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525A -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525A
KR20200126525A KR1020190050287A KR20190050287A KR20200126525A KR 20200126525 A KR20200126525 A KR 20200126525A KR 1020190050287 A KR1020190050287 A KR 1020190050287A KR 20190050287 A KR20190050287 A KR 20190050287A KR 20200126525 A KR20200126525 A KR 20200126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nection
width
lens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환
박정욱
Original Assignee
제이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6525A/ko
Publication of KR2020012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525A/ko
Priority to KR1020210105915A priority patent/KR10238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및 지지부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로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제1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내측면, 상기 제1 내측면과 대향하고 제2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내측면, 상기 제1 내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측면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1 내측면에 인접한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측면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연결면 및 상기 제2 내측면의 최대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2 내측면과 가까운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과 가까운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측면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렌즈 모듈{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렌즈는 현미경, 확대 망원경(magnifier telescope), 디지털 카메라 및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광학 기구의 핵심 요소이다.
또한, 이러한 렌즈는 렌즈 자체로, 또는 렌즈와 함께 다른 기계적 부재나 전자적 부재를 함께 모듈화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렌즈의 형태 및 표면 구성은 렌즈 특성에 영향을 끼치므로 고정밀 공정을 진행하여 렌즈를 형성한다.
이러한 렌즈는 가열 압착 공정을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고, 그 형태도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렌즈 가공의 정밀성이 향상됨에 따라 렌즈를 포함한 렌즈 모듈은 광모듈 또는 광통신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렌즈가 필요한 기술 분야의 고정밀화에 따라 렌즈의 최종 성형물의 크기가 작아지고, 그에 따라 렌즈 원재료의 크기도 점점 작아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가열 및 압축을 통한 성형 시 원하는 정밀한 형태와 특성을 갖는 렌즈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를 통하여 렌즈 모듈의 특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제조 특성, 내구성 및 광특성이 향상된 렌즈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및 지지부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로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제1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내측면, 상기 제1 내측면과 대향하고 제2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내측면, 상기 제1 내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측면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1 내측면에 인접한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측면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연결면 및 상기 제2 내측면의 최대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2 내측면과 가까운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과 가까운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측면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서로 마주하고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연결면 및 상기 제2 내측면에 연결되고 적어도 상기 제2 연결면과 나란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연장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연장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렌즈 모듈은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렌즈 모듈 형성 시의 제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렌즈 모듈이 다양한 분야에 사용 시 광특성이 향상된 렌즈 모듈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즈 모듈의 지지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렌즈 모듈의 지지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K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100)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 모듈(100)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종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100)은 구체적으로 렌즈부(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렌즈부(1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부(120)는 크게 제1 내측면(120a), 제2 내측면(120b),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면(120a)은 지지부(120)의 제1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렌즈부(11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20)는 외측면(120AT)을 포함하고, 외측면(120AT)의 내측에 제1 내측면(12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면(120a)은 일측이 개방된 영역과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제1 내측면(120a)의 일측에 개방된 영역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을 발생하는 광원 등의 부재에 대응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광이 용이하게 렌즈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내측면(120a)의 단부 또는 외측면(120AT)의 단부에는 연결 영역(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영역(121)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원부 또는 광원부를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 영역(121)은 외측면(120AT)으로부터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연결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제2 내측면(120b)는 제1 내측면(120a)과 대향하고 제2 내측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20)는 외측면(120AT)을 포함하고, 외측면(120AT)의 내측에 제2 내측면(120b)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내측면(120b)은 일측이 개방된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내측면(120b)은 폭을 가질 수 있고, 렌즈부(110)에 가까운 영역보다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이 클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내측면(120a)에 인접 또는 제1 