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056A - 성형품의 양측 목에 절개선을 형성시키는 블로우 몰딩장치와 그 장치를 위한 몰드 - Google Patents

성형품의 양측 목에 절개선을 형성시키는 블로우 몰딩장치와 그 장치를 위한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056A
KR20200125056A KR1020190048751A KR20190048751A KR20200125056A KR 20200125056 A KR20200125056 A KR 20200125056A KR 1020190048751 A KR1020190048751 A KR 1020190048751A KR 20190048751 A KR20190048751 A KR 20190048751A KR 20200125056 A KR20200125056 A KR 20200125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low pin
blow
pin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992B1 (ko
Inventor
배민준
Original Assignee
배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민준 filed Critical 배민준
Priority to KR1020190048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9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29C49/60Blow-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68Auxiliary operations during the blow-mou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29C2049/5848Cutting means, e.g. to cut parts of the preform or parison with the blow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29C49/60Blow-needles
    • B29C2049/609Two or more blow-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 몰딩장치는, 경사진 개구부가 상하에 각기 형성되어 중공부와 연통된 구조를 갖는 몰드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몰드측 방향으로 고압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몰드의 하부에서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몰드측 방향으로 고압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제 2블로우핀 유니트와,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의 승강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또한,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제 1 및 제 2블로우핀 유니트를 통한 고압 에어의 분사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양 블로우핀 유니트들의 각각에는 커터링이 고정장착되어 있되, 각 커터링은, 상기 양 개구부에서 대향하는 개구부의 최단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양 블로우핀 유니트를 상기 몰드측으로 이동하도록 각각 작동시키는 동안에,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고압 에어가 분사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성형품의 양측 목에 절개선을 형성시키는 블로우 몰딩장치와 그 장치를 위한 몰드 {Blow-molding machine for forming an incision on both necks of a molding product and a mold for said machine}
본 발명은, 블로잉(blowing) 방식으로 용기를 성형하는 장치와 그 장치를 위한 몰드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용하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사출용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공기의 흡입(suction)을 이용한 진공성형, 그리고 에어 블로잉(blowing)을 통해 성형하는 블로우 몰딩이 있다.
이 중 블로우 몰딩 방식은, 속이 빈 튜브형태의 중공 성형품( 통상, '패리슨'이라고 한다. )을 먼저 만든 뒤, 그 패리슨을 몰드내에 안치시킨 후 몰드내로 고압을 불어넣어 용기를 제조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이러한 방식에 의해 용기를 성형하는 블로우 몰딩장치의 용기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용융된 원료를 압출하여 패리슨(111)을 제조하는 압출다이부(11)와, 한 쌍의 블로우핀 유니트들(12a,12b)과, 한 쌍의 몰드들(13a,13b)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예시된 용기 성형부에서는, 압출다이부(11) 하단에 위치한 몰드(13b)내에 패리슨(111)이 취입되면, 커터(2)에 의해 그 상부가 절단된 후 해당 몰드(13b)는 블로우핀 유니트(12b)의 하부로 이송된다(A). 그리고, 한쪽의 블로우핀 유니트(12a) 하부에 패리슨이 취입된 몰드(13a)가 위치하게 되면, 해당 유니트(12a)의 블로우핀(121)을 하강시켜 몰드(13a)의 개구부로 진입되게 한다. 그리고, 적당한 깊이로 몰드내에 진입되면, 블로우핀을 통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패리슨이 몰드의 형상에 따라 확장되게 하여 용기를 형성하게 된다. 도 2는 이러한 과정에 따라 용기가 몰드내에서 성형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블로우핀(121)이 하강할 때, 그 블로우핀(121)에 외삽되어 고정장착된 가이더(guider)링(122)이 몰드(13a 또는 13b)의 개구부 내경과 일정 폭을 두고서 삽입되면서 패리슨에서 용기의 목(neck) 부분을 확보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고압 에어를 분사하여 패리슨이 몰드 내부의 중공형상의 내면에 압착됨으로써 원하는 용기(20)로 성형되게 한다.
