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043A -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043A
KR20200126043A KR1020190049505A KR20190049505A KR20200126043A KR 20200126043 A KR20200126043 A KR 20200126043A KR 1020190049505 A KR1020190049505 A KR 1020190049505A KR 20190049505 A KR20190049505 A KR 20190049505A KR 20200126043 A KR20200126043 A KR 20200126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filter
adhesive layer
scree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649B1 (ko
Inventor
김두규
Original Assignee
김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규 filed Critical 김두규
Priority to KR102019004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6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01D2239/0492Surface coating material on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를 차단 및 필터링하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제조된 부직포로서, 공기투과율은 적어도 70% 이상을 갖도록 하고,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 가능하도록 제조된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의 일측 표면에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0.2mm의 크기를 갖는 도트(dot) 형태로 코팅하여 전체면적에 걸쳐 간격 배열한 구성의 점착층을 형성하되, 상기 점착층을 통한 간편한 시공성과 견고한 부착성을 갖도록 1㎠당 80~90개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도트 배열에 의한 구성을 갖는 점착층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 측에 부착 사용함에 있어 아주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간편성과 시공성은 물론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고 부착상태에서의 안정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점착층의 형성에도 통기성을 제공하면서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를 부착하여 차단 및 필터링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FINE DUST FILT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 측 부착 사용에 따른 간편성과 시공성 및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통기성의 구비에 따라 실내공기의 환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 등에 대한 차단 및 필터링 처리효율은 높일 수 있도록 한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의 주택에는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해 창문이 마련되고, 이러한 창문에는 파리나 모기 또는 벌레 등을 비롯한 각종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방충망은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메쉬 구조의 망체로서,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해 창문을 개방시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나, 최근에 대기환경의 가장 큰 오염원이 되고 있는 미세먼지나 황사 등을 차단하는 데에는 역부족이라 할 수 있다.
부연하여, 상기 메쉬 구조의 망체인 방충망으로는 계절적인 요인에 의한 대기오염원으로 대표되는 미세먼지나 황사 등의 유해물질을 차단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미세먼지나 황사 등의 유해물질이 방충망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밖에 없고 이는 사람의 호흡기 및 피부에 악영향을 주게 됨은 물론 각종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1192996호에서와 같이, 황사방지 방충망이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파이버 글라스로 이루어진 메쉬의 일면에 정전기가 많은 합성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제직된 모노필라멘트 메쉬를 접합하여 일체화한 형태를 갖게 한 것으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방충망에 비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사용시간이 증가하면 방충망이 먼지나 황사 또는 미세먼지 등으로 인하여 오염되는데 이를 씻어내기 불편하고 경제성 측면에서 쉽게 교체하여 사용하기에도 쉽지 않은 실정에 있다.
또한, 상술한 황사방지 방충망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84864호 및 제10-2016-0104130호 등지에서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필터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창틀이나 방충망에 단순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부착 견고성이 좋지 못하여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종래 미세먼지 차단필터에는 방충망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접착제층을 부직포 등의 필터부재 전체면에 걸쳐 형성시키므로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한 통기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새로운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299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486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413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 측 부착 사용에 따른 간편성과 시공성 및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통기성의 구비에 따라 실내공기의 환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 등에 대한 차단 및 필터링 처리효율은 높일 수 있도록 한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는,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하여 사용하며,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하기 위한 미세먼지 창문 필터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제조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다공성 필터부재;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의 일측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점착성 소재로서,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간단하게 부착 사용하기 위한 간편성과 시공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유해물질의 부착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다공성 필터부재 측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0.2mm의 크기를 갖는 도트(dot) 형태로 코팅 및 전체면적에 걸쳐 간격 배열하되, 견고한 부착성을 갖도록 1㎠당 80~90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와 점착층의 사이에 개재되어 다공성 필터부재와 점착층간의 친밀성 및 점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코팅 형성되는 언더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언더코팅층은 점착성을 유지하면서 통기성을 제공하도록 통기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을 갖도록 하되, 상기 통기성 수지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실리콘,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하는데 사용되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A)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제조된 부직포로서, 공기투과율은 적어도 70% 이상을 갖도록 하고,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 가능하도록 제조된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의 일측 표면에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0.2mm의 크기를 갖는 도트(dot) 형태로 코팅하여 전체면적에 걸쳐 간격 배열한 구성의 점착층을 형성하되, 상기 점착층을 통한 간편한 시공성과 견고한 부착성을 갖도록 1㎠당 80~90개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도트 배열에 의한 구성을 갖는 