내측면(120a)을 향하도록 광원부(미도시)가 배치 시 이러한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은 렌즈부(110)를 적어도 일부 투과하여 제2 내측면(120b)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제2 내측면(120b)의 영역 중 렌즈부(110)에 가까운 영역보다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이 크도록 하여 광의 방출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내측면(120b)의 영역 중 렌즈부(110)에 가까운 영역에서 렌즈부(110)에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내측면(120b)은 설정된 각도대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면(123)은 제1 내측면(120a)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측면(120a)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면(123)은 상기 제1 내측면(120a)에 인접한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120a)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면(123)의 이러한 폭의 특징을 통하여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미도시)의 광원이 렌즈부(110)에 효과적으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면(123)은 상기 렌즈부(110)의 측면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연결면(123)의 영역 중 상기 제1 내측면(120a)에 인접한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120a)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렌즈부(110)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연결면(123)의 영역 중 상기 제1 내측면(120a)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면(120a)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연결면(123)은 설정된 각도대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연결면(123)과 렌즈부(110)의 측면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110)를 지지부(120)에 대응되도록 제조 과정 진행 시 렌즈부(110)의 측면과 제1 연결면(123)간의 불필요한 이격된 틈, 누설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연결면(123)의 연장선은 외측면(120AT)과 예각을 이룰 수 있고, 예를들면 13도 내지 23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면(124)은 상기 제2 내측면(120b)의 최대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면(124)의 영역 중 제2 내측면(120b)과 가까운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120a)과 가까운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면(124)은 상기 렌즈부(110)의 측면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면(124)의 이러한 폭의 특징을 통하여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미도시)의 광원이 렌즈부(110)를 통과하여 효과적으로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면(124)의 영역 중 상기 제2 내측면(120b)에 인접한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120a)과 가까운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렌즈부(110)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연결면(124)의 영역 중 상기 제2 내측면(120b)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면(120a)에 가까운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연결면(124)은 설정된 각도대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연결면(124)과 렌즈부(110)의 측면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110)를 지지부(120)에 대응되도록 제조 과정 진행 시 렌즈부(110)의 측면과 제2 연결면(124)간의 불필요한 이격된 틈, 누설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렌즈부(1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연결면(123)의 폭이 증가하는 방향 및 제2 연결면(124)의 폭이 증가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의 사이의 영역을 기준으로 각 영역에서 지지부(120)가 렌즈부(11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렌즈부(110)가 이탈되거나 불필요하게 운동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각각 폭이 증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후술한 렌즈부 재료물에 대한 가공 공정을 거쳐 렌즈부를 형성 시 렌즈부(110)가 지지부(120)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면(122)이 제1 연결면(123)과 제2 연결면(1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면(122)은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와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중간면(122)은 적어도 제1 연결면(123)의 영역 중 중간면(122)과 가장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적어도 제2 연결면(124)의 영역 중 중간면(122)과 가장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을 통한 렌즈부(110)의 지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고, 렌즈부(110)를 지지부(120)에 대응시켜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키고 불필요한 이격, 기체 누설 및 기체 함유 영역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면(125)이 제2 연결면(124)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면(125)은 제2 연결면(124)과 제2 내측면(120b)의 사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연장면(125)은 제2 연결면(124)과 나란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면(125)은 제2 연결면(124)과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면(125)은 외측면(120AT)를 기준으로 제2 연결면(124)보다 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면(125)과 외측면(120AT)이 이루는 각은 제2 연결면(124)과 외측면(120AT)이 이루는 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면(125)은 렌즈부(110)의 상측 단부를 지지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면(125)은 렌즈부(110)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고, 제2 연결면(124)과 굴곡을 갖도록 하여 렌즈부(110)의 제조 시 편의성을 향상하고 제2 연결면(124)의 급격한 각도 변화를 완화하여 지지부(120)의 렌즈부(110)의 지지를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면(125)과 제2 연결면(124)가 이루는 각은 둔각일 수 있고, 예를들면 115도 내지 135도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대략 125도일 수 있다.
렌즈부(110)는 제1 단부(110a), 제2 단부(110b), 제1 연결부(113) 및 제2 연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10)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고, 광통신용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단부(110a) 및 제2 단부(110b)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렌즈부(110)의 일 방향, 예를들면 광이 통과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및 이와 마주하는 타측에 대응되는 단부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110a) 및 제2 단부(110b)는 각각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단부(110a) 및 제2 단부(11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110a)를 통하여 광이 입사되고 제2 단부(110b)를 통하여 광이 출사될 수 있다.
