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514A - 벤츄리 장치 - Google Patents

벤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514A
KR20200126514A KR1020190050255A KR20190050255A KR20200126514A KR 20200126514 A KR20200126514 A KR 20200126514A KR 1020190050255 A KR1020190050255 A KR 1020190050255A KR 20190050255 A KR20190050255 A KR 20190050255A KR 20200126514 A KR20200126514 A KR 2020012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pipe
air supply
ga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169B1 (ko
Inventor
손윤기
주기동
이근용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16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3/00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before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팬모터의 하단에 혼합관을 설치하고, 이 혼합관 하단에 상단에 배출구를 형성하되, 하단에 유입구를 형성한 공기공급관을 설치하며, 공기공급관의 유입구에 공기의 흡입압력에 대응하여 개폐작동되는 날개편을 형성한 댐퍼를 설치함으로써, 공기공급관의 유입구 및 혼합관의 가스유입구에 흡입압력을 형성하여, 댐퍼의 날개편이 공기공급관 내의 흡입압력에 비례하도록 개방되어 정해진 량의 공기가 공기공급관 내로 공급되고, 공기공급관을 통해 혼합관 내로 이동하는 공기량에 대응하도록 가스유입구를 통해 가스가 공급되어, 혼합관 내에서 정해진 량의 가스와 공기가 고르게 혼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의 날개편 개방 면적이 공기공급관 내의 흡입압력에 비례하도록 개방되어, 유입구 주변의 공기가 공기공급관 내로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고, 팬모터 회전구동력에 비례하는 정확한 량의 공기가 공기공급관을 통해 혼합관 내로 공급되어, 혼합관 내에서 혼합되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비율이 상승되며, 혼합비율이 상승된 혼합가스를 점화하여 점화 불량 방지와 동시에 연소 성능이 향상되고, 특히, 팬모터의 회전구동력에 대응하여 가스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공급량과 댐퍼를 통해 혼합관 내로 공급되는 공기공급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가스와 공기를 정확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벤츄리 장치{Venturi device}
본 발명은 벤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공급관의 배출구를 댐퍼로 마감하되, 배출구로 공급되는 공기의 흡입압력에 대응하여 댐퍼의 날개편이 개폐작동되면서 공기공급관 내로 가스 공급량에 비례하는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벤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보일러는 그 설치형태에 따라 벽걸이형과 바닥설치형으로 구분되고, 온수공급방식에 따라서는 보일러 몸체의 열교환기가 온수용 열교환기에 의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과 별도의 온수저장탱크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분되며, 아울러 난방수 순환방식에 따라서는 보일러 내의 난방순환회로가 대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대기차단식과 보일러 내의 난방회로가 개방된 방식의 대기 개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가스보일러는 외부의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아 혼합하고, 이 혼합된 혼합가스를 버너부로 공급함으로써, 버너부 내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점화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난방배관 및 관체에 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가스버너에 의해 가열되어 순환펌프에 의해 난방배관 및 급탕배관으로 공급되어 실내를 난방시키거나 급탕수로 공급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가스보일러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체 내에 설치된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 일단에 결합된 버너와, 일단이 상기 버너에 연결되되 타단이 흡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버너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일단이 상기 버너에 연결되되 타단이 외부의 가스관과 연결되어 상기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버너와 상기 공기공급관 사이에 설치된 공기흡입팬을 구동시키면, 상기 공기흡입팬에 의해 상기 공기흡입관 내에 흡입압력이 형성되고, 이에따라, 상기 공기공급관 말단과 연결된 상기 흡기관의 흡기공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흡기관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관 내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관을 통해 상기 버너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스공급관을 통해 가스가 공급되고, 이 가스는 상기 버너로 공급되어 상기 공기와 혼합되면서 혼합가스로 변화된다.
