측전후이동판(121a)이 상기 몸체(110)의 전측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몸체(110)의 전측에 압착고정된 상기 제본 대상(3)의 압착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지접합부(50)의 전후이동몸체(541)와 함께 상기 전후이동판(520)이 상기 승강프레임(510)의 전측방향으로 전진할 경우, 상기 전후이동몸체(541)가 상기 승강롤러(543)와 함께 상기 승강축(542)을 상기 승강롤러(543)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가압하여 하강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탄성부재(544)가 수축되면서 상기 승강판(511)과 상기 승강몸체(512)가 하강될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표지(5)가 접합완료된 상기 제본 대상(3)은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의 상부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이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제본 대상(3)을 압착고정하는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의 지그부재(120)가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감속전달받아 제본 대상(3)을 압착고정하고, 상기 이송부(30)가 상기 구동모터(340)의 회전력을 감속전달받아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10)를 좌우이송하며, 상기 접착제 도포부(40)가 구동모터(430)의 회전력을 감속전달받아 제본 대상(3)의 제본면에 접착제(411)를 도포하고, 상기 표지접합부(50)가 구동모터(553)의 회전력을 감속전달받아 접착제(411)가 도포된 제본 대상(3)의 제본면에 표지(5)를 접합하기 때문에 제본과정 중에 공압소음 등의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제본용 고정장치, 20; 프레임,
30; 이송부, 40; 접착제 도포부,
50; 표지접합부.

Claims (15)

  1. 몸체와;
    상기 몸체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제본 대상을 상기 몸체에 압착고정하는 지그부재와;
    상기 지그부재를 전후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재는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본 대상을 상기 몸체에 압착고정하는 전후이동판과;
    상기 전후이동판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일측과 타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을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봉과;
    상기 전후이동봉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전후이동판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일측과 타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전후이동봉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지그부재의 전후이동봉을 전후이동시키는 직선운동변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변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기어박스에 결합되는 상부나사기어와, 상기 상부나사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상부나사기어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나사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하부나사기어로 구성되는 나사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봉에 고정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봉과 함께 전후이동하는 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고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봉의 전측은 상기 전후이동판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전후이동봉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봉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봉을 상기 몸체의 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의 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봉의 후측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고정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본용 고정장치와;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 중에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에 고정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접착제 도포부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표지를 접합하는 표지접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체와;
    복수의 회전체에 감겨진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송하는 감김부재와;
    상기 감김부재에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복수의 상기 회전체 중 어느 하나의 회전체와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제본 대상에 도포될 접착제가 수용되는 접착제 수용부재와;
    상기 접착제 수용부재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롤러와;
    상기 접착제 도포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접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을 따라 승강운동하며, 상부에 상기 접착제 도포부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에 접합될 표지의 전측이 안착되는 전후이동판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후측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을 따라 승강운동하고, 상부에 상기 접착제 도포부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으로 접합될 표지의 후측이 안착되는 후측고정판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전후이동판을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의 내부로 상부가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승강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판은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전후이동판과;
    상기 하부전후이동판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하부전후이동판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상부전후이동판과;
    상기 하부전후이동판의 일측과 상기 상부전후이동판의 일측 사이 및 상기 하부전후이동판의 타측과 상기 상부전후이동판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전후이동판과 상기 상부전후이동판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측고정판은 상기 승강프레임의 후측에 고정되는 제 1후측고정판과;
    상기 제 1후측고정판의 전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의 후측에 고정되고, 상기 전후이동판이 상기 승강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전후이동판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 2후측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승강프레임 사이에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판과 함께 전후이동하는 전후이동몸체와;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전측부 내측과 후측부 내측에 각각 상기 승강프레임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을 따라 승강운동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롤러와;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축과 함께 상기 승강롤러가 승강운동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전측부 내측면 상부와 후측부 내측면 상부에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전후이동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랙기어와 함께 상기 전후이동몸체 및 전후이동판을 전후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15.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본용 고정장치에 고정된 제본 대상의 제본면을 스카핑하기 위한 스카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KR1020190050667A 2019-04-30 2019-04-30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KR102186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667A KR102186706B1 (ko) 2019-04-30 2019-04-30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667A KR102186706B1 (ko) 2019-04-30 2019-04-30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698A true KR20200126698A (ko) 2020-11-09
KR102186706B1 KR102186706B1 (ko) 2020-12-04