렌즈부(110)의 제1 연결부(113)는 제1 단부(110a)와 연결될 수 있고, 추가적인 예로서 제1 연결부(113)와 제1 단부(110a)의 사이에는 제1 단차 영역(110a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차 영역(110aa)을 통하여 제1 단부(110a)의 곡면과 제1 연결부(113)의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제1 연결부(113)과 제1 연결면(123)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렌즈부(110)의 제1 연결부(113)는 지지부(120)의 제1 연결면(12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제1 연결면(123)과 밀착되면서 지지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3)은 상기 제1 내측면(120a)에 인접한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120a)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3)의 이러한 폭의 특징을 통하여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미도시)의 광원이 렌즈부(110)에 효과적으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13)의 영역 중 상기 제1 내측면(120a)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면(120a)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연결부(113)은 설정된 각도대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연결부(113)과 제1 연결면(123)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제1 연결면(123)간의 불필요한 이격된 틈, 누설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렌즈부(110)의 제2 연결부(114)는 지지부(120)의 제2 연결면(12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제2 연결면(124)과 밀착되면서 지지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14)는 상기 제2 내측면(120b)의 최대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114)의 영역 중 제2 내측면(120b)과 가까운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120a)과 가까운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14)의 이러한 폭의 특징을 통하여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미도시)의 광원이 렌즈부(110)를 통과하여 효과적으로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연결부(114)의 영역 중 상기 제2 내측면(120b)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면(120a)에 가까운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연결부(114)는 설정된 각도대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연결부(113)의 폭이 증가하는 방향 및 제2 연결부(114)의 폭이 증가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연결부(113) 및 제2 연결부(114)의 사이의 영역을 기준으로 각 영역에서 지지부(120)가 렌즈부(11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렌즈부(110)가 이탈되거나 불필요하게 운동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부(112)가 제1 연결부(113)와 제2 연결부(1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부(110)의 중간부(112)는 지지부(120)의 중간면(12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적어도 일 영역에서 중간면(122)과 밀착되면서 지지될 수 있다.
중간부(112)는 제1 연결부(113) 및 제2 연결부(114)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와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중간부(112)는 적어도 제1 연결부(113)의 영역 중 중간부(112)와 가장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적어도 제2 연결부(114)의 영역 중 중간부(112)와 가장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120)를 통한 제1 연결부(113) 및 제2 연결부(114)에 대한 지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고, 렌즈부(110)를 지지부(120)에 대응시켜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에 제1 연결부(113) 및 제2 연결부(114)가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불필요한 이격, 기체 누설 및 기체 함유 영역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115)가 제2 연결부(114)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부(115)는 제2 연결부(114)와 제2 단부(110b)의 사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연장부(115)와 제2 단부(110b)의 사이에는 제2 단차 영역(110b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차 영역(110bb)을 통하여 제2 단부(110b)의 곡면과 연장부(115)의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연장부(115)와 연장면(125)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115)는 제2 연결부(114)과 나란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부(115)는 제2 연결부(114)과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115)는 외측면(120AT)을 기준으로 제2 연결부(114)보다 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부(115)와 외측면(120AT)이 이루는 각은 제2 연결부(114)와 외측면(120AT)이 이루는 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115)는 렌즈부(110)의 상측 단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115)와 제2 연결부(114)가 이루는 각은 둔각일 수 있고, 예를들면 115도 내지 135도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대략 125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지지부의 제1 연결면의 폭은 상이하고 예를들면 도면 기준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렌즈부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와 렌즈부의 형태를 통하여 지지부와 밀착되고 원하는 측면 형태를 갖는 렌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면의 폭은 상이하고 예를들면 도면 기준으로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렌즈부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와 렌즈부의 형태를 통하여 지지부와 밀착되고 원하는 측면 형태를 갖는 렌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의 입사 및 출사에 대한 효율을 향상하여 광효율을 향상하는 광모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연결면 및 제2 연결면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증가하도록 하여 이에 대응하는 렌즈부가 지지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렌즈부의 불필요한 운동 및 지지부로부터 이탈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면이 아래로 갈수록, 예를들면 제1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의 