그리고, 이렇게 고압 에어를 분사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나면, 몰드의 개구부 측으로는 버어(burr)(211)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 버어를 제거하는 후가공을 거친 후에야 최종적인 완제품의 용기가 만들어진다.
한편, 용기의 내용물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출수구가 상하 양측에 있는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용기도 블로우 몰딩방식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용기는, 용기 목(neck)이 상단 뿐만 아니라,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도 형성될 수 있는 형상으로 중공된 몰드에 의해 성형된다.
그런데, 양목형 용기의 하부에 형성코자 하는 용기 목 부분은, 형폐된 몰드의 닫힌 하단에 의해 그 하부가 박막(201)으로 밀폐되어 형성되므로, 이 박막(201)을 제거하여 용기 목이 개구부를 갖도록 후가공하여야 상하로 출수구를 갖는 원하는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후가공은, 하부 목 부분을 일정 높이(n_h)에서 절단하는 작업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후가공에서의 편의를 위해, 하부 목에서 절단할 위치(b_cl)와, 상부 목에서 버어를 제거하기 위해 절단할 위치(u_cl)를 각기 식별할 수 있게 하는 환홈(221)이 용기의 성형 시에, 몰드의 중공구조에 의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후가공 시에는, 작업자가 커터나 지그 등을 사용하여 해당 환홈(221)의 위치를 절단함으로써 이중 목을 갖는 용기를 최종적으로 완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적으로 용기 목의 위치를 찾아서 절단함으로써 완성하게 되는 용기들은, 그 절단 위치에 있어 미세하게, 예를 들어 수 mm 범위에서 편차가 있을 수 밖에 없고, 또한 절단면이 수평이 되지 않고 미세하게 경사가 질 수도 있다.
한편, 양목형 용기의 일측 목에는 용기 내의 내용물을 펌핑에 의해 토출시킬 수 있는 펌프 유니트가 장착될 수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 이러한 펌프 유니트의 장착을 위해, 펌프 유니트가 나사식으로 결합장착될 수 있게 하는 결합매개 수단의 사출품이 통상적으로 끼움식으로 용기 목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사출품을 용기 목에 결합시킬 때, 용기들마다 용기 목의 높이에 일정 허용범위 이상으로 편차가 있거나 절단면에 경사가 있게 되면, 일부의 용기들에서는 결합된 사출품과 용기 목 간에 충분한 밀폐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고, 이들 용기는, 용기내에 내용물을 채웠을 때, 누액이 생기거나 펌핑의 압력이 누수되어 펌핑에 의한 내용물 토출이 제대로 되지 않는 불량 제품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용기의 목이 정해진 높이에서 정확히 절단될 수 있도록 블로우 방식으로 용기를 성형하는 블로우 몰딩장치와 그 장치를 위한 몰드를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목형의 용기를 블로우 성형함에 있어서, 각각의 목이 단순한 후가공에 의해 항상 일정한 높이가 되게 하는 절개선을 양측 목에 각기 형성하는 블로우 몰딩장치와 그 장치를 위한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용하여 블로우 몰딩 방식으로 용기를 제조하는 몰딩장치는, 경사진 개구부가 상하에 각기 형성되어 중공부와 연통된 구조를 갖는 몰드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몰드측 방향으로 고압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몰드의 하부에서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몰드측 방향으로 고압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제 2블로우핀 유니트와,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의 승강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또한,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를 통한 고압 에어의 분사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의 각각에는 커터링이 고정장착되어 있되, 상기 각 커터링은, 상기 양 개구부에서 대향하는 개구부의 최단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를 상기 몰드측으로 이동하도록 각각 작동시키는 동안에,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고압 에어가 분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를 통해 고압 에어가 각각 분사되게 함에 있어서, 그 분사되는 시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게 하나의 유니트를 통한 고압 에어의 분사를 중단한 후 다른 하나의 유니트를 통한 고압 에어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의 양 유니트 중, 상기 몰드내에서 용기 성형이 되게 하는 고압 