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090A - 램프장치 - Google Patents

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090A
KR20200125090A KR1020190048847A KR20190048847A KR20200125090A KR 20200125090 A KR20200125090 A KR 20200125090A KR 1020190048847 A KR1020190048847 A KR 1020190048847A KR 20190048847 A KR20190048847 A KR 20190048847A KR 20200125090 A KR20200125090 A KR 20200125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optical
light source
module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292B1 (ko
Inventor
민경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292B1/ko
Priority to US16/858,385 priority patent/US11255507B2/en
Publication of KR2020012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41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of complex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7Light guides with a single light source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9Light guides with two or more light sources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the fastening being onto or by the lamp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램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램프장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부와, 기판부에 장착되며, 빛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광원모듈부와, 복수개의 광원모듈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입출되는 옵틱부와,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옵틱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렌즈부와, 복수개의 광원모듈부 각각의 점등과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램프장치{RAMP APPARATUS}
본 발명은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조립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호 기능을 가진 램프는 LED 등 하나의 광원에 하나의 옵틱(optic)이 대응되어 설치되므로, 부품의 개수가 늘어나 부품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0323호(발명의 명칭: 자동차의 외장 램프 구동장치, 등록일: 2010.03.2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조립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램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램프장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장착되며, 빛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광원모듈부; 복수개의 상기 광원모듈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입출되는 옵틱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옵틱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렌즈부; 및 복수개의 상기 광원모듈부 각각의 점등과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은 조작신호를 전달받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상기 조작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조작신호를 토대로 복수개의 상기 광원모듈부 각각의 점등과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광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광원모듈부는 각각 빛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또한, 상기 옵틱부는, 상기 광원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입광부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상기 광원모듈부와 마주보는 복수개의 입광모듈부; 복수개의 상기 입광모듈부와 연결되는 옵틱베이스부; 상기 옵틱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입광모듈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입광모듈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나가는 출광부; 및 상기 옵틱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입광모듈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복수개의 상기 입광모듈부 각각으로 들어오는 빛을 상기 출광부 측으로 안내하는 광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상기 옵틱부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고정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부는, 복수개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고정판본체; 및 상기 고정판본체의 상기 기판부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옵틱부의 일부분이 결합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부는, 상기 고정판본체의 상기 기판부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기판부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옵틱부와 접촉되어 상기 옵틱부와 상기 고정판본체의 간격을 설정거리로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부는, 상기 고정판본체의 상기 기판부와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기판부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옵틱부을 받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옵틱베이스부는, 복수개의 상기 입광모듈부 및 상기 출광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격부가 접촉되며,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옵틱베이스본체; 및 상기 옵틱베이스본체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의 고정홀부에 삽입되는 옵틱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옵틱부로부터 전달받은 빛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장치는 복수개의 광원모듈부에서 조사된 빛이 하나의 옵틱부를 통해 입출됨은 물론, 제어부를 통해 복수개의 광원모듈부 각각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조립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옵틱부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고정판부를 통해 옵틱부를 설정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판부에 구비된 고정블록을 통해 옵틱부가 설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판부에 구비된 간격유지부를 통해 옵틱부와 고정판본체가 서로 설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이격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판부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통해 옵틱부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부분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옵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옵틱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요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고정판부에서 