점착층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하는데 사용되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A)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제조된 부직포로서, 공기투과율은 적어도 70% 이상을 갖도록 하고,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 가능하도록 제조된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의 일측 표면에 코팅 형성되고, 미세먼지 창문 필터와 후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층간의 친밀성 및 점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되, 점착성을 유지하면서 통기성을 제공하도록 다공성 구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실리콘, 폴리우레탄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되는 통기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언더코팅층 상에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0.2mm의 크기를 갖는 도트(dot) 형태로 코팅하여 전체면적에 걸쳐 간격 배열한 구성의 점착층을 형성하되, 상기 점착층을 통한 간편한 시공성과 견고한 부착성을 갖도록 1㎠당 80~90개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도트 배열에 의한 구성을 갖는 점착층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 측에 부착 사용함에 있어 아주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간편성과 시공성은 물론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고 부착상태에서의 안정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점착층의 형성에도 통기성을 제공하므로 실내공기는 환기 처리하면서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 등에 대해서는 이를 부착하여 차단 및 필터링 처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에 있어 점착층을 형성시킨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에 있어 언더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에 있어 점착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에 대해 점착층을 이용하여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낸 시공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낸 시공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100)는 일정 이상의 공기투과에 의해 실내공기의 환기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 등을 유용하게 차단 및 필터링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먼지의 필터링을 위한 다공성 필터부재(11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11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제조된 부직포로서, 공기투과율은 적어도 70% 이상을 갖도록 하고,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에 대해 100㎍/㎥ 이하로 차단 및 필터링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11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의 고분자재료를 압출 방사하여 섬유집합체를 갖는 다공성 조직의 웹으로 제조하되, 시트 형태로 제조된다.
여기에서,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110)는 10㎛ 이하의 입자로 규정되는 미세먼지 및 2.5㎛ 이하의 입자로 규정되는 초미세먼지를 유용하게 차단 및 필터링 처리할 수 있도록 5~10㎚의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100)를 제조시에는 고분자재료의 압출 방사에 따른 용이성을 위해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등의 방사용액이 사용된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11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의 고분자재료에 다공성 재료를 첨가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압출 방사하여 섬유집합체를 갖는 다공성 조직의 웹으로 제조하되 시트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다공성 재료는 다공성 구조이면서도 흡착 특성 및 공기정화 능력을 갖는 소재인 활성탄, 숯, 제올라이트, 이산화티탄, 황토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공성 재료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도 있으며, 분말 형태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100)는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간단하게 부착 사용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시공성을 갖게 하면서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 등에 대한 부착효과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도록 한 점착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120)은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110)의 일측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점착성 소재로서,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110) 측이 기본적으로 구비하여야 할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트(dot) 형태로 코팅하여 형성 및 전체 면적에 걸쳐 간격 배열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층(120)은 다공성 필터부재(110) 측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0.2mm의 크기를 갖는 도트(dot) 형태로 코팅 및 전체면적에 걸쳐 간격 배열하며, 특히 견고한 부착성을 갖도록 1㎠당 80~90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점착층(120)은 폴리머 자체에 점착성이 있어 우수한 점착성을 제공할 수 있고 내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아크릴산에스테르 코폴리머를 주재료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120)은 광범위한 온도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내열성과 내한성, 내화학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실리콘고무를 주재료로 하는 실리콘계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점착층(120)은 도트(dot) 방식에 의한 구성이되,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구조의 도트 형태로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층(120)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100)는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110)와 점착층(120)의 사이에 개재되는 언더코팅층(1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언더코팅층(140)은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110)의 일측 표면에 코팅 형성되는 것으로서, 다공성 필터부재(110)와 점착층(120)간의 점착력을 강화하여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언더코팅층(140)은 점착성을 가지면서 통기성을 제공하도록 통기성 수지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언더코팅층(140)을 위한 통기성 수지로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 사용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언더코팅층(140)은 상기 나열한 다공성 구조를 갖는 통기성 수지에 대해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110) 측과의 강한 결합성을 제공하는 매개기능을 하도록 다공성 구조를 갖는 폴리우레탄을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언더코팅액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다공성 필터부재(110)를 위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측과 강한 결합성 및 친밀성을 갖게 하는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 필터부재(110)에 대해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하고, 언더코팅층(140)에 대해 통기성 수지에 폴리우레틴을 혼합한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우수한 점착성 및 견고한 부착성을 발휘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언더코팅층(14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점착층(120)이 언더코팅층 상에 코팅되어 형성된다 할 것이다.