에어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는 하나의 유니트( 예를 들어,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 )에 대한 상기 몰드측으로의 이동을 다른 유니트보다 더 늦게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를 상기 몰드측으로 이동하도록 각각 작동시킬 때, 상기 각 커터링의 환형 모서리가 상기 양 개구부에서 대향하는 개구부의 경사면에 닿을 때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커터링이, 상기 양 개구부에서 대향하는 개구부의 최단 직경보다 d [mm] (0< d <=0.2) 만큼 큰 외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용기의 블로우 성형을 위한 몰드는, 내부에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중공부가 구비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넓어지는 형태인 개구부가 각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과 하단의 각 개구부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단과 하단의 각 개구부가, 상기 몰드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30o~40o의 범위내에서 경사져서 형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품의 양측 목에 절개선을 형성시키는 블로우 몰딩장치와, 그 장치를 위한 몰드는, 블로우 몰딩 방식에 의한 용기의 성형 시에 양측 목의 정해진 위치에 절개선을 형성함으로써, 성형되는 용기는, 항상 양측 목이 각기 일정한 높이로, 그리고 경사지지 않고 평탄한 면으로 절단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어느 일 측 또는 양 측의 목에 사출품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그 사출품에 맞는 정확한 치수로써 제조되기 때문에, 사출품의 결합면으로 내용물이 누액되거나, 펌핑 압력이 누수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불량품이 만들어 질 가능성이 완전히 제거된다.
도 1은, 블로우 몰딩장치에서의 일반적인 용기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블로우 방식으로 양목(dual-neck)형 용기가 몰드내에서 성형되는 것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몰딩 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일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 포밍판과 그 상하의 블로우핀 유니트에 대한 사시도, 그리고 이들에 대해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로우핀 유니트의 승강작동에 의해 헤드핀에 결합고정된 커터링이 몰드의 테이퍼진 개구부의 면에 접촉된 상태와 그들 간의 상대적인 치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목형 용기의 블로우 성형을 위한 몰드내로의 상부와 하부에서의 고압 에어의 분사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몰드내에서 성형되는 용기의 일측 목에는, 경사진 개구부와 커터링의 커딩 모서리에 의해 절개선이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부기된 동일 번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물론, 설명의 편의와 이해에의 도움을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번호로 부기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몰딩장치의 일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예시된 블로우 몰딩 장치(300)에는, 용기가 성형되는 몰드를 구성하는 한 쌍의 몰드 포밍판(31a,31b)과, 그 한 쌍의 몰드 포밍판(31a,31b)이 각각 결착고정되는 한 쌍의 몰드 플레이트(32a,32b)와, 상기 한 쌍의 몰드 포밍판(31a,31b)이 형폐되는 지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41)와, 상기 한 쌍의 몰드 포밍판(31a,31b)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와, 상기 블로우 몰딩장치(300)에 대한 각종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하고, 또한 장치내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몰드 포밍판(31a,310b)( 이 한 쌍의 몰드 포밍판에 대해서 간략히 '몰드'라고 칭한다. )내에서 양측의 목에 절개선이 형성된 성형품이 만들어지게 하는 제어부(3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30)가 서보 모터(3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회전 패널(34)을 중심으로 링크편(片)이 회동함으로써, 다관절 링크부재의 전체 링크의 수평적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그 다관절 링크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한 쌍의 몰드 플레이트(32a,32b)가 서로 근접하거나 또는 이격되면서 몰드가 형폐되거나 개방된다.