포이 크도록 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렌즈부를 용이하게 형성하여 효율이 향상된 비구면 렌즈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연결면을 통하여 렌즈부를 지지부에 대응하여 렌즈 모듈 제조 시 렌즈부 원재료를 지지부에 배치하고 하방으로부터 하측 가공부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압력 제공 시 하측 가공부의 원활한 압력 제공으로 레즈부와 지지부 사이의 리크를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렌즈 모듈의 지지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지지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의 지지부(120')를 참조하면 지지부(120')는 제1 내측면(120a'), 제2 내측면(120b'),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0')는 외측면(120AT')을 포함하고, 외측면(120AT')의 내측에 제1 내측면(120a') 및 제2 내측면(120b')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면(120a')의 단부 또는 외측면(120AT')의 단부에는 연결 영역(121')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면(122')이 제1 연결면(123')과 제2 연결면(1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면(125')이 제2 연결면(124')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면(125')은 제2 연결면(124')과 제2 내측면(120b')의 사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시한 것과 같이 지지부(120')의 내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적어도 일 영역에서 회전체 형태의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내측면(120a'), 제2 내측면(120b'), 제1 연결면(123') 및 제2 연결면(124')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120')에 대응되는 렌즈부의 형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렌즈부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대응시킨 후 압력과 열을 주어 렌즈 모듈 형성 시 제조 과정의 효율 및 정밀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렌즈 모듈의 지지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는 지지부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의 지지부(120")를 참조하면 지지부(120")의 제1 내측면(120a"), 제2 내측면(120b"), 외측면(120AT") 및 연결 영역(121")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것과 같이 지지부(120")는 외부에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외측면(120AT")은 적어도 일 영역에서 회전체 형태의 내면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원기둥과 같은 형태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영역(121")은 외측면(120AT")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예를들면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한 렌즈 모듈을 제조 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방법은 후술할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지지부(120) 및 렌즈부 재료물(110P)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측 가공부(UM) 및 하측 가공부(DM)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부(120)는 도 1에 도시한 지지부(120)일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 내지 도 4의 지지부를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다.
렌즈부 재료물(110P)은 가공후 광이 적어도 일부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고 열과 압력에 의하여 성형이 가능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 원재료는 유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렌즈부 재료물(110P)은 수지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측 가공부(UM) 및 하측 가공부(DM)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렌즈부 재료물(110P)에 대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열과 압력이 제공되면서 렌즈부 재료물(110P)에 대한 가공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상측 가공부(UM) 및 하측 가공부(DM)는 각각 렌즈부(110)의 제1 단부(110a) 및 제2 단부(110b)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몰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이 제공되는 분위기에서 상측 가공부(UM) 및 하측 가공부(DM)가 서로 가까운이지는 방향으로 렌즈부 재료물(110P)에 대한 가공 공정을 진행하여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은 렌즈부(110)가 지지부(120)에 대응 및 결합되어 형성된 렌즈 모듈(1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측 가공부(UM) 및 하측 가공부(DM)는 각각 지지부(120)의 제1 내측면 및 제2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하측 가공부(DM)는 도면 기준으로 상승 시 제1 연결부(113)에 대응될 수 있고, 제1 연결부(113)의 영역의 폭이 상이하여 하측 가공부(DM)을 통한 압력 제공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연결부(113)의 폭이 도면 기준으로 상측보다 하측의 폭이 크고 구체적 예로서 점진적으로 폭이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하측 가공부(DM)과 지지부(120)의 불필요한 간섭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광 모듈(1000)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광 모듈(1000)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종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광 모듈(1000)은 렌즈 모듈(100), 베이스(300), 광원부(400) 및 하나 이상의 핀(5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일 수 있고, 또한 도 2 내지 도 4의 일부 변형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한 실시예의 렌즈 모듈(200)을 적용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것과 동일 또는 후술할 렌즈 모듈(200)에서 설명할 것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300)에는 광모듈(1000)에 사용되는 다양한 요소들을 배치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300)는 지지부(120)와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120)의 연결 영역(121)과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결합될 수 있다.
광원부(400)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발광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다양한 종류의 광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400)는 상기 베이스(300)에 배치될 수 있다.