옵틱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단면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옵틱부가 작동되는 것을 다양한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가 제어부를 통해 조작신호를 전달받아 시각적으로 구현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부분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옵틱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옵틱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요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고정판부에서 옵틱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단면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의 옵틱부가 작동되는 것을 다양한 예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가 제어부를 통해 조작신호를 전달받아 시각적으로 구현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장치(1)는 하우징부(100), 기판부(200),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 옵틱부(400), 렌즈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기판부(20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기판부(200)는 FPCB(Field Programmable Circuit Board) 즉, 연성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는 기판부(200)에 장착된다.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는 각각 빛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310)을 구비한다. 일 예로,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는 각각 세 개의 광원(411)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은 기판부(200)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광원(310)은 RGB(Red, Green, Blue), 화이트(White), 터키색(Turquoise)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310)에서 조사되는 빛은 자율주행 표시 색상인 초록색 계열이 색상일 수도 있다. 복수개의 광원(310)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거나 동일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옵틱부(400)는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로부터 조사된 빛이 입출된다. 옵틱부(400)는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실리콘(Silic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부(500)는 하우징부(100)에 설치되며, 옵틱부(400)의 전방에 설치된다. 렌즈부(500)는 옵틱부(400)에서 전달받은 빛을 전방으로 투과시킨다. 렌즈부(500)는 빛이 투과하도록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부(500)는 옵틱부(400)로부터 전달받은 빛을 확산시킨다. 렌즈부(500)는 인너 렌즈로 도광판 역할을 하여 옵틱부(400)로부터 전달받은 빛을 확산하여 전방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부(500)는 외측표면이 올록볼록하게 가공될 수 있다. 즉, 옵틱부(400)로부터 전달받은 빛을 확산하여 전방으로 전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렌즈부(500)의 표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 각각의 점등과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입력부(미도시)를 조작하면, 입력부에서 조작신호가 발생되고, 조작신호가 제어부(600)로 전달된다. 이때, 입력부는 차량에 설치되는 입력버튼 등 일 수 있다. 제어부(600)는 조작신호를 토대로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각각의 점등과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은 조작신호에 대응되는 문자, 이미지 등을 시각적으로 구현한다(도 9 내지 도 11).
제어부(600)는 중앙제어부(610)와 광원제어부(620)를 포함한다. 중앙제어부(610)는 입력부로부터 조작신호가 전달받는다. 광원제어부(620)는 중앙제어부(610)로부터 조작신호를 전달받으며, 조작신호를 토대로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 각각의 점등과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도 10과 같이, 한 쌍의 광원모듈부(300)가 하나의 옵틱부(400)를 통해 빛이 입출될 때, 도 10(a)처럼 제어부(600)를 통해 한 쌍의 광원모듈부(300)가 모두 점등되거나, 도 10(d)처럼 제어부(600)를 통해 한 쌍의 광원모듈부(300)가 모두 소등될 수 있다. 또한, 도 10(b), 도 10(c)처럼 제어부(600)를 통해 한 쌍의 광원모듈부(300)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고, 다른 하나는 소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장치(1)는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에서 조사된 빛이 하나의 옵틱부(400)를 통해 입출됨은 물론, 제어부(600)를 통해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 각각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부품조립시간을 단축되어 조립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옵틱부(400)는 복수개의 입광모듈부(410), 옵틱베이스부(420), 출광부(430) 및 광안내부(44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입광모듈부(410)는 광원(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입광부(411)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와 마주본다. 입광부(411)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옵틱부(400)는 세 개의 광원(310)을 구비하는 한 쌍의 광원모듈부(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세 개의 입광부(411)를 구비하는 한 쌍의 입광모듈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도 4 참조). 이때, 한 쌍의 입광모듈부(410)가 이루는 단면의 형상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옵틱부(400)는 하나의 광원(310)을 구비하는 네 개의 광원모듈부(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하나의 입광부(411)를 구비하는 네 개의 입광모듈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입광모듈부(410)가 이루는 단면의 형상은 사각 형상일 수 있다.
광원(310), 광원모듈부(300)의 개수는 상황에 따라 변경가능하며, 입광부(411), 입광모듈부(410)의 개수 역시 광원(310), 광원모듈부(30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광원모듈부(300)의 이루는 단면형상 역시 상황에 따라 원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옵틱부(400)는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로부터 조사된 빛이 각각 들어오는 복수개의 입광모듈부(410)를 포함하므로,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하나의 옵틱부로 입출되는 종래의 기술과 비해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램프장치(1)의 중량이 줄어들 수 있다.
옵틱베이스부(420)는 복수개의 입광모듈부(410)와 연결된다. 옵틱베이스부(420)는 내측면에 입광모듈부(410)이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출광부(430)는 옵틱베이스부(420)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입광모듈부(4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입광모듈부(41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나간다. 출광부(430)는 복수개의 입광모듈부(410)가 이루는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출광부(430)는 복수개의 입광모듈부(410)가 이루는 단면 형상이 마름모인 경우, 이에 대응하여 마름모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도 4, 도 5 참조).