상기 몰드(31a,31b)가,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구동되는 적절한 이송 수단에 의해, 압출다이부(도면 미도시) 하부에서 패리슨을 취입하여 형폐된 상태로 상기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41) 하단의 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제어부(30)는,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는 상승시키고, 이어서 또 다른 모터를 구동시켜 몰딩장치(300)의 프레임에 구비된 승강작동 메커니즘를 통해 상기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41)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승강 동작과 함께 정해진 적절한 타이밍에 따라, 압축된 고압의 에어를 단속하기 위한 밸브(51,52)를 각각 순간 개방시켜 몰드내의 패리슨에 압축된 고압 에어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블로우 몰딩장치(300)는, 합성수지 등의 원료로부터 블로잉 방식으로 용기를 성형하기 위해 앞서 언급되지 않은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합성수지와 같은 원료( 예를 들어, 가소성 플라스틱, PE 수지, PETG 수지 등 )가 투입될 수 있는 호퍼와, 융용된 원료를 사출하면서 에어를 단속적으로 분출하여 중공 성형품인 패리슨을 만들어내는 압출다이부와, 상기 호퍼로 투입되는 원료가 적절한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서 이송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안내관과, 그 안내관내의 스크류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원료를 상기 압출다이부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모터와, 각종의 구동 메커니즘 등이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성형품의 양측 목에 각각 절개선을 형성시키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고압 에어를 몰드의 상하에서 각각 분사하는 블로우핀 유니트들로써 양측 목에 절개선이 형성된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몰딩장치에서 하나의 몰드 포밍판과 그 상하에 위치하는 블로우핀 유니트들만을 나타낸 사시도와, 각각의 블로우핀 유니트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각각의 몰드 포밍판 )의 하단도 상단과 마찬가지로 개구부(311,31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개구부(311,312)는, 용기가 성형되는 중공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목을 형성하는 부분 )와 테이퍼진(tapered) 형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부(311,312)는, 그 테이퍼진 면이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30o~40o 범위내의 각( 도 5의 θinc )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1,42)의 각각은, 고압 에어 경로의 세관(細管)이 내부에 형성된 헤드핀(411,421)에 외삽되어 고정결착되는 한 쌍의 커터링(412,422)과 가이더링(413,42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터링(412,422)은, 커팅 모서리의 마모 시에 교체하여 사용하기 위해, 서로 적층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른 개수( 하나, 또는 3개 이상 )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커터링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몰드에서, 용기의 하부 목을 형성하는 연통부(314)의 내경(52)( 즉, 해당 커터링과 대향하는 개구부의 최단 직경 )보다 미세하게 큰 외경(51)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간에 반경차(Δr)가 0보다 크고 0.2mm보다는 작은, 바람직하게는 0.1mm가 되는 외경을 갖는 커터링이 구비된다.
도 5는,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에 구비되는 커터링(422)에 대해 예시한 것이나, 몰드에서, 용기의 상부 목을 형성하는 연통부( 또는 상단 개구부 )와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41)에 장착되는 커터링과의 관계에서도 전술한 직경 차이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3과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가, 일측의 몰드 플레이트(32a)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고정판(321)에, 몰드 플레이트의 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가 반드시 이러한 방식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41)과 같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몰딩장치의 프레임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형폐된 몰드를 기준으로 서로 상하로 대칭되는 위치에 상부 및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가 각기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용기의 양측 목에서 절단되어야 할 지점의 둘레를 따라 절개선을 형성하면서 양목형 용기를 성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내부 중공부에 패리슨이 취입된 몰드가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41)의 하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어부(30)는, 먼저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를 상승시킨다. 상승을 위한 모터의 구동은, 상기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에 장착된 커터링(422)의 상단의 환형 모서리( 이 환형의 모서리를 '커팅 모서리'라 칭한다. )가 몰드의 하단 개구부의 경사면(312)에 닿을 때까지 지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의 구동 후에 가이더링(423)이 몰드의 연통부(314)에 진입하기 전에,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압 에어의 밸브(52)를 개방시켜(tbs) 고압 에어가 헤드핀(421)의 전방으로( 도면에서 상방으로 ) 분사되게 한다. 이 밸브(52)의 개방은, 상기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의 상승을 중단시키는 시점(tbe)에, 또는 그 전후로 종료된다.