상기 언더코팅층(140)에 있어서도 점착층(120)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도록 도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100)를 통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이나 방충망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방충망에 직접 부착하되 간단하게 부착 및 시공할 수 있고 견고한 부착성을 갖게 하여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하는데 사용되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시공방법으로서, 미세먼지 창문 필터 구비단계(S10), 도트형 점착층 형성단계(S20), 및 점착층을 이용한 부착 시공단계(S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 구비단계(S1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제조된 부직포로서, 공기투과율은 적어도 70% 이상을 갖도록 하고,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 가능하도록 제조된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는 이미 상술한 구성인 다공성 필터부재를 지칭한다 할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구성은 이를 준용하기로 한다.
상기 도트형 점착층 형성단계(S20)는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의 일측 표면에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0.2mm의 크기를 갖는 도트(dot) 형태로 코팅하여 전체면적에 걸쳐 간격 배열한 구성의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점착층은 미세먼지 창문 필터에 대해 간편한 시공성과 견고한 부착성을 갖게 하면서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당 80~90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을 이용한 부착 시공단계(S30)는 상기 도트 배열에 의한 구성을 갖는 도트형 점착층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 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의 부착 사용에 따른 간편성과 시공성 및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하는데 사용되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시공방법으로서, 미세먼지 창문 필터 구비단계(S110), 언더코팅층 형성단계(S120), 도트형 점착층 형성단계(S130), 및 점착층을 이용한 부착 시공단계(S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 구비단계(S11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제조된 부직포로서, 공기투과율은 적어도 70% 이상을 갖도록 하고,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 가능하도록 제조된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는 이미 상술한 구성인 다공성 필터부재를 지칭한다 할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구성은 이를 준용하기로 한다.
상기 언더코팅층 형성단계(S120)는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의 일측 표면에 코팅 형성하되 미세먼지 창문 필터와 후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층간의 친밀성 및 점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언더코팅층은 점착성을 가지면서 통기성을 제공하도록 통기성 수지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데, 통기성 수지로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 사용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언더코팅층은 상기 나열한 다공성 구조를 갖는 통기성 수지에 대해 미세먼지 창문 필터 측과의 강한 결합성을 제공하는 매개기능을 하도록 다공성 구조를 갖는 폴리우레탄을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도트형 점착층 형성단계(S130)는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의 일측 표면에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상태에 상기 언더코팅층 위에 형성하는 단계로서,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0.2mm의 크기를 갖는 도트(dot) 형태로 코팅하여 전체면적에 걸쳐 간격 배열한 구성의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점착층은 미세먼지 창문 필터에 대해 간편한 시공성과 견고한 부착성을 갖게 하면서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당 80~90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을 이용한 부착 시공단계(S140)는 상기 도트 배열에 의한 구성을 갖는 도트형 점착층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 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의 부착 사용에 따른 간편성과 시공성 및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을 수행함에 있어서,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 측에 간단하게 부착 사용할 수 있는 간편성과 시공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견고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점착층을 통해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 등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안정감 있게 부착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미세먼지 창문 필터
110; 다공성 필터부재
120: 점착층
130; 이형지
140; 언더코팅층

Claims (4)

  1.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하여 사용하며,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하기 위한 미세먼지 창문 필터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제조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다공성 필터부재;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의 일측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점착성 소재로서,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간단하게 부착 사용하기 위한 간편성과 시공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유해물질의 부착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점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다공성 필터부재 측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0.2mm의 크기를 갖는 도트(dot) 형태로 코팅 및 전체면적에 걸쳐 간격 배열하되, 견고한 부착성을 갖도록 1㎠당 80~90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터부재와 점착층의 사이에 개재되어 다공성 필터부재와 점착층간의 친밀성 및 점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코팅 형성되는 언더코팅층; 을 포함하며,
    상기 언더코팅층은 점착성을 유지하면서 통기성을 제공하도록 통기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을 갖도록 하되, 상기 통기성 수지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실리콘,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창문필터.