광안내부(440)는 옵틱베이스부(420)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입광모듈부(410)의 외측면을 감싸며, 복수개의 입광모듈부(410) 각각으로 들어오는 빛을 출광부(430) 측으로 안내한다. 광안내부(440)는 옵틱베이스부(420)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입광모듈부(410)의 외측면을 감싸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로부터 조사된 빛이 입광모듈부(410)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램프장치(1)는 고정판부(700)를 더 포함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고정판부(70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옵틱부(400)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부(71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옵틱부(400)의 설정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고정판부(700)는 고정판본체(710)와 고정블록(720)을 포함한다. 고정판본체(710)는 복수개의 관통홀부(711)가 형성된다. 고정블록(720)은 고정판본체(710)의 기판부(200)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옵틱부(400)의 일부분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블록(720)은 한 쌍으로 옵틱베이스부(42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블록(720)의 고정홀부(721)에는 후술된 옵틱베이스부(420)의 한 쌍의 옵틱고정돌기(422)가 각각 삽입된다. 이로써, 옵틱부(400)가 설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판부(700)는 이격부(730)를 더 포함한다. 이격부(730)는 고정판본체(710)의 기판부(200)와 마주보는 면에 기판부(200) 측으로 돌출되고, 옵틱부(400)와 접촉되어 옵틱부(400)와 고정판본체(710)의 간격을 설정거리로 이격시킬 수 있다. 도 8과 같이, 이격부(730)는 복수개로 고정판본체(710) 상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옵틱베이스부(420)의 옵틱베이스본체(421)와 접촉되어 옵틱부(400)와 고정판본체(710)를 이격시킨다. 이때, 이격부(730)는 옵틱베이스본체(421)와 접촉되는 면이 평편할 수 있다. 이로써, 옵틱부(400)와 고정판본체(710)가 서로 설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이격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고정판부(700)는 받침부(740)를 더 포함한다. 받침부(740)는 고정판본체(710)의 기판부(200)와 마주보는 면에서 기판부(200) 측으로 돌출되며, 옵틱부(400)을 받친다. 도 8과 같이, 받침부(740)는 옵틱부(400)의 하측면을 받쳐 옵틱부(40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옵틱베이스부(420)는 옵틱베이스본체(421)와 옵틱고정돌기(422)를 포함한다. 옵틱베이스본체(421)는 복수개의 입광모듈부(410) 및 출광부(430)와 연결되고, 이격부(730)가 접촉되며, 받침부(740)에 의해 지지된다. 옵틱고정돌기(422)는 옵틱베이스본체(421)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고정블록(720)의 고정홀부(721)에 삽입된다. 즉, 옵틱고정돌기(422)는 한 쌍으로 옵틱베이스본체(421)의 양측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고정블록(720)의 고정홀부(721)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장치(1)는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에서 조사된 빛이 하나의 옵틱부(400)를 통해 입출될 수 있는 것으로, 제어부(600)를 통해 복수개의 광원모듈부(300)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은 조작신호에 대응되는 문자, 이미지 등을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부품수가 줄어들어 부품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부품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조립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부(700)를 통해 옵틱부(400)가 설정위치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음은 물론, 설정위치에 조립된 옵틱부(400)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램프장치 100 : 하우징부
110 : 제1하우징 120 : 제2하우징
200 : 기판부 300 : 광원모듈부
310 : 광원 400 : 옵틱부
410 : 입광모듈부 411 : 입광부
420 : 옵틱베이스부 421 : 옵틱베이스본체
422 : 옵틱고정돌기 430 : 출광부
440 : 광안내부 500 : 렌즈부
600 : 제어부 610 : 중앙제어부
620 : 광원제어부 700 : 고정판부
710 : 고정판본체 711 : 관통홀부
720 : 고정블록 721 :고정홀부
730 : 이격부 740 : 받침부

Claims (10)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장착되며, 빛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광원모듈부;
    복수개의 상기 광원모듈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입출되는 옵틱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옵틱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렌즈부; 및
    복수개의 상기 광원모듈부 각각의 점등과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은 조작신호를 전달받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상기 조작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조작신호를 토대로 복수개의 상기 광원모듈부 각각의 점등과 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광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광원모듈부는 각각 빛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부는,
    상기 광원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입광부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상기 광원모듈부와 마주보는 복수개의 입광모듈부;
    복수개의 상기 입광모듈부와 연결되는 옵틱베이스부;
    상기 옵틱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입광모듈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입광모듈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나가는 출광부; 및
    상기 옵틱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입광모듈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복수개의 상기 입광모듈부 각각으로 들어오는 빛을 상기 출광부 측으로 안내하는 광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상기 옵틱부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고정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는,
    복수개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고정판본체; 및
    상기 고정판본체의 상기 기판부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상기 옵틱부의 일부분이 결합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는,
    상기 고정판본체의 상기 기판부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기판부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옵틱부와 접촉되어 상기 옵틱부와 상기 고정판본체의 간격을 설정거리로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는,
    상기 고정판본체의 상기 기판부와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기판부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옵틱부을 받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베이스부는,
    복수개의 상기 입광모듈부 및 상기 출광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격부가 접촉되며,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옵틱베이스본체; 및
    상기 옵틱베이스본체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의 고정홀부에 삽입되는 옵틱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옵틱부로부터 전달받은 빛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장치.