이때, 상기 버너에서 생성된 혼합가스는 연소실 내에서 연소되면서 상기 연소실을 점화작동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공기공급관 및 가스공급관 각각을 통해 버너로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여, 가스와 공기의 비율이 일정하지 않고, 흡입공 면적에 비례하도록 공기공급관을 통해 공기가 일정하게 공급되어,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에 비해 공기량이 상승되거나 혹은 하강되어 연소성능이 저하되며, 연소성능 저하로 인해 혼합가스가 연소실 내에서 점화되지 못해 제품의 기능이 상실됨과 동시에 공명음이 발생되고, 특히, 공기흡입팬에 의해 버너로 공급되는 공기량에 대응하도록 가스 공급량을 수시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268001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팬모터의 하단에 혼합관을 설치하고, 이 혼합관 하단에 상단에 배출구를 형성하되, 하단에 유입구를 형성한 공기공급관을 설치하며, 공기공급관의 유입구에 공기의 흡입압력에 대응하여 개폐작동되는 날개편을 형성한 댐퍼를 설치함으로써, 팬모터로 공기공급관의 유입구 및 혼합관의 가스유입구에 흡입압력을 형성하여, 유입구에 설치된 댐퍼의 날개편이 공기공급관 내의 흡입압력에 대응하여 정해진 면적으로 개방되어 정해진 량의 공기가 공기공급관 내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공급관을 통해 혼합관 내로 이동하는 공기량에 대응하도록 가스유입구를 통해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여, 혼합관 내에서 정해진 량의 가스와 공기가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는 벤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을 통해 공기를 공급받되, 외면에 형성된 가스유입구를 통해 가스를 공급받아,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는 혼합관;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상기 혼합관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에 상기 팬모터에 의해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유입구를 형성하며, 상단에 상기 혼합관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형성한 공기공급관; 상기 공기공급관의 유입구를 마감하도록 설치되고,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관 내의 흡입압력에 대응하도록 개폐작동되는 날개편을 포함하는 댐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면 테두리에 상기 공기공급관의 유입구 테두리로 억지 끼움되는 끼움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날개편은, 균등한 면적을 갖도록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동일한 면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날개편 사이에 정해진 폭으로 관통 형성되어,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통과홀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공기통과홀이 교차되는 중심부에 공기공급관 중앙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중앙홀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날개편은, 상기 공기공급관 내의 흡입압력에 비례하도록, 상기 댐퍼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흡입되면서 개방되거나 혹은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유입구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날개편은, 상기 공기공급관 내의 흡입압력에 의해 개방되거나 혹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유입구를 마감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화염에 견딜 수 있는 불연소성고무재질 또는 불연소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의 날개편 개방 면적이 공기공급관 내의 흡입압력에 비례하도록 개방되어, 유입구 주변의 공기가 공기공급관 내로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고, 팬모터 회전구동력에 비례하는 정확한 량의 공기가 공기공급관을 통해 혼합관 내로 공급되어, 혼합관 내에서 혼합되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비율이 상승되며, 혼합비율이 상승된 혼합가스를 점화하여 점화 불량 방지와 동시에 연소 성능이 향상되고, 특히, 팬모터의 회전구동력에 대응하여 가스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공급량과 댐퍼를 통해 혼합관 내로 공급되는 공기공급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가스와 공기를 정확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의 공기공급관 내로 공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의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팬모터(100)는 회전구동된다.
상기 팬모터(100)는 보일러(미도시)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모터(100)는 보일러(미도시) 내부에 설치된 버너(미도시) 일단에 고정설치되어 각각의 상기 공기공급관(300) 및 혼합관(200)을 통해 공기와 가스가 강제 흡입되도록, 상기 공기공급관(300) 및 혼합관(200)에 흡입압력을 형성한다.
상기 팬모터(100)는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유입구(301)에 흡입압력을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유입구(301)로 흡입되도록 한다.
상기 팬모터(100)는 상기 혼합관(200)의 가스유입구(201)에 흡입압력을 형성하여, 상기 가스유입구(201)를 통해 상기 혼합관(200) 내로 가스가 흡입되도록 한다.
혼합관(200)은 상기 팬모터(100)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을 통해 공기를 공급받되, 외면에 형성된 가스유입구(201)를 통해 가스를 공급받아, 가스와 공기를 혼합한다.
상기 가스유입구(201)는 상기 혼합관(200)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호스(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혼합관(200)은 상부를 통해 상기 팬모터(100) 방향으로 혼합가스를 토출한다.
상기 혼합관(200)은 그 내부에 상광하협 구조의 안내관(200a)을 더 형성한다.
상기 안내관(200a)은 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가스유입구(201)을 통해 상기 혼합관(200) 내로 유입된 가스가 빨려들어가도록 유도한다.
공기공급관(300)은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상기 혼합관(200)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에 상기 팬모터(100)에 의해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유입구(301)를 형성하며, 상단에 상기 혼합관(20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302)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공급관(300)은 상기 팬모터(100)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상기 유입구(301) 측에 흡입압력을 형성한다.
상기 유입구(301)는 상기 공기공급관(300) 하단 주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한다.
상기 유입구(301)는 상기 댐퍼(400)에 의해 마감된다.
댐퍼(400)는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유입구(301)를 마감하도록 설치되고,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에 대응하도록 개폐작동되는 날개편(401)을 포함한다.
상기 댐퍼(400)는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유입구(301)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댐퍼(400)는 상면 테두리에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유입구(301) 테두리로 억지 끼움되는 끼움홈(402)을 더 형성한다.
상기 댐퍼(400)의 날개편(401)은 균등한 면적을 갖도록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동일한 면적으로 개방된다.
상기 댐퍼(400)는 상기 날개편(401) 사이에 정해진 폭으로 관통 형성되어,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통과홀(401a)을 더 형성한다.