핀(500)은 하나 이상,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핀(500)은 광모듈(1000)에 인가되는 다양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핀(500)은 광원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300)상에 배치된 다양한 부재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30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핀(500)은 관통공을 통하여 베이스(300)의 상부의 부재 또는 광원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모듈은 렌즈 모듈을 포함하고, 렌즈 모듈은 렌즈부와 지지부가 효과적으로 배치되고 렌즈부와 지지부간의 밀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광효율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K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2000)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 모듈(2000)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종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2000)은 구체적으로 렌즈부(2110) 및 지지부(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20)는 렌즈부(21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부(2120)는 크게 제1 내측면(2120a), 제2 내측면(2120b), 제1 연결면(2123); 및 제2 연결면(2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면(2120a)은 지지부(2120)의 제1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렌즈부(211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120)는 외측면(2120AT)을 포함하고, 외측면(2120AT)의 내측에 제1 내측면(212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면(2120a)은 일측이 개방된 영역과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제1 내측면(2120a)의 일측에 개방된 영역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을 발생하는 광원 등의 부재에 대응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광이 용이하게 렌즈부(211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내측면(2120a)의 단부 또는 외측면(2120AT)의 단부에는 연결 영역(2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영역(2121)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원부 또는 광원부를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 영역(2121)은 외측면(2120AT)으로부터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연결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제2 내측면(2120b)는 제1 내측면(2120a)과 대향하고 제2 내측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120)는 외측면(2120AT)을 포함하고, 외측면(2120AT)의 내측에 제2 내측면(2120b)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내측면(2120b)은 일측이 개방된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내측면(2120b)은 폭을 가질 수 있고, 렌즈부(2110)에 가까운 영역보다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이 클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내측면(2120a)에 인접 또는 제1 내측면(2120a)을 향하도록 광원부(미도시)가 배치 시 이러한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은 렌즈부(2110)를 적어도 일부 투과하여 제2 내측면(2120b)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제2 내측면(2120b)의 영역 중 렌즈부(2110)에 가까운 영역보다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이 크도록 하여 광의 방출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내측면(2120b)의 영역 중 렌즈부(2110)에 가까운 영역에서 렌즈부(2110)에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내측면(2120b)은 설정된 각도대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면(2123)은 제1 내측면(2120a)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측면(2120a)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면(2123)은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인접한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2120a)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면(2123)의 이러한 폭의 특징을 통하여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미도시)의 광원이 렌즈부(2110)에 효과적으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면(2123)은 상기 렌즈부(2110)의 측면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연결면(2123)의 영역 중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인접한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2120a)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렌즈부(2110)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연결면(2123)의 영역 중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면(2120a)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연결면(2123)은 설정된 각도대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연결면(2123)과 렌즈부(2110)의 측면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110)를 지지부(2120)에 대응되도록 제조 과정 진행 시 렌즈부(2110)의 측면과 제1 연결면(2123)간의 불필요한 이격된 틈, 누설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연결면(2123)의 연장선은 외측면(2120AT)과 예각을 이룰 수 있고, 예를들면 13도 내지 23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면(2124)은 상기 제2 내측면(2120b)의 최대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면(2124)의 영역 중 제2 내측면(2120b)과 가까운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2120a)과 가까운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면(2124)은 상기 렌즈부(2110)의 측면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면(2124)의 이러한 폭의 특징을 통하여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미도시)의 광원이 렌즈부(2110)를 통과하여 효과적으로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면(2124)의 