KR1020190048847A 2019-04-26 2019-04-26 램프장치 KR102658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47A KR102658292B1 (ko) 2019-04-26 2019-04-26 램프장치
US16/858,385 US11255507B2 (en) 2019-04-26 2020-04-24 Lamp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47A KR102658292B1 (ko) 2019-04-26 2019-04-26 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90A true KR20200125090A (ko) 2020-11-04
KR102658292B1 KR102658292B1 (ko) 2024-04-18

Family

ID=7292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847A KR102658292B1 (ko) 2019-04-26 2019-04-26 램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55507B2 (ko)
KR (1) KR102658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1691A1 (en) * 2021-02-12 2022-08-18 Valeo Vision Automotive luminous device
FR3119900A1 (fr) * 2021-02-12 2022-08-19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pour auto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4162B1 (en) * 2007-08-23 2011-03-29 Grand General Accessories Manufacturing LED light assembly having heating board
US20120140463A1 (en) * 2010-12-07 2012-06-07 Kinzer David J Led profile luminaire
KR101755866B1 (ko) * 2015-10-23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323B1 (ko) 2008-02-05 2010-03-31 엘이디라이텍(주) 자동차의 외장 램프 구동장치
US10779369B2 (en) * 2018-10-04 2020-09-15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Light fixture with LEDs of multiple different wavelength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4162B1 (en) * 2007-08-23 2011-03-29 Grand General Accessories Manufacturing LED light assembly having heating board
US20120140463A1 (en) * 2010-12-07 2012-06-07 Kinzer David J Led profile luminaire
KR101755866B1 (ko) * 2015-10-23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55507B2 (en) 2022-02-22
KR102658292B1 (ko) 2024-04-18
US20200340640A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8464U (ja) 音声制御式発光グリル
KR102662832B1 (ko) 자동차용 조명 장치
KR20170095668A (ko)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GB2412722A (en) Interior illuminator for automobile
CN108361651B (zh) 具有装在集成有透明放大屏的支撑件上的光导的照明装置
KR20200125090A (ko) 램프장치
WO2018097473A1 (ko) 테두리 발광 디스플레이장치
CN210743494U (zh) 面板式光通信装置
EP2839989A1 (en) Vehicle light apparatus
CN112136171B (zh) 用于车辆踏板的电气装置
JP2009143409A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
KR101663281B1 (ko) 자동차 방향지시장치
KR200430905Y1 (ko) 교통안전표지판
KR20130065909A (ko)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JP4165331B2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JP7119911B2 (ja) 車両用灯具
JP4366682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50110933A (ko) Led 조명장치
KR200389696Y1 (ko) 교통안전표지판
US20240134109A1 (en) Decoration plate
EP3951256B1 (en) Vehicle lamp
EP4357668A1 (en) Decoration plate
JP7380015B2 (ja) 車両用灯具
KR101900015B1 (ko) 점발광용 조명구조체
JP7070027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