상기 공기통과홀(401a)은 상기 날개편(401)이 개방되면서 서로 걸림되거나 혹은 밀폐되면서 서로 겹침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공기통과홀(401a)은 상기 댐퍼(400)의 정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퍼져 나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400)는 상기 공기통과홀(401a)이 교차되는 중심부에 공기공급관(300) 중앙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중앙홀(401b)을 더 형성한다.
상기 중앙홀(401b)은 상기 댐퍼(400)를 통해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중앙부 직 상방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혼합관(200)의 중앙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중앙홀(401b)의 직경은 상기 혼합관(200)의 안내관(200a)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400)의 날개편(401)은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에 비례하도록, 상기 댐퍼(4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흡입되면서 개방되거나 혹은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유입구(301)를 밀폐한다.
상기 날개편(401)은 상협하광 구조로 개방되면서,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댐퍼(400)의 날개편(401)은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에 의해 개방되거나 혹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유입구(301)를 마감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화염에 견딜 수 있는 불연소성고무재질 또는 불연소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날개편(401)은 상기 공기공급관(300)을 통해 역화되는 불꽃이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유입구(301)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벤츄리 장치는 보일러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보일러(미도시)를 가동시키게 되면, 상기 보일러(미도시) 내에 설치된 팬모터(100)가 회전구동되고, 이 팬모터(100)에 의해 상기 혼합관(200) 및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에 흡입압력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팬모터(100) 하단에는 혼합관(200)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혼합관(200) 하단에는 상기 공기공급관(300)이 연결 설치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혼합관(200)은 가스호스(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호스(미도시)를 통해 상기 혼합관(200)내로 가스를 공급받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스호스(미도시)는 상기 혼합관(200)의 가스유입구(201)에 연결되고, 이 가스유입구(201)를 통해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혼합관(200)과 상기 안내관(200a) 사이 공간으로 가스가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에 형성된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구(301) 측에 흡입압력이 형성되고, 이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구(301) 측 주변의 공기가 상기 댐퍼(400)의 공기통과홀(401a) 사이로 통과되어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301) 측의 흡입압력이 상기 댐퍼(400)의 날개편(401) 탄성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날개편(401)이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고, 이때, 상기 날개편(401)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개방되는 상기 날개편(401) 사이의 개방 면적은 상기 팬모터(10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에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날개편(401)은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유입구(301) 측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상협하광 구조로 개방된다.
이어서,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배출구(302)를 통해 상기 혼합관(200) 내로 공급되면서, 상기 혼합관(200)과 안내관(200a) 사이에 음압을 형성하고, 이 음압에 의해 상기 혼합관(200)과 상기 안내관(200a) 사이로 공급된 가스가 상기 혼합관(200) 내로 빨려들어간다.
그러면, 상기 혼합관(200) 내로 공급된 가스와 공기가 상기 혼합관(200) 내에서 혼합된 후 상기 팬모터(100)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팬모터(100)에 의해 보일러의 버너(미도시) 측으로 토출되고, 이 버너에서 혼합가스를 점화하여 화염을 생성하는 것이다.
한편, 보일러의 버너에서 화염이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의 화력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팬모터(100)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이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혼합관(200) 및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을 변화시킨다.
이때, 상기 혼합관(200) 내의 흡입압력 변화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스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량이 조절되고, 또한,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댐퍼(400)의 날개편(401) 사이의 개방 면적이 비례하도록 탄성 변화되어, 상기 날개편(401) 사이를 통해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변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흡입압력이 상기 날개편(401)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날개편(401) 사이의 개방면적이 상승되고,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흡입압력이 상기 날개편(401)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상기 날개편(401) 사이의 공기통과홀(401a)과 상기 날개편(401)이 교차되는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중앙홀(401b)을 통해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앙홀(401b)은 상기 유입구(301) 주변의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정 중앙부 직 상방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관(300) 직 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혼합관(200)의 정 중앙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혼합관(200) 내로 공급된 가스와 공기는 혼합된 후 상기 팬모터(100)를 통해 상기 버너로 공급된다.