상기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를 상승시키면서 그 전방으로 고압 에어를 분사시키는 이유는, 가이더링(423)이 몰드의 연통부(314)내로 진입할 때 패리슨을 부분적으로 확장시켜 가이더링에 의해 패리슨이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몰드내에 취입되어 있는 패리슨에서 하부 목을 형성하게 될 부분(70a)에는, 커터링(422)의 상단 커팅 모서리에 찍혀서 목의 둘레를 따라 절개선(7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는, 모터를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하여, 상기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41)에 장착되어 있는 커터링(412)의 하단 커팅 모서리가 몰드의 상단 개부부의 경사면(311)에 닿을 때까지 상기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41)를 하강시킨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부 목을 형성하는 연통부로 가이더링(413)이 진입하기 전에 고압 에어의 밸브(51)를 개방시켜(tus) 고압 에어가 헤드핀(411)의 전방으로 분사되게 한다. 이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 과정에서, 몰드내에 취입되어 있는 패리슨에서 상부 목을 형성하게 될 부분에는, 하부 목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터링의 커팅 모서리에 찍혀서 목의 둘레를 따라 절개선(72)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41)의 커터링(412)이 몰드의 상단 개구부에 닿은 채로 안착된 시점(tmldg)에서도 밸브(51)의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는, 몰드의 상단 개구부(311)와 하단 개구부(312)가 모두 커터링에 의해 각각 밀착되어 있어 몰드가 밀폐된 상태이므로,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41)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 에어는 패리슨을 몰드의 중공부 내벽으로 팽창시켜 용기의 형상이 되도록 한다.
패리슨을 팽창시켜 용기를 성형하기 위해 분사하는( 도 6에서 tmldg ~ tue 동안 분사하는 ) 에어의 압력은, 블로우핀 유니트를 몰드의 연통부내로 진입시킬 때 분사하는 에어의 압력보다 더 고압일 수 있다. 이는, 밸브의 개방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하다.
양측 목에 절개선이 형성된 용기의 성형을 위한 상부 및 하부의 블로우핀 유니트(41,42)의 몰드내로의 진입과 그에 따른 고압 에어의 분사를 위한 설명에서,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를 먼저 가동하고 그 다음에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41)를 가동하였다. 하지만, 몰딩장치나 몰드의 구조, 그리고 몰드로써 형성하고자 하는 성형품의 형상에 따라서는 이 순서가 역전될 수도 있다.
또한, 고압 에어의 분사도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에 대해서 먼저 하고 상부 블로우핀 유니트에 대해서 나중에 하였지만, 이 역시, 그 전후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용기성형을 위한 고압에어의 분사를 상기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42)를 통해 한다면, 하부 블로우핀 유니트를 통한 분사를 나중에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전술한 설명에서와 달리, 몰드내로의 고압 에어의 분사를 상부에서 먼저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부 블로우핀 진입 분사 -> 하부 블로우핀 진입 분사 및 용기성형 분사 ), 또는 고압 에어 분사를 2회 이상 나누어서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부 블로우핀 진입 분사 -> 하부 블로우핀 진입 분사 -> 상부 블로우핀의 용기성형 분사 )에도, 하부에서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시간과 중첩되지는 않도록 한다. 몰드내로 상부와 하부로부터의 고압 에어의 분사 시간이 서로 중첩됨으로써 고압 에어가 서로 충돌하면, 몰드내에 취입된 패리슨이 고압 에어의 교란에 의해 원치않는 형태로 변형되거나 훼손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식에 의해 용기(70)( 이 용기는, 단일 층으로 된 용기일 수도 있고, 복수의 층이 적층된 다층 용기일 수도 있다. )를 성형하고 나면, 성형된 용기(70)내로 냉각 에어를 주입시켜 성형품을 고화시키고, 그 고화된 성형품을 몰드로부터 취출하면 양측 목에 절개선이 형성된 용기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양측 목에 절개선이 형성된 용기는, 작업자가 신중하게 절단할 위치를 찾아서 커터나 지그 등을 사용하여 절단할 필요없이, 하부 목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버어(70b)를 잡고서 힘을 가하여 절취하면 그 절개선(71)을 따라 그대로 버어(70b)가 제거된다. 