  3.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하는데 사용되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A)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제조된 부직포로서, 공기투과율은 적어도 70% 이상을 갖도록 하고,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 가능하도록 제조된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의 일측 표면에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0.2mm의 크기를 갖는 도트(dot) 형태로 코팅하여 전체면적에 걸쳐 간격 배열한 구성의 점착층을 형성하되, 상기 점착층을 통한 간편한 시공성과 견고한 부착성을 갖도록 1㎠당 80~90개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도트 배열에 의한 구성을 갖는 점착층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
  4.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하는데 사용되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A)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제조된 부직포로서, 공기투과율은 적어도 70% 이상을 갖도록 하고, 황사나 꽃가루 및 미세먼지의 유해물질을 차단 및 필터링 가능하도록 제조된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미세먼지 창문 필터의 일측 표면에 코팅 형성되고, 미세먼지 창문 필터와 후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층간의 친밀성 및 점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되, 점착성을 유지하면서 통기성을 제공하도록 다공성 구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실리콘, 폴리우레탄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되는 통기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언더코팅층 상에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1±0.2mm의 크기를 갖는 도트(dot) 형태로 코팅하여 전체면적에 걸쳐 간격 배열한 구성의 점착층을 형성하되, 상기 점착층을 통한 간편한 시공성과 견고한 부착성을 갖도록 1㎠당 80~90개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도트 배열에 의한 구성을 갖는 점착층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창틀이나 방충망틀 또는 방충망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창문 필터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90049505A 2019-04-29 2019-04-29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37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505A KR102237649B1 (ko) 2019-04-29 2019-04-29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505A KR102237649B1 (ko) 2019-04-29 2019-04-29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043A true KR20200126043A (ko) 2020-11-06
KR102237649B1 KR102237649B1 (ko) 2021-04-08

Family

ID=7357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505A KR102237649B1 (ko) 2019-04-29 2019-04-29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777A1 (ko)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다중 슬롯 다이 코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0985A (ja) * 2000-04-17 2003-10-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接着剤付着システムを有するフィルタアセンブリ
JP2003299923A (ja) * 2003-02-28 2003-10-21 Yamagata Gravure Co Ltd 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37996A (ko) * 2008-10-02 2010-04-12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점착 및 접착식 공기여과필터
KR101192996B1 (ko) 2010-06-04 2012-10-19 (주) 텍스토머 황사방지 방충망
KR20160104130A (ko) 2015-02-25 2016-09-05 (주) 드림에어 창문용 미세먼지 차단필터
KR20170084864A (ko) 2016-01-13 2017-07-21 윤형빈 유해물질 차단용 필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0985A (ja) * 2000-04-17 2003-10-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接着剤付着システムを有するフィルタアセンブリ
JP2003299923A (ja) * 2003-02-28 2003-10-21 Yamagata Gravure Co Ltd 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37996A (ko) * 2008-10-02 2010-04-12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점착 및 접착식 공기여과필터
KR101192996B1 (ko) 2010-06-04 2012-10-19 (주) 텍스토머 황사방지 방충망
KR20160104130A (ko) 2015-02-25 2016-09-05 (주) 드림에어 창문용 미세먼지 차단필터
KR20170084864A (ko) 2016-01-13 2017-07-21 윤형빈 유해물질 차단용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777A1 (ko)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다중 슬롯 다이 코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649B1 (ko)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8140B2 (ja) 均一に拡張可能なエアフィルタ
KR101192996B1 (ko) 황사방지 방충망
JP3281480B2 (ja) 空気フィルターアセンブリ
KR102429469B1 (ko)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스마트 환풍기
KR101747322B1 (ko) 자연 환기형 멤브레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창호
KR20160104130A (ko) 창문용 미세먼지 차단필터
CN110678619B (zh) 智能窗户及其驱动方法
CN104405271A (zh) 纳米纱窗
KR20170084864A (ko) 유해물질 차단용 필터
KR20190020498A (ko) 초미세먼지 차단용 나노방진망 및 그 제조방법
KR102237649B1 (ko)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47866B1 (ko)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ITMI20140237U1 (it) Pannello filtrante per il filtraggio passivo dell¿aria
CN207405402U (zh) 一种抗菌防雾霾窗纱
CN204266888U (zh) 纳米纱窗
KR200448905Y1 (ko) 방충망 대용 창문형 필터
JP2004324241A (ja) フィルター素材として不織布を結合したフィルター付の網。
CN105275370B (zh) 一种防雾霾窗纱及其制作方法
KR100671007B1 (ko) 벨크로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부직포필터
KR20150042752A (ko) 그물 형상 망 및 이를 이용하는 방충망
KR100779132B1 (ko) 롤 환경방충망
KR102227123B1 (ko) 창호용 섬유재 광 촉매 에어필터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60061767A (ko) 미세먼지방지용 방충망 메쉬형 점착시트
CN211115707U (zh) 一种防雾霾防花粉功能的纳米窗纱
KR102359553B1 (ko)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