반면, 보일러 구동을 차단하여 버너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팬모터(100)의 회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혼합관(200) 및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이 상실되고, 이때, 가스유입구(201)에 가스공급을 허가하는 가스밸브(미도시)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혼합관(200)의 가스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가 차단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 상실과 동시에 상기 댐퍼(400)의 날개편(401)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유입구(301)를 마감하고, 이에따라, 상기 혼합관(200) 내로 가스와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으로 댐퍼(400)의 날개편(401)이 유입구(301)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개방되도록 하여, 날개편(401) 사이의 개방 면적을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에 비례하도록 개방하여 공기공급관(300) 내로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는, 댐퍼(400)의 날개편(401) 개방 면적이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에 비례하도록 개방되어, 유입구(301) 주변의 공기가 공기공급관(300) 내로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고, 팬모터(100) 회전구동력에 비례하는 정확한 량의 공기가 공기공급관(300)을 통해 혼합관(200) 내로 공급되어, 혼합관(200) 내에서 혼합되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비율이 상승되며, 혼합비율이 상승된 혼합가스를 점화하여 점화 불량 방지와 동시에 연소 성능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 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팬모터 200 : 혼합관
200a : 안내관 201 : 가스유입구
300 : 공기공급관 301 : 유입구
302 : 배출구 400 : 댐퍼
401 : 날개편 401a : 공기통과홀
401b : 중앙홀 402 : 끼움홈

Claims (7)

  1. 팬모터(100)와;
    상기 팬모터(100)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을 통해 공기를 공급받되, 외면에 형성된 가스유입구(201)를 통해 가스를 공급받아,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는 혼합관(200);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상기 혼합관(200)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에 상기 팬모터(100)에 의해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유입구(301)를 형성하며, 상단에 상기 혼합관(20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302)를 형성한 공기공급관(300);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유입구(301)를 마감하도록 설치되고,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관 내의 흡입압력에 대응하도록 개폐작동되는 날개편(401)을 포함하는 댐퍼(4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400)는,
    상면 테두리에 상기 공기공급관(300)의 유입구(301) 테두리로 억지 끼움되는 끼움홈(402)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400)의 날개편(401)은,
    균등한 면적을 갖도록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동일한 면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400)는,
    상기 날개편(401) 사이에 정해진 폭으로 관통 형성되어,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통과홀(401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400)는,
    상기 공기통과홀(401a)이 교차되는 중심부에 공기공급관(300) 중앙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중앙홀(401b)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400)의 날개편(401)은,
    상기 공기공급관(300) 내의 흡입압력에 비례하도록, 상기 댐퍼(4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흡입되면서 개방되거나 혹은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유입구(301)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400)의 날개편(401)은,
    상기 공기공급관 내의 흡입압력에 의해 개방되거나 혹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유입구를 마감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화염에 견딜 수 있는 불연소성고무재질 또는 불연소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 장치.
KR1020190050255A 2019-04-30 2019-04-30 벤츄리 장치 KR102214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55A KR102214169B1 (ko) 2019-04-30 2019-04-30 벤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55A KR102214169B1 (ko) 2019-04-30 2019-04-30 벤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14A true KR20200126514A (ko) 2020-11-09
KR102214169B1 KR102214169B1 (ko) 2021-02-09

Family

ID=7342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255A KR102214169B1 (ko) 2019-04-30 2019-04-30 벤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015B1 (ko) * 2022-12-16 2023-05-12 최진민 보일러용 가스 혼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001B1 (ko) 1998-03-10 2001-04-02 구자홍 가스온풍기의 공기공급관 연결상태 감지장치
KR101317441B1 (ko) * 2013-04-25 2013-10-10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기용 댐퍼
KR20190023452A (ko) * 2017-08-29 2019-03-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001B1 (ko) 1998-03-10 2001-04-02 구자홍 가스온풍기의 공기공급관 연결상태 감지장치
KR101317441B1 (ko) * 2013-04-25 2013-10-10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기용 댐퍼
KR20190023452A (ko) * 2017-08-29 2019-03-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015B1 (ko) * 2022-12-16 2023-05-12 최진민 보일러용 가스 혼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169B1 (ko)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1627B2 (en) Modulating burner with venturi damper
KR101259764B1 (ko) 연소기기용 듀얼 벤츄리
KR102214169B1 (ko) 벤츄리 장치
KR20200078770A (ko) 공기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보일러용 벤츄리장치
JP6485790B2 (ja) ボイラ
KR101123848B1 (ko) 자동 혼합기 조절장치가 마련된 가스버너
JP6508515B2 (ja) ボイラ
KR100960100B1 (ko) 버너용 혼합가스의 비례제어 장치
CN209744374U (zh) 燃气设备
CA2822019C (en) Mixture supply system for a hot water appliance, a hot water appliance comprising such a mixture supply system and a method for mixing a fuel and an oxidizer
US11603851B2 (en) Draft inducer blower
JP6727710B2 (ja) ガスバーナ装置
KR20070076914A (ko) 버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1197746A (zh) 燃气设备
KR101908318B1 (ko)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JP6833265B2 (ja) 予混合式ガスバーナ
US20200025369A1 (en) Adjustable restrictor for burner
CN205746842U (zh) 进气装置
KR102543014B1 (ko)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JP6488550B2 (ja) ボイラ
US3261389A (en) Oil burner equipment
CN220911449U (zh) 一种预混器及燃气采暖热水炉
CN112128757A (zh) 预混装置和燃气设备
WO2007057772A2 (en) Gas-heating apparatus with pre-mix burner, particularly boiler for domestic use
KR920005742Y1 (ko)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