이는 상부 목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몰드에 의해 정해진 치수에 따라 성형품에 대해서 항상 동일한 위치에 절개선이 만들어지므로, 작업자의 매우 단순한 후가공 작업에 의해서, 양측 목이 모두 평탄하고 깔끔한 절단면을 갖게 되면서, 동시에, 모든 용기들이 균일한 높이의 양측 목을 갖게 된다. 따라서, 양측 목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정해진 치수의 사출품을 장착하여도 그 사출품과 용기 사이에 안정된 밀폐력을 제공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의 양측 목에 절개선을 형성시키는 블로우 몰딩에 대해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작용 등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30: 제어부 31a,31b: 몰드 포밍판
32a,32b: 몰드 플레이트 33: 서보 모터
34: 회전 패널 41,42: 블로우핀 유니트
51,52: 밸브 70: 용기(성형품)
311,312: 몰드 개구부 321: 고정판
411,421: 헤드핀 412,422: 커터링
413,423: 가이더링

Claims (8)

  1.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용하여 블로우 몰딩 방식으로 용기를 제조하는 몰딩 장치에 있어서,
    경사진 개구부(311,312)가 상하에 각기 형성되어 중공부와 연통된 구조를 갖는 몰드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몰드측 방향으로 고압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제 1블로우핀 유니트(41)와,
    상기 몰드의 하부에서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몰드측 방향으로 고압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제 2블로우핀 유니트(42)와,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의 승강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또한,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를 통한 고압 에어의 분사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의 각각에는 커터링(412,422)이 고정장착되어 있되, 상기 각 커터링(412,422)은, 상기 양 개구부(311,312)에서 대향하는 개구부의 최단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를 상기 몰드측으로 이동하도록 각각 작동시키는 동안에,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고압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인 블로우 몰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를 통해 고압 에어가 각각 분사되게 함에 있어서, 그 분사되는 시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게 하나의 유니트를 통한 고압 에어의 분사를 중단한 후 다른 하나의 유니트를 통한 고압 에어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인 블로우 몰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의 양 유니트 중, 상기 몰드내에서 용기 성형이 되게 하는 고압 에어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는 하나의 유니트에 대한 상기 몰드측으로의 이동을 다른 유니트보다 더 늦게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블로우 몰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유니트는,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인 것인 블로우 몰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블로우핀 유니트와 상기 제 2블로우핀 유니트를 상기 몰드측으로 이동하도록 각각 작동시킬 때, 상기 각 커터링(412,422)의 환형 모서리가 상기 양 개구부(311,312)에서 대향하는 개구부의 경사면에 닿을 때까지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블로우 몰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커터링(412,422)은, 상기 양 개구부(311,312)에서 대향하는 개구부의 최단 직경보다 d [mm] (0<d<=0.2) 만큼 큰 외경을 갖는 것인 블로우 몰딩장치.
  7. 용기의 블로우 성형을 위한 몰드에 있어서,
    내부에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중공부가 구비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넓어지는 형태인 개구부가 각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과 하단의 각 개구부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 것인 몰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과 하단의 각 개구부는, 상기 몰드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30o~40o의 범위내에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인 몰드.