영역 중 상기 제2 내측면(2120b)에 인접한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2120a)과 가까운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렌즈부(2110)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연결면(2124)의 영역 중 상기 제2 내측면(2120b)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가까운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연결면(2124)은 설정된 각도대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연결면(2124)과 렌즈부(2110)의 측면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110)를 지지부(2120)에 대응되도록 제조 과정 진행 시 렌즈부(2110)의 측면과 제2 연결면(2124)간의 불필요한 이격된 틈, 누설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렌즈부(21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연결면(2123)의 폭이 증가하는 방향 및 제2 연결면(2124)의 폭이 증가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연결면(2123) 및 제2 연결면(2124)의 사이의 영역을 기준으로 각 영역에서 지지부(2120)가 렌즈부(211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렌즈부(2110)가 이탈되거나 불필요하게 운동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연결면(2123) 및 제2 연결면(2124)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각각 폭이 증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렌즈부 재료물에 대한 가공 공정을 거쳐 렌즈부를 형성 시 렌즈부(2110)가 지지부(2120)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고정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면(미도시)이 제1 연결면(2123)과 제2 연결면(21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면(미도시)은 제1 연결면(2123) 및 제2 연결면(2124)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와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면(2125)이 제2 내측면(2120b)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면(2125)은 제2 연결면(2124)과 제2 내측면(2120b)의 사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연장면(2125)은 제2 연결면(2124)과 나란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면(2125)은 제2 연결면(2124)과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면(2125)은 외측면(2120AT)를 기준으로 제2 연결면(2124)보다 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면(2125)과 외측면(2120AT)이 이루는 예각은 제2 연결면(2124)과 외측면(2120AT)이 이루는 예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 재료물에 대한 고온 및 가압을 통한 가공 공정 중에 연장면(2125)에 인접한 영역에서 렌즈부가 정밀한 표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면(2125)에 인접한 영역에서 가압(예를들면 상측 가공부)를 통한 가압 시 렌즈부 제조물이 효과적으로 지지부(2120)의 연장면(2125)과 밀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면(2125)의 폭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연장면(2125)의 영역 중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인접한 영역의 폭보다 상기 제2 내측면(2120b)에 가까운 영역의 폭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2110)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연장면(2125)은 상기 제2 내측면(2120b)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가까운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2110)를 제조 시 렌즈부(2110)가 연장면(2125)에 대응된 영역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렌즈부(2110)가 지지부(2112)로부터 비정상적으로 이탈 또는 분리되거나 불필요하게 운동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110)와 연장면(2125)이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면(2125)은 렌즈부(2110)의 상측 단부를 지지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면(2125)은 렌즈부(2110)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고, 제2 연결면(2124)과 굴곡을 갖도록 하여 렌즈부(2110)의 제조 시 편의성을 향상하고 제2 연결면(2124)의 급격한 각도 변화를 완화하여 지지부(2120)의 렌즈부(2110)의 지지를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굴곡면(2127)이 연장면(2125)과 제2 연결면(212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굴곡면(2127)은 연장면(2125)과 제2 연결면(2124)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연장면(2125) 및 제2 연결면(2124)과 나란하지 않고 연장면(2125) 및 제2 연결면(2124)과 각각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2120)는 굴곡면(2127)을 포함하는 영역에 홈부(LAP)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홈부(LAP)는 예를들면 도면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홈부(LAP)는 렌즈부(2110) 제조 시 렌즈부 원재료에 대한 가압을 통한 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부 원재료에 대한 상측 가공부를 통한 압력을 가하는 공정중에 렌즈부 원재료가 효과적으로 홈부(LAP)에 밀착 수용되어 렌즈부 원재료가 지지부(2120)의 측면에서 불완전하게 형성되어 렌즈부(2110)와 지지부(2120)의 불필요한 이격 영역, 공기 유출 등의 결함 영역을 감소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렌즈부(2110)는 제1 단부(2110a), 제2 단부(2110b), 제1 연결부(2113) 및 제2 연결부(211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2110)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고, 광통신용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단부(2110a) 및 제2 단부(2110b)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렌즈부(2110)의 일 방향, 예를들면 광이 통과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및 이와 마주하는 타측에 대응되는 단부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2110a) 및 제2 단부(2110b)는 각각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단부(2110a) 및 제2 단부(211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2110a)를 통하여 광이 입사되고 제2 단부(2110b)를 통하여 광이 출사될 수 있다.