Family

ID=7342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667A KR102186706B1 (ko) 2019-04-30 2019-04-30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428B1 (ko) * 2022-10-19 2023-03-31 주식회사 오피스 케이 천공 제본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3339B2 (ja) * 1989-03-15 1997-06-25 東芝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製本用糊塗布装置
KR19990035909U (ko) * 1998-02-05 1999-09-15 김용래 제본기의 표지 접착장치
KR20000001214U (ko) * 1998-06-16 2000-01-25 한승호 제본기
KR20100034487A (ko) * 2008-09-24 2010-04-01 후가이 아기라 책 제본기용 클램프 구조
KR20110136356A (ko) 2010-06-15 2011-12-21 주식회사 엠알 스마트 제본기
JP2013202976A (ja) * 2012-03-29 2013-10-07 Dainippon Printing Co Ltd クランパ装置、製本装置
KR102065688B1 (ko) * 2019-03-21 2020-01-13 주식회사 엠알 왕복 이송 제본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3339B2 (ja) * 1989-03-15 1997-06-25 東芝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製本用糊塗布装置
KR19990035909U (ko) * 1998-02-05 1999-09-15 김용래 제본기의 표지 접착장치
KR20000001214U (ko) * 1998-06-16 2000-01-25 한승호 제본기
KR20100034487A (ko) * 2008-09-24 2010-04-01 후가이 아기라 책 제본기용 클램프 구조
KR20110136356A (ko) 2010-06-15 2011-12-21 주식회사 엠알 스마트 제본기
JP2013202976A (ja) * 2012-03-29 2013-10-07 Dainippon Printing Co Ltd クランパ装置、製本装置
KR102065688B1 (ko) * 2019-03-21 2020-01-13 주식회사 엠알 왕복 이송 제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428B1 (ko) * 2022-10-19 2023-03-31 주식회사 오피스 케이 천공 제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706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88957B (zh) 用于片状木材的胶合压力机和用于挤压这种木材的方法
KR102186706B1 (ko) 제본용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CN107553625B (zh) 一种三氰板自动化生产设备
KR102190546B1 (ko) 제본용 스카핑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구성이 향상 및 소음이 개선된 모터 제어를 활용한 지능형 무선 제본기
CN113272138A (zh) 一种平板覆膜装置和使用平板覆膜装置的方法
CN208146774U (zh) 一种包边模具切换系统
CN109500598B (zh) 一种勺子的自动组装设备
CN217836129U (zh) 一种复合牛皮纸包覆装置
CN111002630A (zh) 一种组合式包装纸箱的生产装置
CN211994399U (zh) 一种全自动纸盒快速成型设备
CN210257428U (zh) 一种改良结构的高速全自动片材包装盒粘合机
CN212171431U (zh) 一种纸盒成型设备的上料装置
EP09529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panels to a panel saw machine
CN110424144B (zh) 一种全自动多层布匹铺设裁床
EP2316658A2 (en) Casing-in machine
CN110948937A (zh) 一种全自动纸盒快速成型设备
CN211994379U (zh) 一种纸盒快速成型设备
CN210854663U (zh) 一种热熔胶喷涂机
JPH02239992A (ja) 製本用糊塗布装置
CN211168833U (zh) 一种用于书型盒成型的送料装置
CN220843109U (zh) 一种托盘覆膜机
CN217726009U (zh) 一种纸张生产用表面快速上胶装置
CN213919818U (zh) 一种纸盒包装加工用封边连接装置
CN217319510U (zh) 一种自动钉箱机
CN220331512U (zh) 一种柜体封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