KR1020190048751A 2019-04-25 2019-04-25 성형품의 양측 목에 절개선을 형성시키는 블로우 몰딩장치 KR102227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51A KR102227992B1 (ko) 2019-04-25 2019-04-25 성형품의 양측 목에 절개선을 형성시키는 블로우 몰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51A KR102227992B1 (ko) 2019-04-25 2019-04-25 성형품의 양측 목에 절개선을 형성시키는 블로우 몰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56A true KR20200125056A (ko) 2020-11-04
KR102227992B1 KR102227992B1 (ko) 2021-03-15

Family

ID=7357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751A KR102227992B1 (ko) 2019-04-25 2019-04-25 성형품의 양측 목에 절개선을 형성시키는 블로우 몰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182B1 (ko) * 2022-03-23 2022-12-20 신병천 가스 저장용기 제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4526A1 (en) * 1995-02-09 1996-08-15 Portola Packaging, Inc. Blow molded container neck and cap
KR200240128Y1 (ko) * 2001-03-30 2001-10-10 신성기업 주식회사 생수용기 제조장치
JP3493837B2 (ja) * 1995-10-19 2004-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泡離型剤の除去方法
JP2013095243A (ja) * 2011-10-31 2013-05-20 Nippon Plast Co Ltd 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空調ダクト
JP5796978B2 (ja) * 2011-03-28 2015-10-2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ブロー成形方法
KR101736891B1 (ko) * 2016-02-05 2017-05-17 주식회사 디엠씨 벨로우즈 성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4526A1 (en) * 1995-02-09 1996-08-15 Portola Packaging, Inc. Blow molded container neck and cap
JP3493837B2 (ja) * 1995-10-19 2004-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泡離型剤の除去方法
KR200240128Y1 (ko) * 2001-03-30 2001-10-10 신성기업 주식회사 생수용기 제조장치
JP5796978B2 (ja) * 2011-03-28 2015-10-2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ブロー成形方法
JP2013095243A (ja) * 2011-10-31 2013-05-20 Nippon Plast Co Ltd 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空調ダクト
KR101736891B1 (ko) * 2016-02-05 2017-05-17 주식회사 디엠씨 벨로우즈 성형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정밀공학회지, VOL17, No.7, pp.124~13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182B1 (ko) * 2022-03-23 2022-12-20 신병천 가스 저장용기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992B1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334B2 (en) Apparatus for blow molding
US8449280B2 (en) Continuous motion neck calibrated wheel
KR0155454B1 (ko) 예비성형물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 장치
WO2017002150A1 (ja)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による容器の成形方法
US20210394420A1 (en) Blow molding device and blow molding method
CN107428064B (zh) 双轴拉伸吹塑成型装置
JP2005511347A (ja) プラスチック物品の圧縮成形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A25323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forcibly inserting drop into compression molding machine, and molding die follow-up type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drop
KR102227992B1 (ko) 성형품의 양측 목에 절개선을 형성시키는 블로우 몰딩장치
US20110183024A1 (en) Apparatuses for forming objects
JP6012683B2 (ja) 熱可塑性材料製容器の成形機械及び成形方法
JP4670883B2 (ja) 溶融樹脂供給装置、溶融樹脂圧縮成形方法、溶融樹脂圧縮成形装置、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TW201536515A (zh) 射出成型設備及射出成型方法
US20070248713A1 (en) Vertical alternation type bottle blower
US6416313B1 (en) Blow molding machine for low-waste blow molding
JP4733370B2 (ja) ブロー成形方法及び装置
JP2014079913A (ja) 中空成形方法
JPH09277322A (ja) プリフォームの回転式ゲートカット方法とその装置
EP3717199B1 (en) Blow molding apparatus
WO2023282292A1 (ja) 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温度調整装置
US3794454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im finishing blow molded plastic articles
EP2500159B1 (en) Machine for blow moulding containers from a parison using a continuously rotating turntable
JP2001158030A (ja) 成形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方法
EP1839841A1 (en) Vertical alternation blow moulding apparatus
MXPA97007036A (en) Method for producing a blowed molded body that has multiple dimensions and a device to carry out the 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