렌즈부(2110)의 제1 연결부(2113)는 제1 단부(2110a)와 연결될 수 있고, 추가적인 예로서 제1 연결부(2113)와 제1 단부(2110a)의 사이에는 제1 단차 영역(2110a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차 영역(2110aa)을 통하여 제1 단부(2110a)의 곡면과 제1 연결부(2113)의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제1 연결부(2113)와 제1 연결면(2123)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렌즈부(2110)의 제1 연결부(2113)는 지지부(2120)의 제1 연결면(212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제1 연결면(2123)과 밀착되면서 지지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113)은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인접한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2120a)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113)의 이러한 폭의 특징을 통하여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미도시)의 광원이 렌즈부(2110)에 효과적으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2113)의 영역 중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면(2120a)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연결부(2113)은 설정된 각도대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연결부(2113)과 제1 연결면(2123)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제1 연결면(2123)간의 불필요한 이격된 틈, 누설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렌즈부(2110)의 제2 연결부(2114)는 지지부(2120)의 제2 연결면(212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제2 연결면(2124)과 밀착되면서 지지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114)는 상기 제2 내측면(2120b)의 최대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2114)의 영역 중 제2 내측면(2120b)과 가까운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2120a)과 가까운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114)의 이러한 폭의 특징을 통하여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미도시)의 광원이 렌즈부(2110)를 통과하여 효과적으로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연결부(2114)의 영역 중 상기 제2 내측면(2120b)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가까운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연결부(2114)는 설정된 각도대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연결부(2113)의 폭이 증가하는 방향 및 제2 연결부(2114)의 폭이 증가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연결부(2113) 및 제2 연결부(2114)의 사이의 영역을 기준으로 각 영역에서 지지부(2120)가 렌즈부(211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렌즈부(2110)가 이탈되거나 불필요하게 운동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부(미도시)가 제1 연결부(2113)와 제2 연결부(21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렌즈부(2110)의 중간부(미도시)는 제1 연결부(2113) 및 제2 연결부(2114)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와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2115)가 지지부(2120)의 연장면(212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부(2115)는 제2 연결부(2114)와 제2 단부(2110b)의 사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연장부(2115)와 제2 단부(2110b)의 사이에는 제2 단차 영역(2110b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차 영역(2110bb)을 통하여 제2 단부(2110b)의 곡면과 연장부(2115)의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연장부(2115)와 연장면(2125)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2115)는 제2 연결부(2114)와 나란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부(2115)는 제2 연결부(2114)와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2115)는 외측면(2120AT)를 기준으로 제2 연결부(2114)보다 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부(2115)와 외측면(2120AT)이 이루는 예각은 제2 연결부(2114)와 외측면(2120AT)이 이루는 예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2115)는 렌즈부(2110)의 상측 단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2115)의 폭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연장부(2115)의 영역 중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인접한 영역의 폭보다 상기 제2 내측면(2120b)에 가까운 영역의 폭이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연장부(2115)는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면(2120a)에 가까운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2110)를 제조 시 렌즈부(2110)가 연장면(2125)에 대응된 영역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렌즈부(2110)가 지지부(2112)로부터 비정상적으로 이탈 또는 분리되거나 불필요하게 운동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굴곡부(2117)가 연장부(2115)와 제2 연결부(211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굴곡부(2117)은 연장부(2115)와 제2 연결부(2114)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연장부(2115) 및 제2 연결부(2114)와 나란하지 않고 연장부(2115) 및 제2 연결부(2114)와 각각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2110)는 굴곡부(2117)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상기 지지부(2120)의 홈부(LAP)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굴곡부(2117) 는 지지부(2120)의 중심에서 외측면(2120AT)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내측면(2120a)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홈부(LAP)에 대응하도록 렌즈부(2110)가 형성되어 렌즈부(2110) 제조 시 렌즈부 원재료에 대한 가압을 통한 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부 원재료에 대한 상측 가공부를 통한 압력을 가하는 공정중에 렌즈부 원재료가 효과적으로 홈부(LAP)에 밀착 수용되어 렌즈부 원재료가 지지부(2120)의 측면에서 불완전하게 형성되어 렌즈부(2110)와 지지부(2120)의 불필요한 이격 영역, 공기 유출 등의 결함 영역을 감소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지지부의 제1 연결면의 폭은 상이하고 예를들면 도면 기준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렌즈부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와 렌즈부의 형태를 통하여 지지부와 밀착되고 원하는 측면 형태를 갖는 렌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면의 폭은 상이하고 예를들면 도면 기준으로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렌즈부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와 렌즈부의 형태를 통하여 지지부와 밀착되고 원하는 측면 형태를 갖는 렌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의 입사 및 출사에 대한 효율을 향상하여 광효율을 향상하는 광모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연결면 및 제2 연결면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증가하도록 하여 이에 대응하는 렌즈부가 지지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렌즈부의 불필요한 운동 및 지지부로부터 이탈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면 및 굴곡면을 통하여 상기 렌즈부가 지지부에 효과적으로 지지 또는 밀착되어 지지되는 렌즈 모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 제조 시 렌즈부 원재료가 굴곡면에 대응하는 홈부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어서 렌즈부와 지지부간의 리크 발생을 감소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서 광통신에 사용 시 미세하게 정밀 제어가 가능한 광모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면이 아래로 갈수록, 예를들면 제1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의 포이 크도록 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렌즈부를 용이하게 형성하여 효율이 향상된 비구면 렌즈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연결면을 통하여 렌즈부를 지지부에 대응하여 렌즈 모듈 제조 시 렌즈부 원재료를 지지부에 배치하고 하방으로부터 하측 가공부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압력 제공 시 하측 가공부의 원활한 압력 제공으로 레즈부와 지지부 사이의 리크를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방법들, 소프트웨어, 상기 방법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렌즈 모듈
110, 210: 렌즈부
120, 220: 지지부

Claims (4)

  1. 렌즈부 및 지지부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로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제1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내측면;
    상기 제1 내측면과 대향하고 제2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내측면;
    상기 제1 내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측면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1 내측면에 인접한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측면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연결면; 및
    상기 제2 내측면의 최대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2 내측면과 가까운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내측면과 가까운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측면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서로 마주하고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2 연결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연결면 및 상기 제2 내측면에 연결되고 적어도 상기 제2 연결면과 나란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연장면을 더 포함하는 렌즈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연장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렌즈 모듈.
KR1020190050287A 2019-04-30 2019-04-30 렌즈 모듈 KR20200126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87A KR20200126525A (ko) 2019-04-30 2019-04-30 렌즈 모듈
KR1020210105915A KR102381780B1 (ko) 2019-04-30 2021-08-11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87A KR20200126525A (ko) 2019-04-30 2019-04-30 렌즈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915A Division KR102381780B1 (ko) 2019-04-30 2021-08-11 렌즈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25A true KR20200126525A (ko) 2020-11-09

Family

ID=734293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287A KR20200126525A (ko) 2019-04-30 2019-04-30 렌즈 모듈
KR1020210105915A KR102381780B1 (ko) 2019-04-30 2021-08-11 렌즈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915A KR102381780B1 (ko) 2019-04-30 2021-08-11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26525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3201A (ja) * 2001-07-05 2003-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これに用いる成形金型と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5070413A (ja) * 2003-08-25 2005-03-17 Alps Electric Co Ltd ホルダ付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56905A (ja) * 2009-01-05 2010-07-15 Panasonic Corp 光学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34406B1 (ko) * 2012-05-31 2014-08-27 군장대학산학협력단 광통신 렌즈의 제조방법
JP2014006300A (ja) * 2012-06-21 2014-01-16 Alps Electric Co Ltd 鏡筒付きレンズ及びこれを用いた光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150A (ko) 2021-08-19
KR102381780B1 (ko) 202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61179A1 (en) Optical lens,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8348463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US20160334563A1 (en) Light guide plate with multi-directional structures
US20100149801A1 (en) Led optical lens and illumination device thereof
JP6353366B2 (ja) 光結合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モジュール
KR20060014899A (ko) 다중 렌즈 발광 다이오드
JP6747448B2 (ja) 光路変換素子、光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光伝送システム
WO2019148639A1 (zh) 准直镜头
US8654105B2 (en) Optical touch control systems
US20230278301A1 (en) Method for mounting functional elements in a lens
KR20200126525A (ko) 렌즈 모듈
KR20180106962A (ko) Led 조명 장치
KR102327725B1 (ko)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US20210088194A1 (en) Lighting device
CN111886445A (zh) 用于机动车大灯的照明机构
KR102306106B1 (ko) 렌즈 모듈
CN115793129A (zh) 导光部件、光学单元、虚像显示装置以及头戴式显示器
TWI572952B (zh) 發光二極體元件及應用該發光二極體元件的背光模組
CN107797195B (zh) 光组件定位调整装置
KR100733265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02207A (ko) 렌즈 모듈
US20240200902A1 (en) Reticle unit and optical sighting device
KR102362729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EP3670162A1 (en) Method for mounting functional elements in a lens and device therefor
TW202403384A (zh) 影像感測裝置及頭戴式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